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276A -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 Google Patents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276A
KR20220149276A KR1020210056708A KR20210056708A KR20220149276A KR 20220149276 A KR20220149276 A KR 20220149276A KR 1020210056708 A KR1020210056708 A KR 1020210056708A KR 20210056708 A KR20210056708 A KR 20210056708A KR 20220149276 A KR20220149276 A KR 20220149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mbilical cable
underwater drone
umbil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8040B1 (en
Inventor
김기주
김수용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040B1/en
Publication of KR2022014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2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63G2008/005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remotely controlled
    • B63G2008/007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remotely controlled by means of a physical link to a base, e.g. wire, cable or umbilic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using an underwater dron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wherein the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prevents a tangle of an umbilical cable when an underwater drone having an upper end coupled with one end of the umbilical cable is working under the water, includes: an umbilical cable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a power supply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drone and a dat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nderwater drone; a cable adjustor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nderwater drone to selectively adjust the umbilical cable; a sliding unit provided on the underwater drone to be connected to the tensile spring, and formed to be movable within a preset rang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a buoyancy bod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and protect the power supply cable and the data cable; and a sensing device sensing a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and comparing the position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rive changed positional information. The cable adjustor winds or unwinds the umbilical cable to prevent the tangle of the umbilical cable so as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c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The outcom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upported by Innovative University Research Project of Tongmyong University of Innovative University Research Project of Busan Metropolitan City.

Description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본 발명은 수중드론 등을 이용한 수중 작업 시, 엄빌리컬 케이블(Umbilical Cable)의 엉킴을 방지하여 원활한 작업을 이룰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tangle of an umbilical cable using an underwater drone for preventing tangle of an umbilical cable during underwater work using an underwater drone, etc. to achieve a smooth operation.

엄빌리컬 케이블은 해양 플랜트 공학에 사용되는 복합케이블로 정의되며, 해양 플랜트, 에너지 탐사 및 시추, 무인잠수정 또는 수중드론용 등으로 사용된다.Umbilical cables are defined as composite cables used in offshore plant engineering, and are used for offshore plants, energy exploration and drilling, unmanned submersibles, or underwater drones.

이와 같은 엄빌리컬 케이블은 수중 해양장비와 연결되어 전원 및 유압을 공급하거나 장비를 제어하고 장비의 상태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 Such umbilical cables are connected to underwater marine equipment to supply power and hydraulic pressure, control equipment, and send and receive equipment status signals.

특히, 수중드론을 이용할 때 사용되는 엄빌리컬 케이블은 주지하다시피, 동적인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엉킴 및 손상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손상을 줄이기 위해 수중드론에 가까운 엄빌리컬 케이블의 한 지점에 부이(Buoy)를 달아서 엄빌리컬 케이블에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In particular, as is known, the umbilical cable used when using an underwater drone has a lot of dynamic movement, so to reduce damage as a lot of tangles and damage occur, a buoy ( Buoy) is also used to maintain proper tension on the umbilical cable.

그러나, 상기 부이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무인잠수정이 수면 가까이에서 유영(遊泳)하는 경우 또는 인양 및 진수 시 부이가 수면 위로 뜨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엄빌리컬 케이블의 늘어짐이나 엉키는 현상을 발생시켜 작업에 지장을 끼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작업을 하는데 있어 애로사항이 많았었다.However, when the unmanned submersible is swimming near the water surface because the position of the buoy is fixed, or when the buoy floats on the water surface during salvage and launch, the umbilical cable is sagging or tangled. It often interfered with the work, so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working.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1-00374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1-0037487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0-007316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73167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011224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112244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중드론 등을 통하여 엄빌리컬 케이블을 연결시킬 경우, 엄빌리컬 케이블을 일정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umbilical cable from being separat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connecting the umbilical cable through an underwater drone, etc. It aims to be able to provide a device.

또한, 수중드론에 연결된 케이블의 길이를 상기 수중드론의 움직임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에 일정 텐션을 유지시켜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underwater dron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using an underwater drone that can prevent twisting by maintaining a certain tension on the cable. do it with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엄빌리컬 케이블의 일단이 결합된 수중드론이 수면 아래에서 작업할때,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상기 수중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과 상기 수중드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엄블리컬 케이블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수중드론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케이블 조절장치과 상기 수중드론 상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인장 스프링과 연결되며, 상기 수중드론의 이동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결합되어 중성 부력을 유지하고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부력체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화된 위치정보를 도출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은 상기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텐션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할수 있도록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 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tangle of the umbilical cable when the underwater drone having on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oupled to the top works under the water surface, A power supply cable for supplying power and a housing in which a dat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nderwater drone is built in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nderwater drone A cable adjusting device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blickal cable, a sliding unit provided on the underwater drone, one side connected to the tension spring, and movable within a preset r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and the housing A sensing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detects the positions of the buoyancy body and the sliding part that protect the power supply cable and the data cable, and compares i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rive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ab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the umbilical cable is wound or unwound so that the tension of the cable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prevent kinking.

또한, 상기 수중드론에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상태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촬영장치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derwater drone is further formed with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는 감지장치 제어부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nsing devi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ide the cylinder and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a sensing unit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measuring the amount of position change by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storation unit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sliding unit to the initi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제어부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수중드론에 장착된 수중드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중드론 제어부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되 상기 수중드론이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모터에 인가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 및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과 상기 DC-DC 컨버터 간의 전원 인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DC-DC 컨버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상기 모터에 인가시키는 디바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mounted on the underwater drone through the umbilical cable, and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umbilical cable to receive power. A DC-DC converter that applies power for operation to the motor, a battery charged with power connected to the motor, and whether power is applied between the umbilical cable and the DC-DC converter is provided, but power is supplied to the DC-DC converter. If this is not appli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vice for applying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to the motor.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중드론과 연결되는 엄빌리컬 케이블의 장력을 제어하여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 현상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방지장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tha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tangle of the umbilical cable by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umbilical cable connected to the underwater drone.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1b는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상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엄빌리컬 케이블의 구조도.
도 3은 엄빌리컬 케이블의 단면도.
도 4는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5는 수중드론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5에서 감지장치의 내부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수중드론이 후방으로 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상기 도 7에서 감지장치의 내부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수중드론의 내부 블록도.
Figure 1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using an underwater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capturing process using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umbilical cab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mbilical cable.
4 is a block diagram of a sensing devic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rone advances forward.
Fig. 6 is a view showing internal changes of the sensing device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rone moves backwards.
Fig. 8 is a view showing internal changes of the sensing device in Fig. 7;
9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underwater dro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mark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mean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we want to leave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b는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한 촬상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엄빌리컬 케이블의 구조도이고, 도 3은 엄빌리컬 케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감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수중드론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서 감지장치의 내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수중드론이 후방으로 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서 감지장치의 내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수중드론 내부 블록도이다. Figure 1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using an underwater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ing process using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umbilical cab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mbilical cable,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ing device,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rone advances forward, and FIG. 6 is an internal change of the sensing device i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rone moves backwards,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hange of the sensing device in FIG. 7, and FIG. 9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underwater drone.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수중드론(100) 상단에 엄빌리컬 케이블(C)의 일단이 결합되어, 바다 또는 강 등과 같은 수면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수중드론(100)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Referring to Figure 1a,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nderwater drone 100, on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 is coupled to the upper end, using the underwater drone 100 in an area where the water surface such as the sea or river exists. It i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tangle of the umbilical cable (C) when doing this.

상기 수중드론(100)은 일정한 외형을 이루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수중에서 조향 및 주행을 조절하는 동작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것으로서, 수중드론(100)의 본체는 전체를 감싸며 적어도 일부에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구비하여 내부의 공간에 전자기기, 탐사기기, 배터리 등 다양한 구성이 수용되며, 외부에서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이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도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underwater drone 100 is a well-known thing consisting of a body forming a certain external shape and an operation part (not shown) that is provided on the body and controls steering and driving in water, and the body of the underwater drone 100 wraps around the whole and at least Various components such as electronic devices, exploration devices, and batteries ar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by having one or more thrusters in some parts, and a separate facility f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will be additionally provided. can

또한, 상기 수중드론(100)에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상태를 감시하는 영상촬영장치(120)가 구비되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의 모니터인 디스플레이부(300)에 전송하는 역할을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nderwater drone 100 is provided with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120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C), by taking an image of the umbilical cable (C) to manage the state in real time It serves to transmit to the display unit 300, which is a monitor of

이하에서는 도 1b를 참조하여, 상기 영상촬영장치(120)를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C)을 촬영하는 작업을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로 전달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B , the operation of photographing the umbilical cable C using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20 and transferring the photographing to the display unit 300 will be described.

그 구성은 영상촬영장치(120), 제어부(200), 데이터 저장부(250), 디스플레이부(300)로 이루어진다. The configuration includes an image capturing device 120 , a control unit 200 , a data storage unit 250 , and a display unit 300 .

상기 영상촬영장치(120)는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가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제어부(200)에 의하여 회전(Pan) 및 틸트(Tilt)되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임의의 영역을 촬영 가능하게 한다.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20 is provided with a monitoring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monitoring area therein, and is rotated (Pan) and tilted by the control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optionally connected to the umbilical cable (C). of the area can be photographed.

상기 영상촬영장치(120)에는 특정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고배율 줌 카메라(121)와 상기 특정 감시영역을 포함한 주변을 촬영하는 광각 카메라(122)가 듀얼로 구성되는 촬상부를 가진 형태로 구성된다.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20 has a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for photographing a specific monitoring area and a wide-angle camera 122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including the specific monitoring area in a form having an imaging unit configured as a dual.

상기 2대의 감시카메라가 영상촬영장치(120)내에 위치하여 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는 엄빌리컬 케이블(C)의 움직임이 많이 발생하는 곳을 집중 감시하도록 하여 영역 고화질로 촬영하며, 상기 광각 카메라(122)는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화질 즉, 엄빌리컬 케이블(C)의 꼬임등의 발생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화질로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영역을 포함한 주변영역(이하, '전체영역'이라 함.)을 촬영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집중적인 감시영역 뿐만 아니라 집중 감시 영역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 two surveillance cameras are located in the image capturing device 120 to display the two images on the display unit 300 . At this time,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captures a high-resolution area by intensively monitoring a place where a lot of movement of the umbilical cable C occurs, and the wide-angle camera 122 is higher than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 Relatively low image quality, that is, a peripheral area including an area photographed by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tal area') with image quality sufficient to recognize occurrence of kinking of the umbilical cable (C). ) will be film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ituation occurring outside the intensive monitoring area as well as the intensive monitoring area, thereby enabling efficient monitoring.

또한, 상기 영상촬영장치(120)의 내부에는 촬상부에 해당하는 고배율 줌 카메라(121)와 광각 카메라(122)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병합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23)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영상처리부(123)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20)의 내부에서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와 광각 카메라(122)에 각 연결 설치되어, 촬영된 영상을 큰 화면과 작은 화면으로 이루어지는 PIP(Picture In Picture) 영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영상은 큰 화면으로 출력하며, 광각 카메라(122)에서 촬영된 영상은 작은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통제실에 위치하는 관리자가 집중감시영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큰 화면의 고화질로 세밀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체영역은 작은 화면을 통하여 사건 발생여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for merging images captured by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and the wide-angle camera 122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20 .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is connected to each of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and the wide-angle camera 122 inside the image capturing device 120 to display the captured image on a large screen and a small screen PIP (Picture). In Picture) as an image, the image captured by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is output on a large screen,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wide-angle camera 122 is output on a small screen. Due to this, it is possible for the manager located in the control room to check the events occurring in the centralized monitoring area in detail on a large screen with high resolution,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small screen in the entire area.

한편,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20)의 내부에서 별도로 Pan/Tilt/Zoom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여 전체 영역에서 엄빌리컬 케이블(C)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이 이상발생시, 관리자 등에 의하여 이상 발생 영역으로 회동하여 이상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monitors the umbilical cable (C) in the entire area so that the Pan/Tilt/Zoom function is implemented separately inside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120, and the umbilical cable ( When C) occurs, it is preferable to rotate to the abnormal region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to photograph the abnormal region.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23)는 촬영된 영상신호에 현재 날짜, 시간, 감시지역명을 포함하는 문자신호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하는 OSD장치(객체 저장 장치)가 구비되어, 해당 지역에서 특정일 또는 특정시간에 발생한 각종 이상발생 현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is provided with an OSD device (object storage device) for superimposing a character signal including the current date, time, and monitoring area name on the captured image signal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300 ,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ccurately identify various abnormal occurrences occurring on a specific day or at a specific time in the region.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23)는 영상촬영장치(120) 내에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와 광각 카메라(122)와 함께 위치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엄비리컬 케이블(C)을 통하여 DVR(Digital Video Recorder)로 전송하게 되므로, 각각의 카메라에 연결되는 케이블 수를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각각의 카메라마다 채널(CH)을 할당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작업시간 단축 및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is located together with the high-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and the wide-angle camera 122 in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120, so as to process the photographed image signal through the umbilical cable (C). Since it is transmitted to DVR (Digital Video Record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cables connected to each camera, and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llocate a channel (CH) to each camera, it is possible to shorten work time and reduce costs. it becomes possible

영상촬영장치(120)에는 상기 영상처리부(123)를 통해 출력된 감시영역에 대한 영상신호를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통신부(12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1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24 that transmits an image signal for the monitoring area output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to the control unit 200 .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와 광각 카메라(122)의 팬/틸트/줌(Pan/Tilt/Zoom)제어 및 영상처리부(123)의 동작을 제어하며, 후술할 데이터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 상기 통신부(124)와 통신하며 상기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와 광각 카메라(122)의 수평(Pan)기준각, 수직(Tilt)기준각, 줌 상태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영상처리부(123)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pan/tilt/zoom control of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and the wide-angle camera 122 and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and a data storage unit to be described later. Using the data stored in 250, i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24 and adjusts the horizontal (Pan) reference angle, vertical (Tilt) reference angle, and zoom state of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and the wide-angle camera 122. The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0 .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2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처리부(123)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출력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영상과 광각카메라(122)에서 촬영된 영상을 병합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The display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120 to display each output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on a screen,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and the wide angle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122 are merged and displayed on one screen.

상기 데이터 저장부(250)는 상기 상기 고배율 줌 카메라(121)와 광각 카메라(122)의 수평(회전)기준각, 수직(틸트)기준각, 줌상태 및 데이터 통신프로토콜, 카메라 고유코드(IP)를 포함하는 초기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200)를 통하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250)는 상기 영상처리부(12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여, 필요시 상기 영상처리부(12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storage unit 250 includes a horizontal (rotational) reference angle, a vertical (tilt) reference angle, a zoom state and data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camera unique code (IP) of the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1 and the wide-angle camera 122. It stores initialization data including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storage unit 250 stores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so that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3 can be checked when necessary.

이하, 엄빌리컬 케이블(C)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mbilical cable 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도 2를 참조하면, 부력체(40)는 망사튜브(90) 외주에 결합되어 엄빌리컬 케이블(C)의 전체에 중성 부력을 유지한다. 상기 부력체(40)는 엄빌리컬 케이블(C)이 부유하거나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도록 중성부력을 가지게 한다. 상기 부력체(40)는 원통형이고 중앙에 상기 망사튜브(9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40)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와 같이 적절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50)과 상기 데이터 케이블(60)을 보호하고, 공압호스(80)의 단위 길이당 중량을 고려하여 상기 부력체(40)의 크기와 부피도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부력체(40)는 수중에서 양성부력이며, 이러한 부력체(40)의 양성부력이 전력공급 케이블(50)의 음성부력과 상쇄되면서 중성부력을 유지한다.2, the buoyancy body 4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mesh tube 90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throughout the umbilical cable (C). The buoyancy body 40 has neutral buoyancy so that the umbilical cable C floats or maintains a constant water depth. The buoyancy body 40 is cylindrical and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mesh tube 90 can be penetrated and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buoyancy body 40 may use an appropriate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o provide buoyancy, protect the power supply cable 50 and the data cable 60, and a unit of the pneumatic hose 80 The size and volume of the buoyancy body 40 should also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per length. The buoyancy body 40 is positive buoyancy in water, and the positiv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40 is offset with the negative buoyancy force of the power supply cable 50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도시된 바와 같이, 엄빌리컬 케이블(C)은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수중드론(100) 내부에 작동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전력공급 케이블(50)과 상기 수중드론(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60)이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the umbilical cable (C) is a power supply cable 50 and the underwater drone 100, which serve to receive operating power inside the underwater drone 100 from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a housing type in which a data cable 6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s built-in.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50)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제공하는 전력을 상기 수중 드론(200)에서 공급받아 케이블 조절장치(10)를 작동시킨다. The power supply cable 50 receives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unit from the underwater drone 200 to operate the cable control device 10 .

그리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60)은 수중드론 제어부(110)를 통하여 수중드론(100) 사이에 신호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And, the data cable 6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or data between the underwater drones 100 through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110 .

상기 데이터 케이블(60)은 데이터나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중성부력을 가진 UTP 타입의 LAN 통신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60)을 통해 상기 수중드론 제어부(110)에서 오퍼레이터가 내린 명령을 수중드론(100)의 통신보드(미도시)에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수중드론(100)에 장착된 영상촬영장치(120)의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Any type of data cable 6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electrical signals may be us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UTP type LAN communication line having neutral buoyanc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put the command issued by the operator from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110 through the data cable 60 to the communication board (not show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 In addition, the image data of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120 mounted on the underwater drone 100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케이블(6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은 실리콘 재질의 쉴드(62)로 감싸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60)의 묶음 전체는 하나의 차폐막(70)에 의해 둘러싸여 차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one or more data cables 60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data cables 60 may be covered with a shield 62 made of silicon. In addition, the entire bundle of the data cables 60 may have a shielded structure surrounded by one shielding film 70 .

상기 차폐막(70)은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5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이나 전기적 노이즈가 상기 데이터 케이블(60)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폐막(70)은 알루미늄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은박지와 같은 것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60) 전체를 감쌀 수 있다. The shielding film 70 is provided to block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power supply cable 50 from interfering with the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data cable 60 . In this case, the shielding film 70 may be formed of a thin plat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That is, the entire data cable 60 may be wrapped around the data cable 60 , such as silver foil.

공압호스(80)는 케이블 조절장치(10)의 압축기(미도시)로부터 수중드론(100)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하여, 수중드론(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The pneumatic hose 80 injects or removes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or (not shown) of the cable control device 10 to the underwater drone 100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underwater drone 100 .

상기 공압호스(8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비금속 재질이 적합하다. 상기 압축기는 정밀압력조절기(미도시)가 부착되어 정해진 압력의 공기를 수중드론(100)에 주입할 수 있다. The pneumatic hose 8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non-metal material is suitable. The compressor may be equipped with a precision pressure regulator (not shown) to inject ai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into the underwater drone 100 .

상기 수중드론(100)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는 수압과 동일하게 제어되므로 수분이 수중드론(100)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심에 따라 기압이 비례적으로 높아지므로 수심에 따라 주입해야 할 공기의 압력이 세팅되어 수중 드론(100)의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거나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underwater drone 100 is controlled to be the same as the water pressure, so that moistur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underwater drone 100 . Therefore, since the air pressure is proportion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the pressure of the air to be injected is set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such that compressed air is automatically injected or removed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of the underwater drone 100 .

망사튜브(90)는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50)과 데이터 케이블(60) 및 공압호스(80)를 모두 하나의 케이블로 뭉쳐 케이블 형상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망사튜브(90)의 내부에 전력공급 케이블(50), 데이터 케이블(60) 및 공압호스(80)가 모두 수용된다. 이때, 상기 망사튜브(9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케이블(50, 60) 및 공압호스(8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망사튜브(90)는 망(net)으로 이루어지되, 케이블이나 공압호스와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감싸도록 구비된다. The mesh tube 90 is configured to maintain and protect the cable shape by bundling all of the power supply cable 50, the data cable 60, and the pneumatic hose 80 into one cable. That is, the power supply cable 50 , the data cable 60 , and the pneumatic hose 80 are all accommodated in the mesh tube 90 . At this time, the mesh tube 9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protects the internal cables 50 and 60 and the pneumatic hose 80 from external impact. The mesh tube 90 is made of a net, not coupled with a cable or a pneumatic hose, but is provided to cover only.

따라서, 상기 망사튜브(90)로 인해 각 케이블과 공압호스의 엉김이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지속적인 벤딩으로 인한 피로 파괴(금속선을 계속 구부렸다가 펴면 절단되는 것처럼 반복적인 하중에 의한 고체의 파괴진행 징후)를 방지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망사튜브(90)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해수나 강물은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50) 또는 데이터 케이블(60)이 가열되는 것을 식혀주는 냉각수 역할도 하게 된다. Therefore, due to the mesh tube 90, it is possible to prevent entanglement or kinking of each cable and pneumatic hose, and fatigue destruction due to continuous bending (the destruction of solids due to repeated loads as if the metal wire is continuously bent and unfolded is cut) symptoms)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even if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mesh tube 90 , the introduced seawater or river water also serves as cooling water to cool the heating of the power supply cable 50 or data cable 60 .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C)과 연결되며, 하단에는 상기 수중드론(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C)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케이블 조절장치(10)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A,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umbilical cable (C)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t the lower end to selectively control the umbilical cable (C). ) is formed.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을 권취하여 그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selectively adjusts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and adjusts the length by winding the umbilical cable (C).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을 권취하여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의 동작에 의해 수중드론(100)에 연결된 엄빌리컬 케이블(C)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adjusts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by manually or automatically winding the umbilical cable (C), and by the operation of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the underwater drone The tension of the umbilical cable (C) connected to (100) can be adjusted.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는 감지장치(30)에서 감지된 후술하는 슬라이딩부(3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텐션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케이블(C)을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에 형성된 권취부(미도시)는 일반적인 풀리 형태로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을 권취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조절한다. In other words,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controls the cable (C) so that the tension of the umbilical cable (C)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wisting or tangling of the umbilical cable (C) by winding or unwinding C). A winding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is in the form of a general pulley, which winds the umbilical cable (C) and selectively adjusts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do.

상기 권취부는 수중드론(100)과의 거리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중드론(100)이 상기 권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중드론(10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줄여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권취부는 상기 수중드론(100)과의 이격거리의 증감에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조절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텐션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winding unit rotate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For example,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inding part, the winding part rotates in a direction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and the underwater drone 100 is close. When moving in the losing direction, the winding part rotates in a direction to reduce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That is, the winding unit adjusts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underwater drone 100 so that the tension above a certain level can always be maintained.

따라서,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는 상기 감지장치(30)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텐션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할수 있도록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C)을 감거나 풀어 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umbilical cable C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30 . It is to prevent twisting by winding or unwinding the curled cable (C).

이하에서는 감지장치(30)와 그 작동 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ensing device 30 and its operation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감지장치(30)를 설명하면, 수중드론(100) 상에 구비되어 일측이 엄빌리컬 케이블(C)을 통해 케이블 조절장치(10)와 연결되며, 상기 수중드론(100)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끝단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중드론(100)의 움직임에 따라 관성에 의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단부가 이동하는 거리를 감지한다. When the sensing device 3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it is provided on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through an umbilical cable (C), and the underwater drone 100 ), th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 moves within a certain range and at the same time buffers the action of excessive tension on the umbilical cable (C),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ccording to the inertia, the distance th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 moves is sensed.

구체적으로는, 상기 감지장치(30)는 상기 수중드론(100) 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끝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연결되고,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끝단부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sensing device 30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is connected while accommodating th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 in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mbilical cable (C) )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in a preset rang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장치(30)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H), 감지부(31), 슬라이딩부(32), 감자장치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장치(30)는 슬라이딩부(32)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화된 위치의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다.As shown, the sensing device 30 includes a housing (H)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sensing unit 31, a sliding unit 32, a magnetic sensing device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sliding unit 32. and a restoration unit 33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The sensing device 3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and compares i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rive information on the changed position.

여기서, 상기 감지장치(30)는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31)와 상기 감지부(31)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는 감지장치 제어부(미도시)가 형성된다. Here, the sensing device 30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31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and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sensed by the sensing unit 31 with the reference value to position A sensing device control unit (not shown)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s formed.

상기 하우징(H)은 상기 수중드론(100)의 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부(32), 상기 감지부(31), 상기 감지장치 제어부 및 상기 복원부(33)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H)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를 통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도 배치되며, 상기 수중드론(100)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것이다.The housing (H)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sliding part 32, the sensing part 31,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and The restoration part 33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housing (H) is a part of the umbilical cable (C) through one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is also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the underwater dron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umbilical cable (C) is adjustable.

상기 하우징(H)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수중드론(100)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수중드론(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과 함께 위치가 변화한다. As shown, the housing (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the other side is a part of the umbilical cable (C)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part 32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in the receiving space,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 to connect the umbilical The position changes with the cable (C).

이하, 상기 슬라이딩부(32)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슬라이딩부(32)는 수중드론(100)의 이동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Hereinafter, the sliding part 32 will be described. The sliding unit 32 is configured to allow movement within a preset r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100 .

상기 슬라이딩부(32)는 하우징(H)의 내부에서 피스톤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이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한다. 즉, 상기 수중드론(100)이 전진 또는 후진 등의 구동을 하는 경우 상기 수중드론(100)과 상기 하우징(H)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움직이며, 상기 슬라이딩부(32)는 관성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수중드론(100)의 움직임에 대응하지 못하여 상기 하우징(H) 내부에서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The sliding part 32 is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a piston inside the housing (H) to be slidable within a preset range, and the umbilical cable (C) is connected to slide together. That is,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drives forward or backward,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the housing (H) are integrally coupled and move together, and the sliding part 32 is temporarily due to inertia. As a result, the position within the housing (H) is changed because it cannot 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100).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기 수중드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과 함께 위치가 변화한다.The sliding part 32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 and is located together with the umbilical cable (C) is changing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이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한다. Specifically, as shown, the sliding part 32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piston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within a preset range, and the umbilical cable C is connected to slide together.

즉, 상기 수중드론(100)이 전진 또는 후진 등의 구동을 하는 경우 상기 수중드론(100)과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움직인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일시적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로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수중드론(100)의 급격한 움직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가 변화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일정 수준 이상의 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That is,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drives forward or backward,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the sliding part 32 are integrally coupled and move together. As such, as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temporarily changes within a set range, even if a sudden change in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100 occurs,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changes and the umbilical cable (C) )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ension above a certain level.

그리고, 감지부(31)는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수중드론(1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초기 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가 이동하는데,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And, the sensing unit 31 is a configuration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the sliding unit 32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100, the position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 to detect it.

또한, 이와 달리 감지부(31)는 상기 복원부(33) 상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복원력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를 감지하는 형태로 구성될수도 있다. In addition, unlike this, the sensing unit 31 is provided on the restoration unit 33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rength of the restoring forc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32 . It may be in the form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31)는 상기 제1센서(a) 및 상기 제2센서(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a)와 상기 제2센서(b)의 상대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제1센서(a)의 위치 및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감지부(31)는 상술한 형태와 달리 후술하는 상기 복원부(33)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부(33)의 신축 길이의 변화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32)의 변화된 위치를 도출할 수도 있다. As shown, the sensing unit 31 includes the first sensor (a) and the second sensor (b), and the relative position change between the first sensor (a) and the second sensor (b)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and the moved distance of the first sensor (a) through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nsing unit 31 may be provided on the restoration unit 33 to be described later, unlike the above-described form, and through a change i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restoration unit 33, the sliding unit ( 32) can also be derived.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31)가 상기 복원부(33) 상에 구비되어 기 설정된 초기값을 기준으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탄성을 감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31 is provided on the restoration unit 33 to sense the elasticity increasing or decreasing in length based on a preset initial value, and accordingly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 .

감지장치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31)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를 감지하여 변화한 정보를 도출한다. 더 나아가, 상기 감지장치 제어부는 기 설정된 상기 기준값을 지정하고, 상기 기준값과 상기 감지부(31)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를 비교하여 위치 변화량을 측정한다.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through th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sensing unit 31 and derives changed information. Furthermore,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designates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compares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sensed by the sensing unit 31 to measure the amount of position change.

이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수중드론(100)이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허용 범위 이내의 장력이 작용하는 상태로써, 상기 슬라이딩부(32)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is a state in which a tension within an allowable range is applied to the umbilical cable (C)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rone 100 is not driven, and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liding part 32. It means the position in the non-existent state.

즉, 상기 기준값은 상기 수중드론(100)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허용범위 이내의 장력이 작용하는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이다.That is, the reference value is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where the underwater drone 100 does not operate, and the tension within the allowable range acts on the umbilical cable (C).

이와 같이 설정된 상기 기준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감지부(31)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감지장치 제어부가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 변화량을 도출할 수 있다.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sensed by the sensing unit 31 based on the set reference value as a reference,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may deriv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

즉, 상기 감지장치 제어부에 의해 도출된 상기 슬라이딩부(32)의 변화된 위치정보는 후술하는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로 전달되어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liding part 32 derived by the sensing device controller is transmitted to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is the umbilical cable (C). Allows you to adjust the length.

복원부(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32)가 기설정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원부(33)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탄성부재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복원부(33)는 하우징(H)의 공간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양측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초기 위치를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At least one restoring unit 33 is provid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liding unit 32 returns to a preset position. Specifically, the restoration part 3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eneral elastic member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liding part 32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At least one restoration part 3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part 32 in the space of the housing H, and the sliding part 32 returns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복원부(33)가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어느 하나는 신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압축됨으로써 안정적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판스프링이나 댐퍼 등 과 같은 형태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주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storation part 3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part 32,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changes, one of them is extended and the other is compressed, thereby stably providing a restoring force. Of course, unlike this,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that provide restoring force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or a damper.

따라서, 감지장치(30)는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과 연결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상대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위치변화량을 도출하여 케이블 조절장치(1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부(33)에서 복원력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상기 수중드론(100)이 급격한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댐퍼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nsing device 30 detects when the relative position changes due to an external force while the sliding part 32 is connected to the umbilical cable C, and derives the amount of position change by detect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The restoring force is provided by the restoring unit 33 so that the sliding unit 32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t the same time as it is transmitted to the Furthermore, when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to the umbilical cable (C) due to the abrupt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100,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changes, and serves as a damper to serve as the umbilic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rl cable (C) from being damag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텐션을 조절하여 엄빌리컬 케이블(C)의 꼬임을 방지하는 동작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preventing twisting of the umbilical cable C by adjusting the tens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수중드론(100)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서 감지장치(30)의 내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rone 100 shown in FIG. 1A advances forward,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hange of the sensing device 30 in FIG. 5 .

그리고, 도 7은 도 1a의 수중드론(100)이 후방으로 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서 감지장치(30)의 내부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drone 100 of FIG. 1a moves backward,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hange of the sensing device 30 in FIG. 7 .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수중드론(100)이 전방(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가 동작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가 증가한다. 이때, 상기 수중드론(1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32)는 관성에 의해 감지장치(30)의 하우징(H) 내부에서 후방으로 상대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초기 위치를 벗어나게 된다. First, looking at FIG. 5, the underwater drone 100 is in a state of moving forward (left), and in response to this,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operates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At this time,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forward, the sliding part 32 moves relative to the rear inside the housing (H) of the sensing device 30 by inertia, and accordingly, the sliding part 32 ) is out of the initial position.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32)가 후방(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센서(a)도 상기 슬라이딩부(32)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when the sliding unit 32 moves backward (right), the first sensor a also moves to the right along with the sliding unit 32 .

여기서, 상기 제2센서(b)는 R1, R2, R3의 3개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R2의 위치가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상기 초기 위치이다.Here, the second sensor (b) is composed of three sensors R1, R2, and R3, and the position of R2 is the initi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센서(a)를 감지하는 것은 R3 센서가 되며, 상기 제1센서(a)가 우측으로 이동한 현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liding unit 32 moves to the right, it is the R3 sensor that detects the first sensor (a),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urrent position where the first sensor (a) moves to the right.

이를 통해, 감지장치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우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작용하는 텐션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에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Through this,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liding unit 32 has moved to the right, and determines that the tension acting on the umbilical cable C will increase, and in response to this, the umbilical cable ( C)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to increase the length.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원부(33)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음과 동시에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수중드론(10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엄빌리컬 케이블(C)에 작용하는 텐션의 변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는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변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조절할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과도한 텐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iding unit 32 may serve as a damper while receiving the restoring force by the restoration unit 33 as described above, and an umbilical cable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forward or backwar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ate of change of tension acting on (C). Accordingly,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can secure a time margi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b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change of the sliding part (32).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tension from acting on (C).

즉,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하우징(H) 내부에서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수중드론(100)의 위치변화에 의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텐션 변화를 완충시키며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의 동작을 위한 지연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sliding part 32 buffers the change in tension of the umbilical cable (C) due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s the position changes inside the housing (H), and the cable adjustment device The delay time for the operation of (10) can be corrected.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제1센서(a)와 상기 제2센서(b)의 구성뿐만 아니라 상기 복원부(33)에 작용하는 압력 변화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as show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nsor (a) and the second sensor (b)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as well as the pressure change acting on the restoration part 33 are measur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through the

도시된 대로, 상기 슬라이딩부(32)를 기준으로 전방(왼쪽)은 길이가 늘어나고 후방(오른쪽)은 길이가 감소하여 상대적인 압력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상기 수중드론(1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기 하우징(H)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P1의 압력보다 P2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As shown, the length of the front (left)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rear (right) is decreased based on the sliding part 32, resulting in a relative pressure difference. In particular,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forward, the sliding part 32 moves backward within the housing H, and thus the pressure of P2 is relatively increased than the pressure of P1.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이와 같이, P1과 P2의 압력 변화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변화량을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32 may be sensed through the pressure change of P1 and P2 and the amount of position chan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

한편, 상기 수중드론(1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중드론(1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감소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상기와 같은 경우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텐션이 감소되어 느슨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to the rear, as shown in FIG. 7 ,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reduces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In general,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to the rear, there are many cases that do not reduce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but in such a case, the tension of the umbilical cable (C) is reduced The umbilical cable (C) may be twisted as a result of being loosely disposed.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중드론(100)이 후방 이동을 하는 경우 상기 감지장치(30)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를 통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에 일정수준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여 텐션을 유지하여 느슨해짐으로 인한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backward, the sensing device 30 detects it and the length of the umbilical cable C through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 By reducing the umbilical cable (C), it is possible to prevent kinking due to loosening by maintaining the tension by applying a tension of a certain level or more to the umbilical cable (C).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수중드론(100)이 후방(오른편)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기 실린더(210) 내에서 전방(왼편)으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 when the underwater drone 100 moves to the rear (right side), the sliding unit 32 moves forward (left side) within the cylinder 210 .

이와 같은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제1센서(a)를 감지하는 것은 R1센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하우징(H)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로 전달한다.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it is the R1 sensor that senses the first sensor (a), and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that the sliding part 32 has moved forward inside the housing (H),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ble.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10).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는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이전까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을 권취하여 길이를 감소시키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의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ble adjusting device 10 reduces the length by winding the umbilical cable C until the sliding part 32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and the umbilical The tension of the cable (C)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장치(30)는 상기 수중드론(100)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10)가 동작하도록 해당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이 과도하게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지 않고 일정 수준의 텐션을 항상 유지하여 엉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the sens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32 according to the forward or backward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o that the cable adjustment device 10 operates. By transferring, the umbilical cable (C) is not excessively loosened or taut, and always maintains a certain level of tension to prevent tangling.

그리고, 감지장치(30)의 감지장치 제어부는 엄빌리컬 케이블(C)을 통해 상기 수중드론(100)에 장착된 수중드론 제어부(11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nd,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of the sensing device 3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110 mounted on the underwater drone 100 through the umbilical cable (C).

도 9를 보면, 수중드론(100)에 내장된 수중드론 제어부(110)는 전력공급 케이블(50)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는데, 상기 수중드론(100)이 작동하기 위한 필요한 전원을 모터(M)에 인가하는 DC-DC 컨버터(111)와 상기 모터(M)와 연결되는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112) 및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과 상기 DC-DC 컨버터(111) 간의 전원 인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DC-DC 컨버터(11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112)의 충전 전원을 상기 모터(M)에 인가시키는 디바이드(113)로 이루어진다. 9,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110 built in the underwater drone 100 receives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cable 50, and the power required for the underwater drone 100 to operate is supplied to the motor (M). Whether power is applied between the DC-DC converter 111 and the battery 112 charged with power connected to the motor M, and the umbilical cable C and the DC-DC converter 111 However, if power is not applied to the DC-DC converter 111 , it is composed of a divider 113 that applies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112 to the motor M.

도시된 대로, 수중드론 제어부(110)는 본체 하부에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폐 가능한 케이싱(도면부호는 생략)으로 내부에 DC-DC 컨버터(111), 배터리(113) 및 디바이드(115)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110 is a DC-DC converter 111, a battery 113 and a divider 115 with an openable and openable casing (reference numerals omitted) formed in a hollow housing shape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nclude

DC-DC 컨버터(111)는 엄빌리컬 케이블(C)을 통해 감지장치(30) 내의 감지장치 제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수중드론(100)의 운행에 필요한 필요전원을 모터(M)에 인가시킨다. The DC-DC converter 111 receives power from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in the sensing device 30 through the umbilical cable (C), and applies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to the motor (M) make it

여기서, DC-DC 컨버터(111)는 수중드론(100)의 종류에 따라 12V 내지 48V의 직류전원으로 바꾸어 모터(M)에 필요 전원으로 인가된다. Here, the DC-DC converter 111 is applied as a necessary power to the motor (M) by changing the DC power of 12V to 48V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underwater drone 100.

배터리(113)는 상기 모터(M)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며, DC-DC 컨버터(111)와는 다르게, 미리 해당 모터(M)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충전된 상태로 구비된다. The battery 113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so tha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M, and unlike the DC-DC converter 111, the power for operating the motor M is charged in advance. .

디바이드(115)는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되, 엄빌리컬 케이블(C)을 통해 DC-DC 컨버터(111)로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C)을 통해 상기 DC-DC 컨버터(111)로 인가되는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터리(113)에 충전된 전원이 모터(M)에 인가될 수 있게 신속하게 회로 변경시켜 수중드론(100)의 무작동을 방지한다. The divider 115 is installed inside the casing, and is provided to detect whether power applied to the DC-DC converter 111 through the umbilical cable (C) is applied, and the umbilical cable (C) If the power applied to the DC-DC converter 111 is not detected through the prevent.

수중드론(100)은 엄빌리컬 케이블(C)을 통해 DC-DC 컨버터(111)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하여 수중으로 운행되는데, 뜻하지 않은 비상상황(예를 들어, 정전으로 인한 외부전원 차단이나 외부전원 플러그의 단선 등)이 발생하게 되면 수중이나 수면운행에 필요한 전원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The underwater drone 100 is operated underwater through the power applied to the DC-DC converter 111 through the umbilical cable (C). If the power plug is disconnected,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required for underwater or surface operation is cut off.

따라서, 수중드론 제어부(110)는 케이싱 내부에 디바이드(115)를 설치하여 엄빌리컬 케이블(400)과 DC-DC컨버터(111) 간의 전원 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DC-DC 컨버터(11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신속하게 배터리(113)의 충전전원을 모터(M)에 인가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수중드론(100)의 무작동을 방지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power is applied between the umbilical cable 400 and the DC-DC converter 111 by installing the divider 115 inside the casing, and the DC-DC converter 111. If the power is not applied to, the switching operation to quickly apply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113 to the motor (M) to prevent the non-operatio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케이블 조절장치 11 : 권취부
30 : 감지장치 31 : 감지부
32 : 슬라이딩부 33 : 복원부
40 : 부력체 50 : 전력공급 케이블
60 : 데이터 케이블 62 : 쉴드
70 : 차폐층 80 : 공압호스
90 : 망사튜브 100 : 수중 드론
110 : 수중드론 제어부 111 : DC- DC 컨버터
112 : 배터리 113 : 디바이드
a : 제1센서 b : 제2센서
120 : 영상 촬영 장치 121 : 고배율 줌 카메라
122 : 광각카메라 123 : 영상처리부
124 : 통신부 200 : 제어부
250 : 데이터 저장부 300 : 디스플레이부 C : 엄빌리컬 케이블
H : 하우징 M : 모터
10: cable control device 11: winding part
30: detection device 31: detection unit
32: sliding part 33: restoration part
40: buoyancy body 50: power supply cable
60: data cable 62: shield
70: shielding layer 80: pneumatic hose
90: mesh tube 100: underwater drone
110: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111: DC-DC converter
112: battery 113: divide
a: first sensor b: second sensor
120: video recording device 121: high magnification zoom camera
122: wide-angle camera 123: image processing unit
124: communication unit 200: control unit
250: data storage unit 300: display unit C: umbilical cable
H : Housing M : Motor

Claims (4)

상단에 엄빌리컬 케이블의 일단이 결합된 수중드론이 수면 아래에서 작업할때,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상기 수중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과 상기 수중드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는 엄블리컬 케이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과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수중드론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케이블 조절장치;
상기 수중드론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통해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수중드론의 이동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화된 위치정보를 도출하는 감지장치;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외주에 결합되어 중성 부력을 유지하고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부력체;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는 상기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텐션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할수 있도록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 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
In the device for preventing the tangle of the umbilical cable when the underwater drone with one end of the umbilical cable coupled to the top works under the water surface,
A power supply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drone and a dat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nderwater drone are embedded therein;
a cable adjusting device connected to the umbilical cable, the low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nderwater drone to selectively control the umbilical cable;
It is provided on the underwater drone and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trol device through the umbilical cable, and includes a sliding part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in a preset r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drone,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nd comparing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eriving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a buoyancy bod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mbilical cable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and to protect the power supply cable and the data cable;
The cable adjusting device includes preventing twisting by winding or unwinding the umbilical cable so that the tension of the umbilical cable can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liding par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An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드론에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상태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촬영장치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derwater drone is further formed with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와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위치 변화량을 측정하는 감지장치 제어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기준값에 해당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device is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a sensing device control unit for measuring a position change amount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unit sensed by the sensing unit with the reference value;
Umbilica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side at least one, and comprising a restoring forc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for the sliding part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 제어부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수중드론에 장착된 수중드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중드론 제어부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수중드론이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모터에 인가하는 DC-DC 컨버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 및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과 상기 DC-DC 컨버터 간의 전원 인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DC-DC 컨버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상기 모터에 인가시키는 디바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ing devic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mounted on the underwater drone through the umbilical cable,
The underwater dron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umbilical cable to receive power, a DC-DC converter for applying power for operating the underwater drone to the motor;
a battery charged with power connected to the motor; and
and a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power is applied between the umbilical cable and the DC-DC converter, but applies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to the motor if power is not applied to the DC-DC converter. Curl cable tangle prevention device.
KR1020210056708A 2021-04-30 2021-04-30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KR102488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08A KR102488040B1 (en) 2021-04-30 2021-04-30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08A KR102488040B1 (en) 2021-04-30 2021-04-30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76A true KR20220149276A (en) 2022-11-08
KR102488040B1 KR102488040B1 (en) 2023-01-11

Family

ID=8404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08A KR102488040B1 (en) 2021-04-30 2021-04-30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04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316B1 (en) * 2016-06-13 2016-12-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multi-joint underwater robot system for deep sea exploration
KR20170084726A (en) * 2016-01-12 2017-07-2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Real-time Status Monitoring Apparatus of Remotely Operated Vehicle Umbilical Cable nearby Lifting Ring
KR20190112244A (en) 2018-03-25 2019-10-04 안희태 Cable drone
KR102121950B1 (en) * 2020-01-23 2020-06-11 권오봉 Underwater drone set with cable tension holding
KR20200073167A (en) 2018-12-13 2020-06-23 차영천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KR20210037487A (en) 2019-09-27 2021-04-06 조순식 Drone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conllisions
KR20210037437A (en) * 2019-09-27 2021-04-06 김수용 Umbilical cable for underwater dro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726A (en) * 2016-01-12 2017-07-2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Real-time Status Monitoring Apparatus of Remotely Operated Vehicle Umbilical Cable nearby Lifting Ring
KR101681316B1 (en) * 2016-06-13 2016-12-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multi-joint underwater robot system for deep sea exploration
KR20190112244A (en) 2018-03-25 2019-10-04 안희태 Cable drone
KR20200073167A (en) 2018-12-13 2020-06-23 차영천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KR20210037487A (en) 2019-09-27 2021-04-06 조순식 Drone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conllisions
KR20210037437A (en) * 2019-09-27 2021-04-06 김수용 Umbilical cable for underwater drone
KR102121950B1 (en) * 2020-01-23 2020-06-11 권오봉 Underwater drone set with cable tension ho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040B1 (en)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9564B2 (en) Submarine system
US20150116496A1 (en) Camera, Sensor and/or Light-Equipped Anchor
EP1255671B1 (en) Remote operated vehicles
US6988854B2 (en) Cable dispenser and method
US9376185B2 (en) Internal winch for self payout and re-wind of a small diameter tether for underwater remotely operated vehicle
KR102117111B1 (en) Terrestrial station that supporting the tethered-drone and tethered-drone system that containing it
WO2012177824A1 (en) Dual mode fiber optic cable system for underwater remotely operated vehicle
WO2016190761A1 (en) Unit for monitoring underwater objects
KR101918287B1 (en) Wired dron with gas balloon
KR102121950B1 (en) Underwater drone set with cable tension holding
KR20220149276A (en)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CN207078305U (en) A kind of unmanned diving system
KR102607927B1 (en) Drone Power Supply
CN107380381A (en) A kind of floatable diving system
JP5613015B2 (en) Underwater environment unmanned research ship
CN113055567B (en) A make a video recording and use waterproof dive device for marine management
CN114275699A (en) Unattended variable cable diameter type underwater electric winch
EP2019034A1 (en) Sluice device for an ROV
JP3371122B2 (en) Composite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equipment such as a remote probe
CN109869589A (en) A kind of library's Intellectualized monitoring equipment
KR200313745Y1 (en) A search camera for rescue
KR102478093B1 (en)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JP2000152450A (en) Monitor for bottoming of submarine cable
CN117208681A (en) Constant tension winch for winding and unwinding umbilical cable for underwater cleaning robot
CN213982917U (en) Security protection supervisory equipment suppor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