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609A -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609A
KR20220144609A KR1020210051132A KR20210051132A KR20220144609A KR 20220144609 A KR20220144609 A KR 20220144609A KR 1020210051132 A KR1020210051132 A KR 1020210051132A KR 20210051132 A KR20210051132 A KR 20210051132A KR 20220144609 A KR20220144609 A KR 20220144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blocking
stem
fruit tree
block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951B1 (ko
Inventor
찬 정
신경숙
Original Assignee
찬 정
신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찬 정, 신경숙 filed Critical 찬 정
Priority to KR102021005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9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실수 줄기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을 향해 차단 부분이 돌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실수 줄기의 굵기에 맞춰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실수 줄기를 타고 위로 오르는 동물이 차단 부분을 타고 넘을 수 없게 하여 유실수 과실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차단 부분의 돌출 길이가 15㎝ 이상 넓게 형성함으로써, 유실수 줄기를 타고 오르내리는 동물이 차단 부분을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동물이 다치지 않게 하여 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 부분이 바깥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 등이 고이지 않게 하고 특히 낙과 등이 차단 부분 위에 쌓이지 않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NIMALS FROM CLIMBING FRUIT TREE}
본 발명은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실수 줄기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에 차단 부분이 갓 형태가 되도록 고정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유해 동물이 유실수 줄기의 하부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여 과실을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 부분은 양단이 서로 마주하거나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유실수 줄기의 지름에 따라 차단 부분의 일부를 겹쳐서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 부분은 유실수 줄기에 장착한 고정 부분에서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함으로써, 과실이나 먼지 그리고 이물 등이 차단 부분에 쌓이지 않게 하면서도 빗물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 부분은 유실수 줄기에서 일정 간격만큼 떨어지게 설치하여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빗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하여 유실수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유해 동물이 위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유해동물은 산ㆍ들 또는 강 등 자연상태에서 서식하거나 자생(自生)하는 동물 중 사람의 생명이나 재산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을 말한다(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시행 2020. 11. 27.]). 이에, 이 법률에 근거하여 포획 허가를 받고 유해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유해동물을 포획하는데 이용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234304호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의 출몰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어 유해동물이 내딛는 발의 가압력으로 동작하여 거치된 결박기구가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전기구; 상기 장전기구의 환형지지체의 둘레 면에 거치되어 있다가 환형지지체의 상향 선회시 이탈되어 유해동물(멧돼지)의 발목부위를 결박해 포획하는 결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의 출몰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어 유해동물을 안전하게 결박하여 포획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2124812호
유해동물을 먹이를 이용해 포획틀 내부로 유인하면 자동으로 유인을 위한 출입구를 닫히도록 하여 유해동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포획되게 하면서 유해동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포획 가능하게 하고, IoT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은; 포획틀의 내부로 사방이 막힌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포획틀의 공간을 이용해 동물을 유인하는 포획틀 부재와; 상기 포획틀 부재에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각각 형성하는데, 상기 제1유입구는 제1도어부가 개폐되게 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제2도어부가 개폐되게 하며, 상기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의 개폐작용을 이용해 상기 포획틀에 유인된 동물을 가두는 개폐 부재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해 포획틀의 영상데이터를 원거리 통신 환경에서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실시간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포획틀 부재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관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2083897호
농경지의 외곽에 설치되며 야간에 야광효과를 가지는 맹수의 눈동자의 도안을 통해 유해금수를 위협하여 농경지로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퇴치함으로써, 농경지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도록; 바닥에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수직 지주와; 상기 수직 지주에 연결되며 유해동물을 위협하도록 된 형상을 가지며 야간에 광을 입력받아 발광하도록 된 형광 물질로 인쇄된 위협 도안이 표면에 표시된 위협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해동물 퇴치 장치에서; 상기 위협 본체는, 상기 수직 지주에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되며 자체탄성을 가지어 복원운동을 하도록 된 연결체의 종단에 구비되는 유해동물 퇴치 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해동물 퇴치 장치는, [도 1]과 같이, 유실수에 적용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청설모, 다람쥐, 담비와 같은 동물은 밤나무, 잣나무, 감나무, 대추나무 따위의 유실수에 달린 열매나 과일을 먹이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퇴치 장치로는 퇴치하기가 어렵다.
(2) 또한, 기존의 퇴치 장치로는 보호동물을 잡을 수 없음에도, 때에 따라 보호동물이 퇴치 장치에 잡힐 때가 있다.
(3) 특히, 그리고 기존의 퇴치 장치는 동물이 지나다니는 통로 상에 설치하여 동물을 유인하는 장치이므로, 유실수에 오르내리는 동물을 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각 유실수에 하나씩 기존 퇴치 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4) 또한, 유실수에 오르내리는 동물의 종류가 많고, 각 동물의 크기와 습성이 달라 기존의 유해동물 퇴치 장치로는 유해동물로부터 유실수 과실을 보호할 수 없다.
(5) 게다가 기존 유해동물 퇴치장치로는 보호동물까지도 걸려 폐사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34304호 (등록일: 2021.03.25) 한국등록특허 제10-2124812호 (등록일: 2020.06.15) 한국등록특허 제10-2083897호 (등록일: 2020.02.26)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유실수 줄기에 고정하는 고정 부분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을 향해 차단 부분이 돌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실수 줄기의 굵기에 맞춰 양단이 중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면에서 유실수 줄기를 타고 위로 오르는 동물이 이 차단 부분을 타고 넘을 수 없게 하여 유실수 과실을 보호할 수 있게 한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차단 부분의 돌출 길이가 15㎝ 이상 넓게 형성함으로써, 유실수 줄기를 타고 오르내리는 동물이 이 차단 부분을 타고 넘어 유실수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동물이 다치거나 폐사하지 않게 하여 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 한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차단 부분이 유실수 줄기에 고정한 고정 부분에서 아래로 갈수록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 등이 고이지 않게 하고 특히 낙과 등이 차단 부분 위에 쌓이지 않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는, 유실수(T) 줄기에 설치하는 것으로; 유실수(T) 줄기 둘레를 감아서 양단이 서로 마주하거나 일부가 겹치게 하여 고정할 수 있게 유연한 재질로 띠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부분(100); 및 상기 고정 부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연장해서 유실수(T)에 고정한 고정 부분(100) 아래에서 유해 동물이 고정 부분(100) 위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분(2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분(100)에는, 유실수(T)와 마주하는 안쪽 면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여러 개의 간격 돌기(110), 및 그 바깥쪽에 상기 차단 부분(200)과 일정한 간격(W)을 유지하게 바깥으로 돌출 성형한 여러 개의 장착 돌기(12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 부분(100)과 상기 차단 부분(200)이 접하는 부근에는 상기 차단 부분(200)의 바깥쪽을 향해 방사형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조절 구멍(130)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차단 부분(200)은, 상기 고정 부분(100)에서 15㎝ 이상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 부분(200)은, 유실수(T)에 장착된 고정 부분(100)을 기준으로 바깥으로 갈수록 아래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분(100)은, 한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걸림 홈(14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부분(100)으로 유실수(T) 줄기를 감아서 양단이 서로 겹칠 때 상기 간격 돌기(110)가 상기 걸림 홈(140)에 위치하여 유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유실수 줄기에 설치하고, 지면에서 유실수 줄기를 타고 오르는 유해 동물이 차단 부분을 넘어 위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해 동물이 다치거나 상해를 입지 않게 하면서도 유해동물로부터 과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2)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유실수 줄기에 감았을 때 고정 부분의 양단이 서로 마주하거나 서로 겹쳐질 수 있게 구성함으로, 유실수의 줄기 둘레에 맞춰서 고정 부분의 양단이 서로 중첩하게 한 다음 끈이나 케이블 타이 등으로 고정 부분을 감싸서 고정하여 쉽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이때, 고정 부분과 차단 부분이 접하는 부분에서 차단 부분의 가장자리를 향해 길게 조절 구멍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유실수 줄기의 둘레에 맞춰서 고정 부분을 감을 때 간극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고정 부분에는 유실수와 마주하는 면에 여러 개의 간격 돌기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고정 부분을 유실수 줄기에 고정했을 때 고정 부분과 유실수 줄기 사이에 틈새를 확보하여 공기 유동과 빗물 등이 아래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하여 차단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유실수에 가할 수 있는 위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5) 그리고 상기 고정 부분에는 바깥 면에 차단 부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장착 돌기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이 장착 돌기와 차단 부분 사이에 끈이나 케이블 타이 그리고 철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 부분을 고정하여 유실수 줄기에서 고정 부분이 쉽게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게 하여 유해동물의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6) 한편, 상기 차단 부분은 고정 부분에서 바깥으로 향해 충분한 길이만큼 돌출하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 유실수 줄기에 오르려고 하는 유해동물의 크기에 따라 차단 부분의 넓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마지막으로, 상기 차단 부분은 고정 부분을 유실수 줄기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 고정 부분을 기준으로 아래로 향할수록 바깥으로 퍼지는 형태가 되게 제작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 그리고 낙과 등이 차단 부분 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유실수에 유해동물이 유실수 과실을 얻으려고 유실수 줄기를 타고 오르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를 유실수 줄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를 유실수 줄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해동물 차단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에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고정 부분(100), 그리고 차단 부분(2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차단 부분(200)은 유실수(T) 줄기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100)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구성함으로써, 유실수(T) 줄기를 타고 오르는 유해동물이 이 차단 부분(200)을 타고 넘지 못하게 하여 유실수 과실을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부분(100)은 유실수(T) 줄기 둘레를 감아서 설치할 때 양단이 서로 마주하거나 일부가 서로 중첩하게 유연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유실수(T) 줄기의 둘레에 맞춰 고정 부분(100)의 양단이 중첩하게 겹쳐서 사용할 수 있어 줄기 둘레가 다른 유실수(T)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부분(100)에는, 유실수(T) 줄기와 마주하는 면에 여러 개의 간격 돌기(110)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유실수(T) 줄기에 고정 부분(100)을 고정하더라도 고정 부분(100)과 유실수(T) 줄기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빗물 등이 고정 부분(100)을 통과하여 아래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분(100)의 바깥 면에는 상기 차단 부분(200)과 일정 간격(W)을 두고 여러 개의 장착 돌기(120)가 돌출 성형함에 따라, 이 장착 돌기(120)와 차단 부분(200) 사이에 끈이나 철사 또는 케이블 타이(T) 등을 이용하여 유실수(T) 줄기에 고정 부분(100)을 쉽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부분(100)과 차단 부분(200)이 접하는 부분에서 차단 부분(200)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향해 여러 개의 조절 구멍(130)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유실수(T) 줄기의 둘레에 맞춰 고정 부분(100)의 양단을 중첩하게 겹칠 때 이 조절 구멍(130)의 틈새를 통해 쉽게 변형하게 하여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차단 부분(200)은 유실수(T) 줄기에 장착된 고정 부분(100)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아래로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빗물이나 이물 그리고 낙과 등이 차단 부분(200) 위에 쌓이지 않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T"는 밤나무, 잣나무, 감나무, 대추나무 따위의 먹거나 유용한 열매가 열리는 유실수를 나타낸다.
가. 고정 부분
고정 부분(100)은,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띠 형태로 이루어져서 유실수(T) 줄기의 둘레에 감아서 고정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 부분(100)은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유실수(T) 줄기 둘레를 적어도 1회, 가장 바람직하게는 한 번 감고 나서 양단의 가장자리 부분이 어느 정도 범위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이는, 양단이 서로 겹쳐지게 함으로써, 이 고정 부분(100)에 형성되는 후술할 차단 부분(200)도 함께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하여 고정 부분(100) 아래에서 유해 동물이 고정 부분(100) 위로 올라가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굵기가 다른 유실수(T) 줄기에도 쉽게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고정 부분(100)에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여러 개의 간격 돌기(110), 여러 개의 장착 돌기(120), 여러 개의 조절 구멍(130),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걸림 홈(140)이 형성된다.
1. 간격 돌기
간격 돌기(110)는, [도 2]·[도 3] 및 [도 6]과 같이, 고정 부분(100)을 유실수(T) 줄기에 감았을 때 유실수(T) 줄기와 마주하는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부분(100) 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격 돌기(110)는 고정 부분(100)과 유실수(T) 줄기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게 하여 빗물 등이 고정 부분(100) 사이로 쉽게 빠져나가게 하면서도 고정 부분(100)이 유실수(T) 줄기를 너무 강하게 압박하지 않게 하면서도 쉽게 고정 부분(100)을 접촉하게 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한다.
2. 장착 돌기
장착 돌기(12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고정 부분(100)의 바깥 면, 즉 간격 돌기(110)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돌출 형성된다. 특히, 장착 돌기(120)는 후술할 차단 부분(200)과 일정 간격(W)을 유지하게 고정 부분(100)에서 돌출 형성함으로써, [도 5] 및 [도 6]과 같이 장착 돌기(120)와 차단 부분(200) 사이에 와이어나 끈 케이블 타이(T) 등을 이용하여 고정 부분(100)을 유실수(T) 줄기에 감아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3. 조절 구멍
조절 구멍(13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 부분(100)과 상기 차단 부분(200)이 접하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후술할 차단 부분(200)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향해 방사형이 되게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 구멍(130)은 상기 고정 부분(100)을 유실수(T) 둘레에 맞춰서 감고 이 고정 부분(100)의 양단이 서로 중첩하게 겹칠 때 조절 구멍(130)의 틈새가 좁아지면서 차단 부분(200)과 함께 쉽게 변형이 이루어져서 쉽고 편리하게 고정 부분(100)을 장착할 수 있게 한다.
4. 걸림 홈
걸림 홈(14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 부분(100)의 한쪽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 홈(140)은 고정 부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를 형성함으로써, 유실수(T) 줄기의 굵기에 따라 고정 부분(100)의 양단이 서로 겹쳐지게 했을 때 상기 간격 돌기(110)기 이 걸림 홈(140)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유실수(T) 줄기의 둘레에 맞춰 유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나. 차단 부분
차단 부분(200)은,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 부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연장하여 돌출하게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차단 부분(200)은 고정 부분(100)의 가장자리에서 1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분(100)을 유실수(T) 줄기에 고정했을 때 유해동물이 이 차단 부분(200)을 타고 넘을 수 없을 정도의 넓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부분(200)에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 구멍(130)이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 구멍(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분(100)을 유실수(T) 줄기에 장착할 때 차단 부분(200)이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부분(200)은, [도 5]와 같이, 상기 고정 부분(100)을 유실수(T) 줄기에 고정했을 때 아래로 갈수록 바깥으로 넓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물이나 먼지 그리고 낙과 등이 차단 부분(200) 위에 쌓여 냄새가 나거나 달라붙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실수 줄기에 고정 부분을 고정함에 따라 차단 부분이 유실수 줄기에서 갓 형태로 유지하게 되어 유해동물이 이 차단 부분을 타고 넘을 수 없게 하여 유해동물로부터 과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100: 고정 부분
110: 간격 돌기
120: 장착 돌기
130: 조절 구멍
200: 차단 부분
T: 유실수

Claims (4)

  1. 유실수(T) 줄기에 설치하는 것으로,
    유실수(T) 줄기 둘레를 감아서 양단이 서로 마주하거나 일부가 겹치게 하여 고정할 수 있게 유연한 재질로 띠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부분(100); 및 상기 고정 부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연장해서 유실수(T)에 고정한 고정 부분(100) 아래에서 유해 동물이 고정 부분(100) 위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분(2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분(100)에는, 유실수(T)와 마주하는 안쪽 면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여러 개의 간격 돌기(110), 및 그 바깥쪽에 상기 차단 부분(200)과 일정한 간격(W)을 유지하게 바깥으로 돌출 성형한 여러 개의 장착 돌기(12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 부분(100)과 상기 차단 부분(200)이 접하는 부근에는 상기 차단 부분(200)의 바깥쪽을 향해 방사형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조절 구멍(130)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차단 부분(200)은,
    상기 고정 부분(100)에서 15㎝ 이상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차단 부분(200)은,
    유실수(T)에 장착된 고정 부분(100)을 기준으로 바깥으로 갈수록 아래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 부분(100)은,
    한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의 걸림 홈(14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부분(100)으로 유실수(T) 줄기를 감아서 양단이 서로 겹칠 때 상기 간격 돌기(110)가 상기 걸림 홈(140)에 위치하여 유격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KR1020210051132A 2021-04-20 2021-04-20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KR10259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132A KR102590951B1 (ko) 2021-04-20 2021-04-20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132A KR102590951B1 (ko) 2021-04-20 2021-04-20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609A true KR20220144609A (ko) 2022-10-27
KR102590951B1 KR102590951B1 (ko) 2023-10-19

Family

ID=8381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132A KR102590951B1 (ko) 2021-04-20 2021-04-20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95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02U (ko) * 1998-09-25 2000-04-25 상종규 유실수 피해 방지구
KR20070117446A (ko) * 2007-04-11 2007-12-12 전창국 청설모방지와 포획장치
JP2007330241A (ja) * 2006-06-13 2007-12-27 Tadashi Tamura 動物の樹木登攀阻止具
KR20090035138A (ko) * 2007-10-05 2009-04-09 이용일 유실수의 열매 보호용 갓
KR20110119599A (ko) * 2011-10-06 2011-11-02 강철규 청설모 오름 방지 판
KR20190103847A (ko) * 2018-02-28 2019-09-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목 방지 기구
KR102083897B1 (ko) 2019-08-19 2020-03-03 주식회사 우리농자재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124812B1 (ko) 2019-09-30 2020-07-07 주식회사 피스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CN112369263A (zh) * 2020-11-13 2021-02-19 王道艳 一种园林新移植树木用防爬虫爬升的加固装置
KR102234304B1 (ko) 2020-11-03 2021-04-01 권태용 유해동물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02U (ko) * 1998-09-25 2000-04-25 상종규 유실수 피해 방지구
JP2007330241A (ja) * 2006-06-13 2007-12-27 Tadashi Tamura 動物の樹木登攀阻止具
KR20070117446A (ko) * 2007-04-11 2007-12-12 전창국 청설모방지와 포획장치
KR20090035138A (ko) * 2007-10-05 2009-04-09 이용일 유실수의 열매 보호용 갓
KR20110119599A (ko) * 2011-10-06 2011-11-02 강철규 청설모 오름 방지 판
KR20190103847A (ko) * 2018-02-28 2019-09-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목 방지 기구
KR102083897B1 (ko) 2019-08-19 2020-03-03 주식회사 우리농자재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124812B1 (ko) 2019-09-30 2020-07-07 주식회사 피스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KR102234304B1 (ko) 2020-11-03 2021-04-01 권태용 유해동물 포획장치
CN112369263A (zh) * 2020-11-13 2021-02-19 王道艳 一种园林新移植树木用防爬虫爬升的加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951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1827B1 (en) Japanese beetle trap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US20200178514A1 (en) Snap Trap Sheild
KR102457324B1 (ko) 포충기
US11974564B2 (en) Animal trap
US5622001A (en) Slug and snail trap
US20090235581A1 (en) Apparatus to prevent climbing a vertically disposed member
US9326458B1 (en) Tree trunk snail shield and method of preventing snails from accessing the upper portions of a tree
KR101195068B1 (ko) 모기 유충 살충 박스
KR20220144609A (ko) 유실수용 유해동물 차단장치
KR20110126420A (ko) 해충 유인 퇴치기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210073938A (ko)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US9426976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game or pests
KR100984632B1 (ko) 해충 유인 포획기
JP5597125B2 (ja) ハエ等の飛翔防止及び捕獲用ネット構造
Fitzwater House sparrows
KR200268212Y1 (ko) 과수용 해충 및 조류 퇴치기
KR200497571Y1 (ko) 유실수용 야생동물 등목 방지기구
KR20100119654A (ko) 해충 통로차단 및 포획장치
US20240099292A1 (en) Modular Insect Barrier Device
KR200323905Y1 (ko) 조류포획기
US11596137B2 (en) Lanternfly trap
RU27618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стволов деревьев от ползающих насекомых
CA3097705C (en) Animal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