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24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240A
KR20220145240A KR1020210111965A KR20210111965A KR20220145240A KR 20220145240 A KR20220145240 A KR 20220145240A KR 1020210111965 A KR1020210111965 A KR 1020210111965A KR 20210111965 A KR20210111965 A KR 20210111965A KR 20220145240 A KR20220145240 A KR 2022014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le
drum
hous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준
이종민
김효준
안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58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881839A/zh
Priority to AU2022333935A priority patent/AU2022333935A1/en
Priority to PCT/KR2022/012530 priority patent/WO2023027458A1/ko
Publication of KR2022014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출원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는 지지바디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장착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입력축,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출력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기어유닛이 구비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건조하는 건조기,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실행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세탁기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드럼, 상기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세탁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건조기는 의류가 저장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건조 구동부), 및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터브를 관통하여 세탁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반면, 건조 구동부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 상기 풀리의 회전운동을 상기 건조드럼에 연결하는 벨트(동력전달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의류의 세탁이나 탈수를 위해서는, 세탁 구동부가 세탁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제어하거나 세탁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되면 세탁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쉽게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건조 구동부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가 건조드럼과 모터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건조기는 건조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나 건조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를 통해 건조드럼을 회전시켜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조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면, 건조드럼 내부에서 의류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건조기 역시 건조 시간의 단축 및 건조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종래 건조기 중에는 로터와 건조드럼을 감속기(동력전달부)로 연결한 건조 구동부가 구비된 것이 있다(공개번호 10-2020-0065931). 상기 건조 구동부는 로터에 연결된 입력축과 건조드럼에 연결된 출력축이 동축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건조 시간의 단축이나 건조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건조드럼과 감속기의 출력축을 조립하기 어렵고, 건조드럼과 출력축의 조립시 감속기나 건조드럼의 내구성이 저하(감속기에 구비된 볼트 손상, 출력축 손상, 건조드럼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건조기는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된 건조드럼의 진동이 감속기로 전달되고, 상기 감속기로 전달된 진동은 상기 감속기가 지지되는 지지체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가 지지되는 지지체의 강성은 상기 건조드럼의 회전 시 상기 건조드럼의 진동(감속기의 진동)을 감쇄하거나 억제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두꺼우면, 상기 건조드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는 있겠지만, 의류처리장치의 제작 비용과 무게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얇으면 상기 건조드럼의 진동을 설정된 범위 내로 제한하지 못해, 상기 지지체나 감속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본 출원은 동력전달부 및 드럼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동력전달부가 고정된 고정패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동력전달부와 드럼의 조립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는 지지바디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장착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입력축,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출력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기어유닛이 구비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고정패널에 대한 상기 지지바디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변위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제한부는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장착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고정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고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의 직경은 상기 장착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체결바디 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체결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축이 관통하는 출력축 관통홀; 상기 출력축 관통홀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에 삽입되는 출력축 지지부; 및 상기 출력축 지지부의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축 지지부가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는 제1고정바디 관통홀; 상기 제1고정바디 관통홀을 감싸도록 상기 제1고정바디에 구비된 지지부 제1하우징; 상기 고정패널 또는 상기 제1고정바디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를 관통하는 제2고정바디 관통홀; 및 상기 제2고정바디 관통홀을 감싸도록 상기 제2고정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제1하우징과 함께 상기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지지바디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디를 향해 돌출된 제1돌기;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디를 향해 돌출된 제2돌기; 상기 지지바디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홈; 및 상기 지지바디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180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홈은 상기 지지바디의 최상단에서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지지바디의 최하단에서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후방커버 관통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폐쇄하는 축 체결부; 상기 축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부 관통홀; 및 상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출력축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출력축을 상기 축 체결부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의 직경은 상기 제1체결바디에서 상기 제2체결바디를 향할수록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폐쇄하며, 상기 축 체결부가 상기 드럼 내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체결부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관통홀; 상기 출력축에 구비된 체결홈; 및 상기 커버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부 커버를 상기 출력축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동력전달부 및 드럼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동력전달부가 고정된 고정패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동력전달부와 드럼의 조립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캐비닛의 구조 및 지지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드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건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고정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드럼, 고정패널, 및 동력전달부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드럼과 출력축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으로 고온의 건조공기(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및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7)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외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4)는 의류가 드럼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리프터(24)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드럼(2)은 바디 제1지지부(12)와 바디 제2지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후방커버(23)는 후술할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패널(11)의 후방면(지지패널을 향하는 면)은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지지패널 관통홀(122),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123),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투입구(111)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1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은 상기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 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형성하는 전방커버(22)의 자유단(드럼 투입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이 상기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전방패널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타단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 지지패널 관통홀(122), 드럼 연결바디(123), 및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26)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126)에는 필터(127)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7)는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구(126)로 이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의 처짐을 방지하는 드럼 지지부(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부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드럼 지지부(128)가 상기 전방 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드럼 지지부(128)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고정패널(15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후방면(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장착홈(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드럼의 후방커버(2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축(출력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153)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이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후방커버(23)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 바디(21)의 개방된 전방면과 후방면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높아진다. 드럼의 강성이 높아지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바디(2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는 드럼 바디(21)의 변형 시 드럼 바디와 지지패널 사이의 공간, 드럼 바디와 고정패널 사이의 공간에 의류가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배기유로(31), 상기 배기유로(3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안내하는 공급유로(32), 및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제1덕트(311), 상기 공급유로(32)에 연결된 제2덕트(312), 상기 제1덕트(311)와 제2덕트(312)를 연결하는 제3덕트(3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13)는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열교환부(34)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341),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343), 및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공급덕트(32)로 이동하게 하는 팬(349)을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341)와 상기 발열부(343)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345)에 의해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348)에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47)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33)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유로(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21), 상기 공급덕트(3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323) 및 제2유로형성부(32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유로(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덕트(312)의 배출구는 상기 공급덕트(321)의 원주면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ring)의 외측 원주면(링의 두 원주면 중 긴 지름을 가진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의 내측 원주면(링의 두 원주면 중 짧은 지름을 가진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급덕트(321)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5는 상기 유로형성부들(323, 324)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경우,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링 형상의 유로)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고무나 펠트(fel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에 위치하여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의 회전운동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드럼(2)으로 전달되며,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되면, 상기 동력전달부(6)에 구비된 입력축(64)과 출력축(65)의 동축도(coaxiality) 유지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드럼의 회전 시 의류처리장치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하고, 동력전달부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512)에 위치된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외부 환경에 모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 향상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패널(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 패널(19)은 상기 공급덕트(321)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형상(공급덕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의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공급덕트(321)에 신체가 접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테이터(51)는 중심에 관통홀(코어 관통홀)이 구비된 링 형상의 코어(511), 상기 코어(511)의 외측 원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바(513), 상기 코어 및 지지바를 절연하는 인슐레이터(512), 및 상기 지지바(513)를 감싸도록 구비된 코일(514)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는 디스크 형상의 로터 바디(521), 상기 로터 바디(52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고정패널(515)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5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로터 원주면(522), 및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로터 원주면(522)에 고정된 다수의 영구자석(5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로터(52)와 드럼의 후방커버(23)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6)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하우징(H), 상기 하우징(H)의 바닥면(로터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입력축(64), 상기 하우징(H)의 상부면(고정패널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출력축(65),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축(64)의 회전운동을 상기 출력축(65)으로 전달하는 기어유닛(G)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입력축(64)은 일단은 상기 로터(5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65)은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된 입력축(64)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출력축(65)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H)은 상기 드럼(2)이 위치된 공간(캐비닛 내부 공간)과 분리된 공간(캐비닛 외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내부의 열(드럼이나 건조부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하우징(H)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6)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입력축(64)은 축 고정부(54)를 통해 상기 로터 바디(5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 고정부(54)에는 상기 입력축(64)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 고정홀(5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커버(23)에 연결되는데,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출력축(65)이 고정되는 축 체결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함이다. 상기 축 체결부(25)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하우징(H)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바디(151)를 향하는 면에 개방홀이 구비된 하우징 바디(62), 및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홀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62)는 상기 기어유닛(G)이 장착되는 수용공간(621)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621)은 상기 입력축(64)이 고정되는 하우징 베이스(62a),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62a)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63)를 향해 연장되는 하우징 원주면(62b)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62a)에서 상기 로터(52)를 향해 연장되는 입력축 지지부(625)가 구비되는데,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는 상기 하우징 바디(62)를 관통하는 입력축 관통홀(626)을 감싸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 관통홀(626)에 삽입된 상기 입력축(64)은 입력축 베어링(628, 629)을 통해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입력축 베어링)은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에 고정된 입력축 제1베어링(628), 및 상기 입력축 관통홀(626)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입력축 제1베어링(628)과 상기 로터(52) 사이에 위치하는 입력축 제2베어링(62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구비된 개방홀을 개폐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7은 상기 하우징 커버(63)가 디스크 형상의 커버 바디(63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구비된 커버 고정판(623)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커버 바디(6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출력축 관통홀(632), 상기 커버 바디(631)에서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출력축 관통홀(632)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의 출력축 지지부(6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 지지부(635)에는 상기 출력축(65)을 상기 출력축 관통홀(6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출력축 베어링(638, 63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 베어링은 상기 출력축 지지부(635)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축 관통홀(631) 내부에 위치하는 출력축 제1베어링(638) 및 출력축 제2베어링(639)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1)에 위치하는 링 기어(66), 상기 입력축(64)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1)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69),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출력축(65)의 타단이 고정된 케이지(67), 상기 케이지(6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주동기어(69)와 상기 링 기어(66)를 연결하는 종동기어(6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 기어(66, ring gear)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고정되는 기어 바디(661), 상기 기어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기어 바디 관통홀(663), 및 상기 기어 바디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기어 이(665, gear teeth)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67)는 상기 기어 바디 관통홀(663)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출력축(65)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베이스(671), 상기 기어 바디 관통홀(663)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베이스 관통홀(673)이 구비된 제2베이스(672), 및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를 연결하며 상기 종동기어(68)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연결축(6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제1베이스(671)에 고정되므로,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여부는 상기 케이지(67)의 회전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종동기어(68)는 상기 연결축(67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다수의 기어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종동기어가 제1종동기어(681), 제2종동기어(682), 및 제3종동기어(68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입력축(64)은 상기 베이스 관통홀(673)에 삽입되어 상기 출력축(65)과 동축을 형성하며, 상기 주동기어(69)에 구비된 기어 이는 상기 종동기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종동기어들(682, 682, 683)의 기어 이에 맞물린다.
상술한 동력전달부(6)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로터(52)의 회전 시 입력축(64)이 회전한다. 상기 입력축(64)에 의해 주동기어(69)가 회전하면, 상기 주동기어(69)에 맞물린 종동기어들(681, 682, 683)도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들(681, 682, 683)은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된 상기 링 기어(66)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종동기어(68)의 회전 시 상기 케이지(67) 및 출력축(65)이 회전하며, 상기 출력축(65)에 고정된 상기 드럼(2)도 회전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동력전달부(6)는 하우징 장착부(7)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장착부(7)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지지부(74)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지지부(74)가 제1고정바디(71) 및 제2고정바디(72)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바디(71)와 제2고정바디(72)는 상기 지지부(74)가 수용되는 장착공간(73)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고정바디(71)와 상기 제2고정바디(72) 각각은 서로 분리되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고정바디(7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바디(72)는 상기 제1고정바디(7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71)에는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연통하는 제1고정바디 관통홀(711), 및 상기 제1고정바디 관통홀(711)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73)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부 제1하우징(712)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바디(72)에는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연통(제1고정바디 관통홀에 연통)하는 제2고정바디 관통홀(721), 및 상기 제2고정바디 관통홀(721)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73)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부 제2하우징(72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공간(73)은 상기 지지부 제1하우징(712)과 지지부 제2하우징(722)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74)는 상기 장착공간(73) 내부에 위치하는 대략 구 형상의 지지바디(741), 상기 지지바디(7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바디 관통홀(742)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장착공간(73)에 결합된 상기 지지바디(741)는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디(741)가 상기 장착공간(73)에 고정되면,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742)은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742)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출력축 지지부(635)가 삽입되며, 상기 출력축 지지부(635)는 지지바디 고정부(743)을 통해 상기 지지바디(741)에 고정된다. 상기 출력축 지지부(634)의 원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디 고정부(743)은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장착부(7)에는 상기 지지바디(741)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75)는 상기 지지바디(741)가 상기 고정패널(15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75)는 상기 고정패널(151)에서 상기 지지패널(121)을 향해 연장되는 평면 중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H, 제2고정바디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 제1고정바디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이 포함된 평면(Z-Y 평면) 내에서 상기 지지바디(741)가 회전하게 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75)는 상기 지지바디(741)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평행한 평면(X-Z 평면) 내에서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75)는 상기 장착공간(73)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디(741)를 향해 돌출된 제1돌기(751),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디(741)를 향해 돌출된 제2돌기(752), 상기 지지바디(741)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돌기(751)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홈(753), 및 상기 지지바디(741)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돌기(752)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홈(75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751)와 상기 제2돌기(752)는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742)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돌기(751)는 상기 지지바디(741)의 최상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752)는 상기 지지바디(741)의 최하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751)는 상기 지지부 제1하우징(712)와 지지부 제2하우징(7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752)는 상기 지지부 제1하우징(712)와 지지부 제2하우징(7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상기 지지바디(741)가 구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지지바디가 상술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상기 지지바디(74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의 후방커버(23)는 상기 출력축(65)에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드럼 지지부(128)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드럼(2)의 회전 시 상기 드럼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지만, 상기 출력축(65)이 고정된 동력전달부(6)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7)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고정패널(151)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고정패널(151)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지지바디(74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변위제한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제한부(8)에 의해 상기 지지바디(74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면, 상기 드럼의 전방면(전방커버, 22)의 처짐(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고 드럼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직선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변위제한부(8)는 상기 고정패널(151)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는 체결바디(8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81)의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고정패널(151)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H)에는 상기 체결바디(81)의 타단에 결합하는 커넥터(6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81)의 일단에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고정패널(15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바디(81)가 상기 고정패널(15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82)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커넥터(637)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체결바디(8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1은 상기 인슐레이터(512)와 상기 체결바디(81)를 연결하는 볼트가 상기 스테이터(51)를 상기 체결바디(81)에 고정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1)는 장착홀(84)을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을 관통한다. 상기 체결바디(81)가 고정패널(151)만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장착홀(84)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된 제1장착홀(841)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바디(81)가 상기 제1고정바디(71) 및 고정패널(15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장착홀(84)은 상기 고정패널에 구비된 제1장착홀(841) 및 상기 제1고정바디(71)를 관통하는 제2장착홀(842)로 구비될 것이다.
도 11은 상기 체결바디(81)가 체결바디 브라켓(87), 상기 제1고정바디(71), 및 상기 고정패널(151)을 모두 관통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장착홀(84)은 상기 고정패널에 구비된 제1장착홀(841), 상기 제1고정바디(71)를 관통하는 제2장착홀(842), 및 상기 체결바디 브라켓(87)을 관통하는 제3장착홀(843)이 된다. 상기 하우징(H)이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체결바디가 장착홀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체결바디(81)의 직경은 상기 장착홀(84)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바디 브라켓(87)은 상기 체결바디(81)에 의해 상기 고정패널(151)이 손상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 브라켓(87)은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바디(7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 브라켓(87)에는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73)을 외부에 노출하는 브라켓 관통홀(871)이 구비된다.
상기 제3장착홀(843)은 상기 브라켓 관통홀(871)을 감싸도록 배치된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바디 브라켓(87)에는 상기 제3장착홀(843)에서 상기 제1고정바디(71)를 향해 연장되는 체결바디 가이드(8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 가이드(872)는 상기 제2장착홀(842) 및 제1장착홀(841)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바디(8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H)이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체결바디가 체결바디 가이드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체결바디(81)의 직경은 상기 체결바디 가이드(872)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바디(741)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H)이 회전(Y-Z 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상기 하우징(H)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드럼의 전방커버(22)의 변위 제한하며, 상기 하우징(H)이 상기 고정패널(15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변위제한부(8)에는 댐퍼(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85)는 상기 체결바디(8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패널(151)과 상기 커넥터(637) 사이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동력전달부(6)의 하우징(H)이 지지바디(74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2)이 Y-Z 평면 내에서 진동하더라도 상기 동력전달부(6)에 구비된 출력축(65), 출력축 베어링(638, 639), 케이지(67), 및 기어유닛(G)에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O)는 상기 상기 하우징(H)이 지지바디(74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고정패널(151)에 전달되는 것도 최소화 가능하다(고정패널의 내구성 향상).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후방커버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출력축(65)은 축 체결부(25)를 통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연결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23)에는 후방커버 관통홀(231)이 구비되고, 상기 축 체결부(25)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체결부(25)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는 제1체결바디(251), 상기 제1체결바디(251)에서 연장되며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 삽입되는 연결바디(255), 및 상기 연결바디(255)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 내부에 위치하는 제2체결바디(2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바디(252)에는 상기 출력축(65)이 삽입되는 체결부 관통홀(253)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지(67)에 고정되는 체결축(651), 및 상기 체결축(651)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 관통홀(253)에 삽입되는 고정축(652)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축(652)의 원주면에는 나사산(653)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나사산(653)에 결합하는 너트(256)를 통해 상기 축 체결부(2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2)과 출력축(65)의 조립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상기 동력전달부(6)가 장착된 상기 고정패널(151)을 고정하는 과정, 상기 출력축(65)을 상기 체결부 관통홀(253)에 삽입하는 과정, 상기 지지패널(121)을 베이스패널(17)에 고정하여 상기 전방커버(2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과정, 및 상기 너트(256)를 통해 상기 출력축(65)과 축 체결부(25)를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상기 지지패널(121)을 베이스패널(17)에 고정하기 전,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체결부 관통홀(25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전방커버는 상기 드럼 지지부(128)에 지지되지 못한다. 그러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체결부 관통홀(253) 및 상기 지지바디(741) 때문에, 상기 전방커버(22)가 상기 배기유로(31)의 상부면이나 베이스(17) 등에 일시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축 체결부(25)와 상기 출력축(65)의 결합 시 상기 동력전달부(6)의 내구성이 저하될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바디(255)의 직경은 상기 제1체결바디(251)에서 제2체결바디(252)를 향할수록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255)의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면, 상기 고정축(652)은 상기 연결바디(255)의 표면을 따라 상기 체결부 관통홀(253)로 안내될 것이므로, 상기 고정축(652)을 상기 체결부 관통홀(253)에 삽입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축 체결부(25)가 드럼(2) 내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 역시 체결부 커버(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커버(27)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고 상기 축 체결부(25)의 노출을 방지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커버(27)는 커버 관통홀(271)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축(652)의 체결홈(654)에 고정되는 볼트(273)에 의해 상기 출력축(65)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11: 투입구 113: 도어 115: 컨트롤패널
12: 바디 제1지지부 121: 지지패널 122: 지지패널 관통홀
123: 드럼 연결바디 125: 패널 연결바디 15: 바디 제2지지부
151: 고정패널 152: 구동부 장착홈 153: 고정패널 관통홀
17: 베이스패널 19: 커버 패널 2: 드럼
21: 드럼 바디 22: 전방커버 221: 드럼 투입구
23: 후방커버 231: 후방커버 관통홀 233: 공기 유입구
25: 축 체결부 251: 제1체결바디 252: 제2체결바디
253: 체결부 관통홀 255: 연결바디 256: 너트
27: 체결부 커버 271: 커버 관통홀 273: 볼트
3: 건조부 5: 모터 6: 동력전달부
62: 하우징 바디 62a: 하우징 베이스 62b: 하우징 원주면
621: 수용공간 623: 커버 고정판 625: 입력축 지지부
626: 입력축 관통홀 63: 하우징 커버 631: 커버 바디
632: 출력축 관통홀 635: 출력축 지지부 637: 커넥터
64: 입력축 65: 출력축 651: 체결축
652: 고정축 653: 나사산 654: 체결홈
66: 링 기어 67: 케이지 68: 종동기어
69: 주동기어 7: 하우징 장착부 71: 제1고정바디
711: 제1고정바디 관통홀 712: 지지부 제1하우징 72: 제2고정바디
721: 제2고정바디 관통홀 722: 지지부 제2하우징 73: 장착공간
74: 지지부 741: 지지바디 742: 지지바디 관통홀
743: 지지바디 고정부 75: 가이드 8: 변위제한부
81: 체결바디 82: 헤드 84: 장착홀
85: 댐퍼 87: 체결바디 브라켓 871: 브라켓 관통홀
872: 체결바디 가이드

Claims (15)

  1.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 상기 드럼 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 및 상기 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된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는 지지바디 관통홀이 구비된 하우징 장착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일단은 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입력축,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출력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기어유닛이 구비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에 대한 상기 지지바디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변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제한부는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장착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고정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고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바디의 직경은 상기 장착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체결바디 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축이 관통하는 출력축 관통홀;
    상기 출력축 관통홀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에 삽입되는 출력축 지지부; 및
    상기 출력축 지지부의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축 지지부가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는 제1고정바디 관통홀;
    상기 제1고정바디 관통홀을 감싸도록 상기 제1고정바디에 구비된 지지부 제1하우징;
    상기 고정패널 또는 상기 제1고정바디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를 관통하는 제2고정바디 관통홀; 및
    상기 제2고정바디 관통홀을 감싸도록 상기 제2고정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제1하우징과 함께 상기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디를 향해 돌출된 제1돌기;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디를 향해 돌출된 제2돌기;
    상기 지지바디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홈; 및
    상기 지지바디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180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상기 지지바디의 최상단에서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지지바디의 최하단에서 상기 지지바디 관통홀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후방커버 관통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폐쇄하는 축 체결부;
    상기 축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부 관통홀; 및
    상기 체결부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출력축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출력축을 상기 축 체결부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의 직경은 상기 제1체결바디에서 상기 제2체결바디를 향할수록 감소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폐쇄하며, 상기 축 체결부가 상기 드럼 내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관통홀;
    상기 출력축에 구비된 체결홈; 및
    상기 커버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부 커버를 상기 출력축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11965A 2021-04-21 2021-08-24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58069.2A CN117881839A (zh) 2021-04-21 2022-08-22 衣物处理装置
AU2022333935A AU2022333935A1 (en) 2021-04-21 2022-08-22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PCT/KR2022/012530 WO2023027458A1 (ko) 2021-04-21 2022-08-22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1962 2021-04-21
KR1020210051962 2021-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240A true KR20220145240A (ko) 2022-10-28

Family

ID=838352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68A KR20220145243A (ko) 2021-04-21 2021-08-24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11967A KR20220145242A (ko) 2021-04-21 2021-08-24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11965A KR20220145240A (ko) 2021-04-21 2021-08-2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68A KR20220145243A (ko) 2021-04-21 2021-08-24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11967A KR20220145242A (ko) 2021-04-21 2021-08-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3) KR20220145243A (ko)
CN (3) CN117836480A (ko)
AU (3) AU2022332312A1 (ko)
WO (3) WO20230274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669B1 (ko) * 2003-11-28 200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4413656B2 (ja) * 2004-03-10 2010-02-10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KR101014726B1 (ko) * 2004-06-21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를 구비한 경사형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0634802B1 (ko) *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5033089B2 (ja) * 2008-09-05 2012-09-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5537374B2 (ja) * 2010-09-30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乾燥処理装置及び除去装置
KR101955983B1 (ko) * 2017-02-24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방향 공극형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2640859B1 (ko) * 2018-11-09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어링 조립체 및 이를 갖춘 의류 건조기
KR20200065932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200066169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200065931A (ko) 2018-11-30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ES2878301T3 (es) * 2018-12-05 2021-11-18 Askoll Holding S R L A Socio Unico Conjunto de motor mejorado para máquina secadora de ropa y máquina secadora de ropa que comprende dicho conjun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242A (ko) 2022-10-28
KR20220145243A (ko) 2022-10-28
CN117836480A (zh) 2024-04-05
WO2023027458A1 (ko) 2023-03-02
WO2023027455A1 (ko) 2023-03-02
AU2022332312A1 (en) 2024-04-04
WO2023027450A1 (ko) 2023-03-02
AU2022333935A1 (en) 2024-04-04
CN117858989A (zh) 2024-04-09
CN117881839A (zh) 2024-04-12
AU2022332311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52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06A (ko) 의류처리장치
EP396462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86687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63841A (ko) 의류처리장치
US11920287B2 (en) Clothes dryer configured for motor cooling
KR20230063467A (ko) 의류처리장치
EP403987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549208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2022011415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5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40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30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40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331A (ko) 건조기
KR2023001440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82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29A (ko) 건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