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504A -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 - Google Patents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504A
KR20220147504A KR1020220041352A KR20220041352A KR20220147504A KR 20220147504 A KR20220147504 A KR 20220147504A KR 1020220041352 A KR1020220041352 A KR 1020220041352A KR 20220041352 A KR20220041352 A KR 20220041352A KR 20220147504 A KR20220147504 A KR 2022014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ball
unit
dispos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공덕현
김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ublication of KR2022014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사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볼을 포함하고, 상기 마사지볼은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볼부재들과, 상기 복수의 볼부재들에 삽입되는 온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 부재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열을 상기 복수의 볼부재들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MASSAGE MODULE WITH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본 발명은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마사지(massage) 또는 안마란 피술자의 신체의 일부분을 주무르거나, 누르거나, 잡아당기거나, 두드리거나 또는 움직이게 하는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분에 다양한 형태의 역학적 자극을 가함으로써 피술자의 신체의 변조를 조절하고, 혈액순환을 돕고 그리고 피술자의 피로를 풀리게 하는 의료 보조요법이다.
마사지 수요의 증가는 경제적 사정 및 시간적 이유로 인하여 인공적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또는 마사지 기기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야기하였다. 즉, 마사지를 통하여 뭉쳐진 근육을 풀면서 피로 또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시간 및 비용 효율적인 방식의 다양한 마사지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기계적인 장치를 통하여 별도의 안마사 없이 마사지를 수행하는 임의의 형태의 기구, 디바이스 또는 장치를 마사지 장치라 지칭한다.
최근들어, 마사지 장치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침대 타입으로도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침대 타입의 마사지 장치는 누워있는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분을 마사지 모듈이 이동하면서 자극함으로써 마사지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현존하는 침대 타입의 마사지 장치는 최소한 사용자의 신장에 해당하는 만큼의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다만, 종래의 마사지 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수동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나 마사지를 제공받을 때마다 다리 부분을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마사지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마사지 모듈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마사지를 제공하므로, 이동 중 사용자의 신체에 걸릴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마사지 모듈이 강제적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에 부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안전하게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신체에 더욱 효율적인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는 마사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마사지 모듈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을 완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안전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는 마사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마사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도 및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과제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볼을 포함하고, 상기 마사지볼은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볼부재들과, 상기 복수의 볼부재들에 삽입되는 온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 부재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열을 상기 복수의 볼부재들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사지 모듈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을 완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안전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는 마사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마사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사지 모듈의 열전도성을 높여 사용자에게 온열감을 신속 정확하게 제공하여 마사지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마사지 장치의 구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다리 지지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다리 지지부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외피부재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마사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마사지볼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마사지볼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마사지볼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상부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의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완충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8의 마사지부와 인접하도록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X-X'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7의 틸팅부의 일 구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7의 틸팅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7의 높이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높이 조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높이 조절부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7의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는 도 8의 마사지볼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볼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4a는 도 8의 마사지볼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볼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4c는 도 24a의 볼부재 및 와셔의 단면도이다.
도 24d는 도 24a의 볼부재, 온열 부재 및 와셔의 단면도이다.
도 25a는 도 8의 마사지볼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볼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5c는 도 25a의 볼부재, 와셔, 및 온열 전달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5d는 도 25a의 볼부재, 온열 부재, 와셔, 및 온열 전달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액츄에이터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는 모터, 리니어 모터, 전자 모터, DC모터, AC모터, 리니어 액츄에이터, 전동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사지 장치(100)의 구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는 침대형 마사지 장치일 수 있다.
마사지 장치(100)는 몸체부(110)와 마사지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마사지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마사지 모듈(200)은 마사지 장치(10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개략적인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침대의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몸체부(110)의 상면에 등을 대고 누워 마사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10)는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침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몸체부(110)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판이 배치되어 몸체부(110)가 구성될 수 있다.
마사지 모듈(200)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 모듈(200)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사지 모듈(2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에게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마사지 모듈(200)은 사용자의 신체를 지압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 모듈(2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지압하여 지압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마사지 모듈(200)은 후술하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마사지 모듈(200)은 소정의 위치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두드림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마사지 모듈(200)이 제공하는 마사지의 모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사지 모듈(2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몸체부(110)의 상면은 마사지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마사지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마사지 홈(111)은 사용자의 키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마사지 모듈(200)은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는 상면에 형성된 마사지 홈(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마사지 모듈(200)은 적어도 일부가 마사지 홈(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마사지 모듈(200)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마사지를 제공한다는 것은 마사지 장치(100)가 마사지 홈(111)을 커버하는 별도의 부재를 포함하지 않아 마사지 모듈(200)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 모듈(200)이 사용자의 신체에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마사지를 제공한다는 것은 마사지 장치(100)가 마사지 홈(111)을 커버하는 별도의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마사지 모듈(200)과 사용자의 신체의 사이에는 마사지 홈(111)을 커버하는 별도의 부재가 배치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마사지 모듈(200)은 마사지 홈(111)을 커버하는 별도의 부재를 지압하거나 그 부재에 진동을 가할 수 있고, 그 지압이나 진동은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마사지 홈(111)을 커버하는 별도의 부재는 천, 가죽, 합성수지, 합성피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사지 모듈(200)은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마사지 홈(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 모듈(200)은 마사지 홈(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 모듈(200)은 사용자의 신체의 여러 부위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사지 모듈(200)은 사용자의 목에 인접한 부분부터 사용자의 허리 부분까지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마사지 장치(10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지지부(120)는 사용자가 몸체부(110)의 상면에 누운 상태에서 몸체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않는 다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마사지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가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경우, 복수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일부는 물리적으로 이격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마사지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리 지지부(120)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마사지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마사지 모듈(200)이 사용자의 키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마사지 모듈(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사지 모듈(2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마사지의 강도 및 온열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 장치(100)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마사지 장치(100)는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마사지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다리 지지부(12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서 다리 지지부(120)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지면을 향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다리 지지부(120)가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펼쳐지는 경우 다리 지지부(120)는 사용자가 몸체부(110)의 상면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다리 지지부(120)가 지면을 향한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다리 지지부(120)는 몸체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펼쳐져 있지 아니하게 되어 마사지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사지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리 지지부(120)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다리 지지부(120)를 접은 상태에서 몸체부(110)에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수도 있고, 선택에 따라 다리 지지부(120)를 접은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다리 지지부(120)의 위치는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다리 지지부(120)를 몸체부(110)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과 지면을 향한 방향의 사이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마사지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리 지지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면과 이루를 각도를 기준으로 0° 내지 90°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0° 내지 90°의 범위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의 체형이나 특성 또는 성향에 따라 다리 지지부(120)를 회전시킨 후 마사지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다리 지지부(120)를 0° 내지 90°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다리 지지부(120)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다리 지지부(12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으로 다리 지지부(1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리 지지부(120)를 들어올린 후 특정 걸림턱에 돌기 등을 걸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야만 한다. 다만, 이 경우 걸림턱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다리 지지부(120)가 고정될 수 있는 위치는 한정적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는 다리 지지부(12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리 지지부(120)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리 지지부(120)는 다리 지지판(121)과 다리 액츄에이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지지판(121)은 사용자의 다리와 접촉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 지지판(121)은 개략적으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리 지지판(121)에 자신의 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마사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리 액츄에이터(122)는 다리 지지판(121)을 회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다리 지지판(121)에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다리 액츄에이터(122)는 리니어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다리 액츄에이터(122)는 선형으로 연장 및 수축하면서 다리 지지판(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다리 액츄에이터(122)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제어부에 다리 액츄에이터(12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다리 지지부(120)는 다리 액츄에이터(122)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다리 지지판(121)에 전달하는 링크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123)는 다리 액츄에이터(122)의 선형 운동에 의해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다리 지지판(121)을 회전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다리 지지판(121)의 일면에는 길이를 갖도록 가이드 레일(1211)이 형성되고, 링크부재(123)의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1211)을 따라 이동하는 휠부재(1231)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로서, 다리 지지판(121)의 전면은 사용자의 다리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 지지판(121)의 후면에는 가이드 레일(12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11)은 다리 지지판(121)의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123)의 일측에는 휠부재(1231)가 배치될 수 있고, 링크부재(123)의 타단은 별도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링크부재(123)는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23)의 일부분, 예를 들면 링크부재(123)의 일단과 타단의 사이의 특정 부분은 다리 액츄에이터(12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기준으로 다리 지지부(1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리 액츄에이터(122)가 선형으로 연장되는 경우 링크부재(123)는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반대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링크부재(123)는 연결된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휠부재(1231)는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1211)을 따라 이동하되, 가이드 레일(1211)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휠부재(1231)가 가이드 레일(12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다리 지지판(121)은 링크부재(123)의 회전 및 휠부재(1231)의 이동으로 인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4를 기준으로 다리 액츄에이터(122)가 선형으로 수축되는 경우 링크부재(123)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향한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링크부재(123)는 연결된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휠부재(1231)는 회전하면서 가이드 레일(1211)을 따라 이동하되, 가이드 레일(1211)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휠부재(1231)가 가이드 레일(12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다리 지지판(121)은 링크부재(123)의 회전 및 휠부재(1231)의 이동으로 인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 장치(100)는 몸체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다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130)는 몸체부(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마사지 장치(100)를 지지하는 수단일 수 있다.
다리부(130)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130)에 의해 마사지 장치(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마사지 장치(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공간을 수납 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외피부재(140)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장치(100)는 외피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피부재(140)는 마사지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피부재(140)는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외피부재(140)는 몸체부(110)의 전부를 커버할 수도 있다.
마사지 장치(100)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이용하고, 또한 교체 없이 장기간 이용하는 장치이므로 오염 내지 파손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외피부재(140)는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오염으로부터 마사지 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피부재(140)는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파손의 위험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마사지 모듈(200)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는 땀이 발생할 수 있고, 땀에 의해 마사지 장치(100)가 오염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피부재(140)는 몸체부(11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사지 장치(100)를 이용한 후에 외피부재(140)를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한 후 세탁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140)가 몸체부(110)의 상면과 다리 지지부(120)를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다리 지지부(120)가 회전하면 외피부재(140)도 접히거나 펴져야 한다.
따라서, 외피부재(140)는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피부재(140)는 천, 가죽, 합성피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외피부재(140)는 몸체부(110)의 상면의 길이와 다리 지지부(120)의 길이를 더한 값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 지지부(120)가 펼쳐진 경우와 지면을 향해 접힌 경우 필요로 하는 외피부재(140)의 길이가 다르게 된다. 즉, 다리 지지부(120)가 펼쳐진 경우에 비해 다리 지지부(120)가 접힌 경우 필요로 하는 외피부재(140)의 길이가 더 길다. 따라서, 길이가 부족하지 않도록 외피부재(140)는 몸체부(110)의 상면의 길이와 다리 지지부(120)의 길이를 더한 값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다리 지지부(120)가 접히는 경우에도 외피부재(140)는 다리 지지부(120)와 몸체부(110)를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모듈(2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모듈(200)은 마사지부(210), 틸팅부(220), 높이 조절부(230) 및 이동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사지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를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 마사지, 지압 마사지, 두드림 마사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마사지부(210)의 세부적인 구성은 자세하게 후술한다.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마사지부(210)의 회전을 제어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와 결합되어 마사지부(2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마사지부(21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를 적정한 각도까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마사지부(210)로 하여금 사용자의 신체에 안전하게 마사지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틸팅부(220)의 세부적인 구성은 자세하게 후술한다.
높이 조절부(230)는 틸팅부(220)와 연결되어 마사지부(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부(230)는 틸팅부(220)와 연결될 수 있고,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부(230)는 틸팅부(2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동시에 마사지부(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사지부(2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높이가 조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부(210)는 제공하고자하는 마사지의 강도에 대응되도록 높이가 조정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다양한 강도의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30)의 세부적인 구성은 자세하게 후술한다.
이동부(240)는 마사지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부(240)는 높이 조절부(2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마련된 공간에는 높이 조절부(23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높이 조절부(230)는 틸팅부(220)와 연결될 수 있고,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40)는 수용된 높이 조절부(230)를 이동시킴으로써, 마사지부(210), 틸팅부(220), 높이 조절부(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부(240)는 마사지 모듈(200)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240)의 세부적인 구성은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8은 도 7의 마사지부(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사지부(210)는 모듈 베이스(211), 마사지볼(212), 측부커버(213), 상부커버(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베이스(211)는 마사지부(21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모듈 베이스(211)에는 마사지볼(212)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사지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볼(212)을 포함할 수 있고, 모듈 베이스(211)에는 구비되는 마사지볼(21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사지 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측부커버(213)는 모듈 베이스(21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사지볼(2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따라 구를 수 있고, 마사지볼(212)의 회전운동의 축이되는 부재는 측부커버(2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볼(212)의 회전축이 마사지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사지부(210)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모터는 발생되는 진동을 마사지볼(212)에 전달할 수 있다. 마사지볼(212)은 진동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여 진동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온열부재(2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열부재(2122)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이때, 발생된 열은 마사지볼(212)에 전달될 수 있다. 마사지볼(212)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전달된 열을 통해 사용자에게 온열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마사지볼(212)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사지볼(212)은 볼부재(2121)와 온열부재(212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사지볼(212)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볼(212)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를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온열부재(2122)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열은 볼부재(2121)로 전달될 수 있다.
볼부재(2121)는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온열부재(2122)로부터 발생된 열은 볼부재(2121)로 전달될 수 있고, 볼부재(2121)는 전달된 열을 사용자의 신체로 전달하여 온열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볼부재(2121)는 탄소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볼부재(2121)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볼부재(2121)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고, 온열부재(21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쉽게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받은 열을 사용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온열부재(2122)는 볼부재(212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온열부재(2122)는 볼부재(2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을 발생시켜 볼부재(2121)의 내부에서 사방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볼부재(2121)는 온열부재(2122)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열부재(2122)는 개략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열부재(2122)는 볼부재(2121)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볼부재(2121)가 회전하는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볼부재(2121)는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를 제공할 때 온열부재(2122)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온열부재(2122)는 지속적으로 볼부재(2121)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열의 전달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온열부재(2122)는 볼부재(2121)에 삽입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삽입되는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열원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개략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는 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열원은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원은 전기저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전기가 흐르는 경우 열원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열원은 니크롬선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열원은 PTC 히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열부재(2122)는 열원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후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찌그러뜨려(또는 프레스 압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온열부재(2122)의 일부는 찌그러지면서 열원을 고정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개략적으로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열부재(2122)의 하우징은 양측부에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은 프레스로 가압 시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온열부재(2122)는 하우징에 열원이 삽입된 후, 하우징의 상하단이 프레스 압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온열부재(2122)는 슬릿 및 프레스 압축으로 인해 하우징과 열원이 밀착 접촉되어 열전달 효율이 높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은
이와 같이 온열부재(2122)가 제조되는 경우, 열원은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온열부재(2122)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온열부재(2122)에 의해 발생되는 열량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제어부에 온열부재(2122)에서 발생시킬 열량 또는 원하는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에 의해 제어부는 온열부재(2122)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온열부재(2122)에 의해 발생되는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볼부재(2121)의 측면에 배치되는 와셔(2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와셔(2124)는 볼부재(212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부재(2121)는 온열부재(2122)를 축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와셔(2124)는 볼부재(2121)의 측면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와셔(2124)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셔(2124)는 마찰이나 충격으로부터 강한 물성을 가질 수 있고, 볼부재(2121)를 보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와셔(2124)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베어링(2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2123)은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온열부재(21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베어링(2123)으로도 전달될 수 있고, 베어링(2123)은 전달받은 열을 볼부재(212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열부재(21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볼부재(2121)와 접하는 부분에서는 볼부재(2121)로 직접 전달되고, 볼부재(212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서는 베어링(2123)을 통해 볼부재(2121)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마사지볼(212')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사지볼(212)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10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채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볼(212')은 볼부재(2121') 및 온열부재(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볼부재(2121')의 양측에 배치되는 와셔(2124')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와셔(2124')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베어링(2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볼부재(2121')는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볼부재(2121')를 이루는 경우 볼부재(2121')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는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볼부재(2121')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경우 두 개의 부재가 각각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와 강하게 접촉되는 부재는 강하고 빠르게 회전하면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와 상대적으로 약하게 접촉되는 부재는 약하고 천천히 회전하면서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의 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셔(2124')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부재가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각각의 부재는 와셔(2124')에 의해 마찰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두 개의 부재 사이에는 베어링(2123')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온열부재(2122')로부터 발생된 열은 베어링(2123')으로도 전달될 수 있고, 베어링(2123')에 전달된 열은 볼부재(2121')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로 전달될 수 있어 열이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마사지볼(212")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마사지볼(212, 212')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11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채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볼(212")은 볼부재(2121") 및 온열부재(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볼부재(2121")의 양측에 배치되는 와셔(2124")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와셔(2124")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베어링(2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볼부재(2121")는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볼(212")은 두 개의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석부재(2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재(2125")는 영구자석일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자기장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석부재(2125")는 후술하는 자기장 발생 모듈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자기장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사지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장 발생 모듈은 마사지볼(212")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 모듈은 PEMF(Pulsed Electro-Magnetic Field)를 발생시킬 수 있다. PEMF는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여 세포내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세포와 조직의 재생을 도울 수 있다. 또한, PEMF는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여 신체의 조직 대사를 활성화시키고,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고, 척추의 이완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자기장 발생 모듈은 PEMF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자기장 치료 효과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 모듈은 마사지볼(212")에 구비되는 자석부재(2125")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더욱 효율적으로 자기장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 모듈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장 발생 모듈은 자기장 치료를 수행하면서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자기장 발생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사지볼(21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자기장 발생 모듈에서 발생된 열은 마사지볼(212")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장 발생 모듈은 추가적인 열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자기장 발생 모듈에 의해 열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므로, 온열부재(2122")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8의 상부커버(214)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커버(214)는 모듈 베이스(2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베이스(211)는 양옆에는 마사지볼(212)이 배치될 수 있고, 마사지볼(2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에 상부커버(214)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커버(214)는 온열부재(2122)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열부재(2122)는 각각의 마사지볼(212)의 회전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부커버(214)에 의해 온열부재(2122)는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열부재(2122)의 일단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커버(214)에는 온열부재(2122)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커버(214)가 모듈 베이스(211)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온열부재(2122)의 홈에 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온열부재(2122)가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커버(214)는 온열부재(2122)를 고정하도록 모듈 베이스(211)의 상부에 결합된 경우 마사지볼(212)의 높이보다 낮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부(210)가 사용자의 신체에 닿는 경우 마사지볼(212)은 사용자의 신체에 닿게 되고, 상부커버(214)는 사용자의 신체와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지압, 진동, 두드림 등의 마사지를 제공하는 것은 마사지볼(212)이므로, 상부커버(214)는 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마사지볼(212)이 마사지를 제공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부커버(214)는 추가적인 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커버(214)는 열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214)는 온열부재(2122)를 고정시키기 위해 온열부재(2122)와 연결되므로 온열부재(21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상부커버(214)로도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마사지부(210)가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마사지를 제공하는 경우 상부커버(214)로부터도 사용자의 신체로 열이 일정량만큼 복사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중 마사지볼(212)이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도 상부커버(214)에 의해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생성되는 열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8의 완충부(215)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완충부(215)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마사지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215)는 도 7 및 도 12를 기준으로 마사지부(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완충부(215)는 틸팅부(22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완충부(215)는 모듈 베이스(211)와 틸팅부(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215)는 댐퍼부재(2151) 및 댐퍼샤프트(2152)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부재(2151)는 마사지부(210)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 DOF)를 향상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댐퍼부재(2151)는 마사지부(210)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댐퍼부재(2151)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부재(2151)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형상이 가해지는 힘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고, 힘이 제거되는 경우 다시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댐퍼부재(2151)는 고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댐퍼부재(2151)를 이루는 고무는 45 내지 48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부재(2151)를 이루는 고무는 전체적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댐퍼부재(2151)를 이루는 고무는 마사지부(2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215)는 댐퍼부재(2151)는 전체적으로 형상을 유지하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마사지부(210)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댐퍼샤프트(2152)는 댐퍼부재(21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샤프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댐퍼샤프트(2152)는 선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샤프트(2152)는 나사, 못,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댐퍼샤프트(2152)는 댐퍼부재(215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양단은 댐퍼부재(2151)의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댐퍼샤프트(2152)의 일단은 모듈 베이스(211)와 결합될 수 있다. 댐퍼샤프트(2152)의 타단은 틸팅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댐퍼부재(2151)는 마사지부(210)의 모듈 베이스(211)와 틸팅부(220)의 사이에 배치되며, 모듈 베이스(211), 댐퍼부재(2151) 및 틸팅부(220)는 댐퍼샤프트(21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마사지부(21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은 직접적으로 모듈 베이스(211)와 연결된 댐퍼샤프트(2152)에 전달되고, 댐퍼샤프트(2152)를 통해 댐퍼부재(2151)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마사지부(210)에 가해지는 힘은 댐퍼샤프트(2152)를 이동시키려고 하고, 댐퍼샤프트(2152)는 그 힘에 의해 댐퍼부재(2151)를 변형시키면서 각도를 변화시키므로, 마사지부(210)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외부에서 마사지부(2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댐퍼샤프트(2152)가 D1 방향으로 이동하려하는 경우 댐퍼부재(2151)는 개략적으로 C1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외부에서 마사지부(2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댐퍼샤프트(2152)가 D2 방향으로 이동하려하는 경우 댐퍼부재(2151)는 개략적으로 C2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완충부(215)는 마사지부(2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특정 부위가 수축하면서 마사지부(210)의 자유도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부(210)는 완충부(215)에 의해 3축 방향에 대한 자유도, 즉 6ODF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사지부(210)는 평면 상의 움직임이 아닌 공간 상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부(215)는 마사지 모듈(200)이 진동 마사지를 제공하는 경우 진동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완충부(215)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215)는 마사지부(210)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진동 모터로부터 발생된 진동은 마사지볼(212)에는 그대로 전달되나 완충부(215)를 지나면서 상쇄되어 틸팅부(220), 높이 조절부(230), 이동부(240) 또는 몸체부(110)에는 약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진동이 마사지볼(2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약하게 전달되므로 마사지 장치(100)와 마사지 모듈(2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도 8의 마사지부(210)와 인접하도록 온도 센서(216)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X-X'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마사지부(210)는 온도 센서(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16)는 마사지볼(2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볼(212)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제공하는 온열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온도 센서(216)는 마사지볼(212)에 접촉하여 마사지볼(21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216)는 마사지볼(212)의 온도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216)를 마사지볼(212)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일 실시예로서 마사지부(210)는 플레이트부재(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재(217)는 적어도 일 영역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부재(217)는 평평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평평한 영역의 양단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부재(217)의 굴곡진 영역은 마사지볼(212)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재(217)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부재(217)는 탄성에 의해 마사지볼(212)을 향한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유지될 수 있고, 자세하게는 마사지볼(212)을 감싸안는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부재(217)의 적어도 일단에는 온도 센서(216)가 배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부재(217)의 탄성에 의해 온도 센서(216)는 마사지볼(21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마사지볼(212)은 중심부의 직경(D1)이 외부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볼(212)은 중심부가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216) 및 플레이트부재(217)가 마사지볼(212)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온도 센서(216), 플레이트부재(217) 및 마사지볼(212)가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마사지볼(212)의 오목지게 형성되는 부분에 온도 센서(216)가 배치되므로, 마사지볼(212)의 회전 중 온도 센서(216)가 마사지볼(2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7은 도 7의 틸팅부(220)의 일 구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7의 틸팅부(2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마사지 모듈(200)은 틸팅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마사지부(2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가 적정 각도까지 회전하도록 마사지부(2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사지부(210)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를 적정한 각도까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의 일측에 배치되되, 도 7을 기준으로 마사지부(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의 하측에 종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종방향은, 마사지 모듈(200)이 마사지홈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지는 않고, 외부로부터 마사지부(21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의 회전을 제어하되, 마사지부(210)를 회전시키도록 가해지는 힘에 대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사지부(210)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마사지부(21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마사지부(210)가 그에 대응하여 어느 정도 회전하지 않는 경우 마사지부(21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마사지부(210)가 마사지홈을 따라 이동하다가 사용자의 신체에 걸리는 경우에 마사지부(210)가 전혀 회전하지 않고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를 강하게 압박하여 오히려 부상을 입힐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에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마사지부(210)가 회전하도록 그 힘을 완충할 수 있고, 어느 각도 이상으로 마사지부(210)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틸팅부(220)는 틸팅 프레임(221)과 탄성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프레임(221)은 마사지부(210)의 하측에서 마사지부(210)와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틸팅 프레임(221)의 마사지부(210)의 하측에서 완충부(215)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틸팅 프레임(221)은 마사지부(210)의 하측에서 종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 방향은 마사지 모듈(200)이 마사지 홈(111)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틸팅 프레임(221)은 후술하는 높이 조절 브라켓(23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틸팅 프레임(221)은 높이 조절 브라켓(231)에 구비되는 별도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틸팅 프레임(221)은 높이 조절 브라켓(231)에 구비되는 축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22)는 틸팅 프레임(221)과 연결되되, 틸팅 프레임(221)의 회전 방향에 대한 탄성을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
탄성부재(222)는 마사지부(210)에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을 완충하기 위해 수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222)가 수축되면서 틸팅 프레임(221)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후, 마사지부(210)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거나 소거되는 경우 탄성부재(222)는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틸팅 프레임(221)은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22)는 틸팅 프레임(221)이 회전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수축 및 팽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222)의 수축 및 팽창 중심과 틸팅 프레임(221)의 회전축은 공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22)는 높이 조절 브라켓(231)에 구비되는 별도의 축이 삽입되기 위한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탄성부재(222)는 비틀림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일반 선형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마사지 모듈(200)의 내부에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틸팅 프레임(221)에 충분한 각도와 충분한 세기의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선형 스프링은 마사지 모듈(200)의 내부에 어느 이상의 길이만큼 배치되어야 하나, 마사지 모듈(200)은 그 특성상 어느 이상의 부피를 가지기 어렵다. 따라서, 탄성부재(222)는 비틀림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으로서 틸팅 프레임(221)의 회전방향에 대해 직접적으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면서 틸팅 프레임(221)에 충분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여, 틸팅부(220)의 일 구동예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틸팅부(220)는 마사지 홈(111)의 양단에서는 기울어질 수 있다. 이후, 마사지 모듈(200)이 마사지 홈(111)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틸팅부(220)는 점점 세워진 후 수평한 상태에서 이동하다가 다시 반대쪽 단부에 도착해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도 17을 기준으로 왼쪽 단부에서는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가 기울어지고, 오른쪽으로 마사지 모듈(200)이 이동하면서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는 세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마사지 모듈(200)은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가 마사지 홈(111)의 양 끝단에 위치할 때에도 수평하게 유지된다면 사용자가 몸체부(110)의 상부에 누웠을 때 마사지 홈(111)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에 의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처음에는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몸체부(110)에 편안하게 누울 수 있고, 이 후 마사지가 시작되면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는 점점 세워지면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는 사용자의 키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일정 각도씩 회전할 수 있다. 사람의 신체는 굴곡지게 형성된 부분이 많으므로,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가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의 굴곡진 부분에 다다르는 경우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후 그 부분을 지나게 되면 다시 수평하게 세워질 수 있다.
즉, 마사지 모듈(200)은 틸팅부(22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나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에 의해 유연하게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어 마사지를 부드럽게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도 7의 높이 조절부(23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높이 조절부(23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19의 높이 조절부(230)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230)는 마사지부(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부(230)는 틸팅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부(230)는 연결된 틸팅부(2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사지부(210)의 높이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사지부(210)는 사용자에게 마사지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마사지부(210)는 사용자에게 마사지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마사지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를 지압하는 힘이나,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나 두드림의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부(230)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몸체부(110)의 상면에 누웠을 때, 허리는 어깨나 엉덩이에 비해 상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도록 높이 조절부(230)는 마사지부(210)가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허리에 대응되는 위치를 지날 때에는 마사지부(210)의 높이를 들어올릴 수 있고, 어깨와 인접한 곳이나 엉덩이와 인접한 곳을 지날 때에는 마사지부(210)의 높이를 내릴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230)는 제공되는 마사지의 강도에 대응되도록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부(230)는 마사지부(210)의 높이를 높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지압, 두드림, 진동 마사지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높이 조절부(230)는 마사지부(210)의 높이를 낮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지압, 두드림, 진동 마사지의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30)는 높이 조절 브라켓(231), 제1 피니언기어(232) 및 축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높이 조절부(230)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피니언기어(232)는 회전하면서 높이 조절 브라켓(23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고, 축부재(233)는 제1 피니언기어(232)의 회전운동의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개략적으로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제1 랙기어(23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부채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랙기어(23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랙기어(2311)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 높이 조절 브라켓(231)에 결합될 수도 있고, 높이 조절 브라켓(231)의 원주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피니언기어(232)는 제1 랙기어(2311)와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피니언기어(232)가 회전함으로써 제1 피니언기어(232)와 치합된 제1 랙기어(2311)는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피니언기어(232)가 축부재(23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피니언기어(232)와 치합된 제1 랙기어(2311)는 제1 피니언기어(232)의 회전 방향과 대응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2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피니언기어(2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랙기어(2311)는 이와 대응되도록 위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위를 향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반대로, 제1 피니언기어(2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랙기어(2311)는 이와 대응되도록 아래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아래를 향해 내려갈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사지부(210) 및 틸팅부(220)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높이 조절부(230)는 제1 피니언기어(232)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액츄에이터는 제1 피니언기어(2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액츄에이터는 제어부에 의해 제1 피니언기어(232)를 회전시키는 양 및 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기어(232)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높이 조절 브라켓(231)은 제1 랙기어(2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더(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더(234)는 높이 조절 브라켓(231)과 축부재(233)의 상대적인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더(234)는 제1 랙기어(2311)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더(234)의 내측에는 축부재(233)가 이동하는 경로가 되는 가이드 홈(234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자세하게는 제1 피니언기어(232)가 회전함으로써 제1 랙기어(2311)가 구비된 높이 조절 브라켓(231)이 이동하는 것이므로, 가이드 홈(2341)은 축부재(233)와 높이 조절 브라켓(231)의 상대적인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이더(234)의 적어도 일단에는 스토퍼(234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스토퍼(2342)는 가이더(234)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342)는 축부재(233)가 가이드 홈(2341)을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랙기어(2311)가 한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피니언기어(232)와 분리되어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랙기어(2311)가 한계 지점까지 이동한 경우 축부재(233)는 스토퍼(2342)에 걸릴 수 있고, 높이 조절 브라켓(231)이 한계점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2는 도 7의 이동부(24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부(240)는 마사지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이동부(240)는 이동 프레임(241), 이동 휠(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41)은 이동부(24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41)의 내부에는 높이 조절부(2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30)에 마련된 공간에는 높이 조절부(23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높이 조절부(230)는 틸팅부(220)와 연결될 수 있고, 틸팅부(220)는 마사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40)는 수용된 높이 조절부(230)를 이동시킴으로써 높이 조절부(230)와 연결된 틸팅부(220) 및 마사지부(21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 이동부(240)는 마사지 모듈(200)이 전체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사지 모듈(200)은 이동부(240)에 의해 마사지 장치(100)의 내부에서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사지 모듈(200)은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마사지 홈(111)을 따라 사용자의 신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 모듈(200)은 사용자의 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휠(242)은 이동 프레임(241)에 부설되어 이동부(240)가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휠(24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동 프레임(241)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휠(242)은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구름으로써 마시지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동부(240)는 이동 휠(242)과 인접한 위치에 제2 피니언기어(24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피니언기어(2421)는 이동 휠(242) 중 어느 하나와 회전축을 공유할 수 있다. 즉, 제2 피니언기어(2421)는 어느 하나의 이동 휠(242)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제2 피니언기어(2421)와 치합되는 제2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랙기어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사지 홈(11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피니언기어(2421)는 회전하면서 제2 랙기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동 휠(242)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이동부(240)는 마사지 홈(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마사지 모듈(200)은 제2 피니언기어(242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피니언기어(242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피니언기어(2421)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부(240)는 마사지 홈(111)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3a는 도 8의 마사지볼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3b는 도 23a의 볼부재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마사지볼(212)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23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고(또는 이용되거나)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9의 마사지볼(212), 도 10의 마사지볼(212'), 도 11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고(또는 이용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채용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마사지볼(212"')은 볼부재(2121"'), 온열 부재(2122"') 및 와셔(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볼부재(2121"')는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온열 부재(2122"')는 볼부재(2121"')에 삽입될 수 있다. 와셔(2123"')는 볼부재(212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볼부재(2121"')는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몸체(2121a"') 및 몸체(2121a"')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2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팅층(2121b"')은 TAC(tech arc coating) 방식을 통해 몸체(2121a"')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TAC 방식은 저전압 플라즈마 코팅 공법일 수 있다.
몸체(2121a"')의 소재 및 코팅층(2121b"')의 소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몸체(2121a"')의 열전도성 및 코팅층(2121b"')의 열전도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층(2121b"')의 열전도성은 몸체(2121a"')의 열전도성 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2121a"')의 소재는 알류미늄이고 , 코팅층(2121b"')의 소재는 세라믹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몸체(2121a"')의 소재는 금, 은, 백금, 팔라듐, 및 구리 중 적어도 하나 등 다양할 수 있고, 코팅층(2121b"')의 소재는 몸체(2121a"')의 소재보다 열전도성이 높고,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높은 소재일 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2121a"')를 알루미늄 소재로 구현하여 볼부재(2121"')의 열 전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몸체(2121a"')의 표면에 세라믹 소재의 코팅층(2121b"')을 코팅하여 볼부재(2121"')의 열 전도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사지부(212"')는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감을 신속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몸체(2121a"')의 표면에 코팅층(2121b"')을 코팅하는 경우의 열 전도성은 몸체(2121a"')의 표면에 코팅층(2121b"')을 코팅하지 않는 경우의 열 전도성 보다 높을 수 있다.
볼부재(2121"')는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또는 관통하는) 제1 관통홀(2121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121h"')의 내경은 온열 부재(2122"')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볼부재(2121"')는 제1 관통홀(2121h"')에 삽입된 온열 부재(2122"')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부재(2121"')는 양측부에 와셔(212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홈은 제1 관통홀(2121h"')의 일단 및 타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의 내경은 제1 관통홀(2121h"')의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와셔(2123"')는 볼부재(2121"')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볼부재(2121"')의 양측부에 밀착 결합(또는 배치, 연결)될 수 있다.
와셔(2123"')는 온열 부재(2122"')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2123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121h"') 및 제2 관통홀(2123h"')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며, 온열 부재(212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온열 부재(2122"')는 볼부재(212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2121h"' 및 2123h"')을 관통하는 회전축일 수 있다.
와셔(2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와셔로 POM(Polyacetal or Polyoxymethylene)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와셔(2123"')는 폴리아미드(PA: Polyamide), 폴리아세탈(POM: Polyacetal or Polyoxym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설폰수지(PSU: Polysulfone resin), 폴리에테르 설폰(PES: Polyether sulfon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phide), 폴리페닐렌설폰(PPSU: Polyphenylene sulfon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 imide), 폴리아미드이미드(PAI: Polyamide imide), 폴리벤지미다졸(PBI: Polybenzimidazol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및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Polyether ether ketone)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와셔(2123"')는 볼부재(2121"')의 측부와 접하는 베이스 판(2123a"') 및 베이스 판(2123a"')의 일면으로부터 볼부재(2121"')의 삽입홈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123b"')는 볼부재(2121"')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의 내경은 돌출부(2123b"')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돌출부(2123b"')의 중앙부에는 제2 관통홀(2123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4a는 도 8의 마사지볼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4b는 도 24a의 볼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24c는 도 24a의 볼부재 및 와셔의 단면도이고, 도 24d는 도 24a의 볼부재, 온열 부재 및 와셔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 내지 도 11,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마사지볼(212)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한 도 9 내지 도 11,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24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고(또는 이용되거나) 도 24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9의 마사지볼(212), 도 10의 마사지볼(212'), 도 11의 마사지볼(212"), 도 23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고(또는 이용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채용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를 참조하면, 마사지볼(212"")은 복수의 볼부재들(2121""), 온열 부재(2122""), 와셔(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볼부재(2121"")는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온열 부재(2122"")는 복수의 볼부재(2121"")들에 삽입될 수 있다. 와셔(2123"")는 각 볼부재(212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부재(2121"")는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볼(2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볼부재(2121a"") 및 마사지볼(21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볼부재(2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부재(2121a"")는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제1 몸체(2121a1"") 및 제1 몸체(2121a1"")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2121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부재(2121b"")는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제2 몸체(2121b1"") 및 제2 몸체(2121b1"")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2121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 및 제2 몸체(2121a1"" 및 2121b1"")는 도 23에서 설명한 몸체(2121a"')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고,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2121a2"" 및 2121b2"")은 도 23에서 설명한 코팅층(2121b"')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볼부재(2121a"")는 온열 부재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2121ah"")을 포함하고, 제2 볼부재(2121b"")는 온열 부재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2121b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2121ah"" 및 2121bh"")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며 온열 부재(212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제1 볼부재 및 제2 볼부재(2121a"" 및 2121b"")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2121ah"" 및 2121bh"")에 삽입된 온열 부재(2122"")를 축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각 볼부재는 양측부에 와셔(212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홈은 도 23에서 설명한 볼부재(2121"')의 삽입홈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와셔(2123"")는 마사지볼(212"")의 양측 사이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내부 와셔(2123a"") 및 마사지볼(212"")의 양측에 배치되는 외부 와셔(2123b"" 및 2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셔(2123"")는 도 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OM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 와셔(2123a"")는 제1 볼부재 및 제2 볼부재(2121a"" 및 212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내부 와셔(2123a"")는 온열 부재(2122"")가 관통하는 제3 관통홀(2123ah"")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와셔(2123a"")는 내곽부(2123a1""), 외곽부(2123a2""), 및 연결부(2123a3"")를 포함할 수 있다.
내곽부(2123a1"")는 온열 부재(2122"")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곽부(2123a1"")의 중심부에는 제3 관통홀(2123ah"")이 형성되어 내곽부(2123a1"")는 온열 부재(212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때, 내곽부(2123a1"")는 온열 부재(2122"")를 둘러쌀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원통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곽부(2123a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볼부재 및 제2 볼부재(2121a"" 및 2121b"")의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곽부(2123a1"")의 일단은 제1 볼부재(2121a"")에 삽입되고, 내곽부(2123a1"")의 타단은 제2 볼부재(2121b"")에 삽입될 수 있다.
외곽부(2123a2"")는 제1 볼부재 및 제2 볼부재(2121a"" 및 2121b"")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제1 볼부재 및 제2 볼부재(2121a"" 및 212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곽부(2123a2"")의 일단은 제1 볼부재(2121a"")의 외면에 접촉 배치되고, 외곽부(2123a2"")의 타단은 제2 볼부재(2121b"")의 외면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곽부(2123a1"")가 볼부재(2121"")에 삽입되고, 외곽부(2123a2"")가 볼부재(2121"")의 외면에 접촉 배치되기에, 내곽부(2123a1"")의 일단 및 타단 간의 거리와, 외곽부(2123a2"")의 일단 및 타단 간의 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곽부(2123a1"")의 일단 및 타단 간의 거리는 외곽부(2123a2"")의 일단 및 타단 간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연결부(2123a3"")는 내곽부(2123a1"") 및 외곽부(2123a2"")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123a3"")는 내곽부(2123a1"")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심 영역에서 외곽부(2123a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중심 영역까지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곽부(2123a1"") 및 외곽부(2123a2"")를 연결할 수 있다.
내부 와셔(2123a"")는 내부 와셔(2123a"")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는 돌출 리브들(2123a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리브들(2123a1"")은 내부 와셔(2123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돌출 리브들(2123a1"")은 제3 관통홀(2123ah"")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리브들(2123a1"")은 연결부(2123a3"")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리브들(2123a1"")은 내부 와셔(2123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돌출 리브들 및 내부 와셔(2123a"")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돌출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리브들은 제1 관통홀(2123ah"")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출 리브들은 제1 관통홀(2123ah"")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 리브들 및 제2 돌출 리브들은 연결부(2123a3"")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거나 서로 비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와셔(2123b"" 및 2123c"")는 각 볼부재의 일측 및 타측 중 마사지볼(212"")의 양측부에 대응하는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부 와셔(2123b"")는 제1 볼부재(2121a"")의 일측 및 타측 중 마사지볼(212"")의 일측에 대응하는 측부에 배치되고, 제2 외부 와셔(2123c"")는 제2 볼부재(2121b"")의 일측 및 타측 중 마사지볼(212"")의 타측에 대응하는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부 와셔(2123b"")는 온열 부재(2122"")가 관통하는 제4 관통홀(2123bh"")를 포함하고, 제2 외부 와셔(2123c"")는 온열 부재(2122"")가 관통하는 제5 관통홀(2123ch"")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121ah"") 내지 제5 관통홀(2123ch"")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며, 온열 부재(212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온열 부재(2122"")는 제2 관통홀(2123h"')을 관통하여 제1 관통홀(2121h"')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온열 부재(2122"")는 복수의 볼부재들(2121"")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1 관통홀(2121ah"") 내지 제5 관통홀(2123ch"")을 관통하는 회전축일 수 있다.
상술한 내부 와셔(2123a"") 및 외부 와셔(2123b"" 및 2123c"")의 외경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와셔(2123a"")의 외경은 복수의 볼부재들(2121"")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외부 와셔(2123b"" 및 2123c"")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내부 와셔(2123a"")는 각 볼부재의 크기에 기초하여 내부 와셔(2123a"")의 외경이 결정되고, 결정된 내부 와셔(2123a"")의 외경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와셔(2123b"" 및 2123c"")는 도 23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볼부재(2121"")의 측부와 접하는 베이스 판(2123b1"" 및 2123c1"") 및 베이스 판(2123b1"" 및 2123c1"")의 일면으로부터 각 볼부재(2121")의 삽입홈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123b2"" 및 2123c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a는 도 8의 마사지볼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5b는 도 25a의 볼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25c는 도 25a의 볼부재, 와셔, 및 온열 전달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25d는 도 25a의 볼부재, 온열 부재, 와셔, 및 온열 전달 부재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 내지 도 11, 도 23,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사지볼(212)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한 도 9 내지 도 11, 도 23,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25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고(또는 이용되거나)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은 도 9의 마사지볼(212), 도 10의 마사지볼(212'), 도 11의 마사지볼(212"), 도 23의 마사지볼(212"'), 도 24의 마사지볼(212""')에도 그대로 이용되고(또는 이용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채용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d를 참조하면, 마사지볼(212""')은 복수의 볼부재들(2121""'), 온열 부재(2122""'), 베어링(2123""'), 와셔(2124""'), 및 온열 전달 부재(2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볼부재(2121"")는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온열 부재(2122"")는 복수의 볼부재(2121"")들에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2123""')은 각 볼부재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와셔(2123"")는 마사지볼(212""')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온열 전달 부재(2125""')는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복수의 볼부재들(2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부재(2121""')는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사지볼(21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볼부재(2121a""') 및 마사지볼(21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볼부재(2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부재(2121a""')는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제1 몸체(2121a1""') 및 제1 몸체(2121a1""')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2121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부재(2121b""')는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제2 몸체(2121b1""') 및 제2 몸체(2121b1""')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2121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 및 제2 몸체(2121a1""' 및 2121b1"'")는 도 23에서 설명한 몸체(2121a"')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고,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2121a2""' 및 2121b2""')은 도 23에서 설명한 코팅층(2121b"')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볼부재(2121a""')는 온열 부재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2121ah""')을 포함하고, 제2 볼부재(2121b""')는 온열 부재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2121b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2121ah""' 및 2121bh""')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며, 온열 부재(212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제1 볼부재 및 제2 볼부재(2121a""' 및 2121b""')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2121ah""' 및 2121bh""')에 삽입된 온열 부재(2122""')를 축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2121ah""' 및 2121bh""')에는 베어링(2123""')이 삽입될 수 있고, 온열 부재(2122""')는 베어링(2123""')의 관통홀(2123h""')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볼부재 및 제2 볼부재(2121a""' 및 2121b""')는 베어링(2123""')을 통해 온열 부재(2122""')와 더욱 밀착 접촉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하며, 온열 부재(2122""')로부터 발생될 열을 잘 전달 받을 수 있다.
온열 전달 부재(2125""')는 온열 부재(21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마사지볼(212""')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이때, 온열 전달 부재(2125""')의 열전도성은 복수의 볼부재들(2121""')의 열전도성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열 전달 부재(2125""')는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제3 관통홀(2125h""')을 포함할 수 있다. 온열 부재(2122""')는 온열 전달 부재(212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3 관통홀(2125h""')의 내경은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2121ah""' 및 2121bh""')의 내경 보다 작고, 온열 부재(212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온열 전달 부재(2125""') 및 온열 부재(2122""')는 서로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온열 전달 부재(2125""')는 도 23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2121a"')와 동일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온열 전달 부재(2125""')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석부재(2125")로 구현될 수 있다.
베어링(2123""')은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되고,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제4 관통홀(2123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 관통홀(2123h""')의 내경은 제3 관통홀(2125h""')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링(2123""')은 제1 볼부재(2121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베어링(2123a""'), 제1 볼부재(2121a""')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2123b""'), 제2 볼부재(2121b""')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베어링(2123c""'), 제2 볼부재(2121b""')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베어링(2123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a에서는 제4 베어링(2123d""')의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도시하였지만, 각 베어링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기에, 제4 베어링(2123d""')의 형상이 각 베어링에 적용될 수 있다.
각 베어링은 베이스 판 및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베어링(2123d""')은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2123d1""') 및 돌출부(2123d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판(2123d1""')은 원형의 형상으로 구현되고, 돌출부(2123d2""')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판은 복수의 볼부재들(2121a""' 및 2121b""') 중 적어도 하나의 볼부재의 측부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어링(2123a""')의 베이스 판은 제1 볼부재(2121a""')의 일측에 접하고, 제2 베어링(2123b""')의 베이스 판은 제1 볼부재(2121a""')의 타측에 접할 수 있다. 제3 베어링(2123c""')의 베이스 판은 제2 볼부재(212ba""')의 일측에 접하고, 제4 베어링(2123d""')의 베이스 판(2123d1""')은 제2 볼부재(212ba""')의 타측에 접할 수 있다.
돌출부는 베이스 판의 일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볼부재의 관통홀을 향해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볼부재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어링(2123a""')의 돌출부는 제1 베어링(2123a""')의 베이스 판의 일면에서 제1 관통홀(2121ah""')을 향해 돌출되어 제1 관통홀(2121ah""')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베어링(2123b""')의 돌출부는 제2 베어링(2123b""')의 베이스 판의 일면에서 제1 관통홀(2121ah""')을 향해 돌출되어 제1 관통홀(2121ah""')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베어링(2123c""')의 돌출부는 제3 베어링(2123c""')의 베이스 판의 일면에서 제2 관통홀(2121bh""')을 향해 돌출되어 제2 관통홀(2121bh""')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베어링(2123d""')의 돌출부(2123d2""')는 제4 베어링(2123d""')의 베이스 판(2123d1""')의 일면에서 제2 관통홀(2121bh""')을 향해 돌출되어 제2 관통홀(2121bh""')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관통홀(2123h""')은 돌출부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어링(2123a""')의 관통홀(2123ah""')은 제1 베어링(2123a""')의 돌출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2 베어링(2123b""')의 관통홀(2123bh""')은 제2 베어링(2123b""')의 돌출부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베어링(2123c""')의 관통홀(2123ch""')은 제3 베어링(2123c""')의 돌출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4 베어링(2123d""')의 관통홀(2123dh""')은 제4 베어링(2123d""')의 돌출부(2123d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2121ah""') 및 제2 관통홀(2121bh""')에 베어링(2123""')의 돌출부가 삽입되기에, 제1 관통홀(2121ah""') 및 제2 관통홀(2121bh""')의 내경은 베어링(2123""')의 돌출부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3 관통홀(2125h""') 및 돌출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4 관통홀(2123h""')에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기에, 베어링(2123""')의 돌출부의 외경 및 내경(또는, 제4 관통홀)은 온열 부재(212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와셔(2124""')는 마사지볼(212"")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온열 부재(2122""')가 삽입되는 제5 관통홀(2124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셔(2124""')는 도 23 및 도 24의 와셔의 베이스 판으로만 구성된 원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관통홀(2124h""')의 내경은 제3 관통홀 및 제4 관통홀(2125h""' 및 2123h""')의 내경과 동일하며, 온열 부재(212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마사지부(210)는 도 23의 마사지볼(212"'), 도 24의 마사지볼(212"") 및 도 25의 마사지볼(212""') 중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사지부(210)은 마사지부(210)의 상단에 도 25의 마사지볼(212""')이 배치되고, 마사지부(210)의 하단에 도 24의 마사지볼(212"")이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사지부(210)는 상술한 마사지볼들(212, 212', 212", 212"', 212"", 212""') 중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볼이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조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마사지 장치 구성 및 기능은, 헬스케어 기능(예를 들어, 안마/마사지 기능, 생체 신호 측정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로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마사지 장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로서,
    상기 마사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마사지볼을 포함하고,
    상기 마사지볼은,
    열전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복수의 볼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볼부재들에 삽입되는 온열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 부재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상기 열을 상기 복수의 볼부재들로 전달하는,
    마사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부재들은,
    상기 마사지볼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온열 부재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볼부재; 및
    상기 마사지볼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온열 부재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볼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부재 및 상기 제2 볼부재는 상기 온열 부재를 축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마사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볼은,
    각 볼부재의 양측에 배치되는 와셔;
    를 더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POM(Polyacetal or Polyoxymethylene)로 구현되는,
    마사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제1 볼부재 및 상기 제2 볼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온열 부재가 관통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내부 와셔; 및
    각 볼부재의 일측 및 타측 중 상기 마사지볼의 양측부에 대응하는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온열 부재가 관통하는 제4 관통홀을 포함하는 외부 와셔;
    를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내지 상기 제4 관통홀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온열 부재의 외경 보다 큰,
    마사지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와셔 및 상기 외부 와셔의 외경은 서로 상이한,
    마사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와셔의 외경은 상기 외부 와셔의 외경 보다 큰,
    마사지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와셔는,
    상기 내부 와셔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관통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돌출 리브들;
    을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들은,
    상기 내부 와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돌출 리브들; 및
    상기 내부 와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돌출 리브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 리브들 및 상기 제2 돌출 리브들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거나 서로 비대향하여 배치되는,
    마사지 모듈.
  11. 제2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 부재는,
    상기 볼부재에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열원;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에 슬릿이 형성되는,
    마사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열원이 삽입된 후, 상기 하우징의 상하단이 프레스 압축되어 형성되는,
    마사지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 모듈은,
    상기 마사지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틸팅부;
    를 더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 모듈은,
    상기 틸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마사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마사지 모듈.
KR1020220041352A 2021-04-27 2022-04-01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20220147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579 2021-04-27
KR20210054579 2021-04-27
KR1020210055821 2021-04-29
KR20210055821 2021-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504A true KR20220147504A (ko) 2022-11-03

Family

ID=8404069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470A KR20220147490A (ko) 2021-04-27 2021-12-21 침대형 마사지 장치
KR1020210183472A KR102474156B1 (ko) 2021-04-27 2021-12-21 자유도가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1020210183471A KR20220147491A (ko) 2021-04-27 2021-12-21 온열 마사지 모듈
KR1020220041355A KR20220148093A (ko) 2021-04-27 2022-04-01 열전도성이 향상된 침상형 마사지 모듈
KR1020220041346A KR20220148092A (ko) 2021-04-27 2022-04-01 자유도 및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1020220041352A KR20220147504A (ko) 2021-04-27 2022-04-01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470A KR20220147490A (ko) 2021-04-27 2021-12-21 침대형 마사지 장치
KR1020210183472A KR102474156B1 (ko) 2021-04-27 2021-12-21 자유도가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1020210183471A KR20220147491A (ko) 2021-04-27 2021-12-21 온열 마사지 모듈
KR1020220041355A KR20220148093A (ko) 2021-04-27 2022-04-01 열전도성이 향상된 침상형 마사지 모듈
KR1020220041346A KR20220148092A (ko) 2021-04-27 2022-04-01 자유도 및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2201474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809B1 (ko) * 2023-02-13 2023-07-20 (주)성우메디텍 기능성이 개선된 안마모듈
KR102564449B1 (ko) * 2023-03-23 2023-08-07 (주)성우메디텍 온열 치료기용 안마구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04Y1 (ko) * 2001-07-25 2001-11-22 김명수 척추관리를 겸한 마사지치료장치
KR101181918B1 (ko) * 2010-11-09 2012-09-11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93A (ko) 2022-11-04
KR20220147490A (ko) 2022-11-03
KR20220147491A (ko) 2022-11-03
KR20220148092A (ko) 2022-11-04
KR102474156B1 (ko) 2022-12-06
KR20220147492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7504A (ko) 열전도성이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101942267B1 (ko) 척추치료기가 내장된 온열매트
KR102462616B1 (ko) 목 어깨 재활치료 장치
KR100658147B1 (ko) 척추교정기
KR100932159B1 (ko) 좌식 온열치료기
KR101744934B1 (ko) 고주파를 이용한 마사지 롤러
US20090143707A1 (en) Knee heat/massage device
JP5906310B2 (ja) スライディング方式の温熱治療器
JP3171672U (ja) 可搬型マッサージ器
CN105361568B (zh) 颈椎护理枕
KR101711448B1 (ko) 화장료가 배출되는 화장품기구
TW201200122A (en) Massage apparatus
KR102472125B1 (ko) 팔과 허벅지를 동시에 안마할 수 있는 복합 안마부 및 이를 구비한 안마의자
KR101124571B1 (ko) 물리치료용 온열침대
US20220339059A1 (en) Massage module with improved degree of freedom
KR20230166880A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1279919B1 (ko) 척추 및 골반 교정장치
KR102273070B1 (ko) 별도의 발열체를 구비한 안마의자용 발열 조립체
KR20220166216A (ko) 자유도가 향상된 마사지 모듈
KR102553023B1 (ko) 목 디스크 개선용 마사지 장치
JPH11178875A (ja) マッサージ機
KR101595865B1 (ko) 목근육 이완기
KR101415661B1 (ko) 무한궤도형 안마의자
KR200374098Y1 (ko) 원적외선 온열기능을 갖는 발열벨트
KR200268124Y1 (ko) 안마용 침대의 온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