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767A -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767A
KR20220146767A KR1020210053439A KR20210053439A KR20220146767A KR 20220146767 A KR20220146767 A KR 20220146767A KR 1020210053439 A KR1020210053439 A KR 1020210053439A KR 20210053439 A KR20210053439 A KR 20210053439A KR 20220146767 A KR20220146767 A KR 20220146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ous embodiment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준
Original Assignee
김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준 filed Critical 김병준
Priority to KR102021005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767A/ko
Publication of KR2022014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식별부; 출력부; 및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출력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vehicles located between alleys}
본 발명은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주·정차 금지구역에서의 불법 주·정차로 인하여 교통 혼잡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불법 주·정차는 차량 흐름 방해 뿐만 아니라 교통 사고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경제활동이 가속화됨에 따라 차량이 일반 대중에게 널리 보급된 반면, 차량을 주정차할 장소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로 인한 차량의 불법 주정차의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로의 양쪽 또는 갓길에 주정차된 차량은 실질적으로 도로의 폭을 좁게 만들며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접촉사고, 추돌사고 등의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도로 교통법에서는 각종 주정차 금지표시판을 세워 불법적인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계도하고 있다.
그러나 단속을 실시하는 경찰관의 인력이 모든 주정차 감시지역마다 배치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도로의 갓길 등에는 주정차 금지표시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정차 위반차량으로 넘쳐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통경찰이 보다 신속한 순찰을 실시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단속 중 민원인과의 충돌이나 마찰이 종종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카메라를 설치한 다음 도로의 바닥에 루프 코일을 설치하거나 차량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촬영 포인트를 설정하여 촬영함으로써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카메라의 성능의 한계로 인하여 단속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든 도로마다 카메라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단속과 감시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방자치구 내에 지정 주차구역을 설정하고, 해당 주차구역에는 지정된 차량만 주차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지정 주차구역 내에 외부차량의 불법 주차로 인한 사례가 빈번하여 지정주차 신청자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지정주차 신청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불법주차 단속원이 일일이 지정 주차구역을 돌아다니면서 차량의 불법주차 여부를 판별하여 불법 행위 사실을 작성하고 스티커 등을 통해 불법 주차 차량의 차주에게 그 불법행위 사실을 통지한 후, 추후에 과태료 고지서를 송부한다. 이로 인하여, 불법 주차 차량을 판별하고 그에 대한 행정적 처리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인건비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176123 호 [발명의 명칭 :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정차위반 단속알림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 10-1051005호 [발명의 명칭 :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다양한 실시예들은,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식별부; 출력부; 및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출력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차량이 포함되는 지 여부를 식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차량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제1 메시지를 출력;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제2 메시지를 출력;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시지는: (i)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주·정차된 차량은 단속됨을 안내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제1 영상 정보, (ii)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식별부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제2 영상 정보 또는 (ii) 안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메시지는: (i) 상기 제1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ii)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제3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시지는, 일, 주, 월, 또는 년 단위의 시간 동안의 통계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일, 주, 월, 또는 년 동안의 평균 차량 주·정차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임에 기초하여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평균 차량 주·정차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 또는 미만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메시지의 출력은 드롭 (drop) 되고, 상기 출력부는 오프 (off)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평균 차량 주·정차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 또는 미만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 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오프된 출력부를 온 (on);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영상 정보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2 영상 정보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i) 상기 제2 영상 정보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것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관련된 것으로 전환되고, (ii)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관련된 상기 제2 영상 정보와 상기 제3 영상 정보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정보가: 상기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 또는 상기 장치에 포함된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됨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식별을 위한 차량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i) 상기 출력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안내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출력; (ii)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안내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출력; 및 (iii)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3 영역에 '주·정차 금지' 를 나타내는 문자, 견인 지역을 나타내는 교통안전표지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안내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출력;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i)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정보를 출력; (ii)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영상 정보를 출력; 및 (iii)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차랑 번호를 나타내는 문자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출력;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은, 상기 식별부에 기초하여 식별 가능한 범위 내에 포함된 주·정차 금지 구역과 관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정보는, (i) 주·정차의 금지를 나타내는 교통안전표지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ii) 상기 주·정차 금지 구역의 종류를 안내하는 영상 정보 (iii) 상기 주·정차 금지 구역에 주·정차된 차량은 견인 조치됨을 안내하는 영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주·정차됨 또는 주·정차될 지 여부를 식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 및 상기 차량이 주·정차됨 또는 주·정차될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량이 정지되는지 여부, 상기 차량의 속력이 감소되는지 여부, 상기 차량의 이동 경로,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횡단 보도 또는 보행자 중 하나 이상의 존재 여부,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신호등의 존재 여부, 또는 상기 신호등의 정지 신호 표시 여부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정차됨 또는 주·정차될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와 관련된 제1 음성 정보, 상기 제2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와 관련된 제2 음성 정보 또는 상기 안내 메시지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와 관련된 안내 음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음성 정보, 상기 제2 음성 정보, 또는 상기 제3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와 관련된 제3 음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된 공용 주차장을 안내하는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실시간 날씨를 안내하는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날씨 예보를 안내하는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실시간 미세 먼지 수치를 안내하는 정보,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미세 먼지 수치 예보를 안내하는 정보,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서 예정된 또는 진행 중인 행사를 안내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i) 상기 제1 메시지의 출력과 상기 안내 메시지의 출력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주기 마다 상호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ii) 상기 공용 주차장을 안내하는 정보, 상기 실시간 날씨를 안내하는 정보, 상기 날씨 예보를 안내하는 정보, 상기 실시간 미세 먼지 수치를 안내하는 정보, 상기 미세 먼지 수치 예보를 안내하는 정보 또는 상기 예정된 또는 진행 중인 행사를 안내하는 정보 중 두 가지 이상은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주기 마다 상호 전환되어 상기 안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차량이 포함되는 지 여부를 식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차량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제1 메시지를 출력;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제2 메시지를 출력;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시지는: (i)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주·정차된 차량은 단속됨을 안내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제1 영상 정보, (ii)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식별부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의 실시간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제2 영상 정보 또는 (ii) 안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메시지는: (i) 상기 제1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제2 영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ii)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제3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시청각적 효과로부터 운전자가 자발적으로 주차 질서를 지키도록 유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정차 금지구역에서의 불법 주·정차가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교통 혼잡이 감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교통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불법 주·정차 경고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밀집거주지역 근방에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1.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 구현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불법 주·정차 경고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00) 및/또는 제2 디바이스(200) 에 구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 디바이스(100) 및/또는 제2 디바이스(200)는 각각의 장치에 구현된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더 다양한 장치들 및/또는 서버들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는, 주·정차 금지 구역을 식별/센싱 가능한 범위 내에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경고, 또는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단속 등을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들과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대단위의 저장 용량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200)는 복수 개의 제1 디바이스(100)들과 연동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은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에 포함된 모듈들은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이 구현되는(또는, 물리적 장치에 포함되는) 물리적 장치(예: 제1 디바이스(100) 및/또는 제2 디바이스(200))가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코드 내지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instruction)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이 구현되는 물리적 장치는 복수 개의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 개의 모듈들은 물리적 장치가 복수 개의 모듈들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는 입/출력부(210), 통신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나 연결 포트 등일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입력 모듈과 출력 모듈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모듈의 예로는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 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모듈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 대신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연결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출력 모듈은 각종 정보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외에도 출력 모듈은 상술한 개별 출력 수단을 연결시키는 포트 타입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형태의 출력 모듈은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holographic display), 프로젝터 및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영상 표시 장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입력 모듈의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는 통신부를 이용해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에 저장 및 생성된 정보들이 공유되도록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즉 데이터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위한 데이터나 점자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내장 타입 또는 탈부착 가능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1 디바이스(100) 및/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34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불법 주·정차 경고를 위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24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서(24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의 동작은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불법 주·정차 경고 시스템에 구현되는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모듈들은 프로세서(240)가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를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및/또는 제2 디바이스는 식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는 영상 인식을 통해 오브젝트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오브젝트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 받는 다양한 형태의 식별/센싱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일 수 있다. 식별부는 입/출력부(210) 내의 입력 모듈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거나 및/또는 입력 모듈과는 별도의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2.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구성/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호 배척되지 않는 한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절의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정의되지 않은 동작, 기능, 용어 등은 제 1 절의 내용들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설명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A/B/C 는 A 및/또는 B 및/또는 C 를 의미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A 초과/이상인 것은 A 이상/초과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B 미만/이하인 것은 B 이하/미만인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속도는 속력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속력은 속도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명되나,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들도 제1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디바이스(200)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서버가 설명되나,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들도 제2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이용하는 정보/주·정차 금지 금지 안내 장치가 출력/표시하는 정보 등은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직접 식별/획득한 정보이거나,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서버 및/또는 기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3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는, 외장부재(300), 식별부(310), 제1 연결부재(320), 출력부(330), 제2 연결부재(340), 지지부재(350), 받침부재(360)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3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일 구현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하나 이상의 구성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외장부재(300), 식별부(310), 제1 연결부재(320), 출력부(330), 제2 연결부재(340), 지지부재(350), 받침부재(360) 중 하나 이상의 동작/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장부재(300)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별부(310), 제1 연결부재(320), 출력부(330), 제2 연결부재(340) 및/또는 지지부재(350)는 외장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 통신부(미도시),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및/또는 기타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동작을 위한 회로, 장치 등은 외장부재(3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장부재(300)는 프로세서, 통신부(미도시),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및/또는 기타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동작을 위한 회로, 장치 등의 고정/수용을 위한 케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별부(310)는 센싱 가능한 범위 내의 차량을 식별/센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별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인식을 통해 오브젝트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오브젝트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 받는 다양한 형태의 식별/센싱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는 마이크로파(microwave) 센서, 적외선 센서, 진동 감지 센서 또는 음향 센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가능한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식별부(310)가 오브젝트를 식별/센싱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310)로부터 센싱 가능한 범위에 주·정차 금지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도록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320)는 외장부재(300)와 식별부(3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320)는 외장부재(300)와 식별부(310)를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320)는 x 축, y 축 또는 z 축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및/또는 x 축, y 축 또는 z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320)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모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320)의 이동 및/또는 회전에 따라 식별부(310) 또한 이동 및/또는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320)는 식별부(310)로부터 차량의 식별/센싱 및/또는 차량의 식별을 위한 차량 번호 등이 보다 잘 식별/센싱될 수 있는 위치로 식별부(310)를 이동 및/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310)의 현재 위치에서 차량의 차량 번호가 제대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차량 번호가 제대로 식별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재(320)는 이동 및/또는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시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320)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외장부재(300)와 식별부(310)는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외장부재(300)의 외면의 일부에 적어도 일부가 도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시각 및/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식별부(310)로부터 센싱 가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주·정차 금지 구역에 주·정차된 차량은 단속됨을 안내하는 영상 정보, 식별부(310)로부터 센싱 가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주·정차 금지 구역에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안내하는 영상 정보, 식별부(310)로부터 획득/촬영된 주·정차 금지 구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정보, 센싱 가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주·정차 금지 구역에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주·정차 금지' 를 나타내는 문자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 안내 메시지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의 공용 주차장을 안내하는 정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의 실시간 날씨를 안내하는 정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의 날씨 예보를 안내하는 정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의 실시간 미세 먼지 수치를 안내하는 정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의 미세 먼지 수치 예보를 안내하는 정보, 또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의 예정된 또는 진행 중인 행사를 안내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직접 식별/획득한 정보이거나,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서버 및/또는 기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근방은 식별부(310)로부터 센싱 가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주·정차 금지 구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반경 내의 영역은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치된 시, 군, 구, 동 중 하나 이상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일정 반경 내의 영역은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의 설치 위치 및/또는 식별부(310)로부터 센싱 가능한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주·정차 금지 구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예를 들어, 수 미터 및/또는 수 킬로미터 단위로 설정될 수 있음) 내의 영역일 수 있으며, 각 정보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및/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용 주차장을 안내하는 정보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로부터 수백미터 (예를 들어, 500 미터) 내의 공용 주차장의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실시간 날씨/날씨 예보/실시간 미세 먼지 수치/미세 먼지 수치 예보를 안내하는 정보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치된 시 (예를 들어, 서울시 등) 의 실시간 날씨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예정된 또는 진행 중인 행사를 안내하는 정보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치된 구 (예를 들어, 광진구 등) 내에 예정된 또는 진행 중인 행사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부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부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음량을 출력하거나 식별성이 좋은 특정 주파수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영상 정보는 음성 정보로 용이하게 대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연결부재(340)는 외장부재(300)와 지지부재(3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연결부재(340)는 외장부재(300)와 지지부재(350)를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340)는 x 축, y 축 또는 z 축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및/또는 x 축, y 축 또는 z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340)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340)의 이동 및/또는 회전에 따라 외장부재(300) 또한 이동 및/또는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340)는 출력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정보가 더 잘 전달될 수 있는 위치로 출력부(330)를 이동 및/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시야각, 차량의 높이, 또는 출력부(33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스피커부의 일표면의 연장선 및/또는 디스플레이부/스피커부의 일표면에 수직한 법선을 기준으로 한 차량의 각도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할 때 출력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정보가 차량 내의 운전자로부터 식별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출력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정보가 차량 내의 운전자로부터 제대로 식별될 수 있도록 제2 연결부재(340)는 이동 및/또는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예시에 따르면, 제2 연결부재(340)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외장부재(300)와 지지부재(350)는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재(350)는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치/고정되는 지면의 연직 방향 (z 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정 길이(예를 들어, 1.5 미터 이상)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재(350)의 측단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 연결부재(340)가 연결되거나 및/또는 외장부재(30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받침부재(360)는 지지부재(350)의 일단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부재(360)의 직경은 지지부재(35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다만, 다른 예시에 따르면, 지지부재(350)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부재(350)의 일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붙박이된 형태 (예를 들어, 지지부재(350)의 일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을 파고든 형태 등) 로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치/고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받침부재(360)의 아랫면에 지지부재(350)의 일단을 포함하는 지지부재(35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지부재(350)의 일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붙박이 (예를 들어, 지지부재(350)의 일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지면을 파고듬 등) 형태로 설치되되, 받침부재(360)의 아랫면이 지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설치/고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가 밀집거주지역 근방에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중' 과 같이 주·정차된 차량은 단속됨을 나타내는 문자, 식별된 차량과 주·정차 금지 구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실시간 영상 및 식별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식별된 차량과 주·정차 금지 구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실시간 영상과 차량 번호가 바로 표출되고, 식별된 차량과 주·정차 금지 구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실시간 영상에 대한 녹화/저장/송신이 수반되어, 운전자에게 불법 주·정차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으며, 불법 주·정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

  1. 장치에 있어서,
    식별부;
    출력부; 및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출력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차량이 포함되는 지 여부를 식별;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차량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제1 메시지를 출력;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제2 메시지를 출력; 하도록 설정되는,
    장치.
KR1020210053439A 2021-04-26 2021-04-26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46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39A KR20220146767A (ko) 2021-04-26 2021-04-26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39A KR20220146767A (ko) 2021-04-26 2021-04-26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67A true KR20220146767A (ko) 2022-11-02

Family

ID=8404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439A KR20220146767A (ko) 2021-04-26 2021-04-26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7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05B1 (ko) 2011-01-18 2011-07-26 렉스젠(주)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76123B1 (ko) 2011-08-30 2012-08-28 (주)아이엠시티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정차위반 단속알림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05B1 (ko) 2011-01-18 2011-07-26 렉스젠(주)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76123B1 (ko) 2011-08-30 2012-08-28 (주)아이엠시티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주정차위반 단속알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9998B2 (en)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 and external observers
US11355014B1 (en) System for warning about intersection danger based on situation prediction
US7076349B2 (en)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detection and evasion system
US20170336218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u-turn guidance
Jain et al. On the limits of positioning-based pedestrian risk awareness
US117946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adway user safety
US20190333370A1 (en) Adaptively controlling traffic movements for pedestrian safety
JP2009031196A (ja) 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361403B2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36776B1 (ko) 차량의 톨-게이트 구간 안내 장치 및 방법
JP4692898B2 (ja) 車両用案内装置
KR102298228B1 (ko) 주·정차 금지 안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359097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46767A (ko) 골목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2178127A (ja) 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注意喚起装置
WO2011129830A1 (en) Improved location based alert device and method
JP200801476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2048293A (ja) 運転支援装置
KR102197259B1 (ko)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KR101681735B1 (ko) 교통 신호를 알려주는 차량용 장치 및 방법
TW201926261A (zh) 應用於戶外、建築物內之停車場的管理方法及其設備
KR20220056349A (ko) 주·정차 금지 구역 대 차량을 식별하여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WO2020240353A1 (en) Operator proficiency-based infrastructure articles
JP2008158791A (ja) 運転支援システム
JP2021005499A (ja) 照明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