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626A - 보빈 구조 - Google Patents

보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626A
KR20220142626A KR1020210048894A KR20210048894A KR20220142626A KR 20220142626 A KR20220142626 A KR 20220142626A KR 1020210048894 A KR1020210048894 A KR 1020210048894A KR 20210048894 A KR20210048894 A KR 20210048894A KR 20220142626 A KR20220142626 A KR 20220142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tructure
coil
layer
slot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은
김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626A/ko
Priority to US17/518,201 priority patent/US11742707B2/en
Priority to DE102021212473.9A priority patent/DE102021212473A1/de
Priority to CN202111398598.0A priority patent/CN115224849A/zh
Publication of KR2022014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8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round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6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6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7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7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79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를 제공한다. 고정자 코어에 정의된 슬롯에 삽입되는 보빈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빈 구조는 상기 슬롯의 내벽에 접촉하는 바디부, 상기 슬롯 내의 복수의 층들에 삽입되는 코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절연을 위해 상기 바디부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칸막이는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보빈 구조{Bobbin structure}
본 발명은 고정자 코어와 코일 간 및 코일들 간의 절연을 수행할 수 있는 보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주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의 성능 및 연비 향상을 위해 구동모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구동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정자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의 턴 수를 증가시키거나 구동모터 자체의 효율을 증가시켜야 한다. 구동모터 효율 증가를 위해 구동모터의 절연이 중요하다.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따라 절연성능의 향상이 요구되고, 특히 고정자 코어와 코일 간 및 코일들 간의 절연이 중요하다. 코일들 간 및 코일과 고정자 코어 간 전압차에 의해 부분 방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방전이 발생되면 코일의 피막이 손상되어 절연 성능 악화된다. 부분 방전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전압을 PDIV(부분방전 개시전압)라고 하며, PDIV는 고도 및 온도가 낮아진다. 즉, 구동모터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상황에서, 차량이 높은 곳으로 올라가거나 구동모터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구동모터의 온도가 고온이 되는 경우 구동모터의 성능이 악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모터의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삽입되는 코일과 고정자 코어 간 직접 접촉 방지 및 부분 방전 억제를 위해 절연지를 삽입하였다. 절연지는 슬롯에 코일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슬롯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절연지의 절곡 및 가공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동모터는 OEW(Open end winding) 구조와 같은 2-stage 전압 분포를 반영하지 못하여 슬롯에 삽입되는 코일들 간의 절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정자 코어와 코일 간 및 코일들 간의 절연을 수행할 수 있는 보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동모터를 OEW(Open end winding) 구조에 적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코일의 각 상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대비하여 코일 간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를 제공한다. 고정자 코어에 정의된 슬롯에 삽입되는 보빈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빈 구조는 상기 슬롯의 내벽에 접촉하는 바디부, 상기 슬롯 내의 복수의 층들에 삽입되는 코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절연을 위해 상기 바디부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칸막이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은 상기 슬롯 내에서 6개의 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칸막이는 1번째 층과 2번째 층 사이 또는 5번째 층과 6번째 층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은 상기 슬롯 내에서 6개의 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칸막이는 1번째 층과 2번째 층 사이 및 5번째 층과 6번째 층 사이에 2개가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보빈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 코어는 복수개의 티스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 구조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 끝단 중 일단에 배치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인접하는 2개의 티스부들과 모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고정자 코어의 적층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티스부들이 배치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티스부들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은 상기 슬롯 내에서 6개의 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슬롯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보빈 구조는 상기 칸막이가 1번째 층과 2번째 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및 상기 칸막이가 5번째 층과 6번째 층 사이에 2개가 배치되는 제2 타입으로 상기 슬롯들에 적용되고, 상기 제1 타입 및 상기 제2 타입은 서로 교차로 상기 슬롯들에 적용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보빈 구조는 제1 인버터 및 제2 인버터와 연결되고, 3상의 전류가 흐르는 고정자 권선의 일단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선, 상기 고정자 권선의 타단은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선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는 절연지를 통해 고정자 코어와 코일 및 코일들 간의 절연하는 경우보다 가공의 어려움이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자를 제조하는 설비의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물인 보빈 구조는 절연지의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OEW(Open end winding) 구조에 적용되는 고정자에 최적화된 보빈 구조를 통해 고정자의 절연 구조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나아가 구동모터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동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삽입된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삽입된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가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동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모터의 구동시스템(1)은 한 개의 교류 구동모터(30)와 2개의 인버터들(20, 40)이 연결된 상태(Open end winding: OEW)로 구동될 수 있다. OEW 상태로 구동모터의 구동시스템(1)이 구성된 경우 구동모터(30)에 인가되는 전압은 한 개의 교류 구동모터(30)와 1개의 인버터(20)가 연결된 상태(Close end winding: CEW)에서 구동모터(3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클 수 있다.
구동모터의 구동시스템(1)은 배터리(10), 제1 인버터(20), 교류 구동모터(30), 제2 인버터(40) 및 스위치(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10)는 전기차량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과 같이 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교류 구동모터(30)를 구비한 친환경 차량에서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친환경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10)는 교류 구동모터(30) 구동 시 방전 하게 되고, 외부의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인버터들(20, 40)은 배터리(10)의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교류 전력을 출력하거나, 복수의 교류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10)로 전력을 출력하도록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인버터일 수 있다. 즉, 인버터들(20, 40) 각각에 포함되는 6개의 스위칭 소자에 의해 교류 구동모터(30)를 구동하거나 회생할 수 있다.
제1 인버터(20)는 배터리(10)와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과 교류 구동모터(30)와 연결되는 제1 입출력단(a1, b1, c1)을 가질 수 있다. 교류 구동모터(30)를 구동하는 경우, 제1 인버터(20)는 전원 입력단에서 배터리(10)의 전력을 제공받고 이를 스위칭 소나들 이용하여 복수의 위상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제2 입출력단(a2, b2, c2)으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서로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3상이 전력을 이용하여 교류 구동모터(30)를 구동하는 기술이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는 3상 전력 변환을 수행하는 인버터들(20, 40) 및 3상 교류 구동모터(30)를 기반으로 설명될 것이다.
교류 구동모터(30)는 인버터들(20, 40)로부터 변환된 3상 교류 전력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교류 구동모터(30)는 제1 인버터(20)로부터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교류전력을 입력 받는 복수의 고정자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버터(40)는 교류 구동모터(30)와 연결되는 제2 입출력단(a2, b2, c2)을 가질 수 있다. 제2 인버터(40)는 교류 구동모터(30)의 무효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인버터(20)에서 요구되는 무효전력 성분을 제2 인버터(40)에서 보상함으로써, 제1 인버터(20)에서 고속 운전(차량의 고출력 모드)에서의 전압 제한에 따른 정출력 구간을 확대하여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구동 시스템(1)에 하나의 인버터가 적용된 구조(이하, Y 결선 구조)에서는 구동모터(30)의 상들 간의 전압 차이가
Figure pat00001
이나, 2개의 인버터가 적용된 OEW 구조에서 구동모터(30)의 상들 간의 전압 차이는
Figure pat00002
이다. 즉, OEW 구조는 Y 결선 구조보다 구동모터(30)의 각상에 상대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고정자 코어(미도시)와 코일(미도시) 간의 절연 및 코일들(미도시) 간의 절연의 중요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자(100)는 고정자 코어(200), 보빈 구조(300) 및 코일(4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 코어(200)는 복수의 티스부들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티스부들에 의해 복수의 슬롯들(210)이 정의될 수 있다. 보빈 구조(300)는 복수의 슬롯들(210)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코일(400)은 보빈 구조(300)에 권선될 수 있다. 코일(400)은 하나의 슬롯(210) 내에 6개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빈 구조(300)는 고정자 코어(200)와 코일(400)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100)는 2개의 인버터가 적용된 OEW 구조에 적용되는 구동모터(30)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 구조(300)는 제1 인버터(10) 및 제2 인버터(20)와 연결되고, 3상의 전류가 흐르는 고정자 권선의 일단은 제1 인버터(10)의 출력선, 고정자 권선의 타단은 제2 인버터(20)의 출력선에 연결되는 구동모터(3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자 권선이란 고정자 코어(200)에 제공되는 코일(400) 또는 복수의 코일들(400)이 모인 3상(U, V, W) 인출선을 의미할 수 있다. OEW 구조에 적용된 구동모터(30)에서 슬롯(210) 내의 6개의 층으로 삽입된 코일들(400) 간의 전압차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슬롯(210)에서는 1번째 층에 위치한 코일(400)과 2번째 층에 위치한 코일(400) 간의 전압차가 최대로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어느 하나의 슬롯(210)에 인접한 다른 슬롯(210)에서는 5번째 층에 위치한 코일(400)과 6번째 층에 위치한 코일(400) 간의 전압차가 최대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들(400) 간의 절연을 위해 본 발명의 보빈 구조(300)는 코일들(400) 사이에 배치되는 별도의 칸막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미도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삽입된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빈 구조(300)는 바디부(310), 칸막이(320) 및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0), 칸막이(320) 및 연장부(3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310), 칸막이(320) 및 연장부(330)는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10)는 슬롯들(210)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다. 바디부(310)는 고정자 코어(200)의 적층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디부(310)는 슬롯들(210) 내에 삽입되어 코일(400)과 고정자 코어(200)를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칸막이(320)는 바디부(31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바디부(310) 내에는 복수의 층들로 구성된 코일(400)이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일(400)은 슬롯들(210) 내에 복수의 층들을 이루도록 삽입될 수 있다. 칸막이(320)는 복수의 층들로 이루어진 코일들(400) 간의 절연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칸막이(320)는 슬롯(320) 내의 복수의 층들에 삽입되는 코일들(400) 중 적어도 일부의 절연을 위해 바디부(3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코일들(400)은 1번째 층에 위치한 제1 코일(401), 2번째 층에 위치한 제2 코일(402), 3번째 층에 위치한 제3 코일(403), 4번째 층에 위치한 제4 코일(404), 5번째 층에 위치한 제5 코일(405) 및 6번째 층에 위치한 제6 코일(406)을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310)는 1번째 층에 위치한 제1 코일(401)과 2번째 층에 위치한 제2 코일(40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코일(401)과 제2 코일(402)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제1 코일(401)과 제2 코일(402)은 OEW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차를 생성하는 코일들로, 제1 코일(401)과 제2 코일(402) 사이의 절연을 통해 구동모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고정자 코어(200)의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바디부(310)의 양 끝단 중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 코어(200)의 적층방향을 따라 보빈 구조(300)가 슬롯(210) 내에 삽입될 때 연장부(330)는 보빈 구조(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보빈 구조(300)가 슬롯(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330)는 제1 코일 내지 제6 코일(401, 402, 403, 404, 405, 406)이 연속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바디부(310)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제1 코일 내지 제6 코일(401, 402, 403, 404, 405, 406)이 연속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바디부(310)의 양 끝단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달리, 칸막이(320)는 5번째 층에 위치한 제5 코일(405)과 6번째 층에 위치한 제6 코일(406) 사이에 배치되어 제5 코일(405)과 제6 코일(406)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 구조(300)는 고정자 코어(200)와 코일들(401, 402, 403, 404, 405, 406) 및 코일들(401, 402, 403, 404, 405, 406) 중 상대적으로 전압차가 크게 발생되는 제1 코일(401)과 제2 코일(402)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기존에 절연지를 통해 고정자 코어(200)와 코일들(401, 402, 403, 404, 405, 406) 및 코일들(401, 402, 403, 404, 405, 406) 중 상대적으로 전압차가 크게 발생되는 코일들을 절연하였으나, 이는 절연지 가공의 가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300)는 사출물로, 가공의 어려움이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자(100)를 제조하는 설비의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물인 보빈 구조(300)는 절연지의 재료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삽입된 보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빈 구조(300)는 바디부(310), 칸막이(321, 323) 및 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0), 칸막이(321, 323) 및 연장부(3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310), 칸막이(321, 323) 및 연장부(330)는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321, 323)는 바디부(310) 내에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칸막이(321, 323)는 복수의 층들로 이루어진 코일들(400) 간의 절연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코일들(400)은 1번째 층에 위치한 제1 코일(401), 2번째 층에 위치한 제2 코일(402), 3번째 층에 위치한 제3 코일(403), 4번째 층에 위치한 제4 코일(404), 5번째 층에 위치한 제5 코일(405) 및 6번째 층에 위치한 제6 코일(406)을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321, 323)는 1번째 층에 위치한 제1 코일(401)과 2번째 층에 위치한 제2 코일(40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칸막이(321) 및 5번째 층에 위치한 제5 코일(405)과 6번째 층에 위치한 제6 코일(406)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칸막이(3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칸막이(321, 323)는 제1 코일(401)과 제2 코일(402)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고, 제5 코일(405)과 제6 코일(406)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OEW 구조에서 어느 하나의 슬롯(210)에 삽입되는 제1 코일(401)과 제2 코일(402) 사이의 전압차는 다른 코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차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슬롯(210)에 인접하는 다른 슬롯(210)에 삽입되는 제5 코일(405)과 제6 코일(406) 사이의 전압차는 다른 코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차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빈 구조(300)의 생산 공정의 단순화 및 고정자(100)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제1 코일(401)과 제2 코일(40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칸막이(321) 및 제5 코일(405)과 제6 코일(406)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칸막이(323)를 포함하는 보빈 구조(300)가 구동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 구조가 고정자 코어의 슬롯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고정자 코어의 일부만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자(200)에는 복수의 티스부들(220)이 정의될 수 있고, 티스부들(200)에 의해 복수의 슬롯들(210)이 정의될 수 있다. 슬롯들(210)에는 보빈 구조(3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보빈 구조(300)는 슬롯들(210)에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제1 타입과 제2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타입의 보빈 구조(300)는 칸막이(320)가 1번째 층과 2번째 층 사이에 배치되는 타입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타입은 칸막이(320)가 5번째 층과 6번째 층 사이에 2개가 배치되는 타입을 의미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고정자 코어(200)와 인접하도록 칸막이(320)가 배치된 타입이 제1 타입일 수 있고, 고정자 코어(200)에서 연장된 티스부들(220)의 끝단과 인접하도록 칸만이(320)가 배치된 타입이 제2 타입일 수 있다. 제1 타입과 제2 타입을 슬롯들(210)에 삽입되는 방향이 상이할 뿐 구조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타입의 보빈 구조(300)와 제2 타입의 보빈 구조(300)는 서로 교차로 슬롯들(210)에 적용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인접하는 2개의 티스부들(220)과 모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바디부(도 3 또는 도 5의 310)에서 고정자 코어(200)의 적층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티스부들(220)이 배치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30)는 고정자 코어(200)의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티스부들(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30)에 의해 보빈 구조가 슬롯(210) 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330)는 바디부(도 3 또는 도 5의 310)의 양 끝단 중 일단에만 적용되는바, 보빈 구조가 슬롯(210) 내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고정자 코어에 정의된 슬롯에 삽입되는 보빈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빈 구조는,
    상기 슬롯의 내벽에 접촉하는 바디부;
    상기 슬롯 내의 복수의 층들에 삽입되는 코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절연을 위해 상기 바디부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칸막이는 일체로 형성된,
    보빈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들은 상기 슬롯 내에서 6개의 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칸막이는 1번째 층과 2번째 층 사이 또는 5번째 층과 6번째 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빈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들은 상기 슬롯 내에서 6개의 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칸막이는 1번째 층과 2번째 층 사이 및 5번째 층과 6번째 층 사이에 2개가 배치되는,
    보빈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보빈 구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코어는 복수개의 티스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 구조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 끝단 중 일단에 배치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인접하는 2개의 티스부들과 모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보빈 구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고정자 코어의 적층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티스부들이 배치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빈 구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티스부들 상에 배치되는,
    보빈 구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들은 상기 슬롯 내에서 6개의 층으로 제공되고,
    상기 슬롯은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보빈 구조는 상기 칸막이가 1번째 층과 2번째 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및 상기 칸막이가 5번째 층과 6번째 층 사이에 2개가 배치되는 제2 타입으로 상기 슬롯들에 적용되고,
    상기 제1 타입 및 상기 제2 타입은 서로 교차로 상기 슬롯들에 적용되는,
    보빈 구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구조는,
    제1 인버터 및 제2 인버터와 연결되고, 3상의 전류가 흐르는 고정자 권선의 일단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선, 상기 고정자 권선의 타단은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선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에 적용되는,
    보빈 구조.
KR1020210048894A 2021-04-15 2021-04-15 보빈 구조 KR20220142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94A KR20220142626A (ko) 2021-04-15 2021-04-15 보빈 구조
US17/518,201 US11742707B2 (en) 2021-04-15 2021-11-03 Bobbin structure for partioning coil layers
DE102021212473.9A DE102021212473A1 (de) 2021-04-15 2021-11-05 Spulenkörperanordnung
CN202111398598.0A CN115224849A (zh) 2021-04-15 2021-11-24 线轴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94A KR20220142626A (ko) 2021-04-15 2021-04-15 보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26A true KR20220142626A (ko) 2022-10-24

Family

ID=8344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894A KR20220142626A (ko) 2021-04-15 2021-04-15 보빈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42707B2 (ko)
KR (1) KR20220142626A (ko)
CN (1) CN115224849A (ko)
DE (1) DE102021212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6469A (ja) * 2021-01-07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3901B1 (de) * 2014-04-15 2016-10-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nd dessen Herstellung
US10333364B2 (en) * 2015-07-06 2019-06-2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lot insulation for electrical machines
JP6509359B2 (ja) * 2015-10-20 2019-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一体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151771B2 (ja) * 2018-07-31 2022-10-12 株式会社アイシン 電機子
DE102018219822A1 (de) * 2018-11-19 2020-05-20 Mahle International Gmbh Isolationskörp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19211267A1 (de) * 2019-07-30 2021-02-04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Spulenanordnung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JP7344807B2 (ja) * 2020-02-10 2023-09-1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コイルボビン、分布巻ラジア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の固定子コア及び分布巻ラジア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24849A (zh) 2022-10-21
DE102021212473A1 (de) 2022-10-20
US20220337102A1 (en) 2022-10-20
US11742707B2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5012B2 (en) Dynamo 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557483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04989B2 (ja) 回転電機,巻線機,回転電機システム,ハイブリッド自動車,燃料電池自動車、及び電気自動車
EP4175125A1 (en) Stator, flat wire motor, powertrain, and vehicle
JP2008236924A (ja) 回転電機及び電気自動車
JP5681026B2 (ja) 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WO2007136081A1 (ja) 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回転電機
EP2632023B1 (en) Dynamo-electric machine and on-vehicle dynamo-electric machine system
JP2014128108A (ja) 回転電機
MX2013000632A (es) Estator de maquina electrica rotacional y maquina electrica rotacional.
KR101588758B1 (ko) 구동모터의 절연유닛
CN115777173A (zh) 驱动系统
CN115498794A (zh) 电机定子、扁线电机、动力总成和动力装置
KR20220142626A (ko) 보빈 구조
WO2022239665A1 (ja) 電力変換装置
JPH10112948A (ja) 回転電機の2極電機子巻線とその製造方法
CN110391707B (zh) 一种三相并网集成充电器电机绕组构建方法及其应用
US11133718B2 (en) Electric machine with slot closers
WO2023124509A1 (zh) 定子、扁线电机、动力总成和车辆
US20230052570A1 (en) Driving system of a driving motor
Bruell et al. Bidirectional charge-and traction-system
KR20220067675A (ko) 모터의 권선 패턴 및 모터의 구동시스템
KR20220162344A (ko) 모터의 권선 패턴 및 모터의 구동시스템
US11777356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KR102367347B1 (ko) 차량 구동모터 터미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