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283A -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283A
KR20220147283A KR1020210054202A KR20210054202A KR20220147283A KR 20220147283 A KR20220147283 A KR 20220147283A KR 1020210054202 A KR1020210054202 A KR 1020210054202A KR 20210054202 A KR20210054202 A KR 20210054202A KR 20220147283 A KR20220147283 A KR 2022014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tachable
acupressure
chair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김재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김재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김재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21005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7283A/ko
Publication of KR2022014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3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지압판을 탈착시킬 수 있는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chair of leading correct posture and health}
본 발명은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지압판을 탈착시킬 수 있는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의자로서, 예컨대 특허문헌1(한국등록특허 제10-1598473호)의 공보가 제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특허문헌1의 의자는 뼈대가 되는 프레임부와 착석부위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제1 판부(10)와 제2 판부(20), 및 제1 판부(10)와 제2 판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부(10)는 착석자의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안치될 수 있다.
제1 판부(10)에는 엉덩이가 앉혀지는 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판부(20)는 착석자의 등 부위가 안치될 수 있다.
제2 판부(20)는 길이방향(L)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만곡지게 형성(S1)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착석자의 일부 엉덩이 부위와 허리 부위가 닿게 되는 부위이다.
연결부(30)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진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특허문헌1의 의자는 단순히 바른 자세로 안락함을 제공할 뿐이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2(한국등록특허 제10-2163201호)의 의자(100)도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판부(110), 제2 판부(130) 및 제1 판부(110)와 제2 판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지만, 제2 판부(130)에 지압부(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압부(140)는 착석자의 허리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145)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압부(140)가 제2 판부(130)의 주위 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지압부(140)를 구비한 기능성 의자(100)는 착석하였을 때 요추의 변형이나 피로감 및 요통 등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착석자는 기능성 의자(100)를 통해 요추의 통증 없이 안락함을 느끼면서 편안하게 오랜 시간 동안 기능성 의자(100)에 앉아 있을 수 있으며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지압부(140)는 착석자에 따라서 또는 착석 시간에 의해 아파 고통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고통은 지속적으로 앉는 의자로서는 치명적일 수 있다.
그러나, 지압부(140)는 제2 판부(1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착석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무조건 지압을 받아야만 한다.
지압하지 않으려면, 수건 등을 지압부(140)를 가리고 앉아야 하는데, 수건 등의 돌출로 기능성 의자(100)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98473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632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지압을 선택할 수 있는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는,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311)를 포함하는 시트 판부(310); 등받이 판부(330); 상기 시트 판부(310)의 후방과 상기 등받이 판부(33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350); 지압돌기(511)를 포함하는 지압판(510); 및 상기 지압판(510)을 상기 등받이 판부(330)에 탈착시키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하단이 상기 등받이 판부(33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착판(540); 상기 등받이 판부(330)와 상기 탈착판(540)의 상단 사이 및 상기 등받이 판부(330)와 상기 탈착판(340)의 측단 사이를 관통 이격시키는 상단 삽통공(550a)과 측단 삽통공(550b); 상기 지압판(510)의 상단 및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 삽통공(550a)과 상기 측단 삽통공(550b)에 삽통되는 상단 플랜지(560a)와 측단 플랜지(560b); 상기 측단 플랜지(560b)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측단 삽통공(550b)의 하단측 걸림턱(570b)에 걸리는 걸림돌기(570a); 및 상기 상단 플랜지(560a)에 형성되어 상기 탈착판(540)의 상단측 걸림턱(580b)에 걸리는 걸림후크(580a);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510)과 측단 플랜지(560b) 사이의 에지에 상기 탈착판(540)의 전면 가장자리에 닿는 돌기(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판부(310) 또는 상기 등받이 판부(330)에 자석(320)(340)을 설치하되, 상기 자석(320)(340)의 N극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압판을 등받이 판부에 탈착시킴으로써, 착석자의 의도대로 지압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주요 척추 부위에 지압 및 자극을 주어 자세 교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가압판과 측단 플랜지 사이의 에지에 상기 탈착판의 전면 가장자리에 닿는 돌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걸림후크가 하단측 걸림턱에 걸렸을 때 걸림력의 반력으로 지압판의 부착 헐거움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거의 점접촉으로 누르고 있어 나중에 탈거할 때 면접촉에 따른 들러붙어 떨어지지 않을 확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가압판과 측단 플랜지 사이의 에지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시트 판부 또는 등받이 판부에 N극이 외부로 노출되게 자석을 설치함으로써, 혈액 속의 헤모그라빈과 척력 작용으로 원활한 혈액 순환에 따른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를 촬영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뒤집어 놓은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지압판을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지압판을 제거한 정면도이다.
도 7은 탈착판에 지압판을 부착 전 촬영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지압판의 걸림돌기가 측단측 걸림턱에 걸린 전후를 촬영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지압판의 걸림후크가 상단측 걸림턱에 걸린 전후를 촬용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의자를 정면과 배면과 측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종래의 의자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200)를 촬영한 사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200)는 착석자용 프레임(300)과 탈착용 지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자용 프레임(300)은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판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탈착용 지압부(500)는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즉 지압이 필요하면 착석자용 프레임(300)에 부착하고, 필요없으면 탈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석자용 프레임(300)은 시트 판부(310)와, 등받이 판부(330)와, 시트 판부(310)와 등받이 판부(330)를 연결하는 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판부(310)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닿는 판부일 수 있다.
시트 판부(310)는 전방들림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들림부(311)는 연결부(350)를 바닥에 놓았을 때 시트 판부(310)의 전방이 위로 들리는 부분일 수 있다.
착석자가 시트 판부(310)에 앉으면, 전방들림부(311)가 아래로 내려가면 등받이 판부(33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착석자의 등 부위를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시트 판부(310)에는 통기공(313)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판부(310)에는 쿠션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트 판부(310)에는 자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320)은 네오디뮴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320)는 접착제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자석(320)은 S극이 아래로 N극이 위로 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320)은 앉았을 때 N극이 혈관 속의 헤모그라빈(N극에 가까움)에 자기력에 의한 척력으로 혈액 운행 개선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등받이 판부(330)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 등 부위를 닿는 판부일 수 있다.
등받이 판부(330)은 도 2를 참조하면 C자 형상의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등받이 판부(330)에는 손잡이(3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등받이 판부(330)에는 쿠션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등받이 판부(330)의 배면에는 다수의 수직한 리브(33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수직한 리브(337)는 좌우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수직한 리브(337)는 등받이 판부(330)의 젖혀짐에 대한 복원력의 향상과 탄성 변형의 손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등받이 판부(330)에도 자석(34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340)은 자석(320)과 마찬가지로 네오디뮴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석(340)는 S극이 후방을, N극이 전방을 향하게 접착제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340)은 앉았을 때 N극이 혈관에 자기력을 가해 혈행 개선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연결부(350)는 착석시 일부 엉덩이 부위와 허리 부위가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연결부(350)에는 통기공(3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350)의 전면에는 다수의 수직한 리브(35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수직한 리브(357)는 통기공(353)을 기준으로 좌우에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수직한 리브(357)는 시트 판부(310)와 등받이 판부(330)의 휘어짐에 대한 복원력을 향상시키고, 탄성 변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탈착용 지압부(500)는 지압판(510)과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압판(510)은 도 4를 참조하면, 전면에 지압돌기(5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압돌기(511)는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에 분포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도 6을 참조하면, 등받이 판부(330)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에는 탈착판(540)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판(540)은 하단이 등받이 판부(33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탈착판(540)은 하단이 등받이 판부(330)에 고정된 외팔보일 수 있다.
상기 탈착부에는 삽통공(550)을 포함할 수 있다.
삽통공(550)은 슬롯 형태로 역U자 형상을 할 수 있다.
삽통공(550)은 상단 삽통공(550a)과 측단 삽통공(55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삽통공(550a)은 등받이 판부(330)와 탈착판(540)의 상단 사이에 관통 이격 형성할 수 있다.
측단 삽통공(550b)은 등받이 판부(330)와 탈착판(540)의 측단 사이를 관통 이격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랜지(56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560)는 상단 플랜지(560a)와 측단 플랜지(56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플랜지(560a)는 지압판(510)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할 수 있다.
상단 플랜지(560a)는 상단 삽통공(550a)에 출납될 수 있다.
측단 플랜지(560b)는 지압판(510)의 측단 가장자리에 형성할 수 있다.
측단 플랜지(560b)는 측단 삽통공(550b)에 출납될 수 있다.
측단 플랜지(560b)의 하단에는 걸림돌기(570a)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돌기(570a)는 측단 삽통공(550b)의 하단측 걸림턱(570b)의 상단에 놓이는 받침편(571a)과, 측단 삽통공(550b)의 하단측 걸림턱(570b)의 배면에 걸리는 걸림편(57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플랜지(560a)에는 걸림후크(580a)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후크(580a)는 탈착판(540)의 상단측 걸림턱(580b)의 배면에 걸릴 수 있다.
걸림후크(580a)의 좌우에는 홈(581a)을 형상할 수 있다.
홈(581a)은 상단 플랜지(560a)에서 오려낸 부분일 수 있다.
홈(581a)은 화살표 형상에 가까운 걸림후크(580a)를 외팔보 형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홈(581a)은 걸림후크(580a)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판(510)에는 돌기(59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590)는 가압판(510)과 측단 플랜지(560b) 사이의 에지에 형성할 수 있다.
돌기(590)는 탈착판(540)의 전면 좌우 가장자리에 닿을 수 있다.
이러한 돌기(590)는 가압판(510)과 거의 점접촉을 하기 때문에, 면접촉에 따른 들러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590)는 걸림후크(580a)의 걸림력에 반대되는 힘을 가해, 가압판(510)의 흔들림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590)는 가압판(510)과 측단 플랜지(560b) 사이의 에지를 보강할 수 있다.
걸림후크(580a)가 탈착판(540)의 배면 가장자리에 걸리면, 돌기(590)는 전면 좌우 가장자리를 밀면서 받칠 수 있다.
걸림후크(580a)와 돌기(590)는 탈착판(540)를 사이에 두고 걸림 헐거움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탈착판(540)에 지압판(510)을 부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7를 참조하면, 걸림돌기(570a)가 하단측 걸림턱(570b)에 끼워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7의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하단측 걸림턱(570b)의 배면이 하단측 걸림턱(570b)의 걸리게 받침편(571a)을 하단측 걸림턱(570b)의 상단에 놓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상태에서, 지압판(510)을 탈착판(540) 쪽으로 밀어주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걸림후크(580a)가 탈착판(540)의 상단측 걸림턱(580b)의 배면에 걸릴 수 있다.
착석자가 지압판(510)이 필요 없을 때에는 걸림후크(580a)를 살짝 들어올리면 탈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탈착판(540)은 등받이 판부(330)와 거의 같은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압판(510)이 탈착판(540)에 부착되면, 지압돌기(511)는 등받이 판부(330)의 전면에 대해 더 앞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때, 처음부터 탈착판(540)이 등받이 판부(330)의 전면에 대해 더 앞으로 향하게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탈착판(540)에 부착된 지압판(510)은 착석자에게 더 강한 지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200 : 의자 300 : 착석자용 프레임
310 : 시트 판부 320,340 : 자석
330 : 등받이 판부 350 : 연결부
500 : 탈착용 지압부 510 : 지압판
511 : 지압돌기 540 : 탈착판
550a,550b : 상하단 삽통공 560a,560b : 상하단 플랜지
570a : 걸림돌기 570b : 하단측 걸림턱
580a : 걸림후크 580b : 걸림턱
590 : 돌기

Claims (4)

  1.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311)를 포함하는 시트 판부(310);
    등받이 판부(330);
    상기 시트 판부(310)의 후방과 상기 등받이 판부(33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350);
    지압돌기(511)를 포함하는 지압판(510); 및
    상기 지압판(510)을 상기 등받이 판부(330)에 탈착시키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하단이 상기 등받이 판부(33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착판(540);
    상기 등받이 판부(330)와 상기 탈착판(540)의 상단 사이 및 상기 등받이 판부(330)와 상기 탈착판(340)의 측단 사이를 관통 이격시키는 상단 삽통공(550a)과 측단 삽통공(550b);
    상기 지압판(510)의 상단 및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 삽통공(550a)과 상기 측단 삽통공(550b)에 삽통되는 상단 플랜지(560a)와 측단 플랜지(560b);
    상기 측단 플랜지(560b)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측단 삽통공(550b)의 하단측 걸림턱(570b)에 걸리는 걸림돌기(570a); 및
    상기 상단 플랜지(560a)에 형성되어 상기 탈착판(540)의 상단측 걸림턱(580b)에 걸리는 걸림후크(580a);를 포함하는,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510)과 측단 플랜지(560b) 사이의 에지에 상기 탈착판(540)의 전면 가장자리에 닿는 돌기(590)를 더 포함하는,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판부(310) 또는 상기 등받이 판부(330)에 자석(320)(340)을 설치하되,
    상기 자석(320)(340)의 N극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KR1020210054202A 2021-04-27 2021-04-27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KR20220147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02A KR20220147283A (ko) 2021-04-27 2021-04-27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02A KR20220147283A (ko) 2021-04-27 2021-04-27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83A true KR20220147283A (ko) 2022-11-03

Family

ID=8404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02A KR20220147283A (ko) 2021-04-27 2021-04-27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72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73B1 (ko) 2014-05-23 2016-02-29 이동균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2163201B1 (ko)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73B1 (ko) 2014-05-23 2016-02-29 이동균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2163201B1 (ko)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US6672660B2 (en) Chair for a drum
KR20150009835A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JP2019514664A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KR102353586B1 (ko) 기능성 좌식의자
KR20150134905A (ko)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KR101928164B1 (ko) 요추지지고정용 등쿠션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JP2003189976A (ja) シート用背凭れ板およびシート
KR20220147283A (ko) 바른 자세와 건강을 유도하는 의자
JP3220425U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シート
KR100940126B1 (ko) 포터블 무릎 의자
KR20180004482A (ko) 앉은 자세 교정 및 허리 받침용 쿠션방석
KR900010588Y1 (ko) 의자용 등 받침구
KR101016723B1 (ko)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매트
KR20042824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303524B1 (ko) 자세교정 의자
KR200351308Y1 (ko) 척추교정용 방석
KR102487012B1 (ko) 다리의 벌어짐을 고정하는 자세교정용 보조 의자
KR102661446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JP2005080741A (ja) 座受具
KR200379699Y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JPH0568358U (ja) 座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