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978A -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978A
KR20220148978A KR1020210055794A KR20210055794A KR20220148978A KR 20220148978 A KR20220148978 A KR 20220148978A KR 1020210055794 A KR1020210055794 A KR 1020210055794A KR 20210055794 A KR20210055794 A KR 20210055794A KR 20220148978 A KR20220148978 A KR 2022014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duct
service
mobile
custom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더스팟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더스팟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더스팟
Priority to KR102021005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978A/ko
Publication of KR2022014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매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 중 하나의 WiFi Zone으로 액세스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430)에 단말식별번호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 별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 중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한 것의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추출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전송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 의해 단말식별번호가 수신된 각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서 제공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거쳐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결제 완료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뒤,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모바일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단말 상에서 별도의 앱을 실행할 필요 없이 매장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존(WiFi Zone)에서 무인 판매대인 키오스크와 동일한 화면으로 출력됨으로써, 각 고객의 무선 단말에서 주문 및 결제할 수 있고, 주문 및 결제 내역이 매장의 판매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키오스크의 대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앞에서 길게 줄을 설 필요가 없도록 하고, 각 근거리 무선통신 존을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별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별도로 관리하며,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로 액세스하는 고객 무선 단말의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관리된 이력을 통해 결제에 따라 고객 무선 단말에 제공된 모바일 코드의 불법적인 사용, 고객의 허락을 받지 않고 해킹 등에 의한 편취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각 고객의 기존의 주문 내역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주문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로 제공함으로써, 고객에 맞춤형 메뉴를 통해 신속한 주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PRODUCT AND SERVICE ORDER, SIMPLE PAYMENT SYSTEM FOR MOBILE KIOSK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 상에서 별도의 앱을 실행할 필요 없이 매장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존(WiFi Zone)에서 무인 판매대인 키오스크와 동일한 화면으로 출력됨으로써, 각 고객의 무선 단말에서 주문 및 결제할 수 있고, 주문 및 결제 내역이 매장의 판매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키오스크의 대수를 줄일 수 있고, 키오스크 앞에서 길게 줄을 설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오스크(Kiosk)는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공공장소에 설치된 컴퓨터 자동화 시스템으로 음식점 및 카페 등의 요식업에서의 메뉴 주문, 야구장 등과 같은 경기장, 놀이공원, 영화관, 터미널, 역 등의 발권 등을 위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금융 업무를 위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단말기나 발권, 구매, 등록을 대행하는 단말기, 광고 및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검색용 단말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무인자동화 시스템의 활성화와 함께 키오스크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는 있느나,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경우 부족한 키오스크의 대수로 인해 긴 줄을 서서 오랫동안 기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키오스크의 복잡한 메뉴 선택 과정에 따라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취약계층인 어린이, 노약자 등에게는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오랜시간 줄을 서야하는 문제점과, 최근 보급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을 이용해 간편하게 각 매장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로의 액세스에 따라 신속한 메뉴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로서, 스마트폰 결제기반 차세대 키오스크형 주문 시스템 및 결제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90564(2013.07.31)호)은 키오스크(kiosk)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상품 또는 서비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키오스크에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오스크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판매자 서버로 상기 선택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키오스크에서 상기 판매자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의 완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결제의 완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 서버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한 결제요청이 상기 결제 서버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결제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한 통신을 통해 상기 결제가 완료되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무인 키오스크 도어락을 자동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67936(2017.05.31)호)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무인 키오스크 개폐 관련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통한 관리자 등록을 하고, 스마트폰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무인 키오스크의 도어락 개폐를 관리하는 키오스크 개폐를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으로 키오스크를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46831(2011.05.18)호)은 일정거리 내의 지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정보를 저장한 키오스크 정보 제공 서버; 위치파악기술을 이용하여 파악된 스마트폰 위치를 키오스크 정보 제공 서버에 제공하여 수신된 상기 스마트폰 위치로 일정거리 내의 지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정보 중 선택된 키오스크 정보에 해당되는 키오스크로 스마트폰 고유정보를 전송해서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상태에서 키오스크로부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대한 반응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고유정보를 포함한 반응정보를 키오스크로 전송해서 상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해서 출력하거나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 고유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스마트폰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정보 수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를 상기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상기 반응정보를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정보 수신 이벤트 발생정보에 해당되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이벤트 발생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인증된 컨텐츠 제공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087088(2012.08.09)호)은 스마트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제공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상기 컨텐츠가 실행되며, 고유 아이디를 구비하여 협력수단과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상기 키오스크에서 제공되는 각각의 컨텐츠 업체의 관리서버로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및 컨텐츠 참여에 따른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수단; 및 상기 키오스크 및 협력수단과의 실시간 통신을 통해 키오스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감시와 사용자에게 컨텐츠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안전하게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된 컨텐츠 제공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시된 기술들은 모두 사용자의 단말과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나, 기본적으로 별도의 키오스크를 구비하여 키오스크와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결과에 따른 정보 및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과 같이 키오스크의 대수가 부족한 경우 오랜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과 복수의 정보에 대한 신속한 키오스크에 대한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90564(2013.07.31)호 "스마트폰 결제기반 차세대 키오스크형 주문 시스템 및 결제 방법(SYSTEM FOR NEXT GENERATION KIOSK TYPE ORDER BASED ON SMART PHONE PAYMENT AND PAYMENT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67936(2017.05.31)호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무인 키오스크 도어락을 자동 개폐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and shutting door lock unmanned kiosk automatically through user authentication in smartphon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1-0046831(2011.05.18)호 "스마트폰 및 키오스크 간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VING SYSTEM AND METHOD BETWEEN SMART PHONE AND KIOSK)"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087088(2012.08.09)호 "인증된 컨텐츠 제공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KIOSK SYSTEM FOR PROVIDING CERTIFIED CONTENT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단말 상에서 별도의 앱을 실행할 필요 없이 매장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존(WiFi Zone)에서 무인 판매대인 키오스크와 동일한 화면으로 출력됨으로써, 각 고객의 무선 단말에서 주문 및 결제할 수 있고, 주문 및 결제 내역이 매장의 판매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키오스크의 대수를 줄일 수 있고, 키오스크 앞에서 길게 줄을 설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근거리 무선통신 존을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별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별도로 관리하며,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로 액세스하는 고객 무선 단말의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관리된 이력을 통해 결제에 따라 고객 무선 단말에 제공된 모바일 코드의 불법적인 사용, 고객의 허락을 받지 않고 해킹 등에 의한 편취 등을 예방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고객의 기존의 주문 내역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주문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로 제공함으로써, 고객에 맞춤형 메뉴를 통해 신속한 주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방법은,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매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 중 하나의 WiFi Zone으로 액세스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430)에 단말식별번호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 별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 중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한 것의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추출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전송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 의해 단말식별번호가 수신된 각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서 제공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거쳐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결제 완료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뒤,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모바일 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계는,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매장 단말(200)이 운영하는 WiFi Zone으로 액세스한 것임을 고객 무선 단말(100)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해 매장 단말(200)을 운영하는 상품/서비스 제공 업체의 업체 정보를 팝업창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의 팝업창 정보는,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 정보로 진입하기 위한 메인 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4 단계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 전송하는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에는 각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 사이에, 모바일 결제 서버(5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100)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한 뒤, 고객 무선 단말(100) 상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개인인증정보에 대한 확인 절차가 고객 무선 단말(100)에서 완료되어, 인증 완료 정보와 함께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 단말 상에서 별도의 앱을 실행할 필요 없이 매장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존(WiFi Zone)에서 무인 판매대인 키오스크와 동일한 화면으로 출력됨으로써, 각 고객의 무선 단말에서 주문 및 결제할 수 있고, 주문 및 결제 내역이 매장의 판매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키오스크의 대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앞에서 길게 줄을 설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근거리 무선통신 존을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별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를 별도로 관리하며,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로 액세스하는 고객 무선 단말의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관리된 이력을 통해 결제에 따라 고객 무선 단말에 제공된 모바일 코드의 불법적인 사용, 고객의 허락을 받지 않고 해킹 등에 의한 편취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각 고객의 기존의 주문 내역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주문 상품 또는 서비스 리스트로 제공함으로써, 고객에 맞춤형 메뉴를 통해 신속한 주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 중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방법 중 모바일 코드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방법 중 상품/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서 제공하는 WiFi Zone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액세스(access)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 하나의 매장에서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주문 정보를 발권번호와 함께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매장 운영자에게 통지하도록 하기 위한 매장 단말(200),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 모바일 결제 서버(500), 그리고 빅데이터 서버(6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고객 무선 단말(100)은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매장에서 키오스크와, 별도의 앱이 설치될 필요없이 팝업창을 통해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3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 중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액세스 관리 모듈(421), 주문 정보 제공 모듈(422),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424), 모바일 발권 모듈(425), 그리고 보안 관리 모듈(42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액세스 관리 모듈(421)은 매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 중 하나의 WiFi Zone으로 액세스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430)에 단말식별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은 액세스를 수행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자체적으로 저장하며, 자신의 식별 ID와 함께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후술하는 보안 관리 모듈(426)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액세스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부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가 매장 단말(200)로 제공되면, 매장 단말(2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액세스 관리 모듈(421)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문 정보 제공 모듈(422)은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 별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주문 상품 또는 서비스(이하,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 중 액세스 관리 모듈(421)에 의해 수신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추출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 의해 단말식별번호가 수신된 각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은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게 제공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거쳐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은 기존에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에 의해 동일한 고객 무선 단말(100)에 대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30)에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현재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생성된 월, 요일, 시간 정보를 추출한 뒤, 기존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 중 월별, 요일대별, 시간대별의 3개의 파라미터 중 시간대별을 제 1 가중치, 요일대별을 제 2 가중치, 월별을 제 3 가중치와 같이 설정하며(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 1 가중치로부터 제 3 가중치로 갈수록 정량적 수치가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각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의 월별, 요일대별, 시간대별 각각과 동일 또는 근접도에 따른 월, 요일, 시간에 대한 제 1 내지 제 n 근접도(n은 1.1 이상의 정수)를 정량적 수치로 분석한 뒤, 분석된 각 월, 요일, 시간에 대한 근접도에 각각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라이(multiply)한 뒤, 결과값을 합산하여 합산값이 큰 것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우선순위 중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 해당하는 기존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생성한 뒤, 생성된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 의해 단말식별번호가 수신된 각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상품/서비스 리스트가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음식 메뉴, 카페에서 제공하는 음료 메뉴 등일 경우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은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게 주문 정보 제공 모듈(422)에 의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하지 않고 고객 무선 단말(10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이미지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거쳐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인 영상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서비스 리스트가 대형 가전 매장 등에서 제공하는 가전 상품, 음식 메뉴, 카페에서 제공하는 음료 메뉴 등일 경우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은 고객 무선 단말(100)을 운영하는 고객이 넓은 가전 매장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가전 상품,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다른 사람이 구매한 음식 또는 음료 상품에 대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뒤,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고객 무선 단말(100)로 WiFi Zone을 제공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 별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 중 빅데이터 서버(600) 상에서 인공지능 분석에 의해 분석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지칭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변환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로 수신하여 수신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424)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서버(600)는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와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지칭하는 단어(예, 카페오레) 또는 문장(제 1 놀이기구에 입장을 위한 발권을 돕는 서비스) 변환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 서버(600)는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와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와의 동일 및 유사 판단시,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 자체 또는 다양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영상 객체인 템플릿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 이미지 속의 유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 서버(600)는 영상 이미지가 동영상인 경우,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화소의 특정, 즉, 화소의 명암, 화소의 색상, 화소가 형성하는 선, 및 화소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형태 등으로부터 화소의 특성을 추출하고, 화소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화소를 유사범위로 판단한다. 즉, 빅데이터 서버(600)는 특성이 추출된 화소를 기준 화소로 판단하고, 이 기준 화소와 주변 화소들과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유사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 상품 또는 서비스로 판단한다. 여기서 유사성이란 화소간의 명암 차이 또는 화소간의 거리 차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유사판정에 의해 영상 객체인 템플릿의 패턴이 최종적으로 확정되고, 확정된 템플릿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된 다양한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과 대비되어 최종적으로 영상 이미지 속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가 판별된다.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424)은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결제 서버(5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100)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한 뒤, 고객 무선 단말(100) 상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개인인증정보에 대한 확인 절차가 고객 무선 단말(100)에서 완료되어, 인증 완료 정보와 함께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424)은 결제 완료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발권 모듈(425)은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모바일 코드 정보로 바코드, QR 코드 등의 형식으로 생성한다.
이후, 모바일 발권 모듈(425)은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 즉 각 상품/서비스별 누적된 주문 횟수에 해당하는 발권번호, 그리고 이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매장 단말(2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단순히 주문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발권번호와 함께 모바일 코드 정보를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매장 단말(200)과 데이터버스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무선 단말(100)이 모바일 코드와 발권번호를 매장 단말(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매장 단말(200)이 모바일 코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와, 모바일 발권 모듈(425)으로부터 수신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와 동일한지의 1차 비교 과정을 수행하며, 고객 무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발권번호와 모바일 발권 모듈(425)로부터 수신한 발권번호가 동일한지의 2차 비교 과정을 수행한 뒤, 1차 및 2차 비교 과정의 결과 모두 동일한 경우 상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안 관리 모듈(426)은 액세스 관리 모듈(421)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액세스를 제공한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가 함께 저장되고, 매장 단말(200)에 의해 1차 및 2차 비교 과정의 결과 모두 동일한 경우,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의해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안 관리 모듈(426)은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가 식별 ID에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조회함으로써, 모바일 코드를 제공한 고객 무선 단말(100)과 동일한 단말에 대해서 매장 단말(200)이 관리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WiFi Zone으로 위치했었음을 인증하고 인증 정보를 매장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코드 편취 또는 모바일 코드의 불법적인 양도 등을 수행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에 의한 모바일 코드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방법 중 모바일 코드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매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 중 하나의 WiFi Zone으로 액세스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430)에 단말식별번호를 저장한다(S11). 한편, 단계(S11)에서는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매장 단말(200)이 운영하는 WiFi Zone으로 액세스한 것임을 고객 무선 단말(100)로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해 매장 단말(200)을 운영하는 상품/서비스 제공 업체의 업체 정보를 팝업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팝업창 정보는 단계(S12)에서 후술하는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 정보로 진입하기 위한 메인 화면 정보일 수 있다.
단계(S11) 이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 별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 중 단계(S11)에서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한 것의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추출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전송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 의해 단말식별번호가 수신된 각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제어한다(S12).
단계(S12) 이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서 제공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거쳐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한다(S13).
단계(S13) 이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 전송한다(S14). 여기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에는 각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4) 이후, 모바일 결제 서버(5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100)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한 뒤, 고객 무선 단말(100) 상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개인인증정보에 대한 확인 절차가 고객 무선 단말(100)에서 완료되어, 인증 완료 정보와 함께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결제를 수행한다(S15).
단계(S15) 이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단계(S15)에 따른 결제 완료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뒤,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한다(S16).
단계(S16) 이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모바일 코드 정보를 생성한다(S1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방법 중 상품/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각 상품/서비스별 누적된 주문 횟수에 해당하는 발권번호)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매장 단말(2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며, 주문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발권번호와 함께 모바일 코드 정보를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매장 단말(200)과 데이터버스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전송한다(S21).
즉, 매장 단말(200)로 제공되는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각 상품/서비스별 누적된 주문 횟수에 해당하는 발권번호)는 각 상품 또는 서비스별 발권번호에 고객 무선 단말(100)에 의해 주문된 횟수가 합산되어 하기의 표 1과 같은 n×m 셀 구조(n, m은 서로 같거나 다른 자연수)로 형성되며, 현재 주문된 거이 제 2 상품임과 함께 다른 상품과의 비교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는 주문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발권번호는 고객 무선 단말(100)에 의해 주문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만 순차적으로 발행된 대기 순번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단계(S21) 이후, 고객 무선 단말(100)은 모바일 코드와 발권번호를 매장 단말(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공한다(S22).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매장 단말(200)은 별도의 NFC 리더기(210)를 구비함으로써, 고객 무선 단말(100)로부터 모바일 코드를 수신할 수 있으며, 고객 무선 단말(100)은 NFC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으로 NFC 리더기(210)게 접촉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이 될 수 있다.
단계(S22) 이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단계(S11)에서 액세스를 수행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자체적으로 저장 여부 분석한 뒤(S23), 저장 여부를 판단한다(S24).
단계(S24)의 판단 결과 단말식별번호와 액세스한 이력이 저장되고, 단계(S11)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에 의해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액세스를 제공한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가 함께 저장되는 경우,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의해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S25).
단계(S25) 이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단계(S25)의 분석 결과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가 식별 ID에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조회하여, 모바일 코드를 제공한 고객 무선 단말(100)과 동일한 단말에 대해서 매장 단말(200)이 관리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WiFi Zone으로 위치했었음을 인증하고 인증 정보를 매장 단말(200)로 전송한다(S26).
단계(S26) 이후, 그리고 단계(S24)의 판단 결과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가 단계(S11)에서 액세스를 수행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자체적으로 저장하지 않은 경우, 매장 단말(200)은 모바일 코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와, 단계(S21)에 따라 수신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와 동일한지의 1차 비교 과정을 수행하며, 고객 무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발권번호와 단계(S21)에 따라 수신한 발권번호가 동일한지의 2차 비교 과정을 수행한 뒤, 1차 및 2차 비교 과정의 결과 모두 동일한 경우 상품/서비스를 제공한다(S27).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100 : 고객 무선 단말
200 : 근거리 무선 통신 제공 단말
300 : 네트워크
400 :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
410 :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21 : 액세스 관리 모듈
422 : 주문 정보 제공 모듈
423 : 주문 절차 제공 모듈
424 :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
425 : 모바일 발권 모듈
426 : 보안 관리 모듈
430 : 데이터베이스
500 : 모바일 결제 서버
6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2)

  1.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서 제공하는 WiFi Zone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액세스(access)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 하나의 매장에서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주문 정보를 발권번호와 함께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매장 운영자에게 통지하도록 하기 위한 매장 단말(200),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 모바일 결제 서버(500), 그리고 빅데이터 서버(6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이 자신의 식별 ID와 함께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의 제어부(420)를 구성하는 보안 관리 모듈(426)의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를 수행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 및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자체적으로 저장하는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모바일 키오스크형 모바일 주문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하며, 제어부(420)의 구성으로 액세스 관리 모듈(421), 주문 정보 제공 모듈(422),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424), 모바일 발권 모듈(425), 그리고 보안 관리 모듈(426)을 포함하되,
    액세스 관리 모듈(421)은,
    매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 중 하나의 WiFi Zone으로 액세스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430)에 단말식별번호를 저장하되,
    주문 정보 제공 모듈(422)은,
    각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 별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주문 상품 또는 서비스(이하,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 중 액세스 관리 모듈(421)에 의해 수신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추출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 의해 단말식별번호가 수신된 각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하며,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은,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게 제공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을 거쳐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기존에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에 의해 동일한 고객 무선 단말(100)에 대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30)에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현재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생성된 월, 요일, 시간 정보를 추출한 뒤, 기존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 중 월별, 요일대별, 시간대별의 3개의 파라미터 중 시간대별을 제 1 가중치, 요일대별을 제 2 가중치, 월별을 제 3 가중치와 같이 설정하며(제 1 가중치로부터 제 3 가중치로 갈수록 정량적 수치가 증가하도록 설정), 기존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각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의 월별, 요일대별, 시간대별 각각과 동일 또는 근접도에 따른 월, 요일, 시간에 대한 제 1 내지 제 n 근접도(n은 1.1 이상의 정수)를 정량적 수치로 분석한 뒤, 분석된 각 월, 요일, 시간에 대한 근접도에 각각 설정된 가중치를 멀티플라이(multiply)한 뒤, 결과값을 합산하여 합산값이 큰 것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우선순위 중 미리 설정된 순위 내에 해당하는 기존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생성한 뒤, 생성된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에 의해 단말식별번호가 수신된 각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제공되도록 하며,
    각 고객 무선 단말(100)에게 주문 정보 제공 모듈(422)에 의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하지 않고 고객 무선 단말(10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이미지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을 거쳐 매장 단말(200)과 연결된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인 영상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되, 상품/서비스 리스트가 대형 가전 매장에서 제공하는 가전 상품, 음식 메뉴, 카페에서 제공하는 음료 메뉴인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을 운영하는 고객이 가전 매장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가전 상품,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다른 사람이 구매한 음식 또는 음료 상품에 대한 고객 무선 단말(100)의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뒤,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고객 무선 단말(100)로 WiFi Zone을 제공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 별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 중 빅데이터 서버(600) 상에서 인공지능 분석에 의해 분석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지칭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변환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로 수신하여 수신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424)로 전달하며,
    모바일 결제 제공 모듈(424)은,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결제 서버(500)에 의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100)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한 뒤, 고객 무선 단말(100) 상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개인인증정보에 대한 확인 절차가 고객 무선 단말(100)에서 완료되어, 인증 완료 정보와 함께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결제 완료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바일 결제 서버(5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단말식별번호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며,
    모바일 발권 모듈(425)은,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모바일 코드 정보로 바코드, QR 코드 중 하나의 형식으로 생성하고,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별 발권번호 그리고 이와 함께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매장 단말(200)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주문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발권번호와 함께 모바일 코드 정보를 네트워크(300)와 연결된 매장 단말(200)과 데이터버스와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를 통해 고객 무선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여,
    고객 무선 단말(100)이 모바일 코드와 발권번호를 매장 단말(200)로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매장 단말(200)이 모바일 코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와, 모바일 발권 모듈(425)로부터 수신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와 동일한지의 1차 비교 과정을 수행하며, 고객 무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발권번호와 모바일 발권 모듈(425)로부터 수신한 발권번호가 동일한지의 2차 비교 과정을 수행한 뒤, 1차 및 2차 비교 과정의 결과 모두 동일한 경우 상품/서비스를 제공하며,
    보안 관리 모듈(426)은,
    액세스 관리 모듈(421)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액세스를 제공한 복수의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가 함께 저장되고, 매장 단말(200)에 의해 1차 및 2차 비교 과정의 결과 모두 동일한 경우,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와 매칭되어 저장된 결제 완료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식별 ID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의해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의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분석하되,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고객 무선 단말(100)의 단말식별번호가 식별 ID에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로 액세스한 이력(액세스 시간)을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조회함으로써, 모바일 코드를 제공한 고객 무선 단말(100)과 동일한 단말에 대해서 매장 단말(200)이 관리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제공 단말(200a)의 WiFi Zone으로 위치했었음을 인증하고 인증 정보를 매장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코드 편취 또는 모바일 코드의 불법적인 양도를 수행하는 고객 무선 단말(100)에 의한 모바일 코드의 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에 의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수신한 빅데이터 서버(600)는,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와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를 지칭하는 단어 또는 문장으로 변환된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를 주문 절차 제공 모듈(423)로 제공하며, 빅데이터 서버(600)가 상품/서비스 주문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 이미지와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와의 동일 및 유사 판단시, 빅데이터 서버(600)에 저장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 자체 또는 다양한 주문 상품/서비스 리스트의 각 상품/서비스 패턴 정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과 영상 이미지에 포함된 영상 객체인 템플릿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 이미지 속의 유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KR1020210055794A 2021-04-29 2021-04-29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8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794A KR20220148978A (ko) 2021-04-29 2021-04-29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794A KR20220148978A (ko) 2021-04-29 2021-04-29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78A true KR20220148978A (ko) 2022-11-08

Family

ID=8404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794A KR20220148978A (ko) 2021-04-29 2021-04-29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97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831A (ko) 2009-10-29 2011-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측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87088A (ko) 2011-01-27 2012-08-06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의 상황 검사 방법 및 모터 특성 검사 장치
KR20130090564A (ko) 2012-02-06 2013-08-14 주식회사 연안테크놀로지 전자 제품용 스피커 그릴의 제조 방법
KR20170067936A (ko)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휴비스 내구성이 우수한 차량용 내외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831A (ko) 2009-10-29 2011-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측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87088A (ko) 2011-01-27 2012-08-06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모터의 상황 검사 방법 및 모터 특성 검사 장치
KR20130090564A (ko) 2012-02-06 2013-08-14 주식회사 연안테크놀로지 전자 제품용 스피커 그릴의 제조 방법
KR20170067936A (ko)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휴비스 내구성이 우수한 차량용 내외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328B1 (ko)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9159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cure self payment transactions of retail goods
US10152700B2 (en) Wireless transactions for enhancing customer experience
KR102029649B1 (ko) 키오스크 앱 기반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39543A1 (en)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through proximity based device centric authentication
US20160189461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ased vendor/customer interface
JP6056397B2 (ja) サーバ、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651407B2 (en) Mirrored display and proximal control of autonomous retail systems
WO2015137559A1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36681B1 (ko)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7298B1 (ko) 포스 기반 고객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Lukkari et al. SmartRestaurant: mobile payments in context-aware environment
JP6175735B1 (ja) SNSを利用したWebサイトの中継サー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48978A (ko)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WO2015005861A1 (en) Ordering and payment method and system
KR20130113299A (ko)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407398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169181B1 (ko)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결제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대행 서버와 그 제어방법
KR101857207B1 (ko) Pc방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7350633B2 (ja) 店舗支援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KR102081353B1 (ko)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KR102184382B1 (ko)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KR20140066138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17709950A (zh) 支付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Mishra M-Commerce and It's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