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294A -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 Google Patents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294A
KR20220151294A KR1020210058340A KR20210058340A KR20220151294A KR 20220151294 A KR20220151294 A KR 20220151294A KR 1020210058340 A KR1020210058340 A KR 1020210058340A KR 20210058340 A KR20210058340 A KR 20210058340A KR 20220151294 A KR20220151294 A KR 20220151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wrench
groove
hol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용
Original Assignee
지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294A/ko
Publication of KR2022015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6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fo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는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의 길이를 계측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눈금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끝단부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면에 눈금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몸체를 당겨 제2 몸체가 상기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제1 몸체를 향해 축회동되도록 하여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의 내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를 구비하는 제1 계측부; 및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의 폭을 계측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몸체의 타측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몸체의 타측 끝단부에 접하는 전단에는 계측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2 계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계측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계측부재가 수용홈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볼트; 및 상기 회전볼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몸체의 끝단부에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볼트가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와이어가 회전볼트에 감기면서 상기 제2 몸체의 끝단부를 당겨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을 향해 회동되며, 상기 관통홀의 일측 개구부에는 내측면이 각진 형태의 렌치홈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타측 개구부에는 상기 회전볼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볼트를 하향 가압하는 스프링이 수용되는 승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볼트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상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렌치홈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렌치홈에 치합되는 다각의 렌치부와, 하단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너트가 나선결합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렌치부의 하단부가 상기 렌치홈의 내측에 안착되면, 렌치부의 상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볼트는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회전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안전진단장비{Portable structure crack measuring site for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휴대용 안전진단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균열의 성장에 따라 건축물의 붕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여기서, 건축물의 균열 원인은, 건축물의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균열 중에는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이 없는 균열도 있으나, 어떠한 균열은 건축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하고 결국에는 건축물의 붕괴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균열의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조사해야 하고, 특히 진행 중인 균열은 정밀하고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한편, 건축물의 표면에 발생되는 균열을 용이하게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9798호 "자성체를 구비한 다중 접촉식 균열측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균열측정장치는, 자력 또는 전기에 의해 자성체와 피자성체가 붙은 상태에서 전류를 감지하고, 균열이 진행되면 상호 떨어지면서 전류의 단락을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균열의 정도를 파악하여 필요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균열측정장치는, 건축물의 벽, 천장, 바닥 또는 경사면 등의 비교적 평평한 면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계측할 수 있지만, 건축물의 구조상 벽체에서 슬래브로 이어지는 절곡부위 또는 벽체에서 벽체로 이어지는 절곡부위의 균열을 계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9798호(2019년 10월 23일 공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서 슬래브로 이어지는 절곡부위 또는 벽체에서 벽체로 이어지는 절곡부위의 균열의 길이 및 균열의 폭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건축물 슬래브의 기울임 정도를 계측할 수 있는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는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의 길이를 계측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눈금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끝단부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면에 눈금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몸체를 당겨 제2 몸체가 상기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제1 몸체를 향해 축회동되도록 하여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의 내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를 구비하는 제1 계측부; 및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의 폭을 계측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몸체의 타측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몸체의 타측 끝단부에 접하는 전단에는 계측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2 계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계측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계측부재가 수용홈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볼트; 및 상기 회전볼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몸체의 끝단부에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볼트가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와이어가 회전볼트에 감기면서 상기 제2 몸체의 끝단부를 당겨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을 향해 회동되며, 상기 관통홀의 일측 개구부에는 내측면이 각진 형태의 렌치홈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타측 개구부에는 상기 회전볼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볼트를 하향 가압하는 스프링이 수용되는 승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볼트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상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렌치홈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렌치홈에 치합되는 다각의 렌치부와, 하단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너트가 나선결합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렌치부의 하단부가 상기 렌치홈의 내측에 안착되면, 렌치부의 상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볼트는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회전된다.
휴대용 안전진단장비의 상기 제1 계측부는 상기 힌지축의 외경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장착되어 제2 몸체가 제1 몸체의 반대방향을 향해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의 중앙부위가 상하로 관통된 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내측에는 슬래브의 기울임 정도를 계측하는 수평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는 건축물의 벽체와 슬래브 간의 내각 또는 벽체와 벽체 간의 내각과 제1 계측부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의 내각이 일치되도록 제1 몸체에 힌지결합된 제2 몸체를 회동시켜 제2 몸체의 회동각을 조절하여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계측부에 결합된 제2 계측부를 분리하여 제2 계측부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계측침을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된 균열 내부로 삽입하여 건축물의 벽체에서 슬래브로 이어지는 절곡부위 또는 벽체에서 벽체로 이어지는 절곡부위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계측부에 수평계를 구비함으로써, 수평계를 통해 건축물 슬래브의 기울임 정도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에서 제1 계측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에서 제2 계측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에서 제1 계측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에서 제2 계측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는, 제1 계측부(100) 및 제2 계측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계측부(100)는, 건축물의 벽체에서 슬래브로 이어지는 절곡부위 또는 벽체에서 벽체로 이어지는 절곡부위에 발생되는 균열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및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제1 몸체(110)는,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래브의 표면에 저면이 접하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눈금선(111)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래브에 발생된 균열부위의 균열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의 일측 끝단부에 힌지결합된다. 부연하면, 제1 몸체(110)의 단부와, 이와 마주하는 제2 몸체(120)의 단부가 서로 암수결합되는 힌지부를 힌지축(H)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가 서로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래브의 표면에 저면이 접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눈금선(121)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래브에 발생된 균열부위의 균열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각도조절수단은, 제1 몸체(110)에 힌지결합된 제2 몸체(120)의 회동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몸체(110)에 구비되어 제2 몸체(120)를 당겨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를 향해 회동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서 슬래브로 이어지는 절곡부위 또는 벽체에서 벽체로 이어지는 절곡부위에 발생되는 균열의 길이를 계측하는 균열 계측 장치로서, 절곡면의 절곡 각도, 즉 건축물의 벽체와 슬래브 간의 내각 또는 벽체와 벽체 간의 내각과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의 내각이 일치되도록 제1 몸체(110)에 힌지결합된 제2 몸체(120)를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회동시켜 제2 몸체(120)의 회동각을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도조절수단은, 회전볼트(131)와 와이어(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볼트(131)는, 제1 몸체(110)의 일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112)에 삽입된다.
와이어(132)는, 회전볼트(13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 몸체(120)의 끝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제1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2)에 삽입된 회전볼트(131)가 일방향 회전되면, 와이어(132)가 회전볼트(131)의 외경에 감기게 되면서 결국 와이어(132)가 제2 몸체(120)의 끝단부를 잡아 당기게 되어 제2 몸체(120)가 힌지축(H)을 회동축으로 하여 제1 몸체(110)의 상면을 향해 축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2)의 일측 개구부에는 내측면이 각진 형태의 렌치홈(112a)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렌치홈(112a)의 횡단면이 삼각, 사각 및 육각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렌치홈(112a)의 지름은 관통홀(112)의 지름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볼트(131)의 렌치부(131a)가 렌치홈(112a)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렌치부(131a)의 하면이 렌치홈(112a)의 바닥면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관통홀(112)의 타측 개구부에는 후술하는 회전볼트(131)의 몸체부(131b)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볼트(131)를 하향 가압하는 스프링(133)이 수용되는 승강홈(112b)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볼트(131)의 몸체부(131b)와, 이 몸체부(131b)의 외측에 구비된 스프링(133)과 후술하는 너트(N)가 수용 가능하게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승강홈(112b)의 지름은 관통홀(112)의 지름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회전볼트(131)는, 렌치부(131a)와 몸체부(131b)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렌치부(131a)의 지름은 몸체부(131b)의 지름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렌치부(131a)는, 관통홀(112)의 일측 개구부에 형성된 렌치홈(112a)에 치합되도록 렌치홈(112a)과 동일하게 렌치부(131a)의 횡단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렌치부(131a)의 상단부에는 와이어(132)의 일단이 고정된다. 즉, 회전볼트(131)가 회전되면 와이어(132)가 렌치부(131a)의 상단부 외경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렌치부(131a)의 하단부는 렌치홈(112a)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렌치홈(112a)에 치합된다.
이때, 렌치부(131a)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된 파지돌기가 더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돌기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볼트(131)를 들어올려 회전볼트(131)의 렌치부(131a)를 관통홀(112)의 렌치홈(112a)에서 이탈시킨 상태로 회전볼트(13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파지돌기의 표면이 너얼링(knurling) 가공처리되어 파지 돌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몸체부(131b)는, 하단부에 나선이 형성되며, 승강홈(112b)의 내측에 수용되는 너트(N)가 몸체부(131b)의 하단부에 나선결합된다.
이때, 렌치부(131a)의 높이는 렌치홈(112a)의 깊이 보다 더 길기 때문에 렌치부(131a)의 하단부가 렌치홈(112a)의 내측에 안착되면, 렌치부(131a)의 상단부는 관통홀(112)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회전볼트(131)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렌치부(131a)의 상단부에 와이어(132)의 일단이 연결되기 때문에 와이어(132)가 렌치홈(112a)에 비 간섭 된다.
즉, 회전볼트(131)는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져 렌치부(131a)가 렌치홈(112a)에서 완전히 이탈된 상태가 되어야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부연하면, 제1 몸체(110)의 관통홀(112)에 삽입된 회전볼트(131)를 들어올리면, 회전볼트(131)의 렌치부(131a)가 관통홀(112)의 렌치홈(112a)에서 이탈되어 회전볼트(131)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제2 몸체(120)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면, 사용자가 회전볼트(131)를 들어올리면, 회전볼트(131)에 나선결합된 너트(N)의 가압에 의해 스프링(133)이 승강홈(112b)의 내측에서 수축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회전볼트(131)를 놓으면, 수축된 스프링(1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너트(N)를 하향 가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회전볼트(131)가 스프링(133)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가압되어 회전볼트(131)의 렌치부(131a)가 관통홀(112)의 렌치홈(112a)에 다시 수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는,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의 힌지축(H)에 축결합되어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140)은,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의 반대방향을 향해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토션 스프링(140)의 중앙 본체는,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의 힌지축(H)에 축결합되고, 토션 스프링(140)의 중앙 본체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아암은,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지지하거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1 계측부(100)의 제2 몸체(120)의 중앙부위가 상하로 관통된 통공(122)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계측부(100)의 제2 몸체(120)에 형성된 통공(122)의 내측에는 건축물 슬래브의 기울임 정도를 계측하는 수평계(123)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계측부(200)는,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의 폭을 계측하는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벽체에서 슬래브로 이어지는 절곡부위 또는 벽체에서 벽체로 이어지는 절곡부위에 발생되는 균열의 폭을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계측부(200)는,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의 타측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계측부(200)는, 제1 몸체(110)의 타측 끝단부에 접하는 전단에 수용홈(210)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홈(210)에는 균열 내부로 삽입되어 균열의 폭을 계측하는 계측부재(220)가 수용된다.
이때, 제2 계측부(200)에 형성된 수용홈(210)에 수용된 계측부재(220)는, 제1 계측부(100)에서 제2 계측부(200)가 분리되면, 수용홈(2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 계측부(200)는,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의 타측 끝단부에 볼트(B)결합된다. 즉,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의 단부와, 이와 마주하는 제2 계측부(200)의 전단부가 서로 암수결합되면서 볼트(B)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의 타측 끝단부에 접하는 제2 계측부(200)의 전단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수용홈(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계측부(200)의 전단에 형성된 수용홈(210)의 내측에 수용되는 계측부재(220)는, 계측침(221)과 본체(222)로 구성된다.
계측침(221)은, 균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외주면의 직경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계측침(22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균열의 폭을 계측할 수 있도록 계측침(221)의 길이방향으로 눈금선(2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22)는, 계측침(221)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계측부(200)의 전단에 형성된 수용홈(2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계측부재(220)의 본체(222)의 후방에 구비되어 계측부재(220)의 계측침(221)이 수용홈(2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계측부재(220)의 본체(222)를 가압하는 스프링(230)을 구비한다.
한편, 제2 계측부(200)에 형성된 수용홈(210)의 개구부 테두리에는, 계측부재(220)의 본체(222)가 수용홈(210)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계측부재(220)의 본체(222)의 전단이 접촉되는 걸림턱(211)이 수용홈(21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계측부재(220)의 본체(222)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걸림홈(222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계측부(200)의 외측면에는, 수용홈(210)에 직교하여 수용홈(210)에 연통되는 핀홀(240)이 형성된다.
즉, 고정핀(250)이 핀홀(240)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계측부재(220)의 본체(222)에 형성된 걸림홈(222a)의 내측에 고정핀(250)의 끝단이 삽입되어 계측부재(220)를 고정하는 것이다.
부연하면, 제1 계측부(100)와 제2 계측부(200)를 서로 연결하는 볼트(B)를 제거하여 제2 계측부(200)가 제1 계측부(100)에서 분리되면, 제2 계측부(200)에 형성된 수용홈(210)의 내측에서 수축된 스프링(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용홈(210)의 내측에 수용된 계측부재(220)가 스프링(230)에 의해 가압되어 계측부재(220)의 계측침(221)이 수용홈(210)의 개구부를 통해 제2 계측부(20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계측부재(220)의 본체(222)가 수용홈(210)의 개구부에 형성된 걸림턱(211)에 걸리면서 계측부재(220)의 본체(222)는 제2 계측부(200)의 수용홈(210)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2 계측부(200)에 형성된 핀홀(240)에 고정핀(250)을 삽입하게 되면, 고정핀(250)의 끝단이 계측부재(220)의 본체(222)에 형성된 걸림홈(222a)에 삽입되면서 계측부재(220)를 고정하여 계측침(221)이 제2 계측부(2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제2 계측부(200)에는, 사용시 취급이 용이하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60)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260)에는 본 발명의 균열 계측 장치를 미 사용시에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벽에 고정설치되는 걸림쇠(미도시)에 걸리도록 걸림홀(26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에 장착되는 진공흡착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공흡착판은 제1 몸체(110)를 벽체나 슬래브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도조절수단을 조작하여 제1 계측부(100)의 제2 몸체(120)의 회동각을 조절한 후, 제1 몸체(110)를 균열부위가 발생된 벽체 또는 슬래브에 부착시키면, 균열부위의 균열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진공흡착판은,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에 연결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에 축결합되는 흡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계측부(100)의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의 힌지축(H)에 축결합되어 제1 계측부(100)의 제 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사이에 장착되는 각도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기를 통해 제2 몸체(120)의 회동각과,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간의 사이 내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안전진단장비는 건축물의 벽체와 슬래브 간의 내각 또는 벽체와 벽체 간의 내각과 제1 계측부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의 내각이 일치되도록 제1 몸체에 힌지결합된 제2 몸체를 회동시켜 제2 몸체의 회동각을 조절하여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된 균열의 길이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계측부에 결합된 제2 계측부를 분리하여 제2 계측부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계측침을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된 균열 내부로 삽입하여 건축물의 벽체에서 슬래브로 이어지는 절곡부위 또는 벽체에서 벽체로 이어지는 절곡부위에 발생된 균열의 폭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계측부에 수평계를 구비함으로써, 수평계를 통해 건축물 슬래브의 기울임 정도를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제1 계측부 110: 제1 몸체
111, 121, 221a: 눈금선 112: 관통홀
112a: 렌치홈 112b: 승강홈
120: 제2 몸체 122: 통공
123: 수평계 131: 회전볼트
131a: 렌치부 131b: 몸체부
132: 와이어 133, 230: 스프링
140: 토션 스프링 200: 제2 계측부
210: 수용홈 211: 걸림턱
220: 계측부재 221: 계측침
222: 본체 222a: 걸림홈
240: 핀홀 250: 고정핀
B: 볼트 H: 힌지축
N: 너트

Claims (2)

  1.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의 길이를 계측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눈금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끝단부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면에 눈금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몸체를 당겨 제2 몸체가 상기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제1 몸체를 향해 축회동되도록 하여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의 내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를 구비하는 제1 계측부; 및 건축물의 절곡부위에 발생하는 균열의 폭을 계측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몸체의 타측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몸체의 타측 끝단부에 접하는 전단에는 계측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2 계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계측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계측부재가 수용홈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볼트; 및 상기 회전볼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몸체의 끝단부에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볼트가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와이어가 회전볼트에 감기면서 상기 제2 몸체의 끝단부를 당겨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을 향해 회동되며,
    상기 관통홀의 일측 개구부에는 내측면이 각진 형태의 렌치홈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타측 개구부에는 상기 회전볼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볼트를 하향 가압하는 스프링이 수용되는 승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볼트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상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렌치홈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렌치홈에 치합되는 다각의 렌치부와, 하단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너트가 나선결합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렌치부의 하단부가 상기 렌치홈의 내측에 안착되면, 렌치부의 상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볼트는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회전되는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측부는 상기 힌지축의 외경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장착되어 제2 몸체가 제1 몸체의 반대방향을 향해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의 중앙부위가 상하로 관통된 통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내측에는 슬래브의 기울임 정도를 계측하는 수평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KR1020210058340A 2021-05-06 2021-05-06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KR20220151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40A KR20220151294A (ko) 2021-05-06 2021-05-06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40A KR20220151294A (ko) 2021-05-06 2021-05-06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294A true KR20220151294A (ko) 2022-11-15

Family

ID=8404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340A KR20220151294A (ko) 2021-05-06 2021-05-06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2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16428A (zh) * 2024-01-05 2024-02-06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室混凝土裂缝检测装置
KR102679304B1 (ko) * 2023-10-30 2024-06-28 주식회사 에스티시 치수마킹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98A (ko) 2018-04-13 2019-10-23 정소연 자성체를 구비한 다중 접촉식 균열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98A (ko) 2018-04-13 2019-10-23 정소연 자성체를 구비한 다중 접촉식 균열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9304B1 (ko) * 2023-10-30 2024-06-28 주식회사 에스티시 치수마킹보드
CN117516428A (zh) * 2024-01-05 2024-02-06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室混凝土裂缝检测装置
CN117516428B (zh) * 2024-01-05 2024-04-02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室混凝土裂缝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1294A (ko) 휴대용 안전진단장비
US7681747B2 (en) Crane
US6050548A (en) Collapsible lifting assembly
US9254821B2 (en) Stabilizer pad and handle apparatus
US20110001098A1 (en) Utility jack
EP0457377A1 (en) Steel post shore, or prop, for supporting of formwork in constructing buildings
US20180010354A1 (en) Ground anchor with holder for a load
KR101059506B1 (ko) 선박의 블록 탑재용 스크류 잭
US5655337A (en) Temporary material installation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7401192B (zh) 用于预应力圆形混凝土管桩的截断后竖向托换传力装置
KR102131239B1 (ko) 균열 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FR2896784A1 (fr) Appareil de prehension de charge(s), de preference de type panneau, notamment pour le transfert de la ou des charges entre deux sites
KR102137584B1 (ko) 안전진단을 위한 휴대용 균열 계측 장치
JP2009036012A (ja) 柵ヒンジアセンブリ
KR101185396B1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KR20080081566A (ko) 맨홀뚜껑 개방장치
KR20110000761U (ko)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KR101967779B1 (ko) 신관의 장전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관의 장전 시험 방법
US52897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top beam "C" clamps or the like
CN209430146U (zh) 一种新型冲击钻锤头打捞装置
CN210624041U (zh) 一种方便收纳的水平仪
WO2005098304A1 (en) Positioning joint system, especially for set-up of horizontal position
JP3214163U (ja) 安全帯連結用治具
KR100753475B1 (ko) 전도방지장치
US20050109167A1 (en) Nut installation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