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938A -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 Google Patents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938A
KR20210073938A KR1020190164761A KR20190164761A KR20210073938A KR 20210073938 A KR20210073938 A KR 20210073938A KR 1020190164761 A KR1020190164761 A KR 1020190164761A KR 20190164761 A KR20190164761 A KR 20190164761A KR 20210073938 A KR20210073938 A KR 20210073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brown
winged
catch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384B1 (ko
Inventor
권기봉
백경규
김영운
이신동
정성채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
Priority to KR102019016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날개매미충과 같은 외래 해층을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포획용 트랩으로, 대체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유인제가 설치되고, 측면과 하면에 외광내협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해충 유입구(110)가 형성된 포획통(100)과; 상기 포획통(100) 상부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치되며, 상부에서 유입된 해충을 포획통(100)으로 빠지도록 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에 회전기류를 일으켜 포획통(100) 내의 유인제가 상기 모든 복수의 해충 유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체(200)와; 상기 포획통(1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바람유입구(310)가 외곽에 형성된 뚜껑(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A Catching trap for Ricania shantungensis}
본 발명은 해충 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래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을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hantungensis)은 매미목(Homoptera) 큰날개매미충과(Ricaniidae)이며, 중국 동부지역 산둥성과 저장성이 원산으로 여러 과수류와 가로수의 해충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록에는 산수유, 매실나무, 때죽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밤나무 등을 선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 발생은 2010년 충남 공주와 예산에서 사과와 블루베리를 가해하는 것이 최초로 발견되었고, 2011년에는 전남 구례군 산동면 외산리 인근의 약 286ha에 발생하여 산수유, 감, 밤, 매실 등의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었다. 갈색날개매미충 발생과 피해의 심각성을 인식한 후 갈색날개매미충 서식·산란 기주식물 조사에서 과수류를 포함한 가죽나무, 때죽나무, 산수유 등 목본식물 32종과 개망초, 갈퀴덩쿨, 쇠무릅 등 초본식물 19종을 포함한 총 51종이 확인되었다.
현재는 복숭아, 사과, 감, 블루베리, 매실 등 대부분의 과수작물, 산림과 인접한 공원지역, 가로수 및 산림지역까지 대부분의 초목류에서 총 62과 138종으로 급격히 기주식물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지역적으로는 2010년 충남에서 최초 발견된 후 급속히 확산되어 2016년에는 경기, 충남북, 전남북, 경남북 지역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2017년에는 강릉과 제주 등 전국적 발생이 확인되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은 주로 1년생 가지에 2줄로 가지런히 심어 놓는다(난괴). 산란한 후 톱밥과 흰색 밀납 물질을 섞어서 덮는다. 1개의 난괴 속에는 약 30여개의 알이 있다.
월동 및 산란은 연 1회 발생하며, 알(월동난) 상태로 줄기 안에서 월동하게 된다. 8월 중순경부터는 기주식물의 나뭇가지(당해년도 신초, 1년생 가지)를 가해하여 가지 속에 산란을 시작한다. 알(난)이 산란된 가지는 고사하거나, 양분이동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상태로 빈약한 가지로 생장하게 된다. 8월 중순경부터 산란된 알은 이듬해 5월 초중순까지 약 9개월 정도의 알(난, 월동난) 기간을 갖는다.
부화시기 및 약충 기간은 5월 초중순경부터 부화하여 4회(1~4령충, 약충기) 탈피를 거친 후 7월 중순경 성충이 된다. 약충 기간은 약 2개월이며, 월동난(알)에서 부화한 약충은 날개가 돋지 않는 상태로써, 날개가 없기 때문에 도약(점프)하거나 기어서 월동난이 산란된 기주식물 주변부터 농작물 또는 초목류의 신초부위를 흡즙(먹이섭식)하며, 발육 및 성장 활동을 왕성하게 하게 된다. 약충 기간에는 항문부위에 흰색의 밀납 물질을 달고 있으며, 3~4령기로 발육 성장하여 충체가 커지면서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 밀납 물질을 많이 달고 있어서 기주식물과 농작물의 줄기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약충 기간에는 성충보다 많은 수액을 흡즙하며, 감로를 배설하고 이러한 감로로 인하여 그으름병이 유발된다.
성충은 7월 중순부터 출현하여 약 1개월간 산란준비를 한 후 8월 중순부터 잔가지(당해년도 신초부가 조금씩 경화된 나뭇가지)에 산란을 시작하며, 산란된 잔가지에서 알(난)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부화하여 약충이 되고, 섭십 활동(기주식물 흡즙 가해)을 하여 성충으로 우화한다. 그리고 약충 기간 후 우화한 성충은 약충기(날개가 돋지 않은 시기임) 때보다 이동거리가 확장되어 원거리 이동경로 중 기주식물에 따라서 분산이 임의적 또는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당해 연도 발생한 성충은 그 이듬해까지 성충상태로는 월동하지 않으며, 11월 중순경에는 사망하게 되고, 성충우화 후 산란 전 기간동안 이루어진 이동거리와 분산형태에 따라 지역적 발생량(밀도)과 피해량에 차이가 있다.
약충의 분산 시기는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이며, 분산 특징은 월동기주에서 주변 초종으로 1차 분산을 하고, 이후 수목류의 새순 부위로 2차 분산을 한다. 기주 분산의 목적은 월동 후 부화한 기주식물에서의 발생밀도(량) 증가와 약충기 성장에 따른 먹이 경쟁 회피, 수목류 새순 부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점차적 경화로 인한 연한 새순 찾기에 있다고 판단된다. 실제로 다양한 초목류에서 생육단계가 상대적으로 늦은 연한 새순이 있는 개체를 찾아 임의 분산 이동이 일어난다. 7월 중순이 되면 성충의 분포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성충 우화 후 기주식물의 군집 크기 또는 밀도 유무에 따라 집중분포 또는 임의분포로 분산 및 집산이 활발히 전환되는 시기이다.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에는 산란자국(흔적)이 확인되는 시기로 갈색날개매미충이 개체군으로써, 대체로 집중분포가 확인되는 시기이다.
농촌진흥청과 산림청이 공동으로 실시한 '2019 농림지 동시발생 돌발해충 발생조사'에서 주요 돌발해충의 발생면적이 전체적으로 줄어듦을 확인했다. 그러나 갈색날개매미충은 2018년 발생지역이 94곳, 발생면적은 1만1042ha 이었던 것이, 2019년 발생지역은 106곳, 발생면적은 1만1096ha로 전년 대비 지역은 12곳, 면적은 54ha가 늘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농작물 이외에 산림 속 대부분의 수목류에서 서식이 가능하여 농경지내에서의 화학약제(작물보호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유입되며, 농경지에서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피해양상은 산란에 의한 가지고사, 약충과 성충 흡즙에 의한 줄기 생장저해 및 말라죽음, 배설물(감로)에 의한 그을음병 유발 등으로 나타난다.
기주 작물은 62과 138종으로 대부분의 수목류에 발생하며 사과, 배, 복숭아, 블루베리, 대추, 매실, 산수유, 밤 등 주로 목본류에 피해를 주고, 발생밀도(량)가 높을 때는 초본류에도 피해가 나타난다.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방법에는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있다.
물리적 방제방법에는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노란색 평판트랩이 대표적이며, 유인등을 이용한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노란색이 갈색날개매미충의 유인반응을 이끄는 것으로 확인되어 노란색 평판트랩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광색의 밝은 빛에도 유인반응을 보여 이를 바탕으로 한 방법들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8월 중순부터 다음해 5월 이전까지는 산란된 피해가지를 제거하여 월동난의 부화를 차단함으로써, 약충 및 성충 발생밀도를 억제하는 방법도 있다.
화학적 방제방법은 작물보호제(살충제)를 이용한 방법으로써, 갈색날개매미충의 성장 및 이동 시기에 맞춰진 방제전략을 필요로 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성장 및 이동 시기는 약충 시기, 성충 시기, 성충 산란시기, 월동란 시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시기에 맞춰 살충제 사용처 주변의 일반곤충과 인축에 대한 피해유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방제횟수를 줄이기 위한 약제 선택과 살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점을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살포 유무를 결정해야 한다. 약충 시기는 날개가 없어 이동성이 취약하고 약제 감수성이 높아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효율(방제효과)이 가장 높은 시기로 5월 초중순경부터 알에서 부화한 1~2령을 대상으로 살포하게 된다. 약충 기간에는 령기가 증가할수록 활발히 주변부로의 이동이 이뤄지지만 이동성의 한계로 개체군으로의 집단 분포 형태를 띠기 때문에 방제효율성은 좋을 수 있다. 그러나 방제시점의 선택과 방제시 대기로 비산되거나 토양에 축척되어 비표적오염원에 대한 피해 및 유해성은 경계해야 한다. 그리고 약충에서 우화한 성충은 날개로 이동하며, 산란 전까지 높은 이동성으로 임의 분포의 형태를 보이는 시기로, 재배중인 농작물에 살포할 경우 이 시기를 대상으로는 7월초부터 8월 중순까지 작물과 주변 야산까지 동시에 방제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 무렵에 수확되는 농작물에서는 수확 며칠 전까지 사용가능한 농약인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농경지 인근에서의 발생과 농경지로의 유입이 수차례 반복되어 농작물의 피해규모(량)가 증가하여 주변부로까지의 방제가 이루어진다면 농약 사용량과 방제면적은 점점 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예찰)을 통해 발생밀도(량) 파악 후 방제를 진행해야 한다. 특히, 작기가 짧아 이른 시기에 이미 수확이 끝난 작물에서도 가지피해가 발생함으로 성충 산란 시기에 주의해야 하는 점도 있다.
노란색 평판트랩을 이용한 방제방법은 다양한 작물에서 다양한 해충을 대상으로 모니터링(예찰) 및 방제용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개당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별다른 지식 없이 작물 주변에 설치하면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모니터링 및 방제에서의 원리는 노란색에 반응하는 해충이 유인되어 평판 점착부 끈끈이에 포획/유살되는 단순한 원리이다. 갈색날개매미충 역시 노란색에 민감한 유인 반응을 보여, 이미 대표적인 물리적 방제 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갈색날개매미충을 대상으로 노란색 평판트랩을 사용 시 평판트랩의 크기에서 대형화가 필요하고 비주기적인 교체 시기가 발생하여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생량이 많아도 트랩에서는 잡히지 않는 상황이 되기도 한다. 노란색 평판트랩을 사용하는 해충 중 갈색날개매미충은 비교적 대형종에 속하며, 특히 넓고 큰 날개를 가지고 있고, 날개 뒷면으로 누운상태로 잡히는 경우가 많아서 평판점착부의 접착 면적이 금세 소모되고, 점착부 보호가 없어 노란색 평판트랩이 설치된 주변부의 관리 상태에 따라서, 그리고 강우와 바람 등에 의한 각종 이물질(흙먼지, 낙엽 등)의 오염에 취약하기도 하다. 이 경우에 추가 포획과 개체 발생량을 지속적으로 줄이기 위해 점착력이 떨어진 평판트랩은 수시로 교체해 줘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노란색 평판트랩은 단순한 원리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빠른 점착부 소모 및 오염에 대비한 대형화와 비주기적인 교체에 따른 미예측 노동력 투여와 관리의 어려움이 단점으로 나타난다. 또한, 포획 유살 대상이 성충에 국한된다.
한편, 갈색날개매미충은 주광색(하얀색) 유인등에 민감한 유인 반응을 나타낸다. 성충이 작물 재배지로 유입될 때 이동을 차단하거나 대량포획을 통한 방제용으로 연구되어 본격 사용을 준비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서는 주로 야간기온이 23℃ 이상인 7월~9월에 성충을 대상으로 사용하고, 18시에서 24시까지 작동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대부분의 유인 포획이 19시부터 23시 사이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인등은 전력을 필요로 하고 그 전력으로 인해 설치 위치의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갈색날개매미충은 작물 재배지와 인근 야산 그리고 산림까지 넓은 범위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위치적 한계는 단점으로 지적된다. 불빛의 세기를 강하게 하여 위치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지만, 자칫 필요이상의 원거리 유인과 불필요한 해충 유인으로 인한 2차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갈색날개매미충의 행동 패턴은 주야를 가리지 않고 이동하기 때문에 낮 시간 때 다른 방제 수단을 고민해야 한다.
살충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은 넓은 면적 처리와 우수한 효과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갈색날개매미충의 약제 감수성이 높기 때문에 등록된 화학농약 대부분이 괜찮은 효과를 보여준다.
친환경농약 자제 중 주로 사용되는 고삼추출물, 님오일, 피마자오일과 기계유유제 등도 준수한 약효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용화된 유기농자재 제품 중에서도 매우 우수한 살충효과를 보이는 제품도 있다.
살충제 살포의 가장 큰 장점은 넓은 면적 처리와 약충과 성충을 모두 방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화학 살충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작물보호제 PLS(Positive List System(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의 전면 시행으로 과수 품목별로 사용가능한 약제가 달라 방제대상지역 내에 여러 종의 농작물이 재배되고 있다면, 대규모 공동방제가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살충제 살포 구간에 대한 재배작물의 규모와 양봉의 봉군 규모 및 꿀벌들의 밀원지에 대한 확인을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약충과 성충의 시기별로 전략적으로 살포를 해야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비례 비산이 활발한 성충기간은 시기적으로 적기 방제 시간을 잘 판단해야 하는 연간 방제계획상의 복잡성도 가지고 있다. 인축독성 및 환경오염의 문제는 늘 붙어 다니는 화학농약의 문제점이다. 유기농자재 상품이나 친환경 자제는 넓은 범위 살포시 효과 일관성에 대한 의심이 있다.
기타 유인식물을 이용한 방법이 연구되어 좋은 성과를 보였는데, 갈색날개노린재가 해바라기에 잘 모이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작물재배지 주변에 해바라기를 1m 간격으로 심은 뒤 침투이행성 약제를 해바라기에 투입하여 수액을 흡즙하는 과정에서 살충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약충과 성충 모두에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나 작물과 유인식물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갈색날개매미충이 방제가 어려운 가장 큰 특징은 높은 개체군 밀도와 넓은 기주범위에 있다. 특히, 확산 형태도 시기가 지남에 따라 지점에서 지역으로 급격하게 번지는 경향을 띠고 있는데 이것이 일률적이지 않다는 어려움 있다. 더욱이, 산지와 산림내 불특정(비표적 기주에서의 밀도증가) 분포 식물이 기주식물화되는 가능성도 높으며 지금도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이 관찰되고 확인되는 기주식물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욱이, 발생이 확인된 기주식물에서도 연간 발생밀도(발생량)에는 매년 변화가 관찰되고 있는데, 이는 기후변화와 함께 선호하는 기주식물에서도 신초발생 양상과 기간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이 갈색날개매미충 방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즉,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에서는 이들의 생태적인 부분과 환경적인 부분까지, 모두에서 방제를 어렵게 하고 있으며 기존 방제 수단들은 각각의 한계성이 있으며, 종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들여야 하는 비용과 노동력, 관리 측면에서 부담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4951호(2019.01.28.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20485호(2018.01.15.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706107호(2017.02.07.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갈색날개매미충의 생태와 환경적인 부분, 기존 방제 수단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태의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유인제가 설치되고, 측면과 하면에 복수의 해충 유입구가 형성된 포획통과; 상기 포획통 상부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치되며, 상부에서 유입된 해충을 포획통으로 빠지도록 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에 회전기류를 일으켜 포획통 내의 유인제가 상기 모든 복수의 해충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체와; 상기 포획통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바람유입구가 외곽에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은 내부의 유인제를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인 및 포획기능의 지속성과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전방향에서의 포획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갈색날개매미충의 행동특성을 바탕으로 설계됨으로써 트랩으로의 유인과 포획성능이 우수하고, 포획된 갈색날개매미충은 탈출이 불가능하며, 방제대상해충이 아닌 일반 곤충과 유익곤충에 대한 불필요한 포획이 이루어지지 않고, 약충과 성충이 동시에 출현하는 경우에도 이들을 동시에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획용 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획용 트랩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포획용 트랩(1)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포획용 트랩(1)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유인제(도시 생략됨)수의 해충 유입구(110)가 형성된 포획통(100)과;
상기 포획통(100) 상부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치되며, 상부에서 유입된 해충을 포획통(100)으로 빠지도록 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에 회전기류를 일으켜 포획통(100) 내의 유인제(도시 생략됨)가 해충 유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체(200)와;
상기 포획통(1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바람유입구(312)가 외곽에 형성된 뚜껑(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의 트랩(1)은 뚜껑(300)에 구비된 행거 고리(322)를 이용하여 나뭇가지 등에 매달아 사용할 수도 있고, 포획통(100)의 바닥에 구비된 지지대 끼움홈(140)에 파이프 등의 장대를 끼워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세워 스탠드 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획통(100)은 측면 상단과 중단부에 복수의 갈색날개매미충이 유인되도록 해충 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측면에 형성된 해충 유입구(110)는 측면의 내측으로 만입된 요(凹)형의 유입구(110a,110a')와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철(凸)형 유입구(110b,110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요(凹)형 유입구는 측면에서 내부쪽으로 향하는 것으로 크기는 상단의 유입구(110a; 주로 성충대상) 외측의 지름은 3cm이고 길이도 3cm이며, 유입구 내측의 지름은 1cm으로 외광내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 측면 중단에 형성된 유입구(110a';주로 약충대상)는 외측과 끝의 지름이 1cm이고 길이는 3cm이다. 철(凸)형 유입구(110b,11b')는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내부 크기는 요(凹)형 유입구(110a)와 동일하다. 외부로 돌출된 철형 유입구(110b,110b')는 상단부에 형성된 것(110b)은 외측 지름 3cm, 길이 2cm 이고, 중단부에 형성된 것(110b')은 지름 1cm, 길이 2cm 이다.
한편, 포획통(100)의 바닥에 형성된 해충 유입구(110c)는 모두 내부쪽으로 향하며 크기는 측면 중단에 형성된 해충 유입구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포획통(100)의 외측면에는 갈색날개매미충을 해충 유입구(110)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인 길(120; guide road)이 만들어져 있다. 상기 유인 길(120)은 측면 외부로 돌출되어 갈색날개매미충이 나뭇가지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반원 단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단 폭과 높이가 각각 4mm이다. 철(凸)형 유입구(110b)에는 45° 각도로 오름길(130)이 만들어져 있다.
상기 포획통(100)의 상단에는 덮개(3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52)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된 플랜지부(1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150)의 내측에는 분리체(200)의 안치를 위한 안치턱(1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철(凸)형 유입구(110b,110b')는 내부에 설치된 유인제에 이끌린 갈색날개매미충의 약충이 도약 후 안착판, 성충의 비행 후 안착판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나뭇가지를 형상화한 이동특성을 고려한 부분이다.
또, 측면의 유인 길(120; Guide road)은 유인제에 이끌려 포획통(100)의 불특정 부분에 안착하였을 때 해충 유입구(110)로 유도하는 역할로 보행 습성을 고려한 부분이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초목에 안착하면 주로 보행으로 이동한다. 곤충의 기본적인 상향보행 습성과 갈색날개매미충의 길을 따라 보행하는 습성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충 유입구(110)의 상,하 분리는 갈색날개매미충 약충 및 성충의 동시 포획 방제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트랩(1) 자체로 연중발생기간을 고려한 방제전략으로써 포획통(100) 측면 중단에 약충을 위한 해충 유입구(110a',110b')를, 상단에 성충을 위한 해충 유입구(110a,110b)를 형성하여 방제의 효율성을 늘렸다.
상기 분리체(200)는 포획통(10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안치턱(154)에 안치되어 포획통(1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분리체(200)는 대체로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태를 가지고, 하부 배출구(210)가 중앙에 있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배출구(210)는 수직 하방으로만 향하지 않고 하향 45° 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사각형(가로1cm, 세로2cm)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분리체(200)는 포획통(100)과 뚜껑(30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포획통(100)에 들어온 갈색날개매미충을 위로 오르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분리체(200)가 변형된 깔대기 형태를 이루는 이유는 뚜껑(300)에서 내려오는 바람을 측면에 위치한 하부 배출구(210)로 몰리게 하고, 하부 배출구(210)를 통과한 바람은 포획통(100) 내부에서 약하지만 회전 기류를 형성하고, 이 기류로 유인제 냄새가 모든 해충 유입구(110)로 빠져나가 유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 중 부호 220은 상기 포획통(100)의 안치턱(154)에 안치되기 위한 안치테이다.
상기 뚜껑(300)은 외곽에 바람유입구(312)가 창살 형태로 형성된 내부체(310)와, 상기 내부체(310)와 상하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체(310)의 바람유입구(312)를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외부체(3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체(310)의 하단 둘레에 포획통(1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구멍(15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람유입구(312) 중의 일부는 외부체(320)와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312a)을 형성하는데, 상기 결합구멍(312a)은 대체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부체(320)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결합구멍(312a)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24)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구멍(312a)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상,하단에 걸려 바람 유입구(312)를 폐쇄(도 2 참조)하거나 개방(도 3 참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부체(320)를 들어올려 고정시키면 내부체(310)의 바람 유입구(312)가 개방되어 포획통(100) 내부에 설치된 유인제의 확산과 유인포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창살형태로 이루어진 바람 유입구(312)는 내부체(310) 전체 둘레의 2/3만큼이고, 나머지 1/3 부분은 막혀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 막힌 부분(313)은 바람의 흐름을 트랩(1) 내부(아래로 향하게)로 들어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막힌 부분(313)은 위쪽이 아래쪽 보다 두껍고 아래에서 위로의 각도는 약 10°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포획용 트랩(1)은 노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해충을 대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트랩(1)의 설치 지점에 따라 유인력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인력 차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기상적 및 환경적 요인들(태풍, 집중호우, 혹서기 고온, 음지 및 양지 등)도 변수로 작용된다.
그리고 기상요인 중 자외선과 저온 및 고온 조건은 유인제의 안정적인 방출을 저해하여 대상해충의 발생 기간 동안에 필요로 하는 유인력의 지속성과 항상성 유지를 어렵게 하는 것이 있다. 이는 자외선에 의한 유인제의 분해, 저온 및 고온기간에서의 방출량 불균일 현상은 갈색날개매미충을 트랩으로의 유인과 포획(유살)하는 방제의 일련의 과정에까지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획통은 월동난(알)에서 부화 후 약충 기간과 이후 약충에서 성충으로의 발육기간동안 포획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요인을 최소화하였다. 즉 유인력을 가지는 물질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급속도로 분해(소진)되지 않고, 산림 및 농경지 인접지역, 농경지 등의 설치지점에서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 기간 동안 유인 및 포획(유살)력이 저하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여름철 고온기는 약충기 이후 성충의 이동분산이 이루어지는 시기로써, 약충기 때의 포획과 유살은 갈색날개매미충의 확산 이동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유인력을 가진 물질과 방제용 트랩이 고온다습한 환경조건에 노출되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시기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포획통은 유인물질을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갈색날개매미충의 행동 특성 중에는 기어다닐 경우에는 수직 또는 수평 이동을 하지만, 도약하여 점프한 경우에는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많다. 특히 기주식물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측방향으로의 도약(점프)하여 이동함으로써, 입체적이며, 풍성한 공간(volume)을 가지고 있는 수목류에서의 방제에는 본 발명의 트랩 설치 후 사방의 360°모든 방향의 갈색날개매미충이 방제 대상이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월동난에서 우화 후 약충 시기의 이동과 성충이 된 초기의 분산이동 시에는 다른 나뭇가지에서 또 다른 나뭇가지로 신초를 찾아서 이동한다. 이때 갈색날개매미충의 도약 이동에는 도약 전 발판과 도약 후 안착판 역할을 하는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거주 및 섭식활동을 한다.
이러한 행동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포획용 트랩은 형태적으로 안착판 역할하며, 기능적으로는 트랩 내로 유입한 후에는 탈출할 수 없는 외광내협의 의사 나뭇가지 형태를 갖는 해충 유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획용 트랩은 유인력을 가진 물질을 외부 기상 및 환경요인으로 부터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방제 트랩으로써의 방제 지속성과 항상성 유지가 가능토록 하였다. 그리고 포획통의 측면 상단부의 해충 유입구를 통해 포획통 내부로 유입 시 성충은 날개를 펼친 상태로 접근하여 원뿔형 유입구의 형태에 따른 영향으로 날개를 접어서 포획통 내부로 유입되게 되나, 유입이후에는 탈출할 수 없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포획통 바닥에도 원기둥형 해충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획통 내부로 갈색날개매미충 약충의 유인과 포획유살 기능을 가지고 있도록 하였다.
한편, 유인력을 가진 유인제는 포획통(1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에서의 갈색날개매미충 약충 유인과 포획유살 그리고 상부에서의 갈색날개매미충 성충 유인과 포획유살로 방제함으로써,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생기간과 방제기간동안 2-way 또는 1-way 방식으로의 방제효과 극대화와 유인물질의 전략적 분배를 가능토록 하였다.
본 발명의 포획용 트랩은 갈색날개매미충의 이동습성과 비표적 유인지점으로의 이동경로가 기존 트랩에서의 평면에 해당되는 180°가 아닌, 360°의 공간적 포획력을 가지고 있으며, 트랩이 설치된 지점에서도 방제대상 곤충인 갈색날개매미충에 대한 방제 선택성을 높였다. 360°의 모든 방향에서 접근가능하지만, 이는 방제대상해충이 아닌 일반곤충과 유익곤충에 대한 불필요한 포획이 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포획용 트랩은 유인물질을 이용한 유인과 포획 방식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을 방제할 수 있는바, 하나의 트랩으로 약충과 성충을 모두 방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갈색날개매미충이 발생한 지역의 설치지점에서 360°전방향타입으로 어느 방향으로나 접근하는 개체에 대해 포획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기주식물의 상단부에 발생된 개체들과 하단부에서 접근하는 개체들이 업 앤드 다운폴(up and downfall) 방식으로, 상단부에서는 낙하 도약하는 개체 그리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기어오르며 점프 도약하는 개체들을 대상으로한 기능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를 발생시기별로 보면 이듬해 산란된 월동난으로부터 시작되어, 약충 발생기간에는 약충을 유인포획하여 방제하며, 성충 발생기간에는 성충을 유인포획하여 방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360°방향과 상하방향으로도 유인 포획을 통한 유살방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각 개체별로 월동란 부화시기가 다름으로써, 약충과 성충이 동시에 출현하는 경우에도 약충과 성충을 동시에 유인포획할 수 있다.
1 : 포획용 트랩
100 : 포획통
110,110a,110a'110b,110b',110c : 해충 유입구
120 : 유인 길
130 : 오름 길
140 : 지지대 끼움홈
150 : 플랜지부
152 : 결합구멍
154 : 안치턱
200 : 분리체
210 : 배출구
220 : 안치테
300 : 뚜껑
310 : 내부체
312 : 바람유입구
312a : 결합구멍
313 : 막힌 부분
314 : 결합돌기
320 : 외부체
322 : 행거고리
324 : 결합돌기

Claims (12)

  1. 내부에 유인제가 설치되고, 측면과 하면에 복수의 해충 유입구(110)가 형성된 포획통(100)과;
    상기 포획통(100) 상부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치되며, 상부에서 유입된 해충을 포획통(100)으로 빠지도록 하고 외부에서 유입된 바람에 회전기류를 일으켜 포획통(100) 내의 유인제가 상기 모든 복수의 해충 유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체(200)와;
    상기 포획통(1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바람유입구(310)가 외곽에 형성된 뚜껑(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측면에 형성된 해충 유입구(110)는 측면의 내측으로 만입된 요(凹)형의 유입구(110a,110a')와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철(凸)형 유입구(110b,110b')가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해충 유입구(110a,110b)는 외광내협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바닥에 형성된 해충 유입구(110c)는 내부쪽으로 만입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4. 청구항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외측면에는 갈색날개매미충을 해충 유입구(110)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인 길(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인 길(120)은 측면 외부로 돌출된 나뭇가지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철(凸)형 유입구(110b)에는 유인 길(120)에서 연장되어 45° 각도로 오름길(130)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의 상단에는 덮개(3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52)이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된 플랜지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150)의 내측에는 분리체(200)의 안치를 위한 안치턱(1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100) 측면 중단에는 약충을 위한 해충 유입구(110a',110b')가 형성되고, 포획통(100) 측면 상단에는 성충을 위한 해충 유입구(110a,11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체(200)는 하부 배출구(210)가 중앙에 있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형성되며, 하부 배출구(210)는 수직 하방으로 향하지 않고 하향 45° 정도로 형성되어 포획통(100)과 뚜껑(300)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포획통(100)에 들어온 갈색날개매미충을 위로 오르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뚜껑(300)에서 내려오는 바람을 측면에 위치한 하부 배출구(210)로 몰리게 하고, 하부 배출구(210)를 통과한 바람은 포획통(100) 내부에서 회전 기류를 형성하고, 이 회전기류로 유인제 냄새가 모든 해충 유입구(110)로 빠져나가 유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300)은 외곽에 바람유입구(312)가 창살 형태로 형성된 내부체(310)와, 상기 내부체(310)와 상하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며 내부체(310)의 바람유입구(312)를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외부체(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310)의 하단 둘레에 포획통(1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구멍(15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14)가 형성되고, 상기 바람유입구(312) 중의 일부는 외부체(320)와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312a)을 형성하도록 대체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부체(320)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결합구멍(312a)에 끼워지는 결합돌기(324)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312a)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상,하단에 걸려 바람 유입구(312)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바람 유입구(312)는 내부체(310) 전체 둘레의 2/3만큼 형성되고, 나머지 1/3 부분은 막힌 부분(313)을 이루어 바람의 흐름을 포획통(100)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위쪽이 아래쪽 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KR1020190164761A 2019-12-11 2019-12-11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KR10233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61A KR102334384B1 (ko) 2019-12-11 2019-12-11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761A KR102334384B1 (ko) 2019-12-11 2019-12-11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38A true KR20210073938A (ko) 2021-06-21
KR102334384B1 KR102334384B1 (ko) 2021-12-02

Family

ID=7659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761A KR102334384B1 (ko) 2019-12-11 2019-12-11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54Y1 (ko) * 2021-07-20 2022-05-26 이호기 곤충 포획을 위한 다단 유도 협관 트랩
CN117562030A (zh) * 2024-01-15 2024-02-20 中国农业大学 低逃生概率的杀虫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142A1 (en) * 2005-12-30 2007-07-05 Suteerawanit Nick H Multi-insect trap
KR200469622Y1 (ko) * 2012-06-05 2013-10-22 농합(주)농업회사법인 주름관식 해충포획기
KR20140018240A (ko) * 2011-01-24 2014-02-12 스털링 인터내쇼날 인코포레이티드 냄새나는 벌레 잡는 트랩
KR101706107B1 (ko) 2014-02-24 2017-02-22 하성섭 해충 유인제 및 이를 이용한 유인트랩
KR101820485B1 (ko) 2017-05-29 2018-01-19 (주)마이크로자임 비행해충 포획용 유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인 평판트랩의 제조방법
KR101825680B1 (ko) * 2016-03-11 2018-0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성아그로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101931588B1 (ko) * 2017-08-10 2018-12-21 대한민국 유해곤충 포획 트랩
KR101944951B1 (ko) 2017-11-28 2019-02-01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포획장치
KR101994264B1 (ko) * 2017-11-29 2019-06-28 (주)다나티앤씨 포충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142A1 (en) * 2005-12-30 2007-07-05 Suteerawanit Nick H Multi-insect trap
KR20140018240A (ko) * 2011-01-24 2014-02-12 스털링 인터내쇼날 인코포레이티드 냄새나는 벌레 잡는 트랩
KR200469622Y1 (ko) * 2012-06-05 2013-10-22 농합(주)농업회사법인 주름관식 해충포획기
KR101706107B1 (ko) 2014-02-24 2017-02-22 하성섭 해충 유인제 및 이를 이용한 유인트랩
KR101825680B1 (ko) * 2016-03-11 2018-02-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성아그로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101820485B1 (ko) 2017-05-29 2018-01-19 (주)마이크로자임 비행해충 포획용 유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인 평판트랩의 제조방법
KR101931588B1 (ko) * 2017-08-10 2018-12-21 대한민국 유해곤충 포획 트랩
KR101944951B1 (ko) 2017-11-28 2019-02-01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포획장치
KR101994264B1 (ko) * 2017-11-29 2019-06-28 (주)다나티앤씨 포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454Y1 (ko) * 2021-07-20 2022-05-26 이호기 곤충 포획을 위한 다단 유도 협관 트랩
CN117562030A (zh) * 2024-01-15 2024-02-20 中国农业大学 低逃生概率的杀虫装置
CN117562030B (zh) * 2024-01-15 2024-04-26 中国农业大学 低逃生概率的杀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384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therland et al. What works in conservation 2020
KR102334384B1 (ko)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CN101268774B (zh) 蟾蜍捕虫装置
Pinnamaneni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in Oil Palm, Elaeis guineensis Jacq.
Clark Vole control in field crops
Gunn et al. Meadow voles and pocket gophers: Management in lawns, gardens, and cropland
Bishopp The Bollworm Or Corn Ear Worm as a Cotton Pest
Mohan et al. Pests and their management in coconut
Flint et al. A history of pest control
Kalidas et al. Pests and their Management in oil Palm
Cummings et al. Vertebrate pests of citrus
CN107306934A (zh) 一种防治枸杞蛀果类害虫的方法及冠面地表双向捕获装置
CN116019056A (zh) 一种林地养鸡天敌防御方法
Baldwin Vertebrate pest management
RU2690419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McKenry et al. Nematode parasites
Verma Chapter-3 Integrated Pest Management: An Op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e
Day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for Vegetable Gardens
Marsh et al. Birdfound
CN112753669A (zh) 一种用于防治韭蛆成虫的驱蚊装置及其使用方法
Kumawat et al. Rodent Pests of Arunachal Pradesh and Their Management
Mirza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linkages of ecosystems to conserve wildlife
Northfield Top 10 invasive species
Marsh et al. Vertebrate pest management
Cafferata Mountain bea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