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074A -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074A
KR20220151074A KR1020210057919A KR20210057919A KR20220151074A KR 20220151074 A KR20220151074 A KR 20220151074A KR 1020210057919 A KR1020210057919 A KR 1020210057919A KR 20210057919 A KR20210057919 A KR 20210057919A KR 20220151074 A KR20220151074 A KR 20220151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ells
extract
tum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석
이은지
최장기
김지혜
김영수
김태인
이위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5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074A/ko
Priority to PCT/KR2022/006326 priority patent/WO2022235050A1/ko
Publication of KR2022015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81,4-Oxazines, e.g. morpholin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9Sanguisorba (bu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유 추출물이 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PD-L1과 결합하여 암세포가 T 세포의 표면에 있는 PD-1과의 상호작용을 차단함으로써, T-세포를 활성화하여 종양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장암이 유도된 동물모델에 투여하여 종양의 크기 및 종양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암조직에서 면역세포(CD8 T cell) 및 granzyme B 분비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tumor comprising Sanguisorba officinalis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을 정복하기 위한 통상적인 항암 치료는 종양을 절제하는 수술이 알려져 있는데, 수술 전 종양 크기의 축소 또는 수술 후 잔존하는 암세포의 사멸 및 재발 방지를 위해 방사선치료 및 화학치료가 병행된다. 제1세대 항암 치료제로 일컬어지는 방사선 치료 및 화학 치료는 암세포가 무한대로 분열 증식하는 과정을 방해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방사선 치료는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을 쪼임으로써 암세포의 DNA 손상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세포분열과정을 저해하는 독성 화학물질을 투여하는 화학 치료법의 경우도 암세포 특이적으로 세포분열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어서 정상 세포의 분열도 저해하여 백혈구 감소, 탈모 등 심각한 부작용이 수반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상세포와 구별하여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제2세대 항암제인 표적 항암제를 개발함으로써, 제1세대 항암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표적 항암제는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에만 작용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인데, 암의 종류에 따라 암을 유발시키는 단백질과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단백질이 상이하므로 표적 단백질의 종류에 맞는 항암제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암세포가 표적 항암제에 대해 내성을 획득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어 암세포가 표적 항암제의 표적이 되지 않도록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면역세포 회피 능력'을 가지고 있어, 표적 항암제가 암세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항암치료에 따른 부작용과 내성 문제를 감소시키고 투여를 중단해도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기억하고 지속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 것이 가능한 제3세대의 면역항암제가 개발되고 있다.
면역 항암요법은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자가 면역력을 높여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법이다. 면역 항암제는 면역세포의 기능에 집중하여 면역세포의 '암세포를 공격하는 잠재력'을 깨우는 것이다. 면역 항암제는 면역관문억제제, 면역세포치료제, 치료용 항체 및 항암 백신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면역관문억제제는 T 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체크포인트 단백질의 활성을 차단하여 T 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항암제이다. 주로 CTLA-4, PD-1, PD-L1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한다. 세포성 면역을 강화시키는 항암제는 NK 세포 치료제, T 세포 치료제, CAR-T 세포 치료제 등이 있으며, 치료용 항체는 항체-약물 결합체가 암세포에 결합하면 약물이 유리되어 암세포를 공격하는 것이다. 그리고 항암 백신은 암세포가 가지고 있는 종양 특이적 항원 또는 체내 전반적인 면역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백질/펩티드 분자를 암환자에게 투여하여 면역 체계를 활성화함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활발하게 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치료법이다.
한편, 지유는 장미과(Rosaceae) 오이풀 속(Sanguisorba)에 속하는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또는 장엽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L. var. longifolis (Bert.) Yu et Li)의 뿌리이다. 오이풀 속(지유속)의 식물은 2000년 이상 약용 식물로 사용되었으며, 주로 아시아, 서유럽, 북아메리카 등의 북반구 온대지역에 널리 자생한다.
전통적으로 지유는 출혈에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이에 대한 약리연구들이 발표되었다. 지유의 성분 중 테르펜 배당체(terpene glycosides)가 지혈 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지유글리코사이드 I(ziyuglycoside I) 성분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고된 바 있고, 지유의 총 사포닌 역시 거핵구 세포 전구체(megakaryocyte progenitor)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유는 지혈 작용 이외에 조혈 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최근 지유의 총 사포닌과 지유글리코사이드 I, II(ziyuglycoside I, II) 성분이 마우스의 골수 세포의 생존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유는 몇몇 연구에서 항알레르기 효과를 개시하였다. compound 48/80에 의한 전신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했으며, 혈장 히스타민 농도를 억제하였다. 또한, OVA-유도 천식 모델에서 지유 에탄올 추출물이 염증 세포 침윤을 감소시키며, Th2 사이토카인 및 IgE 농도를 감소시킨다고 개시된 바 있다.
지유 관련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2621호에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중국공개특허 제108714149호에 지유 활성 성분의 항종양을 제조하는 약물에서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지유 추출물이 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PD-L1과 결합하여 암세포가 T 세포의 표면에 있는 PD-1과의 상호작용을 차단함으로써, T-세포를 활성화하여 종양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장암이 유도된 동물모델에 투여하여 종양의 크기 및 종양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암 조직에서 면역세포(CD8 T cell) 및 granzyme B 분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 억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암 활성제 및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지유 추출물은 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PD-L1과 결합하여 암세포가 T 세포의 표면에 있는 PD-1과의 상호작용을 차단함으로써, T-세포를 활성화하여 종양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대장암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종양의 크기 및 종양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암 조직에서 면역세포(CD8 T cell) 및 granzyme B 분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PD-1이 코팅된 플레이트에 항-PD-1을 처리한 후, PD-L1을 결합시켰을 때, 0.1~100㎍/㎖의 항-PD-1에서 PD-1/PD-L1의 결합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된 결과이다. *, **, ***은 항-PD-1을 처리하지 않은 것에 대비하여 0.1~10㎍/㎖의 항-PD-1을 처리한 것의 PD-1/PD-L1의 결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며,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2는 PD-L1이 코팅된 플레이트에 농도별로 지유 추출물을 처리한 후 PD-1을 결합시켰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PD-1/PD-L1의 결합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 ***은 지유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것에 대비하여 5~50㎍/㎖의 지유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PD-1/PD-L1의 결합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는 것으로,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도 3은 루시퍼라아제를 이용한 리포터 어세이를 통해 지유 추출물의 PD-1:PD-L1 차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대장암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A)에 따른 체중(B)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Vehicle은 지유 추출물을 식이하지 않은 대장암 유도군이고, SER 100 mpk는 100mg/kg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고, SRE 300 mpk는 300mg/kg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며, αPD-1은 5mg/kg의 αPD-1을 투여한 군이며, SRE 300 mpk+αPD-1은 300mg/kg의 지유 추출물 및 2.5mg/kg의 αPD-1을 투여한 군이다.
도 5는 대장암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 후 18일째, 종양 크기(A) 및 종양 무게(B)를 확인한 것이다. Vehicle은 지유 추출물을 식이하지 않은 대장암 유도군이고, SRE 100 mpk는 100mg/kg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고, SRE 300 mpk는 300mg/kg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며, αPD-1은 5mg/kg의 αPD-1을 투여한 군이며, SRE 300 mpk+αPD-1는 300mg/kg의 지유 추출물 및 2.5mg/kg의 αPD-1을 투여한 군이다. *, **, ***은 대장암 유도군(Vehicle) 대비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 투여군의 종양 크기 또는 종양 무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며, **는 p<0.01이고, ***은 p<0.001이다.
도 6은 대장암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 후 18일째, 종양 크기를 확인한 것이다. (A) Vehicle, (B) 100mg/kg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한 군(SRE 100 mpk), (C) 300mg/kg의 지유 추출물을 투여한 군(SRE 300 mpk), (D) 5mg/kg의 αPD-1을 투여한 군(αPD-1), (E) 300mg/kg의 지유 추출물 및 2.5mg/kg의 αPD-1을 투여한 군(SRE 300 mpk+αPD-1)이다.
도 7은 암 조직에서 면역세포(CD8 T cell) 및 granzyme B 분비량의 증가를 확인한 결과이다. *, **, ***는 면역세포(CD8 T cell) 및 granzyme B 분비량이 Vehicle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며, **는 p<0.01이고, ***은 p<0.001이다.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유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지유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5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지유 추출물은 암세포의 PD-L1 또는 CD80을 타겟으로 하거나; T 세포의 PD-1 또는 CTLA-4를 타겟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암세포는 간암, 폐암, 유방암, 흑색종,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및 혈액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으로부터 유래한 암세포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지유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지유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더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과일 주스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 억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면역관문 억제 관련 질환은 암, 감염, 패혈증 또는 면역 노화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암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암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암 활성제 및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암 활성제는 항암제 또는 면역관문 억제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항암제는 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아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토마이신-C(mitomycin-C), 미트라마이신(mitramycin), 이리노테칸(irinotecan), 캠프토테신(camptothecin), 노보비오신(novobio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암사크린(amsacrine), 테니포시드(teniposide), 에토포시드(etoposide)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제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및 아파티닙(afatini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면역관문 억제제는 항 PD-L1 항체, 항 PD-1 항체, 항 CD80 항체 또는 항 CTLA-4 항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 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 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지유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2,0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30~500mg/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300mg/kg이며, 하루 1~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항체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지유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 경구 투여 시 복강 내 주사, 직장 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자궁 내 경막주사, 뇌혈관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암 보조제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00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10㎎/㎏이며, 하루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항암 보조제는 실제 임상 투여 시에 비 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지유 추출물의 제조
10g의 건조 지유(오이풀)에, 70%(v/v) 에탄올 100㎖을 용매로 첨가하여 2시간 동안 3회 환류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지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유 추출물과 PD-L1의 상호작용에 대한 경쟁적 ELISA 분석
경쟁적 ELISA 분석을 이용하여 지유 에탄올 추출물이 PD-1과 농도 의존적으로 결합하여 PD-L1과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쟁적 ELISA 분석은 PD-1/PD-L1 억제제 ELISA 스크리닝 키트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PBS에 녹인 1㎍/㎖의 조합 인간 PD-1 100㎕를 96웰 플레이트에 밤새 코팅하였다. 0.1% 트윈(PBS-T)을 함유하는 PBS로 상기 96웰 플레이트를 세척하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2%(w/v) BSA를 함유하는 PBS로 블로킹하고 다시 세척하였다. 이후, 0.5㎍/㎖의 비오틴화된 hPD-1 50㎕를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PBS-T에서 3회 세척한 후, 50㎕의 0.2㎍/㎖ HRP가 접합된 스트렙타비딘을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0.1% PBS-T로 3회 세척하고, SpectraMax L 발광 측정기를 사용하여 상대적 화학 발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D-1/PD-L1의 결합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1), 지유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PD-1/PD-L1의 결합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도 2).
실시예 3. 루시퍼라아제(luciferase)를 이용한 리포터 어세이(reporter assay)로부터 지유 추출물의 PD-1:PD-L1 차단능 확인
PD-1/PD-L1 상호 작용을 억제에 대한 지유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기반 PD-1/PD-L1 차단능 리포터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세포 기반 PD-1/PD-L1 차단능 리포터 어세이를 PD-1/PD-L1 상호작용에 의해 TCR 수용체에 TCR이 결합하면, 루시퍼레이즈 발광이 감소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 및 PD-L1 차단 항체가 세포 표면에서의 PD-1/PD-L1 결합을 블로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TCR/PD-1 과발현 Jurkat T세포 및 TCR 수용체/PD-L1 과발현 CHO 세포를 사용하였다. 1×104개의 PD-L1 aAPC/CHO-K1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기반 PD-1/PD-L1 차단능 리포터 어세이를 수행하는 당일, 배지를 제거하고, PD-1 차단 항체 또는 지유 추출물을 농도별로 각각 첨가한 후, 2×104개의 PD-1 과발현 Jurkat T세포를 첨가하였다. 일정 시간 후, Bio-Glo™ 시약(Promega)을 혼합하여 발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지유 추출물(100㎍/㎖) 및 PD-1 차단 항체(250ng/㎖의 PD-1, 500ng/㎖의 PD-1)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PD-1/PD-L1의 결합이 저해되어 루시퍼레이즈의 발광 정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대장암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지유 추출물 투여 및 지유 추출물+anti PD-1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양 크기 감소 효과 확인
mPD-1을 제거하고 hPD-1으로 치환시킨 마우스(C57BL) 여섯 마리를 이용하여, 마우스 PD-L1(mPD-L1)을 제거하고, 인간 PD-1(hPD-L1)으로 치환시킨 MC-38(마우스 대장암 세포) 세포를 주입하고,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며, αPD-1(양성대조군)과 지유 추출물(100 및 300mg/kg)을 투여하고, 체중 및 종양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마우스의 체중은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대장암 유도군(vehicle) 대비 본 발명의 지유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대조군은 종양 크기 및 무게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및 도 6).
또한, 상기 동물모델의 암조직에서 면역세포(CD8 T 세포) 및 granzyme B 분비량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7).
[통계처리]
본 발명은 3번 반복수행하여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통계처리는 Tukey's post-hoc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Claims (12)

  1.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유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유 추출물은 암세포의 PD-L1 또는 CD80을 타겟으로 하거나; T 세포의 PD-1 또는 CTLA-4를 타겟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간암, 폐암, 유방암, 흑색종,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및 혈액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으로부터 유래한 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 억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관문 억제 관련 질환은 암, 감염, 폐혈증 또는 면역노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 억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 폐암, 유방암, 흑색종,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및 혈액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으로부터 유래한 암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관문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항암 활성제 및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활성제는 항암제 또는 면역관문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아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트라마이신(mitramycin), 이리노테칸(irinotecan), 캠프토테신(camptothecin), 노보비오신(novobio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암사크린(amsacrine), 테니포시드(teniposide), 에토포시드(etoposide)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제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및 아파티닙(afatini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약학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관문 억제제는 항 PD-L1 항체, 항 PD-1 항체, 항 CD80 항체 또는 항 CTLA-4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약학 조성물.
  12.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보조제.
KR1020210057919A 2021-05-04 2021-05-04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KR20220151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19A KR20220151074A (ko) 2021-05-04 2021-05-04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PCT/KR2022/006326 WO2022235050A1 (ko) 2021-05-04 2022-05-03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19A KR20220151074A (ko) 2021-05-04 2021-05-04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074A true KR20220151074A (ko) 2022-11-14

Family

ID=8393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19A KR20220151074A (ko) 2021-05-04 2021-05-04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51074A (ko)
WO (1) WO20222350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254B1 (ko) * 2015-11-11 2017-10-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5050A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13B1 (ko) 감귤 콤부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0621887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idia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736929B2 (en) Method for preparing herbal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fat-solublepolyphenol content, herbal composition prepared thereby and use thereof
KR102556464B1 (ko) 월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KR2011007852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48782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52684A1 (ko)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상처치유용 약학적 조성물
KR20050025388A (ko) 삼칠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579820B1 (ko) 퀘시아 운둘라타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51074A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KR20100074738A (ko)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추출물,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205078B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0481B1 (ko) 설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KR20130060475A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JP2019509994A (ja) 芦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癌剤副作用による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085582B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WO2023027301A1 (ko)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증식 억제용 조성물
KR10179692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09145B1 (ko) 파베타 인디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5,6-디하이드로카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내성 폐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8650B1 (ko) 해마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5702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5713B1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2906B1 (ko) 양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22384A (ko) 적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40000686A (ko) 보중익기탕 및 면역관문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