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042A -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042A
KR20220141042A KR1020210047089A KR20210047089A KR20220141042A KR 20220141042 A KR20220141042 A KR 20220141042A KR 1020210047089 A KR1020210047089 A KR 1020210047089A KR 20210047089 A KR20210047089 A KR 20210047089A KR 20220141042 A KR20220141042 A KR 2022014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rame
embankment
wat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988B1 (ko
Inventor
박찬선
류동환
Original Assignee
박찬선
류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선, 류동환 filed Critical 박찬선
Priority to KR102021004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9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제방의 수용 능력이 초과되는 집중호우시 제방둑에 한시적 설치 및 철거가 빠르게 진행되어 제방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도록, 제방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전방 지지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후방 지지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이 좌우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 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지면 방향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지지부(1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다단 걸림턱(15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의 좌우에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 하부 일단이 회동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입설 프레임(200); 및 사각 형상으로 상기 입설 프레임(200)으로 지지되어 제방 내측 수로 방향으로 차수판(310)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에 접철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판(310)의 후면 저부에서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 쌍의 접철 높이 조절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대향 위치에 접철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 내입되어 포개지도록 중앙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330)의 좌우측에는 보조 지지부재(340) 한 쌍이 배치되고 좌우측 테드리를 따라 마감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를 포함하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 MODULAR ORDER CONSTRUCTING SHIELD STRUCTURE TO PREVENT LEAKAGE OF RIVER EMBANKMENT }
본 발명은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제방의 수용 능력이 초과되는 집중호우시 제방둑에 한시적 설치 및 철거가 빠르게 진행되어 제방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도록, 베이스 프레임, 입설 프레임 및 수벽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하천 또는 호수 등지에는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토사를 다짐한 제방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조성된 제방은 수압에 따른 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고, 차량을 포함한 각종 장비의 주행을 위한 가도로를 제방 위에 축조하는 것과 같은 시공학적인 이유로 인하여 수면과 직접 맞닿게 되는 제방의 일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제방의 양 측면에 모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대륙과 해양성 기후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년 강수량의 대부분이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지정학적·기상학적 여건과, 하천의 유로가 짧고 경사가 급한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홍수피해가 많은 지역에 속한다.
일반적인 제방은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방의 경사면 하측이 하천의 흐름에 의하여 쉽게 침식되고, 우천 시나 폭우 시에는 빗물에 의하여 제방의 토사가 경사면을 따라 하천 등지로 쉽게 유실됨으로써, 제방의 지지강도가 취약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방이 붕괴될 경우에는 심각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방 경사면의 침식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법면블록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하천제방용 법면블록은 경사면에 별도의 장착수단이 없이 안착되기 때문에 우천이나 홍수시에 빗물에 흐르는 빗물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홍수로 인한 가장 큰 재해 요인으로는 하천정비계획에 따른 홍수계획빈도를 넘어선 강우나 집중호우에 의해 하천이 범람하여서 발생하는 하천홍수 피해가 지배적이며, 이는 급격히 불어난 하천수가 월류하면서 댐이나 제방등의 수공구조물을 붕괴·유실시키는 데에서 비롯되어 대규모 피해로 확산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실과 달리 낮게 책정된 하천 홍수위를 상향조정하고 홍수계획빈도도 과감한 투자를 통해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려 수마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건설교통부는 지난 태풍 "루사"를 계기로 설계기준을 상향조정하여 홍수로 인한 하천범람이 발생치 않도록 하천의 제방고를 대폭 높이기로 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댐이나 제방 등의 수공구조물을 더 높게 재축조하는 것은 경제적 부담과 기술적 한계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댐 수역이나 하천수계 주변의 주민들에게 평상시 더욱 낮은 주거지역에 산다는 침수에 대한 불안감을 심화시키므로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 패널(10a)(10b)의 하단부와 수공구조물(A)의 상면이 맞닿는 부분의 틈새 및 상기 전·후면 패널(10a)(10b)의 양측단부와 전·후면 연결지주 (20a)(20b)들이 결합되는 홍수 저지벽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연결 구성이 복잡하여 긴박한 상황에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호우가 지나간 이후 철거하여 적재 보관시 부피 문제등으로 적극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41072호(2006년01월10일 등록) 발명의 명칭 : 하천 제방의 누수 방지를 위한 차수 구조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489호(2003년04월02일 등록) 고안의 명칭 : 패널 조립식홍수저지벽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 제방의 수용 능력이 초과되는 집중호우시 제방둑에 한시적 설치 및 철거가 빠르게 진행되어 제방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방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전방 지지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후방 지지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이 좌우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 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지면 방향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지지부(1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하천에서 범람한 물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다단 걸림턱(15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의 좌우에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 하부 일단이 회동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입설 프레임(200)으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 형상으로 상기 입설 프레임(200)으로 지지되어 제방 내측 수로 방향으로 차수판(310)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에 접철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판(310)의 후면 저부에서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 쌍의 접철 높이 조절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대향 위치에 접철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 내입되어 포개지도록 중앙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330)의 좌우측에는 보조 지지부재(340) 한 쌍이 배치되고 좌우측 테드리를 따라 마감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로 범람이 예상되는 물의 양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 가능한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좌 보강부재(131)와 지면과 평평한 좌 메인부재(132)로 구비되며, 상기 좌 보강부재(13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좌 회동부(133)로 구비되며,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우 보강부재(141)와 지면과 평평한 우 메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우 회동부(143)로 차수 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의 상기 마감 프레임(350)을 따라 상기 차수판(310)에서 양측에서 후방으로 단차를 갖도록 치합측면(351)과 치합날개면(352)이 구비되며 상기 치합날개면(352)은 각각의 구조물이 결합시 서로 교호되도록 치합단차(353)가 구비되어 복수의 차수 구조물을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이 공간을 최소화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방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을 고정하도록 복수의 제방 결속홀(14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방 결속홀(145)은 상기 제방 결속홀(145)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의 삽입 방향이 하천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되도록 내면에 경사홀(145a)로 구비되어 지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좌 메인부재(132)의 내측 방향에는 제 1 파지공간(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지공간(132a)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좌 보강부재(131)의 지면 방향으로 제 1 결합통공(13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134)가 배치되고, 상기 우 메인부재(142)의 내측 방향에는 제 2 파지공간(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지공간(142a)의 외측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지면 방향으로 제 2 결합통공(14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144)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결합통공(134a)과 상기 제 2 결합통공(144a)을 서로 결합하도록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3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135)에는 와셔(135a)와 완충패캥재(135b)가 좌우에서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차수 구조물을 용이하게 연결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수판(310)이 회동되어 입설시 상기 차수판(310)의 저면을 수밀하도록 단면이 니는(ㄴ)자 형상으로 수밀공간(111)을 형성하며 상기 수밀공간(111)을 따라 수밀보강부재(1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밀보강부재(112)는 모서리 공간이 만곡면(112a)로 형성되어 상기 수밀공간(111)에 내입되도록 구비되고, 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은 상기 좌 회동부(133)와 상기 우 회동부(143)에 회동되는 로드바(221)와 상기 로드바(221) 상부에서 상기 로드바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스무드댐퍼(222)로 수밀성을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하고 차수 구조물을 설치할 때 부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은 먼저, 제방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전방 지지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후방 지지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이 좌우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 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지면 방향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지지부(1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다단 걸림턱(15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의 좌우에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 하부 일단이 회동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입설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각 형상으로 상기 입설 프레임(200)으로 지지되어 제방 내측 수로 방향으로 차수판(310)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에 접철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판(310)의 후면 저부에서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 쌍의 접철 높이 조절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대향 위치에 접철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 내입되어 포개지도록 중앙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330)의 좌우측에는 보조 지지부재(340) 한 쌍이 배치되고 좌우측 테드리를 따라 마감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좌 보강부재(131)와 지면과 평평한 좌 메인부재(132)로 구비되며, 상기 좌 보강부재(13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좌 회동부(133)로 구비되며,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우 보강부재(141)와 지면과 평평한 우 메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우 회동부(14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는 상기 마감 프레임(350)을 따라 상기 차수판(310)에서 양측에서 후방으로 단차를 갖도록 치합측면(351)과 치합날개면(352)이 구비되며 상기 치합날개면(352)은 각각의 구조물이 결합시 서로 교호되도록 치합단차(35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방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을 고정하도록 복수의 제방 결속홀(14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방 결속홀(145)은 상기 제방 결속홀(145)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의 삽입 방향이 하천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되도록 내면에 경사홀(145a)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좌 메인부재(132)의 내측 방향에는 제 1 파지공간(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지공간(132a)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좌 보강부재(131)의 지면 방향으로 제 1 결합통공(13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134)가 배치되고, 상기 우 메인부재(142)의 내측 방향에는 제 2 파지공간(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지공간(142a)의 외측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지면 방향으로 제 2 결합통공(14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144)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결합통공(134a)과 상기 제 2 결합통공(144a)을 서로 결합하도록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3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135)에는 와셔(135a)와 완충패캥재(135b)가 좌우에서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차수판(310)이 회동되어 입설시 상기 차수판(310)의 저면을 수밀하도록 단면이 니는(ㄴ)자 형상으로 수밀공간(111)을 형성하며 상기 수밀공간(111)을 따라 수밀보강부재(1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밀보강부재(112)는 모서리 공간이 만곡면(112a)로 형성되어 상기 수밀공간(111)에 내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은 상기 좌 회동부(133)와 상기 우 회동부(143)에 회동되는 로드바(221)와 상기 로드바(221) 상부에서 상기 로드바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스무드댐퍼(222)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제공하여,
첫째, 하천 제방의 수용 능력이 초과되는 집중호우시 제방둑에 한시적 설치 및 철거가 빠르게 진행되어 제방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방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전방 지지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후방 지지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이 좌우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 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지면 방향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지지부(1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하천에서 범람하는 물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다단 걸림턱(15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의 좌우에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 하부 일단이 회동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입설 프레임(200)으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사각 형상으로 상기 입설 프레임(200)으로 지지되어 제방 내측 수로 방향으로 차수판(310)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에 접철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판(310)의 후면 저부에서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 쌍의 접철 높이 조절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대향 위치에 접철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 내입되어 포개지도록 중앙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330)의 좌우측에는 보조 지지부재(340) 한 쌍이 배치되고 좌우측 테드리를 따라 마감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로 범람이 예상되는 물의 양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좌 보강부재(131)와 지면과 평평한 좌 메인부재(132)로 구비되며, 상기 좌 보강부재(13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좌 회동부(133)로 구비되며,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우 보강부재(141)와 지면과 평평한 우 메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우 회동부(143)로 차수 구조물의 설치가 부드럽고 간편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의 상기 마감 프레임(350)을 따라 상기 차수판(310)에서 양측에서 후방으로 단차를 갖도록 치합측면(351)과 치합날개면(352)이 구비되며 상기 치합날개면(352)은 각각의 구조물이 결합시 서로 교호되도록 치합단차(353)가 구비되어 복수의 차수 구조물을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이 공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방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을 고정하도록 복수의 제방 결속홀(14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방 결속홀(145)은 상기 제방 결속홀(145)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의 삽입 방향이 하천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되도록 내면에 경사홀(145a)로 구비되어 지면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부재를 통해 연결시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상기 좌 메인부재(132)의 내측 방향에는 제 1 파지공간(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지공간(132a)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좌 보강부재(131)의 지면 방향으로 제 1 결합통공(13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134)가 배치되고, 상기 우 메인부재(142)의 내측 방향에는 제 2 파지공간(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지공간(142a)의 외측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지면 방향으로 제 2 결합통공(14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144)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결합통공(134a)과 상기 제 2 결합통공(144a)을 서로 결합하도록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3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135)에는 와셔(135a)와 완충패캥재(135b)가 좌우에서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차수 구조물을 용이하게 연결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상기 차수판(310)이 회동되어 입설시 상기 차수판(310)의 저면을 수밀하도록 단면이 니는(ㄴ)자 형상으로 수밀공간(111)을 형성하며 상기 수밀공간(111)을 따라 수밀보강부재(1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밀보강부재(112)는 모서리 공간이 만곡면(112a)로 형성되어 상기 수밀공간(111)에 내입되도록 구비되고, 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은 상기 좌 회동부(133)와 상기 우 회동부(143)에 회동되는 로드바(221)와 상기 로드바(221) 상부에서 상기 로드바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스무드댐퍼(222)로 수밀성을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하고 차수 구조물을 설치할 때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좌측면 및 우측면 지지 프레임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다단 걸림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입설 프레임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1 및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3 및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제방 결속홀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5 및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마감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보관 잠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과 선출원 문헌을 비교하기 위한 선출원 문헌의 발췌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좌측면 및 우측면 지지 프레임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다단 걸림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입설 프레임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1 및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3 및 1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제방 결속홀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5 및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마감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의 보관 잠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과 선출원 문헌을 비교하기 위한 선출원 문헌의 발췌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는 먼저,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전방 지지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후방 지지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이 좌우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 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지면 방향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지지부(1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이 구비된다.
또한, 도 3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다단 걸림턱(15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의 좌우에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 하부 일단이 회동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입설 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여기에, 도 4 및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상기 입설 프레임(200)으로 지지되어 제방 내측 수로 방향으로 차수판(310)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에 접철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판(310)의 후면 저부에서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 쌍의 접철 높이 조절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대향 위치에 접철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 내입되어 포개지도록 중앙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330)의 좌우측에는 보조 지지부재(340) 한 쌍이 배치되고 좌우측 테드리를 따라 마감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6 및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좌 보강부재(131)와 지면과 평평한 좌 메인부재(132)로 구비되며, 상기 좌 보강부재(13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좌 회동부(133)로 구비되며,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우 보강부재(141)와 지면과 평평한 우 메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우 회동부(143)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는 상기 마감 프레임(350)을 따라 상기 차수판(310)에서 양측에서 후방으로 단차를 갖도록 치합측면(351)과 치합날개면(352)이 구비되며 상기 치합날개면(352)은 각각의 구조물이 결합시 서로 교호되도록 치합단차(353)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방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을 고정하도록 복수의 제방 결속홀(14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방 결속홀(145)은 상기 제방 결속홀(145)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의 삽입 방향이 하천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되도록 내면에 경사홀(145a)로 지면에 단단하게 결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11 및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 메인부재(132)의 내측 방향에는 제 1 파지공간(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지공간(132a)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좌 보강부재(131)의 지면 방향으로 제 1 결합통공(13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134)가 배치되고, 상기 우 메인부재(142)의 내측 방향에는 제 2 파지공간(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지공간(142a)의 외측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지면 방향으로 제 2 결합통공(14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144)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결합통공(134a)과 상기 제 2 결합통공(144a)을 서로 결합하도록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3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135)에는 와셔(135a)와 완충패캥재(135b)가 좌우에서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에,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차수판(310)이 회동되어 입설시 상기 차수판(310)의 저면을 수밀하도록 단면이 니는(ㄴ)자 형상으로 수밀공간(111)을 형성하며 상기 수밀공간(111)을 따라 수밀보강부재(1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밀보강부재(112)는 모서리 공간이 만곡면(112a)로 형성되어 상기 수밀공간(111)에 내입되어 수밀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한편, 도 9 및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은 상기 좌 회동부(133)와 상기 우 회동부(143)에 회동되는 로드바(221)와 상기 로드바(221) 상부에서 상기 로드바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스무드댐퍼(222)로 구비되어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는 제 1 고정홀(361)로 구비되는 고정부재(360)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 2 고정홀(17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단은 상기 제 1 고정홀(361)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제 2 고정홀(170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걸림쇠(4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르는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을 이용하면, 하천 제방의 수용 능력이 초과되는 집중호우시 제방둑에 한시적 설치 및 철거가 빠르게 진행되어 제방 범람으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고, 제방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전방 지지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후방 지지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이 좌우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 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지면 방향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지지부(1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하천에서 범람하는 물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용이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다단 걸림턱(15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의 좌우에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 하부 일단이 회동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입설 프레임(200)으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사각 형상으로 상기 입설 프레임(200)으로 지지되어 제방 내측 수로 방향으로 차수판(310)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에 접철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판(310)의 후면 저부에서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 쌍의 접철 높이 조절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대향 위치에 접철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 내입되어 포개지도록 중앙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330)의 좌우측에는 보조 지지부재(340) 한 쌍이 배치되고 좌우측 테드리를 따라 마감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로 범람이 예상되는 물의 양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고,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좌 보강부재(131)와 지면과 평평한 좌 메인부재(132)로 구비되며, 상기 좌 보강부재(13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좌 회동부(133)로 구비되며,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우 보강부재(141)와 지면과 평평한 우 메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우 회동부(143)로 차수 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의 상기 마감 프레임(350)을 따라 상기 차수판(310)에서 양측에서 후방으로 단차를 갖도록 치합측면(351)과 치합날개면(352)이 구비되며 상기 치합날개면(352)은 각각의 구조물이 결합시 서로 교호되도록 치합단차(353)가 구비되어 복수의 차수 구조물을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이 공간을 최소화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방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을 고정하도록 복수의 제방 결속홀(14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방 결속홀(145)은 상기 제방 결속홀(145)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의 삽입 방향이 하천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되도록 내면에 경사홀(145a)로 구비되어 지면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부재를 통해 연결시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좌 메인부재(132)의 내측 방향에는 제 1 파지공간(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지공간(132a)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좌 보강부재(131)의 지면 방향으로 제 1 결합통공(13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134)가 배치되고, 상기 우 메인부재(142)의 내측 방향에는 제 2 파지공간(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지공간(142a)의 외측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지면 방향으로 제 2 결합통공(14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144)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결합통공(134a)과 상기 제 2 결합통공(144a)을 서로 결합하도록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3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135)에는 와셔(135a)와 완충패캥재(135b)가 좌우에서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차수 구조물을 용이하게 연결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상기 차수판(310)이 회동되어 입설시 상기 차수판(310)의 저면을 수밀하도록 단면이 니는(ㄴ)자 형상으로 수밀공간(111)을 형성하며 상기 수밀공간(111)을 따라 수밀보강부재(1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밀보강부재(112)는 모서리 공간이 만곡면(112a)로 형성되어 상기 수밀공간(111)에 내입되도록 구비되고, 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은 상기 좌 회동부(133)와 상기 우 회동부(143)에 회동되는 로드바(221)와 상기 로드바(221) 상부에서 상기 로드바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스무드댐퍼(222)로 수밀성을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하고 차수 구조물을 설치할 때 부상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전방 지지 프레임 111 ... 수밀공간 112 ... 수밀보강부재 112a ... 만곡면 120 ... 후방 지지 프레임 130 ... 좌측면 지지 프레임 131 ... 좌 보강부재 132 ... 좌 메인부재 132a ... 제 1 파지공간 133 ... 좌 회동부 134 ... 제 1 결합부 134a ... 제 1 결합통공 135 ... 결합부재 135a ... 와셔 135b ...완충패캥재 140 ... 우측면 지지 프레임 141 ... 우 보강부재 142 ... 우 메인부재 142a ... 제 2 파지공간 143 ... 우 회동부 144 ... 제 2 결합부 144a ... 제 2 결합통공 145 ... 제방 결속홀 145a ... 경사홀 150 ... 가이드 프레임 151 ... 다단 걸림턱 160 ... 수직 지지부 170 ... 제 2 고정홀 200 ... 입설 프레임 210 ... 베이스 지지 프레임 220 ... 보조 지지 프레임 221 ... 로드바 222 ... 스무드댐퍼 300 ... 수벽 플레이트 310 ... 차수판 320 ... 접철 높이 조절부 330 ... 중앙 지지부재 340 ... 보조 지지부재 350 ... 마감 프레임 351 ... 치합측면 352 ... 치합날개면 353 ... 치합단차 360 ... 고정부재 361 ... 제 1 고정홀 400 ... 고정걸림쇠

Claims (8)

  1. 제방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전방 지지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후방 지지 프레임(120)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양단에서 상기 후방 지지 프레임(120)의 좌우 양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이 좌우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는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가이드 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지면 방향에는 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 지지부(1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길이 진행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다단 걸림턱(151)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지지 프레임(210)의 좌우에서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의 중앙 위치에 하부 일단이 회동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에 회동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입설 프레임(200); 및사각 형상으로 상기 입설 프레임(200)으로 지지되어 제방 내측 수로 방향으로 차수판(310)이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에 접철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판(310)의 후면 저부에서 높이를 고정하도록 한 쌍의 접철 높이 조절부(32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의 대향 위치에 접철시 상기 가이드 프레임(150)에 내입되어 포개지도록 중앙 지지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330)의 좌우측에는 보조 지지부재(340) 한 쌍이 배치되고 좌우측 테드리를 따라 마감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를 포함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은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좌 보강부재(131)와 지면과 평평한 좌 메인부재(132)로 구비되며, 상기 좌 보강부재(13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좌 회동부(133)로 구비되며, 상기 우측면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좌측면 지지 프레임(130)과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에 지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우 보강부재(141)와 지면과 평평한 우 메인부재(142)로 구비되며,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의 종단과 회동 결합되는 우 회동부(14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벽 플레이트(300)는,상기 마감 프레임(350)을 따라 상기 차수판(310)에서 양측에서 후방으로 단차를 갖도록 치합측면(351)과 치합날개면(352)이 구비되며 상기 치합날개면(352)은 각각의 구조물이 결합시 서로 교호되도록 치합단차(35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방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을 고정하도록 복수의 제방 결속홀(14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방 결속홀(145)은,상기 제방 결속홀(145)을 통해 삽입되는 삽입 고정봉의 삽입 방향이 하천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되도록 내면에 경사홀(145a)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6.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좌 메인부재(132)의 내측 방향에는 제 1 파지공간(13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지공간(132a)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좌 보강부재(131)의 지면 방향으로 제 1 결합통공(13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134)가 배치되고, 상기 우 메인부재(142)의 내측 방향에는 제 2 파지공간(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지공간(142a)의 외측 상기 우 보강부재(141)에는 지면 방향으로 제 2 결합통공(144a)이 중앙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144)가 배치되며,상기 제 1 결합통공(134a)과 상기 제 2 결합통공(144a)을 서로 결합하도록 보울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135)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135)에는 와셔(135a)와 완충패캥재(135b)가 좌우에서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방 지지 프레임(110)은,상기 차수판(310)이 회동되어 입설시 상기 차수판(310)의 저면을 수밀하도록 단면이 니는(ㄴ)자 형상으로 수밀공간(111)을 형성하며 상기 수밀공간(111)을 따라 수밀보강부재(112)가 더 구비되며,상기 수밀보강부재(112)는 모서리 공간이 만곡면(112a)로 형성되어 상기 수밀공간(111)에 내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220)은,상기 좌 회동부(133)와 상기 우 회동부(143)에 회동되는 로드바(221)와 상기 로드바(221) 상부에서 상기 로드바에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스무드댐퍼(222)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KR1020210047089A 2021-04-12 2021-04-12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KR10254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89A KR102547988B1 (ko) 2021-04-12 2021-04-12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89A KR102547988B1 (ko) 2021-04-12 2021-04-12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42A true KR20220141042A (ko) 2022-10-19
KR102547988B1 KR102547988B1 (ko) 2023-06-23

Family

ID=8380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89A KR102547988B1 (ko) 2021-04-12 2021-04-12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9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89Y1 (ko) 2002-12-24 2003-04-18 김동규 댐이나 하천의 월류를 방지하기 위한 패널 조립식홍수저지벽
KR100541072B1 (ko) 2005-01-21 2006-01-10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하천 제방의 누수 방지를 위한 차수 구조물
JP2008163639A (ja) * 2006-12-28 2008-07-17 Howa Mach Ltd 防水扉装置
KR200447693Y1 (ko) * 2009-08-27 2010-02-11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용 수밀구조를 갖는 체결구
JP2013540217A (ja) * 2010-10-04 2013-10-31 パラフォイル・デザイン・ア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イベイト・リミテッド 水門
KR101592287B1 (ko) * 2015-09-04 2016-02-11 (주)대한엔지니어링 피아노건반형 수문 시스템
KR101698916B1 (ko) * 2015-12-11 2017-01-24 주식회사 우노 응급 물막이 장치를 이용한 차수벽 시공방법
KR101790962B1 (ko) * 2017-03-27 2017-10-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월류 방어 응급차수막 및 월류 방어 응급차수막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489Y1 (ko) 2002-12-24 2003-04-18 김동규 댐이나 하천의 월류를 방지하기 위한 패널 조립식홍수저지벽
KR100541072B1 (ko) 2005-01-21 2006-01-10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하천 제방의 누수 방지를 위한 차수 구조물
JP2008163639A (ja) * 2006-12-28 2008-07-17 Howa Mach Ltd 防水扉装置
KR200447693Y1 (ko) * 2009-08-27 2010-02-11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용 수밀구조를 갖는 체결구
JP2013540217A (ja) * 2010-10-04 2013-10-31 パラフォイル・デザイン・ア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イベイト・リミテッド 水門
KR101592287B1 (ko) * 2015-09-04 2016-02-11 (주)대한엔지니어링 피아노건반형 수문 시스템
KR101698916B1 (ko) * 2015-12-11 2017-01-24 주식회사 우노 응급 물막이 장치를 이용한 차수벽 시공방법
KR101790962B1 (ko) * 2017-03-27 2017-10-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월류 방어 응급차수막 및 월류 방어 응급차수막 설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988B1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3530T3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NO314414B1 (no) En flombarriereseksjon og en flombarriere
US20080240861A1 (en) Prefabricated levee apparatus and system
EP2619371B1 (de) Hochwasserschutzwand
DE19514205A1 (de) Hochwasserschutzsystem mit einem oder mehreren versenkbaren Wandelementen
DE102008020261A1 (de) Vorrichtung für den Hochwasser- und Küstenschutz
US11208779B2 (en) Boardwalk and sidewalk system with dual use as flood control barrier
KR100542457B1 (ko) 하천 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설치구조
DE19539611C2 (de) Hochwasser-Rückhaltesperre
KR101306937B1 (ko) 접이식 월류 방지 구조물
KR20220141042A (ko) 하천 제방 누수 방지 모듈식 차수 구조물
CA2625435A1 (en) Protective wall, dyke and method of producing a dyke
WO2007045173A1 (fr) Caisson ouvert de type assemblable et structure de genie maritime
CN210857103U (zh) 一种新型水利防渗生态防水堤坝
KR200310489Y1 (ko) 댐이나 하천의 월류를 방지하기 위한 패널 조립식홍수저지벽
CN218540573U (zh) 一种水库防洪用加固结构
KR102091413B1 (ko) 자동으로 기립되는 무동력 수문구조체 및 복수의 수문구조체를 연결하는 수문구조체 연결장치
US1880838A (en) Sand trap for protection of shores, beaches, etc.
KR100674354B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 구조물
CN115434349B (zh) 挡水围堰
KR102628310B1 (ko) 월파 방지벽의 낙석 방지장치
CN213625465U (zh) 一种用于水利工程防护的边坡支撑机构
CN215105050U (zh) 一种堤防加固结构
CN220284709U (zh) 一种新型便于固定在河道边坡的护根丁坝
CN211621486U (zh) 一种装配式水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