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054A - 신축성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성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054A
KR20220147054A KR1020220132568A KR20220132568A KR20220147054A KR 20220147054 A KR20220147054 A KR 20220147054A KR 1020220132568 A KR1020220132568 A KR 1020220132568A KR 20220132568 A KR20220132568 A KR 20220132568A KR 20220147054 A KR20220147054 A KR 2022014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light emitting
pixel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943B1 (ko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9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1L27/3211
    • H01L27/3246
    • H01L27/3276
    • H01L51/0097
    • H01L51/5012
    • H01L51/5206
    • H01L51/5221
    • H01L51/5246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신축성 기판과, 신축성 기판 위에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 유닛과,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을 덮어 보호하는 복수의 밀봉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은 화소 전극, 발광층, 공통 전극, 및 공통 전극과 통전되는 공통 배선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축성 표시 장치 {STRETCH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발달하면서 화면을 반으로 접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거나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리는 등 사용 단계에서 변형이 가능한 표시 장치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변형 가능한 표시 장치는 사용할 때에 화면을 대형화하고, 휴대할 때에는 화면을 소형화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변형 가능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가능한 신축성 표시 장치(stretchable display)가 있다. 신축성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늘어나는 신축성 기판과, 신축성 기판 위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는 신축성 기판의 신축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고, 신축성 기판이 늘어나고 복원되는 과정에서 손상을 입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 기판의 신축과 복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개선된 화소 구조를 가지는 신축성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나는 신축성 기판과, 신축성 기판 위에 서로간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 유닛과,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을 덮어 보호하는 복수의 밀봉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은 화소 전극, 발광층, 공통 전극, 및 공통 전극과 통전되는 공통 배선 전극을 포함한다.
신축성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유닛 사이에 형성된 신축성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은 하나의 부화소, 복수의 부화소로 구성된 하나의 화소, 및 복수의 화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배선 전극은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에서 한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에서, 공통 배선 전극은 화소 전극과 거리를 두고 화소 전극과 같은 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통 전극은 공통 배선 전극과 접촉하여 통전될 수 있다.
공통 배선 전극은 화소 정의막에 의해 화소 전극과 분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발광 유닛은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된 발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발광층은 화소 전극의 윗면과 공통 배선 전극의 윗면 일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공통 배선 전극은 절연막에 의해 화소 전극과 절연될 수 있다.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일 수 있고, 발광층보다 먼저 형성되거나 발광층 형성 이후에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은 화소 전극을 향한 공통 배선 전극의 가장자리 일부와, 공통 배선 전극을 향한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 일부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절연막은 공통 배선 전극의 가장자리 전체와,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 전체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화소 전극은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절연막은 화소 전극들 사이와, 화소 전극들 및 공통 배선 전극 사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는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1 무기막과, 제1 무기막과 접하며 공통 전극을 덮는 제1 유기막과, 제1 무기막과 접하며 제1 유기막을 덮는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밀봉부는 유-무기 복합 재료의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신축성 표시 장치는 발광 유닛마다 공통 전극과 밀봉부를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신축성 기판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날 때 공통 전극과 밀봉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서 복수개로 분리 형성된 공통 전극과 밀봉부는 신축성 기판의 신축과 복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전술한 제5 실시예와 제6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에서 절연막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시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100)는 신축성 기판(110)과, 신축성 기판(110) 위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유닛(120)과, 복수의 발광 유닛(120) 각각을 덮어 보호하는 복수의 밀봉부(130)를 포함한다.
신축성 기판(110)은 적어도 일부의 신축 영역을 포함하며, 신축 영역 위에 복수의 발광 유닛(120)이 형성된다. 신축 영역은 외력에 의해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나고, 외력이 제거될 때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성질을 가진다. 신축 영역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유닛(120)은 표시부를 구성하며, 신축 영역이 늘어남에 따라 표시부 또한 그 크기가 확대된다. 복수의 발광 유닛(12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 전극(121)과 하나의 공통 전극(123) 및 적어도 하나의 공통 배선 전극(124)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120)은 하나의 부화소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부화소로 구성된 하나의 화소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발광 유닛(120)은 적색 부화소와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소를 포함한다. 이 경우, 발광 유닛(120)은 세 개의 부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세 개의 화소 전극(121)과, 세 개의 화소 전극(121) 위에 각각 형성된 세 개의 발광층(적색 발광층(122R), 녹색 발광층(122G), 및 청색 발광층(122B))과, 세 개의 발광층(122R, 122G, 122B)을 덮는 공통 전극(123)과, 공통 전극(123)과 접촉하여 통전되는 공통 배선 전극(124)을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 전극(121)은 화소 회로와 연결되어 화소 회로로부터 발광층(122)의 계조 표현에 필요한 출력 전류를 제공받는다. 화소 회로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채널 영역과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41)과, 채널 영역에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142)과,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연결되는 소스 전극(143) 및 드레인 전극(144)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41)과 게이트 전극(142)은 게이트 절연막(111)에 의해 절연되며, 소스 전극(143)과 드레인 전극(144)은 층간 절연막(112) 위에 형성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평탄화층(113)으로 덮이고, 화소 전극(121)은 평탄화층(113)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144)과 연결된다. 도 3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하였다. 화소 회로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별도의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신호선과 연결된다. 복수의 신호선은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스캔선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과,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캔선 및 데이터선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구동 전압선 및 화소 전극(121)에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전극(123)은 세 개의 발광층(122R, 122G, 122B)을 모두 덮으며, 공통 배선 전극(124)은 공통 전극(123)과 통전되어 공통 전극(123)으로 공통 전압을 인가한다. 공통 배선 전극(124)은 평탄화층(113) 위에서 화소 전극(121)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배선 전극(124)은 발광 유닛(120)마다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표시부 전체에서 복수의 공통 배선 전극(124)은 공통 배선(125)을 통해 표시부 외측의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공통 배선(125)은 소스/드레인 전극(143, 144) 또는 게이트 전극(142)과 같은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공통 배선(125)이 소스/드레인 전극(143, 144)과 같은 층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화소 전극(121)과 공통 전극(123) 중 어느 하나는 발광층(122)으로 정공을 주입하는 애노드(anode)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발광층(122)으로 전자를 주입하는 캐소드(cathode)로 기능한다.
발광층(122)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자와 정공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고, 여기자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빛이 방출된다.
화소 전극(121)은 반사막으로 형성되고, 공통 전극(123)은 투명막 또는 반투명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층(122)에서 방출된 빛은 화소 전극(121)에서 반사되고, 공통 전극(123)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반대로 화소 전극(121)은 투명막 또는 반투명막으로 형성되고, 공통 전극(123)은 반사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층(122)에서 방출된 빛은 공통 전극(123)에서 반사되고, 화소 전극(121)과 신축성 기판(11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반사막은 Au, Ag, Mg, Al, Pt, Pd, Ni, Nd, Ir, 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막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산화아연(ZnO), 산화인듐(In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투명막은 Li, Ca, LiF/Ca, LiF/Al, Al, Ag, Mg 등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반투명막 위에 ITO, IZO, ZnO, In2O3 등의 투명막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유닛(120)은 밀봉부(130)에 의해 밀봉된다.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층(122)은 외부의 습기와 산소에 매우 취약하므로, 밀봉부(130)가 발광 유닛(120)을 덮어 외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밀봉부(130)는 적어도 한 층의 유기막과 적어도 한 층의 무기막을 포함하는 다층막으로 형성되거나,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된 유-무기 복합 재료의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공통 전극은 표시부 전체에 단일막으로 형성되며, 밀봉부 또한 표시부 전체에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공통 전극과 밀봉부는 신축성 기판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날 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 즉 표시부 전체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밀봉부는 신축성 기판이 늘어날 때 쉽게 손상된다.
제1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100)는 발광 유닛(120)마다 공통 전극(123)과 밀봉부(130)를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신축성 기판(110)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날 때 공통 전극(123)과 밀봉부(130)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즉 표시부에서 복수개로 분리 형성된 공통 전극(123)과 밀봉부(130)는 신축성 기판(110)의 신축과 복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 유닛(120)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들은 신축성 기판(110)과 함께 신축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전극(15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 고분자 소재로 제조되거나, 1회 이상 휘어진 금속 스트립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발광 유닛들(120) 사이에 한 줄의 신축성 전극(150)이 위치하는 것으로 개략화하여 도시하였으나, 신축성 전극(150)은 스캔선, 데이터선, 구동 전압선, 및 공통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유닛(120)은 화소 정의막(또는 격벽)(126)을 포함한다. 화소 정의막(126)은 화소 전극들(121)의 가장자리와 공통 배선 전극(124)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발광층(122)이 형성될 화소 전극(121)의 중앙부를 노출시킨다. 또한, 화소 정의막(126)은 공통 배선 전극(124) 위로 비아 홀(VH)을 형성하여 공통 전극(123)이 접촉하게 될 공통 배선 전극(124)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공통 배선 전극(124)은 화소 정의막(126)에 의해 이웃한 화소 전극(121)과 분리되어 있으므로, 발광 유닛(120) 내에서 공통 배선 전극(124)과 화소 전극(121)을 절연시키기 위한 별도의 절연 구조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발광 유닛(120)이 공통 배선 전극(124)을 포함하고, 비아 홀(VH)을 통해 공통 전극(123)이 공통 배선 전극(124)과 통전됨에 따라, 공통 전극(123)은 각 발광 유닛(120)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분리되어도 표시부에 제공된 복수의 공통 전극(123)은 모두 동일한 공통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밀봉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막과 무기막을 포함하는 다층막으로 형성되거나, 유-무기 복합 재료의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13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전극(123)의 가장자리를 덮는 제1 무기막(131)과, 공통 전극(123)을 덮는 제1 유기막(132)과, 제1 유기막(132)을 덮는 제2 무기막(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기막(132)과 제2 무기막(133) 각각은 제1 무기막(131)과 접한다.
제1 무기막(131)은 화소 정의막(126) 위에 형성되며, 산화알루미늄(AlOx)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막(131)은 공통 전극(123)의 가장자리를 덮어 공통 전극(123)의 가장자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무기막(131)은 공통 전극(123)의 가장자리 위에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거나, 공통 전극(123) 전체를 덮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1 무기막(131)은 공통 전극(123)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유기막(132)은 제1 무기막(131)과 접하며 공통 전극(123)을 덮는다. 제1 유기막(132)의 가장자리는 제1 무기막(131)의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한다. 제1 유기막(132)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기막(133)은 제1 무기막(131)과 접하며 제1 유기막(132)을 덮는다. 제2 무기막(133)은 제1 유기막(132)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유기막(13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2 무기막(133)은 질화규소(SiNx) 또는 산화알루미늄(AlOx)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무기막(131, 133)은 외부의 수분과 산소 침투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유기막(132)은 제1 및 제2 무기막(131, 133)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제1 무기막(131)의 미세 크랙 및 핀 홀 등을 채우는 기능을 한다. 이때 유기 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수분과 산소의 전달 통로로 기능하므로 제2 무기막(133)이 제1 유기막(132)을 완전히 덮어 제1 유기막(13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유-무기 복합 재료는 유기물의 유연한 특성과 무기물의 수분 및 산소 차단 특성(밀봉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단일막으로도 충분한 밀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유-무기 복합 재료의 단일막으로 구성된 밀봉부(도시하지 않음) 또한 공통 전극(123)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공통 전극(12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130)는 위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밀봉부(130)가 평탄한 윗면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에서 발광 유닛(120A)은 하나의 부화소를 포함한다. 발광 유닛(120A)은 하나의 화소 전극(121)과, 화소 전극(121) 위에 형성된 하나의 발광층(122)과, 화소 전극(121)과 이웃한 적어도 하나의 공통 배선 전극(124)과, 발광층(122) 및 적어도 하나의 공통 배선 전극(124)을 덮는 공통 전극(123)을 포함한다.
발광층(122)은 적색 발광층과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 가운데 어느 하나이며, 공통 전극(123)은 화소 정의막의 비아 홀(VH)을 통해 공통 배선 전극(124)과 통전되어 공통 전압을 인가받는다. 도 4에서는 하나의 공통 배선 전극(124)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공통 배선 전극(124)의 개수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부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유닛(120A)은 그 크기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발광 유닛(120) 대비 1/3 정도로 작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는 전체 표시부 가운데 신축 특성이 없는 발광 유닛(120A)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보다 유연하게 신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는 발광 유닛(120A)이 하나의 부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에서 발광 유닛(120B)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발광 유닛(120B)은 네 개 이상의 화소 전극(121)과, 네 개 이상의 화소 전극(121) 위에 각각 형성된 네 개 이상의 발광층(122)과, 적어도 하나의 공통 배선 전극(124)과, 네 개 이상의 발광층(122)과 적어도 하나의 공통 배선 전극(124)을 덮는 공통 전극(123)을 포함한다.
복수의 발광층(122)은 적색 발광층(122R)과 녹색 발광층(122G) 및 청색 발광층(122B)을 포함하며, 공통 전극(123)은 화소 정의막의 비아 홀(VH)을 통해 공통 배선 전극(124)과 통전되어 공통 전압을 인가받는다. 두 개의 공통 배선 전극(124)은 화소 전극들(121)의 일측과 반대측에 나누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통 전극(123)의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아홉 개의 화소 전극(121)과 두 개의 공통 배선 전극(124)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화소 전극(121)과 공통 배선 전극(124)의 개수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는 발광 유닛(120B)이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4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에서 공통 배선 전극(124)과 이웃한 화소 전극(121) 사이에 화소 정의막(126)이 생략되며, 공통 배선 전극(124)은 발광층(122B)에 의해 이웃한 화소 전극(121)과 절연된다.
발광 유닛(120C)은 하나의 부화소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화소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발광 유닛(120C)이 세 개의 부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화소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 경우 화소 정의막(126)은 세 개의 화소 전극들(121) 사이와, 화소 전극(121)과 마주하지 않는 공통 배선 전극(124)의 가장자리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배선 전극(124)과 이웃한 화소 전극(121) 위의 발광층(122B)은 화소 전극(121)의 윗면과, 화소 전극(121)과 공통 배선 전극(124) 사이와, 공통 배선 전극(124)의 윗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층(122B)은 화소 전극(121)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발광이 일어나며, 화소 전극(121)과 중첩되지 않는 발광층(122B)의 나머지 영역은 화소 전극(121)과 공통 배선 전극(124)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으로 기능한다.
제4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는 공통 배선 전극(124)과 이웃한 화소 전극(121) 사이에 화소 정의막(126)이 생략되고, 발광층(122B)이 공통 배선 전극(124)까지 확장되어 공통 배선 전극(124)과 화소 전극(121)을 절연시키는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5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에서 공통 배선 전극(124)은 절연막(127)에 의해 이웃한 화소 전극(121)과 절연된다. 절연막(127)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2) 등의 무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발광층(122) 형성 이후 증착과 패터닝(예를 들면 드라이 에칭 등) 공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127)은 발광층(122B)의 윗면 일부와, 화소 전극(121)과 공통 배선 전극(124) 사이와, 공통 배선 전극(124)의 윗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127) 형성 이후 공통 전극(123)이 형성되며, 공통 전극(123)은 공통 배선 전극(124)과 통전되어 이로부터 공통 전압을 인가받는다.
제5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는 발광층(122) 대신 절연막(127)을 이용하여 공통 배선 전극(124)과 이웃한 화소 전극(121) 사이를 절연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4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7에서 부호 120D는 발광 유닛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 중 하나의 발광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6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에서 공통 배선 전극(124)은 절연막(127)에 의해 이웃한 화소 전극(121)과 절연된다. 절연막(127)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2) 등의 무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발광층(122) 형성 이전에 증착과 패터닝(예를 들면 드라이 에칭 등) 공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127)은 화소 전극(121)의 윗면 일부와, 화소 전극(121)과 공통 배선 전극(124) 사이와, 공통 배선 전극(124)의 윗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127) 형성 이후 발광층(122)과 공통 전극(123)이 형성되며, 공통 전극(123)은 공통 배선 전극(124)과 통전되어 이로부터 공통 전압을 인가받는다.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에서 공통 전극(123)은 절연막(127)의 두께로 인해 단차를 가지게 되며, 단차가 큰 경우 공통 전극(123)이 단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막(127)은 가능한 작은 두께로 형성되고, 경사진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절연막(127) 위에서 공통 전극(123)이 단절되지 않도록 한다.
제6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는 절연막(127)이 발광층(122) 형성 이전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5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8에서 부호 120E는 발광 유닛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은 전술한 제5 실시예와 제6 실시예의 신축성 표시 장치에서 절연막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절연막(127)은 화소 전극(121)을 향한 공통 배선 전극(124)의 가장자리 일부와, 공통 배선 전극(124)을 향한 화소 전극(121)의 가장자리 일부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절연막(127)은 공통 배선 전극(124)의 가장자리 전체와, 공통 배선 전극(124)과 이웃한 화소 전극(121)의 가장자리 전체 위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121)과 공통 배선 전극(124) 사이에는 평탄화층(113)(도 3 참조)이 위치하므로, 절연막(127)이 화소 전극(121)과 공통 배선 전극(124) 사이를 모두 채우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1을 참고하면, 절연막(127)은 화소 전극들(121) 사이와, 화소 전극들(121) 및 공통 배선 전극(124) 사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막(127)은 화소 전극들(121)의 가장자리와, 공통 배선 전극(124)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화소 정의막(도시하지 않음)은 절연막(127) 위로 화소 전극들(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신축성 표시 장치 110: 신축성 기판
120, 120A, 120B, 120C, 120D, 120E: 발광 유닛
121: 화소 전극 122: 발광층
123: 공통 전극 124: 공통 배선 전극
125: 공통 배선 126: 화소 정의막
127: 절연막 130: 밀봉부
131: 제1 무기막 132: 제1 유기막
133: 제2 무기막

Claims (18)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섬형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을 덮어 보호하는 복수의 밀봉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는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및 제2 무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층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제1 무기층과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무기층과 상기 제2 무기층은 상기 밀봉부의 가장자리에서 직접 접촉하고,
    각각의 발광 유닛은 화소 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기막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측면과 직접 접하고,
    상기 화소 정의막은 제1 무기막, 제1 유기막 및 제2 무기막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하나의 발광 유닛을 덮는 밀봉부는 다른 발광 유닛을 덮는 밀봉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사이에 형성된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각의 발광 유닛 상에 개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부화소는 화소 전극, 발광층, 다른 부화소와 연결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각각의 발광 유닛은 하나 이상의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에서,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과 거리를 두고 상기 화소 전극과 같은 층에 형성되며,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공통 배선 전극과 접촉하여 통전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은 화소 정의막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과 분리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화소 전극의 윗면과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의 윗면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은 절연막에 의해 상기 화소 전극과 절연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이며, 상기 발광층보다 먼저 형성되거나 상기 발광층 형성 이후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한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의 측면 일부와,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을 향한 상기 화소 전극의 측면 일부 위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공통 배선 전극의 측면 전체와, 상기 화소 전극의 측면전체 위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절연막은 상기 화소 전극들 사이와, 상기 화소 전극들 및 상기 공통 배선 전극 사이 모두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4. 제5항에서,
    상기 제1 무기층은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고,
    상기 제1 유기층은 상기 공통 전극을 덮고 상기 제1 무기층과 접촉하며,
    상기 제2 무기층은 상기 제1 유기층을 덮고 상기 제1 무기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제1 무기층은 상기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각각의 밀봉부는 하나의 발광 유닛 및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밀봉부는 이웃하는 2개의 발광 유닛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표시 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제1 유기막은 상기 제1 무기막과 상기 제2 무기막의 상기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132568A 2015-01-15 2022-10-14 신축성 표시 장치 KR10264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568A KR102641943B1 (ko) 2015-01-15 2022-10-14 신축성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618A KR102456698B1 (ko)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KR1020220132568A KR102641943B1 (ko) 2015-01-15 2022-10-14 신축성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618A Division KR102456698B1 (ko)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054A true KR20220147054A (ko) 2022-11-02
KR102641943B1 KR102641943B1 (ko) 2024-02-29

Family

ID=564084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618A KR102456698B1 (ko)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KR1020220132568A KR102641943B1 (ko) 2015-01-15 2022-10-14 신축성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618A KR102456698B1 (ko) 2015-01-15 2015-01-15 신축성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9853246B2 (ko)
KR (2) KR102456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024A (ko) * 2016-11-15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11619B (zh) * 2017-08-17 2020-05-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07134068U (zh) * 2017-08-31 2018-03-2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KR102491653B1 (ko) 2018-03-08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WO2019183935A1 (en) 2018-03-30 2019-10-0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08962952B (zh) 2018-07-17 2021-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554048B1 (ko) 2018-07-20 202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KR102530672B1 (ko) 2018-07-20 2023-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CN108899352B (zh) 2018-07-20 2020-11-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EP3608964B1 (en) 2018-08-08 2022-05-11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CN109036145B (zh) * 2018-08-31 2020-12-2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拉伸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US10964234B2 (en) * 2018-10-08 2021-03-30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panel an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11684616A (zh) * 2018-10-10 2020-09-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和制造显示基板的方法
KR20200062603A (ko) * 2018-11-27 2020-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KR102519417B1 (ko) * 2018-11-28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CN111326067B (zh) * 2018-12-13 2022-01-2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1326662B (zh) * 2018-12-14 2022-06-2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可拉伸衬底及其制备方法、可拉伸显示装置
CN109817098B (zh) * 2019-02-11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备方法、显示装置
CN110189637B (zh) * 2019-06-27 2022-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可拉伸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10289292B (zh) * 2019-06-27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和显示基板的制作方法
KR20210054323A (ko) * 2019-11-05 2021-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KR20210116061A (ko) * 2020-03-17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신 소자, 표시 패널, 센서 및 전자 장치
CN113629103A (zh) * 2020-05-08 2021-11-0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
CN111706752B (zh) * 2020-06-17 2022-05-2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可弯曲的电视
CN113838890A (zh) * 2020-06-24 2021-12-2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面板及其制作方法
KR20220003774A (ko) * 2020-07-02 2022-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KR102406243B1 (ko) * 2020-08-26 2022-06-08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신축성 패널
US11551829B2 (en) 2020-09-03 2023-01-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device
CN111968522B (zh) * 2020-09-16 2022-07-0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531128A (zh) * 2020-11-26 2021-03-19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一种可伸缩柔性oled照明器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2752A1 (en) * 2000-04-25 2001-12-20 Ghosh Amalkumar P. Thin film encapsul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US20080284331A1 (en) * 2007-05-17 2008-11-20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20130153915A1 (en) * 2011-12-14 2013-06-20 Jong-Hyun Choi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130161680A1 (en) * 2011-12-22 2013-06-27 Sang-Hun Oh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91337A1 (en) * 2012-05-23 2014-04-03 Nitto Denko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light-emitting device assembly, and electrode-bearing substrate
US20140117342A1 (en) * 2012-10-31 2014-05-0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41235B1 (ko) * 2013-03-14 2014-09-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성도 경사형 신축성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신축성 기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신축성 전자소자 패키지와 그 제조방법
EP2822047A1 (en) * 2012-08-31 2015-01-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JP2015223689A (ja) * 2014-05-30 2015-12-14 株式会社東芝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101A (ja) 2002-06-25 2004-01-29 Tdk Corp 発光素子及び発光パネル
KR100718102B1 (ko) 2003-11-14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휴대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그 제조 방법
KR101814683B1 (ko) 2006-09-06 2018-01-05 더 보오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일리노이즈 2차원 인장 가능하고 구부릴 수 있는 장치
JP2008242249A (ja) * 2007-03-28 2008-10-09 Kyodo Printing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JP2009048851A (ja) 2007-08-20 2009-03-05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68505A (ko) 2007-12-24 2009-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55390B1 (ko) 2007-12-31 2010-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40549A (ko) * 2010-10-19 2012-04-27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ed 광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5049A (ko) 2010-12-10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457890B (zh) 2012-08-17 2014-10-21 Macroblock Inc Display structure and display
KR101298159B1 (ko) * 2012-12-27 2013-08-20 주식회사 이녹스 유기발광장치 봉지용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 필름
JP2015036797A (ja) 2013-08-15 2015-02-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50263256A1 (en) * 2014-03-14 2015-09-17 Epistar Corporation Light-emitting arra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2752A1 (en) * 2000-04-25 2001-12-20 Ghosh Amalkumar P. Thin film encapsul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US20080284331A1 (en) * 2007-05-17 2008-11-20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20130153915A1 (en) * 2011-12-14 2013-06-20 Jong-Hyun Choi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130161680A1 (en) * 2011-12-22 2013-06-27 Sang-Hun Oh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91337A1 (en) * 2012-05-23 2014-04-03 Nitto Denko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light-emitting device assembly, and electrode-bearing substrate
EP2822047A1 (en) * 2012-08-31 2015-01-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US20140117342A1 (en) * 2012-10-31 2014-05-0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441235B1 (ko) * 2013-03-14 2014-09-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성도 경사형 신축성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신축성 기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신축성 전자소자 패키지와 그 제조방법
JP2015223689A (ja) * 2014-05-30 2015-12-14 株式会社東芝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943B1 (ko) 2024-02-29
KR102456698B1 (ko) 2022-10-19
US20160211483A1 (en) 2016-07-21
KR20160088522A (ko) 2016-07-26
US9853246B2 (en) 2017-12-26
US20180114947A1 (en) 2018-04-26
US20230018408A1 (en) 2023-01-19
US11469401B2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943B1 (ko) 신축성 표시 장치
KR10240891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0938B1 (ko) 표시 장치
US10644257B2 (en) Display device
US10411080B2 (en)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94227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606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395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331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8229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39124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1348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4575A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634654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20110070383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1885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62280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25883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2249A (ko) 표시 장치
KR2015001719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214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0480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587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1995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47825B1 (ko) 칼라 필터를 구비한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