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167A -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 Google Patents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167A
KR20200073167A KR1020190167116A KR20190167116A KR20200073167A KR 20200073167 A KR20200073167 A KR 20200073167A KR 1020190167116 A KR1020190167116 A KR 1020190167116A KR 20190167116 A KR20190167116 A KR 20190167116A KR 20200073167 A KR20200073167 A KR 20200073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control unit
unit
propeller
prope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6763B1 (en
Inventor
차영천
Original Assignee
차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천 filed Critical 차영천
Publication of KR2020007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 B64C27/56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initiating means, e.g. manu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4Mechanisms for controlling blade adjustment or movement relative to rotor head, e.g. lag-lead movement
    • B64C27/58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 B64C27/68Transmitting means, e.g. interrelated with initiating means or means acting on blades using electrical energy, e.g. having electrical power ampl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aircraft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traction device using a drone, which may be operated not only in the air but also underwater. The traction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rone by providing a variety of traction environments to a user since the drone may tract a vehicle not only in the air but also underwater. The traction device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otate the drone horizontally in the air and vertically in the water by individu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through an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so the traction device may easily switch between air and underwater operation in a simple method.

Description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Traction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본 발명은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 뿐만아니라 수중에서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ing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operating underwater, and relates to a towing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operating underwater as well as in the air.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무인기를 의미한다.In general, a drone (Drone) means an unmanned aerial vehicle fly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드론은 처음에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열기구를 통해 폭탄을 떨어뜨리는 방식에서 무선조종을 통한 무인폭격기로 발전된 것으로, 현재는 정찰,감시와 대잠공격의 용도로 사용되며, 용도에 따라 표적드론(target drone), 정찰드론(reconnaissance drone), 감시드론(surveillance drone), 다목적 드론(multi-roles drone) 등으로 구분된다.The drone was first developed for military use and developed from a method of dropping bombs through a hot air balloon to an unmanned bomber through wireless control.It is currently used for reconnaissance, surveillance, and anti-submarine attacks,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target drone , Reconnaissance drone, surveillance drone, multi-roles drone, etc.

최근에는, 드론은 군사 용도 외에도 항공 촬영, 운송, 방재, 보안 등 다양한 민간 분야에 까지 활용됨에 따라 군사용인 대형 고정익 무인기로부터 의료용인 초소형 드론까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rone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rom large fixed-wing drones for military use to ultra-small drones for medical use as they are used in various civilian fields such as aerial photography, transportation, disaster prevention, and security in addition to military applications.

드론은 작동 방식에 따라 회전익 드론, 고정익 드론, 그리고 틸트 로터로 구분된다.Drones are divided into rotary wing drones, fixed wing drones, and tilt rotors depending on how they operate.

고정익 드론은 동체에 날개가 고정된 채 엔진이나 프로펠러의 힘으로 양력을 얻어 비행하는 것이며, 틸트 로터는 날개 양끝의 엔진과 프로펠러를 위아래로 회전시켜 수직 이률이나 고속 전진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이다. 고정익 드론과 틸트 로터는 주로 상업용보다는 군사 목적으로 쓰이는 것들로서, 장시간 비행, 빠른 속도, 그리고 높은 고도로 비행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다.A fixed-wing drone is a flying aircraft that gains lift with the power of an engine or propeller while its wings are fixed to the fuselage, and the tilt rotor rotates the engine and propellers at both ends of the wing up and down to allow vertical or high-speed forward flight. Fixed-wing drones and tilt rotors are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rather than commercial purposes, and have advantages such as long flight, high speed, and high altitude flight.

최근 드론을 비행조종하는 개인의 취미활동이 증가하고 있고, 민간 분야에서 수송 및 영상 촬영을 목적으로 드론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드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회전익 드론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the hobby activities of individuals who fly-control drones are increasing, and as the usage of drones increases for the purpose of transportation and video shooting in the private field, as interest in drones increases, there is a plan to further increase the utilization of rotary wing drones.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788호에는 주변의 시선을 유도하여 이용자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유선드론을 구비한 바이크가 게시되어 있다.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9788, a bike equipped with a wired drone that can effectively advertise a user's product or service by inducing the surrounding eye is posted.

하지만, 아직까지 개인이 드론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취미활동으로는 드론의 비행을 조종하거나 드론을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However, as a hobby activity that an individual can still use a drone, there are limited disadvantages of manipulating a drone's flight or shooting a video using a dron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555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개인이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확대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후속출원 하기에 이르렀다. In view of thi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6555, the applicant has developed a towing device using drones in which fields in which individuals can utilize drones can be expand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traction device using the drone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nd developed to follow-up application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788호 : 유선드론을 구비한 바이크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9788: bike equipped with a wired dr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론이 공중뿐만 아니라 수중에서도 드론을 조종하는 사용자의 조종에 의해 이동되면서 사용자를 견인할 수 있는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apable of towing the user as the drone is moved by the control of the user who controls the drone in the air as well as underwater.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양력과 추력에 의해 공중 비행 및 수중 내에서 추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사용자에 파지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론의 이동방향, 속도 및 상기 드론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구동을 제어하며 수중 내에서 조종 가능한 조종유닛과;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드론의 이동방향에 따라 견인되도록 상기 드론과 상기 조종유닛을 연결하는 견인유닛;을 구비하고,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 least one drone capable of propulsion in the air and underwater by lift and thrust; A control unit that is gripped by a user and controls the movement direction, speed, and driving of the propeller mounted on the dron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nd is steerable in the water; And a towing unit connecting the drone and the steering unit so that the steering unit is tow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e.

상기 드론은 상기 조종유닛의 조작에 의해 수중 내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공중에서 수평상태의 상기 프로펠러가 수중 내에서 수직되게 상기 견인유닛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ller in a horizontal state in the air is rotated relative to the traction unit vertically in the water so as to generate propulsion force in the water by manipulation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수상에 부유하고 상기 조종유닛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며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조종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한 운반체;를 더 구비한다.Th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rrier that floats on the water and is movable along the control unit to which the user holding the control unit rides and is towed by the drone.

상기 조종유닛은 상기 드론이 수중 내에서 추진력이 발생 되도록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 중 상기 운반체에 인접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높여 상기 드론이 수중 내에서 상기 드론이 수직되게 회동시키거나, 수중 내에서 수직상태의 드론을 공중 비행을 위해 수평상태로 회동되게 상기 드론이 수직상태에서 상하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 중 하방에 위치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높여 상기 드론이 수평되게 회동시키는 상승하강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ropeller adjacent to the carrier among the plurality of propeller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drone generates underwater force, or the drone rotates the drone vertically in water, The drone is rotated horizontally for aerial flight in water, and the drone is rotated horizontall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s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propellers arrang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state. It is preferable to have a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portion.

또한, 상기 조종유닛은 공중에서 비행하는 상기 드론이 수중 내로 진입되게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전환시키는 역회전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verse rotation operation unit that reverse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so that the drone flying in the air enters into the water.

상기 드론은 심도를 측정하는 수심측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종유닛은 사용자가 상승하강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드론의 수중 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심측정유닛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one has a depth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depth of field,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a value displayed by the depth measuring unit so that a user can move a position in the underwater of the drone by manipulating an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It is preferably provided.

상기 상승하강조작부는 위치에 따라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속도가 차등 제어되거나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상승하강조작레버와, 상기 드론이 수직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승하강조작레버가 일측으로 이동시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들 중 하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을 상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보다 회전속도를 높여 상기 드론이 상향 회동되어 상승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상승하강조작레버가 타측으로 이동시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들 중 상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을 하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보다 회전속도를 높여 상기 드론이 하향 회동되어 하강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상승하강조작레버가 중심측에 위치 시에는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높이거나 낮추는 회전속도조작다이얼을 구비하는 것이 바림직하다.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part is a plurality of whe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lev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to be differentially controlled or the sam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when the drone is rotated vertically, The propeller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propellers are rotated higher than the propellers located at the upper side to induce the drone to be rotated upward to rise, and whe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lever moves to the other side, the propeller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s The propellers are rotated downwardly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s located at the lower side to induce the drone to descend downwardly, and whe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lever is positioned at the cent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s is increased or decreased equally. It is desirable to have an operation dial.

상기 드론은 수중에서 수면 상에 대해 회동된 각도를 감지하는 회동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rone is provided with a rotation detection sensor that senses an angle rot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종유닛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과 상기 조종유닛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케이블과, 상기 송수신케이블이 내장되며 일측이 상기 조종유닛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드론과 연결되는 제1드론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조종유닛은 상기 제1드론연결관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드론연결관의 단부와 힌지결합하며 좌우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The tow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connecting the drone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so that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drone. It is coupled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dron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the control unit is hinged to the end of the first drone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drone connector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rotated left and right It can b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that is mounted.

본 발명의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운반체의 상부 또는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조종유닛과 상기 운반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종유닛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운반체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조종유닛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운반체에 결합되며, 상기 조종유닛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동된 회전각 변위를 검출하는 회전각센서와, 상기 회전각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받아 변위된 상기 조종유닛의 회전각도만큼 상기 드론의 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upporting member to which the steering unit and the carrier are interconnected such that the steering unit is positioned above or above the carrier, and the steering unit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support member is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protru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is positio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rier,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arrier, the control unit is a user Flight of the drone by a rotation angle sensor that detects a rotation angle displacement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or the support member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controller,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unit displaced by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rotation angle sensor.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또는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운반체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조종유닛과 상기 운반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종유닛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조종유닛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론과 연결되는 제2드론연결관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종유닛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조종유닛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제2드론연결관으로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케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action unit interconnects the steering unit and the carrier so that the steering unit is positio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rier, and a supporting member to which the steering unit is rotatably coupled, and a predetermined length at one side of the steering unit support member A second dron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and extended to extend to the second drone connector through the support member from the control unit so as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user's control unit to the drone. At least on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formed may be provided.

상기 드론은 수직방향을 향하는 상기 프로펠러가 수중 운행을 위해 상기 드론의 몸체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종유닛은 상방을 향하는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드론의 상기 몸체부에 대해 회동시키는 프로펠러회동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rone is mounted so that the propeller facing vertically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body part of the drone for underwater operation, and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propeller facing upward relative to the body part of the drone. A propeller rotation operation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드론의 기울기 조절을 위해 상기 프로펠러 회전을 위한 구동축에 대해 피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론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프로펠러회전모터와, 상기 프로펠러의 구동축에 대해 상기 프로펠러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피치조절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조종유닛은 상기 프로펠러의 피치 조절을 위한 피치조절조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ropeller is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to allow pitch adjustment with respect to a drive shaft for rotating the propelle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drone, the drone having a propeller rotating motor for rotating the propeller, and a propeller of the propeller. A pitch adjusting motor for adjusting the pitch of the propeller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is provided, and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itch adjusting operation unit for adjusting the pitch of the propeller.

본 발명의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드론이 공중뿐 아니라 수중에서도 운반체를 견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견인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드론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The towing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rone by providing various towing environments to the user since the drone can tow a vehicle in the air as well as in the air.

본 발명의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상승하강조작부를 통해 복수의 프로펠러를 개별제어하여 드론을 공중에서는 수평하고 수중에서는 수직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어 간단한 방법으로 공중 및 수중 운행 전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traction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ividually control a plurality of propellers through an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to rotate the drone horizontally in the air and vertically in the water, so it is easy to switch between air and underwater operation in a simple manner.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종유닛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의 조종유닛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운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owing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unit of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towing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unit of a traction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 traction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towing device 1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견인장치(1)는 드론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드론의 이동 방향으로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이하 사용자라 함.)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The traction device 1 is a device for moving a manipu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that controls the dron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one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one.

견인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10)과, 사용자에 파지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드론의 운행방향, 속도 및 드론에 장착된 프로펠러(10a,10b,10c)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종유닛(20)과, 조종유닛(20)이 드론(10)의 운행방향에 따라 견인되도록 드론(10)과 조종유닛(20)을 연결하는 견인유닛(40)와, 조종유닛(20)을 파지한 사용자가 탑승하며 드론(10)에 의해 견인되는 조종유닛(2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운반체(50)를 구비한다.The traction device 1 i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t least one drone 10 and a driving direction, speed, and propellers 10a, 10b, and 10c mounted on the dron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20), the control unit 20, the drone 10 and the towing unit 40 connecting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20 to be towed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20 is gripped It is equipped with a carrier 50 that the user can ride along and move along the steering unit 20 that is towed by the drone 10.

일반적인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에 적용되는 드론(10)은 프로펠러의 날개를 개별제어 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면 한정되지 않는다. 드론(10)은 일반 회적익 드론 외에도 프로펠러 회전을 위한 구동축(미도시) 또는 수평선상에 대한 프로펠러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여 프로펠러 1회 회전시 이동거리 조절이 가능한 가변피치프로펠러(variable pitch-propeller)를 구비한 가변 피치 드론이나, 프로펠러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 가능한 틸트 로터(tilt-rotor) 드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수중에서의 기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덕티드 팬(ducted fan) 구조가 적용된 드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eneral drone is a vehicle that does not ride, but flies by induction of radio waves. The drone 10 applied to the traction device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wings of the propeller, and is not limited if it can be driven underwater. In addition to the general rotorcraft drone, the drone 1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drive shaft (not shown) for propeller rotation or the propeller on a horizontal line, so that a variable pitch-propeller capable of adjusting the travel distance per one rotation of the propeller A variable pitch drone equipped with or a tilt-rotor drone that can be rotated so that the propeller is di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pplied, and a ducted fan structur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starting efficiency in water. It is preferred that the drone is applied.

가변피치드론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프로펠러를 각각 회전시키고 각 프로펠러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의 개수에 대응되게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미도시)이 장착된 프로펠러회전모터(미도시)와, 프로펠러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피치조절모터(미도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가변피치드론은 다수의 프로펠러를 동시에 돌릴 수 있는 하나의 프로펠러회전모터와, 각 프로펠러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게 프로펠러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된 다수의 피치조절모터가 적용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프로펠러를 하나의 프로펠러회전모터를 통해 구동시킬 경우, 부하를 줄이기 위해 기어 변속을 위한 감속기(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Variable pitch drones generally have a propeller rotating motor (not shown) equipped with a drive shaft (not shown) for rotating the propell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ropellers so as to rotate a plurality of propellers respectively and to adjust the pitch of each propeller. A pitch adjustment motor (not shown) for adjusting the pitch of the may be applied. Alternatively, the variable pitch drone may be appli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single propeller rotating motor capable of simultaneously rotat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and a plurality of pitch adjusting motor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ropellers to adjust the pitch of each propeller may be applied. When driv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through a single propeller rotating motor, it is preferable that a reducer (not shown) for gear shifting is mounted to reduce load.

드론(10)은 양력과 추력에 의해 공중 비행 뿐만 아니라, 수중 내에서 추진 가능하도록 방수기능이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종유닛(20)에서 발생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며 드론의 속도, 고도, 비행 방향 등의 정보를 조종유닛(20)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부(12)와, 통신부(12)를 통해 전달된 조작신호에 따라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3)와, 제1제어부(13)와 연결되며 드론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11)와, 제1회전각센서(17)를 구비한다. 제1전원공급부(11)는 충전식 베터리가 적용된다. 제1전원공급부(11)는 부가적으로 드론 기동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 드론 동력원으로 연구 중인 충전식 배터리 및 연료엔진이 부가된 엔진-발전기-배터리 하이브리드 동력원이 적용되거나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The drone 10 has a waterproof function so that it can be propulsed in the water as well as flying in the air by lift and thrust,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he speed and altitude of the drone , A communication unit (12)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uch as the flight direction to the control unit 20 by wire or wireless, and a first control unit (13)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 ,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3 and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unit 11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one, and a first rotation angle sensor 17.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 is a rechargeable battery is applied. The first power supply 11 may additionally be applied with an engine-generator-battery hybrid power source to which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fuel engine, which are currently being researched as a drone power source, in order to improve a drone start-up time, or a hydrogen fuel cell can be mounted. will be.

또한, 드론(10)은 수중에서 조종유닛 간 통신을 위해 제1초음파송수신부(6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one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rst ultrasonic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1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underwater.

제1초음파송수신부(61)는 수중에서 드론(10)과 조종유닛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으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224033호에 개시된 수중 초음파 송수신 구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1516호에 개시된 초음파 송수신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1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transmit/receive signals between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in water. For example, the underwater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structu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224033 or Korean registration The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0691516 can be applied.

그리고, 드론(10)은 일측에 수중에 위치시 드론의 심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심측정유닛(19)과,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전방장애물 감지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And, the drone 10 is provided with a depth measurement unit 19 capable of detecting the depth of the drone when positioned underwater on one side, and a front obstacle detec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an obstacle ahead.

수심측정유닛(19)는 제1제어부(13)를 통해 후술되는 조종유닛(20)의 제2제어부(34)와 연결된다. 수심측정유닛(19)은 일반적인 수심계가 적용될 수도 있으나, 압력, 수심 뿐만 아니라, 고도와 온도도 측정할 수 있는 MS5803-14BA 압력센서와 같은 고성능 압력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제어부(13)는 드론(10)의 속도에 따른 유속에 의한 수압 변화를 고려하여 드론(10)의 수중 내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pth measurement unit 19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of the control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13. The depth measuring unit 19 may be a general depth gauge, but a high-performance pressure sensor such as a MS5803-14BA press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ltitude and temperature as well as pressure and depth may also be applied.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unit 13 is preferably applied to accurately measure the height in the water of the drone 10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water pressure due to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drone 10.

전방장애물 감지유닛은 드론이 이동되는 방향 측에 장착되어 이동 방향의 전방측에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음파탐지기(Sonar)가 적용된다.The front obstacle detection unit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 is moved, and a sonar capable of detecting an obstacle on the front side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2개 내지 16개의 프로펠러가 달린 비행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하나의 드론을 적용하고 있으나, 드론의 프로펠러의 크기, 개수 그리고 회전수에 따라 양력 및 추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운반체와 함께 사용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드론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드론을 연결하는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555호에 게시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2 to 16 propeller vehicles may be applied. In addition, th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single drone, but lift and thrust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number and rotational speed of the drone, so that the drone required to move the user together with the carrier The number may vary. As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drones, the structure publish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6555 may be applied.

한편, 드론(10)은 견인유닛(40)의 제1고리(41)와 연결된 제1힌지결합부(1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드론(10)이 수평한 상태에서 수중 내에서 추진력 발생을 위해 회동된 각도를 감지하는 회동감지센서(17)가 설치된다. 회동감지센서(17)는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중력값을 기준으로 하는 기울기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드론(10)에 마련된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통해 기울어진 상태를 계산할 수도 있으나, 드론(10)에 수중 내에서 수평상태에 대해 드론(10)이 회동된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동감지센서(17)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one 10 is not shown in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18 connected to the first ring 41 of the traction unit 40, but the drone 10 is in the horizontal state to generate propulsion in the water. In order to detect the rotated angle, a rotation detection sensor 17 is installed.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17 may be a rotation angle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r a tilt sensor based on the gravity value may be applied.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inclined state through a gyro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drone 10, but a rotation detec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angle at which the drone 10 is rotated relative to the horizontal state in the water in the drone 10. It is preferable that (17) is provided separately.

조종유닛(20)은 사용자에 파지되며, 드론의 방향, 고도 및 속도 등의 비행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이다.The control unit 20 is a part that is gripped by a user and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a flight condition such as a drone's direction, altitude and speed is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조종유닛(20)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파지 가능하게 각각 형성된 좌측 및 우측핸들부(21,22)와, 좌측핸들부(21)와 우측핸들부(22) 사이에 형성되고 견인유닛(40)과 연결되는 센터부(23)와, 좌측핸들부(21)와 센터부(23) 사이에 설치되며 제2제어부(34)와 연결되며 드론의 상승 하강을 조작하는 상승하강조작부(24)와, 드론(10)의 좌우회전을 조종하며 상승하강조작부(24)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좌우회전조작부(25)와, 센터부(23)와 우측핸들부(22) 사이에 설치되며 드론(10)의 전진 및 후진을 조종하는 전후진조작부(26)와, 전후진조작부(26)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드론(10)의 좌우 이동을 조종하는 좌우이동조작부(27)와, 드론(10)의 수중비행을 위해 수중 내로 드론(10)이 진입되도록 프로펠러(1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역회전조작부(38a) 구비한다. The steering unit 20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dle portions 21 and 22, and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respectively, to be gripped by a user with both hands, and the towing unit 40 And a center portion 23 connected to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center portion 23,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portion 34, and a descending operation portion 24 for manipulat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dron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portions 25 and the center portion 23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which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portion 24 while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drone 10, and the drone 10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control unit 26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control unit 26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control unit 27 to control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drone 10, and the underwater flight of the drone 10 For this, a reverse rotation operation unit 38a is provided to switc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10 so that the drone 10 enters into the water.

조종유닛(20)의 조작신호는 사용자가 상승하강조작부(24), 좌우회전조작부(25), 전후진조작부(26), 좌우이동조작부(27), 역회전조작부(38a)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말한다.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is generated by the user operat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portion 24,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portion 25,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peration portion 26,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peration portion 27, and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portion 38a. Says the signal.

그리고, 조종유닛(20)은 전원스위치(38b) 조작에 따른 운반체(50)의 제2전원공급부(56)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며, 상승하강조작부(24), 좌우회전조작부(25), 전후진조작부와(26), 좌우이동조작부(27), 역회전조작부(38a)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받아 유선통신모듈(a)로 전달하는 제2제어부(34)와, 조종유닛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전원스위치(38b)와, 제2제어부(34)와 연결되어 견인유닛(40)을 통해 조종유닛(20)의 조작신호 송수신이 불가할 때, 드론의 통신부(12)에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35)를 구비한다.And,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6 of the carrier body 5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38b,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unit 24,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unit 25, before and after Turn on the control unit 34 and the second control unit 34 tha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true operation unit 26,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peration units 27, and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unit 38a and transmits them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a). (On) / Off (Off) is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38b and the second control unit 34,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towing unit 40,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rone ( 12)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5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또한, 조종유닛(20)은 수중 내에 위치한 드론(10)의 제1초음파송수신부(61)와 송수신을 위한 제2초음파송수신부(63)를 구비한다. 제2초음파송수신부(63)는 제1초음파송수신부(61)에 적용된 초음파 송수신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ultrasonic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3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first ultrasonic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1 of the drone 10 located in the water. The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structure applied to the first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1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3.

드론(10)이 수중에 위치하는 경우, 조종유닛(20)의 조작신호는 조종유닛(20)의 제2초음송수신부(63)를 통해 드론(10)의 제1초음파송수신부(61)로 수신되어, 드론이 제어된다.When the drone 10 is located underwater,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ltrasou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1 of the drone 10 through the second ultrasou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3 of the control unit 20. Upon receipt, the drone is controlled.

제2초음파송수신부(63)는 초음파의 발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일반적인 초음파 수신장치로 수정, 전기석 혹은 세라믹 등(압전결정 piezoelectric crystal)으로 만들어져, 전기적 파동을 물리적 파동으로 바꾸거나 반대로 물리적 진동을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는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에 의하여 내부에 장착된 변환기(미도시)에 전기 신호를 가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드론(10)에 전송한다.The second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3 is a general ultrasonic receiving device that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nic waves. It is made of quartz, tourmaline or ceramic (piezoelectric crystal), and converts electrical waves into physical waves or vice versa.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a transducer (not shown) mounted therein by a piezoelectric effect that converts it into energy, and ultrasonic waves ar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rone 10.

또한, 조종유닛의 제2초음파송수신부(63)는 제1초음파송수신부(61)로부터 드론의 각 센싱 정보 또는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변환기(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검출 한 후 이 전기신호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조종기에 마련된 표시부(39)에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3 of the control unit receives each sensing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 from the first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1, detects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verter (not shown), and then generates electricity. The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the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9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초음파송수신부(63)는 사용자의 조종유닛(20)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신호를 제2제어부(34)에 기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신호를 초음파신호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발신한다. 제1초음파송수신부(61)는 매질(수중)을 통해 전달받은 초음파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제1제어부(13)는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조종신호로 처리하여 변속기(ESC)(미도시)를 거쳐 드론(10) 각 모터의 출력을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3 modulates the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s control unit 20 into a frequency signal of a band preset in the second control unit 34, and modulates the modulation. The converted signal is converted into an ultrasonic signal to transmit ultrasonic waves. The first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unit 61 converts ultrasonic waves received through a medium (underwater) into a frequency signal, and the first control unit 13 processes the converted frequency signal as a steering signal to transmit a transmission (ESC) (not shown) Through the drone 10 controls the output of each motor.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상승하강조작부(24)와 좌우회전조작부(25)는 우측핸들부(22)와 센터부(23) 사이에 위치되고, 전후진조작부(26)와 좌우이동조작부(27)는 좌측핸들부(21)와 센터부(23) 사이에 위치되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portion 24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portion 25 are located between the right handle portion 22 and the center portion 23,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portion 26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peration portion ( 27) may be appli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center portion 23.

본 발명에 따른 조종유닛(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과 오른손으로 좌측핸들부(21)와 우측핸들부(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를 이용하여 각 조작부(24,25,26,27)를 조작할 수 있어, 드론(10)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시에도 사용자가 각 조작부(24,25,26,27)의 조작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with the user holding the left and right hand portions 22, the thumb using each control unit (24) ,25,26,27), and can be pulled by the drone 10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each of the operation units 24,25,26,27 even when moving.

상승하강조작부(24)는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의 회전속도가 차등제어되거나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의 회전속도가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상승하강조작레버(24a)와, 상승하강조작레버(24a)의 위치에 따라 회전속도가 상호 차등되게 설정되거나 상호 동일하게 설정된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의 회전속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회전속도조작다이얼(24b)을 구비한다.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24 is provided with an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lever 24a that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to be differentially controlled or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are the same. , Equipped with a rotation speed control dial (24b)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10c)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lever (24a) do.

상승하강조작레버(24a)는 중심측에 위치시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좌측에 위치 시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 중 프로펠러(10b)가 다른 프로펠러(10a,10c)보다 회전속도가 더 높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며, 우측에 위치 시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 중 프로펠러(10a)가 다른 프로펠러(10b,10c)보다 회전속도가 더 높게 설정되도록 제어한다.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lever 24a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to be set equally when located at the center side, and among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when positioned on the left side. The propeller 10b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to be set higher than the other propellers 10a and 10c, and the propeller 10a among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when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has different propellers 10b and 10c. ) So that the rotation speed is set higher.

회전속도조작다이얼(24b)은 드론(10)의 비행 고도나 수심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절가능하며 일정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노브 다이얼(Knob Dial)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속도조작다이얼(24b)은 각각 사용자에 멀어지는 회전방향이 고도를 높이는 방향이고 사용자 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고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speed control dial 24b is formed in the form of a knob dial that is adjustable in stages to adjust the flight altitude or depth of the drone 10 and maintains a constant height. The rotation speed control dial (24b)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direction away from each user increases the altitude and the direction rotated toward the user is set to the direction lowering the altitude.

또한, 전후진조작부(26)도 각각 드론(110)의 속도가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일정 속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노브 다이얼(Knob Dial) 형태로 형성된다. 전후진조작부(26)는 드론이 수중에서 수직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드론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전후진조작부(26)가 사용자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수록 드론(110)의 전진 속도는 가속되고 드론의 후진은 역회전조작부(38a)를 누른후 전후진조작부(26)를 사용자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후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orward-backward operation unit 26 is also formed in the form of a rotatable knob dial so that the speed of the drone 110 can be adjusted step by step and a constant speed can be maintained. The front-rear operation unit 26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while the drone is rotated vertically in the water to move the drone forward or backward. As the front-rear operation unit 26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ser, the forward speed of the drone 110 accelerates, and the reverse of the drone pushes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unit 38a and then rotates the front-rear operation unit 26 toward the user. It is reversed by manipulation.

좌우회전조작부(25)와 좌우이동조작부(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 인가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스틱레버 형태로 형성되며, 외력이 해제시 중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된다. 좌우회전조작부(25)가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면 드론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면 드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좌우이동조작부(27)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조종유닛의 좌측 및 우측 핸들부를 조작하여 드론이 좌우이동하게 되는데, 조종유닛이 좌측방향으로 회동되거나 이동되면 드론은 비행 중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조종유닛이 우측방향으로 회동되거나 이동되면 드론은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The left and right rotation control unit 25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control unit 27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tick lever that can move left and righ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4, and torsion spring or the external force can return to the center when released. The compression spring is installed. Whe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unit 25 is moved to the lef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drone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when the user is moved to the righ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drone is rotated clockwis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control unit 27 operates the left and right handles of the control uni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move the drone left and right. When the control unit is rotated or moved to the left, the drone is moved to the left during flight. When the steering unit is rotated or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drone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또한, 조종유닛(120)은 센터부(23)의 양측 단부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좌측핸들부와 우측핸들부의 전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좌측핸들부와 우측핸들부를 각각 파지한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는 제1 및 제2보호부재(28,29)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steering unit 120 is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enter portion 23, but is formed to exten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handl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handle portions,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first and second protective members (28,29) to protect the.

또한, 조종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부(23)에 제2제어부와 각각 연결되어 드론의 이동속도를 표시하는 속도계(81)와, 드론의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계(82)와, 공중 비행 중 드론(10)이 이동을 멈추고 그 자리에서 호버링(hovering)되게 하는 긴급정지버튼(83)와, 전원스위치(38b)가 마련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to the center portion 23, respectively, a speedometer 81 for display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drone, and a tachometer 82 indica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one propeller. ), the emergency stop button 83 and the power switch 38b are provided to allow the drone 10 to stop moving and hover on the spot during air flight.

또한, 조종유닛(20)은 센터부(23)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견인유닛(4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견인유닛(40)의 단부와 힌지결합하는 제2힌지결합부(36a)가 마련된 회전축(36)과,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지지부재 또는 회전축에 대해 회동된 조종유닛(120)의 회동각 변위를 검출하는 회전각센서(37)를 구비한다. 회전축(36)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터부(23)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지지부재(6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센터부(23)에 대해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보조파지부(30)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36a)의 상부에는 견인유닛의 회동각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핀(36b)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center portion 23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hinge hinged to the end of the towing unit 40 so that the towing unit 40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op. I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36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36a), and a rotation angle sensor (37)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unit (120)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or the rotating shaf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Although the rotation shaft 36 is not shown,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60 to be protrud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23, which is located below the center portion 23 It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30 that the user can grip. And, as shown in Figure 4,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36a) is provided with a pin (36b) that can limit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traction unit.

조종유닛의 하면에 대해 돌출된 회전축(36)은 후술되는 지지부재(6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이 용이하도록 인입홈 내주면에 베어링(Bearing)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회전축(36)의 하단과 지지부재(60)의 상단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Trust Bearing)이 장착되어 지지부재(60)에 대해 회전축(36)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rotating shaft 36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has an inlet groove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6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a bearing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groove to facilitat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talled. Alternatively, a thrust bearing may be moun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36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60 so that the rotating shaft 36 may be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 60.

보조파지부(30)는 센터부(23)의 하방에서 좌측핸들부(21)와 우측핸들부(22)가 상호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보조파지본체(31)와, 보조파지본체(31)의 양측 단부에서 조종유닛의 하면에 대해 돌출된 회전축(36)의 하부의 외주면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회전축(36)에 장착되는 고정결합부(32)를 구비한다. 보조파지부(30)는 회전축(36)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어 회전축(36)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견인유닛(40)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30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ft handle portion 21 and the right handle portion 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low the center portion 23, and the auxiliary gripping body 31 capable of being gripped by the user, and the auxiliary Each of the gripping body 31 is provided with a fixed coupling portion 32 which is formed to exte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36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and mounted to the rotating shaft 36. The auxiliary gripping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36 so that the rotating shaft 36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rotate the traction unit 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리고, 제2제어부(34)는 사용자의 조종유닛(20) 조작에 따라 드론(10)을 공중 또는 수중에서 운행 가능하게 드론을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전환되게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신부(12)를 통해 제1제어부(13)와 연결된다. 또한, 제2제어부(34)는 회전각센서(37)와 연결되어 제2회전각센서(37)에서 검출된 신호를 받아 변위된 조종유닛(20)의 회전각도 만큼 드론(10)의 비행 방향이 회전되거나 이동될 수 있도록 조작신호를 드론(10)에 전달한다.And, the second control unit 34 is a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10c) to switch the drone 10 vertically or horizontally so that the drone 10 can be operated in the air or underwater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control unit 20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3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34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ngle sensor 37 to recei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cond rotation angle sensor 37, the flight direction of the drone 10 as much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placed steering unit 20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one 10 so that it can be rotated or moved.

제2제어부(34)는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을 제어한다. The second control unit 34 controls rotation of the propeller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not shown)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3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드론(10)이 수중 내에서 추진력이 발생 되도록 드론이 수직하게 회동되게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 중 운반체(50)에 인접한 프로펠러(10a)만 회전되거나, 수중 내에서 수직상태의 드론(10)을 공중 비행을 위해 수평상태로 회동되게 드론(10)이 수직상태에서 상하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 중 하방에 위치되는 프로펠러(10b)만 회전되게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의 구동을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control unit 34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10c)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drone 10 is rotated vertically so that the drone 10 is generated in the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A plurality of propellers in which the drone 10 is dispos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state so that only the propeller 10a adjacent to the carrier body 50 is rotated or the drone 10 in the vertical state is rotated horizontally for aerial flight in water.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is controlled such that only the propellers 10b located at the lower ones of (10a, 10b, 10c) are rotated.

조종유닛(20)은 제2제어부(34)를 통해 드론이 공중 비행시 운반체에 인접한 프로펠러(10a)들과, 드론의 전단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b)들과, 프로펠러(10a)들과 프로펠러(10b)들 사이에 위치한 프로펠러(10c)들의 회전 및 속도를 제2제어부(34)를 통해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용된다.The control unit 20 includes propellers 10a adjacent to the vehicle when the drone is flying in the air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34, propellers 10b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drone, propellers 10a and propellers ( It is appli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rotation and speed of the propellers 10c located between 10b)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34.

수중에서 드론이 프로펠러(10a)가 다른 프로펠러들(10b,10c)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된 상태에서, 드론을 상승시키고자 할 때는, 드론이 상향되게 회동되도록 상승하강조작레버(24a)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속도조작다이얼(24b)을 돌려 프로펠러(10b)의 회전속도를 프로펠러(10a) 보다 높이며, 드론을 하강시키고자 할 때는 드론이 하향되게 회동되도록 상승하강조작레버(24a)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속도조작다이얼(24b)을 돌려 프로펠러(10a)의 회전속도를 프로펠러(10b)보다 높인다.In the state that the drone is rotated to be positioned upward with respect to other propellers 10b and 10c in the drone in water, when the drone is to be raised,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lever 24a is rotated so that the drone is rotated upward. Move to the left and turn the rotation speed control dial (24b) to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10b) than the propeller (10a), and when trying to descend the drone,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lever (24a) so that the drone rotates downward And rotate the rotational speed control dial 24b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10a than the propeller 10b.

그리고, 드론의 상향 또는 하향되게 회동되는 속도를 높이고자 할 때는 상승하강조작레버(24a)를 가운데 중앙에 위치시키고 회전속도조작다이얼(24b)을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론을 상승시키고, 드론의 상향 또는 하향되게 회동되는 속도를 낮추고자 할 때는 회전속도조작다이얼(24b)을 사용자 측으로 회전시켜 드론을 하강시킨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drone to be rotated upward or downward,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lever 24a is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he rotational speed operation dial 24b is rotated away from the user to raise the drone. In order to low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the drone is lowered by rotating the rotation speed control dial 24b toward the user.

좌우이동조작부(27)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수중에서 드론이 프로펠러(10a)가 다른 프로펠러들(10b,10c)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된 상태에서 드론을 좌측으로 이동 시키고자 할 때는. 프로펠러(10c)들 중 우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c)의 회전수를 높여 드론(10)을 좌측방향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수중에서 드론이 프로펠러(10a)가 다른 프로펠러들(10b,10c)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된 상태에서 드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프로펠러(10c)들 중 좌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c)의 회전수를 높여 드론(10)을 우측방향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우측으로 이동시킨다.The left and right movement operation unit 27 may be applied with a lever structur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drone moves underwater to move the drone to the left while the propeller 10a is rotated to be positioned above other propellers 10b and 10c. Among the propellers 10c,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ropellers 10c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increased to make the drone 10 rotate in the left direction to move it to the left. And, when the drone is to move the drone to the right while the propeller 10a is rota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other propellers 10b and 10c in water. Among the propellers 10c,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ropellers 10c located on the left side is increased to make the drone 10 rotate in the right direction to move it to the right.

그리고, 전후진조작부(26)는 드론이 수중에서 수직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전방 측으로 전진 시 동시에 회전되는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의 회전 속도를 높여 드론(10)이 전진되도록 설정되며, 후진시에는 역회전조작부(38a)를 누르고 동시에 회전되는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들의 역회전 속도를 높여 드론(10)이 후진되도록 설정되는데 비상상황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운영시에 후진방향 조작은 권장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front-rear operation unit 26 is set such that the drone 10 is advanced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that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drone is advanced vertically in the water while moving forward. In case of reversing, the reverse drone 10 is set to reverse by increasing the reverse rotation speed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rotated at the same time by pressing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unit 38a. In normal operation except for emergency situations Therefore, reverse operation is not recommended.

이와 같이, 드론(10)은 사용자의 조종유닛(20)을 통해 각 프로펠러(10a,10b,10c)의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전진, 후진, 좌측이동 및 우측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10 moves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through the rotational speed control of each propeller 10a, 10b, and 10c through the user's control unit 20.

또한 조종유닛(2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측에 제2제어부(34)와 연결되는 IMU, GPS모듈 등의 센서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드론의 이동정보, 신체의 특정한 힘, 각도비율, 운동정보 등을 제2제어부(34)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39)를 구비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trol unit 20 is not shown, sensors such as an IMU and a GPS modul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are built in, so that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rone movement information, body specific force, and angle ratio , A display unit 39 for displaying exercise information, etc.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34.

표시부(39)는 제1제어부(13) 및 제2제어부(34)를 통해 수심측정유닛(19)과 연결되어 드론(10)이 수중에서 운행시 드론(10)의 수심위치정보를 표시하며, 회동감지센서(17)와 연결되어 드론(10)이 수중 내에서 수평상태에 대해 회동된 각도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39 is connected to the depth measurement unit 19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13 and the second control unit 34 to display dept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10 when the drone 10 is operating underwater. Connected to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17, the drone 10 displays the angle rotated relative to the horizontal state in the water.

사용자는 표시부(39)에 표시된 드론(10)의 수심정보와, 회동된 각도를 참고하여 상승하강조작부(24), 전후진조작부(26)와 좌우이동조작부(27)를 통해 프로펠러(10a,10b,10c)의 회전수를 조종함으로써 드론(10)을 수중 내에서 하강이동되거나 상승이동, 또는 좌우이동 또는 전후이동되게 조종할 수 있다. The user refers to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drone 1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9 and the rotated angle, and the propellers 10a, 10b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24,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peration unit 26,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peration unit 27.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10c), the drone 10 can be controlled to move downward or upward, or to move left or right or back and forth in the water.

구체적으로, 드론(10)이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드론을 수중 내에서 하강시키고자 할 때는 상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a)를 하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b)보다 빠르게 회전시켜 드론을 하향경사지게 회동시킨다. 반대로 드론이 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드론을 수중 내에서 상승시키고자 할 때는 하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b)를 상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a)보다 빠르게 회전시켜 드론을 상향경사지게 회동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drone 10 is to be lowered in the water while being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the drone is lowered by rotating the propeller 10a located at the upper side faster than the propeller 10b located at the lower side. Rotate at an angle. On the contrary, when the drone is to be raised in the water while the drone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the drone is rotated upwardly by rotating the propeller 10b located at the lower side faster than the propeller 10a located at the upper side.

드론(10)이 수직하게 회동되어 이동시, 드론이 부력에 의해 수중 내에서 위로 상승되는 힘을 받는 경우, 사용자는 드론(10)이 수직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a)의 회전속도를 하측에 위치한 프로펠러(10b)보다 빠르게 회전하여 하향경사지도록 상승하강조작부(24)를 조작하여 드론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종할 수 있다.When the drone 10 is rotated vertically and moved, when the drone receives a force rising upward in the water due to buoyancy, the user rotates the speed of the propeller 10a located at the upper side while the drone 10 is rotated vertically. By rotating the propeller 10b located at the lower side and operat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24 to incline downward to control the drone so that it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드론이 수중 내에서 수면에 대해 수평 할 때는, 사용자는 복수의 프로펠러(10a,10b,10c)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역회전조작부(38a)의 조작신호에 의해 프로펠러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드론(10)을 상승 하강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And, when the drone is horizontal to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the user rotates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or reversely rotates the propeller by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unit 38a. By doing so, the drone 10 may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한편, 드론(10)은 프로펠러(10)가 회전 정지되면서 자중에 의해 수면 아래로 가라앉도록 제작할 경우에는, 프로펠러(10)의 회전을 점차 감소, 정지시키면 드론이 수중 내로 진입하게 되고 프로펠러(10)의 회전을 점차 증가시키게 되면 드론이 점차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드론(10)이 수중 내로 진입하기 전, GPS의 위치정보와 자력계의 방위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인 드론(10)의 전방 방향을 인식하고 이를 제2제어부(34)로 전달하여 표시부에 표시될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드론이 수중 내로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조종유닛에 구비된 GPS모듈(미도시)를 통해 위치정보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one 1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propeller 10 sinks below the surface by its own weight while the propeller 10 stops rotating, when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10 gradually decreases and stops, the drone enters into the water and the propeller 10 When the rotation of) is gradually increased, the drone gradually rises to the surface. Before the drone 10 enters underwater, it recognizes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10, which is a direction away from the us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 and the azimuth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to display the It is preferably appli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And, when the drone enters into the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PS module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한편, 표시부(39)는 드론이 공중비행 할 때에는 드론(10)에 내장된 별도의GPS모듈(미도시)와 연결되어 드론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있다가, 드론이 수중 내에 위치하게 되면 제2초음파송수신부(63)를 통해 파악된 드론의 위치정보를 표시하며 드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심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수심위치정보를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39 is connected to a separate GPS module (not shown) built into the drone 10 when the drone is flying, and display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Display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identified through the ultrasonic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63, and displays the depth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epth measurement unit so that the drone can be moved.

견인유닛(40)은 일측이 드론의 하면 중심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조종유닛(20)에 연결된다.One side of the towing unit 40 is connected to the cent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on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unit 20.

견인유닛(40)은 송수신케이블(미도시)과, 제1드론연결관(42), 전원케이블(미도시), 지지부재(60)를 구비한다.The towing unit 40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cable (not shown), a first drone connector 42, a power cable (not shown), and a support member 60.

송수신케이블은 조종유닛(20)의 조작신호를 드론(1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드론(10)과 조종유닛(12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조작신호를 드론(10)에 각각 전달할 수 있도록 일측이 조종유닛(20)의 유선통신모듈(a)과 연결되며 타측이 드론(10)에 연결된다.Th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connects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120 to transmit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to the drone 10, and is controlled by one side so as to transmit the operation signals to the drone 10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a) of the unit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rone 10.

전원케이블은 운반체(50)에 내장된 제2전원공급부(56)의 전원을 드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조종유닛(20)에서 드론(10)으로 연장형성된다. The power cable is extended from the control unit 20 to the drone 10 so as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6 built in the carrier 50 to the drone.

제1드론연결관(42)은 송수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내장되고 드론(10)과 조종유닛(20)이 상호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된다. 제1드론연결관(4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의 상하이동 고도전환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조종유닛(20)의 회전축(3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 .드론(10)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고리(41)가 형성된다.The first drone connector 42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reception cable and a power cable, and is formed to be extended so that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20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2 and 3, the first drone connecting pipe 42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36 of the steering unit 20 to facilitate the high-level changeover of the drone to the east and west sides of the drone, and on the other side. The first ring 41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drone 10.

제1드론연결관(42)은 제1메인견인관(45)과, 유연관(49)을 구비한다. 제1메인견인관(45)은 일측이 조종유닛(20)에 힌지 결합되고 조종유닛(2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송수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내장된다. 유연관(49)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드론(10)의 비행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1메인견인관(45)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드론과 연결된다. The first drone connecting pipe 42 includes a first main towing pipe 45 and a flexible pipe 49. The first main traction tube 45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20 and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rol unit 20, and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cable and a power cable. The flexible pipe 49 is formed of a bendable material to facilitate the flight of the drone 10, and is formed by extending a certain length at the end of the first main towing pipe 45 to be connected to the drone.

제1메인견인관(45)은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있으나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로프 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main towing tube 45 is formed in a tube shape capable of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but a bend-free rope form may be applied.

지지부재(60)는 드론(10)에 의해 견인되는 조종유닛(20)을 따라 운반체(5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조종유닛(20)과 운반체(50)를 연결한다. 지지부재(60)는 조종유닛(20)이 운반체(50)에 대해 상부측에 위치되게 조종유닛(2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3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하부가 운반체(50)의 운반본체(5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지지부재(60)의 내측에는 운반체(50)의 제2전원공급부(56)와 조종유닛(20)의 전원스위치(38b)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미도시)이 내장된다.The support member 60 connects the steering unit 20 and the carrier body 50 so that the carrier body 50 can be moved along the steering unit 20 towed by the drone 10. The support member 60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shaft 36 protru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20 so that the control unit 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arrier body 50, and the lower portion is a carrier ( It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carrier body 51 of 50). Inside the support member 60, a connecting cable (not shown) connecting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6 of the carrier body 50 and the power switch 38b of the control unit 20 is built-in.

한편, 운반체에 설치된 제2전원공급부(56)는 운반본체(51)에 설치되어 지지부재(60)를 통해 조종유닛(120)과 연결되어 드론(110)에 전원 공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제2전원공급부(56)는 운반본체(51) 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식 베터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드론의 장시간 기동을 위해 수소연료전지를 장착하거나 운반본체(51) 공간에 연료엔진을 부가하여 엔진-발전기-배터리 하이브리드 동력원이 적용될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6 installed on the transport body is installed on the transport body 51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support member 60 to serve to assist the power supply to the drone 110.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6 is preferably appli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ransport body 51, but is equipped with a hydrogen fuel cell or a fuel engine in the space of the transport body 51 for long-time startup of the drone. In addition, an engine-generator-battery hybrid power source may be applied.

운반체(50)는 수상에 부유 가능하고 사용자가 올라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단부 측에 견인유닛(40)과 연결된다. The carrier body 50 is floatable in the water phase and is formed to allow the user to climb and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unit 40 at the front end side.

운반체(50)는 사용자를 지지하며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착석부(52)와 착석부 양측를 지지하는 프레임(53)이 상부에 장착된 운반본체(51)와, 운반본체(51)의 전단부 및 후단부 하부에 장착되어 운반본체(51)에 부력을 제공하며 드론(10)의 견인력에 의해 수상에서 이동이 용이하게 하부측이 유선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부력체(55)를 구비한다.The carrier body 50 supports the user, and the carrier body 51 with the seating portion 52 and the frame 53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mounted on the user, 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arrier body 51 It is mounted to the lower end to provide a buoyancy to the transport body 51 and has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55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on the lower side for easy movement in the water phase by the traction force of the drone 10.

운반본체(51)는 전단부측이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며 전단으로 갈수록 폭이 완만하게 좁아지게 형성된다.The transport body 51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end side is inclined upward upward and th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front end.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1)는 드론(10)이 공중뿐 아니라 수중에서도 운반체를 견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견인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towing device 1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towing environments to the user because the drone 10 can tow the vehicle in the air as well as underwater.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1)는 상승하강조작부(24)를 통해 복수의 프로펠러(10a,10b)를 개별제어하여 드론(10)을 공중에서는 수평하고 수중에서는 수직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어 간단한 방법으로 공중 및 수중 운행 전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towing device 1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and 10b individually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24 to horizontally control the drone 10 in the air. And it can be rotated vertically in the water,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switch between air and underwater in a simple way.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1)는 상승하강조작부(24)와, 전후진조작부(26)가 각각 회전식의 노브다이얼 등의 회전식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공중에서 드론의 일정 고도 및 일정 속도유지 뿐만아니라 수중에서 일정 수심 및 일정속도유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towing device 1 us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in the air becaus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portion 24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peration portion 26 are each formed in the form of a rotary dial such as a rotary knob dial. In addition to maintaining a constant altitude and constant speed, there i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depth and constant speed in the water.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1)는 하나의 드론을 적용하고 있으나, 드론의 프로펠러의 크기, 개수 그리고 회전수에 따라 양력 및 추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운반체와 함께 사용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드론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드론을 연결하는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555호에 게시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traction device 1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single drone, but lift and thrust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number, and rotational speed of the drone, so the user with the carrier can be used. The number of drones required to move may vary. The structur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rones may be applied to the structu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6555.

본 발명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1)는 프로펠러(10)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강하는 일반적인 회전익 드론이 적용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The towing device 1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as a general rotorcraft drone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rotation of the propeller 10 as an example.

드론(10)이 틸트로터 드론이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종유닛(20)은 상승하강조작부(24) 대신, 상방을 향하는 프로펠러(10a,10b,10c)를 드론(10)의 몸체(10d)에 대해 회동시키는 프로펠러회동조작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드론(10)은 프로펠러회동조작부 조작을 통해 전방 방향을 향하도록 프로펠러(10a,10b,10c)를 회동시켜 추진력을 얻으며, 프로펠러(10a,10b,10c)의 회동각도에 따라 수중 내에서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회동감지센서(17)는 프로펠러(10a,10b,10c) 또는 프로펠러(10a,10b,10c) 측에 설치되어 프로펠러(10a,10b,10c)의 회동된 각도를 감지한다. 즉, 수중 내에서 수면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프로펠러회동조작부를 통해 프로펠러(10a, 10b, 10c)가 드론에 대해 직각 형태로 회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드론을 전진(10b를 더 빠르게 회전), 좌우이동(10c를 더 빠르게 회전), 상승 하강(10a, 10b, 10c의 회동각도를 조절)시킬수 있을 것이다.When the drone 10 is a tilt-rotor drone,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24, propellers 10a, 10b, and 10c pointing upwards to the body 10d of the drone 10 It is preferable to have a propeller rotating operation unit (not shown) that rotates against. In this case, the drone 10 rotates the propellers 10a, 10b, and 10c to face the front direction through manipulation of the propeller rotation control unit to obtain propulsive force, and rises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angle of the propellers 10a, 10b, and 10c. Or it descends.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17 is installed on the propellers 10a, 10b, 10c or propellers 10a, 10b, 10c to sense the rotated angle of the propellers 10a, 10b, 10c. That is, when moving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the user moves the drone forward by rotating the propellers 10a, 10b, and 10c at right angles to the drone through the propeller rotation control unit (rotating 10b faster). , You can move left and right (rotate 10c faster), ascend and descend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10a, 10b, 10c).

한편, 드론(10)이 가변피치드론이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는 프로펠러(10)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피치조절모터가 제1제어부(11)를 통해 제2제어부(34)와 연결되며, 피치조절조작부(미도시)가 조종유닛(20)에 더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승하강조작부 외에도 피치조절조작부 조작을 통해서 복수의 프로펠러(10a, 10b, 10c)의 피치를 수면에 대해 직각 형태로 만들어 회전시킬수 있으며 이렇게 직각 회전된 프로펠러(10a, 10b, 10c)는 수중 내에서 드론의 전진(10b의 피치각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변화), 좌우이동(10c의 피치각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변화), 상승 하강(10a, 10b, 10c의 피치각도를 조절, 일례로 하강은 상승 피치각의 역방향 피치각) 이동을 조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riable pitch drone is applied to the drone 10, the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tch control motor for adjusting the pitch of the propeller 10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11, the second control unit 34 It is connected to, and a pitch control operation unit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20. The user can make and rotate the pitches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10a, 10b, and 10c at right angles to the water surfac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itch adjustment operation portion in addition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portion, and the propellers 10a, 10b, and 10c rotated at right angles are underwater. Advances in drone (changes the pitch angle of 10b from horizontal to vertical), moves left and right (changes the pitch angle of 10c from horizontal to vertical), and increases and decreases (adjusts the pitch angle of 10a, 10b, 10c, For example, the descent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ising pitch angle and the reverse pitch angl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Meanwhile, FIG. 5 shows a towing device 2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2)는 견인유닛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The towing device 2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e towing unit.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2)의 견인유닛(140)은 송수신케이블(미도시)과, 제2드론연결관(142), 전원케이블(미도시)을 구비하며, 지지부재(60)를 포함한다. The traction unit 140 of the traction devic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cable (not shown), a second drone connector 142, a power cable (not shown), and a supporting member (60).

지지부재(60)는 조종유닛(20)이 운반체(50)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조종유닛(20)과 운반체(50)를 상호 연결하며, 운반본체(5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조종유닛(1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36)을 구비하지 않으며, 지지부재(6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support member 60 interconnects the steering unit 20 and the carrier body 50 such that the steering unit 20 is positioned above the carrier body 50, and is rotatably installed relative to the carrier body 51. On the other hand, the steering unit 120 is not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3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upport member 60.

제2드론연결관(142)은 제2메인견인관(145)과, 유연관(49)를 구비한다.The second drone connecting pipe 142 includes a second main towing pipe 145 and a flexible pipe 49.

제2메인견인관(145)는 전방측 지지부재(60)의 외주면에 일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타측에 유연관(49)이 연결된다. 제2메인견인관(14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송수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드론(10)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송수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지지부재(60)를 통해 조종유닛(2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공부는 지지부재(60)의 내부공간(미도시)과 연통된다. 지지부재(60)의 내부공간은 운반체(50)의 제2전원공급부(56)와 조종유닛(20)을 연결하는 연결케이블(미도시)이 설치되는 공간이다.The second main towing tube 145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side supporting member 6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length is extended to connect the flexible pipe 49 to the other side. Although the second main towing tube 145 is not shown,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and the power cable can be extended to the drone 10,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and the power cable are provid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60 The hollow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not shown) of the support member 6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teering unit 20.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60 is a space in which a connecting cable (not shown) connecting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6 and the control unit 20 of the carrier body 50 is installed.

조종유닛(20)에 장착된 회전각센서(37)는 지지부재(60)에 대한 조종유닛(20)의 회동각을 감지하여 제2제어부(34)에 전달하고, 제2제어부(34)는 회전각센서(37)의 감지신호에 따라 드론의 방향이 제어될 수 있도록 유선통신모듈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The rotation angle sensor 37 mounted on the control unit 20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 unit 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60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34, and the second control unit 34 is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ron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angle sensor 37.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Meanwhile, FIG. 6 shows a towing device 3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3)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견인장치의 구조에서 지지부재(60)를 구비하지 않으며, 이탈방지유닛(70)과, 하체고정유닛(80)와, 제3전원공급부(90)를 더 구비한다.The towing device 3 us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the support member 60 in the structure of the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70 and the lower body fixing A unit 80 and a third power supply unit 90 are further provided.

이탈방지유닛(70)은 드론(10)에 의해 조종유닛(20)이 견인될 때 조종유닛(20)을 파지한 사용자가 조종유닛(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유닛(70)은 조종유닛(20)에 각각 장착되어 사용자의 상체와 하제를 각각 고정하는 상체고정부(71)와, 하체고정부(75)를 구비한다.The departure preventing unit 70 prevents the user holding the steering unit 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teering unit 20 when the steering unit 20 is towed by the drone 10.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70 is mounted on the control unit 20, and is provided with an upper body fixing portion 71 and a lower body fixing portion 75 respectively fixing a user's upper body and lower body.

상체고정부(71)는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상체고정벨트(72)와, 조종유닛(20)과 상체고정벨트(72)를 연결하여 조종유닛(20)과 상체고정벨트(72)가 상호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연결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하체고정부(75)는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제1 및 제2하체고정벨트(76,77)와, 조종유닛(20)과 제1 및 제2하체고정벨트(76,77)를 각각 연결하여 조종유닛(20)과 제1및 제2하체고정벨트(76,77)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및 제3연결부재(78,79)를 구비한다.The upper body fixing part 71 connects the upper body fixing belt 72 surrounding the user's upper body, the steering unit 20 and the upper body fixing belt 72, so that the steering unit 20 and the upper body fixing belt 72 are mutually constant. It has a first connecting member (not shown) formed to maintain a distance. The lower body fixing unit 75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lower body fixing belts 76 and 77 surrounding the user's leg, and the steering unit 20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body fixing belts 76 and 77,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20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body fixing belts 76 and 77 are provided with second and third connecting members 78 and 79 form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제1 내지 제3연결부재는 드론의 이동방향 전환에 따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종유닛으로부터 일정거리에서 위치 고정되게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플라스틱, 카본 또는 알류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것과 다르게, 제1 내지 제3연결부재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와이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are capable of maintaining a certain shape such that the user is fix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user can be actively tow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one, such as plastic, carbon or metal such as aluminum Material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However, unlike illustrated,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may be bent wires.

운반체(150)는 수상스키보드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되 전단부가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상단에 조종유닛(20)을 따라 견인되는 사용자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 고정하는 하체지지유닛(80)이 장착된다. .The carrier body 1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uch as a water ski board, but is formed with a front end inclined upward, and the lower body support unit supporting and fix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so that it can be moved along the user towed along the control unit 20 at the top. 80 is mounted. .

운반체(150)는 도시된 것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이 수상에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른 형상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The carrier body 15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and other shapes may be applicable if the lower surface is capable of sliding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user can board.

하체지지유닛(80)은 사용자의 신발과 종아리를 감싸는 밸트 형태나, 사용자의 발등을 수용하는 전방부가 폐쇄된 슬리퍼 형태일 수도 있으며, 스키나 스노우보드를 타기 위해 사용하는 부츠가 운반체(50)에 고정된 형태일 수도 있다. The lower body support unit 80 may be in the form of a belt that wraps the user's shoes and calf, or may be in the form of a closed slipper that accommodates the user's instep, and the boots used for riding on skis or snowboards on the carrier 50. It may be of a fixed shape.

제3전원공급부(90)는 사용자가 등에 멜 수 있도록 형성되며 조종유닛(20)과 연결되어 드론(10)에 전원 공급을 보조한다. 제3전원공급부(90)는 베터리(91)와, 베터리를 어깨에 멜수있는 어깨끈(92)과, 베터리(91)와 조종유닛(20)을 연결하는 베터리전원케이블(93)을 구비한다. 제3전원공급부(90)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운반체(150)에 매립된 베터리(미도시)와, 베터리와 조종유닛(2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커넥터(미도시)가 적용될 수도 있다.The third power supply unit 90 is formed to allow the user to hang on his back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to assist in supplying power to the drone 10. The third power supply unit 90 includes a battery 91, a shoulder strap 92 for attaching the battery to the shoulder, and a battery power cable 93 connecting the battery 91 and the control unit 20. Unlike the illustrated third power supply unit 90, a connector (not shown) including a battery (not shown) embedded in the carrier 150 and a cable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control unit 20 may be applied. .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4)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FIG. 7 shows a traction device 4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4)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견인유닛(240)과, 조종유닛(20)과, 이탈방지유닛(70)과, 제3전원공급부(90)와, 운반체(150)를 구비한다.The traction devic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dable traction unit 240, a control unit 20, a departure prevention unit 70, a third power supply unit 90, and a carrier body (150).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4)에 적용되는 드론(1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롭 가드(prop guard)가 외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롭 가드의 구조와 형상은 드론을 보호할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으며, 카본, 알루미늄, EPP(Expended Polypropylene) 등의 경량소재가 채택되어야 하며 수중에서의 드론 기동을 고려하여 프롭보호가드의 면은 메쉬, 망사 형태로 성형, 금형하여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one 10 applied to the traction devic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but it is preferable that a prop guard is mounted outsid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prop guar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protect the drone, and lightweight materials such as carbon, aluminum, and expanded polypropylene (EPP) should be adopted, and the surface of the prop protection guard is mesh, It is preferable to be molded and molded in the form of a mesh and manufactured in a form that minimizes water resistance.

견인유닛(240)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이 조종유닛(20)과 연결되며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타측이 드론(10)과 연결된 유연관(241)과, 조종유닛(20)에서 유연관(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연관(241)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송수신케이블(미도시)과 전원케이블(미도시)을 구비한다.The towing unit 24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and a predetermined length extension is formed so that the other side is flexible tube 241 connected to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20 A transmission/reception cable (not shown) and a power cable (not shown) formed to extend inside the flexible tube 2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241 are provided.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5)의 조종유닛(12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FIG. 8 shows a control unit 120 of a traction device 5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5)는 드론(10)과, 견인유닛과(240)과, 조종유닛(120)과, 운반체를 구비한다.The towing device 5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10, a towing unit 240, a steering unit 120, and a carrier.

조종유닛(1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조종유닛(20)의 구조에 제2힌지결합부(36a)가 형성되지 않고, 회전축(36)의 상부에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견인유닛(240)의 유연관(241)을 권취할 수 있는 권취유닛(400)을 구비한다.The steering unit 120 is not formed with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6a in the structure of the steering unit 2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36 and the towing unit 240 ) Is provided with a winding unit 400 that can wind the flexible tube 241.

권취유닛(400)은 조종유닛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유연한 제2드론연결관(242)을 권취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권취축(410)과, 권취축(4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축(36)과 함께 회전가능한 권취축지지부와, 드론 비행시 드론에 당겨지는 힘에 의해 유연관(241)이 권취축(410)에 대해 권취해제되게 회전되는 권취축(4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드론에 의해 당겨지는 힘 해제시 유연관(241)이 권취축(410)에 권취될 수 있도록 내측에 스파이럴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된 권취력발생부(420)를 구비한다.The winding unit 400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ntrol unit, and the rotatable winding shaft 410 and the winding shaft 410 are rotatably supported to rotate the flexible second drone connector 242, and the rotating shaft ( 36) and a rotating shaft supporting portion rotatable, and the flexible tube 241 is rotated so as to be unwound relative to the winding shaft 410 by a force pulled by the drone during flight of the drone. When the force pulled by the drone is released, the flexible tube 241 is provided with a winding force generating part 420 with a spiral spring (not shown) mounted therein so as to be wound on the winding shaft 410.

한편, 권취유닛(400)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드론(10) 측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ing unit 400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drone 10, unlike shown.

한 변압기(미도시)를 이용해 전압을 강하하는 구조를 갖는 드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5)는 드론(10)과 조종유닛(120)간의 간격이 좁혀질 때 유연관(241)이 권취유닛(400)에 권취되므로 견인유닛(240)이 드론(10)에 감기거나 장애물에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조종 효율을 높일 수 있다A drone having a structure of dropping voltage using a transformer (not shown) is preferably applied. The towing device 5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10 When the gap between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narrowing pipe 241 is wound on the winding unit 400, the towing unit 24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on the drone 10 or caught in an obstacle, thereby improving the steering efficiency. Can increase

권취유닛(400)에 권취되는 유연관(241)의 두께는 가급적이면 2~10mm 정도로 얇은 두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tube 241 wound on the winding unit 400 is preferably 2 to 10 mm thin.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는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되는 유연관(241)을 통해 드론의 이동거리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전력 손실에 따른 드론에 전류 공급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에 적용되는 드론은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받기 위하여, 현재 시판중인 테더드 드론(thethered drone)과 같이 통상 22.2~44.4V 전압형보다는 110~220V 이상의 승압 송전하고 드론에 장착 드론에 장착한 변압기(미도시)를 이용해 전압을 강하하는 구조를 갖는 드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a wide movement distance of the drone through the flexible tube 241 that is wound or unwound, while the current supply problem appears to the drone due to power loss. Can. Therefore, the drone applied to the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10~220V or more than the normal 22.2~44.4V voltage type, such as the currently sold tethered drone, in order to stably receive current. It is preferable that a drone having a structure of dropping voltage using a transformer (not shown) mounted on a drone and boosting power transmission and mounting on a drone is applied.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6)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FIG. 9 shows a towing device 6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6)는 드론(10)과, 견인유닛(40)과, 조종유닛(20)을 구비한다.The towing apparatus 6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10, a towing unit 40, and a steering unit 20.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6)는 잠수부를 수중 내에서 견인할 수 있도록 조종유닛(20)이 드론(10)과 같이, 수중 내에서 운용가능하도록 방수 방진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 드론(10) 및 조종유닛(20)은 방수방진등급(IP 등급) 중 IP-66 등급 내지 IP-68 등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wing device 6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eering unit 20 to be operated in the water, such as the drone 10, so that the diver can be towed in the water. It is formed to have a waterproof and dustproof fun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20 have IP-66 to IP-68 grades among waterproof and dustproof grades (IP grades).

그리고,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6)는 잠수부가 일측에 착용가능하며 조종유닛(20)과 연결된 휴대용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wing device 6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ortable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steering unit 20 and the diver is wearable on one side.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7)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FIG. 10 shows a towing device 7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7)는 드론(10)과, 견인유닛(340)과, 조종유닛(320)과, 잠수가능한 운반체(250)를 구비한다.The towing device 7 using the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10, a towing unit 340, a steering unit 320, and a submersible carrier 250 do.

잠수가능한 운반체(250)는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내측에 내부 밀폐공간을 가지며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착석부와 조종유닛(320)이 장착되며 충전식 배터리 및 연료엔진이 부가된 엔진-발전기-배터리 하이브리드 동력원이 적용되거나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되고 액체산소 및 압축공기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며 잠수 수심을 제어를 위한 부력부(255)와 물 유입부(257) 및 배출부(259)가 구비된 잠수 가능한 잠수정이 적용될 수 있다.The submersible vehicle 250 is capable of accommodating a user, has an internal enclosed space inside, a user-attached seating unit and a control unit 320, and an engine-generator-battery hybrid power source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fuel engine added This is applied or equipped with a hydrogen fuel cell, equipped with a liquid oxygen and compressed air storage (not shown), and equipped with a buoyancy unit 255, a water inlet 257 and an outlet 259 for controlling the depth of diving Submersible submersibles may apply.

상기 잠수가능한 운반체(250) 하부에는 부력부(255)가 마련되며, 부력부(255)는 운반체(250)가 기설정된 수심 이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변되는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부력부(255)는, 잠수가능한 운반체(250)가 수중으로 잠수할 때, 운반체(250) 몸체가 견딜 수 있는 수압 이내의 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부력부(255)의 구성 및 동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 buoyancy portion 255 is provided below the submersible carrier 250, and the buoyancy portion 255 serves to provide variable buoyancy so that the carrier 250 can be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depth. That is, the buoyancy unit 255 serves to generate buoyancy so that the submersible carrier 250 can be positioned at a depth within a water pressure that the body of the carrier 250 can withstand when the submersible vehicle 250 dives underwater. )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general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잠수가능한 운반체(250) 하단에는 부력부(255)내로 물을 유입하는 유입구(257)가 마련되고, 운반체(250)의 후단에는 유입된 물을 방출하는 배출구(259)가 마련된다. 유입구(257)와 배출구(259)는 부력부(255)로 물의 유입 및 방출을 제어하여 운반체의 잠항 및 부상을 기능하게 되고 부력부(255)의 부력을 조절하여 운반체(250)가 원하는 수심 내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구(257)와 배출구(259)에는 제2제어부와 연결되어 유입구와 배출구의 개폐를 위한 개폐밸브가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inlet 257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buoyancy portion 255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bmersible carrier 250, and an outlet 259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water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250. The inlet 257 and the outlet 259 control the inflow and discharge of water to the buoyancy portion 255 to function the submersion and injury of the carrier, and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portion 255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carrier 250 within the desired depth. Try to keep it constant. Althoug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257 and the outlet 259 are connected to a second control unit and are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valv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outlet, respectively.

유입구(257)의 위치는 운반체(250) 몸체하단 또는 운반체(250) 몸체전방 하단 등 물의 유입이 자유로운 곳이면 어느 곳이든 가능하고 물이 방출되는 배출구(259) 또한 운반체(250) 몸체하부의 후단이면 어느 곳이든 자유롭게 위치될수 있다.The location of the inlet 257 can be any place where the inflow of water is free, such as the lower end of the carrier 250 body or the lower front of the carrier 250 body, and the outlet 259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is also the rear end of the lower body of the carrier 250 It can be freely located anywhere.

한편, 견인유닛(340)은 제1드론연결관(42)과, 제1드론연결관(42)과 조종유닛(320)을 연결하는 연결관(341)을 구비한다. 제1드론연결관(42)의 일측은 운반체(250)의 전단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336)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힌지결합부(336)는 운반체(25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Meanwhile, the traction unit 340 includes a first drone connector 42 and a connector 341 connecting the first drone connector 42 and the steering unit 320. One side of the first drone connecting pipe 42 is rotatably mounted up and down 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336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carrier body 250,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336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carrier body 250 Is mounted.

연결관(341)은 운반체 외측에서 제1드론연결관(42)과 연결되며 운반체 내로 관통되어 조종유닛(320)과 연결되며 제1드론연결관(42)에서 연장된 송수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내장된다.The connector 341 is connected to the first drone connector 42 from the outside of the carrier, penetrates into the carrier,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20, and transmit/receive cables and power cables extending from the first drone connector 42 are built-in. do.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1 shows 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드론(10)과, 견인유닛(240)과, 조종유닛(120)과, 운반체(250)를 구비한다.A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10, a towing unit 240, a steering unit 120, and a carrier 250.

운반체(25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착석부와 조종유닛(20)을 지지하는 조종유닛지지부가 형성된 운반본체(260)와, 운반본체(260)의 하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본체지지바(257)와, 복수의 본체지지바(257)의 각 일측 또는 각 타측과 연결되며 상호 나란한 복수의 부력체(255)를 구비한다. 운반본체(2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가 개방될 수 도 있으나, 개폐가능한 도어가 장착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운반본체(260)의 상부는 전방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The carrier body 250 has an internal space, and a transport body 260 formed with a seating unit and a control uni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control unit 20 that can be seated by a user, and a plurality of main body supports supporting the lower ends of the transport body 260 A bar 257 and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255 connected to each side or each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y support bars 257 are provided. The transport body 260 may have a side portion open as illustrated, but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y be mounted.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ort body 26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secure a forward field of view.

견인유닛(240)은 운반본체(26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양측이 운반본체(260)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운반본체(26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회동결합관(249)과,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이 회동결합관(249)의 중심측과 연결되며 타측이 드론(10)과 연결된 유연관(241)과, 조종유닛(20)과 연결되며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타측이 드론(10)과 연결된 유연관(241)과, 조종유닛(20)에서 조종유닛지지부를 통해 회동결합관(249) 내부를을 지나 유연관(24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드론과 전기적 연결된 송수신케이블(미도시)과 전원케이블(미도시)을 구비한다.The traction unit 240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ransport body 26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body 260, respectively, and a rotation coupling tub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ransport body 260 ( 249), formed of a bendable material, one side connect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pivoting coupling pipe 249,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lexible pipe 241 connected to the drone 10, and the control unit 20, and a predetermined length The drone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pipe 241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lexible coupling pipe 249 through the control unit support in the control unit 20 and the flexible pipe 241 connected to the drone 10 with the other side extended. It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ble (not shown) and a power cable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공중 비행하거나 수중 운행되는 드론에 의해 운반체(250)를 수상에서 부유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으며, 회동결합관(249)의 중심측이 운반체(250)의 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게 공중비행하는 드론이 운반체(250)의 수직상방에 위치된 후, 상승되면서 운반체(250)를 수상이나 지면에 이격되게 견인할 수도 있다.Th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ow the carrier 250 in a floating state from the water by a drone that is flying in the air or operated underwater, and the rotating coupling pipe 249 After the drone flying in the air so that the central side of the carrier is rotated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carrier 250, the carrier 250 may be towed away from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while being rais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드론이 공중뿐 아니라 수중에서도 운반체를 견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견인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드론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So far, th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rone by providing various towing environments to the user since the drone can tow the vehicle in the air as well as in the air.

본 발명의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상승하강조작부를 통해 복수의 프로펠러를 개별제어하여 드론을 공중에서는 수평하고 수중에서는 수직하도록 회동시킬 수 있어 간단한 방법으로 공중 및 수중 운행 전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traction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ividually control a plurality of propellers through an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to rotate the drone horizontally in the air and vertically in the water, so it is easy to switch between air and underwater operation in a simple manner. There is an advantag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하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herefrom.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10 : 드론 12 : 통신부
13 : 제1제어부 14 : 제1전원공급부
17 : 회동감지센서 19 : 수심측정유닛
20 : 조종유닛 23 : 센터부
24 : 상승하강조작부 25 : 좌우회전조작부
26 : 전후진조작부 27 : 좌우이동조작부
34 : 제2제어부 37 : 회전각센서
39 : 표시부 40 : 견인유닛
50 : 운반체 60 : 지지부재
142 : 제1드론연결관
1: Towing device using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10: drone 12: communication unit
13: first control unit 14: first power supply unit
17: rotation detection sensor 19: depth measurement unit
20: control unit 23: center
24: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unit 25: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unit
26: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control unit 27: left and right movement control unit
34: second control unit 37: rotation angle sensor
39: display unit 40: traction unit
50: carrier 60: support member
142: First drone connector

Claims (13)

양력과 추력에 의해 공중 비행 및 수중 내에서 추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사용자에 파지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론의 이동방향, 속도 및 상기 드론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구동을 제어하며 수중 내에서 조종 가능한 조종유닛과;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드론의 이동방향에 따라 견인되도록 상기 드론과 상기 조종유닛을 연결하는 견인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조종유닛의 조작에 의해 수중 내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공중에서 수평상태의 상기 프로펠러가 수중 내에서 수직되게 상기 견인유닛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At least one drone capable of propulsion in the air and underwater by lift and thrust;
A control unit that is gripped by a user and controls the movement direction, speed, and driving of the propeller mounted on the dron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nd is steerable in the water;
And a towing unit connecting the drone and the steering unit so that the steering unit is tow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e.
The dron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ller in a horizontal state in the ai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towing unit vertically in the water so as to generate propulsion force in the water by manipulation of the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수상에 부유하거나 수중에 잠수하여 상기 조종유닛을 파지한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며 상기 드론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조종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한 운반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According to claim 1,
Towing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a carrier that is floating on the water or submerged in the water and grips the control unit and is movable along the control unit towed by the dro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유닛은
상기 드론이 수중 내에서 추진력이 발생 되도록 전후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 중 상기 운반체에 인접한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높여 상기 드론이 수중 내에서 상기 드론이 수직되게 회동시키거나, 수중 내에서 수직상태의 드론을 공중 비행을 위해 수평상태로 회동되게 상기 드론이 수직상태에서 상하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 중 하방에 위치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높여 상기 드론이 수평되게 회동시키는 상승하강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ropeller adjacent to the carrier among the plurality of propellers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drone generates propulsion force in the water, and the drone rotates the drone vertically in water or vertically in water. An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that increas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ropellers positioned below the plurality of propellers in which the drones are vertically rotated to rotate the drones in a horizontal state for aerial flight.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유닛은
공중에서 비행하는 상기 드론이 수중 내로 진입되게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전환시키는 역회전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verse rotation operation unit for reversely conver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so that the drone flying in the air enters into the water.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심도를 측정하는 수심측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종유닛은
사용자가 상승하강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드론의 수중 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심측정유닛에서 측정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or 4,
The drone is equipped with a depth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depth,
The control unit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asured value in the depth measurement unit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drone by mov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하강조작부는
위치에 따라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속도가 차등 제어되거나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상승하강조작레버와,
상기 드론이 수직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승하강조작레버가 일측으로 이동시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들 중 하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을 상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보다 회전속도를 높여 상기 드론이 상향 회동되어 상승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상승하강조작레버가 타측으로 이동시 복수의 상기 프로펠러들 중 상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을 하방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들보다 회전속도를 높여 상기 드론이 하향 회동되어 하강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상승하강조작레버가 중심측에 위치 시에는 상기 프로펠러들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높이거나 낮추는 회전속도조작다이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unit
A rising and falling operation lev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lurality of propellers to be differentially controlled or the sam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drone is rotated vertically, whe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lever moves to one side,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s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propellers than the propellers located above so that the drone is rotated upward and raised. Induce, whe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lever moves to the other side,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s located above the plurality of propellers than the propellers located at the bottom, and induce the drone to rotate downward and descend, and the ascend and descend operation When the lever is located at the center side, a towing device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tation speed control dial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s equal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수중에서 수면 상에 대해 회동된 각도를 감지하는 회동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one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ngle rot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종유닛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드론과 상기 조종유닛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케이블과,
상기 송수신케이블이 내장되며 일측이 상기 조종유닛과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드론과 연결되는 제1드론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조종유닛은
상기 제1드론연결관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드론연결관의 단부와 힌지결합하며 좌우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ction unit
At least on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connecting the drone and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user to the drone;
Th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is built in,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dron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The control unit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rone connecting pipe is hinged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drone connecting pipe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left and righ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운반체의 상부 또는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조종유닛과 상기 운반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종유닛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운반체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조종유닛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운반체에 결합되며,
상기 조종유닛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동된 회전각 변위를 검출하는 회전각센서와, 상기 회전각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받아 변위된 상기 조종유닛의 회전각도만큼 상기 드론의 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arrier so that the control unit is positioned above or above the carrier and the control unit is rotatably coupled,
The support member
The control unit is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protruding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is positio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rier, and a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arrier,
The control unit
The rotation angle sensor detects a rotation angle displacement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or the support member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user, and receiv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rotation angle sensor and moves the rotation angle of the drone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unit.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ight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조종유닛이 상기 운반체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조종유닛과 상기 운반체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조종유닛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조종유닛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드론과 연결되는 제2드론연결관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조종유닛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조종유닛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제2드론연결관으로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ction unit
A support member which interconnects the steering unit and the carrier so that the steering unit is positio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rier, and a supporting member to which the steering unit is rotatably coupled;
A second dron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support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mission/reception cable extending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second drone connector through the support member so as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control unit to the drone. Towing device using drone that can be oper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수직방향을 향하는 상기 프로펠러가 수중 운행을 위해 상기 드론의 몸체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종유닛은
상방을 향하는 상기 프로펠러를 상기 드론의 상기 몸체부에 대해 회동시키는 프로펠러회동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one
The propeller facing vertically is rotatably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body of the drone for underwater operation,
The control unit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further comprising a propeller rotation operation unit for rotating the propeller facing upward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of the drone.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프로펠러는
상기 드론의 기울기 조절을 위해 상기 프로펠러 회전을 위한 구동축에 대해 피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론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프로펠러회전모터와, 상기 프로펠러의 구동축에 대해 상기 프로펠러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피치조절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조종유닛은
상기 프로펠러의 피치 조절을 위한 피치조절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peller
In order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drone, the drive shaft for rotation of the propeller is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to enable pitch adjustment.
The drone
A propeller rotating motor for rotating the propeller and a pitch adjusting motor for adjusting the pitch of the propeller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of the propeller are provided.
The control unit
Towing apparatus using a drone capable of underwater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itch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pitch of the prope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유닛은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조종유닛과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드론과 연결되며, 상기 조종유닛에서 상기 유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송수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내장된 유연관을 구비하고,
상기 드론 또는 상기 조종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과 상기 조종유닛 간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유연관을 권취 및 권취해재 할 수 있는 권취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운행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ction unit
It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rone,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ble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exible pipe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flexible pipe with built-in power cable are provided. Equipped,
It is installed in the drone or the control unit, underwater operation is possible further comprising a winding unit capable of winding and unwinding the flexible tub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unit can be narrowed or further away. Towing device using drones.
KR1020190167116A 2018-12-13 2019-12-13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KR1023767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1223 2018-12-13
KR1020180161223 2018-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67A true KR20200073167A (en) 2020-06-23
KR102376763B1 KR102376763B1 (en) 2022-03-21

Family

ID=7113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116A KR102376763B1 (en) 2018-12-13 2019-12-13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76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566A (en) * 2020-08-14 2022-02-22 김진태 Herbicide spray water boat towed by drone
KR20220021565A (en) * 2020-08-14 2022-02-22 김진태 Herbicide spray capsule device towed by drone
KR20220132848A (en) * 2021-03-24 2022-10-04 서광석 Posting device using drone
KR20220149276A (en) 2021-04-30 2022-11-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7155A1 (en) * 2004-08-06 2006-02-09 John Welch System and method for a tow-rope retraction device for watercraft
KR20160129788A (en) 2016-06-13 2016-11-09 장민하 Bike equipped with wired drone
US20160376000A1 (en) * 2014-07-10 2016-12-29 Christoph Kohstall Submersible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70096460A (en) *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A Drone Having a Converting Structure for Running Under Water
KR101796555B1 (en) * 2017-01-19 2017-11-10 차영천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7155A1 (en) * 2004-08-06 2006-02-09 John Welch System and method for a tow-rope retraction device for watercraft
US20160376000A1 (en) * 2014-07-10 2016-12-29 Christoph Kohstall Submersible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70096460A (en) *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A Drone Having a Converting Structure for Running Under Water
KR20160129788A (en) 2016-06-13 2016-11-09 장민하 Bike equipped with wired drone
KR101796555B1 (en) * 2017-01-19 2017-11-10 차영천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566A (en) * 2020-08-14 2022-02-22 김진태 Herbicide spray water boat towed by drone
KR20220021565A (en) * 2020-08-14 2022-02-22 김진태 Herbicide spray capsule device towed by drone
KR20220132848A (en) * 2021-03-24 2022-10-04 서광석 Posting device using drone
KR20220149276A (en) 2021-04-30 2022-11-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Tangle Prevention Apparatus of umbilical cable using under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763B1 (en)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763B1 (en) Tracting vehicle using drone capable of running under water
US11919608B2 (en)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CN109416546B (en) Traction devic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9738360B2 (en) Submersible remote controlled vehicle
US10071792B2 (en) Underwater personal submersible
US10501155B2 (en) Remotely-controlled observation vehicle for observing swimmers
EP2729355B1 (en)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US9511833B2 (en) Multi-component robot for below ice search and rescue
EP2943399B1 (en)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with on-board oxygen
Canelon et al.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a multi-domain unmanned vehicle operating in aerial, terrestrial, and underwater environments
CN112249269A (en) Portable water rescue propelling device
CN112339941A (en) Water rescue device
TR2023005392A2 (en) ELECTRIC SURF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