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093B1 -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 Google Patents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093B1
KR102478093B1 KR1020210056713A KR20210056713A KR102478093B1 KR 102478093 B1 KR102478093 B1 KR 102478093B1 KR 1020210056713 A KR1020210056713 A KR 1020210056713A KR 20210056713 A KR20210056713 A KR 20210056713A KR 102478093 B1 KR102478093 B1 KR 10247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mbilical cable
main body
cable
underwater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9277A (en
Inventor
김기주
김수용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093B1/en
Publication of KR2022014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63G2008/005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remotely controlled
    • B63G2008/007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remotely controlled by means of a physical link to a base, e.g. wire, cable or umbil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전후, 상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해양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여과시키는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해서, 상기 본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인접한 주변환경 및 엄빌리컬 케이블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촬영된 본체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데이터화하는 전송모듈이 형성된 제2 카메라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하여 찍을 수 있는 제3 카메라가 구비된 촬영장치와 상기 본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과 제어를 받을수 있는 엄빌리컬 케이블을 포함하며, 일정 구역 내를 운행하면서 수중정보의 촬영 수집하는 수중드론과 상기 제2카메라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촬영할 때,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 위치와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카메라에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와 상기 제2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전달받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은 내부에 상기 수중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과 상기 수중드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에 의한 성과물은 부산광역시의 대학혁신연구단지 조성사업 중 "동명대학교 대학혁신연구단지 조성산업"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An umbilical cab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underwater drone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propulsion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forward and backwar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a purifi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filter fluid containing marine pollutants,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ain body. A first camera that photographs the body and a transmission module that photograph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umbilical cable adjacent to the body and obtains and converts body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into data in real time so as to be tracked in real time A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 formed second camera and a third camera capable of enlarging and taking a picture of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an umbilical cable capable of supplying and controlling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When the underwater drone and the second camera for photographing and collecting underwater information while traveling in the area photograph the umbilical cable,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photographing position and angle of the second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amera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the monitoring unit receiving the image acquired from the second camera, and the umbilical cable have a power supply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drone and a power supply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nderwater drone. Characterized in that a data cable is built-in.
The result of this application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ongmyong University University Innovation Research Complex Creation Industry" among the University Innovation Research Complex creation proje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Description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본 발명은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이상상태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모니터링할수 있는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ilical cab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underwater drone, and relates to an umbilical cab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in real time.

엄빌리컬 케이블(Umbilical Cable)이라는 것은 해양 엔지니어링에 사용되는 복합케이블의 통칭으로서 크게 지질 탐사용, 석유 시추용, ROV(원격조종 로봇잠수정)용으로 구분된다.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은 해저장비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장비를 제어하고 모니터링 장비 등의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해양플랜트, 에너지 탐사 및 시추용, 무인잠수정용, 수중드론용으로 사용된다.Umbilical cable is a general term for composite cables used in marine engineering, and is largely classified into geological exploration, oil drilling, and ROV (remotely controlled robotic submersible). The umbilical cable is connected to marine equipment to supply power, control equipment, and transmit signals to monitoring equipment. It is mainly used for offshore plants, energy exploration and drilling, unmanned submersibles, and underwater drones.

예를 들어, 모선과 수중 해양장비 사이에 연결되어 수중 해양장비에 전원 및 유압을 공급하거나 모선과 수중 해양장비 사이의 통신선로 기능을 수행한다. For example, it is connected between the mother ship and the underwater marine equipment to supply power and hydraulic pressure to the underwater marine equipment or functions as a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mother ship and the underwater marine equipment.

특히,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통해 동적 움직임이 많은 해저의 수중드론을 운용하는 경우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엄빌리컬 케이블을 통한 통신 불량 또는 엄빌리컬 케이블의 손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In particular, when operating an underwater drone on the seabed with a lot of dynamic movement through the umbilical cable, entanglement of the umbilical cable frequently occurs, resulting in poor communication through the umbilical cable or damage to the umbilical cable. There is a high chance that damage problems will occur.

이와 같은 엄빌리컬 케이블 손상과 이로 인한 사고 예방을 위해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에 부이(Buoy)를 부착하거나, 상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작업자나 관리자가 엄빌리컬 케이블의 상태를 수시로 감시하는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damage to the umbilical cable and accidents caused by it, a buoy is attached to the umbilical cable of the underwater drone or a camera is installed on the top so that the operator or manager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umbilical cable from time to time. method can be presented.

이러한 굵고 무거운 엄빌리컬 케이블을 사용하는 수중 드론은 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부이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것은 결국 수중드론의 작업에 방해가 된다. An underwater drone using such a thick and heavy umbilical cable must use a buoy of a corresponding size, which eventually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of the underwater drone.

또한, 수중드론에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도 역시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심해(深海)의 시계가 좋지 않은 영역에서는 사용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urveillance method using a camera in an underwater drone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work efficiency is low and it is very difficult to use in areas where visibility in the deep sea is poor.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5-010175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101757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013369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13369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0-012913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129137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수중드론에 연결되는 엄빌리컬 케이블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엄빌리컬 케이블의 상태 정보를 운영자가 알 수 있도록 전송하여, 운영자가 수중드론을 안전한 조종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하여 엄빌리컬 케이블에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생성될 수 있는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nitors the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connected to the underwater drone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umbilical cable so that the operator can know To provide an underwater drone umbilical cab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o prevent secondary damage that may be generated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in the umbilical cable by helping the operator safely maneuver the underwater drone. Aim for what you can.

또한,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 및 촬영위치를 제어하여 더욱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ilical cab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underwater drone capable of more accurate monitoring by controlling the shooting angle and shooting position of an image capture devi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전후, 상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해양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여과시키는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해서, 상기 본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인접한 주변환경 및 엄빌리컬 케이블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촬영된 본체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데이터화하는 전송모듈이 형성된 제2 카메라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하여 찍을 수 있는 제3 카메라가 구비된 촬영장치와 상기 본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과 제어를 받을수 있는 엄빌리컬 케이블을 포함하며, 일정 구역 내를 운행하면서 수중정보의 촬영 수집하는 수중드론과 상기 제2카메라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촬영할 때,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 위치와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카메라에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제2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전달받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은 내부에 상기 수중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과 상기 수중드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and a propulsion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forward and backward,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a purif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filter fluid containing marine pollutants, ,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in real time, photographing the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main bod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djacent to the main body and the umbilical cable, and obtaining the main body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in real time A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 second camera having a transmission module for converting data into data and a third camera capable of zooming in and taking a photograph of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an umbilical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hat can be supplied with power and controlled from an external device.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photographing position and angle of the second camera when the second camera photographs the umbilical cable and the underwater drone that includes a cable and collects underwater information while traveling within a certain area. A power supply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drone insid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the second camera, the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cond camera of the image capture device, and the umbilical cable. and a dat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nderwater drone.

또한, 상기 제2카메라는 촬영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비디오 영상개선모듈이 장착된 적외선 카메라이며,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camera is an infrared camera equipped with a video image enhancement module to increase photographing accuracy,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또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에는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에서 감지된 기울기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로 전달시키는 센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mbilical cabl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that moves along the umbilical cable, receives a gradient detected by the umbilical cable, and transfers it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또한,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설정된 기울기를 초과하면 상기 제2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촬영하도록 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amera to take a picture when the slope set through the sensor unit is exceeded,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monitoring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중드론과 연결되는 엄빌리컬 케이블의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실시간 상태감시 정보를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수중드론의 안전 조종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수중드론을 사용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고 수중드론과 관련된 유지 보수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connected to the underwater drone in real time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e real-time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to help the safety control of the underwater dron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ork using the underwater drone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cost and time for maintenance related to underwater drones.

또한, 엄빌리컬 케이블과 네트워크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자동 절체 시스템에 의해 대체 네트워크 경로로 인하여 실시간 및 자동으로 연결해줌으로써 네트워크의 신뢰성 확보를 도모할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mbilical cable and the network is disconnected,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connects the network automatically and in real time through an alternative network path, thereby ensuring reliability of the network.

도 1은 수중드론의 사시도.
도 2는 수중드론의 단면도.
도 3은 수중드론의 토출부의 저면도.
도 4는 영상촬영장치와 제어신호 전송부와의 구성도.
도 5는 엄블리컬 케이블의 구성도.
도 6은 엄블리컬 케이블의 단면도.
도 7은 엄블리컬 케이블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엄빌리컬 케이블과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럭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water dron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nderwater drone.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discharge unit of the underwater dron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e capture device and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umblical cabl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mblical cable.
7 is a block diagram of an umblical cable monitoring system;
8 is a flow chart of a monitoring method;
9 is a block diagram of an umbilical cable and a network connection monitoring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clear in advance that a singular expression also mean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want to leave

도 1은 수중드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중드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수중드론의 토출부의 저면도이고, 도 4는 영상촬영장치와 제어신호 전송부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엄블리컬 케이블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엄블리컬 케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엄블리컬 케이블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엄빌리컬 케이블과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모니터링 장치의 블럭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water dron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derwater drone, FIG. 3 is a bottom view of a discharge unit of the underwater drone,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e capture device and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mblical cable,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n umblical cable monitoring system, and FIG. 8 is a flowchart of a monitoring method, and It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connection status monito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의한 실시예에 있어 구성요소 중에 하나인 수중에서 일정 구역 내를 운행하며, 수중 정보를 촬영 수집하는 수중드론(100)이다. 상기 수중드론(100)은 수중에서 부양한 상태로 원격 운행될 수 있는 것으로, 수중의 이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흡입하여 수중 속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 있어서 흐트러짐 없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is an underwater drone 100 that travels in a certain area under water,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llects underwater information. The underwater drone 100 can be operated remotely while floating in water, and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by sucking fluids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the balance is maintained without disturbing. that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수중드론(100)은 별도의 조명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용이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nderwater drone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lighting member (not shown) to enable easy shooting even in a dark environment.

도시된 대로, 본체(110)는 골조를 이루는 부재로 형성되며, 복수의 패널 또는 복수의 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예로서, 알루미늄 패널 또는 알루미늄 빔과 같이 비교적 가벼운 경량이면서 내식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main body 110 is formed of a framing membe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nels or a plurality of beams. The main body 110 may be made of a relatively lightweight and corrosion-resistant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panel or an aluminum beam.

또한,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를 전후, 상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추진장치(140)는 덕트(미도시), 틸팅축 (미도시)및 프로펠러(미도시)를 포함하며 덕트는 프로펠러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프로펠러를 보호한다. 상기 추진장치(140)를 이용하여 수중드론(100)을 추진시키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propulsion device 140 formed on the main body 110 to move the main body 10 forward and backward, up and down, left and right is provided. The propulsion device 140 includes a duct (not shown), a tilting shaft (not shown), and a propeller (not shown), and the duct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peller to protect the propell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opelling the underwater drone 100 using the propulsion device 140 will be omitted because it is a well-known technique.

엄빌리컬 케이블(160)은 상기 수중드론(100)의 본체(110)에서 대략 가운데 부분으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 공급과 제어를 받는다. The umbilical cable 160 is formed through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receives power supply and control from an external device.

또한, 통신장치(150)는 외부의 장비 등과 소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예로서, 수중 지형 영역에 설치된 Ultra wideband receiver, 스마트폰, 태블릿, 혹은 다른 계산 장치와 같은 무선 접근가능한 장치들(미도시)과도 무선통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15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equipment and the like. For example, it can als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wirelessly accessible devices (not shown) such as ultra wideband receivers, smartphones, tablets, or other computing devices installed in an underwater terrain area.

도 2는 수중드론(100)의 단면도인데, 도시된 대로 상기 본체(110)에 연결되어 해양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여과시키는 정화장치(120)는 오염 물질이 포함된 유체를 흡입하여 오염 물질을 여과시켜 걸러낸 다음 정화된 유체를 다시 한번 토출하는 장치로 정화통(121), 흡입펌프(122) 및 토출부(123)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도면에서는 엄빌리컬 케이블(160)이 고정부재(도면부호는 생략)에서 뽑아진 상태를 나타낸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s shown, the purification device 1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and filtering the fluid containing marine pollutants sucks the pollutant-containing fluid and removes pollutants. It is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fluid after filtering it out, and includes a cleaning container 121, a suction pump 122, and a discharge unit 123. For reference, the drawing shows a state in which the umbilical cable 160 is pulled out of the fixing member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121)은 유체가 유입되는 인입부(121a)와 오염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21b)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21b)는 정화통(121)의 내부의 저장공간을 상부 공간(121c)과 하부 공간(121d)으로 구획하며, 상기 필터(121b)는 상부공간(121c)과 하부 공간(121d)은 필터(121b)를 통해 연통되어, 유입된 유체는 상기 필터(121b)를 지나서만 흡입펌프(122)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As shown, the purification container 121 includes an inlet 121a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a filter 121b through which contaminants are filtered. The filter (121b) partitions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purification container (121) into an upper space (121c) and a lower space (121d), and the filter (121b) is the upper space (121c) and the lower space (121d) is a filter 121b communicates with it, and the introduced fluid can move toward the suction pump 122 only through the filter 121b.

여기서, 상기 인입부(121a)는 필터(121b)에 의해 구획되는 하부 공간(121d)에 형성되어, 하부공간(121d)에 유입된 유체는 흡임펌프(122)의 흡입력에 의해 필터(121b)를 지나서 상부 공간(121c)으로 이동한다.Here, the inlet portion 121a is formed in the lower space 121d partitioned by the filter 121b, and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lower space 121d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121b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ump 122. It passes and moves to the upper space (121c).

필터(121b)는 저장공간의 하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1b)는 인입부(121a)로부터 가까운 쪽 부분이 인입부(121a)로부터 먼 쪽 부분보다 더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121b may be formed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e filter 121b may be formed so that a portion closer to the inlet portion 121a has a greater height than a portion farther from the inlet portion 121a.

상기 필터(121b)는 오염 물질이 통과될 수 없을 정도로 작게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므로, 오염 물질을 필터(121b)에 의해 걸려져, 상부 공간(121c)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걸러진 오염 물질은 하부 공간(121d)에 침적된다.Since the filter 121b has a through hole formed so small that contaminants cannot pass through, the contaminants are caught by the filter 121b and cannot move to the upper space 121c. That is, the filtered contaminants are deposited in the lower space 121d.

또한, 정화통(121)은 하면의 일면에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이물질 배출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container 121 may further have a foreign material discharge unit (not shown)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as to remove foreign materials accumulat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흡입펌프(122)는 상부 공간(121c)과 연통하여 형성되며, 연결관 등과 같은 연통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펌프(122)는 오염물질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높은 흡입력을 가지며, 흡입펌프(122)의 흡입력에 의해 인입부(121a)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으며 토출부(123)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토출될 수 있다. The suction pump 12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pace 121c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member (not shown) such as a connecting pipe. The suction pump 122 has a high suction power so that contaminants can be sufficiently removed, and fluid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ion 121a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ump 122 and introduc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23. Fluid may be ejected.

상기 흡입펌프(122)는 정화통(121) 내의 유체가 하부 공간(121d)으로부터 상부 공간(121c)으로 역류되도록 상측방향으로 유체를 흡입한다. 따라서, 흡입펌프(122)에 의해 유체가 필터(121b)를 통해 상부 공간(121c)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물질은 필터(121b)에 걸러지게 된다.The suction pump 122 sucks the fluid upward so that the fluid in the purifier 121 flows backward from the lower space 121d to the upper space 121c. Therefore, as the fluid is moved to the upper space 121c through the filter 121b by the suction pump 122,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in the filter 121b.

또한, 상기 흡입펌프(122)는 토출부(123)를 통해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압력을 본체(110)의 추진력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압력으로 유체를 흡입, 토출한다.In addition, the suction pump 122 sucks and discharges the fluid at a pressure sufficient to use the discharge pressure for discharging the flui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23 as the driving force of the main body 110 .

상기 토출부(123)는 흡입펌프(122)에 연결되어 필터(121b)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유체를 흡입펌프(122)에 의해 전달받아 토출시킨다. 상기 토출부(123)는 유체를 토출시킴에 있어서 본체(1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된 유체를 서로 상쇄되는 방향으로 토출시킨다.The discharge unit 123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ump 122 and receives and discharges the fluid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by the filter 121b by the suction pump 122 . The discharge unit 123 discharges the sucked fluids in mutually offset directions so as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main body 110 in discharging the fluids.

토출부(123)는 상기 토출부(123)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 예로,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수 있다. 이 때, 토출부(123)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토출부(123)의 형상은 원형의 링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123 has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art 123, and may have, for example, a circular ring shape.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ion 123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 shape of the discharge unit 123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ring and may be changed as needed.

이하, 토출부(123)에 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ischarge unit 123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토출부(123)는 흡입펌프(122)에 의해 전달받은 유체를 토출시킬 수 있는 복수의 토출공(123a)을 갖는다. 상기 토출공(123a)은 상기 토출부(123)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토출공(123a)은 형상 및 크기가 서로 같다. Referring to FIG. 3 , the discharge unit 123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3a through which fluid received by the suction pump 122 is discharged. The discharge holes 123a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discharge part 123, and the discharge holes 123a formed at symmetrical positions and facing each other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또한, 토출공(123a)은 상기 토출부(123)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측 방향으로 유체 배출시 반력에 의해 본체(110)를 상승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대로 토출공(123a)은 토출부(123)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123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123 to raise the main body 110 by a reaction force when fluid is discharged in a downward direction. At this time, as show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3a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123 .

상기 토출공(123a)은 다른 예로, 토출부(123)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측 방향으로 유체 배출시 반력에 의해 본체(110)를 하강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ischarge hole 123a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123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lowered by a reaction force when fluid is discharged upward.

또한, 토출공(123a)은 또 다른 예로, 토출부(123)의 측면에 형성되어 측면방향으로 유체 배출시 서로 상쇄되어 아무런 반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discharge hole 123a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123 so as to offset each other when fluid is discharged in a lateral direction, so that no reaction force may be received.

이하에서는,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130)에 대한 설명을 대략적으로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130 for capturing the umbilical cable 160 will be roughly described.

영상촬영장치(130)는 본체(11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위치 및 인접한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촬영장치(130)는 본체(1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본체(110)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131) 및 상기 본체(110)에 인접한 주변환경 및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132) 및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하여 찍을 수 있는 제3카메라(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image capture device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o capture the loca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includes a first camera 131 for capturing the body 110 by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body 110 in real time,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adjacent to the body 110 and an umbilical cable 160 It includes a second camera 132 for photographing and a third camera 133 for enlarging and taking a picture of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또한, 상기 제1카메라(131)는 수중드론(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L)가 표면에 일정 간격의 원형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in the first camera 131, light emitting diodes (L)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ar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또한, 수중드론(100)이 운행하는 동안, 상기 제2 카메라(132)에는 제1카메라(131)에서 촬영된 주변의 영상정보와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데이터화하여 모니터링부(180)로 전송하는 전송모듈(미도시)도 포함된다.In addition, while the underwater drone 100 is operating, the second camera 132 acquires the surround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umbilical cable 160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131 in real time, converts them into data, and monitors the A transmission module (not shown) for transmission to 180 is also included.

상기 모니터링부(180)는 제2카메라(132)로부터 획득한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영상을 전달받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그밖의 제1카메라(131)와 제3카메라(133)로부터도 영상을 전달받는다. The monitoring unit 180 serves to receive the image of the umbilical cable 160 obtained from the second camera 132 . Also, images are received from the other first camera 131 and the third camera 133 .

이하에서는, 상기 영상촬영장치(130)에 대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를 보면,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170)에서 영상촬영장치(1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영상촬영장치(130)의 통신부(136)는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17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촬영장치(130)는 해당 좌표의 위치로 자동 이동하여 추적 물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 when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70 to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the communication unit 136 of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control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70. receive a signal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is implemented to monitor the image of the tracked object in real time by automatically moving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상기 영상촬영장치(130)는 도시된 대로,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134), 적외선 카메라(135)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통신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상기 CCD 카메라(134), 적외선 카메라(135) 및 통신부(136)는 제1카메라(131), 제2카메라(132), 제3카메라(133) 모두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카메라(131), 제2카메라(132) 및 제3카메라(133)들은 모두 CCD 카메라(134), 적외선 카메라(135)의 이중 카메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As shown,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6 in a form in which a CCD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134 and an infrared camera 135 are coupled to each other.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CD camera 134, the infrared camera 135,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6 are built in all of the first camera 131, the second camera 132, and the third camera 133. Accordingly, the first camera 131, the second camera 132, and the third camera 133 all have dual cameras of a CCD camera 134 and an infrared camera 135.

상기 영상촬영장치(130)는 상기 CCD 카메라(134)는 주간에 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육안 확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135)는 야간 및 안개 시에 도 해상 상황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주 야에 걸쳐 가리지 아니하고 모두 모니터링할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In the imaging device 130, the CCD camera 134 is for visually checking the sea conditions in real time during the day, and the infrared camera 135 is for real-time monitoring of the sea conditions even at night and in fog. Therefore, there is also an effect of monitoring all of them regardless of day and night.

따라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135)에는 안개, 연기, 황사, 해무, 악천후 등과 같은 방해물이 반사시킨 빛의 파장을 제거하고, 방해물 뒤편 사물에 대한 고유의 빛을 증폭하고 복원하여 추적물체에 대한 오작동을 사전 예방하여 표적 감시의 촬영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비디오 영상 개선 모듈(미도시)이 적용되어 있다. Therefore, the infrared camera 135 removes wavelengths of light reflected by obstacles such as fog, smoke, yellow dust, sea fog, bad weather, etc., and amplifies and restores the original light of the object behind the obstacle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racking object. A video image improvement module (not shown) is applied to prevent in advance and increase the shooting accuracy of target monitoring.

상기 통신부(136)에서는 상기 카메라부(130)를 통하여 생성하는 촬영 정보를 모니터링부(180)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17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CCD 카메라(134)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135)의 촬영 위치 또는 촬영 각도가 변경되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36 transmits photograph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amera unit 130 to the monitoring unit 180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 Accordingly, the capturing position or the capturing angle of the CCD camera 134 and the infrared camera 135 is changed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수중드론(100)이 촬영 수집한 수중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촬영장치(130)의 제2카메라(132)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촬영할 때, 더욱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카메라(132)의 촬영 위치 또는 촬영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카메라(132)에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제2카메라(132)가 촬영할 때, 더욱 명확한 촬영이 되도록 상기 제2카메라(132)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서, 상기 제2카메라(132)의 촬영 위치 또는 촬영 각도를 변경시켜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second camera 132 of the imaging device 130 photographs the umbilical cable 160 based on underwa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nderwater drone 100, the above A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170 is formed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 photographing position or a photographing angle of the second camera 132 to the second camera 132 . That is, when the second camera 132 takes a picture of the umbilical cable 160,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amera 132 so that the picture can be taken more clearly. It is to change the shooting angle and shoot.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170)에서 상기 제2카메라(13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2카메라(132)는 해당 좌표의 위치로 자동 이동하여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amera 132, the second camera 132 automatically moves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umbilical cable 160 in real time. that can be monitored.

이하에서는 엄빌리컬 케이블(160)에 대한 설명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umbilical cable 160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를 보면,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160)은 내부에 상기 수중드론(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161)과 상기 수중드론(100)에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162)이 내장된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5, the umbilical cable 160 is a power supply cable 161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drone 100 therein 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r data to and from the underwater drone 100. It is made in the form of a housing in which the data cable 162 is embedded.

부력체(167)는 망사튜브(165) 외주에 결합되어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전체에 중성 부력을 유지한다. 상기 부력체(167)는 엄빌리컬 케이블(160)이 부유하거나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도록 중성부력을 가지게 한다. 상기 부력체(167)는 원통형이고 중앙에 상기 망사튜브(165)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부력체(167)의 형상은 수중에서의 조류 등을 감안하여, 최대한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buoyancy body 167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esh tube 165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throughout the umbilical cable 160. The buoyancy body 167 allows the umbilical cable 160 to float or have neutral buoyancy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depth. The buoyancy body 167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mesh tube 165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buoyancy body 167 is formed as streamlined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currents in the water.

전력공급 케이블(161)은 전원공급부(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전력을 상기 수중 드론(100)으로부터 공급받아 작동시킨다.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161)은 작류를 공급하도록 + 케이블과 - 케이블로 구성될수 있다. The power supply cable 161 receives power provided from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rom the underwater drone 100 and operates it. The power supply cable 161 may be composed of a + cable and a - cable to supply current.

그리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162)은 수중드론(100)으로 신호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And, the data cable 162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or data to the underwater drone 100.

상기 데이터 케이블(162)은 데이터나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수중이라는 특성상 중성부력을 가진 UTP (Unshielded Twisted Pair)타입의 LAN 통신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data cable 162 can be any typ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electrical signals,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UTP (Unshielded Twisted Pair) type LAN communication cable having neutral buoyancy due to the nature of being underwater.

따라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162)을 통해 상기 수중드론(100)에서 오퍼레이터가 내린 명령을 수중드론(100)의 통신보드(미도시)에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수중드론(100)에 장착된 제1카메라(131)와 제2카메라(132) 및 제3카메라(133)로부터 주변의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Therefore, a command issued by an operator in the underwater drone 100 can be input to a communication board (not shown) of the underwater drone 100 through the data cable 162 . In addition, image data of the surroundings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first camera 131, the second camera 132, and the third camera 133 mounted on the underwater drone 10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케이블(162)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은 실리콘 재질의 쉴드(163)로 감싸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162)의 묶음 전체는 하나의 차폐막(164)에 의해 둘러싸여 차폐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one or more data cables 162 may be provided, and each may be wrapped with a shield 163 made of silicon. In addition, the entire bundle of the data cables 162 may have a shielding structure surrounded by one shielding film 164 .

상기 차폐막(164)은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161)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이나 전기적 노이즈가 상기 데이터 케이블(162)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폐막(164)은 알루미늄 재질의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은박지와 같은 것으로 상기 데이터 케이블(162) 전체를 감쌀 수 있다. The shielding film 164 is provided to block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power supply cable 161 from interfering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data cable 162 . At this time, the shielding film 164 may be made of a thin plate made of aluminum. That is, the entire data cable 162 may be wrapped with something such as silver foil.

망사튜브(165)는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161)과 데이터 케이블(162)을 하나의 케이블로 뭉쳐 케이블 형상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망사튜브(165)의 내부에 전력공급 케이블(161), 데이터 케이블(162)가 모두 수용된다. The mesh tube 165 is a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and protecting the shape of the cable by bundling the power supply cable 161 and the data cable 162 into one cable. That is, both the power supply cable 161 and the data cable 162 are accommodated inside the mesh tube 165.

이때, 상기 망사튜브(165)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케이블(161, 162)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망사튜브(165)는 망(net)으로 이루어지되, 케이블이나 공압호스와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감싸도록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mesh tube 165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protects the internal cables 161 and 162 from external impact. The mesh tube 165 is made of a net, but is not coupled to a cable or a pneumatic hose, but is provided to surround it.

따라서, 상기 망사튜브(165)로 인해 각 케이블(161, 162)의 엉김이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지속적인 벤딩으로 인한 피로 파괴(금속선을 계속 구부렸다가 펴면 절단되는 것처럼 반복적인 하중에 의한 고체의 파괴진행 징후)를 방지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망사튜브(165)를 통해 물이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해수나 강물은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161) 또는 데이터 케이블(162)이 가열되는 것을 식혀주는 냉각수 역할도 하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angling or twisting of the cables 161 and 162 due to the mesh tube 165, and fatigue failure due to continuous bending (such as cutting a metal wire when it is continuously bent and stretched) signs of deterioration) may be prevented. Furthermore, even if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mesh tube 165, the introduced seawater or river water serves as cooling water to cool the power supply cable 161 or data cable 162 from being heated.

또한, 공압호스(166)는 수중드론(100) 내부의 압축공기를 주입 또는 조절하여 상기 수중드론(10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공압호스(166)는 지상이나 해상판 등에 형성되는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되어서, 일정 압력의 공기를 수중드론(1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neumatic hose 166 is to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nderwater drone 100 by injecting or adjusting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underwater drone 100, the pneumatic hose 166 is formed on the ground or sea plate It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and serves to deliver air of a certain pressure to the underwater drone 100.

또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은 지상의 장치(미도시)들과도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데, 이에 관련되는 설명은 나중에 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umbilical cable 160 is network-connected to devices (not shown) on the ground, and a rel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엄블리컬 케이블(160)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the umblical cable 16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엄블리컬 케이블(160)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에서,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C)의 표면에 형성되어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임의의 센서로부터 이상 현상을 전송을 받는 감지부(168)와 상기 감지부(168)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기(190)가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7, in the configuration of monitoring the umblical cabl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mblical cable C to move along or transmit an abnormal phenomenon from an arbitrary sensor. A receiving sensing unit 168 and a signal amplifier 190 amplify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68 are configured.

여기서, 상기 신호증폭기(190)는 통상의 OP-AMP(연산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OP-AMP는 버퍼나 증폭기로 널리 사용되며, 상기 OP-AMP는 전하 증폭기나 전압 증폭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전하 증폭기의 출력 전압은 입력 캐패시턴스가 아닌 피드백 캐패시턴스에 관련 되어있다. 이는 전하 증폭기의 출력 전압이 케이블의 캐패시턴스와 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Here, the signal amplifier 190 may be composed of a general operational amplifier (OP-AMP). The OP-AMP is widely used as a buffer or an amplifier, and the OP-AMP can also be used as a charge amplifier or a voltage amplifier. The output voltage of a charge amplifier is related to the feedback capacitance, not the input capacitance. This means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charge amplifier is independent of the capacitance of the cable.

상기 언급한 전압 증폭기의 장점은 자체 온도보상 기능이 있어 일정한 길이의 센서를 사용할 때 매우 유용하다. 온도에 따른 전압의 민감도(g-constant)는 온도에 따른 전하의 민감도(d-constant)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전압 증폭기는 온도에 영향을 덜 받는다. The above-mentioned advantage of the voltage amplifier is that it has its own temperature compensation function, which is very useful when using a sensor with a certain length. The sensitivity of voltage to temperature (g-constant) is smaller than the sensitivity of charge to temperature (d-constant). Therefore, the voltage amplifier is less affected by temperature.

영상촬영장치(130)를 이루는 카메라 중의 하나인 제2카메라(132)는 상기 감지부(168)에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면,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지역을 촬영한다. The second camera 132, which is one of the cameras constituting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captures the pressure or the area where the pressure change is sensed when pressure or a change in pressure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168.

제어부(C)는 감지부(168)로부터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어신호 전송부(170)에서 상기 제2카메라(132)에 제어신호를 전송,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2카메라(132)는 상기 감지부(168)의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을 모니터링부(180)로 전달한다. When pressure or a change in pressure is sensed from the sensing unit 168, the control unit C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amera 132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and receives the signal, the second camera Step 132 captures pressure or a region in which a change in pressure is sensed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sensing unit 168 or a signal in which a change in pressure is detected, and transmits the obtained image to the monitoring unit 180 .

만일, 상기 제2카메라(132)가 고정식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168)로부터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해당 지역을 촬영한다.If the second camera 132 is fixedly installed, the corresponding area is photographed when a pressure or pressure chang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ctor 168 .

여기서, 모니터링부(180)는 카메라(200)로 촬영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컴퓨터, 모바일기기, 태블릿 등 화면 출력이 가능한 기기를 말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C)와 모니터링부(180)는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monitoring unit 180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 screen, such as a computer, mobile device, tablet, etc. with a configuration capable of check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 and the monitoring unit 180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또한,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170)는 상기 감지부(168)로부터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감지부(168)로부터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지역을 촬영하도록 상기 제2카메라(132)의 앵글을 조정하여 상기 제2카메라(132)가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receives the pressure or pressure change detected signal from the sensor 168, based on the pressure or pressure change detected signal from the sensor 168, The second camera 132 is controlled to obtain an image by adjusting an angle of the second camera 132 to capture a region where pressure or a change in pressure is detected.

즉, 제2카메라(132)가 상기 감지부(168)로부터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해당 엄블리컬 케이블(160)의 부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카메라(132)의 앵글을 조정한 후 해당 부위를 촬영한다. That is, when the second camera 132 receives a pressure or a pressure change detected signal from the sensor 168, the second camera 132 captures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umbilical cable 160. After adjusting the angle of the part, take a picture.

상기 제어부(C)는 촬영된 영상(정지영상, 동영상)을 자동으로 전자메일 또는 모바일 문자로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automatically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still image, video) to the manager by e-mail or mobile text message.

즉, 엄블리컬 케이블(160)의 이상 상태를 해당하는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영상 검색을 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이상 상태의 영상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check and manage images in an abnormal state in real tim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image search to check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tate of the umblical cable 160 .

이러한 이상 상황의 영상이 전송되는 과정은, 감지부(168)를 통하여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가 감지되어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C)가 이를 수신하여 제2카메라(132)가 촬영하도록 제어(촬영 또는 이동(회전) 후 촬영)하며, 제어신호 전송부(170)로부터 보조를 받아 정확한 촬영을 할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mage of such an abnormal situation, when pressure or a change in pressur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168 and a signal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C receives it and controls the second camera 132 to take a picture ( Shooting or shooting after moving (rotation) is performed), and accurate shooting can be performed with assistance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C)가 수신하여 네트워크 등을 통해 모니터링부(180)로 전달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케어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ntrol unit C receives the captured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monitoring unit 180 through a network or the like so that the manager can check it in real time.

이때, 상기 제어부(C)는 관리자가 부재중이거나, 상주하지 않는 상위관리자에게 촬영된 영상(정지영상, 동영상)을 자동으로 전자메일 또는 모바일문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C automatically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still image, moving picture) to an upper manager who is absent or does not reside by e-mail or mobile text message.

이하에서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에 있어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기울기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n the method of monitoring the umbilical cable 160, a method of monitoring an abnormal situation by analyzing the slope of the umbilical cable 160 will be described.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표면에는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16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에서 감지된 기울기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170)로 전달시키는 센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The surface of the umbilical cable 160 moves along the umbilical cable 160, receives the slope detected by the umbilical cable 160, and transfers it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r 170. A sensor unit (not shown) is formed.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160)의 자세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센서부는 AHRS이고, X축, Y축, Z축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The sensor unit detects the posture of the umblical cable 160 . Here, the sensor unit is an AHRS and measures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X-axis, Y-axis, and Z-axis.

상기 AHRS를 설명하면, 통상 각속도와 가속도를 이용하여 물체의 자세정보(Roll, Pitch)를 추정하는 시스템을 ARS(Attitude Reference System)이라고 한다. 여기에, 지자계(Compass) 센서를 추가시켜서 물체의 자세정보(Roll, Pitch, Yaw)를 획득하는 시스템을 AHRS(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이라고 한다. 즉, 각속도, 가속도를 출력해주는 것이 아니라 Roll, Pitch, Yaw값을 계산하여 출력해준다.Referring to the AHRS, a system for estimating the attitude information (roll, pitch) of an object using angular velocity and acceleration is called an Attitude Reference System (ARS). Here, a system that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roll, pitch, yaw) of an object by adding a compass sensor is called an 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 (AHRS). In other words, instead of outputting angular velocity and acceleration, Roll, Pitch, and Yaw values are calculated and output.

그러면,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170)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사전에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초과하면, 상기 제2카메라(132)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촬영하도록 하여, 촬영한 영상을 제2카메라(132) 내부의 통신부(136)를 통하여 모니터링부(18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부(180)를 통하여 확인한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Then,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amera 132 to photograph the umbilical cable 160 when the slope exceed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rough the sensor unit,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18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6 inside the second camera 132 . This is to ensure that the manager confirmed through the monitoring unit 180 takes appropriate measures.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엄빌리컬 케이블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어느정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onitoring an umbilical cable will be described with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to some extent.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은 수중드론(100)을 이용하여 수중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S100), 영상촬영장치(130)를 이용하여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감시하기 위하여 그 주변을 촬영하여 탐지 정보나 촬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상기 수중드론(100)이 주변을 운행하면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0), 상기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이 이상상황을 판단하는 단계(S130) 및 엄빌리컬 케이블(160)이 이상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모니터링부(180)에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executing an operation for underwater work using an underwater drone 100 (S100), an umbilical cable 160 using an image capture device 130 ) In order to monitor the surroundings, generating detection information or photographing information (S110), receiving information while the underwater drone 100 travels around (S120), based on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he umbilical cable 160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an abnormal situation (S130) and a step of transmitting to the monitoring unit 18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mbilical cable 160 is in an abnormal situation (S140).

이 때, 상기 전송하는 단계(S140) 이후에, 엄빌리컬 케이블(160)이 손상을 입었거나, 기울기가 급격하게 기울어져서 엉키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리부의 담당자에게 영상을 전송하여 확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the transmitting step (S1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mbilical cable 160 is damaged or tangled due to a steep inclination,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person in charge of the management unit for confirmation may further include.

상기 S100 단계에서는, 영상촬영장치(130)를 통하여 상기 수중드론(100)이 수중의 영역에서 작업을 실행한다. In the step S100, the underwater drone 100 through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executes a task in an underwater area.

상기 S110 단계에서는, 영상촬영장치(130)를 통하여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주변을 촬영하여 촬영 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촬영장치(130)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감시하기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어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tep S110, in order to monitor the umbilical cable 160 through the imaging device 130,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the umbilical cable 16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be installed at a location suitable for monitoring the umbilical cable 160 and monitor it.

상기 영상촬영장치(130)는 CCD 카메라(134)와 적외선 카메라(135)를 포함하고, 주간용과 야간용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CCD 카메라(134)는 주간에 수중의 상황을 실시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135)는 야간에 수중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The image capture device 130 includes a CCD camera 134 and an infrared camera 135, and is provided separately for daytime use and nighttime use. The CCD camera 134 is for checking the underwater situation in real time during the day, and the infrared camera 135 is for monitoring the underwater situation in real time at night.

따라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135)에는 해무(海霧), 수중의 흐림 등과 같은 방해 인자가 반사시킨 빛의 파장을 제거하고, 방해인자에 대한 고유의 빛을 증폭하고 복원하여, 추적 물체에 대한 오작동을 사전에 예방하여 표적 감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비디오 영상 개선 모듈이 적용되어 있다. Therefore, the infrared camera 135 removes wavelengths of light reflected by interfering factors such as sea fog and underwater cloudiness, and amplifies and restores the light inherent to the interfering factor,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tracking object. A video image improvement module is applied to prevent in advance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target surveillance.

또한, 상기 S110 단계는, 상기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촬영장치(130)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을 촬영하도록 상기 제2카메라(132)의 촬영 위치 또는 촬영 각도를 변경하여 촬영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S110,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the capturing position or angle of the second camera 132 is changed so that the image capturing device 130 captures the umbilical cable 160 so that the capturing information is captured. can also create

상기 S120단계는 수중드론(100)이 수중을 운행하면서 탐지정보와 촬영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이다. In step S120, the underwater drone 100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and shooting information while operating underwater.

상기 S130 단계에서는 상기 S120에서의 탐지 정보,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한다. In the step S130, the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is monitor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 the step S120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exists.

상기 S130 단계는 엄빌리컬 케이블(168)의 감지부(168)를 통한 압력 또는 압력 변화의 감지와 센서부를 통한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기울기가 사전에 설정된 기울기를 넘어서는 지 여부등과 같은 이상상황을 판단하는 것이다. The step S130 is the detection of pressure or pressure change through the sensing unit 168 of the umbilical cable 168 and whether or not the tilt of the umbilical cable 160 through the sensor unit exceeds a preset gradient, and the like. It is to judge the same abnormal situation.

상기 S140 단계에서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이 압력의 변환에 의한 감지신호 또는 과도한 기울기의 발생 등과 같은 이상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니터링부(180)에 전달한다. In the step S140, when the umbilical cable 160 is judged to be in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a detection signal due to pressure conversion or an excessive inclin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180.

이하에서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과 네트워크(도시는 생략)와의 연결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200)에 대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본 방식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상태를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모니터링부(180)로 연결되어 전달하는 방식이 해당하는 것이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200 for monitor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umbilical cable 160 and a network (not show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method correspond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160 to the monitoring unit 180 through a network or the like.

도 9를 보면, 모니터링 장치(200)에 관한 블록도인데, 전체 구성은 관리 시스템(210), 진단장치(220), 스위치(230), 다중 서비스 지원 플랫폼(240: MSPP), 탭 모니터링 시스템(250), 자동절체 시스템(260), 분배기(270),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9,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monitoring device 200,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which is a management system 210, a diagnosis device 220, a switch 230, a multi-service support platform 240 (MSPP), a tap monitoring system ( 250),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260, a distributor 270, and an online service provider 280.

여기서, 상기 탭 모니터링 시스템(250)은 실시간으로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신호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160)과 네트워크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네트워크의 대체 경로를 찾아주는 시스템이다. Here, the tap monitoring system 250 is a system that monitors the signal level of the umbilical cable 160 in real time and finds an alternative network path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mbilical cable 160 and the network is disconnected. .

상기 관리 시스템(210)은 상기 탭 모니터링 시스템(2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 가능한 시스템으로 PC 등에 설치된다. The management system 210 is connected to the tap monitoring system 25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network status in real time and is installed in a PC or the like.

이 때, 상기 관리 시스템(210)과 상기 탭 모니터링 시스템(250)은 RS- 232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nagement system 210 and the tap monitoring system 250 are connected via RS-2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진단장치(220)는 상기 관리 시스템(210)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통신망의 손상 등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관리 시스템(210)에 USB로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상기 진단장치(220)는 작동 중인 엄빌리컬 케이블(160)에 대한 네트워크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diagnosis device 22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ystem 210 to measu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such as damage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and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ystem 210 via USB,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diagnosis device 220 may monitor an abnormal network state of the umbilical cable 160 in operation.

또한, 자동 절체 시스템(260)은 상기 탭 모니터링 시스템(250)에 연결되며, 엄빌리컬 케이블(160)과 네트워크의 연결이 끊어졌을 때, 상기 탭 모니터링 시스템(250)에서 찾은 대체 경로로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를 재구성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260 is connected to the tap monitoring system 250, an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mbilical cable 160 and the network is disconnected, the tap monitoring system 250 connects to the alternative path found by the network. reconstitute

상기 분배기(270)는 상기 자동 절체 시스템(260)에 연결되며, 하나의 신호를 다수개의 케이블(도시는 생략)로 분배하는 분배함이다. The distributor 270 is a distribution box that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260 and distributes one signal to a plurality of cables (not shown).

또한, 상기 분배기(270)에 발광다오드인 LED(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엄빌리컬 케이블(160)의 네트워크 정상 연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LED (not shown), which is a light emitting diode,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distributor 270 so that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ther the umbilical cable 160 is properly connected to the network.

따라서, 엄빌리컬 케이블(160)과 네트워크의 연결이 끊어지면 자동 절체 시스템(260)에 의한 대체 경로에서 자동으로 연결해 줌으로써, 네트워크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mbilical cable 160 and the network is disconnected, the automatic switchover system 260 automatically connects them in an alternative path, thereby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network and visually checking the network status.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network status in real time.

따라서, 네트워크 끊김 등과 같은 갑작스런 불량 상태라 할지라도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securing reliability of the network even in a sudden failure state such as network disconnection.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수중드론 110 : 본체
120 : 정화장치 121 : 정화통
121b: 필터 121c: 상부공간
122 : 흡입펌프 123 : 토출부
130 : 영상촬영장치 131 : 제1 카메라
132 : 제2 카메라 133 : 제3 카메라
134 : CCD 카메라 135 : 적외선 카메라
136 : 통신부 140 : 추진장치
150 : 통신장치 160 : 엄빌리컬 케이블
161 : 전력공급 케이블 162 : 데이터 케이블
163 : 쉴드 164 : 차폐막
165 : 망사튜브 166 : 공압호스
167 : 부력체 168 : 감지부
170 : 제어 신호 전송부 180 : 모니터링부
190 : 신호증폭기 C : 제어부
200 : 모니터링 장치 L : 발광다이오드
210 : 관리시스템 220 : 진단장치
230 : 스위치 240 : 다중서비스 지원 플랫폼(MSPP)
250 : 탭 모니터링 시스템 260 : 자동 절체 시스템
270 : 분배기 280 :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
100: underwater drone 110: main body
120: purifier 121: purifier
121b: filter 121c: upper space
122: suction pump 123: discharge unit
130: image capture device 131: first camera
132: second camera 133: third camera
134: CCD camera 135: infrared camera
136: communication unit 140: propulsion device
150: communication device 160: umbilical cable
161: power supply cable 162: data cable
163: shield 164: shield
165: mesh tube 166: pneumatic hose
167: buoyancy body 168: sensing unit
170: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180: monitoring unit
190: signal amplifier C: control unit
200: monitoring device L: light emitting diode
210: management system 220: diagnosis device
230: switch 240: multiservice support platform (MSPP)
250: tap monitoring system 260: automatic transfer system
270: distributor 280: online service provider

Claims (4)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전후, 상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해양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여과시키는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해서, 상기 본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인접한 주변환경 및 엄빌리컬 케이블의 촬영 및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촬영된 본체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데이터화하는 전송모듈이 형성된 제2 카메라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하여 찍을 수 있는 제3 카메라가 구비된 영상촬영장치와 상기 본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 공급과 제어를 받을수 있는 엄빌리컬 케이블을 포함하며, 일정 구역 내를 운행하면서 수중 정보를 촬영 수집하는 수중드론;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통한 촬영을 할 때,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위치와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촬영장치에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제2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전달받는 모니터링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은 내부에 상기 수중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과 상기 수중드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촬영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비디오 영상개선모듈이 장착된 적외선카메라와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기울기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표면에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에서 감지된 기울기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신호 전송부로 전달시키는 센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센서부는 X축, Y축, Z축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고, 통상 각속도와 가속도를 이용하여 물체의 자세정보(Roll, Pitch,Yaw)를 추정하며, 지자계 센서를 추가시켜서 상기 물체의 자세정보(Roll, Pitch, Yaw)를 획득하며,
상기 제2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되며,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해무, 수중의 흐림 등과 같은 방해 인자가 반사시킨 빛의 파장을 제거하고, 방해인자에 대한 고유의 빛을 증폭하고 복원하여, 추적 물체에 대한 오작동을 사전에 예방하여 표적 감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비디오 영상 개선 모듈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umbilical cab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of an underwater drone,
A main body and a propulsion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forward and backward, up and down, left and right;
A purifying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filter fluid including marine pollutants is provided,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can be tracked in real time, so that a firs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main body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adjacent to the main body and A video recording device equipped with a second camera having a transmission module for taking pictures of an umbilical cable and acquiring body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in real time and turning it into data, and a third camera capable of enlarging and taking pictures of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An underwater drone including an umbilical cable capable of receiving power supply and control from an external device in the middle of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and photographing underwater information while traveling within a certain area;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 photographing position and angle of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to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when photographing by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 monitoring unit that receives an image acquired from a second camera of the imaging device; The umbilical cable has a built-in power supply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derwater drone and a data c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nderwater drone,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n infrared camera equipped with a video image enhancement module to increase photographing accurac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An abnormal situation is monitored by analyzing the slope of the umbilical cable,
A sensor unit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umbilical cable to move along the umbilical cable, receive a gradient detected by the umbilical cable, and transfer the received gradient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The sensor unit detects the posture of the umbilical cable, the sensor unit measures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X-axis, Y-axis, and Z-axis, and obtains position information (Roll, Pitch, and Yaw) of the object using normal angular velocity and acceleration. Estimating and acquiring the posture information (Roll, Pitch, Yaw) of the object by adding a geomagnetic sensor,
The second camera uses an infrared camera, and the infrared camera removes wavelengths of light reflected by obstruction factors such as sea fog and underwater cloudiness, amplifies and restores the light inherent to the obstruction factor, and transmits light to the tracking object. An umbilical cabl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an underwater drone, characterized in that a video image improvement module is applied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arget in advanc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arget monito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56713A 2021-04-30 2021-04-30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KR102478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13A KR102478093B1 (en) 2021-04-30 2021-04-30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13A KR102478093B1 (en) 2021-04-30 2021-04-30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77A KR20220149277A (en) 2022-11-08
KR102478093B1 true KR102478093B1 (en) 2022-12-14

Family

ID=8404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13A KR102478093B1 (en) 2021-04-30 2021-04-30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0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259B1 (en) * 2017-06-09 2017-10-25 김수용 Underwater dro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510A (en) * 2013-09-16 2015-03-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Draught measuring system of ship
KR101672414B1 (en) 2014-02-27 2016-1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ble tangle preventing device of ROV for deep sea mining vessel
KR20170084726A (en) * 2016-01-12 2017-07-2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Real-time Status Monitoring Apparatus of Remotely Operated Vehicle Umbilical Cable nearby Lifting Ring
FR3065120B1 (en) 2017-04-10 2019-06-21 Dcns Energies SYSTEM FOR CONNECTING UNDERWATER CABLES
FR3079081B1 (en) 2018-03-19 2022-12-09 Naval Energies CONNECTOR FOR CONNECTING SUBMARINE CABLES AND IN PARTICULAR UMBILICAL CABLES FOR MARINE RENEWABLE ENERGY FAR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259B1 (en) * 2017-06-09 2017-10-25 김수용 Underwater dr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277A (en)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biez et al. Flatfish-a compact subsea-resident inspection auv
KR101911756B1 (en) The system for real-time remote monitoring buoys on the sea
KR102530691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erthing
CN208506594U (en) Unmanned platform cluster cooperative control system
KR20170043035A (en) Water/underwater complex inspection system
CN110012207B (en) Filming apparatus and inspection device
CN102975833A (en) Teleoperation unmanned submersible for detecting and disposing submarine target
KR100889425B1 (en) Photonic buoy
KR20150145590A (en) Remotely operated vehicle system for underwater work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9060102B2 (en) Integrated system for underwater viewing and communications in turbid water
KR101633812B1 (en) The realtime remote monitoring system of buoys on the sea
CN105775073A (en) Modular underwater teleoperator
CN106625700B (en) Large-scale water intaking tunnel monitoring robot that crawls
CN105544641B (en) A kind of two-way advancing hydraulic pressure grab bucket monitoring system in deep-sea
CN102348102A (en) Roof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2228919A (en) Unmanned floating observation device
KR101508290B1 (en) Day-night vision machine and water monitoring system thereof
JP2016118996A (en) Monitoring system
KR102478093B1 (en) Umbilical Cable Status Monitoring system of underwater drone
CN107908163A (en) A kind of unmanned plane Reconnaissance system based on unmanned naval vessels
KR20170003078A (en) Seabed investigation apparatus with self moving buoy and the seabed investigation method thereof
JP5512261B2 (en) Ceiling monitoring robot system
KR20220076592A (en) Target Detection Camera Device having Posture Stabilization Function for Unmanned Surface Vehicle
CN108583813A (en) A kind of deep-sea rescue system
NO3437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ine harv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