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707Y1 - 안구 보호대 - Google Patents

안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707Y1
KR200303707Y1 KR20-2002-0030883U KR20020030883U KR200303707Y1 KR 200303707 Y1 KR200303707 Y1 KR 200303707Y1 KR 20020030883 U KR20020030883 U KR 20020030883U KR 200303707 Y1 KR200303707 Y1 KR 200303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ye
eye protector
present
ey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20-2002-0030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8Ventil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환자의 수술부위(즉, 한쪽 눈이나 양쪽 눈)에 따라 상기 커버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간편하게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면이 볼록한 형태의 불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전방측으로 중앙에 투시공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안구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양측단부에는 밴드의 일단 및 타단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후면에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끼움홈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구 보호대{AN EYES A PROTECTIVE IMPLEMENTS}
본 고안은 안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과 계통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눈 수술 후에,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접촉으로 인한 환부의 감염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개량된 구조의 안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내장 등과 같은 안과계통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나 시각교정을 위해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회복시까지 외부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로부터 환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구 보호대를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구 보호대는 착용시 환부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일면이 볼록한 형태의 불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전방측으로 중앙에 투시공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투시공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함고 동시에 상기 통공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눈 부위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구 보호대는 착용시 별도의 의료용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환부에 개별적으로 착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특히, 환자가 양쪽 눈을 모두 수술한 경우에는 착용이 매우 불편하고, 환부에 부착되는 접착부재에 의해 착용감이 떨어져 환자들이 보호대 착용에 따른 부담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 있었다.
더욱이 상기 안구 보호대를 착용한 환자들은 상기 안구 보호대의 착용상태가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주위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게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환자의 수술부위(즉, 한쪽 눈이나 양쪽 눈)에 따라 상기 커버를 간편하게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대 사용에 따른 편리성이 제공되는 안구 보호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면이 볼록한 형태의 불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전방측으로 중앙에 투시공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안구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양측단부에는 밴드의 일단 및 타단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용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걸림돌기에는 연결부재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커버를 병렬로 연결·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구 보호대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따른 안구 보호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커버가 연결된 상태의 안구 보호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구 보호대 10 : 커버
12 : 투시창 14 : 통공
16 : 걸림돌기 20 : 연결부재
22 : 끼움홈 30 : 밴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따른 안구 보호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커버가 연결된 상태의 안구 보호대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볼록한 형태의 불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커버(10)와, 상기 커버(10)의 전방측으로 중앙에 환자들이 외부를 볼수있도록 투시공(12)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다수개의 통공(14)이 형성된 안구 보호대(1)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의 양측단부에는 밴드(30)의 일단 및 타단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용 걸림돌기(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16)에는 후면에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끼움홈(22)이 형성된 " ∩"형상의 연결부재(20)가 착탈가능하게 조립·구성되어, 경우에 따라서, 복수개의 커버(10)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시공(12)에는 환자들의 시력 조건에 따라서, 별도의 렌즈(13)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통공(14)들은 차폐되어 있는 눈 부위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시공(12)의 외측 둘레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안구 보호대(1)의 착용방법은 통상적으로 상기 밴드(30)가 고정되어 있는 커버(10)를 환자들의 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밴드(30)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머리에 간편하게 걸어서 착용하면 되는 것으로, 보호대 착용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감이 우수하게 되며, 외관에 대한 미감이 향상되어 주위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착용이 완료된 안구 보호대(1)는 상기 커버(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접촉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오염물질부터 환부를 보호하여, 수술부위가 덧나거나 염증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10)를 연결·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6)가 대향형성된 복수개의 커버(10)를 구비하여, 상기 양측커버(10)의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16)에 상기 연결부재(20)의 끼움홈(22)이 각각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주면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걸림돌기(16)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6a)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상기 끼움홈(22)과 대향 형성된 연결부재(20)의 전면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구 보호대(1)의 전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커버(10)가 연결·구성된 안구 보호대(1)는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의 후면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끼움홈(22)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커버(10)의 걸림돌기(16)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측 커버(10)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성인이나 어린아이들이 겸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커버(10')의 양측 단부에 2개 또는 3개의 걸림돌기(16')가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6')들은 상기한 갯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의 돌기들을 상,하로 배열 되도록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커버(10")의 양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긴 형태의 걸림돌기(16")가 돌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6")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돌기의 단순한 형태 변형에 의한 고안들은 본 출원인의 권리범위게 귀속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구 보호대에 의하면, 상기 안구 보호대를 착용함에 있어, 종래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를 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이 매우 우수하고,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있는 밴드에 의해 환자들이 매우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특히 안과계통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수술부위(즉, 한쪽 눈이나 양쪽눈)에 따라 상기 커버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연결·사용할 있어 보호대 사용에 따른 편리성이 제공되며, 성인이나 어린아이들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커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보호대 사용에 따른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여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일면이 볼록한 형태의 불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커버(10)와, 상기 커버(10)의 전방측으로 중앙에 투시공(12)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다수의 통공(14)이 형성된 안구 보호대(1)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의 양측단부에는 밴드(30)의 일단 및 타단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용 걸림돌기(16)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돌기(16)에는 후면에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끼움홈(22)이 형성된 연결부재(20)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의 양측 단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돌기(16')가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보호대.
KR20-2002-0030883U 2002-10-16 2002-10-16 안구 보호대 KR200303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83U KR200303707Y1 (ko) 2002-10-16 2002-10-16 안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83U KR200303707Y1 (ko) 2002-10-16 2002-10-16 안구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707Y1 true KR200303707Y1 (ko) 2003-02-11

Family

ID=4940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83U KR200303707Y1 (ko) 2002-10-16 2002-10-16 안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7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64B1 (ko) 2011-09-29 2012-04-17 주식회사 케이제이엘테크놀러지 근적외선 led가 구비된 안구 치료용 안대
KR20220129325A (ko) * 2021-03-16 2022-09-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안구 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64B1 (ko) 2011-09-29 2012-04-17 주식회사 케이제이엘테크놀러지 근적외선 led가 구비된 안구 치료용 안대
KR20220129325A (ko) * 2021-03-16 2022-09-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안구 보호대
KR102563635B1 (ko) * 2021-03-16 2023-08-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안구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928B1 (ko) 원환체렌즈가 부착되고 걸쇠가 하나로 합쳐진 보호안경
US8209778B2 (en) Headgear
EP2191736B1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US20060179554A1 (en) Goggle with removable foam lining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US20050015852A1 (en) Eye and ear protection apparatus
KR200240801Y1 (ko)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KR200303707Y1 (ko) 안구 보호대
US20230276872A1 (en) Head strap system for eyewear
US6789271B2 (en) Eye protection
KR102078959B1 (ko) 핀홀 안경 효과를 가진 마스크
US20230136369A1 (en) Wearable mask
KR200492759Y1 (ko) 마스크가 부착된 모자
KR200234825Y1 (ko) 방진 및 방풍 마스크
US7407282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US6582073B1 (en) Visual field occluder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eyeglasses
KR20100008250U (ko) 보안경 겸용 마스크
JP3159668U (ja) 飛沫噴出を防ぐマスク
US6704935B1 (en) Clear tanning glasses with opaque eyepieces
KR20010109902A (ko) 시력 교정용 마스크를 겸하는 수면 안대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KR102574967B1 (ko) 김서림 방지구
CN219781240U (zh) 一种诱导豚鼠近视模型的头套装置
KR20130000829U (ko) 자외선 차단이 용이한 시력 교정용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