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697A -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697A
KR20220144697A KR1020210051350A KR20210051350A KR20220144697A KR 20220144697 A KR20220144697 A KR 20220144697A KR 1020210051350 A KR1020210051350 A KR 1020210051350A KR 20210051350 A KR20210051350 A KR 20210051350A KR 20220144697 A KR20220144697 A KR 20220144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layer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희
마상복
가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1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697A/ko
Priority to US17/482,684 priority patent/US12009519B2/en
Publication of KR2022014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Phosphates containing plural metal, or metal and ammo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peak-intensities or a ratio thereof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화학식 1>
Lix(Co1-yMy)z(P2O7)4
상기 화학식 1에서, 5≤x≤7, 0.01≤y≤0.1, 및 4≤z≤6 이며,
M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 및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 또는 그 조합이다.

Description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Cathode active material, preparing method thereof, an Cathode includ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관한 것이다.
리튬이차전지는 가연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액를 포함하므로, 단락이 발생한 경우 과열 및 화재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전해액 대신에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전고체 전지가 제안되고 있다.
전고체 전지는 가연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단락이 발생해도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고체 전지는 전해액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비해 크게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전고체 전지는 액체 전해질의 전압 한계를 넘어 충전이 가능하므로 고전압 양극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전지 에너지 밀도의 증가가 가능하다.
음극 소재로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는 탄소계 음극 소재를 포함하는 전지에 비하여 전지의 구동 전압이 낮아지므로 고전압 양극 소재가 요구된다.
종래의 올리빈 구조를 가지는 포스페이트 양극 소재는 전압이 약 4.8 V로서 낮으며 전자 전도도도 낮다.
한 측면은 고전압을 제공하며 고율 특성이 우수한 신규한 양극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은 상술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상술한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측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이 제공된다.
<화학식 1>
Lix(Co1-yMy)z(P2O7)4
상기 화학식 1에서, 5≤x≤7, 0.01≤y≤0.1, 및 4≤z≤6 이며,
M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 및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 또는 그 조합이다.
다른 측면에 따라
상술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이 상술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코발트 전구체, 리튬 전구체, 인 전구체 및 M 전구체를 혼합하여 전구체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1>
Lix(Co1-yMy)z(P2O7)4
상기 화학식 1에서, 5≤x≤7, 0.01≤y≤0.1, 및 4≤z≤6 이며,
M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 및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 또는 그 조합이다.
한 측면에 따라, 고전압을 제공하며 고율 특성이 우수한 양극활물질이 제공된다.
이러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채용함에 의하여, 향상된 고율 특성과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제조예 1의 양극활물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제조예 1의 양극활물질 조성에 대한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는 제조예 2의 양극활물질 조성에 대한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제조예 3의 양극활물질 조성에 대한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d는 제조예 4의 양극활물질 조성에 대한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e는 비교제조예 1의 양극활물질 조성에 대한 DFT(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리튬전지의 고율 특성 평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1의 리튬전지의 고율 특성 평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실시예 9 내지 12, 및 비교예 1의 리튬전지의 고율 특성 평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일구현예에 따른 적층 세라믹형 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일구현예에 따른 전고체 이차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창의적 사상(present inventive concept)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창의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창의적 사상의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창의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성분, 재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나타내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성분, 재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는 상황에 따라 "및"으로 해석될 수도 있고 "또는"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극, 이차전지 및 물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이 제공된다.
<화학식 1>
Lix(Co1-yMy)z(P2O7)4
상기 화학식 1에서, 5≤x≤7, 0.01≤y≤0.1, 및 4≤z≤6 이며,
M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 및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 또는 그 조합이다.
x는 예를 들어 5.5 내지 6.5, 또는 5.8 내지 6.2이다. y는 예를 들어 0.01 내지 0.09, 0.01 내지 0.08, 0.01 내지 0.05이다. z는 예를 들어 4.5 내지 5.5 또는 4.9 내지 5.1 이다.
Li6Co5(P2O7)4 등의 피로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5 V 이상의 고전압 및 150 mAh/g 이상의 방전 용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리튬 이온의 전도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이 낮은 전자 전도도를 가짐에 의하여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전지의 충방전 특성이 부진하다. 이에 반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은 Co의 일부가 4d 금속 또는 5d 금속으로 도핑됨에 의하여 증가된 전자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전지의 고율 특성이 향상된다. 4d 금속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이다. 5d 금속은 원소주기율표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이다. 4d 금속 및 5d 금속은 4d 오비탈 및 5d 오비탈에 배치된 전자를 포함하는 금속이다. 예를 들어, Co의 일부가 4d 금속 또는 5d 금속으로 치환되는 경우에 안정한 상(pahse)을 유지하며 밴드 갭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Co의 일부가 4d 금속 또는 5d 금속으로 치환된 피로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감소된 밴드 갭에 의하여 증가된 전자 전도도를 가진다. 한편, Co의 일부가 3d 금속으로 치환되는 경우에는 안정한 피로포스페이트 상을 얻기 어렵다. 3d 금속은 원소주기율표 4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이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은 고전압을 제공한다. 따라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전지는 고율 특성 외에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다.
화학식 1에서 M은 M은 Y, La, Zr, Hf, Nb, Ta, Mo, W, Tc, Re, Ru, Os, Co, Rh, Ir, Pd, Pt, Ag, Au, 또는 그 조합이며, 예를 들어 M은 Nb, Mo, Ta, W 또는 그 조합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2a 내지 2r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화학식 2a>
Lix(Co1-yNby)z(P2O7)4
상기 화학식 2a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b>
Lix(Co1-yMoy)z(P2O7)4
상기 화학식 2b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c>
Lix(Co1-yTay)z(P2O7)4
상기 화학식 2c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d>
Lix(Co1-yWy)z(P2O7)4
상기 화학식 2d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e>
Lix(Co1-yYy)z(P2O7)4
상기 화학식 2e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f>
Lix(Co1-yLay)z(P2O7)4
상기 화학식 2f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g>
Lix(Co1-yZry)z(P2O7)4
상기 화학식 2g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h>
Lix(Co1-yHfy)z(P2O7)4
상기 화학식 2h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i>
Lix(Co1-yTcy)z(P2O7)4
상기 화학식 2i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j>
Lix(Co1-yRey)z(P2O7)4
상기 화학식 2j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k>
Lix(Co1-yRuy)z(P2O7)4
상기 화학식 2k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l>
Lix(Co1-yOsy)z(P2O7)4
상기 화학식 2l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m>
Lix(Co1-yRhy)z(P2O7)4
상기 화학식 2m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n>
Lix(Co1-yIry)z(P2O7)4
상기 화학식 2n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o>
Lix(Co1-yPdy)z(P2O7)4
상기 화학식 2o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p>
Lix(Co1-yPty)z(P2O7)4
상기 화학식 2p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q>
Lix(Co1-yAgy)z(P2O7)4
상기 화학식 2q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r>
Lix(Co1-yAuy)z(P2O7)4
상기 화학식 2r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들로 표시된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Li6(Co0.99Nb0.01)5(P2O7)4, Li6(Co0.98Nb0.02)5(P2O7)4, Li6(Co0.97Nb0.03)5(P2O7)4, Li6(Co0.96Nb0.04)5(P2O7)4, Li6(Co0.95Nb0.05)5(P2O7)4, Li6(Co0.93Nb0.07)5(P2O7)4, Li6(Co0.90Nb0.10)5(P2O7)4,
Li6(Co0.99Mo0.01)5(P2O7)4, Li6(Co0.98Mo0.02)5(P2O7)4, Li6(Co0.97Mo0.03)5(P2O7)4, Li6(Co0.96Mo0.04)5(P2O7)4, Li6(Co0.95Mo0.05)5(P2O7)4, Li6(Co0.93Mo0.07)5(P2O7)4, Li6(Co0.90Mo0.10)5(P2O7)4,
Li6(Co0.99Ta0.01)5(P2O7)4, Li6(Co0.98Ta0.02)5(P2O7)4, Li6(Co0.97Ta0.03)5(P2O7)4, Li6(Co0.96Ta0.04)5(P2O7)4, Li6(Co0.95Ta0.05)5(P2O7)4, Li6(Co0.93Ta0.07)5(P2O7)4, Li6(Co0.90Ta0.10)5(P2O7)4,
Li6(Co0.99W0.01)5(P2O7)4, Li6(Co0.98W0.02)5(P2O7)4, Li6(Co0.97W0.03)5(P2O7)4, Li6(Co0.96W0.04)5(P2O7)4, Li6(Co0.95W0.05)5(P2O7)4, Li6(Co0.93W0.07)5(P2O7)4, Li6(Co0.90W0.10)5(P2O7)4,
Li6(Co0.99Y0.01)5(P2O7)4, Li6(Co0.98Y0.02)5(P2O7)4, Li6(Co0.97Y0.03)5(P2O7)4, Li6(Co0.96Y0.04)5(P2O7)4, Li6(Co0.95Y0.05)5(P2O7)4, Li6(Co0.93Y0.07)5(P2O7)4, Li6(Co0.90Y0.10)5(P2O7)4,
Li6(Co0.99La0.01)5(P2O7)4, Li6(Co0.98La0.02)5(P2O7)4, Li6(Co0.97La0.03)5(P2O7)4, Li6(Co0.96La0.04)5(P2O7)4, Li6(Co0.95La0.05)5(P2O7)4, Li6(Co0.93La0.07)5(P2O7)4, Li6(Co0.90La0.10)5(P2O7)4,
Li6(Co0.99Zr0.01)5(P2O7)4, Li6(Co0.98Zr0.02)5(P2O7)4, Li6(Co0.97Zr0.03)5(P2O7)4, Li6(Co0.96Zr0.04)5(P2O7)4, Li6(Co0.95Zr0.05)5(P2O7)4, Li6(Co0.93Zr0.07)5(P2O7)4, Li6(Co0.90Zr0.10)5(P2O7)4,
Li6(Co0.99Hf0.01)5(P2O7)4, Li6(Co0.98Hf0.02)5(P2O7)4, Li6(Co0.97Hf0.03)5(P2O7)4, Li6(Co0.96Hf0.04)5(P2O7)4, Li6(Co0.95Hf0.05)5(P2O7)4, Li6(Co0.93Hf0.07)5(P2O7)4, Li6(Co0.90Hf0.10)5(P2O7)4,
Li6(Co0.99Tc0.01)5(P2O7)4, Li6(Co0.98Tc0.02)5(P2O7)4, Li6(Co0.97Tc0.03)5(P2O7)4, Li6(Co0.96Tc0.04)5(P2O7)4, Li6(Co0.95Tc0.05)5(P2O7)4, Li6(Co0.93Tc0.07)5(P2O7)4, Li6(Co0.90Tc0.10)5(P2O7)4,
Li6(Co0.99Re0.01)5(P2O7)4, Li6(Co0.98Re0.02)5(P2O7)4, Li6(Co0.97Re0.03)5(P2O7)4, Li6(Co0.96Re0.04)5(P2O7)4, Li6(Co0.95Re0.05)5(P2O7)4, Li6(Co0.93Re0.07)5(P2O7)4, Li6(Co0.90Re0.10)5(P2O7)4,
Li6(Co0.99Ru0.01)5(P2O7)4, Li6(Co0.98Ru0.02)5(P2O7)4, Li6(Co0.97Ru0.03)5(P2O7)4, Li6(Co0.96Ru0.04)5(P2O7)4, Li6(Co0.95Ru0.05)5(P2O7)4, Li6(Co0.93Ru0.07)5(P2O7)4, Li6(Co0.90Ru0.10)5(P2O7)4,
Li6(Co0.99Os0.01)5(P2O7)4, Li6(Co0.98Os0.02)5(P2O7)4, Li6(Co0.97Os0.03)5(P2O7)4, Li6(Co0.96Os0.04)5(P2O7)4, Li6(Co0.95Os0.05)5(P2O7)4, Li6(Co0.93Os0.07)5(P2O7)4, Li6(Co0.90Os0.10)5(P2O7)4,
Li6(Co0.99Rh0.01)5(P2O7)4, Li6(Co0.98Rh0.02)5(P2O7)4, Li6(Co0.97Rh0.03)5(P2O7)4, Li6(Co0.96Rh0.04)5(P2O7)4, Li6(Co0.95Rh0.05)5(P2O7)4, Li6(Co0.93Rh0.07)5(P2O7)4, Li6(Co0.90Rh0.10)5(P2O7)4,
Li6(Co0.99Ir0.01)5(P2O7)4, Li6(Co0.98Ir0.02)5(P2O7)4, Li6(Co0.97Ir0.03)5(P2O7)4, Li6(Co0.96Ir0.04)5(P2O7)4, Li6(Co0.95Ir0.05)5(P2O7)4, Li6(Co0.93Ir0.07)5(P2O7)4, Li6(Co0.90Ir0.10)5(P2O7)4,
Li6(Co0.99Pd0.01)5(P2O7)4, Li6(Co0.98Pd0.02)5(P2O7)4, Li6(Co0.97Pd0.03)5(P2O7)4, Li6(Co0.96Pd0.04)5(P2O7)4, Li6(Co0.95Pd0.05)5(P2O7)4, Li6(Co0.93Pd0.07)5(P2O7)4, Li6(Co0.90Pd0.10)5(P2O7)4,
Li6(Co0.99Pt0.01)5(P2O7)4, Li6(Co0.98Pt0.02)5(P2O7)4, Li6(Co0.97Pt0.03)5(P2O7)4, Li6(Co0.96Pt0.04)5(P2O7)4, Li6(Co0.95Pt0.05)5(P2O7)4, Li6(Co0.93Pt0.07)5(P2O7)4, Li6(Co0.90Pt0.10)5(P2O7)4,
Li6(Co0.99Ag0.01)5(P2O7)4, Li6(Co0.98Ag0.02)5(P2O7)4, Li6(Co0.97Ag0.03)5(P2O7)4, Li6(Co0.96Ag0.04)5(P2O7)4, Li6(Co0.95Ag0.05)5(P2O7)4, Li6(Co0.93Ag0.07)5(P2O7)4, Li6(Co0.90Ag0.10)5(P2O7)4,
Li6(Co0.99Au0.01)5(P2O7)4, Li6(Co0.98Au0.02)5(P2O7)4, Li6(Co0.97Au0.03)5(P2O7)4, Li6(Co0.96Au0.04)5(P2O7)4, Li6(Co0.95Au0.05)5(P2O7)4, Li6(Co0.93Au0.07)5(P2O7)4, Li6(Co0.90Au0.10)5(P2O7)4.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Li6M5(P2O7)4형 양극활물질로서 결정 구조가 삼사정계 결정계(triclinic crystal system)에 속하고, P-1 공간군에 속한다. Li6M5(P2O7)4에서 M이 Co를 포함하며, Co의 일부가 4d 금속 또는 5d 금속으로 치환되나, 결정계 및 공간군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4d 금속 또는 5d 금속으로 도핑됨에 의하여 밴드 갭(band gap)이 감소한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밴드 갭(band gap)은 예를 들어 0.1 내지 2.0 eV, 0.1 내지 1.5 eV, 또는 0.1 내지 1.0 eV 이다. 밴드 갭은 예를 들어 계산 또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밴드 갭은 예를 들어 범밀도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밴드 갭은 예를 들어 광학 엘립소메트리 스펙트럼, UV-VIS 스펙트럼 등의 광학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밴드 갭은 예를 들어 J. Phys. Chem. Lett. 2018, 9, 23, 6814-6817에 개시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평균 방전 전압은 예를 들어, 4V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평균 방전 전압은 예를 들어, 4V 내지 6V, 4V 내지 5.5V, 4V 내지 5V, 또는 4V 내지 4.5V 일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이러한 범위의 높은 평균 방전 전압을 가짐에 의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평균 방전 전압은 예를 들어 방전 전압과 비용량에 대한 방전 프로파일 그래프에서 프로파일의 면적을 적분한 값을 방전 용량으로 나누어 구해지는 전압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의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분석으로 구해지는 회절각 2θ가 28.0°±1.0°인 영역에 주피크(main peak)가 나타난다. 그리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의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분석으로 구해지는 회절각 2θ가 33.5°±1.0°인 영역에 부피크(minor peak)가 나타난다. 그리고,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한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분석으로 구해지는 주피크(main peak)의 세기(P1)와 부피크(minor peak)의 세기(P2)의 비(P2/P1)가 0.4 이하, 0.1 내지 0.4, 0.1 내지 0.3 또는 0.1 내지 0.3이다.
본 명세서에서 "주피크"는 최대세기를 갖는 피크를 나타내고 "부피크"는 주피크보다 세기가 작은 피크로서 두번째 세기를 갖는 피크를 나타낸다.
다른 일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이 제공된다.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된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한다. 양극활물질층은 상술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한다. 양극 제조 방법에 따라 양극 집전체는 생략 가능하다.
양극활물질층이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함량은 예를 들어 양극활물질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100wt%, 또는 50 내지 100wt%이다.
양극활물질층은 도전재 및 바인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양극활물질층이 포함하는 도전재의 함량은 양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의 0 내지 40wt%, 0 내지 30wt%, 0 내지 20wt%, 또는 0 내지 10wt% 일 수 있다.
양극활물질층이 포함하는 바인더의 함량은 양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의 0 내지 30wt%, 0 내지 20wt%, 또는 0 내지 10wt% 일 수 있다.
양극활물질층이 포함하는 도전재 및 바인더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양극에 사용되는 도전재 및 바인더라면 모두 가능하다.
양극은 상술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함에 의하여 높은 평균 방전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라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이 상술한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리튬이차전지 또는 전고체 전지이다.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적층 세라믹(Multi-layer-ceramic: MLC) 전지 또는 박막(thin fim) 전지이다.
적층 세라믹 전지는, 예를 들어 복수의 양극층; 복수의 양극층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극층; 및 및 복수의 양극층과 복수의 음극층 사이에 교대로 배치된 고체전해질층을 포함한다.
적층 세라믹 전지가 포함하는 고체전해질은 예를 들어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이다.
전극형 전지가 포함하는 음극은 예를 들어 리튬금속인산화물, 리튬금속산화물 및 금속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극활물질을 포함한다.
적층 세라믹 전지는 예를 들어 양극활물질 전구체, 음극활물질 전구체 및 고체전해질 전구체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의 소결물 또는 양극활물질, 음극활물질 및 고체전해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의 소결물이다.
적층 세라믹 전지는 예를 들어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층; 고체전해질층; 및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층;이 순서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단위 셀이 양극활물질층과 음극활물질층이 대향하도록 복수개 적층되는 적층체 구조를 구비한다. 적층 세라믹 전지는 예를 들어 양극집전체 및/또는 음극집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전지가 양극집전체를 포함하는 경우 양극활물질층은 양극집전체의 양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전지가 음극집전체를 포함하는 경우, 음극활물질층은 음극집전체의 양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전지가 양극집전체 및/또는 음극집전체를 더 포함함에 의하여 전지의 고율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전지에서, 적층체의 최상층 및 최하층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집전체층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적층체에 금속층을 개재시켜 단위 셀이 적층된다.
적층 세라믹 전지 또는 박막 전지는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Internal of Things, IoT)향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원, 웨어러블 소자(wearable device) 전원으로 적용 가능한 소형 또는 초소형 전지이다.
적층 세라믹 전지 또는 박막 전지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의 중대형 전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각각이 순서대로 쌓인 양극층, 고체전해질층 및 음극층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제1 단전지와 제2 단전지와 상기 제1 단전지와 제2 단전지 각각 양극층에 접촉하여 또는 제1 단전지와 제2 단전지 각각 음극층에 접촉하여 제1 단전지와 제2 단전지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 내부 집전체층를 구비하는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이다.
음극활물질층의 음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Li4/3Ti5/3O4, LiTiO2, LiM1sM2tOu (M1, M2는 전이 금속이고, s, t, u는 임의의 양수), TiOx(0<x≤3), LixV2(PO4)3(0<x≤5)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음극활물질은 특히 Li4/3Ti5/3O4, LiTiO2 등이다.
집전체층은 양극집전체 및 음극집전체로서 기능하는 경우는 모두 가능하다. 집전체층은 예를 들어 Ni, Cu, Ag, Pd, Au 및 Pt 중 임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전체층은 예를 들어 Ni, Cu, Ag, Pd, Au 및 Pt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금은, 예를 들어 Ni, Cu, Ag, Pd, Au 및 Pt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합금일 수 있다. 합금은, 예를 들어 Ag/Pd 합금이다. 이러한 금속 및 합금은 단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양극집전체로서의 집전체층과 음극집전체로서의 집전체층은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Ag, 및 Pd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혼합 분말은, 혼합 비율에 의해서 은 융점(962 ℃)으로부터 팔라듐 융점(1550 ℃)까지 연속적이고 임의로 융점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괄 소성 온도로 맞춘 융점 조정이 가능하고, 높은 전자 전도성을 가짐에 의하여 전지 내부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은 이온 전도성 무기물질을 함유하며, 예를 들어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이용할 수 있다.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예를 들어 Li1+x+yAlxTi2-xSiyP3-yO12 (0<x<2, 0≤y<3), BaTiO3,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O≤x<1, O≤y<1),Pb(Mg3Nb2/3)O3-PbTiO3(PMN-PT), HfO2, SrTiO3, SnO2, CeO2, Na2O, MgO, NiO, CaO, B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O2, SiC,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0<x<2,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 (LixAlyTiz(PO4)3, 0<x<2, 0<y<1, 0<z<3), Li1+x+y(Al, Ga)x(Ti, Ge)2-xSiyP3-yO12(O≤x≤1, O≤y≤1),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x<2, 0<y<3), 리튬게르마늄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x<4, 0<y<1, 0<z<1, 0<w<5), 리튬나이트라이드계열 글래스(LixNy, 0<x<4, 0<y<2), SiS2(LixSiySz, 0<x<3,0<y<2, 0<z<4), P2S5 계열 글래스(LixPySz, 0<x<3, 0<y<3, 0<z<7), Li2O, LiF, LiOH, Li2CO3, LiAlO2, Li2O-Al2O3-SiO2-P2O5-TiO2-GeO2계 세라믹스, 가넷(Garnet)계 세라믹스 Li3+xLa3M2O12(M = Te, Nb, 또는 Zr)(x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고체 전해질은 예를 들어 Li3.25Al0.25SiO4, Li3PO4, LiPxSiyOz(식 중 x, y, z는 임의의 양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화합물이다. 고체전해질은 예를 들어 Li3.5P0.5Si0.5O4이다.
도 4는 일구현예에 따른 적층 세라믹(MLC) 고체 전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LC 전지는 산화물 전극 및 고체 전해질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이를 동시 열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양극집전체(111)의 양면에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활물질을 함유하는 양극활물질층(112)이 배치되어 양극(110)이 형성된다. 음극집전체(121)의 양면에 음극활물질층(122)이 적층되어 음극(120)이 형성된다. 양극(110)과 음극(120) 사이에는 고체 전해질(130)이 배치된다. 외부전극(140)은 전지 본체(150)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외부전극(140)은 전지 본체(150)의 외부로 끝단이 노출된 양극(110) 및 음극(120)과 접속되어 양극(110)과 음극(120)과 외부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외부단자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외부전극(140) 중 어느 하나는 일단이 전지 본체(150)의 외부로 노출된 양극(110)과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타단이 전지 본체(150)의 외부로 노출된 음극(120)과 접속된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 (710)에서는 단전지 1 및 단전지 2가 내부 집전체층(74)를 통해 적층된다. 단전지 1 및 단전지 2의 각각은 순서대로 적층된 양극층(71), 고체전해질층(73) 및 음극층(72)로 구성된다.
양극층(71)은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활물질을 함유한다.
내부 집전체층(74)의 한편 측면(도 7의 상면)에 단전지 2의 음극층(72)이 인접하고 내부 집전체층(74)의 타방 측면(도 7의 하면)에 단전지 1의 음극층(72)이 인접하도록, 단전지 1과 단전지 2와 내부 집전체층(74)가 적층된다.
도 5에서는 내부 집전체층(74)는 단전지 1 및 단전지 2의 각각의 음극층(7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단전지 1 및 단전지 2의 각각의 양극층(71)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집전체층(74)는 전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내부 집전체층(74)은 이온 전도성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 전도성 재료를 더 포함하면 전압 안정화 특성이 향상된다.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710)에서 내부 집전체층(74)의 양측에 같은 극이 배치되므로, 내부 집전체층(74)를 개재해 복수의 단전지를 병렬로 접속한 모노폴라형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 (710)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용량형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710)을 얻을 수 있다.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710)에서는 단전지 1과 단전지 2의 사이에 개재하는 내부 집전체층(74)이 전자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므로, 인접한 두 개의 단전지를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접한 두 개의 단전지에 있어서 양극층(71) 또는 음극층(72)를 이온 전도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 집전체층(74)를 통해 인접하는 양극층(71) 또는 음극층(72)의 전위를 평균화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탭(tab) 등의 외부 집전 부재를 없애고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10)를 구성하는 단전지를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간 이용률과 비용성이 우수한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710)을 얻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층체는 양극층(81), 음극층(82), 고체전해질층(83) 및 내부 집전체층(84)를 함유한다. 이러한 적층체를 적층하고 열압착하여 적층 세라믹 고체 전지 적층체(810)을 얻었다. 양극층(81)은 한 장의 양극층용 시트로 구성하고. 음극층(82)은 2매의 음극층용 시트로 구성된다. 양극층(81)은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활물질을 함유한다.
도 7a 및 도 7b는 일구현예에 따른 전고체이차전지의 다른 실시양태의 적층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의 양극활물질층은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활물질을 포함한다.
도 7a를 참조하여 전고체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셀(92)의 구조를 나타낸다. 단위 셀(92)은 양극활물질층(94), 고체전해질층(96) 및 음극활물질층 (95)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도 7b에 전고체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적층체(923)의 구조를 나타낸다.
전고체 이차전지는 하단에 양극활물질층과 접하는 양극 인출 전극이 설치되고, 상단에 음극활물질층과 접하는 음극 인출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단 및 하단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적층체(923)은 단위 셀(92)이 복수개, 각각의 양극활물질층(94)와 음극활물질층(95)이 서로 대향하도록 적층되고, 또한 최상층 및 최하층에 각각 집전체층을 구비한 구조를 갖는다. 최상층 및 최하층의 집전체층 중 어느 하나는 양극활물질층과 접속하여 양극집전체가 되고, 다른 하나는 음극활물질층과 접속하여 음극집전체가 된다. 최하층의 집전체층(97)은 양극활물질층 (94)와 접하여 양극집전체가 되고, 최상층의 집전체층(98)은 음극활물질층 (95)와 접하여 음극집전체가 된다. 집전체층이 인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7b에서, 최하층의 집전체층(97)이 양극 인출 전극, 최상층의 집전체층(98)이 음극 인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르게는, 집전체층 상에 별도로 인출 전극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단에 집전체층(97)과 접하는 양극 인출 전극, 상단에 집전체층(98)과 접하는 음극 인출 전극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b에서, 적층체(923)은 단위 셀(92) 사이에 금속층(920)을 개재시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금속층(920)을 개재시킴으로써, 이온의 이동이 개별적인 셀 단위 내에 머무르게 되어, 직렬형의 전고체 이차전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7b의 적층체(923)는 집전체층을 구비하고 있지만, 집전체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임의이다.
전고체 이차전지의 적층체(923)에 있어서, 단위 셀(92)의 수가 2개 이상이면, 이른바 직렬형의 전고체 이차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위 셀의 갯수는 요구되는 전고체 이차전지의 용량이나 전압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다르게는,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층, 음극집전체층 및 제1 음극활물질층 또는 제3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층; 및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에 배치된 고체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고체 이차전지이며, 양극 활물질층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전고체 이차전지이다:
<화학식 1>
Lix(Co1-yMy)z(P2O7)4
상기 화학식 1에서, 5≤x≤7, 0.01≤y≤0.1, 및 4≤z≤6 이며,
M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 및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 또는 그 조합이다.
제1 음극활물질층이 탄소계 음극활물질 및 금속 또는 준금속 음극활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탄소계 음극활물질은 비정질 탄소(amorphous carbon) 및 결정질 탄소(crystalline carb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 음극활물질이 금(Au), 백금(Pt), 팔라듐(Pd), 실리콘(Si), 은(Ag), 알루미늄(Al), 비스무스(Bi), 주석(Sn) 및 아연(Z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전고체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음극집전체와 상기 제1 음극활물질층 사이 및 고체전해질층과 제1 음극활물질층 사이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2 음극활물질층을 더 포함한다. 제2 음극활물질층은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이다.
전고체 이차전지에서 예를 들어 제3 음극활물질층이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고체 이차전지(1)는 음극집전체층(21) 및 제1 음극활물질층(22)을 포함하는 음극층(20); 양극집전체층(11) 및 양극활물질층(12)을 포함하는 양극층(10); 및 음극층(20)과 양극층(10) 사이에 배치된 고체전해질층(30)을 함유한다. 양극층(10)은 고체전해질을 함유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의 양극활물질층(12)은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활물질을 포함한다. 양극층은 예를 들어 상술한 양극활물질, 고체전해질 및 도전재를 함유할 수 있다.
(음극층)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음극층(20)은 음극집전체층(21) 및 제1 음극활물질층(22)을 포함하며,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음극활물질을 포함한다. 음극집전체층(21)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입자 형태를 가진다. 입자 형태를 가지는 음극활물질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4um 이하, 3um 이하, 2um 이하, 1um 이하, 또는 900nm 이하이다. 입자 형태를 가지는 음극활물질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10nm 내지 4um, 10nm 내지 2um, 10nm 내지 1um, 또는 10nm 내지 900nm 이다. 음극활물질이 이러한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가짐에 의하여 충방전 시에 리튬의 가역적인 흡장(absorbing) 및/또는 방출(desorbing)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음극활물질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레이저식 입도 분포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메디안(median) 직경(D50)이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탄소계 음극활물질 및 금속 또는 준금속 음극활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탄소계 음극활물질은 특히 비정질 탄소(amorphous carbon)이다. 비정질 탄소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carbon black)(CB),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AB),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FB), 켓젠 블랙(ketjen black)(KB), 그래핀(graphene) 등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비정질 탄소로 분류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비정질 탄소는 결정성을 가지지 않거나 결정성이 매우 낮은 탄소로서 결정성 탄소 또는 흑연계 탄소와 구분된다.
금속 또는 준금속 음극활물질은 금(Au), 백금(Pt), 팔라듐(Pd), 실리콘(Si), 은(Ag), 알루미늄(Al), 비스무스(Bi), 주석(Sn) 및 아연(Z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리튬과 합금 또는 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 음극활물질 또는 준금속 음극활물질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니켈(Ni)은 리튬과 합금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금속 음극활물질이 아니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은 이러한 음극활물질 중에서 일종의 음극활물질을 포함하거나, 복수의 서로 다른 음극활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음극활물질층(22)은 비정질 탄소만을 포함하거나, 금(Au), 백금(Pt), 팔라듐(Pd), 실리콘(Si), 은(Ag), 알루미늄(Al), 비스무스(Bi), 주석(Sn) 및 아연(Z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는, 제1 음극활물질층(22)은 비정질 탄소와 금(Au), 백금(Pt), 팔라듐(Pd), 실리콘(Si), 은(Ag), 알루미늄(Al), 비스무스(Bi), 주석(Sn) 및 아연(Z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정질 탄소와 금 등의 혼합물의 혼합비는 중량비로서 예를 들어 10:1 내지 1:2, 5:1 내지 1:1, 또는 4:1 내지 2:1 이나 반드시 이러한 범위로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전고체이차전지(1)의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음극활물질이 이러한 조성을 가짐에 의하여 전고체이차전지(1)의 사이클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은 예를 들어 비정질 탄소로 이루어진 제1 입자 및 금속 또는 준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 입자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금속 또는 준금속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금(Au), 백금(Pt), 팔라듐(Pd), 실리콘(Si), 은(Ag), 알루미늄(Al), 비스무스(Bi), 주석(Sn) 및 아연(Zn) 등을 포함한다. 준금속은 다르게는 반도체이다. 제2 입자의 함량은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 내지 60 중량%, 10 내지 50중량%, 15 내지 40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이다. 제2 입자가 이러한 범위의 함량을 가짐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전고체이차전지(1)의 사이클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은 예를 들어 바인더를 포함한다. 바인더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바인더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바인더는 단독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바인더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바인더를 포함함에 의하여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음극집전체(21) 상에 안정화된다. 또한, 충방전 과정에서 제1 음극활물질층(22)의 부피 변화 및/또는 상대적인 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제1 음극활물질층(22)의 균열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바인더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음극집전체(21)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음극집전체(21)로부터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이탈한 부분은 음극집전체(21)이 노출되어 고체전해질층(30)과 접촉함에 의하여,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은 예를 들어 제1 음극활물질층(22)을 구성하는 재료가 분산된 슬러리를 음극집전체(21)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제작된다. 바인더를 제1 음극활물질층(22)에 포함시킴에 의하여 슬러리 중에 음극활물질의 안정적인 분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으로 슬러리를 음극집전체(21) 상에 도포하는 경우, 스크린의 막힘(예를 들어, 음극 활물질의 응집체에 의한 막힘)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음극활물질층의 두께(d22)는 예를 들어 양극활물질층 두께(d12)의 50% 이하, 30% 이하, 10% 이하, 또는 5% 이하이다. 제1 음극활물질층의 두께(d22)는 예를 들어 1um 내지 20um, 2um 내지 10um, 또는 3um 내지 7um이다. 제1 음극활물질층의 두께(d22)가 상기 범위일 때, 전고체이차전지(1)의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의 충전 용량은 예를 들어 양극활물질층(12)의 충전용량에 비하여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또는 2% 이하이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의 충전 용량은 예를 들어 양극활물질층(12)의 충전용량에 비하여 0.1% 내지 50%, 0.1% 내지 40%, 0.1% 내지 30%, 0.1% 내지 20%, 0.1% 내지 10%, 0.1% 내지 5%, 또는 0.1% 내지 2% 이다.제1 음극활물질층(22)의 충전 용량이 상기 범위일 때, 전고체이차전지(1)의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양극활물질층(12)의 충전 용량은 양극활물질의 충전 용량 밀도(mAh/g)에 양극활물질층(12) 중 양극활물질의 질량을 곱하여 얻어진다. 음극집전체(21)은 예를 들어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즉, 합금 및 화합물을 모두 형성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 음극집전체(21)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구리(Cu),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Ti), 철(Fe), 코발트(Co) 및 니켈(Ni) 등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전극집전체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음극집전체(21)는 상술한 금속 중 1 종으로 구성되거나, 2 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 또는 피복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음극집전체(21)는, 예를 들면, 판상 또는 박상(foil) 형태이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은 종래의 전고체 이차전지(1)에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필러, 분산제, 이온도전제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고체이차전지(1)는 예를 들어 음극집전체(21) 상에 리튬과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원소를 포함하는 박막(24)을 더 포함한다. 박막(24)은 음극집전체(21)와 상기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배치된다. 박막(24)은 예를 들어 리튬과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원소를 포함한다. 리튬과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원소는, 예를 들어, 금, 은, 아연, 주석, 인듐, 규소, 알루미늄, 비스무스 등이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리튬과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원소라면 모두 가능하다. 박막(24)은 이들 금속 중 하나로 구성되거나, 여러 종류의 금속의 합금으로 구성된다. 박막(24)이 음극집전체(21) 상애 배치됨에 의하여, 예를 들어 박막(24)과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석출되는 제2 음극활물질층(미도시)의 석출 형태가 더 평탄화되며, 전고체이차전지(1)의 사이클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박막의 두께(d24)는 예를 들어 1nm 내지 800nm, 10nm 내지 700nm, 50nm 내지 600nm, 또는 100nm 내지 500nm이다. 박막의 두께가 상기 범위일 때, 전고체 전지의 에너지 밀도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박막(24)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 법, 도금법 등에 의해 음극 집전체(2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박막(24)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고체 이차전지(1)는 충전에 의하여 예를 들어 음극집전체(21)와 고체전해질층(3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음극활물질층(23)을 더 포함한다. 전고체이차전지(1)는 충전에 의하여 예를 들어 음극집전체(21)와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음극활물질층(23)을 더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나, 전고체이차전지(1)는 충전에 의하여 예를 들어 고체전해질층(30)과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음극활물질층(23)을 더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나, 전고체이차전지(1)는 충전에 의하여 예를 들어 제1 음극활물질층(22)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음극활물질층(23)을 더 포함한다.
제2 음극활물질층(23)은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이다. 금속층은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음극활물질층(23)은 리튬을 포함하는 금속층이므로 예를 들어 리튬 저장고(reservoir)로서 작용한다. 리튬 합금은, 예를 들어, Li-Al 합금, Li-Sn 합금, Li-In 합금, Li-Ag 합금, Li-Au 합금, Li-Zn 합금, Li-Ge 합금, Li-Si 합금 등이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리튬 합금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제2 음극활물질층(23)은 이러한 합금 중 하나 또는 리튬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여러 종류의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제2 음극활물질층의 두께(d23)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um 내지 1000um, 1um 내지 500um, 1um 내지 200um, 1um 내지 150um, 1um 내지 100um, 또는 1um 내지 50um이다. 제2 음극활물질층의 두께(d23)가 상기 범위일 때 전고체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제2 음극활물질층(23)은, 예를 들어, 이러한 범위의 두께를 갖는 금속 호일일 수 있다.
전고체 이차전지(1)에서 제2 음극활물질층(23)은 예를 들어 전고체이차전지(1)의 조립 전에 음극집전체(21)와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배치되거나 전고체이차전지(1)의 조립 후에 충전에 의하여 음극집전체(21)와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석출된다.
전고체 이차전지(1)의 조립 전에 음극집전체(21)와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제2 음극활물질층(23)이 배치되는 경우, 제2 음극활물질층(23)이 리튬을 포함하는 금속층이므로 리튬 저장고(reservoir)로서 작용한다. 제2 음극활물질층(23)을 포함하는 전고체 이차전지(1)의 사이클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예를 들어, 전고체이차전지(1)의 조립 전에 음극집전체(21)와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리튬 호일이 배치된다.
전고체 이차전지(1)의 조립 후에 충전에 의하여 제2 음극활물질층(23)이 배치되는 경우, 전고체이차전지(1)의 조립 시에 제2 음극활물질층(23)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전고체이차전지(1)의 에너지 밀도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전고체이차전지(1)의 충전시, 제1 음극활물질층(22)의 충전 용량을 초과하여 충전한다. 즉, 제1 음극활물질층(22)을 과충전한다. 충전 초기에는 제1 음극활물질층(22)에 리튬을 흡장된다. 즉, 제1 음극활물질층(22)이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은 양극층(10)에서 이동해온 리튬 이온과 합금 또는 화합물을 형성한다. 제1 음극활물질층(22)의 용량을 초과하여 충전을 하면, 예를 들어 제1 음극활물질층(22)의 후면, 즉 음극집전체(21)와 제1 음극활물질층(22) 사이에 리튬이 석출되고(plated), 석출된 리튬에 의해 제2 음극활물질층(23)에 해당하는 금속층이 형성된다. 제2 음극활물질층(23)은 주로 리튬(즉, 금속 리튬)으로 구성되는 금속층이다. 이러한 결과는 예를 들어 제1 음극활물질층(22)에 포함되는 음극활물질이 리튬과 합금 또는 화합물을 형성하는 물질로 구성됨에 의하여 얻어진다. 방전시에는 제1 음극활물질층(22) 및 제2 음극활물질층(23), 즉 금속층의 리튬이 이온화되어 양극층(10)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전고체이차전지(1)에서 리튬을 음극활물질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음극활물질층(22)은 제2 음극활물질층(23)을 피복하기 때문에, 제2 음극활물질층(23), 즉 금속층의 보호층 역할을 하는 동시에, 리튬 덴드라이트(dendrite)의 석출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고체이차전지(1)의 단락 및 용량 저하를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전고체이차전지(1)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전고체이차전지(1)의 조립 후에 충전에 의하여 제2 음극활물질층(23)이 배치되는 경우, 음극집전체(21)와 상기 제1 음극활물질층(22) 및 이들 사이의 영역은 예를 들어 전고체이차전지의 초기 상태 또는 방전후 상태에서 리튬(Li) 금속 또는 리튬(Li) 합금을 포함하지 않는 Li-프리(free) 영역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고체 이차전지(1)는 양극집전체(21) 상에 제2 음극활물질층(23)이 배치되고, 제2 음극활물질층(23) 상에 고체전해질층(30)이 직접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 음극활물질층(23)은 예를 들어 리튬 금속층 또는 리튬 합금층이다.
(고체전해질층)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고체전해질층(30)은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함유할 수 있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예를 들어 Li1+x+yAlxTi2-xSiyP3-yO12 (0<x<2, 0≤y<3), BaTiO3, Pb(Zr,Ti)O3(PZT), Pb1-xLaxZr1-y TiyO3(PLZT)(O≤x<1, O≤y<1), PB(Mg3Nb2/3)O3-PbTiO3(PMN-PT), HfO2, SrTiO3, SnO2, CeO2, Na2O, MgO, NiO, CaO, B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O2, Li3PO4, LixTiy(PO4)3(0<x<2, 0<y<3), LixAlyTiz(PO4)3 (0<x<2, 0<y<1, 0<z<3), Li1+x+y(Al, Ga)x(Ti, Ge)2-xSiyP3-yO12(0≤x≤1 0≤y≤1), LixLayTiO3 (0<x<2, 0<y<3), Li2O, LiOH, Li2CO3, LiAlO2, Li2O-Al2O3-SiO2-P2O5-TiO2-GeO2, Li3+xLa3M2O12(M = Te, Nb, 또는 Zr, x는 1 내지 10의 정수)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예를 들어 Li7La3Zr2O12(LLZO) 및 Li3+xLa3Zr2-aMaO12(M doped LLZO, M=Ga, W, Nb, Ta, 또는 Al, x는 1 내지 10의 정수, 0.05(a(0.7) 중에서 선택된 가넷계(Garnet-type) 고체전해질이다.
일구현예 의하면 고체 전해질층은 LLZO 고체 전해질을 포함한다.
고체전해질층(30)은 예를 들어 Li7La3Zr2O12(LLZO), Li6.4La3Zr1.7W0.3O12, Li6.5La3Zr1.5Ta0.3O12, Li7La3Zr1.7W0.3O12, Li4.9La2.5Ca0.5Zr1.7Nb0.3O12, Li4.9Ga2.1La3Zr1.7W0.3O12, Li6.4La3Zr1.7W0.3O12, Li7La3Zr1.5W0.5O12, Li7La2.75Ca0.25Zr1.75Nb0.25O12, Li7La3Zr1.5Nb0.5O12, Li7La3Zr1.5Ta0.5O12, Li6.272La3Zr1.7W0.3O12, Li5.39Ga1.61La3Zr1.7W0.3O12, Li6.5La3Zr1.5Ta0.3O12, 또는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양극층)
양극층(10)은 양극집전체(11) 및 양극활물질층(12)을 포함한다.
양극집전체(11)는 예를 들어 인듐(In), 구리(Cu), 마그네슘(Mg),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Ti), 철(Fe), 코발트(Co), 니켈(Ni), 아연(Zn), 알루미늄(Al), 게르마늄(Ge), 리튬(Li)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판상체(plate) 또는 호일(foil) 등을 사용한다. 양극 집전체(11)는 생략 가능하다.
양극활물질층(12)은 양극 활물질 및 고체 전해질을 함유한다. 양극층(10)에 포함된 고체전해질은 고체전해질층(30)에 포함되는 고체 전해질과 유사하거나 다르다. 고체전해질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고체전해질층(30) 부분을 참조한다. 일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고체 전해질은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함유할 수 있다.
양극층(10)은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활물질을 함유한다.
양극활물질의 형상은, 예를 들어, 진구, 타원 구형 등의 입자 형상이다. 양극활물질의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의 전고체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에 적용 가능한 범위이다. 양극층(10)의 양극활물질의 함량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의 전고체이차전지의 양극층에 적용 가능한 범위이다.
양극층(10)은 상술한 양극활물질 및 고체전해질 외에 예를 들어 도전제, 바인더, 필러(filler), 분산제, 이온 전도성 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전제는 예를 들어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켓젠(Ketjen) 블랙, 탄소 섬유, 금속 분말 등이다. 바인더는 예를 들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이다. 양극층(10)에 배합 가능한 코팅제, 분산제, 이온 전도성 보조제 등으로는 일반적으로 고체 이차 전지의 전극에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사용한다.
전고체 이차전지 제조 방법은 양극층(10) 상부에 고체전해질층(30)을적층하고 그 상부에 음극층(20)을 적층하여 제조한다.
다른 일구현예에 의하면, 고체전해질층(30)은 별도의 기재에 고체 전해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고 기재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기재가 포함된 형태로 시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재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막, 폴리에틸렌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구현예에 의하면, 고체전해질층(30)은 양극층(10) 상부에 제1고체 전해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거나 또는 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양극층, 고체 전해질층 및 음극층을 포장재로 포장한 후, 가압하여 전고체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가압은 롤 가압, 핫 가압, 등수압 가압(warm isostactic press)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압시 롤 가압 또는 핫 가압을 이용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전극층과 고체 전해질층의 압축 과정에서 긴밀한 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음극층의 제조)
제1 음극활물질층(22)을 구성하는 재료인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고체전해질 등을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준비한다. 준비된 슬러리를 음극집전체(21)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제1 적층체를 준비한다. 이어서, 건조된 제1 적층체를 가압하여, 음극층(20)을 준비한다. 가압은 예를 들어 롤 가압(roll press), 평판 가압(flat press) 등이나 반드시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가압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가압 단계를 생략 가능하다.
상기 음극층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배치된 음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제1음극 활물질층을 함유하며, 상기 음극활물질이 탄소계 음극활물질 및 금속 또는 준금속 음극활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계 음극활물질은 비정질 탄소(amorphous carbon) 및 결정질 탄소(crystalline carbo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 음극활물질은 금(Au), 백금(Pt), 팔라듐(Pd), 실리콘(Si), 은(Ag), 알루미늄(Al), 비스무스(Bi), 주석(Sn) 및 아연(Z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상기 음극집전체와 상기 제1 음극 활물질층 사이 및 고체전해질층과 제1 음극활물질층 사이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2 음극활물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극활물질층은 리튬 또는 리튬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이다.
(양극층의 제조)
양극활물질층(12)을 구성하는 재료인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고체전해질 등을 비극성 용매에 첨가하여 슬러리(slurry)를 제조한다. 양극 활물질로는 일구현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슬러리를 양극집전체(11) 상에 도포하고 건조한다. 얻어진 적층체를 가압하여 양극층(10)을 제조한다. 가압은 예를 들어 롤 가압(roll press), 평판 가압(flat press), 정수압을 이용한 가압 등이나 반드시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가압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가압 공정은 생략해도 좋다. 다르게는, 양극활물질층(12)을 구성하는 재료의 혼합물을 펠렛(pellet) 형태로 압밀화(壓密化) 성형하거나 시트 형태로 늘리는(성형) 것으로 양극층(10)을 제작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양극층(10)을 제작하는 경우, 양극 집전체(11)는 생략할 수 있다.
(고체전해질층의 제조)
고체전해질층(30)은 예를 들어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재료로 형성된 고체 전해질에 의해 제조한다.
(전고체 이차전지의 제조)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양극층(10), 음극층(20) 및 고체 전해질층(30)을, 양극층(10)과 음극층(20)이 고체 전해질층(30)을 사이에 가지도록 적층하고 가압함에 의하여, 전고체 이차전지(1)를 제작한다.
예를 들어, 양극층(10) 상에 고체전해질층(30)을 배치하여 제2 적층체를 준비한다. 이어서, 고체전해질층(30)과 제1 음극활물질층이 접촉하도록 제2 적층체 상에 음극층(20)을 배치하여 전고체 이차전지(1)를 제조한다.
상술한 전고체 이차전지(1)의 구성 및 제작 방법은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 구성 부재 및 제작 절차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전고체 이차전지(1)는 전지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소형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또는 대형 전기자동차에 탑재될 수 있다.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습식 또는 건식 방법에 따라 제조가능하다. 이하, 건식 방법에 따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리튬 전구체, 코발트 전구체, 인 전구체 및 M 전구체를 혼합하여 전구체 혼합물을 얻는다.
혼합은 예를 들어 기계적인 밀링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기계적 밀링시에는 필요에 따라 용매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매는 예를 들어 아세톤, 에탄올, 물,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판올, 또는 그 조합을 들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은 전구체 화합물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1,000 중량부, 예를 들어 100 내지 300 중량부 범위이다. 용매를 부가하는 경우 각 전구체의 혼합이 더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적 밀링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밀링은 예를 들어 볼밀, 에어제트밀, 비드밀, 롤밀, 플래너터리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리튬 전구체는 예를 들어 산화리튬, 탄산리튬, 염화리튬, 황화리튬, 질산리튬(LiNO3), 인산리튬, 수산화리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코발트 전구체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산화코발트, 황산코발트, 수산화코발트, 질산코발트, 옥살산코발트(cobalt oxalate) 등이 있다.
인 전구체는 예를 들어 (NH4)2HP04, (NH4)H2P04, LiPO3, LiH2PO4 등이 있다.
M 전구체는 예를 들어 M 원소 함유 산화물, M 원소 함유 카보네이트, M 원소 함유 클로라이드, M 원소 함유 포스페이트, M 원소 함유 하이드록사이드, M 원소 함유 질산염, M 원소 함유 수산화물, M 원소 함유 옥살산염 또는 그 조합물이다.
M 전구체는 예를 들어, 산화니오븀, 황산니오븀, 수산화니오븀, 질산니오븀, 옥살산니오븀, 산화몰리브덴, 황산몰리브덴, 수산화몰리브렌, 질산몰리브덴, 옥살산몰리브덴, 산화탄탈륨, 황산탄탈륨, 수산화탄탈륨, 질산탄탈륨, 옥살산탄탈륨, 산화텅스텐, 황산텅스텐, 수산화텅스텐, 질산텅스텐, 옥살산텅스텐 등이 있다.
인(P) 전구체는 예를 들어 (NH4)2HPO4, (NH4)H2PO4, LiPO3, LiH2PO4 등이 있다.
상술한 혼합을 실시한 후에는 상술한 과정을 거친 결과물을 열처리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열처리는 예를 들어 500℃ 내지 1000℃, 550℃ 내지 900℃, 또는 650 내지 750℃에서 실시한다. 열처리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산화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시한다. 불활성 가스 분위기는 아르곤,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다. 산화성 가스 분위기는 공기, 산소를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산화성 가스를 이용한다. 열처리시 승온속도는 1℃/min 내지 10℃/min이다. 열처리 시간은 1 내지 48 시간, 6 내지 24 시간, 또는 6 내지 18 시간이다.
열처리하는 과정 이전에 건조과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건조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건조는 30 내지 150℃, 50 내지 130℃, 60 내지 120℃ 또는 80 내지 100℃에서 실시한다. 이와 같이 건조과정을 실시하면 에너지밀도가 더 우수한 양극활물질을 얻을 수 있다.
다르게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술한 고상법 이외에 액상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하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극 활물질의 제조)
제조예 1
Li2CO3, CoO, Nb2O5, (NH4)2HPO4을 혼합하여 전구체 혼합물을 얻고 여기에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볼밀에서 10시간 동안 밀링을 실시하였다. Li2CO3, CoO, Nb2O5, (NH4)2HPO4의 함량은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 활물질을 얻을 수 있도록 화학양론적으로 제어되었고, 에탄올은 Li2CO3, CoO, NiO 및 (NH4)2HPO4의 총함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중량부로 사용하였다.
밀링된 결과물을 90°C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건조된 생성물을 공기 분위기, 750℃에서 1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양극활물질 Li6Co4.95Nb0.05(P2O7)4을 얻었다.
제조예 2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WO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 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3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Mo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 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4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Ta2O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 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5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Li2CO3, CoO, Nb2O5, (NH4)2HPO4의 함량은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목적물을 얻을 수 있도록 화학양론적으로 제어한 것을 제어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 Li6Co4.90Nb0.10(P2O7)4을 얻었다.
제조예 6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WO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7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Mo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8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Ta2O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9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Li2CO3, CoO, Nb2O5, (NH4)2HPO4의 함량은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목적물을 얻을 수 있도록 화학양론적으로 제어한 것을 제어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 Li6Co4.75Nb0.25(P2O7)4을 얻었다.
제조예 10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WO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11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Mo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12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 대신 Ta2O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활물질을 얻었다.
비교제조예 1
전구체 혼합물 제조시 Nb2O5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양극 활물질 Li6Co5(P2O7)4을 얻었다.
조성
제조예 1 Li6Co4.95Nb0.05(P2O7)4
제조예 2 Li6Co4.95W0.05(P2O7)4
제조예 3 Li6Co4.95Mo0.05(P2O7)4
제조예 4 Li6Co4.95Ta0.05(P2O7)4
제조예 5 Li6Co4.90Nb0.10(P2O7)4
제조예 6 Li6Co4.90W0.10(P2O7)4
제조예 7 Li6Co4.90Mo0.10(P2O7)4
제조예 8 Li6Co4.90Ta0.10(P2O7)4
제조예 9 Li6Co4.75Nb0.25(P2O7)4
제조예 10 Li6Co4.75W0.25(P2O7)4
제조예 11 Li6Co4.75Mo0.25(P2O7)4
제조예 12 Li6Co4.75Ta0.25(P2O7)4
비교제조예 1 Li6Co5(P2O7)4
(리튬이차전지의 제조)
실시예 1
제조예 1의 양극활물질 Li6Co4.95Nb0.05(P2O7)4, 도전제인 카본 블랙(Super-P; Timcal Ltd.),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및 N-메틸피롤리돈을 혼합하여 양극 슬러리를 얻었다.
양극 슬러리에서 Li6Co4.95Nb0.05(P2O7)4, 카본 블랙 및 PVDF의 혼합 중량비는 50:30:20이었고 N-메틸피롤리돈의 함량은 양극활물질 1 g에 대하여 약 20 g을 사용하였다.
양극 슬러리를 두께 약 15㎛의 알루미늄 호일 상부에 코팅하고 25℃에서 건조한 다음, 건조된 결과물을 진공, 약 120℃에서 건조시키고 압연하여 두께가 약 55㎛인 양극을 제작하였다.
양극과 상대극으로서 리튬 금속 대극을 사용하여 2032 타입의 코인셀(coin cell)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과 리튬 금속 대극 사이에는 다공질 폴리에틸렌(PE) 필름으로 이루어진 두께 약 16㎛의 세퍼레이터를 개재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2032 타입 코인셀 형태의 리튬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전해액으로서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EC)와 Bis(2 2 2-trifluoroethyl) carbonate (HFDEC)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용해된 1.0M LiPF6가 포함된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12
양극 제조시 제조예 1의 양극활물질 대신 제조예 2 내지 11의 양극활물질을 각각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양극 제조시 제조예 1의 양극 활물질 대신 비교제조예 1 내지 2의 양극활물질을 각각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1: X선 회절 분석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제조예 1의 양극 활물질에 대한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다. X선 회절 분석은 Cu Kαradiation(1.54056Å)을 이용한 X'pert pro (PANalytical)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제조예 1의 양극 활물질에 대한 X선 회절 분석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는 참조용으로서 Li5.88Co5.06(P2O7)4에 대한 이론적인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제조예 1 내지 4의 양극 활물질은 삼사정계 결정계(triclinic crystal system)에 속하며, P-1 공간군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내지 4의 양극 활물질은 상안정성이 높은 코발트를 도입하여 안정적인 결정상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내지 2의 양극활물질에 대한 X선 회절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주피크(main peak)와 부피크(minor peak)의 세기 비를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주피크는 최대흡수세기를 나타내는 피크이며, 회절각 2θ가 28.0°인 영역에서 나타나고 부피크는 주피크에 비하여 흡수세기가 작은 피크로서 회절각 2θ가 33.5°인 영역에서 나타난다.
<수학식 1>
피크 세기비(P2/P1)=부피크의 세기(P2)/주피크의 세기(P1)
세기비(P2/P1)
제조예 1 0.133
제조예 2 0.132
평가예 2: 밴드 갭 계산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 조성에 대하여 밴드 갭(band gap)을 계산하였다.
전압 계산은 양자 계산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양자 계산은 범밀도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한 밴드 갭 계산 결과를 도 2a 내지 2e 및 하기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2e에서 DOE는 상태 함수 밀도(DOS, Density of State)이고, up/down은 spin up/ spin down이고, Ef는 페르미 에너지이다. E-Ef는 페르미 에너지가 보정된 에너지이다.
예를 들어, 도 2e에서 -2 eV 내지 0 eV 범위에서 밴드갭이 크나, 도 2a 내지 2d에서는 -2 eV 내지 0 eV 범위에서 밴드갭이 감소하였다.
밴드 갭 [eV]
제조예 1 2.9
제조예 2 0.1
제조예 3 0.1
제조예 4 1.0
비교제조예 1 0.2
도 2a 내지 2e 및 표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4의 양극활물질은 비교제조예 1의 양극활물질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된 밴드 갭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조예 1 내지 4의 양극활물질은 비교제조예 1의 양극활물질에 비하여 향상된 전자 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다.
평가예 3: 충방전 특성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리튬전지를 25℃에서 0.1C rate의 전류로 전압이 5.5V(vs. Li)에 이를 때까지 정전류 충전하고, 이어서, 방전시에 전압이 4.0V(vs. Li)에 이를 때까지 0.025C rate의 정전류로 방전하였다(1st 사이클).
1st 사이클을 거친 리튬전지를 25℃에서 0.1C rate의 전류로 전압이 5.5V(vs. Li)에 이를 때까지 정전류 충전하고, 이어서 방전시에 전압이 4.0V(vs. Li)에 이를 때까지 0.05C rate의 정전류로 방전하였다(2nd 사이클).
2nd 사이클을 거친 리튬전지를 25℃에서 0.1C rate의 전류로 전압이 5.5V(vs. Li)에 이를 때까지 정전류 충전하고, 이어서 방전시에 전압이 4.0V(vs. Li)에 이를 때까지 0.1C rate의 정전류로 방전하였다(3rd 사이클).
3rd 사이클을 거친 리튬전지를 25℃에서 0.1C rate의 전류로 전압이 5.5V(vs. Li)에 이를 때까지 정전류 충전하고, 이어서 방전시에 전압이 4.0V(vs. Li)에 이를 때까지 0.2C rate의 정전류로 방전하였다(4th 사이클).
4st 사이클을 거친 리튬전지를 25℃에서 0.1C rate의 전류로 전압이 5.5V(vs. Li)에 이를 때까지 정전류 충전하고, 이어서 방전시에 전압이 4.0V(vs. Li)에 이를 때까지 0.5C rate의 정전류로 방전하였다(5th 사이클).
상기 모든 충방전 사이클에서 하나의 충전/방전 사이클 후 10분간의 정지 시간을 두었다.
상기 충방전 실험 결과를 도 3a 내지 3c 및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고율 특성은 하기 수학식 2로 정의된다.
<수학식 2>
고율 특성[%] = [5st 사이클에서의 방전용량 (0.5C rate) / 1st 사이클에서의 방전용량 (0.025C rate)] × 100
고율 특성(0.5C/0.025C) [%]
실시예 1 49.2
실시예 2 22.0
실시예 3 53.0
실시예 4 43.6
실시예 5 48.7
실시예 6 44.4
실시예 7 64.6
실시예 8 63.7
실시예 9 43.9
실시예 10 48.1
실시예 11 55.3
실시예 12 34.6
비교예 1 17.3
도 3a 내지 3c 및 표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2의 리튬전지는 비교예 1의 리튬전지에 비하여 고율 특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고율 특성의 향상은 제조예 1 내지 12의 양극활물질의 밴드 갭이 감소하여 증가된 전자 전도도를 가짐에 의하여 실시예 1 내지 12의 리튬전지의 내부 저항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을 통해 일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전고체 이차전지 10: 양극층
11: 양극집전체 12: 양극 활물질층
20: 음극층 21: 음극집전체
22: 음극 활물질층 30: 고체 전해질층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화학식 1>
    Lix(Co1-yMy)z(P2O7)4
    상기 화학식 1에서, 5≤x≤7, 0.01≤y≤0.1, 및 4≤z≤6 이며,
    M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 및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 또는 그 조합이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Y, La, Zr, Hf, Nb, Ta, Mo, W, Tc, Re, Ru, Os, Rh, Ir, Pd, Pt, Ag, Au, 또는 그 조합인 양극활물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Nb, Mo, Ta, W 또는 그 조합인 양극활물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내지 2r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양극활물질:
    <화학식 2a>
    Lix(Co1-yNby)z(P2O7)4
    상기 화학식 2a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b>
    Lix(Co1-yMoy)z(P2O7)4
    상기 화학식 2b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c>
    Lix(Co1-yTay)z(P2O7)4
    상기 화학식 2c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d>
    Lix(Co1-yWy)z(P2O7)4
    상기 화학식 2d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e>
    Lix(Co1-yYy)z(P2O7)4
    상기 화학식 2e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f>
    Lix(Co1-yLay)z(P2O7)4
    상기 화학식 2f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g>
    Lix(Co1-yZry)z(P2O7)4
    상기 화학식 2g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h>
    Lix(Co1-yHfy)z(P2O7)4
    상기 화학식 2h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i>
    Lix(Co1-yTcy)z(P2O7)4
    상기 화학식 2i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j>
    Lix(Co1-yRey)z(P2O7)4
    상기 화학식 2j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k>
    Lix(Co1-yRuy)z(P2O7)4
    상기 화학식 2k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l>
    Lix(Co1-yOsy)z(P2O7)4
    상기 화학식 2l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m>
    Lix(Co1-yRhy)z(P2O7)4
    상기 화학식 2m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n>
    Lix(Co1-yIry)z(P2O7)4
    상기 화학식 2n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o>
    Lix(Co1-yPdy)z(P2O7)4
    상기 화학식 2o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p>
    Lix(Co1-yPty)z(P2O7)4
    상기 화학식 2p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q>
    Lix(Co1-yAgy)z(P2O7)4
    상기 화학식 2q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며,
    <화학식 2r>
    Lix(Co1-yAuy)z(P2O7)4
    상기 화학식 2r에서, 5.5 ≤ x ≤ 6.5, 0.01≤y≤0.05, 4.8 ≤ z ≤ 5.2이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결정 구조가 삼사정계 결정계(triclinic crystal system)에 속하는 양극활물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결정 구조가 P-1 공간군에 속하는 양극활물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밴드갭(band gap)이 0.1 내지 2.0 eV 인 양극활물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평균 방전 전압이 4.0 V 이상인 양극활물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분석 스펙트럼에서 회절각 2θ가 28.0°±1.0°인 영역에 나타나는 주피크(main peak) 및 회절각 2θ가 33.5°±1.0°인 영역에 나타나는 부피크(minor peak)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Cu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 분석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주피크(main peak)의 세기(P1)와 부피크(minor peak)의 세기(P2)의 비(P2/P1)가 0.5 이하인 양극활물질.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12.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이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적층 세라믹(Multi-layer-ceramic: MLC) 전지 또는 박막(thin film) 전지인 이차전지.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세라믹 전지는,
    복수의 양극층;
    상기 복수의 양극층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음극층; 및
    상기 복수의 양극층과 복수의 음극층 사이에 교대로 배치된 고체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전해질이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인 이차전지.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이 리튬금속인산화물, 리튬금속산화물 및 금속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세라믹 전지는 소결물인 이차전지.
  18. 코발트 전구체, 리튬 전구체, 인 전구체 및 M 전구체를 혼합하여 전구체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화학식 1>
    Lix(Co1-yMy)z(P2O7)4
    상기 화학식 1에서, 5≤x≤7, 0.01≤y≤0.1, 및 4≤z≤6 이며,
    M은 원소주기율표 5주기 및 6주기에 속하는 3족 내지 11족 원소, 또는 그 조합이다.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가 500℃ 내지 1000℃에서 1 내지 48 시간 동안 실시되는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가 산화성 분위기 또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KR1020210051350A 2021-04-20 2021-04-20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KR20220144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50A KR20220144697A (ko) 2021-04-20 2021-04-20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US17/482,684 US12009519B2 (en) 2021-04-20 2021-09-23 Cathode activ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of, cathode includ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50A KR20220144697A (ko) 2021-04-20 2021-04-20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697A true KR20220144697A (ko) 2022-10-27

Family

ID=8360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350A KR20220144697A (ko) 2021-04-20 2021-04-20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69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36803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1443B2 (ja) 全固体電池
KR20210098246A (ko) 전고체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11394052B2 (en) Composite cathode and lithium-air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210336269A1 (e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KR20210105286A (ko) 전고체 이차전지, 및 전고체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20210111950A (ko) 전고체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이차전지
US20220044837A1 (en) Solid ion conductor, solid electrolyte including the same,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931842A (zh) 全固体电池
US20230299338A1 (en) Composite solid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10086686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 이차 전지
US20220158227A1 (en) Precursor composition for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KR20210111951A (ko) 전고체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이차전지
KR20220144697A (ko)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US12009519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of, cathode includ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KR20220137426A (ko) 전고체 전지용 복합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전고체 전지용 양극층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US20230123843A1 (en) Composite cathod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cathode
US20230343955A1 (en)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cath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220407071A1 (en) Composit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20053459A (ko) 전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차전지
US20230399239A1 (en) Electrode active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lectrode compris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KR20230013567A (ko) 복합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차전지
US20240154159A1 (en) Electrolyt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Electrolyte
US20240145767A1 (en) Solid-state electrolyte, lithium battery comprising solid-state electrolyte, and preparation method of solid-state electrolyte
US20240113327A1 (en) Solid-state electrolyte, lithium battery comprising solid-state electrolyte, and preparation method of solid-state electrolyte
WO2023013132A1 (ja) 負極活物質および全固体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