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215A - 교반기 볼 밀 - Google Patents

교반기 볼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215A
KR20220151215A KR1020227036477A KR20227036477A KR20220151215A KR 20220151215 A KR20220151215 A KR 20220151215A KR 1020227036477 A KR1020227036477 A KR 1020227036477A KR 20227036477 A KR20227036477 A KR 20227036477A KR 20220151215 A KR20220151215 A KR 2022015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ng
external stator
rotor
stator
to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두아르 나테르
아킴 스텀
안드레아스 리체
토마스 버스닉
Original Assignee
뷔홀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뷔홀러 아게 filed Critical 뷔홀러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5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3Stir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0Disintegr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1Arrangements for separating milling media and groun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02C17/1835Discharging devices combined with sorting or separating of material
    • B02C17/184Discharging devices combined with sorting or separating of material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2017/165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with stirring means comprising more than one agi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외부 고정자(2) 및 공통 중심 축(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원통형 로터를 갖는 교반기를 갖는 밀링될 유동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교반기 밀을 포함한다. 로터(1)는 외부 고정자(2) 내에 배열되고, 밀링 챔버(4)는 로터(1)와 외부 고정자(2) 사이에 형성된다. 밀링 챔버(4)에서, 공급 채널(7)로부터 배수로(6)까지 연장되는 관통 흐름 방향이 정의된다. 외부 고정자(2)와 로터(1) 사이의 밀링 챔버(4)는 일정한 폭을 갖는다. 밀링 챔버(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링 요소로 채워진다. 외부 고정자(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 개의 로터 밀링 공구(11)가 로터(1)에 부착되고, 여기서 밀링 챔버(4) 내로 일정 길이만큼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여러 개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가 외부 고정자(2)에 부착된다.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일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행을 형성한다. 이러한 행들은 중심 축을 따라 외부 고정자(2)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밀링 챔버의 공급 채널(7)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 바람직하게는 3개의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는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보다 더 긴 반경 방향 길이를 갖는다. 원주 방향으로 각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는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교반기 볼 밀
본 발명은 교반기 볼 밀, 특히 교반기 볼 밀 내의 밀링 요소가 개선된 유동화 및 분포가 보장되는 교반기 볼 밀에 관한 것이다.
교반기 볼 밀(R
Figure pct00001
hrwerkskugelm
Figure pct00002
hle, 또는 RWKM)의 기본 구조는 예를 들어 EP 1 992 412 B1에 알려져 있다. 종래의 교반기 볼 밀의 경우, 밀링 요소는 헹굼 및 흐름이 쉬운 제품 생산 중에 밀링 챔버의 하부 영역에서 중력에 의해 모여서 압축될 수 있다. 이는 교반기 볼 밀 내에서 밀링 요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분포로 인해 제품 품질이 저하되거나 처리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교반기 볼 밀은 또한 예를 들어 문헌 DE 4 008 472 A1, DE 19 638 354 A1 및 WO 2006/116338 A2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교반기 볼 밀 내에서 밀링 요소의 더 나은 분포에 의해 낮은 점도 및/또는 낮은 점착성을 갖는 흐름이 쉬운 제품의 경우, 전력 소비를 더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정의된다. 종속항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 외부 고정자 및 공통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원통형 로터를 갖는 교반기를 갖는 밀링될 유동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교반기 밀을 포함한다. 로터는 외부 고정자 내부에 배열되고, 밀링 챔버는 로터와 외부 고정자 사이에 형성된다. 밀링 챔버는 외부 고정자와 로터 사이에 일정한 폭을 갖는다. 밀링될 재료가 밀링 챔버 내로 안내될 수 있는 공급 채널은 밀링 챔버의 상류에 있다. 또한, 밀링될 재료가 밀링 챔버를 떠날 수 있는 배수로가 제공된다. 따라서, 공급 채널 및 배수로는 공급 채널로부터 배수로로 연장되는 밀링 챔버를 통한 관통 흐름 방향을 정의한다.
밀링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링 요소로 채워진다. 또한, 외부 고정자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터 밀링 공구는 로터에 부착된다. 또한, 밀링 챔버 내로 길이만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가 외부 고정자에 부착된다.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일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행을 형성한다. 이 행은 중심 축을 따라 외부 고정자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또한 종방향 행으로, 즉 원주 방향에 수직되고 중심 축을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중심 축 방향, 즉 관통 흐름 방향을 따라 종방향 행을 형성하고, 또한 이에 수직인 행, 즉 외부 고정자의 원주 주위에 원형 구성으로 행을 형성한다.
밀링 챔버의 공급 채널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면에 있는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의 적어도 하나의 행, 바람직하게는 3개 행의 외부 밀링 공구는 나머지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보다 반경 방향 길이가 길다. 다시 말해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최후방 흐름 방향 - 관통 흐름 방향 - 행(들)으로 즉, 공급 채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외부 고정자의 원주 주위에 있는 원들에 놓인 모든 그러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따라서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보다 반경 방향 길이가 더 길다.
외부 고정자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6 내지 12개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 및/또는 8 내지 20개의 종방향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작동 중인 교반기 밀은 중심 축이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배열되고, 밀링 챔버 내에서 관통 흐름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실행되고, 원주 방향으로 하부 행 또는 하부, 바람직하게는 3개의 행은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가 있는 행보다 길이가 더 길다.
원주 방향으로 각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각각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의 길이는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의 길이보다 1.5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2.25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배 더 길 수 있다.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의 길이는 5mm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7mm 내지 15mm일 수 있다.
로터 밀링 공구는 각각 동일한 길이, 예를 들어 20 mm 내지 4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 및/또는 로터 밀링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핀 형태로 설계된다. 핀은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적어도 핀의 직경만큼 큰 원통 형상이다.
로터 내부에 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관통 흐름 방향에서, 밀링될 유동성 재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는 분리 장치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볼 밀의 단면을 나타낸다.
하기에서, 도 1에 따른 수직 교반기 볼 밀 (RWKM), 즉 작동 시 중심 축(5)이 수직으로 배향되고, 관통 흐름 방향이 위에서 아래로 실행되도록 배열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교반기 볼 밀을 참조한다. 중심 축(5)에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으로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평 또는 경사지게 배열된 교반기 볼 밀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교반기 볼 밀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로터(1)를 구비한 교반기를 갖고, 여기서, 로터(1)는 외경(D1) 및 내경(d1)을 갖는다. 로터(1)는 중심 축(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수직으로 배향된다. 또한, 교반기 볼 밀은 로터(1)를 둘러싸는 외부 고정자 직경(D2)을 갖는 외부 고정자(2)를 갖는다. 특히, 로터(1)와 대향하는 외부 고정자(2)의 내벽은 원통형이다. 로터(1)와 외부 고정자(2)는 중심 축(5)과 동축이다. 또한, 로터(1)는 원통형 외벽을 갖는다. 따라서, 외부 고정자(2)와 로터(1) 사이에 밀링 챔버(4)가 형성되며, 이 밀링 챔버는 전체 높이에 걸쳐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반경 방향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밀링 챔버(4)는 일정한 환형 치수를 갖는다. 처리될 밀링 재료는 공급 채널(7)을 통해 밀링 챔버(4) 내로 도입된다.
또한, 중심 축(5)과 동축인 교반기 볼 밀은 내부 고정자 외경(d22)을 갖는 내부 고정자(22)를 구비하며, 이는 로터(1)의 반경 방향 내측과 함께 배출 공간(23)을 형성한다. 도 1에서, 배출 공간(23)은 로터(1) 아래에 형성된 채널을 통해 밀링 챔버(4)에 연결된다. 따라서, 분산된 제품은 채널을 통해 밀링 챔버(4)에서 배출 공간(23)으로 흘러 들어가 내부 고정자(22) 위에 배열된 분리 장치(3)로 흐른다. 분리 장치(3)는 혼입될 수 있는 임의의 밀링 요소를 억제하도록(hold back) 설계된다. 기계로부터 완성된 제품을 배출하는 배수로(6)는 분리 장치(3) 내부 중앙에 위치한다.
반경 방향으로 밀링 챔버(4) 내로 돌출된 로터 밀링 공구(11)는 로터(1)의 외벽에 부착된다. 반경 방향으로 밀링 챔버(4) 내로 돌출하는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는 외부 고정자(2)의 내벽에 부착된다. 공구(11, 21, 211)는 로터(1)가 회전할 때 그들 사이에 적절한 거리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오프셋되어 부착된다.
공구(11, 21, 211)는 로터(1)의 원통형 외벽 또는 외부 고정자(2)의 원통형 내벽에 중심 축에 평행한 종방향 행, 즉 수직 방향 뿐만아니라 원주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경우에, 공구(11, 21, 211)는 길이 방향 및/또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공구(11, 21, 211)가 균일하게 분포된다. 공구(11, 21, 211)의 각각의 종방향 행에는 행당 6개 내지 20개의 공구(11, 21, 2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구(11, 21, 211)의 행당 6 내지 12개의 공구(11, 21, 211)가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길이 방향 및/또는 원주 방향으로 공구(11, 21, 211)의 수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정자 및 로터 공구가 있는 임의의 교반기 볼 밀에 적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길이는 상기 공구(11, 21, 211)의 반경 방향 길이, 즉 공구(11, 21, 211)가 밀링 챔버(4) 내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즉 외부 고정자(2) 방향 또는 로터(1) 방향의 길이를 지정한다. 로터 공구(11)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로터 공구(11)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대략 20 mm 내지 40 mm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는 외부 고정자(2)의 후방 - 관통 흐름 방향 - 영역,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고정자의 하부 영역에서 길이가 더 길다(도 1 참조). 후방 영역은 밀링 챔버(4)와 배출 공간(23)을 연결하는 채널을 향한다. 여기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의 행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도 1에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적어도 가장 낮은(상기 관통 흐름 방향에서 가장 뒤쪽) 행, 바람직하게는 가장 낮은 2개의 행,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장 낮은 3개의 행은 나머지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보다 길이가 더 길다. 수직 방향에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하나 초과의 행이 길이가 더 긴 경우, 이러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는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흐름 방향으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의 길이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길이는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의 길이보다 1.5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2.25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배 더 길 수 있다.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의 길이는 5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mm일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 외경(D1) 대 외부 고정자 내경(D2)의 비율(여기서, 직경은 각각의 경우 밀링 공구(11, 21, 211)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됨)은:
0.6 ≤D1/D2≤ 0.95와 같이 정의된다.
또한, 예에 따르면, 내부 고정자 외경(d22) 대 로터 내경(d1)의 비율(여기서, d22는 도 1에 도시된 핀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됨)은:
0.8 ≤ d22/d1≤0.95와 같이 정의된다.
또한, 일 예에 따르면,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수 대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의 수의 비율은 0.1 내지 0.5이다. 예를 들어, 외부 고정자(2)는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 2개 및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8개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가 밀링 챔버(4) 내로 돌출하는 높이 대 밀링 챔버(4)의 전체 높이(외부 고정자(2)의 길이)의 비율은 0.05 내지 0.3,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이다.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가 밀링 챔버(4) 내로 돌출하는 높이는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즉 밀링 챔버(4)의 영역으로,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가 밀링 챔버에 배열되는 길이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수직 교반기 밀의 경우, 이는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에 의해 커버된 처리 영역(밀링 챔버(4))의 높이에 대응한다.
밀링 챔버(4)에서 길이가 150 mm 더 길고 밀링 챔버 길이 또는 외부 고정자(2)의 길이(처리 영역 높이)가 500mm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예시적인 확장에서, 0.3의 비율이 생성된다.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가 밀링 챔버(4) 내로 돌출하는 길이 대 외부 고정자 내경 (D2)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이다. 밀링 챔버(4)에서 150 mm의 더 긴 길이와 외부 고정자 내경(D2)이 550 mm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연장에 있어서, 0.27의 비율이 생성된다.
교반기 볼 밀에서, 밀링 또는 분산 작업 중 후방 - 관통 흐름 방향으로 - 영역에서 항력으로 인해, - 특히 수직 교반기 볼 밀의 경우 - 또한 중력으로 인해 밀링 요소 집합이 발생할 수 있다. 수평 또는 경사 교반기 볼 밀의 경우에도, 밀링 요소가 항력으로 인해 밀링 챔버의 일부 - 특히 관통 흐름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 집합될 수 있다. 후방 - 관통 흐름 방향으로 - 영역의 연장된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교반기 볼 밀 전체에서 밀링 요소의 유동화를 개선한다. 기계의 일 부분에 밀링 요소가 집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밀링 요소의 집합이 작동 중에 발생해야 하는 경우, 이는 외부 고정자의 하부 영역에 더 긴 핀을 사용함으로써 현저하게 느슨해지고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개선된 분쇄 결과 또는 더 양호한 밀링 결과가 구현되고,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특히, 배열은 낮은 점도(인성) 및/또는 낮은 점착성을 갖는 흐름이 쉬운 제품의 경우 전력 소비를 더 낮출 수 있다.
또한, 밀링 요소의 집합으로 인해 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링 공구는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 중 밀의 공정 관련 조작을 방지한다. 공구는 접착제 결합에 의해 고정자에 밀봉되어 냉각 표면의 감소를 방지한다. 외부 고정자의 공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정의된 길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축 방향으로 공구 길이가 한 단계만 존재한다. 이는 밀링의 전체 기간 동안 일정한 밀링 조건을 추가로 보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종래의 교반기 볼 밀, 특히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가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설계된 교반기 볼 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기 볼 밀을 상응하게 개선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는 공급 채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로 대체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수의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 즉 적어도 관통 흐름 방향에서 가장 뒤쪽에 있는 행의 공구, 바람직하게는 가장 뒤쪽에 있는 3개 행에 있는 공구가 대체된다.
본 발명이 도면 및 관련 설명에 의해 상세하게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표현 및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하기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다양한 양태 및/또는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위에 언급되거나 도시된 특징의 임의의 조합을 갖는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특징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고/있거나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도 도면에 개별 특징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 및 이의 파생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부정 관사("a" 또는 "an") 및 이의 파생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 언급된 여러 특징의 기능은 하나의 유닛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성 또는 값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약", "대략" 등의 용어는 또한 특성 또는 값을 특히 정확하게 정의한다. 청구범위의 어떠한 참조 부호도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면 부호의 목록>
Figure pct00003

Claims (12)

  1. 밀링될 유동성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교반기 밀로서,
    원통형 외부 고정자(2),
    공통 중심 축(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원통형 로터(1)를 갖는 교반기를 가지며, 상기 로터(1)가 상기 외부 고정자(2) 내에 배열되고,
    상기 로터(1)와 상기 외부 고정자(2) 사이에 밀링 챔버(4)가 형성되고, 상기 밀링 챔버(4)에서, 공급 채널(7)로부터 배수로(6)까지 연장되는 관통 흐름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외부 고정자(2)와 상기 로터(1) 사이의 상기 밀링 챔버(4)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밀링 챔버(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링 요소로 채워지고,
    상기 외부 고정자(2)의 방향으로 연장된 여러 개의 로터 밀링 공구(11)가 상기 로터(1)에 부착되고,
    상기 밀링 챔버(4) 내로 일정 길이만큼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여러 개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가 상기 외부 고정자(2)에 부착되고,
    상기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일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행을 형성하며,
    이 행은 상기 중심 축을 따라 상기 외부 고정자(2)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행의 상기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 바람직하게는 3개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는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보다 상기 밀링 챔버의 상기 공급 채널(7)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면에서 더 긴 반경 방향 길이를 가지며,
    각 행의 상기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교반기 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고정자(2)는 상기 원주 방향으로 6 내지 12개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 및/또는 상기 중심 축(5) 방향으로 8 내지 20개 종방향 행의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를 갖는, 교반기 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수 대 상기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의 수의 비율은 0.1 내지 0.5인, 교반기 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중인 상기 교반기 밀은 상기 중심 축(5)이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밀링 챔버(4)의 상기 관통 흐름 방향은 상기 원주 방향의 하부 행 또는 하부 행들이 길이가 더 긴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가 있는 행이 되도록 위에서 아래로 실행되는, 교반기 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 길이가 더 긴 상기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1)의 길이는 상기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의 길이보다 1.5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2.25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배 더 긴, 교반기 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의 길이는 5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mm인, 교반기 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밀링 공구(11)는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갖는, 교반기 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고정자 밀링 공구(21, 211) 및/또는 상기 로터 밀링 공구(11)는 핀 형태로 설계되는, 교반기 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원통 형상을 갖고, 길이는 적어도 상기 핀의 직경만큼 큰, 교반기 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3)가 상기 로터(1) 내에 제공되는, 교반기 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터 외경(D1) 대 외부 고정자 내경(D2)의 비율에 대해
    0.6 ≤ D1/D2 ≤ 0.95가 적용되는, 교반기 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고정자 외경(d22) 대 로터 내경(d1)의 비율에 대해
    0.8 ≤ d22/d1 ≤ 0.95가 적용되는, 교반기 밀.
KR1020227036477A 2020-03-27 2021-03-26 교반기 볼 밀 KR20220151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6428.1 2020-03-27
EP20166428 2020-03-27
PCT/EP2021/057973 WO2021191430A1 (de) 2020-03-27 2021-03-26 Rührwerkskugelmüh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215A true KR20220151215A (ko) 2022-11-14

Family

ID=7005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77A KR20220151215A (ko) 2020-03-27 2021-03-26 교반기 볼 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58511A1 (ko)
EP (1) EP3946741B1 (ko)
JP (1) JP7454066B2 (ko)
KR (1) KR20220151215A (ko)
CN (1) CN114096354B (ko)
WO (1) WO20211914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25708A (fr) * 1950-10-07 1953-04-20 Suisse Jaruza A G Chur Sa Trommel-concasseur
US3149789A (en) * 1960-10-28 1964-09-22 Szegvari Andrew Continuous process of grinding particulate material
DE2329987C2 (de) * 1973-06-13 1982-12-02 Gebrüder Netzsch, Maschinenfabrik GmbH & Co, 8672 Selb Rührwerksmühle
DE2629251A1 (de) * 1976-06-30 1978-01-12 Draiswerke Gmbh Ruehrwerksmuehle
DD282612A5 (de) 1989-04-25 1990-09-19 Nagema Veb K Strukturwandler zur kontinuierlichen bearbeitung von dispersionen
DE4002613A1 (de) * 1990-01-30 1991-08-01 Draiswerke Gmbh Ruehrwerksmuehle
EP0752274A1 (en) * 1995-07-07 1997-01-08 MAZZONI LB FOOD S.r.l. Agitator mill for grinding solid particles in general and particularly solid particles dispersed in a continuous liped phase
DE19638354A1 (de) * 1996-09-19 1998-03-26 Draiswerke Inc Mahwah Rührwerksmühle
JPH10113567A (ja) * 1996-10-08 1998-05-06 Aimetsukusu Kk 縦型湿式粉砕装置
EP0913200B1 (de) * 1997-10-28 2003-04-23 DRAISWERKE GmbH Rührwerksmühle
CN1307934A (zh) * 2001-02-12 2001-08-15 宜兴市洪流集团公司 一种改进的砂磨机
JP2006255519A (ja) 2005-03-15 2006-09-28 Masumi Kusunoki 媒体循環型粉砕装置
WO2006116338A2 (en) 2005-04-25 2006-11-02 Draiswerke, Inc. Multi-stage agitator mill
EP1724022B1 (de) 2005-05-19 2007-05-02 Bühler AG Rührwerksmühle
EP1992412B1 (de) 2005-10-11 2010-02-03 Bühler Ag Rührwerksmühle
JP5401401B2 (ja) 2010-06-07 2014-01-29 ビューラー アーゲー アジテータミル
EP2846917B1 (en) * 2012-05-10 2019-09-18 Belmonte Investments Limited Attritor mill and process for using it
CN205518018U (zh) * 2016-03-09 2016-08-31 青岛蓝色世纪国际贸易有限公司 纳米级大分子天然沥青研磨机
CN206046120U (zh) * 2016-08-29 2017-03-29 罗星莲 一种具有烘干作用的中药加工研磨器
CN207238219U (zh) * 2017-08-17 2018-04-17 深圳市叁星飞荣机械有限公司 一种立式无机械密封介质搅拌磨的料珠分离装置
EP3536406A1 (de) 2018-03-07 2019-09-11 Bühler AG Rührwerksmühle
CN108499650B (zh) * 2018-06-16 2024-01-26 长沙学院 旋锥搅拌球磨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54066B2 (ja) 2024-03-21
EP3946741A1 (de) 2022-02-09
CN114096354A (zh) 2022-02-25
EP3946741B1 (de) 2023-08-23
WO2021191430A1 (de) 2021-09-30
CN114096354B (zh) 2023-08-15
JP2023521302A (ja) 2023-05-24
US20230158511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4080A (en) Agitator mill
JP6248150B2 (ja) 粉体処理装置
CN101875245A (zh) 环模平放式生物质挤压成型机
US20180104698A1 (en) Agitator ball mill
CN1791486A (zh) 带刃钻头体
JP2680738B2 (ja) 回転ケージ内に分離手段を有する攪拌ミル
JP6808991B2 (ja) 研削式横型精米機
WO2018202726A1 (de) Zerspanungswerkzeug mit kühlmittelumlenkung
CN110198787B (zh) 搅动碾磨机
CN104044252B (zh) 双螺杆轴隔离轴承
JP2016509648A (ja) ターボ機械の入口カウルのためのエンジンバランス装置用のバランスねじ
TW201922340A (zh) 用於攪拌及搓揉機之不對稱三葉式蝸桿軸
US6460791B1 (en) Agitator mill
KR20220151215A (ko) 교반기 볼 밀
SE422224B (sv) Malmaskin for behandling av fiberuppslamningar, sasom pappersmassa, samt styckeformigt malgods, sasom treflis och span
DE19632757A1 (de) Rührwerksmühle
CA2902531C (en) Device for comminution of process feed material with upstream sifting
EP2061600B1 (de) Mahleinheit mit kühleinrichtung
EP2816153A1 (en) Drum element and screen for screening pulp
CN103406173B (zh) 一种碾米机
US1368658A (en) Tubing-machine
CN104971808B (zh) 一种橡胶胶块破碎用破碎刀具
US20160096181A1 (en) Powder processing apparatus
CN109499652A (zh) 一种超大通风面积的碾米装置
DE4142213A1 (de) Ruehrwerksmueh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