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117A - 대전된 대상의 소화를 위한 위치 홀더가 있는 선형 e-소화 랜스 - Google Patents

대전된 대상의 소화를 위한 위치 홀더가 있는 선형 e-소화 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117A
KR20220148117A KR1020220051731A KR20220051731A KR20220148117A KR 20220148117 A KR20220148117 A KR 20220148117A KR 1020220051731 A KR1020220051731 A KR 1020220051731A KR 20220051731 A KR20220051731 A KR 20220051731A KR 20220148117 A KR20220148117 A KR 2022014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tubular
fire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브레흐트 레쉬케
데이비드 퀘흘
Original Assignee
무러-포위어슈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러-포위어슈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무러-포위어슈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4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타고 있는 전기 장치를 소화하기 위한 소화 랜스(10)를 포함하는 소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 랜스(10)는 핸들 부분(11)을 갖는 고정 부분, 압력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 장치(12)를 갖는 소화약제 공급부, 및 고정 부분에 인접하고 종축(z)을 갖는 관형 소화 부분(13)를 가지며, 자유 단부로부터 소화약제가 압력 하에서 불타고 있는 대상으로 도입될 수 있고, 핸들 부분 및 관형 소화 부분은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11a; 13a)을 가지며, 관형 소화 부분은 기계적 응력 σ ≥ 500 N/mm2를 견디는 높은 인장 강도 Rm을 가지고 용융 온도 tS ≥ 650℃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관형 소화 부분은 자유 단부에서 기하학적으로 테이퍼지고, 압력 하에서 통과되는 소화약제를 위해 좁고 투명한 흐름 횡단면을 가지며, 관형 소화 부분 및 테이퍼진 자유 단부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고, 테이퍼진 자유 단부는 추가로 경화되며; 소화 조립체는, 소화 랜스가 보조 인원에 의해 기하학적 위치에서 소화 랜스로부터 측방향 거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 위치 홀더(30)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에서, 소화 인원이 소화 랜스를 작동시키는 동안, 관형 소화 부분의 종축(z)이 지면에 대해 60° 내지 90° 사이의 각도로 배향된다. 이는 사용 시에 e-소화 랜스를 인체 공학적으로 간단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크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대전된 대상의 소화를 위한 위치 홀더가 있는 선형 E-소화 랜스{LINEAR E-EXTINGUISHING LANCE WITH POSITION HOLDER FOR FIREFIGHTING IN ELECTRICALLY CHARGED OBJECTS}
본 발명은 전기 모터가 장착된 차량과 같은 불타고 있는 전기 장치를 소화하기 위한 선형 소화 랜스를 포함하는 소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 랜스는 작업 인원을 위한 핸들 부분을 갖는 고정 부분, 액체 소화약제용 압력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 장치를 갖는 소화약제 공급부, 및 고정 부분과 선택적으로는 결합 장치에 인접하고 종축을 갖는 선형 관형 소화 부분을 가지며, 자유 단부로부터 소화약제가 압력 하에서 불타고 있는 대상으로 도입될 수 있고, 핸들 부분 및 관형 소화 부분은, 적어도 고정 부분의 영역에서,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을 가지며, 관형 소화 부분은 기계적 응력 σ ≥ 500 N/mm2를 견디는 높은 인장 강도 Rm을 가지고 용융 온도 tS ≥ 650℃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관형 소화 부분은 고정 부분의 맞은편의 자유 단부에서 기하학적으로 테이퍼지고, 압력 하에서 통과되는 소화약제를 위해 좁고 투명한 흐름 횡단면을 가지며, 관형 소화 부분 및 관형 소화 부분의 테이퍼진 자유 단부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고, 관형 소화 부분의 테이퍼진 자유 단부는 추가로 경화된다.
이러한 e-소화 랜스는 DE 20 2020 102 574 U1(= 참조문헌 [1])에 알려져 있다.
환경 및 기후 보호와 지속 가능성의 이유로, 특히, 화석 연료 대신에 전기 에너지를 더 많이 사용하려는 국제적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예를 들어 건물 지붕에 점점 더 많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미래에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기 구동 시스템에 의해 개인 이동수단이 점점 더 많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증가된 전기 에너지 사용이 상당한 잠재적 위험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에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서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배터리로 인해,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화재 사고를 고려할 때, 이러한 잠재적 위험은 이미 점점 더 명백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또는 완전한 전기 작동식 차량과 같이 전기 자동차 근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특히 높은 위험이 나타난다(예를 들어, "E-mobile fire in the USA"; https://www.welt.de/motor/news/article120704501/E-Mobil-Brand-in-den-USA.html(=참조문헌 [3], accessed 11/09/2016).
이러한 전기 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특히 중요한 문제는, 소화 동안에, 화재 자체 및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자기발화 가능성이 있는 요소로 인해, 상당한 위험뿐만 아니라 차량에 장착된 고성능 전기장치나 배터리로 인한 고전압이나 대전류가 전파됨으로써 야기되는 위험을 추가로 점검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DE 10 2018 222 429 A1(= 참조문헌 [12])은 소화 랜스용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랜스에 대한 접근부 및 견인 배터리를 갖는 전기 구동 차량용 비상 세트를 기술하고 있다.
US-A 4,802,535(=참조문헌 [4])는 종축 주위로 선형으로 구성되고 관형 소화 부분을 위한 재료로서 경화 강관이 제안된 소화 랜스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알려진 소화 랜스의 어떤 종류의 전기 절연도 제공되지 않는다.
US 2003/0159837 A1(= 참조문헌 [5])은, 사용 중에, 소화될 대상을 관통하도록 의도된 테이퍼형 노즐을 포함하는 "다목적 워터 해머"을 개시한다. 소화 헤드는 90° 각도로 관형 소화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해머는 원칙적으로 앞에서 기술된 범용 장치에 따라 종축을 따라 선형으로 구성된 소화 랜스가 아니라 비선형 장치이다. 전기 자동차에서 이 장치를 해머처럼 사용하려면, 장치를 차량의 외부 쉘로 구동할 때, 효과적인 영향을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매우 가까운 곳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소화 랜스의 전기 절연이 제공되거나 여기에 표시되지 않는다. 2002년과 2003년에는 전기 구동 차량이 오늘날처럼 아직 고려되지 않았을 것이다.
CN 106 492 384 A(= 참조문헌 [11])는 또한 종축으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배열된 비선형으로 구성된 소화 랜스를 개시하고 있다. 참조문헌 [5]에 따른 소화 장치와 동일한 이유로, 이러한 비-일반 장치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완전히 부적합할 것이다.
US 2002/019307 A1(=참조문헌 [6])은 건물 벽의 전선과 접촉하는 경우 전압에 대한 절연은 있지만,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에 대한 절연은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소화약제는, 종축을 따라 선형으로 구성된 알려진 소화 랜스의 단부를 통해 공급되므로, 타격 도구를 사용하여 랜스를 차량 외부 쉘로 밀어 넣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기존의 소화 랜스는 건물을 소화하거나 불타고 있는 기존의 동력 차량을 소화하는 데는 적합할 수 있지만, 일반 건물(전기 발전소 제외) 및 기존 차량과는 달리, 내부에 예상되는 높은 고전압 U >> 200V로 인해 불타고 있는 전기 자동차를 소화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잡지 기사 "MOBILES LEBEN - WAS, WENN ES BRENNT?"에 의해 입증된다['Mobile life - what if there's a fire?'] 2019년 6월 19일자 잡지 "stern", 페이지 80(= 참조문헌 [7]). 상기 기사는,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환경적 이유로 매우 가까운 장래에, 기존의 연소 엔진으로 구동되는 기존 차량을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 자동차로 가능한 최대한 완전히 대체해야 하지만 이렇게 불타고 있는 전기 자동차를 소화해야 하는 소방관의 생명과 사지에 매우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명백하게, 위에서 설명한 유형의 통상적인 소화 랜스를 사용한 이러한 소화 작업은 필요한 수준의 안전으로 수행될 수 없다.
대신, DE 10 2016 211 854 B3 및 EP 3 263 402 B1(= 참조문헌 [8])은 불타고 있는 전기 자동차를 완전히 적실 수 있는 소화수를 포함하는 특수 컨테이너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진정으로 절박한 아이디어이다.
번화한 거리에서 전기 자동차가 불타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나, 평소와 같이 현장에서 불타고 있는 차량을 소화하는 대신, 소방관은 먼저 거대한 특수 컨테이너를 가져와, 해당 컨테이너에 엄청난 양의 소화수를 현장에서 채운 다음, 여전히 불타고 있는 차량을 어떻게든 적셔야 하며, 그런 다음, 아마도, 완전히 타버린 전기 자동차를 그 큰 컨테이너에 넣어야 한다. 대형 차량, 가령, 전기로 구동되는 버스나 트럭으로, 이것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는 불분명하다.
소방 잡지 "BRANDHEISS"의 2018년 7-8월호 16페이지(=참조문헌 [9]) 잡지 기사 "ELEKTRISIERENDER EINSATZ" ['Electrifying use']는, 통상의 기술자(즉, 소방관)의 관점에서, 불타고 있는 전기 자동차를 소화할 때, 현장의 소방 전문가에게 새롭고 매우 위험한 상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Verbatim은 기사에서 "불타고 있는 전기 밴이 더 다루기 쉬운 크기를 갖고 있지만, Traun 자원 봉사자 소방대원들 멤버들은 확실히 큰 도전에 직면했다."라고 말했다. ··· "특히, 1단계에서는, 전기 구동 차량이 기존 승용차와 완전히 상이하게 소화되고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소화 작업이 불안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호흡 보호 장치 하에 첫 번째 소화 작업은 빠르게 효과를 나타냈지만, 타버리거나 파괴된 배터리는 몇 시간 후에도 여전히 상당한 화재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화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차량을 "수조(water bath)"에 넣어야 했다. 따라서, 파괴된 차량은 파란색 조명이 켜진 두 대의 소방차가 대형 견인 트럭에서 Traun의 산업 지역으로 직접 호송하였으며, 그 곳에서 누수로부터 환경적으로 보호되는 깊은 수조에 배치되었다. "···"EFFORT FOR A SMALL VEHICLE"···
그러나, 물을 채운 특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불타고 있는 전기 자동차를 최종적으로 소화할 방법이 없는 경우에, 유일한 대안은 특히 전기 부품이 더 이상 재점화되지 않을 때까지 소화 과정을 계속하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 미국의 아주 최근 사례가 보여 주듯이, 특히 인상적인 것처럼, 소화수의 소비는 엄청나다. Suddeutsche Zeitung의 디지털 판에서, 예를 들어, 2021년 4월 19일의 "Der Fahrersitz war leer" ['The driver's seat was empty']라는 기사(= 참조문헌 [10], 2021년 4월 20일 액세스)는, 다음과 같이, 미국 텍사스주 해리스 카운티에서 전기 자동차 사고가 발생한 후에, 소방서는 배터리가 계속해서 재점화되어, 불길에 싸인 전기 자동차를 소화하기 위해 100,000리터 이상의 물이 필요했다고 보고하였다.
전기 자동차,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또는 완전 전기로 작동되는 차량 근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특히 높은 위험이 나타난다(예를 들어, "E-mobile fire in the USA" 참조); https://www.welt.de/motor/news/article120704501/E-Mobil-Brand-in-den-USA.html (= 참조문헌 [3], accessed 11/09/2016)).
이는, 예를 들어, 참조문헌 [8]에 제안된 것보다, 불타고 있는 전기 자동차를 소화하는데 관한 문제점들에 대해, 기술적으로 현전하게 우수하고, 더 안전하며, 훨씬 경제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이 매우 시급함을 강조한다.
실제 소화 문제 외에도, 환경에 대한 극도로 부정적인 결과도 고려해야 한다: 위의 참조문헌 [9]에 기술된 소화 작업 후에, 파괴된 차량은 엄청난 노력을 들여 "수조"에 배치되고 물에 잠겼다. 그러나, 사전에, 구체적으로는 실제 소화 과정의 결과로서, 다량의 고도로 오염된 소화수가 환경으로 방출되었으며, 기사에서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차량 화재의 경우, 일반적이며 이미 알려진 호흡기 독소 혼합물이 항상 생성된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 폭주"로 인해, 매우 위험한 호흡기 독소가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 주로, 전해질 내의 전도성 염의 분해의 결과로, 육불화인산리튬(LiPF), 불화수소산(HF), 불화인산(POF) 및 인산이 방출된다. 불타고 있거나 여전히 연기가 나는 전기 자동차를 더 운행하면, 이러한 위험 물질이 계속 빠져 나와 환경을 오염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e-소화 랜스의 사용으로, 환경에 대한 이러한 오염 물질 부하는 상당히 감소되고, 소화 작업에 의해서는 소량의 물(20-50리터) 만이 오염된다.
지금까지는, 소방관은 이러한 안전 위험을 매우 제한된 정도로만 처리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위의 기사에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전기 자동차로부터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유지하거나 유지해야 했으며, 이는 물론 소방의 효율성을 상당히 제한하거나 긍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확장된 위험을 처리하기 위해서, 실제 소화 자체를 위해 설계되었을 뿐만 아니라 열적, 기계적, 특히 전기적 위험을 견딜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e-소화 랜스가 특히 필요하다.
DE 20 2017 104 411 U1 및 WO 2019/020507 A1(= 참조문헌 [2])에 따른 종축을 따라 선형으로 구성된 e-소화 랜스로, 종래 기술은 최초로 열적 및/또는 기계적 위험에 대해 고-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소화 도구를 추가로 제공하는 데 성공했다. 그 어떤 경우에도, 참조문헌 [6] 내지 [8]에 설명된 통상적인 소화 장치에 의해 명확하지 않은 경우, 그때까지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유사한 선형 e-소화 랜스가 제안되지 않았다.
그러나, 심지어 이 새로운 유형의 e-소화 랜스조차도 전기기술자 도구에 대한 (비교적으로 엄격한) 법적 표준이 준수될 수 있음을 완전하고 포괄적으로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적 대상을 소화할 때, 특히, 사용 중일 때 매우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소화 랜스가 젖었을 때, 전기적으로 비-절연된 관형 소화 부분의 전압 또는 전류가 작업자에게 허용할 수 없는 높은 수준까지 도달할 위험이 있으며, 해당 작업자는 결과적으로 소방 작업 동안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심지어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두에 인용된 DE 20 2020 102 574 U1(= 참조문헌 [1])에서 알려진 e-소화 랜스는 열적 위험에 대한 보호, 기계적 과부하에 대한 보호 및 전기적 위험에 대한 보호에 대한 최소 요구 사항이 충족되도록 하며, 적어도, 핸들 부분이 있는 고정 부분의 영역에서, 관형 소화 부분은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한 가장 간단한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고, 적은 노력과 저렴한 방식으로, 앞에 기술된 유형의 소화 조립체를 변형하여, e-소화 랜스의 작업이 인체 공학적으로 더 간단하고 효과적인 작동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안전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실제로 작업 인원을 유지하고 구하는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놀랍게도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는, 소화 작업 동안 작업 단계에서, 소화 랜스가 보조 인원에 의해 기하학적 위치에서 소화 랜스로부터 측방향 거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 위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에서, 소화 인원이 소화 작업에서 소화 랜스를 작동시키는 동안, 관형 소화 부분의 종축이 지면에 대해 60° 내지 90° 사이의 각도로 배향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목적을 완전히 해결하는 e-소화 랜스 및 위치 홀더를 갖는 소화 조립체를 제공한다. 특히, e-소화 랜스 및 위치 홀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는 또한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리튬-이온 배터리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소방서는 고전압의 불타고 있는 대상에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완전히 안전한 소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사용 시에, e-소화 랜스는 전기기술적 시스템, 예를 들어 불타고 있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또는 전자 발전기에 도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소화 랜스는 포지셔너에 의해 전기기술적 시스템 위에 위치되며, 작업자는 e-소화 랜스의 끝단을 전기기술적 시스템 내에,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경우 차량 바닥을 통해 구동한다. 위치 홀더에 의해, 포지셔너는 불타고 있는 전기기술 시스템 및 작업중인 동료 모두에게 필수적으로 중요한 거리를 쉽고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불타고 있는 전기 장치의 소화 작업에 직접 관련된 모든 소방관이 전기 사고로 인한 부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와 포지셔너 사이의 거리는 위치 홀더에 의해 조절 및 증가될 수 있다. 특히 혼란스러운 상황(예를 들어, 엄청난 연기 방출이 있는 경우) 또는 특히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예를 들어, 조치를 너무 주저하면 폭발 위험이 있는 경우)에서는, 작업자가 의도하지 않게 포지셔너를 타격하거나 다치게 하여 소화 시도와 포지셔너를 위태롭게 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홀더는 2명의 활동 중인 소방관을 위해 불타고 있는 대상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비상 인원에 대한 열 복사도 감소될 수 있다.
소화하고자 하는 대상에 e-소화 랜스를 도입할 때, 바닥 패널이나 배터리 벽과 같은 재료가 최전방 영역에서 끝단으로 인해 쉽게 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강도이지만 뾰족한 노즐은 마모를 방지하거나 최소한 최소화하여, 소화되는 대상의 표면으로의 침투를 촉진하다.
랜스 끝단에 있는 흐름-제한 노즐은 특히 상대적으로 소량의 소화수(extinguishing water)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충분한 소화 성공을 보장하다.
현재 전 세계 어디에서나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방관에게 직접적이고 동시에 안전한 방식으로 전기 자동차 배터리를 소화할 수 있는 대안의 선택이 없다. 수많은 테스트에서, 잘 알려진 자동차 제조업체의 공장 소방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홀더 없이 e-소화 랜스를 사용하여 전기 자동차 화재를 통제할 수 없었고, 만약 통제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극도로 많은 양의 물과 거품을 사용해야 하며, 그러나, 작업 중인 소방관을 위한 고전압에 대한 효과적인 안전은 항상 없다.
이러한 상황은 또한 광전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화재가 발생한 변압기, 발전기 또는 기타 고전압 장치를 소화할 때도 매우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치 홀더는 종축을 갖고 작동 동안 소화 랜스로부터 측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관형 소화 부분의 종축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는 관형 고정 부분을 갖는다.
작업자가 고정 부분에 의해 작동 위치에 소화 랜스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포지셔너가 위치 홀더 상에서 일정 거리에 안전하게 위치되는 동안 소화 랜스를 소화할 대상으로 쉽게 구동할 수 있다. e-소화 랜스에 대한 고정 부분의 직각 배향은, 랜스가 특히 쉽게 배향되고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한 방식으로 최적의 소화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위치 홀더가 소화 랜스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특히 간단하고 컴팩트한 디자인으로서 제조 비용도 저렴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표준화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위치 홀더가 사용되는 방식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햅틱 방식으로(haptically) 이해하기 쉬워 복잡하지 않은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위치 홀더가, 적어도 작업 단계 동안에, 소화 랜스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소화 조립체의 대안적인 실시예도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현장에서 현재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몇 번의 움직임으로 위치 홀더의 기하학적 형상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더 오래 지속되는 소방 작업이나 제한된 작업 반경을 가진 소방 작업의 경우, 작업자는 가장 안전하고 가장 인체공학적인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화 조립체의 이송 및 보관 동안에 소화 작업 간의 공간도 절약될 수 있고, 그 보관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추가 변형예에서, 위치 홀더의 관형 고정 부분은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을 갖는다.
이 절연은 전기기술적 시스템을 소화할 때 작업자 또는 포지셔너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압-절연 코팅은 위치 홀더의 그립 영역(grip region)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작업자를 위한 그립 영역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압-절연 코팅은 예를 들어 매우 차가운 물이나 또 다른 소화액으로 소화할 때 차가움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 랜스가 작업자에 의해 전기기술적 시스템으로 구동되는 경우 코팅은 타격-흡수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관형 고정 부분의 전압-절연 코팅은 층 두께 d ≥ 2mm, 특히 2mm와 5mm 사이의 층 두께를 가지며, 최대 1,000V 및 그 이상의 전압 U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다.
이들은 특히 실제로 입증된 전압-절연 코팅의 층 두께이다. 더 두꺼운 층 두께를 선택함으로써, 전압-절연 코팅의 절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로 유리한 변형예에서, 위치 홀더의 관형 고정 부분은, 알루미늄, 특히 Al 합금, 바람직하게는 약 30mm 두께의 AlCuMgPb로 제조되며, 관형 고정 부분의 전압-절연 코팅은 폴리염화비닐로 제조된다.
이러한 재료는 특히 이 시점에서 실제로 입증되었다. 알루미늄 및 Al 합금, 가령, AlCuMgPb는 약 2.5g/cm3 내지 3g/cm3 사이의 저밀도를 가지며 따라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강철보다 가볍다. 그 결과, 위치 홀더의 관형 고정 부분의 중량은 특히 낮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소화 조립체의 신속하고 복잡하지 않은 작동에 중요하다. 또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구성요소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부식 공격에 매우 강하다. 폴리염화비닐(PVC)은 트래킹 저항(tracking resistance)이 높다(즉 절연 재료의 표면의 절연 강도가 높다). 이는 관형 고정 부분의 전압-절연 코팅에 특히 중요하다. PVC로 제조된 구성요소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수명이 길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위치 홀더의 관형 고정 부분은 기계적 결합 장치, 특히 클램프, 클립, 포크 또는 플라이어(plier)에 의해 소화 랜스에 가역적으로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이지 않는 영역과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신속한 조립을 달성할 수 있다. 관형 고정 부분은 쉽게 조립될 수 있고 조립은 간단하며 일반인도 즉시 관형 고정 부분을 소화 랜스에 쉽게 부착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다. 특히,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오류가 누적될 수 있는 바쁜 상황에서, 관형 고정 부분의 안전하고 정확한 조립이 개선된다.
상기 실시예의 추가의 변형예는, 기계적 결합 장치가 위치 홀더의 관형 고정 부분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위치 홀더를 특히 정밀하게 이동하고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소화 조립체의 취급이 개선된다.
특히 유리한 추가 변형예에서, 기계적 결합 장치는 2-부분 클램프를 갖고, 2개의 절반부는 각각 C-형태이며 두 단부는 소화 조립체의 작업 단계에서 서로 대향하고, 클램프는 관형 소화 부분의 외주 주위에, 바람직하게는 핸들 부분을 갖는 고정 부분 영역에 배치되며, C-형태의 절반부의 두 대향 단부는 각각 클램핑 장치에 의해 서로 더 가까워지며, 클램프는 관형 소화 부분 주위로 함께 당겨지고 상기 소화 부분을 클램핑 방식으로 둘러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 홀더는 기계적 결합 장치에 의해 관형 소화 부분에 연결되거나 특히 간단하고 신속하고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는, 힌지 및/또는 클램핑 나사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힌지 또는 클램핑 나사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시스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여, 클램핑 장치가 개방될 때, 기계적 결합 장치의 C-형태의 절반부가 떨어져 나갈 위험이 없다. 이는, 특히 예를 들어 화재 현장에서 연기로 인해 위치를 평가하기 어렵거나 가시성이 제한된 상황에서, 이러한 부분들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다. 또한, 그 결과, 소화 조립체를 더 신속하게 사용할 준비가 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한 변형예에서, 클램핑 나사가 스레드형 부싱, 스터드 볼트, 설정 나사 및 나사 핸들, 특히 크로스 핸들을 갖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구성요소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소화 조립체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분실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클램핑 나사는 특히 작동하기 쉽고 e-소화 랜스는 기계적 결합 장치를 통해 위치 홀더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의 한 실시예에서, 관형 유지 부분은 종축에 대해 연장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해, 위치 홀더 상의 포지셔너와 e-소화 랜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거리는,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전기기술적 시스템을 소화할 때, 불타고 있는 대상과 포지셔너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넓도록, 예를 들어 1미터로 증가될 수 있어서, 소화 시도 동안 작업 중인 소방관에게 위험이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한 변형예에서, 관형 고정 부분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당겨지거나 압축될 수 있다.
이는 기술적으로 특히 실제로 구현하기 쉽고 길이 변화에 대한 간단하고 컴팩트한 가능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의 변형예에서, 관형 고정 부분은 베이스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연장 피스를 가지며, 상기 연장 피스는 종축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나사로 고정되고 선택적으로 서로 나사로 고정된다.
위치 홀더의 작업자로부터 e-소화 랜스까지의 거리는 연장 피스에 의해 훨씬 더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혼란스럽고 위험한 상황에서, 소화 랜스는 안전한 거리로부터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작업 인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찾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은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는 완전한 목록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되고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포지셔너가 위치 홀더를 작동시키고 작업자가 해머를 사용하여 소화할 대상으로 e-소화 랜스를 구동하는, 실제 적용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핸들 영역에 관형 소화 부분의 전압-절연 코팅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는 소화 랜스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b는 관형 소화 부분의 축방향에서 위에서부터 바라본 부분적으로 투명한 도 2a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수직 종방향 섹션에서 관형 고정 부분의 축방향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연장 피스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b는 수직 종방향 섹션에서 위치 홀더의 관형 고정 부분의 베이스 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a는 클램핑 장치용 클램핑 나사가 부착된 영역을 도시한 기계적 결합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b는 수직 종방향 섹션에서 도 4a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a의 기계적 결합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클램핑 나사의 개별 부분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은 실제 용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경우 전기 모터를 갖는 자동차를 소화한다. 소화 조립체는 액체 소화약제용 압력 호스 및 위치 홀더(30)가 부착되는 소화 랜스(10)를 포함한다. 보조 인원(포지셔너)이 소화 랜스로부터 측방향 거리에서 관형 소화 부분(13)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위치 홀더(30)를 사용한다. 작업 인원(작업자)가 소화 랜스(10)를 소화할 대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해머로 타격 부분(14)의 타격 플레이트(14')을 타격한다.
관형 소화 부분(13)은 이 경우에 지면에 대해 종축(z)으로 배향된다. 이 도면에서, 관형 소화 부분(13)과 지면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이다. 이 각도에서, 타격 시에 최고의 힘 전달을 달성할 수 있다. 접근이 어려운 장소를 소화할 때에는, 관형 소화 부분(13)의 종축(z)과 지면 사이의 각도는 90° 미만일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는 60° 내지 90°의 각도 범위에서 소화 랜스(10)를 소화할 대상에 최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위치 홀더(30)는 소화 랜스(10)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종축(a)을 갖는 관형 고정 부분(31)으로서 구성된다. 여기에 도시된 경우에, 관형 고정 부분(31)의 종축(a)은 관형 소화 부분(13)의 종축(z)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배열된다. 이는 지면에 대한 소화 랜스(10)의 특히 정확하고 간단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관형 고정 부분(31)은 약 30mm 두께인 AlCuMgPb 합금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형 고정 부분(31)은 알루미늄 또는 기타 Al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특성은, 알루미늄 또는 Al 합금의 저밀도로 인한 낮은 무게, 일반적으로 우수한 내구성 및 우수한 내식성, 저렴한 제조 및 가공으로 인해, 여기서 특히 중요하다.
관형 고정 부분(31)은 또한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압축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음) 종축(a)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상태에서, 소화 랜스(10)와 보조 인원 사이의 거리는 쉽고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위험 상황에서 거리는 증가할 수 있어서 부상 위험이 감소되거나 혹은 e-소화 랜스(10)를 배향할 때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상황으로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관형 고정 부분(31)은 전압-절연 코팅(30a)을 갖는다. 전압-절연 코팅(30a)은 일반적으로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보조 인원 및 작업 인원이 감전되는 위험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압-절연 코팅(30a)으로서 폴리염화비닐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재료가 트래킹 저항이 높고 변형이 용이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전압-절연 코팅(30a)의 층 두께(d)는 최대 1000V 및 그 이상의 전압 U에 대해 전기 절연 효과를 갖도록 d ≥ 2mm(특히, 2mm 내지 5mm 사이의 범위)여야 하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위치 홀더(30)는, 또한, 위치 홀더(30)가 작동 동안 특히 소화 작업이 완료된 후에 다시 해제될 수 있도록, e-소화 랜스(10)에 부착된다. 이는 소화 조립체의 기하학적 형상을 사용 장소의 조건에 신속하게 적응시키고, 컴팩트한 형태로 사용 장소를 오가는 운송을 가능하게 하다. 또 다른 실시예(여기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위치 홀더는 소화 랜스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기술적으로 숙련되지 않은 사람들도, 작동 방식에 대해 이해하기 쉽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소화 랜스(10)는 기계적 결합 장치(32)에 의해 위치 홀더(30)의 관형 고정 부분(31)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관형 고정 부분(31)은 이 경우에 기계적 결합 장치(3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 결과, 위치 홀더(30)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소화 조립체의 취급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면의 도 2a 및 2b는 전압을 전달하는 불타고 있는 대상을 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 e-소화 랜스(10)의 개선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출원인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개선된 e-소화 랜스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에 사용되는 e-소화 랜스(10)는 작업 인원을 위한 핸들 부분(11)을 갖는 고정 부분, 액체 소화약제용 압력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 장치(12)를 갖는 소화약제 공급부, 및 소화약제가 압력 하에서 불타고 있는 대상으로 도입될 수 있는 자유 단부로부터, 그리고, 고정 부분 및 선택적으로는 결합 장치(12)에 인접한 관형 소화 부분(13)을 갖는다. 따라서, 결합 장치(12)는 압력 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배타적으로 구성되고 배열되지만 어떠한 임의의 종류의 스페이서 기능(spacer function)을 위한 것은 아니다. 고정 부분의 핸들 부분(11)은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11a)을 가지며, 관형 소화 부분(13)은 자유 단부에서 기하학적으로 테이퍼지고, 압력 하에서 통과된 소화약제에 대해 좁고 투명한 흐름 횡단면을 갖는다.
출원인의 공지된 구형 소화 랜스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e-소화 랜스(10)는, 관형 소화 부분(13)이, 적어도 핸들 부분(11)이 있는 고정 부분의 영역에서,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13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관형 소화 부분(13)의 이러한 전압-절연 코팅(13a)은 적어도 핸들 부분(11)이 있는 고정 부분의 영역에서 d ≥ 2mm, 특히 2mm 내지 5mm 사이의 층 두께(d)를 가질 수 있고, 고정 부분의 핸들 부분(11)의 전압-절연 코팅(11a) 및 소화 부분(13)의 코팅(13a)은 최대 1,000V 및 그 이상의 전압 U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관형 소화 부분(13)은 스테인리스강,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내산성 18/10 Cr-Ni 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관형 소화 부분(13)의 전압-절연 코팅(13a)은 폴리염화비닐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부분의 핸들 부분(11)은 e-소화 랜스(10)의 양손 작동을 위한 2개의 활-형태의 핸들(11', 11'')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조립체에 사용되는 e-소화 랜스(10)는 소화약제 공급부 상에서 관형 소화 부분(13)으로 소화약제의 유입을 허용하거나 중지하기 위한 작동 밸브(미도시), 및 상기 작동 밸브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고정 부분, 바람직하게는 핸들 부분(11) 상에 트리거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e-소화 랜스(10)의 실시예는, 작업자-쪽 단부에서, 고정 부분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관형 소화 부분(13)의 연장부로서 교환 가능한 타격 부분(14)을 가지며, 상기 타격 부분은 소화 랜스를 소화할 대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소화 랜스(10)의 종축 방향으로 타격력을 도입하도록 사용된다. 작업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서, 소화 랜스(10)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교체 가능하며, 특히 경화된 끝단(15)이다.
도면의 도 3a 및 3b는 관형 고정 부분의 연장 피스(35') 및 베이스 부분(35)의 수직 종방향 섹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연장 피스(35')는 관형이다. 이 경우, 일 단부는 연장 피스(35')로부터 대략 절반 정도가 돌출된 스터드 볼트를 포함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스터드 볼트를 위한 스레드형 홀(threaded hole)을 갖는다. 연장 피스(35')는 스레드형 홀과 스터드 볼트를 통해 함께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부분(35)은 관형이다. 핸들-쪽 단부는 더 편안한 취급을 위해 반구형이다. 연결-쪽 단부는 베이스 부분(35)으로부터 대략 절반 정도가 돌출된 스터드 볼트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35)은 기계적 결합 장치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함께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 피스(3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관형 고정 부분의 길이가 유연할 수 있게 한다.
도 4a 및 4b는 기계적 결합 장치(32)를 상이한 관점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기계적 결합 장치(32)는 클램프로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기계적 결합 장치(32)로서 클램프, 포크 또는 플라이어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램프로서 설계된 결합 장치(32)는 이 경우에 C-형상인 2개의 절반부(32', 32'')로 구성된다. 절반부(32')는 2개의 단부(32a', 32b')를 포함하고 절반부(32")는 2개의 단부(32a", 32b")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형태에서, 단부(32a' 및 32a") 및 단부(32b' 및 32b")는 서로 대향하는데, 이는 추후에 또한 소화 조립체의 작동 단계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클램프는 일반적으로 소화 랜스의 핸들 부분을 갖는 고정 부분 영역 또는 소화 랜스의 관형 소화 부분의 외주 주위에 배치된다(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음). C-형 절반부의 맞은편 단부(32a', 32a" 및 32b', 32b")는 클램핑 장치(33a, 33b)에 의해 서로 더 가까워진다. 그 결과, 클램프는 함께 당겨지고 클램핑 방식으로 관형 소화 부분을 에워싼다.
여기에 도시된 형태에서, 클램핑 장치(33a, 33b)는 단부(32a' 및 32a")가 견고하게 상호 연결되는 힌지(34a), 및 단부(32b' 및 32b")에서 클램핑 장치(33a, 33b)가 조여질 수 있는 클램핑 나사(34b)를 위한 내부 스레드를 포함한다. 또한, 절반부(32', 32")는 각각 위치 홀더의 관형 고정 부분이 체결될 수 있는 내부 스레드를 포함한다.
클램핑 나사(34b)는 분실(특히, 혼란스럽고 바쁜 상황에서)에 대해 고정되고, 단부(32b' 및 32b")는 안전 체인(34c)에 의해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추가로 고정된다. 안전 체인(34c)은 클램핑 나사(34b) 및 단부(32b")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금속 링이 단부(32b") 영역 및 클램핑 나사(34b)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링에는 안전 체인(34c)이 매달릴 수 있는 아일렛(eyelet)이 있다. 이 경우, 안전 체인(34c)의 길이는, 안전 체인에 연결된 클램핑 나사(34b)가 클램핑 나사(34b)를 위해 제공된 내부 스레드에 가능한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고, 클램핑 나사(34b)가 내부 스레드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안전 체인(34c)은 50 내지 10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전 체인(34c)은 쉽게 구현되고 직관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5는 도 4a의 기계적 결합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클램핑 나사(34b)의 개별 부분들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클램핑 나사(34b)는 내부 스레드를 갖는 스레드 부싱(34b'), 스터드 볼트(34b''), 설정 나사(34b''') 및 십자형 핸들(34b'''')로 구성되고 핸들 영역 아래에 내부 스레드가 있는 나사 핸들로 구성된다. 클램핑 나사(34b)는 도 4a의 클램핑 장치에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작동이 쉽고 직관적이며 개별적인 상호 연결된 구성요소가 쉽게 분실되지 않기 때문이다.
10 소화 랜스
11 핸들 부분
11', 11'' 활-형태의 핸들
11a 전압-절연 코팅
12 결합 장치
13 관형 소화 부분
13a 전압-절연 코팅
14 타격 부분
14' 타격 플레이트
15 끝단
30 위치 홀더
30a 전압-절연 코팅
31 관형 고정 부분
32 기계적 결합 장치
32', 32'' 절반부
32a', 32b' 단부(제1 절반부의)
32a", 32b" 단부(제2 절반부의)
33a, 33b 클램핑 장치
34a 힌지
34b 클램핑 나사
34b' 스레드형 부싱
34b'' 스터드 볼트
34b''' 설정 나사
34b'''' 십자형 핸들
34c 안전 체인
35 베이스 부분
35' 연장 피스
a 종축(관형 고정 부분의)
z 종축(관형 소화 부분의)
참조문헌 리스트
[1] DE 20 2020 102 574 U1
[2] DE 20 2017 104 411 U1 WO 2019/020507 A1
[3] https://www.welt.de/motor/news/article120704501/E-Mobil-Brand-in-den-USA.html
[4] US-A 4,802,535
[5] US 2003/0159837 A1
[6] US 2002/019307 A1
[7] "MOBILES LEBEN - WAS, WENN ES BRENNT?" from the magazine "stern" from 19 June 2019, page 80
[8] DE 10 2016 211 854 B3
Figure pat00001
EP 3 263 402 B1
[9] "ELEKTRISIERENDER EINSATZ" from the fire service magazine "BRANDHEISS" in the July-August 2018 issue, page 16
[10] Article in the digital edition of the Suddeutsche Zeitung "Der Fahrersitz war leer" from 19 April 2021, accessed 04/20/2021 https://www.sueddeutsche.de/wirtschaft/tesla-texas-unfall-1.5269139
[11] CN 106 492 384 A
[12] DE 10 2018 222 429 A1

Claims (15)

  1. 전기 모터가 장착된 차량과 같은 불타고 있는 전기 장치를 소화하기 위한 소화 랜스(10)를 포함하는 소화 조립체로서, 소화 랜스(10)는 작업 인원을 위한 핸들 부분(11)을 갖는 고정 부분, 액체 소화약제용 압력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 장치(12)를 갖는 소화약제 공급부, 및 고정 부분과 선택적으로는 결합 장치(12)에 인접하고 종축(z)을 갖는 관형 소화 부분(13)을 가지며, 자유 단부로부터 소화약제가 압력 하에서 불타고 있는 대상으로 도입될 수 있고, 핸들 부분(11) 및 관형 소화 부분(13)은, 적어도 고정 부분의 영역에서,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11a; 13a)을 가지며, 관형 소화 부분(13)은 기계적 응력 σ ≥ 500 N/mm2를 견디는 높은 인장 강도 Rm을 가지고 용융 온도 tS ≥ 650℃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며, 관형 소화 부분(13)은 고정 부분의 맞은편의 자유 단부에서 기하학적으로 테이퍼지고, 압력 하에서 통과되는 소화약제를 위해 좁고 투명한 흐름 횡단면을 가지며, 관형 소화 부분(13)과 관형 소화 부분(13)의 테이퍼진 자유 단부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되고, 관형 소화 부분(13)의 테이퍼진 자유 단부는 추가로 경화되며;
    소화 조립체는, 소화 작업 동안 작업 단계에서, 소화 랜스(10)가 보조 인원에 의해 기하학적 위치에서 소화 랜스(10)로부터 측방향 거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 위치 홀더(30)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에서, 소화 인원이 소화 작업에서 소화 랜스(10)를 작동시키는 동안, 관형 소화 부분(13)의 종축(z)이 지면에 대해 60° 내지 90° 사이의 각도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위치 홀더(30)는 종축(a)을 갖고 작동 동안 소화 랜스(10)로부터 측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관형 소화 부분(13)의 종축(z)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는 관형 고정 부분(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위치 홀더(30)는 소화 랜스(10)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위치 홀더(30)는 작업 단계 동안 소화 랜스(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홀더(30)의 관형 고정 부분(31)은 U ≥ 500V의 전압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된 전압-절연 코팅(30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관형 고정 부분(31)의 전압-절연 코팅(30a)은 층 두께 d ≥ 2mm, 특히 2mm 내지 5mm 사이의 층 두께를 가지며, 최대 1,000V 및 그 이상의 전압 U에 대해 전기 절연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홀더(30)의 관형 고정 부분(31)은 알루미늄, 특히 Al 합금, 바람직하게는 약 30mm의 두께의 AlCuMgPb로 제조되며, 관형 고정 부분(31)의 전압-절연 코팅(30a)은 폴리염화비닐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홀더(30)의 관형 고정 부분(31)은 기계적 결합 장치(32), 특히 클램프, 클립, 포크 또는 플라이어에 의해 소화 랜스(10)에 가역적으로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기계적 결합 장치(32)는 위치 홀더(30)의 관형 고정 부분(31)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기계적 결합 장치(32)는 2-부분 클램프를 갖고, 2개의 절반부(32', 32")는 각각 C-형태이며 두 단부(32a', 32b'; 32a", 32b")는 소화 조립체의 작업 단계에서 서로 대향하고, 클램프는 관형 소화 부분(13)의 외주 주위에, 바람직하게는 핸들 부분(11)을 갖는 고정 부분의 영역에 배치되며, C-형태의 절반부(32', 32")의 두 대향 단부(32a' 및 32a'' 또는 32b' 및 32b'')는 각각 클램핑 장치(33a; 33b)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며, 클램프는 관형 소화 부분(13) 주위로 함께 당겨지고 상기 소화 부분을 클램핑 방식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33a; 33b)는 힌지(34a) 및/또는 클램핑 나사(3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클램핑 나사(34b)는 스레드형 부싱(34b'), 스터드 볼트(34b''), 설정 나사(34b''') 및 나사 핸들, 특히 십자형 핸들(34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고정 부분(31)은 종축(a)에 대해 연장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관형 고정 부분(31)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당겨지거나 압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관형 고정 부분(31)는 베이스 부분(35) 및 하나 이상의 연장 피스(35')을 가지며, 상기 연장 피스는 종축(a)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부분(35)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나사로 고정되거나 선택적으로는 서로 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조립체.
KR1020220051731A 2021-04-28 2022-04-27 대전된 대상의 소화를 위한 위치 홀더가 있는 선형 e-소화 랜스 KR20220148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21102269.8 2021-04-28
DE202021102269.8U DE202021102269U1 (de) 2021-04-28 2021-04-28 E-Löschlanze mit Positionshalter zur Brandbekämpfung bei elektrisch geladenen Objek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117A true KR20220148117A (ko) 2022-11-04

Family

ID=7620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731A KR20220148117A (ko) 2021-04-28 2022-04-27 대전된 대상의 소화를 위한 위치 홀더가 있는 선형 e-소화 랜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082631A1 (ko)
KR (1) KR20220148117A (ko)
DE (1) DE20202110226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2984A1 (en) * 2021-10-11 2023-04-12 Sp/f 28. juni 2000 System, vehicle parking environment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a fire in an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535A (en) 1987-01-27 1989-02-07 Bakke Arlan N Fire-fighting tool
FR2733701B1 (fr) 1995-05-04 1997-06-1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retraitement selectivant de tamis moleculaire et procede d'isomerisation squelettale des olefines lineaires avec le tamis pretraite
US20030159837A1 (en) 2002-02-25 2003-08-28 Itschner Theodore Thomas Multipurpose water hammer with a penetrating nozzle
US7017832B1 (en) * 2003-04-23 2006-03-28 Pro-Fab, Inc. Piercing hose nozzle
DE102016211854B3 (de) 2016-06-30 2017-08-24 Ellermann Eurocon GmbH Behälter zum Bergen havarierter Fahrzeuge und Verfahren zum Bergen eines havarierten Fahrzeugs
CN106492384A (zh) 2016-11-24 2017-03-15 公安部上海消防研究所 一种可更换枪头的多功能转角消防水枪
DE202017104411U1 (de) 2017-07-24 2017-08-08 Murer-Feuerschutz Gmbh E-Löschlanze zur Brandbekämpfung bei elektrisch geladenen Objekten
DE102018222429A1 (de) 2018-12-20 2020-06-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sowie Notfallset für ein solches Fahrzeug
DE202020102574U1 (de) 2020-05-07 2020-05-28 Murer-Feuerschutz Gmbh Verbesserte E-Löschlan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1102269U1 (de) 2021-05-14
EP4082631A1 (de)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1433A1 (en) Improved e-extinguishing lance
KR20220148117A (ko) 대전된 대상의 소화를 위한 위치 홀더가 있는 선형 e-소화 랜스
US20230140128A1 (en) Silent entry torching and oxygen delivery system and configuration
CN107275960A (zh) 一种电力故障应急专用机器人
CN110958903B (zh) 用于在带电物体的情况下进行消防的e灭火枪
EP2819805B1 (en) Silent entry torching and oxygen delivery system and configuration
US201502330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an attachment to a vehicle
Välisalo Firefighting in case of Li-Ion battery fire in underground conditions: Literature study
RU108980U1 (ru) Пожарная надстройка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ого автомобиля северного, выполненная в климатическом исполнении хл (для холодного климата) (варианты)
CN212327242U (zh) 变电站灭火装置用防护罩
Vylund et al. Fire-fighting of alternative fuel vehicles in ro-ro spaces
US20100175899A1 (en) Extinguishing Device
WO2024032862A1 (en) Battery penetration device for fighting fires in electric vehicle
CN220891465U (zh) 一种消防管抗爆裂装置
CN217219934U (zh) 一种用于新能源车的安全灭火装置
CN220572570U (zh) 一种矿井加压站用手推式消防车
CN220899371U (zh) 一种打火鞭
CN216963367U (zh) 一种煤矿井罐笼自动灭火装置
CN202021553U (zh) 便携式液压多功能钳
WO202401600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heated areas and for aiding in extinguishing fires
CN217337163U (zh) 一种灭蜂枪
WO2003089177A1 (en) Oxygen cutter hose
US20240051111A1 (en) Firefighter Hook Tool
Gaton Electrical safety for EVs
CA3037485A1 (en) Silent entry torching and oxygen delivery system and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