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730A - 카펫 타일, 및 이러한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커버링 - Google Patents

카펫 타일, 및 이러한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커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730A
KR20220140730A KR1020227027360A KR20227027360A KR20220140730A KR 20220140730 A KR20220140730 A KR 20220140730A KR 1020227027360 A KR1020227027360 A KR 1020227027360A KR 20227027360 A KR20227027360 A KR 20227027360A KR 20220140730 A KR20220140730 A KR 20220140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layer
adhesive layer
adhesive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디 알버릭 부케
Original Assignee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2024618A external-priority patent/NL2024618B1/en
Application filed by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filed Critical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ublication of KR2022014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81Resisting skidding or cree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47G27/0218Link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93Mat modules for interlocking engage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76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the back coating or pre-coat being a thermoplastic material applied by, e.g. extrusion coating, powder coating or laminating a thermoplastic fil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78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the back coating or pre-coat being applied as a hot mel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06Building materials
    • D06N2211/066Floor cove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3/00Others characteristics
    • D06N2213/06Characteristics of the backing in carpets, rugs, synthetic lawn
    • D06N2213/063Porous back coating or pre-co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3/00Others characteristics
    • D06N2213/06Characteristics of the backing in carpets, rugs, synthetic lawn
    • D06N2213/066Characteristics of the backing in carpets, rugs, synthetic lawn having an adhesive on the undersurface to allow removal of the whole carpet, rug or synthetic lawn from the floor, e.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86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characterised by the cushion backing, e.g. foamed polyureth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arpets (AREA)

Abstract

- 상단 사이드와 바닥 사이드를 갖되, 파일 얀이 상단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베이스 레이어, 및
-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카펫 타일의 바닥 표면을 구성하는 배킹 레이어를 포함하고,
카펫 타일의 바닥 표면에 접착제가 적용되며,
접착제는 바닥 표면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부착되도록 허용할 뿐만 아니라, 이전에 부착되어 있던 동일한 지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한 바닥 표면에 대한 접착 특성을 부여하는 타일.

Description

카펫 타일, 및 이러한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커버링
본 발명은 타일, 특히 카펫 타일, 및 복수의 이러한 타일로 구성된 타일 커버링, 특히 복수의 이러한 카펫 타일로 구성된 카펫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카펫 타일은 유연성 때문에, 심하게 마모되고 찢어지기 쉬운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 카펫 타일은 실제 카펫의 품질과 흡사하여 더욱 패셔너블해지고 있다. 카펫 타일은 교통량이 많은 지역의 주거 및 상업 지역의 모든 바닥 요구 사항에 적합하다. 카펫 타일은 다양한 크기와 스타일로 생산되며 복잡한 모양의 바닥 공간을 덮는 데 특히 유리하다.
위의 장점 외에도, 카펫 타일은 바닥 커버링으로 사용될 때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카펫 타일에는 일반적으로 고무 배킹 레이어가 제공되는데, 이 배킹 레이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치수를 쉽게 잃어 카펫 타일이 변형되는데, 이는 카펫 타일의 에지가 위쪽으로 말림을 유발하며, 이는 지지 표면과 평행한 의도된 평평한 배향 및 인접한 카펫 타일과의 동일 평면 배향을 손상시킨다. 이 말림 효과는 타일이 물이나 기타 액체 세제로 정기적으로 세척될 때 악화될 수 있다.
더욱이, 공지된 타일은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띄워져 느슨하게 놓인 바닥 커버링으로서 설치되는데, 이는 지지 표면에 대한 타일의 원치 않는 변위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하기 위해 개선된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양상에 따른 본 발명은 상단 사이드와 바닥 사이드를 갖는 베이스 레이어, 및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을 제공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접착 레이어는 (적어도 설치된 상태에서) 타일의 가장 낮은 레이어를 구성하고/거나 적어도 하나의 접착 레이어는 (적어도 설치된 상태에서) 타일의 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며, 접착 레이어는 타일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접착 특성을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일 얀이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의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전체에 제공되는데, 이는 이러한 유형의 타일을 카펫 타일로서 자격을 갖추게 한다.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의 중요한 이점은 바닥 표면의 접착제로 인해, 타일이 안정적이고 내구성 있는 방식으로 지지 표면에 편리하게 부착될 수 있어, 한번 지지 표면에 올바르게 설치되면 타일의 원치 않는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타일의 위치를 수정하거나, 더러워지거나 손상된 타일을 교체하기 위해, 실용적인 방식으로 타일이 지지 표면에서 수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카펫) 타일은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어 타일을 최적으로 평평하게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적절한 지지 표면은 접착제가 그와 접착 상호 작용을 갖도록 하는 임의의 지지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표면은 목재, 플라스틱,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절한 지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비다공성이고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예를 들어 바닥, 벽 또는 천장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의 접착 특성은 실온(20℃), 또는 적어도 15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접착 특성은 (카펫) 타일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가장 일반적인 온도에 적용된다. 더 넓은 응용 분야의 경우, 접착 특성이 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적용될 때 유리하다.
접착 레이어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레이어일 수 있다. 접착 레이어는 접착 스폿 또는 접착 스트립과 같은 복수의 상호 연결된 및/또는 이격된 접착 구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 레이어가 적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두 접착 레이어가 서로 위아래에 (평행) 적용되고/되거나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가 (카펫) 타일의 바닥 표면의 에지 및/또는 코너에, 바람직하게는 (카펫) 타일의 전체 바닥 표면의 적어도 50%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특히 타일의 코너 및 에지에서 말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15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MPa 미만으로 적절한 지지 표면에 대해 적당한 접착 강도를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적당한 접착 강도는 (카펫) 타일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부착될 때, 평균적인 사용자가 적당한 노력으로, 부착된 지지 표면에서 (카펫) 타일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바람직한 박리 강도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바닥 표면의 접착 특성은 적어도 5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년의 기간 동안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접착 레이어에 사용된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유형의 감압 접착제(PSA)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감압 접착제(PSA)는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이며 점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유연한 재료에 필름으로 적용된다. 이들 접착제의 특징은 응고되어 고체 물질을 형성하지 않고, 점성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에 이들은 물리적 메커니즘을 통해 접착되는 접착제의 그룹 내에서 특별한 위치를 갖는다. 감압 접착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해, 접착제는 유기 용매(예컨대, 천연 고무, 아크릴레이트)에 용해될 수도 있고, 수성 분산액(예컨대, 아크릴레이트 분산액)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무용매 용융액(감압 용융액)일 수도 있다.
PSA의 기본 제형은 베이스 폴리머, 접착 수지 및 가소제로 구성되며, 특별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선택적인 첨가제를 갖는다.
감압 접착제를 사용할 때 실제 접착력은 분자간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감압 접착제에서 최종 접착에는 여전히 점성 액체 상태가 존재한다. 이에, PSA의 점도는 접착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탈착 가능한 접착제와 영구 접착제 사이에 중요한 구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점도가 낮은 감압 점착제의 그룹은 결과적으로 접착 강도가 낮아, 사용 후 접착된 대상이 다시 분리될 수 있다. 이들 PSA 유형은 점착성이 있고 무제한의 오픈 타임을 갖는데, 이는 이들이 다른 기질에 사실상 영구적으로 접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유형의 웜멜트 감압 접착제 및/또는 핫멜트 감압 접착제(HMPSA)인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 감압 접착제(HMPSA)는 특정 유형의 PSA이며 열가소성 접착제를 기반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HMPSA는 완전히 경화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끈적한 상태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접착제가 차가울 때에도 우수한 접착 결합을 허용한다. 요구되는 접촉 압력은 HMPSA에 의해 결합될 대상 사이에 충분한 코팅을 생성하는 열쇠이다.
HMPSA는 실온에서 가벼운 압력으로 쓸 만한 접착을 형성하는 능력을 유지한다. HMPSA의 바람직한 예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PSA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C),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비정질 폴리올레핀(APO)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이들 매우 적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요구되는 특정 접착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점착 부여제(천연 및 합성 수지)에 의해 개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HMPSA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SBC를 포함한다. 이러한 HMPSA는 실온에서 영구적으로 점착성이 있으며 가벼운 손가락 압력에서도 우수한 접착 강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레이어가 베이스 레이어와 접착 레이어 사이에 위치된다. 이 추가적인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배킹 레이어일 수 있는데, 적용된 접착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PSA 레이어는 배킹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도포되지만, 상기 접착 레이어, 특히 상기 PSA 레이어는 또한 상기 추가적인 레이어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킹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오픈 및/또는 클로즈드 셀을 갖는 발포 구조를 갖는 탄성 레이어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배킹 레이어의 탄성 특성은 타일이 적용되는 지지 표면의 임의의 불규칙성에 적응하도록 한다. 또한, 배킹 레이어의 발포 구조는 타일의 바닥 표면의 탈부착 특성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레이어, 특히 배킹 레이어는 반결정질 폴리아미드, 특히 나일론 6 파이버인 나일론 6(또는 폴리카프로락탐)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레이어는 천공된 및/또는 개방된 레이어이고, 생산 동안 접착 레이어가 추가적인 레이어에 침투하도록 하고, 심지어 상기 접착 레이어를 사용하여 천공된 및/또는 개방된 추가적인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에 접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적합한 접착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계 PSA이다. 천공된 및/또는 개방된 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직조 및/또는 부직포 레이어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추가적인 레이어(또는 배킹 레이어), 특히 탄성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 레이어는 충전제, 특히 탈크, 초크, 목재 및/또는 탄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탄성 레이어는 0.1 내지 6 m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탄성 배킹 레이어가 (접착 레이어와 함께) 타일의 하부 표면을 정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일이 지지 표면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제거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탄성 레이어의 하부 표면에 복수의 (표면) 흡입 홀이 형성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배킹 레이어는 이방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레이어의 적어도 하부 표면에는 복수의 표면 흡입 홀이 형성되는데, 표면 흡입 홀은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면 흡입 홀은 격리된 공동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표면 흡입 홀은 함께 보이드 풋프린트(공극 표면 영역)를 정의하는데, 여기서 상기 표면 흡입 홀 사이에 있는 탄성 레이어의 하부 표면에 있는 재료는 재료 풋프린트(고체 표면 영역)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이드 풋프린트와 재료 풋프린트 사이의 표면 영역 비는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이고, 이에 의해 타일이 지지 표면에 빠르고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표면으로부터의 타일의 용이한 제거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의 중요한 이점은 퀵릴리스 접착 배킹 구조로 인해, 타일이 안정적이고 내구성 있는 방식으로 지지 표면에 빠르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반면, 타일은 또한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빠르고 쉬운 방식으로 상기 지지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타일, 특히 카펫 타일에 우수한 치수 안정성, 우수한 평평한 평면 배치 특성, 및 바람직하게는 비다공성이고 실질적으로 평평한 바닥, 벽 또는 심지어 천장과 같은 지지 표면에 타일을 쉽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탄성 레이어의 하부 표면에는 접착제가 제공되지 않으며, 접착제 또는 기타 화학 접착제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레이어의 하부 표면의 접착 특성은 작은 흡입 홀(흡입 효과가 있는 미세 구멍, 쉘 모양의 공동 및/또는 반구형 미세 공간)의 존재에 의해 발생된다. 설치하는 동안 설치될 타일이 지지면에 밀어 넣어지면, 공기가 흡입 홀에서 빠져나가도록 강제하는데, 흡입 홀의 원주 방향 에지 및/또는 흡입 홀 사이에 위치된 하부 표면의 탄성 재료는 지지 표면과 탄성 레이어의 하부 표면 사이의 실질적으로 기밀한 밀봉을 형성한다. 설치된 타일에 가해진 아래쪽 힘이 해제되면, 흡입 홀 내에 진공(대기압 미만)이 생성되어, 타일이 지지 표면을 향해 당겨지고 그에 대해 유지된다. 따라서, 타일은 말림에 대해 훨씬 덜 민감하고 예컨대 제거 동안 타일에 반대로 당기는 힘을 가하여 흡입 힘이 초과될 때까지 지지 표면에 대해 안정화된다. 화학적 접착제(글루)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인라인 생산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바람직하게는 카펫 타일인데, 파일 얀이 다수의 천연 또는 합성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많은 유형의 얀이 다르게 만들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스펀과 필라멘트의 두 주요 유형의 얀이 있다. 얀은 나일론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또는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다른 적절한 합성 얀이 사용될 수 있다. 카펫 타일은 강성하거나 연성일 수 있다. 베이스에 얀이나 섬유가 없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탄성 레이어는 "단단하게 접착되고, 부드럽게 해제되는" 원리를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이해될 수 있다. 단단한 방향으로 당기면, (단단한 스프링이 부드러운 스프링과 비교하여 더 적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처럼) 더 적은 탄성 에너지가 재료에 저장되며, 지지 표면 거칠기에 의해 유도된 임의의 균열과 같은 결함을 유도하기 위해 더 낮은 에너지 방출 속도로 이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특히 재료가 강한 이방성일 때 부드러운 방향으로 당기면 훨씬 더 많은 탄성 에너지가 재료에 저장될 수 있으며, 지지 표면 거칠기로 인한 균열과 같은 결함을 유도하기 위해 훨씬 더 높은 에너지 방출 속도를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하부 표면에 흡입 홀이 제공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지지 표면에 타일을 설치하는 동안 실현될 수 있는 전반적인 흡입 효과를 개선하고 증가시킨다. 비록 흡입 홀의 크기는 균일할 수 있는데, 흡입 홀은 예를 들어 탄성 레이어의 하부 표면에 스탬핑, 펀칭 및/또는 기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흡입 홀의 크기는 탄성 레이어의 전체 하부 표면에 걸쳐 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며, 이는 예를 들어, 탄성 레이어가 탄성 폼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탄성 폼은 클로즈드 셀(공동) 및/또는 오픈 셀(공동)을 가질 수 있다. 폼에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다른 셀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레이어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코폴리머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고무,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가소)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발포 재료로 만들어진다. 탄성 레이어는 선택적으로 초크, 탈크, 모래, 섬유, 목재, 광물 및/또는 탄소와 같은 충전제; 아조디카본아미드와 같은 발포제, 디쿠밀 퍼옥사이드와 같은 가교제, 산화아연과 같은 발포제; 및/또는 착색제와 같은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탄성 레이어는 부드러움 및 유연성 면에서 고무 폼과 같은 재료를 제공한다. 재료는 저온 인성, 응력 균열 저항성, 방수 특성, 기밀 밀봉 특성 및 압축 후 폼 회복성이 있다.
배킹 레이어는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직조 시트,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유리 섬유 스크림 또는 티슈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중간 코어 레이어가 베이스 레이어와 배킹 레이어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코어 레이어는 강성 또는 가요성이며,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산화마그네슘 및/또는 탄산칼슘과 같은 광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재로를 포함한다. 중간 코어 레이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mm이다. 베이스 레이어 자체가 강성 또는 가요성이며, 바람직하게는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산화마그네슘과 같은 광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코어 레이어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 섬유 레이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레이어가 상기 코어 레이어 내에 존재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이 전체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와 같이, (카펫) 타일의 유연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부착된 (카펫) 타일을 지지 표면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은 5 내지 15 mm의 전체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타일은 텅 및 홈 프로파일과 같은 상호 연결 프로파일이 각각 제공되는 2개의,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사이드 에지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한데,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은 배킹 레이어 및/또는 (카펫) 타일에 포함될 때 중간 코어 레이어의 일체적인 부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호 연결 프로파일은 각각의 사이드 에지의 수직 및/또는 앵글링 운동에 의해 2개의 (카펫) 타일의 결합을 허용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감압 접착제가 하나 이상의 상호 연결 프로파일상에 도포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이는 인접한 타일의 상호 연결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의 특정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이 (카펫) 타일의 접착 레이어의 바닥 표면상에 부착된다.
사용 전, 특히 운송 및 보관 시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카펫) 타일 바닥 표면의 접착제에 착탈식 보호 필름이 임시로 부착될 수 있다. 이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박리 라이너에 의해 형성된다. 타일을 설치하기 전에 보호 필름이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를 배킹 레이어에 고정하는 추가적인 열가소성 레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에서, 베이스 레이어는 대안적으로 장식 레이어 및 선택적으로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투명 마모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이러한 장식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 바람직하게는 슬라이스 가능한 천연석, 대리석, 콘크리트, 석회암, 화강암, 슬레이트, 유리 및 도자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타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장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 기재는 전형적으로 인쇄 레이어 및 상기 인쇄 레이어를 덮는 보호 레이어를 포함한다. 인쇄 레이어는 인쇄된 열가소성 수지, 특히 PVC 기반 필름에 의해 또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에 및/또는 베이스 레이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적용된 프라이머상에 적용된(인쇄된) 잉크 레이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 레이어 및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마모 레이어를 포함한다. 장식 기재는 상기 장식 레이어와 코어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 레이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백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비닐 화합물로 제조된다. 래커 레이어 또는 다른 보호 레이어가 상기 마모 레이어의 상단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타일에 향상된 긁힘 저항성을 제공한다. 장식 레이어와 마모 레이어 사이에 마감 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장식 레이어는 가시적이며 패널에 매력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장식 레이어는 디자인 패턴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몇 가지 디자인 가능성만 언급하자면 나뭇결 디자인, 대리석, 화강암 또는 기타 자연석 결을 닮은 미네랄 그레인 디자인, 또는 색상 패턴, 색상 혼합 또는 단일 색상일 수 있다. 타일 생산 과정에서 디지털 인쇄로 구현되는 맞춤형 외관도 상상할 수 있다. 장식 기재는 또한 단일 레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일이 카펫 타일 또는 카펫형 타일인 경우, 베이스 레이어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파일 얀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일 얀은 여러 천연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들 수 있다. 많은 유형의 얀이 다르게 만들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스펀과 필라멘트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얀은 나일론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또는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다른 적절한 합성 얀이 사용될 수 있다. 카펫 타일은 강성이거나 연성일 수 있다. 베이스에 얀이나 섬유가 없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파일 얀은 루프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파일 얀이 절단 파일, 꼬인 파일 또는 예를 들어 레벨 또는 다중 레벨 구성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일 얀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루프 파일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또는 이들의 블렌드와 같은 합성 얀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루프 파일은 카펫 베이스에 터프팅(tufted)된다. 카펫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예를 들어 부직 시트, 직조 시트, 부직 폴리에스테르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유리 섬유 스크림 또는 티슈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는 배킹 시트를 포함한다. 배킹 시트는 일반적으로 얀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구조(홀딩 구조)의 역할을 한다. 카펫 베이스, 특히 배킹 시트상의 제 위치에 터프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접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프리 코트 레이어가 적용된다. 이 프리 코트 레이어는 예를 들어 라텍스 레이어일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의 일부에는 파일 얀이 제공되고,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의 다른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 기재가 제공되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2D) 장식 레이어 및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마모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카펫 타일이고 부분적으로는 바닥 타일(바닥 패널 또는 바닥 플랭크)인 하이브리드 타일로 이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펫) 타일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 사이드를 덮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접착 레이어와 지지 표면 사이, 따라서 패널과 서브플로어와 같은 지지 표면 사이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향상시킨다. 이는 또한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가 평방 센티미터당 제한된 접착 강도(또는 이형 강도)를 갖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서브플로어와 같은 지지 표면에서 타일을 떼어내려고 할 때 타일의 박리 또는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 사이에 더 낮은 인열 강도를 적용할 수 있게 하여, 신뢰성 있고 내구성 있는 타일을 보다 쉽게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의 접착 강도는 0.5 내지 1 밀리미터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접착 레이어가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170 g/cm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의미하는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는데, 이는 접착 레이어와 서브플로어와 같은 지지 표면 사이에 형성된 계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접착 레이어는 필름 또는 코팅일 수 있지만, 예컨대 적어도 0.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mm의 두께를 갖는 더 두꺼운 접착 레이어를 적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 밀리미터도 상상할 수 있다. 비교적 두꺼운 접착 레이어는 고체이거나 발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는 비교적 강성이거나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레이어이다. 후자의 경우, 접착 레이어는 탄성 레이어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접착 레이어는 전형적으로 감압 접착제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접착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하중 또는 압력이 상기 접착 레이어에 가해질 때 폴러 또는 코베일런트 포스 드리븐 접착 특성(polar or covalent force driven adhesive properties)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표면 흡입 홀이 접착 레이어의 적어도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데, 표면 흡입 홀은 베이스 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베이스 레이어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흡입 홀은 함께 보이드 풋프린트를 정의하는데, 상기 표면 흡입 홀 사이의 접착 레이어의 하부 표면에 있는 재료는 재료 풋프린트를 정의하고, 보이드 풋프린트와 재료 풋프린트 사이의 비는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이며, 이에 의해 타일이 지지 표면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도록 허용한다. 여기서, 접착 레이어는 일반적으로 하중 또는 압력이 상기 접착 레이어에 가해질 때 폴러 배큐엄 드리븐 접착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는 소수성 레이어이다. 이는 접착 레이어의 접착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접착 레이어에 의한 물 또는 수분 흡수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는 부분적으로 경화 또는 고화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경화 또는 고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와 융합된다. 후자의 경우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추가 레이어 또는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 및/또는 베이스 레이어는 항균 물질을 포함하고; 및/또는 접착 레이어 및/또는 베이스 레이어는 항균제로 코팅된다. 하나 이상의 통합된 항균제는 박테리아, 곰팡이, 미생물 및 기타 병원체 또는 비병원체 성장을 억제하고 일반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타일 표면으로 이동함으로써, 타일 표면과 접촉 시 미생물의 성장을 제어하는 농도 구배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항균제는 (ⅰ) 할로겐화 페닐 에테르,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세스퀴테르펜 알코올, 할로겐화 카르바닐리드, 비스페놀계 화합물, 일반 페놀, 포름알데히드, 4차 암모늄 화합물, 피리딘 유도체 및 헥사클로로펜과 같은 유기 또는 유기금속 항균 물질, 및/또는 (ⅱ) 유리 또는 세라믹 매트릭스에 은, 아연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무기 항균 물질로부터 유래하는데, 항균제는 바람직하게는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항균제는 또한 트리클로산, 오르토 페닐 페놀, 디요오도메틸 p-톨릴술폰, 아연 피리티온, 나트륨 피리티온, 프로피코나졸과 같은 아졸,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나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3,4,4'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바륨 모노 하이드레이트, 제올라이트 또는 비정질 유리 분말에서 은, 구리 또는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 물질일 수 있다.
접착 레이어가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및/또는 각각의 측벽을 덮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이 접착 레이어상에 부착되어 베이스 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접착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사이드를 덮는다. 이를 통해 타일을 지지 표면에 접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타일을 접착 레이어를 통해 함께 접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한다. 유도체를 포함한 천연 폴리머는 그들의 재생 및 우수한 생분해성 때문에 흥미로운 분야이다. 예를 들어, 이량체 산은 압력, 온도 및 촉매의 조합에 의한 불포화 지방산의 전환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량체 산, 고도로 분지되고 포화된 탄화수소의 특성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소수성, 내가수분해성 및 우수한 열산화 안정성과 같은 특성을 제공했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유리 전이 온도(Tg), 유연성, 가수분해 및 열산화 안정성, 낮은 표면 에너지 피착체 및 높은 표면 에너지 피착체 모두에 대한 높은 접착력 및 효율적인 기판 습윤으로 우수한 흐름 특성을 갖는 독특한 부류의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UA)의 설계를 허용한다. 수소화 피마자유(HCO)는 유연성과 우수한 흐름 특성을 위해 PUA를 합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복수의 이웃한 타일로 구성된 (카펫) 타일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카펫) 타일 커버링에서 인접한 타일의 각각의 인접한 모서리가 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은
a) 상단 사이드 및 바닥 사이드를 갖는 베이스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파일 얀이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단계,
b)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단계로서, 접착 레이어는 타일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접착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접착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 사이드를 덮는 단계, 및
c)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과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호 필름은 이형 필름 또는 이형 라이너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보호 필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및/또는 폴리머 재료로 구성된다.
단계 c)가 단계 b) 전에 실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보호 필름과 접착 레이어의 라미네이트가 먼저 준비된 다음, 이 라미네이트가 베이스 레이어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단계 c) 동안 접착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초기에 액체 상태로 보호 필름상에 도포되고, 그 후에 접착 레이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화된다. 부분적인 경화 또는 고화의 경우, 접착 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점착성이 있어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열 및/또는 자외선(UV) 방사선이 접착 레이어를 더 경화 및/또는 고화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에 부착하기 전에 접착 레이어가 완전히 경화되고 고화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접착 레이어가 웜멜트 또는 핫멜트 감압 접착제인 경우,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에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 레이어를 더 끈끈하게(점착성으로) 만들기 위해 접착 레이어를 어느 정도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방법은 중간 레이어 및/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융합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아래 제시된 구절의 비제한적 세트로 제시된다.
1. 타일, 특히 카펫 타일로서,
상단 사이드와 바닥 사이드를 갖되, 파일 얀이 상단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베이스 레이어, 및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레이어를 포함하고, 접착 레이어는 타일의 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며, 접착 레이어는 타일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한 접착 특성을 부여하는 타일.
2. 제1절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 특성은 적어도 실온에서 적용되는 타일.
3.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타일의 바닥 표면의 에지 및/또는 모서리에, 바람직하게는 타일의 전체 바닥 표면의 적어도 50%에 존재하는 타일.
4.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15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MPa 미만인 적절한 지지 표면에 대한 적당한 접착 강도를 달성하는 타일.
5.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 특성은 적어도 5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년의 기간 동안 적용되는 타일.
6.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유형의 감압 접착제(PSA)인 타일.
7.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유형의 웜멜트 또는 핫멜트 감압 접착제(HMPSA),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 아크릴 HMPSA인 타일.
8.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C),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비정질 폴리올레핀(APO)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타일.
9.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와 접착 레이어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킹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배킹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오픈 및/또는 클로즈드 셀을 갖는 발포 구조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는 타일.
10. 제9절에 있어서, 배킹 레이어는 천공 및/또는 개방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나일론계 레이어이고, 접착 레이어는 상기 배킹 레이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되는 타일.
11. 제10절에 있어서, 배킹 레이어는 관통된 접착 레이어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상에 접착되는 타일.
12. 제9절 내지 제11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배킹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타일.
13. 제9절 내지 제12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간 코어 레이어가 베이스 레이어와 배킹 레이어 사이에 존재하는 타일.
14. 제13절에 있어서, 중간 코어 레이어는 강성 또는 연성이고,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미네랄;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타일.
15.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는 타일.
16.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5 내지 15 mm의 전체 두께를 갖는 타일.
17.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타일은 텅 및 홈 프로필과 같은 상호 연결 프로필이 각각 제공되는 두,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사이드 에지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은 배킹 레이어 재료의 및/또는 카펫 타일에 포함될 때 중간 코어 레이어의 일체형 부분인 타일.
18. 제17절에 있어서, 상호 연결 프로필은 각각의 사이드 에지의 수직 및/또는 앵글링 운동에 의해 두 카펫 타일의 결합을 허용하는 타일.
19.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은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 및/또는 카펫 타일의 바닥 표면에서 접착 레이어에 부착되는 타일.
20.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를 배킹 레이어에 고정하는 추가적인 열가소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21.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는 장식 레이어 및 선택적으로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마모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22.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타일.
23.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발포 레이어인 타일.
24.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두께는 적어도 0.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mm인 타일.
25.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의 접착 강도는 적어도 170 g/cm인 타일.
26.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하중 또는 압력이 상기 접착 레이어에 가해질 때 폴러 포스 드리븐 접착 특성(polar force driven adhesive properties)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타일.
27.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감압 접착 레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타일.
28.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소수성 레이어인 타일.
29.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레이어인 타일.
30.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표면 흡입 홀이 접착 레이어의 적어도 하부 표면에 형성되고, 표면 흡입 홀은 베이스 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베이스 레이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타일.
31. 제30절에 있어서, 표면 흡입 홀은 보이드 풋프린트를 함께 정의하고, 상기 표면 흡입 홀 사이에 있는 접착 레이어의 하부 표면에 있는 재료는 재료 풋프린트를 정의하며, 보이드 풋프린트와 재료 풋프린트 사이의 비는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이고, 이에 의해 타일이 지지 표면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제거되도록 허용하는 타일.
32. 제30절 또는 제31절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하중 또는 압력이 상기 접착 레이어에 가해질 때 폴러 배큐엄 드리븐 접착 특성(polar vacuum driven adhesive properties)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타일.
33.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타일.
34.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와 융합되는 타일.
35.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 및/또는 베이스 레이어는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및/또는 접착제 레이어 및/또는 베이스 레이어는 항균제로 코팅되는 타일.
36. 제35절에 있어서, 항균제는 (ⅰ) 할로겐화 페닐 에테르,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세스퀴테르펜 알코올, 할로겐화 카르바닐리드, 비스페놀계 화합물, 일반 페놀, 포름알데히드, 4차 암모늄 화합물, 피리딘 유도체 및 헥사클로로펜과 같은 유기 또는 유기금속 항균 물질 및/또는 (ⅱ) 유리 또는 세라믹 매트릭스에서 은, 아연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무기 항균 물질로부터 선택되고, 항균제는 바람직하게는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타일.
37.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벽을 덮고, 상기 사이드 벽은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이 베이스 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접착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사이드를 덮는 접착 레이어상에 부착되는 타일.
38.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패널은 파일 얀이 없는 타일.
39.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 사이드를 덮는 타일.
40.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는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타일.
41. 선행 구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타일.
42. 제1절 내지 제41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수의 이웃하는 타일로 이루어진 타일 커버링.
43. 제42절에 있어서, 이웃하는 타일의 각각의 인접한 에지는 서로 상호 연결되는 타일 커버링.
44. 제1절 내지 제41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단 사이드 및 바닥 사이드를 갖는 베이스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파일 얀이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단계,
b)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단계로서, 접착 레이어는 타일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접착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접착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 사이드를 덮는 단계,
c)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과 접착 레이어의 바닥 표면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44절에 있어서, c) 단계는 b) 단계 전에 실행되는 방법.
46. 제45절에 있어서, c) 단계 동안 접착 레이어는 초기에 액체 상태로 보호 필름상에 도포되고, 그 후에 접착 레이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방법.
47. 제44절 내지 제46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 단계는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상에 융합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접착 레이어의 열처리 및/또는 UV 조사에 의해 실현되는 방법.
18. 제44절 내지 제47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 단계 동안 접착 레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된 상태로 적용되는 방법.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제1 가능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제2 가능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제3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 단면 A-A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단면 B-B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베이스 레이어(102) 및 상기 베이스(102)의 하부 사이드에 부착된 배킹 레이어(103)를 포함하는 타일(101), 특히 카펫 타일(101)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베이스 레이어(102)는 위쪽으로 돌출된 파일 얀(104)을 갖는 1차 카펫 베이스(102)이다. 도시된 파일 얀(104)은 루프 파일(104)로 구성된다. 그러나 파일 얀(104)이 절단된 파일, 꼬인 파일 또는 예를 들어 단일 레벨 또는 다중 레벨 구성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일 얀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루프 파일(104)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또는 이들의 혼합과 같은 합성 얀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루프 파일(104)은 1차 카펫 베이스(102)에 터프팅된다. 1차 카펫 베이스(102)는 1차 배킹 시트(105)를 포함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직조 시트,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유리 섬유 스크림 또는 티슈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102), 특히 1차 배킹 시트(105)상의 제 위치에 터프트를 접합하기 위해, 프리코트 레이어(106)가 적용된다. 이 프리코트 레이어(106)는 예를 들어 라텍스 레이어(106)일 수 있다. 이 프리코트 레이어(106)는 가능하게는 배킹 레이어(10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배킹 레이어(103)는 탄성 레이어(107)를 포함한다. 탄성 레이어(107)는 타일(101)의 바닥 표면을 정의한다. 탄성 레이어(107)는 복수의 셀(108)을 포함하는데, 이는 도면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셀(108)은 내부에 갇힌 공기 또는 가스를 가질 수 있다.
셀(108)의 직경 크기는 예를 들어 5 μm 내지 약 1 mm 사이에 있다. 탄성 레이어(107)는 예를 들어 0.1 내지 6 mm 사이에 있는 두께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레이어(107)는 발포 소재로 만들어지고/거나 발포제를 포함한다. 탄성 레이어(107)의 바닥 표면은 기밀 실링 효과를 갖는다. 또한, 탄성 레이어(107)의 바닥 표면에는 타일의 바닥 표면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되어 있는 동일한 지지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 레이어(109)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레이어(107)와 접착 레이어(109)는 통합되어 단일 탄성 접착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배킹 구조(103)는 또 다른 내부 접착 레이어(110)를 더 포함한다. 이 접착 레이어(110)는 예를 들어 프리코트 레이어(106)상에 배치된 솔벤트리스 핫멜트 접착 레이어(110)이다. 탈착 가능한 라이너(110)가 사용 전에 접착 레이어(109)를 초기에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위쪽으로 돌출된 베이스 레이어(202)를 포함하는 타일(201), 특히 카펫 타일(201)을 도시한다. 카펫 타일(201)은 베이스 레이어(202)의 하부 사이드에 부착된 배킹 레이어(203)를 더 포함한다. 배킹 레이어(203)는 타일(201)의 바닥 표면을 정의하는 탄성 레이어(207)를 포함하는데, 그 위에는 타일(201)의 바닥 표면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되어 있는 동일한 지지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감압 접착 레이어(209)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레이어(207) 및 접착 레이어(209)는 통합되어 단일 탄성 접착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레이어(207)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형으로, 셀(208)을 포함하는 발포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파일 얀(204)은 절단된 파일 얀(204)으로 구성된다. 절단된 파일 얀(204)은 예를 들어 강화 레이어(204)라고도 하는 1차 배킹 시트(205)에 적층되는 PVC 또는 핫멜트 접착제(206)로 구현된 나일론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카펫 베이스(202)는 가능하게는 1차 배킹 시트(205)에 고정된 섬유질 정면 마모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1차 배킹 시트(205)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질 배면 표면을 갖는다. 배킹 구조(203)는 베이스(202)와 탄성 레이어(203)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레이어(211)를 더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211)는 지지 레이어로서 작용할 수 있고, 강성 또는 연성이며,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한다. 탈착 가능한 라이너(210)가 사용 전에 접착 레이어(209)를 초기에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301), 특히 패널(301),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 패널(301) 또는 벽 패널(301)을 도시한다. 타일(301)은 바닥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해 유사한 타일(301)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타일(301)은 베이스(302) 및 상기 베이스(302)의 하부 사이드에 부착된 배킹 구조(303)를 포함한다. 배킹 구조(303)는 타일(301)의 하부 표면을 정의하는 탄성 레이어(307)를 포함하는데, 이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레이어(보이지 않음)가 제공되어, 지지면에 쉽게 부착하고 분리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타일(301), 특히 배킹 구조(303)는 베이스(302)와 탄성 레이어(303)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코어 레이어(312)를 포함한다. 중간 레이어(312)는 강성 또는 연성이며,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한다. 중간 코어 레이어(312)의 두께는 예를 들어 적어도 3 mm이다. 베이스(302)는 베이스 레이어상에 인쇄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 보호 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는 장식 레이어를 포함하는 상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02)는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파일 얀을 갖는 1차 카펫 베이스일 수 있다. 중간 코어 레이어(312)는 상부 사이드(313) 및 하부 사이드(314)를 포함한다. 코어 레이어(312)는 타일(301)의 긴 측 방향 사이드에 위치된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 특히 제1 에지(315) 및 상보적인 제2 에지(316)와 일체로 연결된다. 코어 레이어(312)는 또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타일(301)의 짧은 사이드에 위치된 제2 쌍의 반대되는 에지, 특히 제3 에지(317) 및 상보적인 제4 에지(318)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 레이어(312)의 존재의 이점은 인접한 타일(301)의 상호 잠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타일(301)의 평면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인접한 타일(301)을 잠그고, 타일(301)의 평면에 평행한 제2 방향으로 타일(301)을 잠그는 것이 이로써 실현된다. 또한, 타일(301)의 말림 또는 망가짐의 변형이 감소된다. 도시된 타일(301)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타일(301)이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서 단면 A-A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에서, 상보적인 제1 에지(315) 및 제2 에지(316)의 형상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 에지(315)는 코어 레이어(312)에 일체로 연결된 측향 텅(329)을 포함한다. 수직 파선에 의해 측향 텅(329)과 코어 레이어(312) 사이의 경계가 시각화되어 있다. 측향 텅(329)의 전방 영역(329A)에는 둥근 바닥 표면(320)이 제공된다. 둥근 바닥 표면(320)의 외부 끝단은 경사진 잠금 표면(321)에 인접한다. 둥근 바닥 표면(320)의 반대쪽 끝단은 측향 텅(329)의 후방 영역(329B)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 표면(322)에 인접한다. 제2 에지(316)는 리세스(325)를 정의하는 하부 립(324) 및 상부 립(323)을 포함한다. 양 립(323, 324)은 코어(312)에 일체로 연결된다. 수직 파선에 의해 립(323, 324)과 코어(312) 사이의 경계가 시각화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립(323)의 폭은 하부 립(324)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리세스(325)는 측향 텅(329)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립(324)의 후방 영역(324a)의 상부 표면(326)은 (상보적인) 둥근 형상을 가져, 측향 텅(329)의 둥근 전방 영역(329a)과 함께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하부 립(324)의 전방 영역(324b)에는 상향 돌출 숄더(327)가 제공되어, 측향 텅(329)의 지지 표면(322)과 함께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립(323)의 하부 표면(328)은 경사지고 측향 텅(329)의 잠금 표면(321)에 대응된다. 리세스(325)로 결합될 타일(301)의 측향 텅(329)의 삽입에 의해 인접한 타일(301)의 제1 에지(315) 및 제2 에지(316)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타일(301)은 처음에는 기울어진 위치로 유지된다. 측향 텅(329)을 리세스에 삽입한 후, 결합될 타일(301)은 두 타일(301)이 동일한, 일반적으로 수평인, 평면에 위치될 때까지 제1 에지(315)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앵글링)되는데, 측향 텅(329)의 잠금 표면(321)은 상부 립(328)의 잠금 표면과 맞물리고, 적어도 바닥 전방 부분은 리세스(325)에 실질적으로 형상 끼워맞춤으로 수용되며, 지지 표면(322)은 숄더(327)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에지(315) 및 제2 에지(316)에서의 잠금은 연결된 타일(301)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의 잠금으로 이어진다. 제1 및 제2 에지(315, 316)의 앵글링 다운 잠금 원리는 이들 에지(315, 316)에서 타일의 상호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비교적 쉬운 잠금 원리이다.
도 5는 도 3에서 단면 B-B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에서, 상보적인 제3 에지(317) 및 제2 에지(318)의 형상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3 에지(317)는 상향 텅(339), 상향 플랭크(330) 및 상향 텅(339)과 상향 플랭크(330) 사이에 형성된 상향 홈(331)을 포함한다. 상향 텅(339)은 브리지(332)에 의해 코어(312)에 연결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 어느 정도 탄성이 있다. 상향 플랭크(330)를 향하는 상향 텅(339)의 사이드(339a)는 코어(312)의 상부 사이드(313)의 법선(N1)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코어(312)의 상부 사이드(313)의 접선(R1) 및 법선(N1)은 서로를 향하는데(수렴하는 배향), R1 및 N1에 의해 둘러싸인 각도는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0°와 10° 사이이다. 상향 플랭크(330)를 향하는 상향 텅(339)의 사이드(339a)와 상향 플랭크(330)의 수렴하는 배향으로 인해, 상향 홈은 폐쇄된 홈인데, 이는 오직 상향 텅(339) 및/또는 브리지(332)의 변형에 의한 상보적인 대응 부품에 접근 가능하다. 상향 플랭크(330)를 향하는 상향 텅(339)의 다른 사이드(339b)는 인접한 타일(301)에 대한 결합의 용이한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정렬 에지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에지로서 기능하는 이 사이드(339b)는 코어(312)의 상부 사이드(313)의 법선(N1)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한다. 그러나 상향 텅(339)의 상부 사이드(339d)는 코어(312)의 상부 사이드(313)의 법선(N1)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향 플랭크(330)에서 멀어지는 상향 텅(339)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이어진다. 이 챔퍼링은 상보적인 제4 에지(318)에 더 견고하고 따라서 더 강한 형태를 제공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상향 플랭크(3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향 텅(339)의 사이드(339e)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고 또한 외향 벌지(333)가 제공된다. 상향 플랭크(330)의 하부 부분(330a)은 대각선으로 배향되는 반면, 상향 플랭크(330)의 상부 부분(330b)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4 에지(318)에 대한 정지 표면을 형성한다. 상향 플랭크의 경사진 부분(330a)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330b) 사이에 추가적인 결합 요소, 특히 추가적인 벌지(334)가 제공된다. 상향 홈(331)의 하부 벽 부분(331a)은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다. 제4 에지(318)는 제3 에지(317)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다. 제4 에지(318)는 하향 텅(345), 하향 플랭크(346) 및 하향 텅(345)과 하향 플랭크(346) 사이에 형성된 하향 홈(347)을 포함한다. 하향 텅(345)은 브리지(348)에 의해 코어(312)에 연결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 탄력적이다. 하향 플랭크(346)를 향하는 하향 텅(345)의 사이드(345a)는 코어(312)의 하부 사이드(413)의 법선(N2)의 방향으로 놓인다. 이는 하향 텅(345)의 사이드(345a)의 접선(R2)과 코어(312)의 하부 사이드(314)의 법선이 서로 수렴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R2와 N2로 둘러싸인 각도는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0°와 10° 사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의 기울기는 R2의 기울기와 동일하고; 따라서, R1 및 R2는 바람직하게는 평행하다. 하향 플랭크(346)와 하향 플랭크(346)를 향하는 하향 텅(345)의 사이드(345a)의 수렴하는 배향으로 인해, 하향 홈(347)은 폐쇄된 홈이 되는데, 이는 오직 하향 텅(345) 및/또는 브릿지(348)의 변형에 의해 인접한 타일(301)의 상향 텅(339)에 대해 접근 가능하고, 그 결과 하향 홈의 입구가 (일시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하향 플랭크(346)로부터 멀리 향하는 하향 텅(345)의 사이드(345b)는 대각선으로 배향되지만, 상향 플랭크(330)의 상보적 사이드(330a)보다 더 평평한 배향을 가지며, 이에 의해 간극(공기 공간)이 결합 위치에 형성될 것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두 타일(301)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하향 텅(345)의 경사진 사이드(345b)는 또한 두 타일(301) 사이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렬 에지로 기능한다. 하향 플랭크(34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다른 사이드(345c)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형태를 취하는데, 다른 타일(301)의 추가적인 벌지(334)와 함께 작용하도록 구성된 작은 공동(349)이 제공된다. 하향 플랭크(34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사이드(345c)의 상단 부분은 (인접한 타일의) 상향 플랭크(330)의 정지 표면(330b)에 대한 상보적인 정지 표면을 형성한다. 하향 플랭크(346)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고 (인접한 타일의) 상향 텅(339)의 외향 벌지(33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340)가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은 카펫 타일 및 비카펫 타일의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설명된 예의 다른 세부 사항을 적용하지 않고도 개별 발명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응용에 도달하기 위해 수많은 발명 개념이 (재)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발명 개념의 모든 생각할 수 있는 조합의 예를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실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자명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수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동사 "포함하다" 및 이의 활용은 "포함하다"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구비하다", "실질적으로 ~으로 구성되다", "~에 의해 형성되다" 및 이들의 활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46)

  1. 타일, 특히 카펫 타일로서,
    상단 사이드와 바닥 사이드를 갖되, 파일 얀이 상단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베이스 레이어, 및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레이어를 포함하고, 접착 레이어는 타일의 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며, 접착 레이어는 타일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한 접착 특성을 부여하고,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 사이드를 덮으며,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는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 특성은 적어도 실온에서 적용되는 타일.
  3.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타일의 바닥 표면의 에지 및/또는 모서리에, 바람직하게는 타일의 전체 바닥 표면의 적어도 50%에 존재하는 타일.
  4.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15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MPa 미만인 적절한 지지 표면에 대한 적당한 접착 강도를 달성하는 타일.
  5.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 특성은 적어도 5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년의 기간 동안 적용되는 타일.
  6.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유형의 감압 접착제(PSA)인 타일.
  7.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한 유형의 웜멜트 또는 핫멜트 감압 접착제(HMPSA),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 아크릴 HMPSA인 타일.
  8.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접착제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C),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비정질 폴리올레핀(APO)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타일.
  9.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와 접착 레이어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킹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배킹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오픈 및/또는 클로즈드 셀을 갖는 발포 구조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레이어를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되는 타일.
  10. 제9항에 있어서, 배킹 레이어는 천공 및/또는 개방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나일론계 레이어이고, 접착 레이어는 상기 배킹 레이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되는 타일.
  11. 제10항에 있어서, 배킹 레이어는 관통된 접착 레이어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상에 접착되는 타일.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배킹 레이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타일.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간 코어 레이어가 베이스 레이어와 배킹 레이어 사이에 존재하는 타일.
  14. 제13항에 있어서, 중간 코어 레이어는 강성 또는 연성이고, 목재, 특히 MDF 또는 HDF; 미네랄; 폴리머, 특히 PVC, PE, PP 또는 PU; 미네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타일.
  15.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는 타일.
  16.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5 내지 15 mm의 전체 두께를 갖는 타일.
  17.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타일은 텅 및 홈 프로필과 같은 상호 연결 프로필이 각각 제공되는 두,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사이드 에지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은 배킹 레이어 재료의 및/또는 카펫 타일에 포함될 때 중간 코어 레이어의 일체형 부분인 타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호 연결 프로필은 각각의 사이드 에지의 수직 및/또는 앵글링 운동에 의해 두 카펫 타일의 결합을 허용하는 타일.
  19.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은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 및/또는 카펫 타일의 바닥 표면에서 접착 레이어에 부착되는 타일.
  20.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를 배킹 레이어에 고정하는 추가적인 열가소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21.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는 장식 레이어 및 선택적으로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마모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22.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타일.
  23.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발포 레이어인 타일.
  24.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두께는 적어도 0.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mm인 타일.
  25.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의 접착 강도는 적어도 170 g/cm인 타일.
  26.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하중 또는 압력이 상기 접착 레이어에 가해질 때 폴러 포스 드리븐 접착 특성(polar force driven adhesive properties)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타일.
  27.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감압 접착 레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타일.
  28.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소수성 레이어인 타일.
  29.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레이어인 타일.
  30.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표면 흡입 홀이 접착 레이어의 적어도 하부 표면에 형성되고, 표면 흡입 홀은 베이스 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베이스 레이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타일.
  31. 제30항에 있어서, 표면 흡입 홀은 보이드 풋프린트를 함께 정의하고, 상기 표면 흡입 홀 사이에 있는 접착 레이어의 하부 표면에 있는 재료는 재료 풋프린트를 정의하며, 보이드 풋프린트와 재료 풋프린트 사이의 비는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이고, 이에 의해 타일이 지지 표면에 신속하게 부착되고 제거되도록 허용하는 타일.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하중 또는 압력이 상기 접착 레이어에 가해질 때 폴러 배큐엄 드리븐 접착 특성(polar vacuum driven adhesive properties)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타일.
  33.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타일.
  34.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와 융합되는 타일.
  35.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 및/또는 베이스 레이어는 항균 물질을 포함하는 및/또는 접착제 레이어 및/또는 베이스 레이어는 항균제로 코팅되는 타일.
  36. 제35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ⅰ) 할로겐화 페닐 에테르,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세스퀴테르펜 알코올, 할로겐화 카르바닐리드, 비스페놀계 화합물, 일반 페놀, 포름알데히드, 4차 암모늄 화합물, 피리딘 유도체 및 헥사클로로펜과 같은 유기 또는 유기금속 항균 물질 및/또는 (ⅱ) 유리 또는 세라믹 매트릭스에서 은, 아연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무기 항균 물질로부터 선택되고, 항균제는 바람직하게는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를 포함하는 타일.
  37.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벽을 덮고, 상기 사이드 벽은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이 베이스 레이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접착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사이드를 덮는 접착 레이어상에 부착되는 타일.
  38.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패널은 파일 얀이 없는 타일.
  39.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 레이어는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타일.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수의 이웃하는 타일로 이루어진 타일 커버링.
  41. 제40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타일의 각각의 인접한 에지는 서로 상호 연결되는 타일 커버링.
  42.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타일, 특히 카펫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단 사이드 및 바닥 사이드를 갖는 베이스 레이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파일 얀이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단계,
    b)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단계로서, 접착 레이어는 타일이 적절한 지지 표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접착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접착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 사이드를 덮는 단계,
    c) 제거 가능한 보호 필름과 접착 레이어의 바닥 표면 사이의 연결을 실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c) 단계는 b) 단계 전에 실행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c) 단계 동안 접착 레이어는 초기에 액체 상태로 보호 필름상에 도포되고, 그 후에 접착 레이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방법.
  45.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 단계는 접착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상에 융합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접착 레이어의 열처리 및/또는 UV 조사에 의해 실현되는 방법.
  46. 제42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 단계 동안 접착 레이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된 상태로 적용되는 방법.
KR1020227027360A 2020-01-07 2021-01-07 카펫 타일, 및 이러한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커버링 KR20220140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4618A NL2024618B1 (en) 2020-01-07 2020-01-07 Carpet tile, and carpet covering made of such carpet tiles
NL2024618 2020-01-07
NL2026578 2020-09-30
NL2026578 2020-09-30
PCT/EP2021/050204 WO2021140164A1 (en) 2020-01-07 2021-01-07 Carpet tile, and carpet covering made of such carpet t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730A true KR20220140730A (ko) 2022-10-18

Family

ID=7418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360A KR20220140730A (ko) 2020-01-07 2021-01-07 카펫 타일, 및 이러한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커버링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27994A1 (ko)
EP (1) EP4087969A1 (ko)
JP (1) JP2023509728A (ko)
KR (1) KR20220140730A (ko)
CN (1) CN114945720A (ko)
AU (1) AU2021205624A1 (ko)
BR (1) BR112022013070A2 (ko)
MX (1) MX2022008371A (ko)
WO (1) WO2021140164A1 (ko)
ZA (1) ZA202206882B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4829A (en) * 1958-06-24 1961-12-26 Curtin Ernest Adhesived carpet blocks
US3704197A (en) * 1971-04-05 1972-11-28 Gen Felt Ind Inc Removable floor covering
JPH08302978A (ja) * 1995-05-10 1996-11-19 Tajima Inc 滑り止め層付き床材
US5656109A (en) * 1995-08-28 1997-08-12 Collins & Aikman Floorcoverings, Inc. Method of making inlaid floor coverings
US6866928B2 (en) * 2002-04-08 2005-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ly removable tap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2004358848A (ja) * 2003-06-05 2004-12-24 Inoac Corp 建築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1002188A1 (de) * 2010-04-20 2011-10-2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elagelement
NZ607423A (en) * 2010-11-19 2014-06-27 Interface Aust Pty Ltd Alkaline hydrolysis resistant adhesive
US10132019B2 (en) * 2012-12-10 2018-11-20 Higgins Research & Development, LLC Floor covering with universal backing and methods of making and recycling
US20180237986A1 (en) * 2017-02-17 2018-08-23 Paul Walker Lightweight Carpet Tile and Method
US20180250910A1 (en) * 2017-03-06 2018-09-06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pet tile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JP2018161448A (ja) * 2017-03-27 2018-10-18 日本絨氈株式会社 タイルカーペット
NL2020254B1 (en) * 2018-01-09 2019-07-15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 V Tile, in particular carpet tile, and covering of such t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9728A (ja) 2023-03-09
ZA202206882B (en) 2023-05-31
BR112022013070A2 (pt) 2022-09-06
WO2021140164A1 (en) 2021-07-15
US20230027994A1 (en) 2023-01-26
AU2021205624A1 (en) 2022-07-28
MX2022008371A (es) 2022-08-04
EP4087969A1 (en) 2022-11-16
CN114945720A (zh)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8614C2 (ru) Блок из половых блоков
AU2019207397B2 (en) Tile, in particular carpet tile, and covering of such tiles
CN102224308B (zh) 地面装饰套件及其敷设方法
EP3245353B1 (en)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US11899370B2 (en) Interconnectable tiling system
CA3163658A1 (en) Carpet tile, and carpet covering made of such carpet tiles
KR20220140730A (ko) 카펫 타일, 및 이러한 카펫 타일로 이루어진 카펫 커버링
EA044831B1 (ru) Ковровая плитка и ковровое покрытие, состоящее из таких ковровых плиток
CN219138203U (zh) 用于形成具有多个镶板的墙壁覆盖物的墙壁镶板
US20230234329A1 (en) Decorative panel comprising a textile decorative layer
JP3058964U (ja) 床 板
CN218623096U (zh) 一种防水复合spc地板
CN221298437U (en) Wall panel for forming a wall covering having a plurality of panels
EP372253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ooring material
JP2024523936A (ja) 複数のパネルを用いて壁被覆材を形成するための壁パネル
CN117545903A (zh) 用于形成具有多个镶板的墙壁覆盖物的墙壁镶板
JPH01259828A (ja) 床敷物
US20020026690A1 (en) Carpet securement strip and method of use thereof
JPH06307032A (ja) 立上り部用仕上防水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立上り部仕上防水施工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