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277A -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 Google Patents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277A
KR20220146277A KR1020210053362A KR20210053362A KR20220146277A KR 20220146277 A KR20220146277 A KR 20220146277A KR 1020210053362 A KR1020210053362 A KR 1020210053362A KR 20210053362 A KR20210053362 A KR 20210053362A KR 20220146277 A KR20220146277 A KR 20220146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terpillar
support
contact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252B1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다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솔루션 filed Critical (주)다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5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2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다수개의 연결체로 이루어진 캐터필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일측면에 구성한 접촉지지날개1부와 타측면에 접촉지지날개2부로 구성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날개지지2부보다 각각 내측으로 단차되어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로 연속되게 구성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호형요부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의 단부에서는 각각 가이드호형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에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접이돌기부와 연결회전돌기부를 구성하며,
단부에 근접되는 곳에 상기 가이드접이돌기부를 구성하고 이격되어 상기 연결회전돌기부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양측면에는 가이드접이홈부와 연결회전홀부를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하부에서 연결이음부에 의하여 결합구성되고,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상부에서 각각 안내지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안내지지부는 중앙부에 슬릿부를 구성하여,
각각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의 제2가이드접이돌기부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회전홀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체의 제2연결회전돌기부를 삽입하여 직각구성되는 지지대의 내부로 진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Caterpillar device and insect screen device using the same}
본원발명은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87540(2018.08.10)구체적으로, 연결체(11)는 제1 측면판(11-1), 제2 측면판(11-2),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체(11)의 둘레는 원호 형상이며, 제2 접촉홈의 전단면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연결체(11)와 다른 하나의 연결체(11)가 결합되었을 때, 서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체(11)의 일측면에는 제1 측면판(11-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2 측면판(1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측면판(11-10, 11-2)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측면판(11-10, 11-2)은 제1 접촉홈(11-2c), 제2 접촉홈, 억지끼움돌출부(11-2a) 및 억지끼움홀(11-2b)을 포함할 수 있다.제1 접촉홈(11-2c)은 전단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소정의 깊이로 파여지고 전단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홈은 후단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소정의 깊이로 파여지고 후단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억지끼움돌출부(11-2a)는 제1 접촉홈(11-2c) 중단에 형성되며, 억지끼움홀(112b)은 제2 접촉홈 가장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억지끼움돌출부(11-2a)의 외주면은 언터컷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6b에 의하여 살펴보면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005256 (2011.01.04)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캐터필러수용대를 좌측세로문틀에 조립할 경우에도, 그물망을 개방할 때에는 개폐지주의 좌측 이동에 따라 캐터필러(70)가 밀리면서 그 좌측의 자유단 쪽이 순차적으로 절곡하면서 좌측의 캐터필러수용대에 수용되고, 그물망을 칠 때에는 캐터필러(70)의 우측 고정단이 개폐지주에 함께 우로 당겨지면서 좌측의 캐터필러수용대로부터 점차 인출되면서 말대(30)와 개폐지주의 하단이 캐터필러(70)의 ∪자형 안내홈(74)에 삽입된 상태로 캐터필러(70)에 의해 안내된다.
받침대의 상면에는 낮은 높이의 돌부를 형성하여 캐터필러(70)의 저면요부 (75)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펼쳐진 캐터필러(70)를 가이드 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대의 구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과장하여 크게 도시하였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약간 볼록한 거의 평판에 가깝게 형성하면 된다.캐터필러(70)는 초기 무한궤도차량의 바퀴로 개발되어 변형된 통상의 캐터필러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유닛(71)들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여 절곡 가능한 궤도로 형성된 부재이다.
도6c에서는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358945(2014.02.07)그리고, 상기 캐터필러(30)의 고정단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꼭지점 부위에 연결홀(31)이 형성되고, 내부면은 다른 캐터필러(30)와 연결시, 캐터필러(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36)이 형성된다. 즉, 다른 캐터필러(30)의 자유단이 고정단의 내측 삽입홈(36)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터필러(30)의 자유단은 원형 호 형태로 형성되어 캐터필러(30)가 상방으로 절곡시, 유연하게 절곡되며, 다른 캐터필러(30)가 상방 이외에 하방으로 절곡되지 않도록 스토퍼(37)가 외부면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돌기(32)의 외주연에는 캐터필러(30)의 뒤틀림 시, 연결돌기 (32)가 연결홀(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쇠(3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 (35)는 연결돌기(32)의 끝단부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32)가 평면상 "♀" 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돌기(32)는 캐터필러(30)가 상방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31)은, 걸림쇠(35)가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32)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돌기(32)가 용이하게 결합된다.
이렇듯, 상기 연결돌기(32)와 연결홀(31)이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돌기(32)가 연결홀(31)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후, 캐터필러(30)가 일직선으로 회동되면 연결돌기(32)의 걸림쇠(35)가 고정단의 일면에 지지되는 형태가 되어 연결돌기(32)가 연결홀(31)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도6d에서는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577812(2015.12.15) 상기 캐터필러(40)는, 여러 개의 유닛(41)들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상측으로 절곡 가능한 궤도로 형성한 부재로서, 상측으로 개방 형성된 안내홈(43)을 따라 그물망, 말대 및 개폐지주의 좌우개폐 이동이 안내되고, 하측에 형성된 요부(44)는 캐터필러(40)를 아래에서 받쳐주고 안내하는 받침대의 돌출부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캐터필러(40)의 전개가 받침대에 의해 안내를 받도록 한다. 받침대는 예를 들어 좌우세로문틀의 하단에 연결구로 연결된다.
도6e에서는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562365(2015.10.22)호에 대한 배경기술로 캐터필러(90)에 삽입된 스크린의 하단이 캐터필러(9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캐터필러(90)에는 상측의 제4 슬릿(92)과, 제4 슬릿(92)에 연통된 하측의 제4 내부공간(93)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스크린의 하단에는 이탈방지편을 부착할 수 있다.
제4 슬릿(92)은 스크린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캐터필러(90)의 길이방향으로 상측에 횡으로 형성된 좁은 통로이고, 제4 내부공간(93)은 제4 슬릿(92)에 연통되어 제4 슬릿(92)을 통해 삽입된 스크린(60)의 하단을 수용하는 하측의 공간이다.
즉, 캐터필러(90)는 상면 전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스크린의 하단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길이를 따라 좌우로 좁은 제4 슬릿(92)이 형성되어 있고, 스크린의 하단은 제4슬릿(92)을 통해서만 제4 내부공간(93)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각각의 유닛(91)들은 스크린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4 내부공간(93)을 가지는 ∪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유닛(91)의 상단 안쪽으로 차단벽(94)을 횡방향으로 형성하고, 차단벽(94)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제4 슬릿(92)을 형성한 예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캐터필러는 원할하게 지지대의 내부로부터 진출이 용이하지 않고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87540(2018.08.10)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005256(2011.01.0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358945(2014.02.07)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577812(2015.12.15)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562365(2015.10.22)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04427(2017.12.04)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캐터필러를 이용하여 원할하게 방충망을 여닫을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캐터필러장치의 연결체들이 작동중에 자주 이격되어 끊어지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째 과제는 안내지지부로 인하여 방충망의 유격이 없어져서 해충이 진입하는 공간을 없애버리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다수개의 연결체로 이루어진 캐터필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일측면에 구성한 접촉지지날개1부와 타측면에 접촉지지날개2부로 구성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날개지지2부보다 각각 내측으로 단차되어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로 연속되게 구성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호형요부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의 단부에서는 각각 가이드호형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에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접이돌기부와 연결회전돌기부를 구성하며,
단부에 근접되는 곳에 상기 가이드접이돌기부를 구성하고 이격되어 상기 연결회전돌기부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양측면에는 가이드접이홈부와 연결회전홀부를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하부에서 연결이음부에 의하여 결합구성되고,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상부에서 각각 안내지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안내지지부는 중앙부에 슬릿부를 구성하여,
각각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의 제2가이드접이돌기부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회전홀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체의 제2연결회전돌기부를 삽입하여 직각구성되는 지지대의 내부로 진출되도록 캐터필러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가 상기 가이드접이홈부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호형요부에 상기 제2연결체의 제2가이드호형부가 삽입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체 및 상기 제2연결체가 상기 연결회전홀부를 중심으로 제한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체들이 직각되는 상기 지지대로 진출이동할 때 상기 연결체의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의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회전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2연결회전돌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호형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접이홈부의 호형의 길이는 인접하는 연결체를 45도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터필러장치는 직각으로 구성된 손잡이를 지지하고 방충망을 결합하는 지지대를 통하여 방충망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의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가 이동되기 위하여,
중공형상의 상기 지지대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연결해주도록 구성하는 접속결합부를 가지는 캐터필러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결합부는 상기 캐터필러가 상기 지지대로 진입할 때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하부에 캐터필러안내가이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속결합부의 내부에는 접속결합안내돌기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상기 연결체의 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속결합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지지대결합부를 단차지도록 구성하고 방충망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결합부와 결합하도록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와 상기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의 하단부에 방충망결합지지결합2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효과는 캐터필러를 이용하여 원할하게 방충망을 여닫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두번째 효과는 캐터필러장치의 연결체들이 작동중에 자주 이격되어 끊어지는 단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효과는 안내지지부로 인하여 방충망의 유격이 없어져서 해충이 진입하는 공간을 없애버리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캐터필러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보이는 전체도이다.
제2a 도 내지 제2c도는 캐터필러의 단위인 연결체를 보이는 도이다.
제3a 도 내지 제3d도는 캐터필러가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a 내지 제4g도는 접속결합부 및 접속결합부와 캐터필러의 결합부분을 보이는 도이다.
제5a 내지 제5c도는 캐터필러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보이는 도이다.
제5d도는 지지대와 접속결합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6a 내지 제6e 도는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다수개의 연결체(100)로 캐터필러장치(1000)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100)는 일측면에 구성한 접촉지지날개1부(130)와 타측면에 접촉지지날개2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보다 각각 내측으로 단차되어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로 연속되게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호형요부(135,145)를 구성한다.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의 단부에서는 각각 가이드호형부(192a,194a)를 구성한다.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에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접이돌기부(115)와 연결회전돌기부(125)를 구성한다.
단부에 근접되는 곳에 상기 가이드접이돌기부(115)를 구성하고 이격되어 상기 연결회전돌기부(125)를 순차적으로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접이홈부(110)와 연결회전홀부(120)를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의 하부에서 연결이음부(150)에 의하여 결합구성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의 상부에서 각각 안내지지부(160)를 구성한다.
상기 안내지지부(160)는 중앙부에 슬릿부(170)를 구성한다.
각각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200)의 제2가이드접이돌기부(215)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회전홀부(120)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체(200)의 제2연결회전돌기부(225)를 삽입하여 직각구성되는 지지대(400)의 내부로 진출되도록 캐터필러장치(100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215)가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호형요부(135,145)에 상기 제2연결체(200)의 제2가이드호형부(292a,294a)가 삽입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체(100) 및 상기 제2연결체(200)가 상기 연결회전홀부(120)를 중심으로 제한되도록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연결체들(100, 200)이 직각되는 상기 지지대(400)로 진출이동할 때 복수의 연결체들(100,200)이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200)의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215)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회전홀부(120)에 삽입되는 상기 제2연결회전돌기부(225)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는 호형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제1연결체(100)와 제2연결체(200)가 결합될 때에 가이드호형부(192a,194a)는 선행되는 가이드호형요부(135,145)와 결합하여 직각으로 이동될때 호형으로 구성된 부분끼리 원할하게 접촉되면서 긴밀하게 회전하는 것이다.
즉 가이드호형요부(135,145)에는 제2가이드호형부(292a,294a)가 원할하게 호형 형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가이드호형철부(135a,145a)는 가이드호형요부(135,145)로 인하여 외부의 형상인 것이다.
제2가이드호형철부(235a,245a)는 가이드호형요부(135,145)로 인하여 외부의 형상인 것이다.
내부공간부(180)는 접속결합부(300)에 구성된 접속결합안내돌기부(310)가 삽입되어 캐터필러장치(1000)를 원할하게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제2가이드접이홈부(210)는 후속하는 제3의 가이드접이돌기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제2연결회전홀부(220)도 후속하는 제3의 연결회전돌기부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제2접촉지지날개1부(230)와 제2접촉지지날개2부(240)의 내측면에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가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제2가이드호형요부(235,245)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3의 가이드호형부가 삽입된다.
호형접촉부(136,146)및 제2호형접촉부(236,246)는 지지대(400)로 진입하기 위하여 45각도로 경사될때 가이드호형철부(135a,145a)가 접촉하여 더이상 회전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구성이다.
캐터필러안내가이드(350)부의 경사도를 따라 원할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제2연결이음부(250), 제2안내지지부(260) ,제2슬릿부(270) 및 제2내부공간부(280)는 제1연결체(100)의 구성설명에서와 동일하다.
캐터필러이동공간부(340)은 접속결합부(300)의 내부공간부(18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곳으로 캐터필러연결체가 이동하는 것이다.
방충망(500)은 방충망지지부(600)로 지지하여 지지대(400)와 결합하는 것이다.
하부지지대(700)은 캐터필러(1000)가 하부에서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의 호형의 길이는 인접하는 연결체(100)를 45도로 회전이동되는 것이어서 원할하게 접속결합부(300)를 통하여 직각으로 구성된 지지대(400)로 캐터필러장치(1000)가 진출입되는 것이다.
캐터필러장치(1000)를 이용하여 직각으로 구성된 손잡이(800)를 지지하고 방충망(500)을 결합하는 지지대(400)를 통하여 방충망(500)을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400)의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1000)가 이동되기 위하여,
중공형상의 상기 지지대(400)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1000)가 이동하는 것을 연결해주도록 구성하는 접속결합부(300)를 가지는 캐터필러장치(1000)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접속결합부(300)는 상기 캐터필러(1000)가 상기 지지대(400)로 진입할 때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하부에 캐터필러안내가이드(35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접속결합부(300)의 내부에는 접속결합안내돌기부(310)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상기 연결체(100)의 슬릿부(170)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안전하고 원할하게 지지대(400)로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캐터필러장치(1000)를 이용하여 방충망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결합부(300)는 상기 지지대(400)와 결합하는 지지대결합부(332,352)를 단차지도록 구성하고 방충망(50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결합부(332,352)와 결합하도록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320)와 상기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320)의 하단부에 방충망결합지지결합2부(325)를 구성하여 안전하게 방충망(500)을 결합하여 틈새를 통하여 해충들이 방안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제1연결체 110:가이드접이홈부 115:가이드접이돌기부
120:연결회전홀부 125:연결회전돌기부 130:접촉지지날개1부
140:접촉지지날개2부 135,145:가이드호형요부
135a,145a:가이드호형철부 136,146:호형접촉부
150:연결이음부 160:안내지지부 170:슬릿부 180:내부공간부
192:삽입접촉지지날개1부 194:삽입접촉지지날개2부
192a,194a:가이드호형부 200:제2연결체 210:제2가이드접이홈부
215:제2가이드접이돌기부 220:제2연결회전홀부 225:제2연결회전돌기부
230:제2접촉지지날개1부 240:제2접촉지지날개2부
235,245:제2가이드호형요부 235a,245a:제2가이드호형철부
236,246:제2호형접촉부
250:제2연결이음부 260:제2안내지지부 270:제2슬릿부
280:제2내부공간부 292a,294a:제2가이드호형부
300:접속결합부 310:접속결합안내돌기부 320: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
325:방충망결합지지결합2부 332,352:지지대결합부
340:캐터필러이동공간부 350:캐터필러안내가이드 400:지지대
500:방충망 600:방충망지지부 700:하부지지대 800:손잡이
1000:캐터필러장치

Claims (8)

  1. 다수개의 연결체로 이루어진 캐터필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일측면에 구성한 접촉지지날개1부와 타측면에 접촉지지날개2부로 구성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날개지지2부보다 각각 내측으로 단차되어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로 연속되게 구성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호형요부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의 단부에서는 각각 가이드호형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에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접이돌기부와 연결회전돌기부를 구성하며,
    단부에 근접되는 곳에 상기 가이드접이돌기부를 구성하고 이격되어 상기 연결회전돌기부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양측면에는 가이드접이홈부와 연결회전홀부를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하부에서 연결이음부에 의하여 결합구성되고,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상부에서 각각 안내지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안내지지부는 중앙부에 슬릿부를 구성하여,
    각각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의 제2가이드접이돌기부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회전홀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체의 제2연결회전돌기부를 삽입하여 직각구성되는 지지대의 내부로 진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가 상기 가이드접이홈부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호형요부에 상기 제2연결체의 제2가이드호형부가 삽입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체 및 상기 제2연결체가 상기 연결회전홀부를 중심으로 제한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체들이 직각되는 상기 지지대로 진출이동할 때 상기 연결체의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의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회전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2연결회전돌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호형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접이홈부의 호형의 길이는 인접하는 연결체를 45도로 회전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
  5.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의 캐터필러장치는 직각으로 구성된 손잡이를 지지하고 방충망을 결합하는 지지대를 통하여 방충망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의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가 이동되기 위하여,
    중공형상의 상기 지지대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연결해주도록 구성하는 접속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결합부는 상기 캐터필러가 상기 지지대로 진입할 때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하부에 캐터필러안내가이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결합부의 내부에는 접속결합안내돌기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상기 연결체의 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결합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지지대결합부를 단차지도록 구성하고 방충망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결합부와 결합하도록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와 상기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의 하단부에 방충망결합지지결합2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터필러장치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KR1020210053362A 2021-04-24 2021-04-24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KR10262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62A KR102625252B1 (ko) 2021-04-24 2021-04-24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62A KR102625252B1 (ko) 2021-04-24 2021-04-24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77A true KR20220146277A (ko) 2022-11-01
KR102625252B1 KR102625252B1 (ko) 2024-01-16

Family

ID=8404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362A KR102625252B1 (ko) 2021-04-24 2021-04-24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2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6B1 (ko) 2008-08-06 2011-01-04 정장훈 시공이 용이한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KR20130013022A (ko) * 2011-07-27 2013-02-06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크린 현장 맞춤형 개방식 출입문용 방충망
KR101358945B1 (ko) 2013-10-10 2014-02-07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크린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KR101562365B1 (ko) 2014-03-24 2015-10-22 정지성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KR101577812B1 (ko) 2014-02-24 2015-12-15 정장훈 캐터필러식 방충망용 개폐안내장치
KR101804427B1 (ko) 2017-05-11 2017-12-04 김동주 원활한 전개가 가능한 캐터필러형 방충망
KR101887540B1 (ko) 2017-12-27 2018-08-10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캐터필러 및 캐터필러를 이용한 무턱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6B1 (ko) 2008-08-06 2011-01-04 정장훈 시공이 용이한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KR20130013022A (ko) * 2011-07-27 2013-02-06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크린 현장 맞춤형 개방식 출입문용 방충망
KR101358945B1 (ko) 2013-10-10 2014-02-07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크린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KR101577812B1 (ko) 2014-02-24 2015-12-15 정장훈 캐터필러식 방충망용 개폐안내장치
KR101562365B1 (ko) 2014-03-24 2015-10-22 정지성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KR101804427B1 (ko) 2017-05-11 2017-12-04 김동주 원활한 전개가 가능한 캐터필러형 방충망
KR101887540B1 (ko) 2017-12-27 2018-08-10 우진글로벌 주식회사 캐터필러 및 캐터필러를 이용한 무턱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252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799A (en) Panel hinge
ES2203566T3 (es) Jaula modular.
KR20130096096A (ko) 링크 유닛 및 이를 가지는 암 모듈
DE60301016T2 (de) Adaptermodul mit halterungsriegel
KR19980067221U (ko) 원터치조립식 천막후레임
US5996669A (en) Side tracks adapted for use with rolling protective shutters
KR20220146277A (ko)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US8082693B2 (en) Arch shutter
KR101773024B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RU2006133542A (ru) Оправа очков с дужками, имеющими две ортогональные оси вращения и образующими футляр при их складывании
US20040025438A1 (en) Pull bar connector for shutters
CN101612880B (zh) 车门自适应密封设备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ES2936480T3 (es) Sistema de conectores de bambú
KR20130000118U (ko)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870005630A (ko) 변기덮개 힌지 조립체
KR20220146279A (ko) 방충망 파지장치
PT1060319E (pt) Arranjo para a suspensão articulável e deslizável de parede
KR101358945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KR102625257B1 (ko)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JP4754281B2 (ja) 連通口を有する網戸
JP3212932U (ja) 折り畳み杖構造
KR102568262B1 (ko) 광고판이 설치된 비상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KR10211034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절첩식 방충망 도어
KR102626631B1 (ko) 여닫음 방향이 정해지는 행거형 스윙 도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