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042A - 안면보호용 쉴드 - Google Patents

안면보호용 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042A
KR20220142042A KR1020210048318A KR20210048318A KR20220142042A KR 20220142042 A KR20220142042 A KR 20220142042A KR 1020210048318 A KR1020210048318 A KR 1020210048318A KR 20210048318 A KR20210048318 A KR 20210048318A KR 20220142042 A KR20220142042 A KR 2022014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upling
frame
locking
nos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821B1 (ko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림에프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림에프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림에프포
Priority to KR102021004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8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4Junctions between frame elements having a click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6Lock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보호용 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테와 유사한 구조의 쉴드 프레임의 전면에 투명 쉴드가 설치된 구성을 갖되, 좌측 프레임 요소 및 우측 프레임 요소가 결합되어 쉴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 제조 과정의 생산성이 향상된 안면보호용 쉴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안면보호용 쉴드 {Face protection shield}
본 발명은 안면보호용 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와 유사한 구조의 쉴드 프레임의 전면에 투명 쉴드가 설치된 구성을 갖되, 좌측 프레임 요소 및 우측 프레임 요소가 결합되어 쉴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 제조 과정의 생산성이 향상된 안면보호용 쉴드에 관한 것이다.
보건, 의료 분야의 업무 환경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외부 환경을 차단하기 위해 투명 쉴드를 구비한 안면보호용 쉴드가 사용된다.
또다른 예로, 스포츠 경기 관람이나 다양한 야외 활동을 진행하기 위해 태양광의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안면보호용 쉴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의 안면보호용 쉴드는 선글라스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색이 들어 있는 투명 쉴드를 구비하거나 자외선 차단 코팅이 된 투명 쉴드를 구비한다.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0801 (2001년07월20일 등록)은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면의 중앙에 코걸이를 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후측단부가 귀에 걸도록 만곡되고 전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핀으로 결합되는 다리와; 전방투사가 가능한 합성수지로 성형된 박판으로 양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압착편에 의해 고정되는 실드로 구성된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핀으로 절첩 가능토록 다리가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프레임과 좌측 다리, 우측 다리를 별도의 사출물로 제작하고 조립하는데 있어서, 다수 금형의 제작 및 조립 공정의 복잡화로 인해 생산비용 상승의 요인이 내재되었다.
특히, 안면보호용 실드가 통상적으로 1회용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생산비용 상승은 제품 경쟁력에 큰 저해 요소가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코받침을 프레임에 탈/부착식으로 설치하지만, 코받침의 각도 조절 기능이 없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0801 (2001년07월20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6947 (2012년02월07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경테와 유사한 구조의 쉴드 프레임의 전면에 투명 쉴드가 설치된 구성을 갖되, 좌측 프레임 요소 및 우측 프레임 요소가 결합되어 쉴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 제조 과정의 생산성이 향상된 안면보호용 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마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전면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각각 걸쳐지는 좌측 다리 및 우측 다리가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된 쉴드 프레임; 및 탄성을 갖는 투명 판재로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쉴드 프레임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좌측으로 만곡(彎曲)된 좌측 상단부가 상기 쉴드 프레임의 좌측 전방 외측부에 결합되고, 우측으로 만곡된 우측 상단부가 상기 쉴드 프레임의 우측 전방 외측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투명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프레임은,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와 상기 좌측 다리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와, 상기 전면 프레임의 우측 일부와 상기 우측 다리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를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와 상기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를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의 우측 일부가 결합 요소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요소는 삽입 구조에 기초한 결합 요소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요소는, 결합되는 일측에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며 단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걸림편을 구비하며, 결합되는 타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걸림 결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요소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암(female) 결합부와,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또다른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면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 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수(male)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 결합부에는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며 단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암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결합 요소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코걸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코걸이 결합봉; 및 상기 코걸이 결합봉의 상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걸림결합부를 포함하는 코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걸이는 상기 코걸이 결합봉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코걸이 및 전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걸림 요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걸이의 회동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요소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암(female) 결합부와,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또다른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면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 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수(male)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걸이는, 상기 수 결합부와 결합 상태를 이루는 상기 암 결합부의 후면측과 저면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결합 본체부와, 상기 결합 본체부의 상부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코걸이 결합봉의 상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걸림결합부와, 상기 결합 본체부의 하부 측으로 각각 연장된 좌측 코 지지부 및 우측 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 결합부의 저면측을 감싸는 코걸이의 결합 본체부의 표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 결합부의 저면측 표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요홈이 배치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걸림 요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걸이의 회동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좌측 프레임 요소 및 우측 프레임 요소가 결합되어 쉴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 제조 과정의 생산성이 향상된 안면보호용 쉴드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측 프레임 요소 및 우측 프레임 요소의 결합 부위에 코걸이가 조립식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 제조 과정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쉴드 프레임에 설치된 코걸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결합 요소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결합 요소의 부분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코걸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코걸이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코걸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결합 요소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결합 요소의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안면보호용 쉴드는 쉴드 프레임(10) 및 투명 쉴드(20)를 포함한다.
상기 쉴드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이마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전면 프레임(12)의 좌측(L) 및 우측(R)에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각각 걸쳐지는 좌측 다리(14) 및 우측 다리(16)가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쉴드 프레임(10)은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된다. 합성수지는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품 제작이 가능하면서 탄성 경량을 갖는 소재이면 되며, 특정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쉴드 프레임(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의 좌측 일부(12L)와 상기 좌측 다리(14)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10L)와, 상기 전면 프레임(12)의 우측 일부(12R)와 상기 우측 다리(16)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10R)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쉴드 프레임(10)을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10L)와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10R)의 2개 요소로 분리하여 각각의 사출물로 제작하고 조립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면, 프레임과 좌측 다리, 우측 다리를 별도의 사출물로 제작하고 핀으로 조립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사출물 형성을 위한 금형의 종류를 적게 제작해도 되며, 핀을 이용한 좌측/우측 다리의 조립이 불필요하므로 조립 공정이 단순화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전면 프레임(12)과 좌측 다리(14), 우측 다리(16) 전체를 일체로 하나의 사출물로 구성하여 쉴드 프레임(10)을 제작하는 경우, 쉴드 프레임(10)의 구조 상 하나의 금형에 여러 개의 쉴드 프레임용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10L)와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10R)의 2개 요소로 분리하여 각각의 금형을 별도 제작하고 사출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면, 프레임 요소의 구조 상 하나의 금형에 여러개의 쉴드 프레임 요소(10L 또는 10R)용 캐비티를 형성하여 한 번의 사출로 여러개의 쉴드 프레임 요소(10L 또는 10R)를 동시에 사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사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안면보호용 실드가 통상적으로 1회용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점을 감안할 때, 좌측/우측 다리가 핀을 통해 절첩 가능한 구조로 반드시 제작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본 실시예의 구성은 충분한 사용성을 제공하면서도 생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쉴드 프레임(10)은, 상기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10L)를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12)의 좌측 일부(12L)와 상기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10R)를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12)의 우측 일부(12R)가 결합 요소(30)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쉴드 프레임(10)을 구성한다.
상기 투명 쉴드(20)는, 탄성을 갖는 투명 판재로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쉴드 프레임(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좌측으로 만곡(彎曲)된 좌측 상단부(24)가 상기 쉴드 프레임(10)의 좌측 전방 외측부(14a)에 결합되고, 우측으로 만곡된 우측 상단부(26)가 상기 쉴드 프레임(10)의 우측 전방 외측부(16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투명 쉴드(20)의 좌측 상단부(24) 및 우측 상단부(26)는 각각 회동용 홀(242,262)을 구비하고, 쉴드 프레임(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회동축(142,162)에 기초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하여 쉴드 각도(a)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쉴드 프레임(10)의 좌측 전방 외측부(14a)에는 좌측 회동축(142)이 형성되고, 상기 쉴드 프레임(10)의 우측 전방 외측부(16a)에는 우측 회동축(1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 쉴드(20)의 좌측 상단부(24) 및 우측 상단부(26)는 각각 복수의 걸림 요홈이 연접하여 배치된 걸림 요홈부(244,264)를 구비하고, 상기 쉴드 프레임(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 돌출부(144,164)와 상기 걸림 요홈부(244,264)의 걸림 위치에 기초하여, 쉴드 각도 조절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요소(30)는 삽입 구조에 기초한 결합 요소(30)이다.
일예로, 상기 결합 요소(30)는, 결합되는 일측에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며 단부에 걸림돌기(34a)를 구비한 걸림편(34b)을 구비하며, 결합되는 타측에 상기 걸림돌기(34a)가 걸림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걸림턱(36a)을 구비하여,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결합 요소(30)는 암(female) 결합부(36) 및 수(male) 결합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암 결합부(36)는 상기 전면 프레임(12)의 좌측 일부(12L) 또는 우측 일부(12R) 중의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수 결합부(34)는 상기 전면 프레임(12)의 좌측 일부(12L) 또는 우측 일부(12R) 중의 또다른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면 프레임(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 결합부(36)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프레임(12)의 좌측 일부(12L)에 수 결합부(34)가 형성되고 전면 프레임(12)의 우측 일부(12R)에 암 결합부(36)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지만, 그 반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 결합부(36) 및 수 결합부(34)는 상기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10L) 또는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10R)과 함께 일체의 사출물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수 결합부(34)에는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며 단부에 걸림돌기(34a)를 구비한 걸림편(34b)이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수 결합부(34)와 걸림편(34b)은 상기 암 결합부(36)의 내측 공간(36b)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암 결합부(36)에는 상기 걸림돌기(34a)가 걸림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걸림턱(36a)이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걸림턱(36a)은 상기 암 결합부(36)의 내측 공간(36b)에 형성된다.
상기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10L) 및 상기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10R)를 각각 사출성형물로 제작한 후, 제품 조립을 위해 상기 암 결합부(36)의 내측 공간(36b)으로 상기 수 결합부(34)와 걸림편(34b)을 삽입한다. 상기 수 결합부(34)의 삽입 과정 중에 상기 걸림편(34b)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4a)가 상기 암 결합부(36)의 내측 공간(36b)에 의해 가압 접촉되므로, 상기 걸림편(34b)이 탄성변형된다. 상기 수 결합부(34)가 결합 완료 위치까지 삽입되면 걸림돌기(34a)의 가압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걸림편(34b)은 탄성복원되며, 걸림돌기(34a)는 걸림턱(36a)에 걸림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과정 중에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10L)에 형성된 코걸이 결합봉(32)의 단부는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10R)에 형성된 결합홈(32a)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걸이(40)가 결합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코걸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코걸이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보호용 쉴드의 코걸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안면보호용 쉴드는 코걸이 결합봉(32)을 통해 결합되는 코걸이(40)를 포함한다.
상기 코걸이 결합봉(32)은 상기 결합 요소(30)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코걸이(40)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걸이(40)는 상기 코걸이 결합봉(32)의 상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걸림결합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코걸이(40)는 상기 코걸이 결합봉(32)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A1-A2)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코걸이(40)는 상기 코걸이 결합봉(32)을 중심으로 R3-R4 방향의 회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코걸이(40)는, 상기 코걸이(40) 및 전면 프레임(12)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40a)가 다른 하나의 일측에 전후 방향(A1-A2)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걸림 요홈(12a)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걸이(40)의 회동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걸이(40)는 상기 결합 요소(30)에 기초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코걸이(40)는, 상기 수 결합부(34)와 결합 상태를 이루는 상기 암 결합부(36)의 후면측과 저면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결합 본체부(44)와, 상기 결합 본체부(44)의 상부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코걸이 결합봉(32)의 상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걸림결합부(42)와, 상기 결합 본체부(44)의 하부 측으로 각각 연장된 좌측 코 지지부(46L) 및 우측 코 지지부(46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암 결합부(36)의 저면측을 감싸는 코걸이(40)의 결합 본체부(44)의 표면에는 걸림 돌출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암 결합부(36)의 저면측 표면에는 전후 방향(A1-A2)을 따라 복수의 걸림 요홈(12a)이 배치된다. 상기 걸림 돌출부(40a) 및 복수의 걸림 요홈(12a)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걸림 돌출부(40a)가 상기 복수의 걸림 요홈(12a)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걸이(40)의 회동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안면보호용 쉴드는, 코걸이(4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안면 및 코의 형상, 크기에 맞추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코걸이(40)는, 걸림 돌출부(40a)가 상기 복수의 걸림 요홈(12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회동 위치가 쉽게 변경되지 않도록 유지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미설명 부호 44a는 결합 본체부(44)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전면 프레임(12)의 후면 측에 접촉 지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편이다. 상기 코걸이(40)의 각 요소들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쉴드 프레임
10L: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
10R: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
12: 전면 프레임
12a: 걸림 요홈
14: 좌측 다리
16: 우측 다리
20: 투명 쉴드
24: 좌측 상단부
26: 우측 상단부
30: 결합 요소
32: 코걸이 결합봉
34: 수(male) 결합부
34a: 걸림돌기
34b: 걸림편
36: 암(female) 결합부
36a: 걸림턱
40: 코걸이
40a: 걸림 돌출부
42: 걸림결합부
44: 결합 본체부
46L: 좌측 코 지지부
46R: 우측 코 지지부

Claims (9)

  1. 사용자의 이마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전면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각각 걸쳐지는 좌측 다리 및 우측 다리가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된 쉴드 프레임; 및
    탄성을 갖는 투명 판재로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쉴드 프레임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좌측으로 만곡(彎曲)된 좌측 상단부가 상기 쉴드 프레임의 좌측 전방 외측부에 결합되고, 우측으로 만곡된 우측 상단부가 상기 쉴드 프레임의 우측 전방 외측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투명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프레임은,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와 상기 좌측 다리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와, 상기 전면 프레임의 우측 일부와 상기 우측 다리가 일체로 사출 형성된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쉴드 프레임 요소를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와 상기 우측 쉴드 프레임 요소를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의 우측 일부가 결합 요소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는 삽입 구조에 기초한 결합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는,
    결합되는 일측에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며 단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걸림편을 구비하며, 결합되는 타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걸림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암(female) 결합부와,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또다른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면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 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수(male)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 결합부에는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며 단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암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코걸이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코걸이 결합봉; 및
    상기 코걸이 결합봉의 상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걸림결합부를 포함하는 코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걸이는 상기 코걸이 결합봉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코걸이 및 전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일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 걸림 요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걸이의 회동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암(female) 결합부와,
    상기 전면 프레임의 좌측 일부 또는 우측 일부 중의 또다른 하나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면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 결합부에 삽입 가능한 수(male)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걸이는,
    상기 수 결합부와 결합 상태를 이루는 상기 암 결합부의 후면측과 저면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결합 본체부와,
    상기 결합 본체부의 상부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코걸이 결합봉의 상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 결합되는 걸림결합부와,
    상기 결합 본체부의 하부 측으로 각각 연장된 좌측 코 지지부 및 우측 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 결합부의 저면측을 감싸는 코걸이의 결합 본체부의 표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 결합부의 저면측 표면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요홈이 배치되며,
    상기 걸림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걸림 요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걸이의 회동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보호용 쉴드.
KR1020210048318A 2021-04-14 2021-04-14 안면보호용 쉴드 KR10262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18A KR102621821B1 (ko) 2021-04-14 2021-04-14 안면보호용 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18A KR102621821B1 (ko) 2021-04-14 2021-04-14 안면보호용 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042A true KR20220142042A (ko) 2022-10-21
KR102621821B1 KR102621821B1 (ko) 2024-01-08

Family

ID=8380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318A KR102621821B1 (ko) 2021-04-14 2021-04-14 안면보호용 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8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KR101116947B1 (ko) 2011-09-27 2012-03-09 고영배 이중 쉴드가 구비된 안면보호구
KR20140010808A (ko) * 2012-07-17 2014-01-27 주식회사 오토스윙 코받침 높이조절용 기능성 보호안경
KR101372886B1 (ko) * 2012-05-31 2014-03-10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안전모 착탈용 보안경
KR101531214B1 (ko) * 2014-02-07 2015-06-24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안경다리 및 연결구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JP3227701U (ja) * 2020-04-30 2020-09-17 温州市潮汐光学有限公司Wenzhou Tide−Optical Co.,Ltd フェースシール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701B2 (ja) * 1990-04-18 2001-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ード同期半導体レー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KR101116947B1 (ko) 2011-09-27 2012-03-09 고영배 이중 쉴드가 구비된 안면보호구
KR101372886B1 (ko) * 2012-05-31 2014-03-10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안전모 착탈용 보안경
KR20140010808A (ko) * 2012-07-17 2014-01-27 주식회사 오토스윙 코받침 높이조절용 기능성 보호안경
KR101531214B1 (ko) * 2014-02-07 2015-06-24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안경다리 및 연결구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JP3227701U (ja) * 2020-04-30 2020-09-17 温州市潮汐光学有限公司Wenzhou Tide−Optical Co.,Ltd フェースシール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821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4054B2 (en) Eyewear having lens retaining member
US20120236252A1 (en) Nose pad for eyeglasses
JP2023169261A (ja) アイウェア用可撓性ブリッジ組立品および可撓性アイウェアの組立方法
KR20220142042A (ko) 안면보호용 쉴드
KR101106877B1 (ko) 안경 및 안경의 조립 방법
US20180303670A1 (en) Goggles for person not wearing eyeglasses
KR101233660B1 (ko) 비정형 안경테(무테 안경테)
JP5690907B1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KR100913398B1 (ko) 장식 안경다리
KR102621826B1 (ko) 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면보호용 쉴드
KR101580588B1 (ko) 안경 프론트
WO2016130427A1 (en) Method of making eyewear
KR200483685Y1 (ko) 안경다리
KR101432653B1 (ko) 원피스형 3d 안경테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303707Y1 (ko) 안구 보호대
KR20120049557A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130000829U (ko) 자외선 차단이 용이한 시력 교정용 안경
KR20150096072A (ko) 쿠션기능을 갖는 안경다리용 팁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251466B1 (ko) 코받침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KR200468061Y1 (ko) 렌즈키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경
KR101842539B1 (ko) 패션에 부응하는 조립형 고글
KR200455196Y1 (ko)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CN202654628U (zh) 泳镜
GB2403556A (en) Swimming gog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