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482A -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482A
KR20220144482A KR1020210050832A KR20210050832A KR20220144482A KR 20220144482 A KR20220144482 A KR 20220144482A KR 1020210050832 A KR1020210050832 A KR 1020210050832A KR 20210050832 A KR20210050832 A KR 20210050832A KR 20220144482 A KR20220144482 A KR 20220144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sentence
query
correct answer
pred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우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21005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482A/ko
Publication of KR2022014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평서문 형태의 특정 문장에 대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해당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텍스트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이나 교육을 위한 퀴즈 출제 등에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TERMINAL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QUERY SENTENCE THROUGH LANGUAGE ANALYSIS OF THE PLAIN TEXT SENTENC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이 발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교육 환경도 빠르게 발달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교육 매체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는 더 폭넓은 학습 방법을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전자 문서를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사용자가 전자 문서에서 문제 풀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들이 존재한다.
이렇게, 전자 문서를 활용하여 학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전자 문서에 포함된 문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품은 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특정 문장에 대한 질의 문장을 생성하라는 명령이 인가되면, 특정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텍스트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이나 교육을 위한 퀴즈 출제 등에 활용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평서문 형태의 특정 문장에 대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해당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텍스트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이나 교육을 위한 퀴즈 출제 등에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복수의 평서문 형태의 문장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문장에 기초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주어에 해당되는 제1 텍스트, 목적어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 시간 정보를 지칭하는 제3 텍스트 및 장소 정보를 지칭하는 제4 텍스트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제1 텍스트를 상기 주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1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1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1 질의 문장 생성부, 상기 제2 텍스트를 상기 목적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2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2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2 질의 문장 생성부, 상기 제3 텍스트를 상기 시간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3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3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3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3 질의 문장 생성부, 상기 제4 텍스트를 상기 장소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4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4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4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4 질의 문장 생성부, 및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이 생성되면, 상기 제1 텍스트, 상기 제2 텍스트, 상기 제3 텍스트 및 상기 제4 텍스트 각각을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각각에 대응되는 정답 텍스트로 기록한 정답 테이블을 생성하는 정답 테이블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복수의 평서문 형태의 문장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문장에 기초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주어에 해당되는 제1 텍스트, 목적어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 시간 정보를 지칭하는 제3 텍스트 및 장소 정보를 지칭하는 제4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텍스트를 상기 주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1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1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텍스트를 상기 목적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2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2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텍스트를 상기 시간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3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3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3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4 텍스트를 상기 장소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4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4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4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이 생성되면, 상기 제1 텍스트, 상기 제2 텍스트, 상기 제3 텍스트 및 상기 제4 텍스트 각각을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각각에 대응되는 정답 텍스트로 기록한 정답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평서문 형태의 특정 문장에 대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해당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텍스트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이나 교육을 위한 퀴즈 출제 등에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110)는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장치로, 추출부(111), 제1 질의 문장 생성부(112), 제2 질의 문장 생성부(113), 제3 질의 문장 생성부(114), 제4 질의 문장 생성부(115) 및 정답 테이블 생성부(116)를 포함한다.
추출부(111)는 사용자(150)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복수의 평서문 형태의 문장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문장에 기초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주어에 해당되는 제1 텍스트, 목적어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 시간 정보를 지칭하는 제3 텍스트 및 장소 정보를 지칭하는 제4 텍스트를 추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출부(111)는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7),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8), 제1 텍스트 추출부(119), 제2 텍스트 추출부(120), 제3 텍스트 추출부(121) 및 제4 텍스트 추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7)에는 상기 시간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들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정규 표현식이란 '111-2222-3333'이나 '123456-4567890'과 같이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를 의미한다.
예컨대,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7)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시간 정보의 표기 형식들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
2021-03-01 ^\d{4}\-\d{2}\-\d{2}$
2021.03.01 ^\d{4}\.\d{2}\.\d{2}$
01.03.2021 ^\d{2}\.\d{2}\.\d{4}$
... ...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8)에는 상기 장소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8)에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장소 정보의 표기 형식들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
서울시 영등포구 ^\S{2,8}\시 \S{2,8}\구$
영등포구 여의도동 ^\S{2,8}\구 \S{2,8}\동$
... ...
제1 텍스트 추출부(119)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1 텍스트로 추출한다.
제2 텍스트 추출부(120)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2 텍스트로 추출한다.
제3 텍스트 추출부(121)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3 텍스트로 추출한다.
제4 텍스트 추출부(122)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4 텍스트로 추출한다.
이하에서는, 제1 텍스트 추출부(119), 제2 텍스트 추출부(120), 제3 텍스트 추출부(121) 및 제4 텍스트 추출부(122)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사용자(150)로부터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상기 복수의 평서문 형태의 문장들 중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에 기초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1 텍스트 추출부(119)는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1 텍스트로 추출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격 조사를 '은, 는, 이, 가'라고 하는 경우, 제1 텍스트 추출부(119)는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는'이라는 주격 조사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인 '철수'를 상기 제1 텍스트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텍스트 추출부(120)는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2 텍스트로 추출할 수 있다.
관련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격 조사를 '을, 를'이라고 하는 경우, 제2 텍스트 추출부(120)는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을'이라는 목적격 조사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인 '초콜릿'을 상기 제2 텍스트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텍스트 추출부(121)는 상기 표 1과 같은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7)를 참조하여,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인 '2021-03-01'을 상기 제3 텍스트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텍스트 추출부(122)는 상기 표 2와 같은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118)를 참조하여,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인 '서울시 영등포구'를 상기 제4 텍스트로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부(111)는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주어에 해당되는 상기 제1 텍스트로 '철수', 상기 목적어에 해당되는 상기 제2 텍스트로 '초콜릿', 상기 시간 정보를 지칭하는 상기 제3 텍스트로 '2021-03-01' 및 상기 장소 정보를 지칭하는 상기 제4 텍스트로 '서울시 영등포구'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질의 문장 생성부(112)는 상기 제1 텍스트를, 상기 주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1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1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제2 질의 문장 생성부(113)는 상기 제2 텍스트를, 상기 목적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2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2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제3 질의 문장 생성부(114)는 상기 제3 텍스트를, 상기 시간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3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3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3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제4 질의 문장 생성부(115)는 상기 제4 텍스트를, 상기 장소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4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4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4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정답 테이블 생성부(116)는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이 생성되면, 상기 제1 텍스트, 상기 제2 텍스트, 상기 제3 텍스트 및 상기 제4 텍스트 각각을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각각에 대응되는 정답 텍스트로 기록한 정답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질의 텍스트는 "누가"이고, 상기 제2 질의 텍스트는 "무엇을"이며, 상기 제3 질의 텍스트는 "언제"이고, 상기 제4 질의 텍스트는 "어디에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질의 문장 생성부(112), 제2 질의 문장 생성부(113), 제3 질의 문장 생성부(114), 제4 질의 문장 생성부(115) 및 정답 테이블 생성부(116)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1 문장을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고 하고, 추출부(111)로부터 상기 제1 텍스트로 '철수', 상기 제2 텍스트로 '초콜릿', 상기 제3 텍스트로 '2021-03-01', 상기 제4 텍스트로 '서울시 영등포구'가 추출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1 질의 문장 생성부(112)는 상기 제1 텍스트인 '철수'를 상기 제1 질의 텍스트인 '누가'로 대체하면서, '철수'에 결합되어 있는 '는'이라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에서 서술어인 '샀다.'를 의문형인 '샀는가?'로 변경함으로써,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라는 의문형 형태의 상기 제1 질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질의 문장 생성부(113)는 상기 제2 텍스트인 '초콜릿'을 상기 제2 질의 텍스트인 '무엇을'로 대체하면서, '초콜릿'에 결합되어 있는 '을'이라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 에서 서술어인 '샀다.'를 의문형인 '샀는가?'로 변경함으로써,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무엇을 샀는가?'라는 의문형 형태의 상기 제2 질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질의 문장 생성부(114)는 상기 제3 텍스트인 '2021-03-01'을 상기 제3 질의 텍스트인 '언제'로 대체하면서, '2021-03-01'에 결합되어 있는 '에'라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에서 서술어인 '샀다.'를 의문형인 '샀는가?'로 변경함으로써, '철수는 언제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라는 의문형 형태의 상기 제3 질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질의 문장 생성부(115)는 상기 제4 텍스트인 '서울시 영등포구'를 상기 제4 질의 텍스트인 '어디에서'로 대체하면서, '서울시 영등포구'에 결합되어 있는 '에서'라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에서 서술어인 '샀다.'를 의문형인 '샀는가?'로 변경함으로써, '철수는 2021-03-01에 어디에서 초콜릿을 샀는가?'라는 의문형 형태의 상기 제4 질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질의 문장인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상기 제2 질의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무엇을 샀는가?', 상기 제3 질의 문장인 '철수는 언제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어디에서 초콜릿을 샀는가?'가 생성되면, 정답 테이블 생성부(116)는 상기 제1 텍스트인 '철수', 상기 제2 텍스트인 '초콜릿', 상기 제3 텍스트인 '2021-03-01' 및 상기 제4 텍스트인 '서울시 영등포구' 각각을 상기 제1 질의 문장인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상기 제2 질의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무엇을 샀는가?', 상기 제3 질의 문장인 '철수는 언제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어디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각각에 대응되는 정답 텍스트로 기록한 정답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관련해서, 정답 테이블 생성부(116)는 하기의 표 3과 같은 정보가 기록된 상기 정답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질의 문장 정답 텍스트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철수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무엇을 샀는가? 초콜릿
철수는 언제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2021-03-01
철수는 2021-03-01에 어디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서울시 영등포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단말 장치(110)는 질의 문장 선택부(123) 및 정답 텍스트 추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질의 문장 선택부(123)는 상기 정답 테이블이 생성된 이후, 사용자(150)로부터 문제 출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중 어느 하나의 질의 문장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표 3과 같은 정답 테이블이 생성된 이후, 사용자(150)로부터 문제 출제 명령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질의 문장 선택부(123)는 '상기 제1 질의 문장인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상기 제2 질의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무엇을 샀는가?', 상기 제3 질의 문장인 '철수는 언제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인 '철수는 2021-03-01에 어디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중 어느 하나의 질의 문장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정답 텍스트 추출부(124)는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이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150)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한 정답 표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서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제1 정답 텍스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질의 문장 선택부(123)에 의해 상기 제1 질의 문장인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가 랜덤하게 선택되었다고 하고,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인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150)로부터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에 대한 정답 표시 명령이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정답 텍스트 추출부(124)는 상기 표 3과 같은 정답 테이블에서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에 대한 제1 정답 텍스트로 '철수'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정답 텍스트인 '철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단말 장치(110)는 테이블 갱신부(125) 및 문장 갱신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갱신부(125)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150)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제1 대체 텍스트로 대체할 것을 지시하는 정답 대체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정답 테이블을 갱신한다.
문장 갱신부(126)는 상기 정답 테이블이 갱신되면,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을 갱신한다.
이하에서는, 테이블 갱신부(125) 및 문장 갱신부(126)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을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라고 하고, 정답 텍스트 추출부(124)에 의해 상기 제1 정답 텍스트인 '철수'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150)로부터 상기 제1 정답 텍스트인 '철수'를 '영희'라는 제1 대체 텍스트로 대체할 것을 지시하는 정답 대체 명령이 전자 단말 장치(110)에 인가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테이블 갱신부(125)는 상기 표 3과 같은 정답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인 '철수'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인 '영희'로 변경함으로써, 하기의 표 4와 같이 상기 정답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
질의 문장 정답 텍스트
누가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영희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무엇을 샀는가? 초콜릿
철수는 언제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2021-03-01
철수는 2021-03-01에 어디에서 초콜릿을 샀는가? 서울시 영등포구
이렇게, 상기 정답 테이블이 갱신되면, 문장 갱신부(126)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을 갱신할 수 있다.
관련해서,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1 문장을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고 하는 경우, 문장 갱신부(126)는 상기 표 4와 같이 상기 정답 테이블이 갱신되면,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인 '철수'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인 '영희'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철수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라는 상기 제1 문장을 '영희는 2021-03-01에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초콜릿을 샀다.'로 갱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복수의 평서문 형태의 문장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문장에 기초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주어에 해당되는 제1 텍스트, 목적어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 시간 정보를 지칭하는 제3 텍스트 및 장소 정보를 지칭하는 제4 텍스트를 추출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1 텍스트를 상기 주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1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1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2 텍스트를 상기 목적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2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2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제3 텍스트를 상기 시간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3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3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3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단계(S250)에서는 상기 제4 텍스트를 상기 장소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4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4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4 질의 문장을 생성한다.
단계(S260)에서는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이 생성되면, 상기 제1 텍스트, 상기 제2 텍스트, 상기 제3 텍스트 및 상기 제4 텍스트 각각을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각각에 대응되는 정답 텍스트로 기록한 정답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10)에서는 상기 시간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장소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1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2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3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4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질의 텍스트는 "누가"이고, 상기 제2 질의 텍스트는 "무엇을"이며, 상기 제3 질의 텍스트는 "언제"이고, 상기 제4 질의 텍스트는 "어디에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정답 테이블이 생성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제 출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중 어느 하나의 질의 문장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이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한 정답 표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서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제1 정답 텍스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정답 텍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제1 대체 텍스트로 대체할 것을 지시하는 정답 대체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정답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답 테이블이 갱신되면,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전자 단말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전자 단말 장치
111: 추출부 112: 제1 질의 문장 생성부
113: 제2 질의 문장 생성부 114: 제3 질의 문장 생성부
115: 제4 질의 문장 생성부 116: 정답 테이블 생성부
117: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 118: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
119: 제1 텍스트 추출부 120: 제2 텍스트 추출부
121: 제3 텍스트 추출부 122: 제4 텍스트 추출부
123: 질의 문장 선택부 124: 정답 텍스트 추출부
125: 테이블 갱신부 126: 문장 갱신부

Claims (12)

  1.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복수의 평서문 형태의 문장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문장에 기초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주어에 해당되는 제1 텍스트, 목적어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 시간 정보를 지칭하는 제3 텍스트 및 장소 정보를 지칭하는 제4 텍스트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제1 텍스트를 상기 주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1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1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1 질의 문장 생성부;
    상기 제2 텍스트를 상기 목적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2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2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2 질의 문장 생성부;
    상기 제3 텍스트를 상기 시간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3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3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3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3 질의 문장 생성부;
    상기 제4 텍스트를 상기 장소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4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4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4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4 질의 문장 생성부; 및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이 생성되면, 상기 제1 텍스트, 상기 제2 텍스트, 상기 제3 텍스트 및 상기 제4 텍스트 각각을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각각에 대응되는 정답 텍스트로 기록한 정답 테이블을 생성하는 정답 테이블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시간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들이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
    상기 장소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1 텍스트로 추출하는 제1 텍스트 추출부;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2 텍스트로 추출하는 제2 텍스트 추출부;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3 텍스트로 추출하는 제3 텍스트 추출부 및;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4 텍스트로 추출하는 제4 텍스트 추출부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의 텍스트는 "누가"이고, 상기 제2 질의 텍스트는 "무엇을"이며, 상기 제3 질의 텍스트는 "언제"이고, 상기 제4 질의 텍스트는 "어디에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테이블이 생성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제 출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중 어느 하나의 질의 문장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는 질의 문장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이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한 정답 표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서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제1 정답 텍스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정답 텍스트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답 텍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제1 대체 텍스트로 대체할 것을 지시하는 정답 대체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정답 테이블을 갱신하는 테이블 갱신부; 및
    상기 정답 테이블이 갱신되면,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을 갱신하는 문장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
  6.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한국어로 구성된 복수의 평서문 형태의 문장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문장에 기초한 자동 문제 생성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주어에 해당되는 제1 텍스트, 목적어에 해당되는 제2 텍스트, 시간 정보를 지칭하는 제3 텍스트 및 장소 정보를 지칭하는 제4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텍스트를 상기 주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1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1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1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텍스트를 상기 목적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2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2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2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텍스트를 상기 시간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3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3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3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4 텍스트를 상기 장소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제4 질의 텍스트로 대체하면서, 상기 제4 텍스트에 결합되어 있는 조사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서술어를 확인하여 상기 서술어를 의문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의문문 형태의 제4 질의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이 생성되면, 상기 제1 텍스트, 상기 제2 텍스트, 상기 제3 텍스트 및 상기 제4 텍스트 각각을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각각에 대응되는 정답 텍스트로 기록한 정답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들이 저장되어 있는 시간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장소 정보의 표기 형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사전 설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이 저장되어 있는 장소 정보 정규 표현식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주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1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사전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격 조사 중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텍스트를 상기 제2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3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문장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정규 표현식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표기 형식을 갖는 문자열을 상기 제4 텍스트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의 텍스트는 "누가"이고, 상기 제2 질의 텍스트는 "무엇을"이며, 상기 제3 질의 텍스트는 "언제"이고, 상기 제4 질의 텍스트는 "어디에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테이블이 생성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제 출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질의 문장, 상기 제2 질의 문장, 상기 제3 질의 문장 및 상기 제4 질의 문장 중 어느 하나의 질의 문장을 랜덤하게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이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한 정답 표시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서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제1 정답 텍스트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답 텍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질의 문장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제1 대체 텍스트로 대체할 것을 지시하는 정답 대체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정답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정답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답 테이블이 갱신되면,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정답 텍스트를 상기 제1 대체 텍스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문장을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50832A 2021-04-20 2021-04-20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44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32A KR20220144482A (ko) 2021-04-20 2021-04-20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32A KR20220144482A (ko) 2021-04-20 2021-04-20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82A true KR20220144482A (ko) 2022-10-27

Family

ID=8381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832A KR20220144482A (ko) 2021-04-20 2021-04-20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4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0850B2 (en) System and method of localizing assets using text substitutions
US9934220B2 (en) Content revision using question and answer generation
Goldstein et al. HTML5 & CSS3 For The Real World: Powerful HTML5 and CSS3 Techniques You Can Use Today!
US115316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439590A (zh) 用于自然语言文本的自动语义标注的系统和方法
JP2012185679A (ja) 翻字処理装置、翻字処理プログラム、翻字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翻字処理方法
Stancheva et al. A model for generation of test questions
KR20200014047A (ko) 시맨틱 트리플 기반의 지식 확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4916177A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数据输出方法
KR102168319B1 (ko) 신규 개체명 단어에 연관된 말뭉치 생성을 위한 문장 자동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500619B1 (en) Indexing and accessing source code snippets contained in documents
JP2006301066A (ja) 電子辞書装置、辞書プログラム
CN117112593A (zh) Sql语句生成方法、介质和计算机设备
KR20220144482A (ko) 전자 문서에 포함된 평서문 문장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9002454B (zh) 一种确定目标单词的拼读分区的方法和电子设备
KR101835994B1 (ko) 키워드 맵을 이용한 전자책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0531953A5 (ko)
CN114676155A (zh) 代码提示信息的确定方法、数据集的确定方法及电子设备
KR20230056206A (ko) 전자 문서에 대한 언어분석을 통해 질의 문장과 응답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605006B2 (en) Deep-learning model catalog creation
JP2005092229A (ja) 穴埋め問題作成装置、穴埋め問題作成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292303A (ja)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サーバ
KR101697237B1 (ko) 중국어 단어에 대한 한글 발음 학습 보조 장치 및 방법
US202203099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287181B1 (ko) 품사에 대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 학습 지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