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916A -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916A
KR20220146916A KR1020210053811A KR20210053811A KR20220146916A KR 20220146916 A KR20220146916 A KR 20220146916A KR 1020210053811 A KR1020210053811 A KR 1020210053811A KR 20210053811 A KR20210053811 A KR 20210053811A KR 20220146916 A KR20220146916 A KR 20220146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individual
management data
entertainers
archit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634B1 (ko
Inventor
권영대
김보람
Original Assignee
(주)비즈니스 매니지먼트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즈니스 매니지먼트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비즈니스 매니지먼트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05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34B1/ko
Priority to PCT/KR2022/004153 priority patent/WO2022231138A1/ko
Publication of KR2022014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를 수행하는 주체로 정의되는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 정산 및 계약을 포함하는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를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하여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여 개별 엔터테이너의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관리 모듈에 대한 개별 엔터테이너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며,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는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공유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HARE PLANNING SERVICE}
본 발명은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동중인 가수 및 연기자와 같은 연예인, 또는 연예인 지망생은 연예 기획사와 전속 계약을 체결하고 연예 기획사에 소속되어 연예 활동을 수행하게 되며, 연예인(또는 연예인 지망생)과 연예 기획사 간의 전속 계약은 연예 기획사가 연예인의 연예 활동을 지원하고 그 필요 경비를 부담하는 대신, 연예인의 연예 활동, 즉 출연 교섭, 계약 체결, 홍보 및 광고, 수입 관리 등에 대한 독점적 권한의 행사를 주내용으로 한다. 체결 대상이 되는 연예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전속 계약은 보편적으로 계약금과 전속기간, 연예 기획사의 권한과 지휘 감독권, 수익 분배 비율, 연예인 활동의 조건, 저작권 등의 귀속, 위약과 손해배상책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속 계약은 보통 연예 기획사에게는 권리 위주로, 그리고 연예인에게는 의무 위주로 각각의 권리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예인 전속 계약에 내재된 불공정 조항에 대한 사회적 이슈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연예 기획사가 연예인의 출연 교섭 및 계약 체결을 단독으로 결정함에 따라 연예인의 의사에 반하는 연예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며, 수익 분배 측면에서도 그 투명성이 보장되지 못함과 동시에 수익 분배 비율이 연예 기획사에 과도하게 편중된 경우가 많아, 최근에는 대형 연예 기획사에 소속된 연예인들이 전속 계약 기간이 만료된 후 독자적인 1인 기획사를 설립하여 연예 활동을 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 경우, 1인 기획사의 입장에서는 대형 연예 기획사가 지원하였던 모든 매니지먼트를 독자적으로 수행해야 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연예 활동을 이어 나가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즉, 1인 기획사는 출원 교섭, 계약 체결, 광고, 수입 관리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해야 함과 동시에 본연의 활동(음원 창작, 콘텐츠 창작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활동) 또한 수행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을 겪게 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1인 기획사의 입장에서, 종래의 대형 연예 기획사의 전속 계약에 대한 의존성이 제거되는 범위 내에서 연예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고, 정립된 비즈니스 모델이 구현된 시스템을 마련하여 1인 기획사에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를 수행하는 주체로 정의되는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 정산 및 계약을 포함하는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를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하여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여 개별 엔터테이너의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관리 모듈에 대한 개별 엔터테이너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며,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는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공유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관리 데이터에는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가 태깅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현재 접속된 개별 엔터테이너의 개별 식별자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개별 식별자가 태깅된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 사항, 정산 사항 및 계약 사항이 각각 반영된 활동 관리 데이터, 정산 관리 데이터 및 계약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활동 관리 데이터, 정산 관리 데이터 및 계약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의 하위 아키텍처로서 활동 관리 아키텍처, 정산 관리 아키텍처 및 계약 관리 아키텍처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활동 관리 아키텍처, 정산 관리 아키텍처 및 계약 관리 아키텍처를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법률 관계, 서비스 서버의 운영 주체에 의해 확립된 오프라인 시설 사용, 및 개별 엔터테이너의 사업자 관리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관리 데이터는 법률 관리 데이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 및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법률 관리 데이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 및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의 하위 아키텍처로서 법률 관리 아키텍처,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 및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법률 관리 아키텍처,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 및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를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할 때,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한 후, 각 관리 데이터별로 그 갱신 권한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활동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활동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 및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상기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상기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영자에 의해 상기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상기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상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상기 갱신된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산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정산 관리 데이터, 상기 계약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계약 관리 데이터, 상기 법률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법률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사업자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운영자에 의해 상기 정산 관리 데이터, 상기 계약 관리 데이터, 상기 법률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사업자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상기 갱신된 각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관리 모듈은, 운영자에 의해 상기 정산 관리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상기 계약 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갱신된 정산 관리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그 검증 결과를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별 엔터테이너의 관리 대상 서비스(활동, 정산, 계약, 법률 컨설팅, 오프라인 시설 사용, 사업자 관리)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로부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수행하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입장에서 종래 전속 계약의 체결 없이 연예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유 기획사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함으로써 기획사 및 개별 엔터테이너 양 측의 수익적 측면에서도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하는 비즈니스 모델인 공유 기획사 서비스의 개념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관리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하는 비즈니스 모델인 공유 기획사 서비스의 개념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공유 기획사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별 엔터테이너는 개별적으로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연예 활동)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종래의 연예 기획사에 소속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수행하는 1인 기획사 또는 1인 아티스트(연예인(가수, 연기자, 모델, 댄서, 프로듀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및 연예인 지망생을 포함한다)로 정의된다. 공유 기획사는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엔터테인먼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서버(SERVER)의 운영 주체에 해당한다. 고객은 개별 엔터테이너가 창작한 콘텐츠를 제공받아 미디어를 통해 유통시키거나 개별 엔터테이너를 방송 등의 미디어에 출연시켜 수익을 창출하는 주체로서, 예를 들어 콘텐츠 유통사, 방송국, 또는 OTT 서비스사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별 엔터테이너는 공유 기획사와의 계약(종래의 전속 계약이 아닌, 고객에게 제공될 개별 엔터테이너의 엔터테인먼트 별로, 또는 단기로 체결되는 프로젝트성 계약에 해당한다)을 기반으로 공유 기획사로부터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공유 기획사는 개별 엔터테이너가 창작한 콘텐츠 또는 개별 엔터테이너를 고객에게 공급한다. 고객으로부터 정산되는 수익은 개별 엔터테이너 및 공유 기획사 간의 계약에 따라 개별 엔터테이너 및 공유 기획사에 분배되며, 해당 프로젝트가 완료되거나 계약 기간이 경과하면 개별 엔터테이너 및 공유 기획사 간의 계약 관계는 종료된다.
본 비즈니스 모델에서 공유 기획사가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하는 매니지먼트 서비스는 특정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아닌,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공유 기획사가 제공하는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공유할 수 있는 본 비즈니스 모델의 구조를 '공유 기획사 서비스'로 정의한다(또한, 공유 기획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해당함을 명확히 하기 위해 후술하는 서비스 서버(SERVER)를 운용하는 주체를 '공유 기획사'로 명명하였다).
도 1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의 입장에서 종래의 전속 계약에 대한 의존성이 제거되는 범위 내에서 엔터테인먼트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되며, 이하에서는 도 1의 비즈니스 모델이 구현된 본 실시예의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유 기획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SERVER)와, 개별 엔터테이너가 소지한 포터블 디바이스(DEV_PORT)(예: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과 같은 텔레메틱스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SERVER)는 데이터베이스(DB) 및 관리 모듈(MOD_MNG)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서비스 서버(SERVER)에 의해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가 어플리케이션(APP)의 기능을 기반으로 개별 엔터테이너의 포터블 디바이스(DEV_PORT)에 디스플레이되고, 포터블 디바이스(DEV_PORT)에 디스플레이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에 대한 개별 엔터테이너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되는 관리 대상 서비스가 관리되도록 동작한다.
먼저, 서비스 서버(SERVER)에 대하여 설명하면, 서비스 서버(SERVER)의 데이터베이스(DB)에는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될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의 관리 대상 서비스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 정산, 계약, 법률 관계, 서비스 서버(SERVER)의 운영 주체에 의해 확립된 오프라인 시설(예: 음원 제작을 위한 스튜디오, 또는 안무 연습을 위한 연습실 등) 사용, 및 개별 엔터테이너의 사업자 관리로 구분되어 카테고리화 될 수 있으며,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 사항이 반영된 활동 관리 데이터, 개별 엔터테이너의 정산 사항이 반영된 정산 관리 데이터, 개별 엔터테이너의 계약 사항이 반영된 계약 관리 데이터, 개별 엔터테이너의 법률 관계 사항이 반영된 법률 관리 데이터, 개별 엔터테이너의 오프라인 시설 사용 사항이 반영된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 및 개별 엔터테이너의 사업자 관리 사항이 반영된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관리 대상 서비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은 개별 엔터테이너의 스케줄(예: 방송 출연, 광고, 콘서트 기획/실행과 같은 행사, 해외 진출 교섭 등), 콘텐츠 제작(예: 음원 또는 뮤직비디오 제작 등, 콘텐츠 제작을 위해 타 아티스트 제휴/콜라보/피쳐링 연결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케팅(예: 언론 홍보 또는 바이럴), 및 개별 활동에 필요한 부가 서비스(의상 제작, 매니저 및 차량 지원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동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스케줄 관리 데이터, 콘텐츠 관리 데이터(개별 엔터테이너가 제작한 콘텐츠, 및 공유 기획사가 지원하는 제휴/콜라보/피쳐링 연결의 제반 사항에 대한 데이터), 마케팅 관리 데이터(마케팅 방식 및 대상에 대한 제반 사항에 대한 데이터), 및 부가 서비스 관리 데이터(제작할/제작된 의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개별 활동을 위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할당된 매니저 및 차량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기 정의된 포맷(활동 관리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활동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상위 플래그, 활동 관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위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하위 플래그, 및 해당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후술)를 포함하도록 기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에 따라 작성되어 별도의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예: 운영자의 PC 또는 텔레메틱스 단말)를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될 수 있다.
개별 엔터테이너의 정산은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창출된 수익에 대하여 운영 주체와의 계약에 따른 수익 분배 비율에 따라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분배되는 순수익, 개별 엔터테이너에 대한 투자 유치, 및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부과되는 세금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산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수익 관리 데이터, 투자 유치 관리 데이터 및 세금 관리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산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기 정의된 포맷(정산 관리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정산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상위 플래그, 정산 관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위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하위 플래그, 및 해당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후술)를 포함하도록 기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에 따라 작성되어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될 수 있다.
개별 엔터테이너의 계약은 개별 엔터테이너와 운영 주체 간의 계약(수익 분배 비율이 규정된다), 개별 엔터테이너와 고객 간의 계약. 및 개별 엔터테이너와 대형 연예 기획사 간의 전속 계약에 대한 조율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약 관리 데이터는 운영 주체 계약 관리 데이터, 고객 계약 관리 데이터 및 전속 계약 관리 데이터(개별 엔터테이너 및 대형 연예 기획사 간의 전속 계약의 진행 상황, 법률 전문가에 의한 검토 결과 등 개별 엔테터이너가 전속 계약의 불공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제반 사항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계약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기 정의된 포맷(계약 관리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계약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상위 플래그, 계약 관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위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하위 플래그, 및 해당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후술)를 포함하도록 기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에 따라 작성되어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될 수 있다.
개별 엔터테이너의 법률 관계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엔터테인먼트 활동 과정에서 야기되는 법적 분쟁(예: 지식재산권/퍼블리시티권 침해 등, 개별 엔터테이너의 사적 활동에 따른 법적 분쟁은 제외된다), 개별 엔터테이너가 창작한 콘텐츠에 대한 지식재산권(저작권, 상표권, 디자인권 등) 확보, 및 확보된 지식재산권의 활용(예: 양도)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법률 관리 데이터는 법적 분쟁 관리 데이터(소송 진행 상황, 소송에 소요되는 비용 등에 대한 제반 사항에 대한 데이터) 및 지식재산권 관리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법률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기 정의된 포맷(법률 관리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법률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상위 플래그, 법률 관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위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하위 플래그, 및 해당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후술)를 포함하도록 기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에 따라 작성되어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될 수 있다.
개별 엔터테이너의 오프라인 시설 사용은 운영 주체가 제공하는 오프라인 시설에 대한 사용 예약, 사용 현황 및 사용 이력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는 오프라인 시설에 대한 사용 예약 관리 데이터, 사용 현황 데이터 및 사용 이력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기 정의된 포맷(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상위 플래그,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위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하위 플래그, 및 해당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후술)를 포함하도록 기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에 따라 작성되어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될 수 있다.
개별 엔터테이너의 사업자 관리는 1인 아티스트에 해당하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사업자 설립, 및 사업자 설립 후의 A&R(Artists and Repertoire, 인사 관리 및 신인 개발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업자 관리 데이터는 사업자 설립 관리 데이터(개별 엔터테이너가 사업자를 설립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사항에 대한 데이터) 및 A&R 관리 데이터(아티스트의 발굴 및 계약을 위해 공유 기획사가 지원하는 제반 사항에 대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업자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기 정의된 포맷(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상위 플래그,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위 관리 데이터를 지시하는 하위 플래그, 및 해당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후술)를 포함하도록 기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에 따라 작성되어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입력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SERVER)의 관리 모듈(MOD_MNG)은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를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하여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여 개별 엔터테이너의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도록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모듈(MOD_MNG)은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활동 관리 데이터, 정산 관리 데이터, 계약 관리 데이터, 법률 관리 데이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 및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관리 데이터를 앞서 언급한 상위 및 하위 플래그를 토대로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하여 도 3에 도시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ARCH_MNG)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니지먼트 아키텍처(ARCH_MNG)는 활동 관리 아키텍처(ARCH_SUB1), 정산 관리 아키텍처(ARCH_SUB2), 계약 관리 아키텍처(ARCH_SUB3), 법률 관리 아키텍처(ARCH_SUB4),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ARCH_SUB5) 및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ARCH_SUB6)를 그 하위 아키텍처로 갖는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관리 데이터에는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가 태깅된 구조를 갖는다. 개별 식별자는 개별 엔터테이너가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ID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모듈(MOD_MNG)은 서비스 서버(SERVER)에 현재 접속된 개별 엔터테이너의 개별 식별자를 파악하고, 파악된 개별 식별자가 태깅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된 관리 데이터로부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관리 데이터에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가 태깅된 구조와, 개별 식별자가 태깅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추출하는 동작과, 추출된 각 관리 데이터를 플래그를 토대로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하여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동작을 기반으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가 개별 엔터테이너 별로 차별적으로 생성되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공유 기획사가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하는 매니지먼트 서비스가 특정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아닌,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되는 비즈니스 모델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는 어플리케이션(APP)의 동작을 기반으로 개별 엔터테이너의 포터블 디바이스(DEV_PORT)에 디스플레이된다. 개별 엔터테이너는 자신이 소지한 포터블 디바이스(DEV_PORT)를 통해 현재 자신이 제공받는 관리 대상 서비스를 전술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의 형태로서 제공받을 수 있어 자신의 엔터테인먼트 활동의 지원 사항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되는 정산 관리 데이터의 투명성이 보장되어 종래의 전속 계약에 따라 야기되는 불공정성이 해소될 수 있다.
관리 대상 서비스의 관리 동작과 관련하여, 관리 모듈(MOD_MNG)은 포터블 디바이스(DEV_PORT)에 디스플레이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에 대한 개별 엔터테이너의 인터페이싱에 기초하여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되는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도록 동작한다.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에 대한 개별 엔터테이너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의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제로서, 관리 모듈(MOD_MNG)은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할 때, 관리 데이터를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한 후, 각 관리 데이터별로 그 갱신 권한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 모듈(MOD_MNG)은 각 관리 데이터별로 그 갱신 권한을 운영자에게만, 개별 엔터테이너에게만, 또는 모두에게 할당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는 각 관리 데이터가 운영자 및 개별 엔터테이너에 중복 갱신됨으로 인해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그 관리상의 비효율성이 야기되는 문제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동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활동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 및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즉, 활동 관리 데이터가 운영자 및 개별 엔터테이너 간 상호 간에 정보를 주고받고 그 변경을 요청할 수 있는 데이터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활동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 및 개별 엔터테이너 모두에 대하여 그 갱신 권한이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모듈(MOD_MNG)은 어플리케이션(APP)을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운영자에 의해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운영자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방송 출연, 광고, 콘서트 기획 및 실행, 해외 진출 교섭 및 일정 등 스케줄에 관한 변경 사항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스케줄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타 아티스트와의 제휴/콜라보/피처링 연결 진행 상황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마케팅 방식 및 대상에 대한 변경 사항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마케팅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제작된 의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개별 활동에 필요한 매니저와 차량에 대한 변경 사항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부가 서비스 관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운영자에 의해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그 갱신 상태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개별 엔터테이너는 방송 출연, 광고, 콘서트 기획 및 실행, 해외 진출 교섭 및 일정 등 스케줄에 관한 변경 요청 사항을 어플리케이션(APP)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스케줄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서비스 서버(SERVER)에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마케팅 방식 및 대상에 대한 변경 요청 사항을 어플리케이션(APP)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마케팅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제작 요청할 의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개별 활동에 필요한 매니저와 차량에 대한 변경 요청 사항을 어플리케이션(APP)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부가 서비스 관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의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통해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운영자의 확인 하에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 모듈(MOD_MNG)은 어플리케이션(APP)을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갱신된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개별 엔터테이너는 오프라인 시설의 사용 예약, 사용 현황 및 사용 이력을 어플리케이션(APP)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 예약 관리 데이터, 사용 현황 데이터 및 사용 이력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는 다른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제공되어 오프라인 시설의 중복 예약 및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의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통해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운영자의 확인 하에 갱신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관리 데이터 중 정산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정산 관리 데이터, 계약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계약 관리 데이터, 법률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법률 관리 데이터, 및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사업자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모듈(MOD_MNG)은 운영자의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를 토대로 운영자에 의해 정산 관리 데이터, 계약 관리 데이터, 법률 관리 데이터 및 사업자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갱신된 각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운영자는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창출된 수익에 대하여 운영 주체와의 계약에 따른 수익 분배 비율에 따라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분배되는 순수익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익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현재까지 진행된 개별 엔터테이너에 대한 투자 유치금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투자 유치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과세된 세금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세금 관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정산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그 갱신 상태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갱신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개별 엔터테이너와 운영 주체 간의 계약 또는 개별 엔터테이너와 고객 간의 계약에 대한 변경 사항(예: 수익 분배 비율의 변경, 계약 기간의 갱신 등), 및 개별 엔터테이너와 대형 연예 기획사 간의 전속 계약의 진행 사항(예: 계약 변경 사항, 법률 전문가의 계약 검토 결과 등)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계약 관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계약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그 갱신 상태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갱신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엔터테인먼트 활동 과정에서 야기되는 법적 분쟁(예: 지식재산권/퍼블리시티권 침해)의 발생 및 진행 상황에 대한 사항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법적 분쟁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개별 엔터테이너가 창작한 콘텐츠에 대하여 확보된 지식재산권의 등록 사항 및 확보된 지식재산권의 양도 사항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지식재산권 관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법률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그 갱신 상태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갱신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1인 아티스트에 해당하는 개별 엔터테이너가 사업자 설립을 위해 필요한 제반 사항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업자 설립 관리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아티스트의 발굴 및 계약의 진행 상황에 대한 사항을 인터페이스 장치(DEV_INTF)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A&R 관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사업자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그 갱신 상태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갱신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운영자에 의해 정산 관리 데이터 중 수익 관리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관리 모듈(MOD_MNG)은 계약 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의 갱신된 수익 관리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그 검증 결과를 운영자에게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즉, 관리 모듈(MOD_MNG)은 운영자에 의해 갱신된, 수익 관리 데이터 상의 개별 엔터테이너의 순수익이, 계약 관리 데이터 상의 수익 분배 비율에 따른 금액에 해당하는지 그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유효성 검증 결과를 운영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영자에 의한 수익 관리 데이터의 오갱신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로부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엔터테인먼트를 수행하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입장에서 종래 전속 계약의 체결 없이 연예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유 기획사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함으로써 기획사 및 개별 엔터테이너 양 측의 수익적 측면에서도 이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ERVER: 서비스 서버
DB: 데이터베이스
MOD_MNG: 관리 모듈
DEV_PORT: 포터블 디바이스
APP: 어플리케이션
DEV_INTF: 인터페이스 장치

Claims (9)

  1. 개별적으로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를 수행하는 주체로 정의되는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 정산 및 계약을 포함하는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를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하여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여 개별 엔터테이너의 관리 대상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관리 모듈에 대한 개별 엔터테이너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며,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는 복수의 개별 엔터테이너가 공유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데이터에는 개별 엔터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식별자가 태깅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현재 접속된 개별 엔터테이너의 개별 식별자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개별 식별자가 태깅된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활동 사항, 정산 사항 및 계약 사항이 각각 반영된 활동 관리 데이터, 정산 관리 데이터 및 계약 관리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활동 관리 데이터, 정산 관리 데이터 및 계약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의 하위 아키텍처로서 활동 관리 아키텍처, 정산 관리 아키텍처 및 계약 관리 아키텍처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활동 관리 아키텍처, 정산 관리 아키텍처 및 계약 관리 아키텍처를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는 개별 엔터테이너의 법률 관계, 서비스 서버의 운영 주체에 의해 확립된 오프라인 시설 사용, 및 개별 엔터테이너의 사업자 관리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관리 데이터는 법률 관리 데이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 및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법률 관리 데이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 및 사업자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의 하위 아키텍처로서 법률 관리 아키텍처,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 및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를 각각 생성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법률 관리 아키텍처,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 및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를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할 때,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관리 대상 서비스별로 재구성한 후, 각 관리 데이터별로 그 갱신 권한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매니지먼트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활동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 및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상기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상기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영자에 의해 상기 활동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상기 갱신된 활동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는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개별 엔터테이너에 의해 상기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운영자에게 통지한 후 상기 갱신된 오프라인 시설 사용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정산 관리 데이터, 상기 계약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계약 관리 데이터, 상기 법률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법률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사업자 관리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사업자 관리 데이터는 운영자에 의해 갱신 가능하도록 그 갱신 권한이 설정되며,
    상기 관리 모듈은, 운영자에 의해 상기 정산 관리 데이터, 상기 계약 관리 데이터, 상기 법률 관리 데이터 및 상기 사업자 관리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진 경우 그 갱신 상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별 엔터테이너에게 통지한 후, 개별 엔터테이너의 확인 하에 상기 갱신된 각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운영자에 의해 상기 정산 관리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 상기 계약 관리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갱신된 정산 관리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그 검증 결과를 운영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53811A 2021-04-26 2021-04-26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4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11A KR102634634B1 (ko) 2021-04-26 2021-04-26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CT/KR2022/004153 WO2022231138A1 (ko) 2021-04-26 2022-03-24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811A KR102634634B1 (ko) 2021-04-26 2021-04-26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16A true KR20220146916A (ko) 2022-11-02
KR102634634B1 KR102634634B1 (ko) 2024-02-07

Family

ID=8384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811A KR102634634B1 (ko) 2021-04-26 2021-04-26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4634B1 (ko)
WO (1) WO202223113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04B1 (ko) * 2001-07-18 2003-01-06 윤수영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업 관리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100388680B1 (ko) * 2000-04-17 2003-06-25 김정용 유명인과 함께 하는 유명인 입점식 영업판매방법
KR20090017060A (ko) * 2007-08-13 2009-02-18 김정훈 매니지먼트 계약의 중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26A (ko) * 2000-03-31 2000-07-05 김경일 인터넷을 통한 가수 및 연기자의 사이버 매니지먼트 방법
KR20020063340A (ko) * 2001-01-27 2002-08-03 주식회사 오앤이시스템 프리랜서 에이전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8891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엔소닉스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JP6106998B2 (ja) * 2012-09-03 2017-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管理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80B1 (ko) * 2000-04-17 2003-06-25 김정용 유명인과 함께 하는 유명인 입점식 영업판매방법
KR100367004B1 (ko) * 2001-07-18 2003-01-06 윤수영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업 관리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20090017060A (ko) * 2007-08-13 2009-02-18 김정훈 매니지먼트 계약의 중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138A1 (ko) 2022-11-03
KR102634634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73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competitions
US201301734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ross Publishing of Content Across Multiple Sites
US20150370674A1 (en) Tenant provisioning for testing a production multi-tenant service
Kim et al. An innovative method for data and software integration in SaaS
AU2017302437A1 (en) Resource-related content distribution hub
US20100332240A1 (en) Decentralized account digest using signed electronic receipts
CN106878383B (zh) 一种数字视听场所的视频应用系统和方法
CN109831501A (zh) 基于区块链的信息分发方法和系统
KR102202022B1 (ko) 유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0211808A (ja) 電子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搬送オペレータを効率的に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634634B1 (ko) 공유 기획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20038340A (ko) 광고를 결합한 온-오프라인 무료 컨텐츠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Rennie et al. Blockchain and the Creative Industries: provocation paper
CN110196949A (zh) 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JP2010182314A (ja) 電子ネットワーク内でトランスポート構造を効果的に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103427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uman resources on a decentralized resource network
CN115396178A (zh) 用户分布式鉴权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Desmet et al. Modernizing IT for a digital era
US20150206161A1 (en) Computerized system for delivering reasonably priced access to content to remotely located users at prices varying in time per user behavior and with automated access to outside websites matching a user's inquiry or interest
CN110198462B (zh) 交互式网络电视的运营方法
CN109886703A (zh) 电子票务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票务系统
JP2004118640A (ja) コンテンツ提供ルート決定支援サー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45464A (ko) 온라인 네트워크상에서 보안처리된 개발도구를 이용한 협업작업 방식의 소프트웨어 제작과 관리에 관한 방법
US20220327572A1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guarantee apparatus, advertisement distribution guarante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206112A1 (en) Computerized system for delivering reasonably priced access to content from many publishers and for analyzing search results to automatically provide access to material referenc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