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993A -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993A
KR20220149993A KR1020210057126A KR20210057126A KR20220149993A KR 20220149993 A KR20220149993 A KR 20220149993A KR 1020210057126 A KR1020210057126 A KR 1020210057126A KR 20210057126 A KR20210057126 A KR 20210057126A KR 20220149993 A KR20220149993 A KR 20220149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sterilization
outside
venti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지
윤여빈
서보현
김민재
문경민
배지수
백민석
전형주
김찬형
김기배
김대훈
김영철
윤효영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9993A/ko
Publication of KR2022014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멸균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깨끗한 공기가 실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를 실내로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 단계;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도입되는 외기를 멸균시키는 외기 멸균 단계; 멸균된 외기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멸균공기 토출 단계; 실내 바닥 측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 관로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키는 실내공기 흡입 단계; 및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 처리하여 실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VENTILATION METHOD AND VENTILATION SYSTEM WITH STERILIZATION FUNCTION FOR INDOOR}
본 발명은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멸균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깨끗한 공기가 실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생활하는 실내의 공기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오염되고 있으며, 쾌적한 삶을 위해서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환기가 필수적이다.
특히, 사무실이나 가정 등과 같이 사람이 머무는 곳에서는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한다. 이때, 일반적인 환기는 창문을 개방하거나 환풍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경우, 냉난방효율이 떨어지고, 최근에는 극심한 미세먼지로 인해 건물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 또는 공조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우리의 주거공간이 갈수록 고층화됨에 따른 안정성 문제와 에너지 절약, 소음, 보안 등의 문제로 창문의 개방이 제한되는 등 생활공간이 갈수록 기밀화 또는 폐쇄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상황은 매우 엄중한 사태로 3차 대유행에 이어 변형 바이러스의 재등장과 집단 발병으로 4차 대유행 위기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태이다.
종래에 알려진 대부분의 환기시스템은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단순한 구성으로, 환기의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기존의 환기시스템은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는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환기시스템은 실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여과 없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실외의 공기가 문이나 창틈 등을 통해 열 교환 없이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를 난방 및 냉방시키는데 드는 경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었다.
또한,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특히 실내의 창문이나 문틀이 닫혀진 상태에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산소결핍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습도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환기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55098(2012.06.1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52346(2019.12.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01685(2005.07.18.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6-000918(1996.01.17.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멸균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깨끗한 공기가 실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외기를 실내로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 단계;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도입되는 외기를 멸균시키는 외기 멸균 단계; 멸균된 외기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멸균공기 토출 단계; 실내 바닥 측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 관로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키는 실내공기 흡입 단계; 및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 처리하여 실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외기 멸균 단계 및 상기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는 헤파 필터 장치부 및 LED UV 장치부를 통해 멸균 처리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 단계는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의 동작으로 실내 바닥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하는 건물의 실내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외기 도입구; 상기 외기 도입구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기 도입 관로; 상기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시키도록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석션 구동팬; 상기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고, 도입되는 외기를 멸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 상기 외기 도입 관로에 연결되고,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 실내 바닥 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공기 흡입구;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 관로;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고, 실내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고, 그 공기 배출 관로를 따라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멸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 및 상기 공기 배출 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배출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내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 및 실내공기 흡입구는 입구에 그릴형(grill type) 커버체와 필터 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흡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 및 배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는 헤파 필터 장치부 및 LED UV 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토출구는 실내의 중앙부와 천장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배치되거나, 실내 천장에 격자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차량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입구부는 차량의 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로 개구되며, 배출부는 차량 실내의 전방과 천장 및 측방으로 개구되는 공기 유입구; 차량 객실의 바닥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는 멸균 처리 장치부; 및 상기 공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포함하거나, 차량의 공조 시스템의 공기 유동 덕트에 구비되는 멸균 처리 장치부를 포함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멸균 처리 장치부는 헤파 필터 모듈 및 LED UV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멸균하여 실내로 유입시켜 깨끗한 환기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바닥 측에서 외부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공기 중에 떠다니는 비말이나 먼지 등의 인체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멸균 환기와 함께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외기 도입 단계(S100); 외기 멸균 단계(S200); 멸균공기 토출 단계(S300); 실내공기 흡입 단계(S400); 및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S500);를 포함하며, 온도 검출 단계(S600); 및 공조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로 칭함)를 외기 도입 관로를 통해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 단계(S100); 상기 외기 도입 단계(S100)에서 도입되는 외기를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시키는 외기 멸균 단계(S200); 상기 외기 멸균 단계(S200)에서 멸균된 외기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멸균공기 토출 단계(S300); 실내 바닥 측에 설치되는 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키는 실내공기 흡입 단계(S400); 및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시켜서 실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 도입 단계(S100)는 외기 도입 관로 상에 설치되는 석션 구동팬 등의 구동으로 실내 외부의 공기를 외기 도입 관로를 통해 도입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외기 멸균 단계(S200)는 상기 외기 도입 단계에서 도입되는 외기를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외기 멸균 단계에서 멸균 장치부는 헤파 필터 장치부 및 LED UV 장치부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외기 멸균 단계는 외기 도입 관로를 따라 흐르는 외기에 포함되는 먼지(미세 먼지)와 바이러스를 제거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멸균공기 토출 단계(S300)는 상기 멸균 단계에서 멸균된 외기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과정으로, 기본적으로 실내의 중앙부와 천장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실내 천장에 격자 구조로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 단계(S400)는 실내 바닥 측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 관로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키는 과정으로,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송풍 장치)의 동작으로 실내 바닥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멸균 토출 단계(S500)는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시켜서 실내 외부로 토출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외기 멸균 단계에서 멸균 장치부는 헤파 필터 장치부 및 LED UV 장치부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외기 멸균 단계는 외기 도입 관로를 따라 흐르는 외기에 포함되는 먼지(미세 먼지)와 바이러스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은, 실내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를 통해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 단계(S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기 멸균 단계(S200) 이후 상기 멸균공기 토출 단계(S300) 이전에 외기 도입 관로 상에서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 처리되기 이전이나 및/또는 멸균 처리된 후에, 상기 실내온도 검출 단계(S600)에서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벗어난 경우,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는 냉난방 장치를 작동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도입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하는 공조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각 단계들에서 석션 구동팬과 송풍팬의 동작, 멸균 처리 장치부의 동작과 온도 센서의 검출값 수신, 냉난방 장치부의 동작은 제어 모듈의 제어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의 실내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외기 도입구(110); 외기 도입 관로(120); 석션 구동팬(210); 흡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310, 320); 공기 토출구(130); 실내공기 흡입구(410); 공기 배출 관로(420); 송풍팬(430); 배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510, 520); 및 실내공기 배출구(4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의 실내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로 칭함)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외기 도입구(110); 일단부는 상기 외기 도입구(110)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하기 공기 토출구(13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기 도입 관로(120); 상기 외기 도입 관로(120) 상에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시키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석션 구동팬(210); 상기 외기 도입 관로(120) 상에 구비되고, 외기를 멸균 처리하여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310, 320); 상기 외기 도입 관로(12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멸균된 외기를 실내로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토출구(130); 실내 바닥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공기 흡입구(410); 일단부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기 실내공기 배출구(44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 관로(420); 상기 공기 배출 관로(420) 상에 구비되고, 실내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430); 상기 공기 배출 관로(320) 상에 구비되고, 그 공기 배출 관로(420)를 따라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멸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510, 520); 및 상기 공기 배출 관로(42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배출 관로(4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내공기 배출구(440);을 포함한다.
상기 외기 도입구(110)는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구성부로서, 실외 상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입구에 그릴형(grill type) 커버체가 구비되고, 필터 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릴형 커버체와 필터 부재는 하나의 모듈으로 구성되어 외기 도입구(110)의 입구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 도입 관로(120)는 일단부가 상기 외기 도입구(110)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실내로 연통되는 공기 토출구(130)와 연결되는 구성부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관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310, 320)는 외기 도입 관로(120) 상에 구비되어, 그 외기 도입 관로(120)를 따라 흐르는 외기를 멸균 처리하여 실내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로서, 상기 멸균 처리 장치부는 헤파 필터 장치부(310) 및 LED UV 장치부(320)를 포함하며, 외기 도입 관로(120)를 따라 흐르는 외기에 포함되는 먼지(미세 먼지)와 바이러스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헤파 필터 장치부(310) 및 LED UV 장치부(320)의 구성은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 토출구(130)는 상기 외기 도입 관로(12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멸균 처리 장치부(310, 320)에 의해 멸균 처리된 외기를 실내로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로서, 실내의 중앙부와 천장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실내 천장에 격자 구조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410)는 실내 바닥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그 실내공기 흡입구(410)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 관로(420) 상에 구성되는 송풍팬(430)의 동작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410)는 실내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구비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입구에 그릴형 커버체가 구비되고, 필터 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릴형 커버체와 필터 부재는 하나의 모듈으로 구성되어 실내공기 흡입구(410)의 입구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관로(420)는 일단부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실내공기 배출구(440)에 연결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관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관로(320) 상에 구비되고, 그 공기 배출 관로(420)를 따라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멸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510, 520)는, 상기한 흡기측 멸균 처리장치부(310, 320)와 마찬가지로, 헤파 필터 장치부(510) 및 LED UV 장치부(520)를 포함하며, 공기 배출 관로(320)를 따라 흐르는 외기에 포함되는 먼지(미세 먼지)와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440)는 상기 공기 배출 관로(42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배출 관로(4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도면에서 실내공기 배출구(440)가 하부 측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실외 상부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610), 및 상기 외기 도입 관로(120)를 따라 흐르는 외기를 냉각 또는 히팅으로 공조시키는 냉난방 장치(6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610)에서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벗어난 경우,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는 냉난방 장치(610)를 작동시켜 도입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하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각 구성부들에서 석션 구동팬과 송풍팬의 동작, 멸균 처리 장치부의 동작과 온도 센서의 검출값 수신, 냉난방 장치부의 동작은 제어 모듈(650)의 제어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공기 유입구(710); 공기 배출구(720); 멸균 처리 장치부(미도시); 및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은, 차량(차량의 실내)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일단부)가 차량의 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로 개구되며, 배출부(타단부)는 차량 실내의 전방과 천장 및 측방으로 개구되는 공기 유입구(710); 입구부(일단부)가 차량 객실의 바닥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720); 상기 공기 유입구(710)에 배치되는 멸균 처리 장치부(미도시); 및 상기 공기 배출구(720) 측에 구비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입구(710)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입구에 그릴형 커버체가 구비되고, 필터 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릴형 커버체와 필터 부재는 하나의 모듈으로 구성되어 공기 유입구(410)의 입구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멸균 처리 장치부는 헤파 필터 모듈 및 LED UV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데, 수동 모드의 경우 차량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 버튼의 수동 조작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자동 모드의 경우, 일정 주기로 자동 동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은, 공기 유입구(710)는 차량이 일정 속도로 주행하게 되면, 그 차량의 실내와 실외의 압력차(베르누이 원리)로 인해 공기 유입구(7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며, 헤파 필터 모듈 및 LED UV 모듈에 의해 멸균 처리된 객실 내 공기는 송풍팬의 구동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은, 변형 예로서 차량의 공조 시스템의 공기 유동 덕트에 상기한 멸균 처리 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예는 차량의 공조 시스템의 가동 시, 즉 외기 환기나 내부 순환 또는 냉난방 가동 시 공기 유동 덕트에 구성된 헤파 필터 모듈 및 LED UV 모듈을 통해 멸균 처리된 공기로 공조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외기 도입 단계
S200: 외기 멸균 단계
S300: 멸균공기 토출 단계
S400: 실내공기 흡입 단계
S500: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
S600: 온도 검출 단계
S700: 공조 단계
110: 외기 도입구
120: 외기 도입 관로
130: 공기 토출구
210: 석션 구동팬
310, 510: 헤파 필터 장치부
320, 520: LED UV 장치부
410: 실내공기 흡입구
420: 공기 배출 관로
430: 송풍팬
440: 실내공기 배출구
610: 온도 센서
620: 냉난방 장치
650: 제어 모듈
710: 공기 유입구
720: 공기 배출구

Claims (7)

  1. 외기를 실내로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 단계;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도입되는 외기를 멸균시키는 외기 멸균 단계;
    멸균된 외기를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멸균공기 토출 단계;
    실내 바닥 측에 설치되는 공기 배출 관로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키는 실내공기 흡입 단계; 및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멸균 장치부를 통해 멸균 처리하여 실내 외부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멸균 단계 및 상기 실내공기 멸균 토출 단계는 헤파 필터 장치부 및 LED UV 장치부를 통해 멸균 처리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 단계는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의 동작으로 실내 바닥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3.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하는 건물의 실내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외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외기 도입구;
    상기 외기 도입구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기 도입 관로;
    상기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어 외기를 도입시키도록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석션 구동팬;
    상기 외기 도입 관로 상에 구비되고, 도입되는 외기를 멸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
    상기 외기 도입 관로에 연결되고,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
    실내 바닥 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공기 흡입구;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 관로;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고, 실내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도록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
    상기 공기 배출 관로 상에 구비되고, 그 공기 배출 관로를 따라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멸균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 및
    상기 공기 배출 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배출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실내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구 및 실내공기 흡입구는 입구에 그릴형(grill type) 커버체와 필터 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흡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 및 배기측 멸균 처리 장치부는 헤파 필터 장치부 및 LED UV 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토출구는 실내의 중앙부와 천장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배치되거나, 실내 천장에 격자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5. 차량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입구부는 차량의 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로 개구되며, 배출부는 차량 실내의 전방과 천장 및 측방으로 개구되는 공기 유입구;
    차량 객실의 바닥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는 멸균 처리 장치부; 및
    상기 공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6. 차량에 구성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공조 시스템의 공기 유동 덕트에 구비되는 멸균 처리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처리 장치부는
    헤파 필터 모듈 및 LED UV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0210057126A 2021-05-03 2021-05-03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KR20220149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26A KR20220149993A (ko) 2021-05-03 2021-05-03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26A KR20220149993A (ko) 2021-05-03 2021-05-03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93A true KR20220149993A (ko) 2022-11-10

Family

ID=8410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26A KR20220149993A (ko) 2021-05-03 2021-05-03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999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918U (ko) 1994-06-20 1996-01-17 자동공조기의 멸균장치
KR100501685B1 (ko) 2003-07-29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실내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55098B1 (ko) 2010-06-01 2012-06-11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실내환기장치
KR102052346B1 (ko) 2018-12-03 2019-12-04 주식회사 티아이씨 건물 실내의 공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918U (ko) 1994-06-20 1996-01-17 자동공조기의 멸균장치
KR100501685B1 (ko) 2003-07-29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실내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55098B1 (ko) 2010-06-01 2012-06-11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실내환기장치
KR102052346B1 (ko) 2018-12-03 2019-12-04 주식회사 티아이씨 건물 실내의 공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524B1 (ko)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KR101808116B1 (ko) 공기청정 시스템
KR102008625B1 (ko) 천장 부착 외기 도입형 공기청정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JP6940896B1 (ja) 換気空調システム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CN111998453A (zh) 一种全屋空气防疫节能系统
KR100810594B1 (ko) 제연기능을 갖는 공기살균순환장치
KR100730716B1 (ko) 환기유니트가 일체로 구비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2319066B1 (ko) 건물 실내 환기와 냉난방 통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0332181A (ja) 換気装置
JPH1078254A (ja) 換気空調システム
KR20210030589A (ko) 주방 공기청정 시스템
KR102175153B1 (ko) 환기겸용 실내공기정화시스템
JP2022076754A (ja) 換気システム
CN208418980U (zh) 挂式空调室内机
KR20220149993A (ko)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방법 및 실내 멸균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KR20230054798A (ko) 시로코팬 직결형 송풍기를 갖는 수직형 공조기
CN217004794U (zh) 一种平疫结合型病房分布式通风系统
KR102210161B1 (ko) 하이브리드 공기정화 시스템
JP4439858B2 (ja) 換気システム
JP2005201488A (ja) ゾーン浄化システム
JP7496140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
KR20160061582A (ko) 수평형 에어커튼을 이용한 냉난방에너지 절약방법
KR102248329B1 (ko) 주방 공기청정기능을 가지는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