KR20220151770A -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770A
KR20220151770A KR1020210058963A KR20210058963A KR20220151770A KR 20220151770 A KR20220151770 A KR 20220151770A KR 1020210058963 A KR1020210058963 A KR 1020210058963A KR 20210058963 A KR20210058963 A KR 20210058963A KR 20220151770 A KR20220151770 A KR 2022015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mixing unit
unit
mounting
whipped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언
Original Assignee
이안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이안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05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770A/ko
Publication of KR2022015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40Foaming or w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210/00Physical treatment of dairy products
    • A23C2210/30Whipping, foaming, frothing or aerating dai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07Mixing ingredients into milk or cream, e.g. ae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핑 크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휘핑 크림을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 일 측에 구비되는 분출부를 포함하여 종래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카페 등 영업장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이다.

Description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WHIPPING CREAM PRODUCING DEVICE INCLUDING THE VESSEL}
본 발명은 휘핑 크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휘핑 크림을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 일 측에 구비되는 분출부를 포함하여 종래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카페 등 영업장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휘핑 크림이라고 하는 것은 지방함량이 30∼40%인 크림을 말하는 것으로서, 공기와 크림을 강제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휘핑 크림은 일반 우유와 비교하여 깊고 부드러운 맛을 내는 특성이 있으며, 다른 첨가물과 함께 장식용 크림이나 고소한 맛을 내는 요리에 사용된다.
상기 휘핑 크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재료가 되는 크림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크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냉각기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크림의 보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저장된 용기를 강하게 흔들어서 공기가 혼입되게 하는 관계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공기와 크림이 혼합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상기 교반기의 크기가 큰 관계로 카페 등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휘핑 크림 제조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4-0091930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21228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휘핑 크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휘핑 크림을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 일 측에 구비되는 분출부를 포함하여 종래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카페 등 영업장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휘핑 크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200)와, 상기 저장 용기(200)로부터 휘핑 크림을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부(300)와, 상기 혼합부(300)가 장착되는 장착부(400)와, 상기 장착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분출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400)의 상면에는 상기 혼합부(300)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4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분출부(500)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400) 내부에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혼합부(300)를 통해 공급된 휘핑 크림과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분출부(500)로 공급되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혼합부(300)는 공기가 공급되는 제1혼합부(310)와 휘핑 크림이 공급되는 제2혼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혼합부(310)의 내부에는 공기 투입로(313)가 상하 방향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혼합부(320)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혼합 경로(325)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 경로(325)와 연통되는 휘핑 크림 투입로(324)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혼합부(310)는 원판 형상의 제1혼합부 본체(311)와, 상기 제1혼합부 본체(311) 하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혼합부(320)는 원통 형상의 제2혼합부 본체(321)와, 상기 제2혼합부 본체(321) 하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혼합부 본체(321)의 상면에는 장착홈(323)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323)에 상기 제1혼합부(310)의 돌출부(312)가 삽입되며, 상기 장착부(400)는 상기 혼합부(300)와 분출부(500)가 장착되는 장착부 본체(410)와, 상기 장착부 본체(410)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로(42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 본체(410)의 상면에는 요홈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혼합부(320)의 돌출부(322)가 삽입되며, 상기 유동로(42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300)와 연통되는 제1유동로(421)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출부(500)와 연통되는 제2유동로(4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로(421)와 제2유동로(422)는 장착부 본체(410) 내부에서 연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크기를 감소시켜 종래보다 편리하게 휘핑 크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핑 크림 제조 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핑 크림 제조 장치의 혼합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핑 크림 제조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핑 크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200)와, 상기 저장 용기(200)로부터 휘핑 크림을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부(300)와, 상기 혼합부(300)가 장착되는 장착부(400)와, 상기 장착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분출부(5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혼합부(300)에서 공기와 휘핑 크림이 혼합되고 분출부(500)를 통해 분출된다.
상기 장착부(400)의 상면에는 상기 혼합부(300)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4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분출부(500)가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장착부(400)의 도면상 좌측면에 상기 분출부(5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혼합부(300)의 일 측(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상 우측)에는 공급 배관(W)이 구비되어 휘핑 크림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부(300)의 도면상 우측으로부터 휘핑 크림이 공급되고, 호합부(300)의 도면상 상측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혼합된 후 상기 장착부(400)를 통해 분출부(500)측으로 이동하여 분출된다.
상기 혼합부(300)는 공기가 공급되는 제1혼합부(310)와 휘핑 크림이 공급되는 제2혼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혼합부(310)의 내부에는 공기 투입로(313)가 상하 방향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혼합부(320)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혼합 경로(325)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 경로(325)와 연통되는 휘핑 크림 투입로(324)를 포함한다.
즉, 상기 휘핑 크림은 배관(W)을 통해 제2혼합부(320)의 휘핑 크림 투입로(324)로 투입된다. 공기는 상기 제1혼합부(310)의 공기 투입로(313)를 통해 투입된다. 상기 공기 투입로(313)는 제1혼합부 본체(311)의 상하 방향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외부 공기는 상기 공기 투입로(313)의 상단을 통해 흡입되고 돌출부(312)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 투입로(313)를 통해 제2혼합부(32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혼합부(320)의 내부에는 혼합 경로가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2혼합부(320)의 내부에는 휘핑 크림 투입로(324)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 경로(325)와 연통된다. 상기 혼합 경로(325)는 장착부(400)측으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제1혼합부(310)는 원판 형상의 제1혼합부 본체(311)와, 상기 제1혼합부 본체(311) 하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혼합부(320)는 원통 형상의 제2혼합부 본체(321)와, 상기 제2혼합부 본체(321) 하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혼합부 본체(321)의 상면에는 장착홈(323)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323)에 상기 제1혼합부(310)의 돌출부(31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400)는 상기 혼합부(300)와 분출부(500)가 장착되는 장착부 본체(410)와, 상기 장착부 본체(410)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로(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부 본체(410)의 상면에는 요홈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혼합부(320)의 돌출부(322)가 삽입된다.
상기 유동로(42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300)와 연통되는 제1유동로(421)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출부(500)와 연통되는 제2유동로(4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유동로(421)와 제2유동로(422)는 장착부 본체(410) 내부에서 연통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혼합부(310)를 통해 공기가 제2혼합부(320)로 투입되고, 휘핑 크림은 제2혼합부(320)의 휘핑 크림 투입로(324)를 통해 투입된다. 이때, 상술된 혼합 경로(325)에서 상기 공기와 휘핑 크림이 혼합된다. 상기 혼합된 휘핑 크림은 장착부(400)의 유동로(420)를 통해 분출부(500)로 투입된다.
상기 장착부(400) 내부에서 혼합물(공기와 휘핑 크림의 혼합물)이 이동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400) 내부에는 연결부(420)가 구비되어 상기 혼합물이 상기 분출부(500)로 공급된다. 상기 장착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300)가 장착되는 장착부 본체(410)와, 상기 장착부 본체(410) 내부에 형성되는 연결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 본체(410)의 상단에는 요홈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300)가 안착된다. 상기 연결부(420)는 제1연결부(421)와 제2연결부(4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421)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은 상기 요홈부(411) 바닥에 연통된다. 상기 제2연결부(42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 측단은 상기 제1연결부(421)와 연통되고, 타 측단은 상기 분출부(500)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1연결부(421)를 통해 장착부(400) 내부로 투입되고 제2연결부(422)를 통해 분출부(500)로 공급된다.
상기 장착부(400)의 하측에는 베이스(100)가 배치되어 상기 장착부(400)를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100) 내부에는 상기 장착부(400) 내부에서 공기와 휘핑 크림의 혼합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펌프부(P)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부(P)는 상기 연결부(420)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420) 내부에 유동하는 혼합물을 가압하여 상기 혼합물이 분출부(500)측으로 유동하게 한다.
상기 베이스(100) 일 측면에는 작동 스위치(SW1) 및 세척 스위치(SW2)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 스위치(SW1)에 의해 상기 펌프부(P)가 작동하여 분출부(500)측으로 상기 혼합물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 스위치(SW2)에 의해 펌프부(P)를 작동하여 혼합물 대신 물을 이송하게 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부(P) 및 상기 작동 스위치(SW1)와 세척 스위치(SW2)가 각각 제어부(CON)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즉, 특정 시간이나 횟수로 작동 및 세척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베이스 200 : 보냉 용기
210 : 보냉 용기 본체 300 : 혼합부
400 : 장착부 500 : 분출부

Claims (3)

  1. 휘핑 크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200)와, 상기 저장 용기(200)로부터 휘핑 크림을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부(300)와, 상기 혼합부(300)가 장착되는 장착부(400)와, 상기 장착부(400) 일 측에 구비되는 분출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400)의 상면에는 상기 혼합부(300)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4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분출부(500)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400) 내부에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혼합부(300)를 통해 공급된 휘핑 크림과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분출부(500)로 공급되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300)는 공기가 공급되는 제1혼합부(310)와 휘핑 크림이 공급되는 제2혼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혼합부(310)의 내부에는 공기 투입로(313)가 상하 방향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혼합부(320)의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혼합 경로(325)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 경로(325)와 연통되는 휘핑 크림 투입로(324)를 포함하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부(310)는 원판 형상의 제1혼합부 본체(311)와, 상기 제1혼합부 본체(311) 하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혼합부(320)는 원통 형상의 제2혼합부 본체(321)와, 상기 제2혼합부 본체(321) 하측에 돌출되는 돌출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혼합부 본체(321)의 상면에는 장착홈(323)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323)에 상기 제1혼합부(310)의 돌출부(312)가 삽입되며,
    상기 장착부(400)는 상기 혼합부(300)와 분출부(500)가 장착되는 장착부 본체(410)와, 상기 장착부 본체(410)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로(42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 본체(410)의 상면에는 요홈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혼합부(320)의 돌출부(322)가 삽입되며,
    상기 유동로(42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300)와 연통되는 제1유동로(421)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출부(500)와 연통되는 제2유동로(4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로(421)와 제2유동로(422)는 장착부 본체(410) 내부에서 연통되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
KR1020210058963A 2021-05-07 2021-05-07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KR20220151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63A KR20220151770A (ko) 2021-05-07 2021-05-07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63A KR20220151770A (ko) 2021-05-07 2021-05-07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770A true KR20220151770A (ko) 2022-11-15

Family

ID=8404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963A KR20220151770A (ko) 2021-05-07 2021-05-07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77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287B1 (ko) 2010-05-31 2012-12-13 주식회사 카파아이엔티 분말화된 음료용 식물성 휘핑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1930A (ko) 2013-01-14 2014-07-23 강정환 휘핑크림 제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287B1 (ko) 2010-05-31 2012-12-13 주식회사 카파아이엔티 분말화된 음료용 식물성 휘핑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1930A (ko) 2013-01-14 2014-07-23 강정환 휘핑크림 제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2614B2 (ja) 飲料供給装置
US6253667B1 (en) Assembly for preparing hot and frothed milk
US6183800B1 (en) Method for preparing frothed milk or café crème
US5855162A (en) Coffee machine
CN105849030B (zh) 用来混合一种或多种饮料组分与至少一种碳酸液体的饮料分配器和方法
US72266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umable powder reconstitution and frothing
US4676401A (en) Unitary dispenser for a whipped beverage
US8424446B2 (en) Frothing device
JP6297051B2 (ja) 使い捨てアセンブリ、泡立て食品生産物調製システムおよび泡立て食品生産物調製方法
JP6327760B2 (ja) 調合飲料供給装置
KR20040010693A (ko) 식음에 적합한 거품 음료를 조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201828822A (zh) 將氣體注入飲料的方法和設備
JP2017530066A (ja) 少なくとも2つのポッドまたはカプセル受取手段を備える飲料供給装置
NL1002935C2 (nl) Emulgeer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geschuimde melk en warme melk.
JP2010194312A (ja) ミルクおよび/またはミルクフォームの分配装置ならびにそのような分配装置を備えるコーヒーメーカー
JP2008511353A (ja) 液体濃縮物から温かい飲料及び冷たい飲料をカップ内で調合し、混合し、発泡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IE4415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liquids
KR20160030293A (ko) 주출 장치
WO2016194526A1 (ja) ミルク入り飲料注出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料ディスペンサ
KR20220151770A (ko) 분리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US9642489B2 (en) Dispenser for producing beverages by dissolution of a soluble ingredient
KR20220151769A (ko) 휘핑 크림 제조 장치
KR20220151773A (ko) 원형 격벽 방식의 휘핑 크림 제조 장치
KR20220151771A (ko) 격벽에 의해 혼합되는 휘핑 크림 제조 장치
KR101898024B1 (ko)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