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651A - 방현 필름 - Google Patents

방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651A
KR20220143651A KR1020227026713A KR20227026713A KR20220143651A KR 20220143651 A KR20220143651 A KR 20220143651A KR 1020227026713 A KR1020227026713 A KR 1020227026713A KR 20227026713 A KR20227026713 A KR 20227026713A KR 20220143651 A KR20220143651 A KR 2022014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film
layer
region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하시모토
마사카즈 모치즈키
토모야 엔도
히데히코 안도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카메라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방현 필름으로서, 카메라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방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현층이 방현 영역과 비방현 영역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방현 영역이 상기 방현층의 관통 구멍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 표면이 평활면이다.

Description

방현 필름
본 발명은 방현 필름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카메라 등의 내부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 성능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해서, 각종 검토가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7). 예를 들면, 협액자화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 형상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화상 표시 장치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충분하게 카메라 성능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되어,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판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카메라 렌즈가 배치되는 개소에 대응해서 편광 기능을 부분적으로 해소하고, 상기 개소에서는 카메라 기능을 발휘시키고, 한편 그 밖의 개소에 있어서는 편광판으로서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편광판을 안티글레어 타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 즉 상기 편광판과 방현 필름을 조합시켜서 사용한 경우, 촬영 화상이 흐려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일본 특허 공개 2011-813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241314호 공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212555호 명세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118205호 공보 한국 특허 제10-12932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2-137738호 공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4/0118826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방현 필름으로서, 카메라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방현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현층이 방현 영역과 비방현 영역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방현 영역이 상기 방현층의 관통 구멍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 표면이 평활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방현 필름으로서, 카메라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방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A.방현 필름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 있어서의 각층 등의 길이, 두께, 요철의 크기 등은 실제의 축척과는 다르다. 방현 필름(100)은 투명 기재(10)와, 투명 기재(10)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20)을 구비한다. 방현층(20)은 방현 영역(21)과 비방현 영역(22)으로 구성된다. 방현 영역(21)은 방현성을 가져서 방현층(20)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영역이다. 한편, 비방현 영역(22)은 방현층(20)의 일부의 평면으로 본 영역에 있어서, 방현층(20)으로서의 기능이 배제된 영역이며, 즉 방현성을 갖지 않는(또는, 방현 영역보다 방현성이 낮은) 영역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방현 영역(21)과 비방현 영역(22)은 헤이즈값의 상위로 구별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방현 영역(22)은 방현층의 관통 구멍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방현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방현 필름(200)에서는 방현 영역(21)에 있어서, 방현층(20)의 투명 기재(10)와는 반대측 표면이 요철면이며, 비방현 영역(22)에 있어서 방현층(20)의 투명 기재(10)와는 반대측 표면이 평활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활면」이란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가 0.01㎛ 이하인 면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비방현 영역을 갖는 방현층을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방현 필름으로서, 방현성을 가지면서도, 카메라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방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비방현 영역은 상기 방현 필름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 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비방현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선명한 촬상이 가능해진다. 한편, 방현 영역에 있어서는 소망의 방현성을 발휘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방현 필름은 안티글레어 타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그 밖의 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현 필름은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 및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의 방현층측의 면에 배치된 오버코트층 및/또는 저반사 처리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현 필름은 방현층의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오버코트층 및/또는 저반사 처리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00㎛이다.
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방현 필름의 헤이즈값은 바람직하게는 5%∼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0%이다.
비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방현 필름의 헤이즈값은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의 방현 필름의 헤이즈값과, 비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의 방현 필름의 헤이즈값의 차는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의 방현 필름의 헤이즈값과, 비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의 방현 필름의 헤이즈값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70%이다.
방현 필름의 반사 색상(a, b)에 의거한 Δab에 대해서, 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의 Δab와 비방현 영역의 위치에 있어서의 Δab의 차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상기 Δab의 차가 작으면, 겉보기의 통일감이 우수한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Δab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반사 색상은, 예를 들면 KONICA MINOLTA, INC.제의 분광 측색계 CM-2600d(광원: D65)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Δab는 반사 색상(a, b)으로부터 (a2+b2)1/2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B.방현층
상기한 바와 같이, 방현층은 방현 영역과 비방현 영역으로 구성된다. 대표적으로는, 방현 영역에 있어서 방현층의 일방의 표면은 요철면이다.
비방현 영역의 수, 배치, 형상, 사이즈 등은 임의의 적절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재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의 위치, 형상, 사이즈 등에 따라 설계된다. 이 경우, 비방현 영역은 직경 10㎜ 이하의 대략 원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는 바람직하게는 0.01㎛∼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5㎛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충분한 방현성을 가지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실시형태(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경우,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이다.
또한,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실시형태(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경우,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와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의 차(방현 영역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비방현 영역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는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최대 높이(Ry)는 바람직하게는 0.5㎛∼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충분한 방현성을 가지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실시형태(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경우,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최대 높이(Ry)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또한,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실시형태(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경우,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최대 높이(Ry)와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최대 높이(Ry)의 차(방현 영역의 최대 높이(Ry)-비방현 영역의 최대 높이(Ry))는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 높이(Ry)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θa)은 바람직하게는 0.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충분한 방현성을 가지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실시형태(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경우,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θa)은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또한,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실시형태(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인 경우,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θa)과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θa)의 차(방현 영역의 평균 경사각(θa)-비방현 영역의 평균 경사각(θa))는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경사각(θa)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또한, 요철면의 산술 표면 조도(Ra), 최대 높이(Ry), 평균 경사각(θa)의 정의는 JIS B 0601(1994년 판)에 의거한다. 또한, 이것들의 특성값은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예를 들면, Kosaka Laboratory Ltd.제,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상품명 「Surfcorder ET4000」)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평균 경사각(θa)은 θa=tan-1Δa의 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Δa는 JIS B 0601(1994년 판)에 규정되는 조도 곡선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최상점과 오목부의 최하점의 차(높이(h))의 합계(h1+h2+h3+·······+hn)로부터 조도 곡선의 기준 길이(L)를 나눈 값이며, 즉, Δa=(h1+h2+h3+·······+hn)/L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충분한 방현성을 가지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두께와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두께의 차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의 차가 작으면, 겉보기의 통일감이 우수한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두께와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두께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상기 방현층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현층은 임의의 적절한 수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방현층은 바인더 수지와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방현층은, 예를 들면 투명 기재 상에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후, 상기 조성물을 경화해서 형성된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성 화합물, 상기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바인더 수지는 경화성 화합물을 유래로 하는 수지이며, 상기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등이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주성분이 되는 경화성 화합물로서, 다관능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올리고머 및/또는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프리폴리머를 포함한다. 다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프로판트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글리세린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다관능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투명 기재와 방현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올리고머 및 다관능 모노머 유래의 프리폴리머의 함유 비율은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모노머, 올리고머 및 프리폴리머의 합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중량%∼10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95중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95중량%이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단관능 모노머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단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톡시화 o-페닐페놀(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상기 단관능 모노머는 수산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수산기를 갖는 단관능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메탄올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N-(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N-(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이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폴리올로부터 얻어지는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에스테르,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1,4-시클로헥산디올, 스피로글리콜,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수소첨가 비스페놀A, 에틸렌옥시드 첨가 비스페놀A, 프로필렌옥시드 첨가 비스페놀A,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3-메틸펜탄-1,3,5-트리올,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펜타에리스리톨, 글루코오스류 등이 예시된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각종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서는,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것들의 수소첨가물 등이 예시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방현층은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방현층 표면을 요철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방현층의 헤이즈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입자, 유기 입자 등이 예시된다. 무기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규소 입자, 산화티탄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산화아연 입자, 산화주석 입자,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탈크 입자, 카올린 입자, 황산칼슘 입자 등이 예시된다. 유기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입자(PMMA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입자, 아크릴스티렌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 수지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 수지 입자, 폴리에스테르 수지 입자, 폴리아미드 수지 입자, 폴리이미드 수지 입자, 폴리불화에틸렌 수지 입자 등이 예시된다. 상기 입자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를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지름은 바람직하게는 1㎛∼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이다.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지름은 쿨터 카운터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방현층 중 또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1차 입자의 형태 및/또는 1차 입자가 응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지름」이란 입자 형태에 관계없이,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입자에 대해서, 쿨터 카운터법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입자지름을 의미한다.
상기 입자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1∼1.9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7이다. 이러한 굴절률을 갖는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입자, 폴리스티렌 입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스티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입자의 굴절률(n1)과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n2)의 차(n1-n2)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투명성이 우수한 방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비즈 형상 등의 대략 구상이어도 좋고, 분말 등의 부정 형상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대략 구상의 입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상의 입자이다.
상기 방현층에 있어서, 입자의 함유 비율은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12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12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9중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7중량부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방현성에 의해 우수한 방현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분산성 좋게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분산성(분산 정도)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측정법, 동적광산란법, 정적광산란법 등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으로부터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주사 전자 현미경 등에 의한 현미경 관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입자의 분산성을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측정법에 의한 입도 분포로 평가한 경우, D50(체적 누적 50%에 있어서의 입자지름)과 체적 누적 입자지름(D90)(체적 누적 90%에 있어서의 입자지름)의 차의 절대값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이상 1㎛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적절한 표면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입자의 분산성을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입도 분포로 평가한 경우, 입자지름 1㎛ 이상 5㎛ 미만의 입자의 함유 비율은 상기 조성물 중의 입자의 전량에 대하여, 50중량%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중량%∼10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적절한 표면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적절한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크산톤,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 벤조페논,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티옥산톤계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2-메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탄온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디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등이 예시된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유기 점토 포함하는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용매로서, 톨루엔, 시클로펜탄온 및/또는 크실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중량%∼8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6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50중량%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적절한 표면 형상을 갖는 방현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레벨링제, 블록킹 방지제, 분산 안정제, 요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촉매, 활제, 대전방지제 등이 예시된다.
상기 방현층은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 기재에 도포한 후에 경화시켜서 얻을 수 있다.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 코팅법, 롤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로드 코팅법, 슬롯 오리피스 코팅법, 커튼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콤마 코팅법이 예시된다.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도 1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비방현 영역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기재의 표면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조정하고, 비방현 영역을 형성하는 개소에 있어서, 투명 기재의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흡습성을 저하시키고, 상기 개소에 있어서 방현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표면 에너지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잉크젯 처리, 제전, 코로나·플라즈마 등의 처리가 예시된다. 또한, 방현층 형성 후에 소정의 개소를 굴삭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비방현 영역(관통 구멍)을 형성해도 좋다.
비방현 영역이 평활면인 방현 필름(도 3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비방현 영역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철면을 갖는 층을 형성한 후에 요철면의 일부를 메움으로써, 비방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면을 메우는 재료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가 예시된다. 또한, 방현층 형성 후에 소정의 개소를 굴삭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비방현 영역(평활면)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경화 처리가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경화 처리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행해진다. 자외선 조사의 적산 광량은 바람직하게는 50mJ/㎠∼500mJ/㎠이다.
C.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로서는 가시광선 투과성을 갖는 한 임의의 적절한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폴리머, 환상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5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이다. 상기 투명 기재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30∼1.80이다.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도 1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 비방현 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이다.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도 1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요철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와 비방현 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의 차(방현 영역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투명 기재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는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도 1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 비방현 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의 최대 높이(Ry)는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도 1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요철면의 최대 높이(Ry)와 비방현 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의 최대 높이(Ry)의 차(방현 영역의 최대 높이(Ry)-투명 기재의 최대 높이(Ry))는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 높이(Ry)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다.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도 1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 비방현 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의 평균 경사각(θa)은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비방현 영역이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도 1에 나타내는 방현 필름)에 있어서, 방현 영역에 있어서의 방현층의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θa)과 비방현 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의 투명 기재의 평균 경사각(θa)의 차(방현 영역의 평균 경사각(θa)-투명 기재의 평균경사각(θa))는 소정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경사각(θa)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D.오버코트층, 저반사 처리층
오버코트층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현성을 발현하기 위한 산란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B항에서 설명한 방현층 형성용 재료와 마찬가지의 조성물을 도공함으로써 오버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바 코팅법, 롤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로드 코팅법, 슬롯 오리피스 코팅법, 커튼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콤마 코팅법 등이 예시된다.
저반사 처리층에는 저굴절률 재료의 WET 코팅, 스퍼터링, 증착 처리 등으로 대표되는 광학 조정층의 드라이 성막 처리가 일반적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것들로 대표되는 각종 방법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의 배합)
방현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제, 상품명 「UV1700TL」, 고형분 80%) 50중량부, 및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제, 상품명 「VISCOAT #300」, 고형분 100%) 50중량부를 준비했다. 이들 수지의 혼합물(수지 고형분: 100중량부)과, 상기 입자로서의 아크릴과 스티렌의 공중합 입자(Sekisui Kasei Co., Ltd.제, 상품명 「TECHPOLYMER SSX1055QXE」, 중량 평균 입자지름: 5.5㎛) 10중량부와, 틱소트로피 부여제로서의 유기 점도인 합성 스멕타이트(KUNIMINE INDUSTRIES CO., LTD.제, 상품명 「SMECTON SAN」) 2.5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 Corp.제, 상품명 「OMNIRAD907」) 3중량부와, 레벨링제(KYOEISHA CHEMICAL CO., LTD.제, 상품명 「LE-303」, 고형분 40%) 0.15중량부를 혼합했다. 이 혼합물을 고형분 농도가 40%가 되도록 톨루엔/시클로펜탄온 혼합 용매(중량비 80/20)로 희석하고,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을 조정했다.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공액의 배합)
하드 코트층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제, 상품명 「VISCOAT #300」, 고형분 100%) 100중량부를 준비했다. 이 수지(수지 고형분: 100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 Corp.제, 상품명 「OMNIRAD907」) 3중량부와, 레벨링제(KYOEISHA CHEMICAL Co., LTD.제, 상품명 「LE-303」, 고형분 40%) 0.15중량부를 혼합했다. 이 혼합물을 고형분 농도가 30%가 되도록 MIBK/시클로펜탄온 혼합 용매(중량비 70/30)로 희석하고,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공액을 조정했다.
(방현성 필름(a)의 작성)
투명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TAC, FUJIFILM Corporation제, 상품명 「TD80UL」)를 준비했다. 이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방현층형성 재료(도공액)를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막을 형성했다. 그리고, 이 도막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건조 공정으로 반송했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80℃에서 1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에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 처리해서 두께 4.0㎛의 방현층을 형성하고, 헤이즈 25%가 되는 방현성 필름(a)을 얻었다.
(비방현 영역의 형성: 방현성 필름(a) 상의 하드 코트층에 의한 포매 처리)
얻어진 방현성 필름 상에 직경 5㎜의 원형의 공극부를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고, 방현층 표면의 일부가 상기 공극에 의해 노출되는 상태의 적층체를 작성했다. 적층된 필름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측에 상기 하드 코트층 형성용 도공 액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막 형성했다. 그리고, 이 도막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필름 기재를 건조 공정으로 반송했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80℃에서 1분간 가열 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에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 처리해서 두께 4.0㎛의 하드 코트층이 노출된 부분에만 형성된 필름을 작성했다.
자외선 조사 후,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방현성 하드 코트층의 표면의 일부에 있어서 비방현 영역(하드 코트층)이 형성되고,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 방현 영역이 형성된 방현 필름(A)을 얻었다.
[실시예 2]
(방오성 층 형성용 도공액의 배합)
방오성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수지(OSAKA ORGANIC CHEMICAL INDUSTRY LTD.제, 상품명 「VISCOAT #300」, 고형분 100%) 100중량부를 준비했다. 이 수지(수지 고형분: 100중량부)와, 광중합개시제(BASF Corp.제, 상품명 「OMNIRAD907」) 3중량부와, 레벨링제(Daikin Industries, Ltd.)제, 상품명 「OPTOOL DAC」, 고형분 20%) 0.20중량부를 혼합했다. 이 혼합물을 고형분 농도가 30%가 되도록 MIBK/시클로펜탄온 혼합 용매(중량비70/30)로 희석하고, 방오성 하드 코트층용 도공액을 조정했다.
(방오성 하드 코트층용 도공액의 부분적인 도공)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TAC, FUJIFILM Corporation제, 상품명 「TD80UL」) 상에 직경 5㎜의 원형의 공극부를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투명 플라스틱필름 기재 표면의 일부가 상기 공극에 의해 노출되는 상태의 적층체를 작성했다. 적층된 필름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측에 상기 방오성 하드 코트층용 도공액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했다. 그리고, 도막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건조 공정으로 반송했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80℃에서 1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에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 처리해서 두께 3.0㎛의 방오성 하드 코트층이, 노출된 부분에만 형성된 필름을 작성했다.
자외선 조사 후,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투명 플라스틱 기재층의 표면의 일부에 방오성 하드 코트층이 적층된 기재 필름을 얻었다.
(부분적으로 클리어부를 갖는 방현성 필름의 작성)
상기 표면의 일부에 방오성 하드 코트층을 갖는 기재 필름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방현성 하드 코트 형성용 도공액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도공하고, 두께 4.0㎛의 방현층을 형성하고, 헤이즈 25%가 되는 방현성 필름 B를 얻었다. 사전에 설치한 방오성 하드 코트 상에서는 건조 전의 도공액이 벗겨져서 도공되어 있지 않아, 상기 부분은 비방현 영역이 되어 있었다. 또한, 그 밖의 부분은 방현 영역이 되어 있었다.
[실시예 3]
「방현성 필름 상의 하드 코트층에 의한 포매 처리」를 행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방현성 필름(a)을 얻었다.
방현성 필름(a) 상의 직경 5㎜ 원형의 범위에 대해, 방현성이 없어질 때까지 CO2 레이저를 조사해서 제거함으로써 비방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비방현 영역과 방현 영역을 포함하는 방현성 필름(C)을 얻었다.
[비교예 1]
「방현성 필름 상의 하드 코트층에 의한 포매 처리」를 행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방현성 필름(a)을 얻었다.
[비교예 2]
투명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TAC, FUJIFILM Corporation제, 상품명 「TD80UL」)를 준비했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작한 방오성 하드 코트 형성용 도공액을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했다. 그리고, 도막이 형성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건조 공정으로 반송했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80℃에서 1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에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 처리해서 두께 4.0㎛의 방오성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방현성 필름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을 이하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카메라 촬영상의 선명성의 평가
디지털 카메라(Nikon Corporation제, 상품명 「COOLPIX W100」)를 준비하고, 사진 촬영 모드를 기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필름을 점착제에 접합시키고, 디지털 카메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상의 흐림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의 방현 필름은 카메라 렌즈부에 비방현 영역을 대응시키도록 해서 접합했다.
흐림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 A(양호)
화상의 흐림은 일어나지만, 피사체의 판별은 가능한 레벨 ··· B(가능)
피사체의 판별이 가능하지 않게 될수록 화상의 흐림이 발생한다 ···C(불가)
(2) 방현성의 평가
상기 필름을 흑색의 아크릴판에 점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상기 필름 표면에 LED 광원의 형광등을 입광시켜, 비친 형광등의 흐림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의 방현 필름은 방현층의 방현 영역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했다.
형광등의 윤곽이 완전하게 흐려지는 레벨 ··· A(양호)
형광등은 흐려지지만 윤곽이 잔존하는 레벨 ··· B(가능)
형광등의 윤곽이 분명하게 판명되는 레벨 ··· C(불가)
(3) 헤이즈값
상기 (1)과 같이 해서 상기 필름을 디지털 카메라에 점착하고, 카메라 렌즈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헤이즈값, 및 카메라 렌즈부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헤이즈값을 헤이즈 미터(상품명 「HAZE METER HM-150」,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제)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실시예의 방현 필름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부는 방현 영역에 상당하고, 카메라 렌즈부 이외의 부분은 비방현 영역에 상당한다.
Figure pct00001
10: 투명 기재 20: 방현층
100: 방현 필름

Claims (3)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방현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현층이 방현 영역과 비방현 영역으로 구성되는 방현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방현 영역이 상기 방현층의 관통 구멍인 방현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방현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방현층의 상기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 표면이 평활면인 방현 필름.
KR1020227026713A 2020-03-03 2021-02-26 방현 필름 KR20220143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6148A JP2021139981A (ja) 2020-03-03 2020-03-03 防眩フィルム
JPJP-P-2020-036148 2020-03-03
PCT/JP2021/007364 WO2021177169A1 (ja) 2020-03-03 2021-02-26 防眩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651A true KR20220143651A (ko) 2022-10-25

Family

ID=7761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713A KR20220143651A (ko) 2020-03-03 2021-02-26 방현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139981A (ko)
KR (1) KR20220143651A (ko)
CN (1) CN115151843A (ko)
TW (1) TW202146220A (ko)
WO (1) WO2021177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1368B2 (en) * 2021-09-22 2024-03-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antiglare films with transparent apertures
JP7555446B1 (ja) 2023-03-29 2024-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2555A1 (en) 2003-04-23 2004-10-28 Falco Mark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therefore
JP2007241314A (ja) 2007-06-06 2007-09-2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センサ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081315A (ja) 2009-10-09 2011-04-21 Sony Corp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2137738A (ja) 2010-10-29 2012-07-19 Apple Inc 偏光窓及び不透明マスク層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のディスプレイ
KR20120118205A (ko) 2011-04-18 2012-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판, 이를 이용한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93210B1 (ko) 2010-12-15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US20140118826A1 (en) 2012-10-30 2014-05-01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4613B2 (en) * 2012-01-10 2014-04-01 Apple Inc. Integrated camera window
CN207588926U (zh) * 2017-11-01 2018-07-06 文山科泰丰电子有限公司 一种单面蚀刻ag玻璃手机盖板
CN207581669U (zh) * 2017-11-01 2018-07-06 文山科泰丰电子有限公司 一种双面蚀刻ag玻璃手机盖板
CN208218756U (zh) * 2018-04-09 2018-12-11 东莞市虹膜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超滑爽功能的保护膜
CN209375704U (zh) * 2018-10-17 2019-09-10 江西鹏飞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防摔性能好的2.5d手机盖板玻璃
US20220146731A1 (en) * 2019-03-29 2022-05-12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2555A1 (en) 2003-04-23 2004-10-28 Falco Mark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therefore
JP2007241314A (ja) 2007-06-06 2007-09-2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センサ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081315A (ja) 2009-10-09 2011-04-21 Sony Corp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2137738A (ja) 2010-10-29 2012-07-19 Apple Inc 偏光窓及び不透明マスク層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のディスプレイ
KR101293210B1 (ko) 2010-12-15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120118205A (ko) 2011-04-18 2012-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판, 이를 이용한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118826A1 (en) 2012-10-30 2014-05-01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51843A (zh) 2022-10-04
JP2021139981A (ja) 2021-09-16
WO2021177169A1 (ja) 2021-09-10
TW202146220A (zh)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3652A (ko) 방현 필름
US7963660B2 (en) Antiglare hard-coated film
KR100917949B1 (ko)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방현성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0916172B1 (ko) 방현성 하드코트 필름,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0916171B1 (ko) 방현성 하드코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화상표시장치
JP7225137B2 (ja) 防眩フィルム
TWI605266B (zh) 防眩性薄膜之製造方法、防眩性薄膜、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JP7006720B2 (ja) 光学積層体、画像表示装置又は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KR20110037841A (ko)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10037838A (ko)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30086649A (ko) 방현 필름
KR20220143651A (ko) 방현 필름
CN106574992B (zh) 防眩膜及图像显示装置
KR20100123625A (ko) 방현성 하드코트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WO2016017816A1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4144702A (zh) 防眩性硬涂薄膜、防眩性硬涂薄膜的制造方法、光学构件和图像显示装置
JP2020060781A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400846A (zh) 防眩性薄膜之製造方法、防眩性薄膜、塗覆液、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JP2020052433A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