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309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309A
KR20220143309A KR1020210049686A KR20210049686A KR20220143309A KR 20220143309 A KR20220143309 A KR 20220143309A KR 1020210049686 A KR1020210049686 A KR 1020210049686A KR 20210049686 A KR20210049686 A KR 20210049686A KR 20220143309 A KR20220143309 A KR 20220143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und signal
output
sound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309A/ko
Priority to US17/692,496 priority patent/US11999294B2/en
Priority to CN202210396339.2A priority patent/CN115214514A/zh
Publication of KR2022014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1Rotating machines, e.g. engines, turbines, motors; Periodic or quasi-periodic signal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제1 스피커; 마이크; 출력 장치; 및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차량의 하차 시, 아이를 차량의 뒷자석에 두고 하차하여 인명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의 하차 시, 차량 내 남아 있는 탑승자가 있음을 알리는 후석 승객 알림(ROA; rear occupant alert)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후석 승객 알림 기술은,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할 경우, 차량이 차량의 뒷자석에 아이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 후, 차량의 뒷자석에 아이가 있는 경우, 알림을 출력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후석 승객 알림 기술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오프하고 운전석 도어를 열 때, 차량은 차량의 헤드 라이닝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뒷자석에 아이의 탑승 여부를 식별하여 차량 내의 클러스터를 통해 알림을 표시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후석 승객 알림 기술은, 차량의 헤드 라이닝에 별도의 초음파 센서가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 내의 탑승자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로 고정밀 레이더 센서의 이용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후석 승객 알림 기술을 차량에 적용할 경우, 차량의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후석 승객 알림 기술은, 운전자가 클러스터의 알림을 못보고 차량에서 하차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뒷자석에 아이가 남아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새로운 후석 승객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기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제어하여,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을 제어하여 사운드의 출력을 통해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자가 남아 있음을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제1 스피커; 마이크; 출력 장치; 및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것을 식별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제2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피커를 통한 경고용 사운드 신호의 출력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경고 메시지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장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의 닫힘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또는 음압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시점에 출력된 신호이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제2 시점에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4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제1 스피커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차량의 마이크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출력 장치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것에 더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제2 스피커를 통한 경고용 사운드 신호의 출력 또는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경고 메시지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장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의 닫힘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또는 음압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시점에 출력된 신호이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이며,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제2 시점에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4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기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후석 승객 알림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이 추가적인 장치,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없이, 후석 승객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은, 차량에서 하차한 운전자에게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자가 남아 있음을 알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 및 탑승자가 없는 경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음성 신호 및 제1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사운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마이크를 통해 순차적으로 수신한 두 개의 사운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스피커(110), 마이크(120), 디스플레이 장치(130), 출력 장치(140), 센서(150), 통신 장치(160), 저장 장치(170) 및/또는 제어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10)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피커(110)는 제1 스피커(112) 및/또는 제2 스피커(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스피커(112)는 차량(100)의 내부의 뒷좌석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스피커(114)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10)는 차량(100) 내부에 배치된 제3, 4, 5, 6 스피커(115, 116, 117, 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10)는 제어 장치(180)의 제어에 기초하여 일반적인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10)는 제어 장치(180)의 제어에 기초하여, 즉, 제어 장치(180)가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 센서(150)를 통한 운전석의 도어 열림의 식별 시, 제1 사운드 신호, 즉 고주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이크(120)는 차량(100) 내부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20)는 제어 장치(180)의 제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운전자의 음성을 수신 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제어 장치(18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 신호, 고주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20)는 스피커(110)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사운드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사운드 신호, 고주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제어 장치(180)의 제어에 기초하여, 사람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예를 들면,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미리 정해진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14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은 소음을 인공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은 차량(100)의 외부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외부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고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은 차량(100)의 앞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15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차량(100)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60)(또는 통신 회로라고도 함)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전자 장치(미도시) 및/또는 서버(미도시) 간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으며,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60)는 유선 통신 모듈(예: 전력선 통신 모듈)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6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장치들이라고도 함) 간의 통신,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및/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회로(또는 트랜시버라고도 함) 및 통신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70)는 차량(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170)는 메모리,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80)(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라고도 함)는, 연결된 차량(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구성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소프트웨어 프로그램))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8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80)는 차량(100)의 상태를 식별하여,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 센서(150)를 통한 운전석의 도어의 열림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장치(180)는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 운전석의 도어 열림의 식별을 기초로,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 즉, 고주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장치(180)에 제어에 기초하여 마이크(120)는 제2 사운드, 즉 고주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80)는 제2 사운드의 분석에 기초하여, 고주파 신호의 감쇄 정도 및/또는 사람의 음성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 장치(180)는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 스피커(110), 디스플레이 장치(130) 및/또는 출력 장치(140)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장치(180)의 동작은,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 운전석의 도어의 열림 이후 운전석의 도어가 닫힌 것을 차량(100)의 운전자가 차량(100)에서 하차한 것이라는 가정에 따라 수행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차량(100)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AVN 장치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네비게이션(navigation), 및/또는 텔레매틱스 단말 등이 하나로 통합된 멀티미디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AVN 장치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차량(100)의 각 구성 요소의 위치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차량(100)의 제조 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및/또는 차량(100)의 제어 장치(18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차량(100)은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301).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 오프의 식별 및/또는 센서(150)를 통한 차량(100)의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또는 차량(100)의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것에 기초하여,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303).
차량(100)은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마이크(120)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신호는, 미리 정해진 고주파 신호, 예를 들어, 고주파 사운드(또는 고주파 음원이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사운드의 경우, 저주파 사운드에 비해 흡수율이 높다. 이에 따라,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 차량(100)이 뒷좌석의 스피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112)를 통해, 고주파 사운드를 방사하게 되면, 고주파 사운드가 저주파 사운드에 비해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음이 작아져,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의 확인에 용이할 수 있다.
차량(100)은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제2 사운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305).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또는 음압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운드 신호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고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정해진 음압 레벨에 대응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고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정해진 음압 레벨에 대응되는 것에 기초하여, 도 4와 같이,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뒷좌석(402)에 탑승자(40)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뒷좌석(402)에 탑승자(40)가 있는 경우, 탑승자(40)의 신체에 의해, 제1 스피커(112)가 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차량(100)이,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 즉, 고주파 사운드를 출력할 경우, 이러한 고주파 사운드는, 반사, 흡수 및/또는 산란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대응됨을 식별할 수 있으며,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음압 레벨, 즉, 뒷좌석(402)에 탑승자(40)가 있는 경우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과 대응됨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뒷좌석(402)에 탑승자(30)가 있는 경우 및 탑승자(30)가 없는 경우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가, 차량(100)의 뒷좌석(402)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에 비해, 마이크(120)에 의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 및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 각각에 대해, 차량(100)이 제1 스피커(112)를 통한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과, 이에 응답하여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 식별을 통해,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기준 음압 레벨을 미리 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1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307).
차량(100)은 센서(150)를 통해 차량(100)의 운전석의 열린 도어의 닫힘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운전석의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더 기초하여, 출력 장치(1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140)를 통한 경고음의 출력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을 통한 경고음의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또는 운전석의 도어 열림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남아 있는지를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차량(100)의 운전석의 열린 도어의 닫힘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0)의 운전자는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를 두고 차량(100)에서 하차한 경우,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를 두고 차량(100)에서 하차하였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차량(100)은 운전석의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더 기초하여, 통신 장치(160)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차량(100)에 등록된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를 두고 차량(100)에서 하차하여, 차량(100)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할 경우에도 운전자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를 두고 차량(100)에서 하차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제2 스피커(114)를 통한 경고용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통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또는 차량(100)의 운전석 도어가 열린 것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 제2 스피커(114)를 통한 경고용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통한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고, 차량(100)의 시동 오프 및/또는 차량(100)의 운전석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100)에서 하차하기 이전에,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하차하지 않고 남아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사운드 신호가 제1 사운드 신호와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및/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운드 신호는 사람의 음성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사람의 음성 신호와 대응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사람의 음성 신호와 대응되는 것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사람의 음성 신호의 주파수는 100Hz 내지 260Hz 사이의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와 나머지 하모닉들(harmonics)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음성 신호 및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사운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람의 음성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사운드 신호, 즉,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음성의 기본 주파수와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큰 차이가 있으며, 사람의 음성의 기본 주파수와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대역, 즉, 미리 지정된 사람의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경우,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을 식별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및/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0)은 제1 스피커(112)를 통해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의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시점에 출력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3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마이크(120)를 통해 제4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제1 시점에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과, 제2 시점에 제3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4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을 차이를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과 제4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초하여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의 뒷좌석에서 탑승자가 움직인다고 가정할 때, 차량(100)이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순차적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탑승자의 움직임에 의해,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의 반사 및/또는 흡수율을 변화되면서 도 7과 같은 신호 파형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마이크(120)를 통해 순차적으로 수신한 두 개의 사운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뒷좌석에서의 탑승자의 움직임에 의해, 마이크(120)가 먼저 수신한 사운드 신호와 이후 수신한 사운드 신호는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두 개의 사운드 신호, 즉,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과 제4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을 비교하여,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과 제4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이 서로 차이가 있는 경우 차량(100)의 뒷좌석에서 탑승객이 움직이고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과 제4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 간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차량(100)의 뒷좌석에서 탑승객이 움직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뒷좌석에 탑승객이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및/또는 차량(100)의 제어 장치(18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시동 오프를 식별할 수 있다(801).
차량(100)은 차량(100)의 센서(150)를 통해 차량(100)의 운전석 도어의 열림을 식별할 수 있다(803).
차량(100)은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 예를 들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805).
차량(100)은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마이크(120)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807).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809).
차량(100)은 제2 사운드 신호가 지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713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1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지정된 조건은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미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사람의 음성 주파수 대역 범위에 포함되는 제1 조건 및/또는 지정된 조건은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고 미리 지정된 음압 레벨에 대응되는 제2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제1 조건의 충족 및/또는 제2 조건의 충족할 경우 713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조건을 충족하지 않고 제2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71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811).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813).
차량(100)은 센서(150)를 통해 차량(100)의 운전석의 도어의 닫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815).
차량(100)은 차량(100)의 운전석의 도어가 닫힌 경우 817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19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817).
예를 들어,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차량(100)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는 경우, 차량(100)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제2 스피커(114)를 통해 경고용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819).
예를 들어, 차량(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통해 "뒷좌석을 확인하세요"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제2 스피커(114)를 통해 "뒷좌석을 확인하세요"와 같은 경고용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운전자가 차량(100)의 시동을 오프하고 차량(100)의 도어를 열 때, 차량(100)의 뒷좌석에 어린이는 잠이 들었고, 운전자는 뒷좌석(402)에 어린이가 있다는 것을 잊어버린다고 가정할 때, 차량(100)은 뒷좌석(402)에 어린이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운전자가 운전석의 도어를 열 때 차량(100)의 후석 스피커(예: 제1 스피커(112))를 통해, 고주파의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100)의 뒷자석에 탑승객, 즉, 어린이가 있기 때문에 후석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가 탑승객에 의해 흡수, 반사 및/또는 산란되면서 마이크(120)에 인가되는 레벨이 낮아진다.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을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객이 없을 때 마이크(120)에 인가되는 음압 레벨과 비교하여, 음압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차량(100)의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장치(130) 및 전석 스피커(예: 제2 스피커(114))를 통해, 경고 메시지 및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차량(100)은 운전자가 차량(100)의 경고 메시지 및 경고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100)에서 하차한 경우를 차량(100)의 운전석의 도어가 닫히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운전석의 도어가 닫힌 경우, 차량(100)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객이 있음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0)의 뒷좌석에 어린이는 잠이 들었고, 운전자는 뒷좌석(402)에 어린이가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고,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의 경고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집안으로 들어갔다고 가정할 때, 차량(100)은 뒷좌석(402)에 어린이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고주파의 사운드 신호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출력하여 마이크(1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한 사운드 신호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의 뒷자석의 탑승자가 움직이는 경우, 후석 스피커(예: 제1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가 탑승객에 흡수, 반사 및/또는 산란되면서 마이크(120)에 인가되는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이 달라질 것이다. 차량(100)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가 사람의 음성 주파수와 대응되는지를 주기적으로 식별하면서 차량(100)의 뒷좌석에 탑승객이 타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운드 신호의 음압 레벨의 변화 및/또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 신호가 사람의 음성 주파수와 대응되는지 여부의 식별에 기초하여,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42)을 통한 경고음 출력, 통신 장치(160)를 통해 운전자의 전자 장치로 경고 메시지의 전송 및/또는 통신 장치(160)를 통해 응급 구조 센서 등의 서버로 구조 요청 메시지의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 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스피커
112: 제1 스피커 114: 제2 스피커
120: 마이크 130: 디스플레이 장치
140: 출력 장치 142: VESS
150: 센서 160: 통신 장치
170: 저장 장치 180: 제어 장치

Claims (20)

  1. 제1 스피커;
    마이크;
    출력 장치; 및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것을 식별하며, 상기 도어가 열린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제2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피커를 통한 경고용 사운드 신호의 출력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경고 메시지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의 닫힘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제어하는,
    차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또는 음압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차량.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시점에 출력된 신호이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제2 시점에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4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차량.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차량.
  11. 차량의 제1 스피커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차량의 마이크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출력 장치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의 도어가 열린 것에 더 기초하여 수행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제2 스피커를 통한 경고용 사운드 신호의 출력 또는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경고 메시지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의 닫힘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더 기초하여, 상기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상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운전석의 상기 열린 도어가 닫힌 것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또는 음압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시점에 출력된 신호이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이며,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1 스피커를 통해 제2 시점에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4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와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뒷좌석에 상기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10049686A 2021-04-16 2021-04-1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43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86A KR20220143309A (ko) 2021-04-16 2021-04-1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7/692,496 US11999294B2 (en) 2022-03-11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210396339.2A CN115214514A (zh) 2021-04-16 2022-04-15 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86A KR20220143309A (ko) 2021-04-16 2021-04-1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309A true KR20220143309A (ko) 2022-10-25

Family

ID=8360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686A KR20220143309A (ko) 2021-04-16 2021-04-1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3309A (ko)
CN (1) CN11521451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32247A1 (en) 2022-10-20
CN115214514A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8548B (zh) 用外部声音向车辆驾乘人员警告外部事件并掩蔽车内谈话
CN107396249B (zh) 用于在交通运输车辆中提供乘员特定声学功能的系统
US9743213B2 (en) Enhanced auditory experience in shared acoustic space
US10137902B2 (en) Adaptive interactive voice system
US8538402B2 (en) Phone that prevents texting while driving
US8914014B2 (en) Phone that prevents concurrent texting and driving
US9457816B2 (en) Controlling access to an in-vehicle human-machine interface
US8952800B2 (en) Prevention of texting while operating a motor vehicle
US7856203B2 (en) System for inhibiting texting and similar distractions while driving moving vehicles
US11458978B2 (en) Drive assist method, drive assist program,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10419868B2 (en) Sound system
KR20190076731A (ko) 탑승자 단말 및 디스트랙션 확인을 통한 컨텐츠 표시 방법
CN110310618B (zh) 车辆行驶环境声音的处理方法、处理装置和车辆
JP2006194633A (ja) 車両用音声情報提供装置
JP2014129037A (ja) 車載情報装置、通信端末、警告音出力制御装置、および警告音出力制御方法
US2014036507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vehicle passengers
JP2020080110A (ja) 制御装置、エージェン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29202A1 (en) System and method of depth sensor activation
US20190359127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121366A1 (en) Ai based system for warning and managing operations of vehicles at higher speeds
KR101750871B1 (ko) 이어셋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N111882822A (zh) 一种防止儿童被遗留于车内的提醒方法、装置以及服务器
CN11036685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KR20210003215A (ko) 차량용 오디오 장치 및 차량용 오디오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220143309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