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657A - 다목적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다목적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657A
KR20220145657A KR1020210052492A KR20210052492A KR20220145657A KR 20220145657 A KR20220145657 A KR 20220145657A KR 1020210052492 A KR1020210052492 A KR 1020210052492A KR 20210052492 A KR20210052492 A KR 20210052492A KR 20220145657 A KR20220145657 A KR 2022014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nozzle
blowing means
fastening brac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열규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임
Priority to KR102021005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657A/ko
Priority to US17/472,908 priority patent/US20220341663A1/en
Priority to EP21196381.4A priority patent/EP4079186A1/en
Priority to JP2021149356A priority patent/JP2022167751A/ja
Priority to CN202111079615.4A priority patent/CN115227019A/zh
Publication of KR2022014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4Portable drying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의 방향을 조절하여 건조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물론 건조 중에도 필요에 따라 노즐을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 측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다목적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가열 또는 냉각시켜 배출하는 송풍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하는 조작 패널이 외부에 형성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굽힘이 자유롭고 변형된 형태가 유지 가능한 제 1호스와 굽힘이 자유로우며 일단이 상기 송풍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호스의 타단 측에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호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호스를 포함하는 호스부 및 상기 제 2호스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드라이어{Multipurpose Dryer}
본 발명은 다목적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의 방향을 조절하여 건조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노즐을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 측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다목적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어는 물체에 있는 물기를 말리는 장치로서 외기를 흡입하고 이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물체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드라이어는 대부분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건조를 위한 온풍 또는 냉풍을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입하여 이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상기 노즐로 배출하는 송풍수단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송풍수단을 작동시키고 건조하고자 하는 측으로 노즐을 위치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드라이어는 사용 중 한 손이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해야 함에 따라 양손을 자유롭게 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022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안정되게 놓여 지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상면 일측에서 수직상으로 입설되는 고정지주(20), 상기 고정지주(20)의 상단에 상하로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지주(30), 상기 높이조절지주(30)의 상단에서 연장된 상태로 연결 설치되며 구부림이 자유로운 주름관 구조로 된 플렉서블지주(40), 상기 플렉서블지주(40)의 자유단에 부착되며, 드라이어(D)가 수직하향이나 경사하향을 향해 송풍할 수 있도록 그의 몸체를 위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꽂아 놓을 수 있게 하는 꽂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어 꽂이대(50)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드라이어 스탠드는 사용자가 드라이어(D)의 손잡이(D1)를 파지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건조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는 있으나 노즐(D2)의 방향과 위치가 조절이 완료되면 건조 중에는 상기 높이조절지주(30)와 플렉서블지주(40) 등의 위치 조절이 수월하지 않다.
이에 따라, 애완 동물 등과 같이 움직이는 대상체를 건조하는 경우 상기 드라이어(D)의 노즐(D2) 측으로 건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사용자가 들어 올리거나 대상체의 건조 부분을 상기 노즐 측으로 포지셔닝 해야함에 따라 오히려 양손의 활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022호(공고일 2004.03.26.)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즐의 방향을 조절하여 건조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물론 건조 중에도 필요에 따라 노즐을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 측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다목적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외기를 흡입하여 가열 또는 냉각시켜 배출하는 송풍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하는 조작 패널이 외부에 형성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굽힘이 자유롭고 변형된 형태가 유지 가능한 제 1호스와 굽힘이 자유로우며 일단이 상기 송풍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호스의 타단 측에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호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호스를 포함하는 호스부 및 상기 제 2호스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호스의 타단에는 노즐체결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일단에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에 탈착되는 호스체결 브라켓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호스는 상기 제 1호스와 마찬가지로 변형된 형태가 유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호스와 상기 제 2호스는 각각 압축과 신장이 가능한 주름관이며, 상기 제 2호스의 최대 신장 길이는 상기 제 1호스의 최대 신장 길이보다 1.5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외기를 상기 송풍수단 측으로 유입시키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구는 탈착 가능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노즐의 방향을 조절하여 건조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물론 건조 중에도 필요에 따라 노즐을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 측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킴으로써 애완 동물 등과 같이 움직이는 대상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는 종래의 드라이어 스탠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노즐체결부 및 호스체결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노즐체결부 및 호스체결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본체부(100)와 호스부(200) 및 노즐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밑면은 비교적 큰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흡기구(11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모터와 팬, 가열 및/또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송풍수단(미도시)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기구(110)에는 탈착 가능한 필터가 형성되어 외기 중 포함된 먼지, 벌레 등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송풍수단은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송풍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거나 외부에 전원과 연결을 위한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선(120)과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또는 버튼 타입의 조작 패널(13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선(120)은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논슬립 패드(140)와 어느 일측에 탈착되는 고정 브라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논슬립 패드(140)는 상기 전원 공급선(130)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가 바닥에 놓였을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합성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150)은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테이블 등에 놓여 졌을 때 상기 본체부(1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 방식으로 길이 조절되어 테이블 등의 일면에 밀착되는 클램프(15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스부(200)는 제 1호스(210)와 제 2호스(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호스(210)는 일단이 상기 배기구(120) 측에 형성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굽힘이 자유롭고 변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질의 덕트호스이다.
또한, 상기 제 1호스(210)는 주름관 형태의 신축관으로서 열풍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호스(210)의 타단에는 상기 노즐부(300)가 탈착되는 노즐체결 브라켓(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호스(220)는 일단이 상기 송풍수단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노즐부(300)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 1호스(210)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호스(220)는 굽힘이 자유롭고 변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질의 덕트호스로서 주름관 형태의 신축관이다.
또한, 상기 제 2호스(220)는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배기되는 열풍 또는 냉풍이 흐르는 유로로서 열풍 또는 냉풍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호스(220)는 상기 제 1호스(210)의 내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1호스(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호스(220)는 상기 제 1호스(210)와 대비하여 보다 연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호스(210)보다 변형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호스(220)는 변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없도록 더욱 연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호스(220)는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 1호스(210)의 압축 길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고, 신장되는 경우 상기 제 1호스(210)의 최대 신장 길이보다 1.5배 이상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즐부(300)는 손잡이(310)와 호스체결 브라켓(320) 및 노즐(3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310)는 사용자의 손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는 'Γ'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은 상기 제 2호스(220)와 연결되는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와 탈착된다.
이때,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과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은 각각 도 5의 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제 1리브(211a)와 제 2리브(32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의 일부를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에 삽입시킨 후 상기 제 1리브(211a)와 상기 제 2리브(321)가 치합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을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상기 제 1리브(211a)와 상기 제 2리브(321)가 교차하도록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으로부터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과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 간의 탈착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노즐(330)은 상기 송풍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자유 공간으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로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3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용도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상기 조작 패널(130)이 상기 노즐부(300)에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송풍수단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패널(130)과의 연결은 상기 제 1호스(210)와 상기 제 2호스(220) 사이에 형성되는 유선이거나 무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노즐(330)을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과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노즐(330)이 건조 대상물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 1호스(210)를 굽힌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 패널(130)을 조작하여 상기 송풍수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온풍 또는 냉풍을 상기 노즐(330)을 통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 측으로 분사함에 따라 건조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과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제 1호스(210)와 상기 제 2호스(220)를 각각 굽혀 상기 노즐(330)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과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211)과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을 분리하여 상기 제 2호스(220)가 상기 제 1호스(210)의 길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노즐(330)을 건조 대상물 측에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냉풍 또는 온풍을 분사하여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상기 노즐(330)의 방향을 조절하여 건조 중에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드라이어는 것을 건조 중에도 필요에 따라 상기 제 노즐체결 브라켓(211)으로부터 상기 호스체결 브라켓(320)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노즐(330)을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 측으로 자유롭게 연장 및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애완 동물 등과 같이 움직이는 대상체의 다양한 부위에 대하여 용이하게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본체부
110. 흡기구
120. 전원 공급선
130. 조작 패널
140. 논슬립 패드
150. 클램프
151. 클램프 브라켓
200. 호스부
210. 제 1호스
211. 노즐체결 브라켓
211a. 제 1리브
220. 제 2호스
300. 노즐부
310. 손잡이
320. 호스체결 브라켓
321. 제 2리브
330. 노즐

Claims (5)

  1. 외기를 흡입하여 가열 또는 냉각시켜 배출하는 송풍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송풍수단을 제어하는 조작 패널이 외부에 형성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굽힘이 자유롭고 변형된 형태가 유지 가능한 제 1호스와 굽힘이 자유로우며 일단이 상기 송풍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호스의 타단 측에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호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호스를 포함하는 호스부; 및
    상기 제 2호스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호스의 타단에는 노즐체결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일단에 상기 노즐체결 브라켓에 탈착되는 호스체결 브라켓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송풍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다목적 드라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호스는 변형된 형태가 유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목적 드라이어.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호스와 상기 제 2호스는 각각 압축과 신장이 가능한 주름관이며,
    상기 제 2호스의 최대 신장 길이는 상기 제 1호스의 최대 신장 길이보다 1.5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다목적 드라이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외기를 상기 송풍수단 측으로 유입시키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구는 탈착 가능한 필터를 포함하는 다목적 드라이어.
KR1020210052492A 2021-04-22 2021-04-22 다목적 드라이어 KR20220145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92A KR20220145657A (ko) 2021-04-22 2021-04-22 다목적 드라이어
US17/472,908 US20220341663A1 (en) 2021-04-22 2021-09-13 Multipurpose dryer
EP21196381.4A EP4079186A1 (en) 2021-04-22 2021-09-13 Multipurpose dryer
JP2021149356A JP2022167751A (ja) 2021-04-22 2021-09-14 多目的ドライヤー
CN202111079615.4A CN115227019A (zh) 2021-04-22 2021-09-15 多用途吹风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92A KR20220145657A (ko) 2021-04-22 2021-04-22 다목적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57A true KR20220145657A (ko) 2022-10-31

Family

ID=7775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92A KR20220145657A (ko) 2021-04-22 2021-04-22 다목적 드라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41663A1 (ko)
EP (1) EP4079186A1 (ko)
JP (1) JP2022167751A (ko)
KR (1) KR20220145657A (ko)
CN (1) CN1152270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7299A (zh) * 2022-12-29 2023-04-25 西安奕斯伟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硅片的干燥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22Y1 (ko) 2003-11-28 2004-03-26 이은희 드라이어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908Y2 (ko) * 1975-03-11 1979-12-18
CA1292614C (en) * 1988-02-19 1991-12-03 Shivendra Varma Hair dryer
GB2445757B (en) * 2007-01-22 2009-07-22 Gary Richardson Paint drying apparatus
JP6411817B2 (ja) * 2014-08-27 2018-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布団乾燥機
US11457714B2 (en) * 2016-07-08 2022-10-04 T3 Micro, Inc. Hands-free hair dryer with user-selectable oscillation modes
CN211701307U (zh) * 2019-12-26 2020-10-16 得润汽车部件(重庆)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套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022Y1 (ko) 2003-11-28 2004-03-26 이은희 드라이어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9186A1 (en) 2022-10-26
CN115227019A (zh) 2022-10-25
US20220341663A1 (en) 2022-10-27
JP2022167751A (ja)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493B2 (en) Hair dryer and smoother
US84040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less cleaning of a chandelier
US5720108A (en) Portable dryer for boots and gloves
WO2014205923A1 (zh) 吹吸装置
JP3202002U (ja) 風力乾燥装置
KR20220145657A (ko) 다목적 드라이어
US62056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joint compound with a supported heated air source
KR20180127616A (ko) 탈부착이 가능한 탁상용 헤어드라이어
TWI691287B (zh) 適合作為附噴霧裝置的陽傘的傘
EP2503071B1 (en) Dryer component
KR200472115Y1 (ko) 제습겸용 헤어 드라이기
KR200190834Y1 (ko) 미용용 모발처리기
CN218245104U (zh) 一种一体式宠物毛发烘干吹拉设备
CN211355154U (zh) 一种干脚器
EP2805641B1 (en) Multifunctional hairdressing workstation
US6293030B1 (en) Hair drying apparatus
CN215936541U (zh) 干发设备和功能椅装置
CN104896629A (zh) 一种冷风扇
CN201550786U (zh) 电吹风用的防辐射延长装置
CN210493920U (zh) 一种利用吹风机实现烘手功能的感应放置架
JP2004249034A (ja) 吸引式ヘアドライヤー
KR100343304B1 (ko) 다기능 퍼머기
JP3063682U (ja) ペット用ドライヤ―
CN208012085U (zh) 一种双燃料供热设备
JP2006239131A (ja) 美容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