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280A -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280A
KR20220140280A KR1020210046580A KR20210046580A KR20220140280A KR 20220140280 A KR20220140280 A KR 20220140280A KR 1020210046580 A KR1020210046580 A KR 1020210046580A KR 20210046580 A KR20210046580 A KR 20210046580A KR 20220140280 A KR20220140280 A KR 20220140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fastening
hol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580B1 (ko
Inventor
김우태
Original Assignee
김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태 filed Critical 김우태
Priority to KR1020210046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도어를 도어틀로 부터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도어틀(DF) 일측에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브라켓(10); 상기 고정브라켓(10) 내측에 일측이 고정 결합 가능하도록 길게 판상의 고정축판(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판(200)의 양단은 타측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절곡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0)은 장타원형상을 이루되 상기 절곡면(210)의 끝단 소정의 위치에는 회전공(211)이 천공된 결합 브라켓(2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면은 커버체(3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내측은 공간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단에는 각각 일방향인 외측으로 천공된 체결홈(321)이 구비된 브라켓(320)이 일체로 구비된 회전수단부(30); 를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비숙련공이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도어와 도어틀을 분리 시공 가능한 것으로서 즉, 도어에 고정 결합된 회전수단부를 도어틀에 고정 결합된 결합브라켓에 결합하되 상기 회전수단부의 브라켓에 구비된 슬라이딩 봉이 상기 결합브라켓에 구비된 회전공에 결합함으로서 도어와 도어틀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결합 가능하며, 도어를 도어틀로 부터 탈락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립봉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봉을 회전공(211)으로 부터 이탈함으로서 도어틀로 부터 도어의 탈락이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가 적용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유격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최소화되어 장기간 정밀한 구동이 가능하고, 잔고장의 발생이 억제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가장 핵심적인 장점으로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가락 끼임이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사라져 어린아이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틈새로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냉난방의 효율이 향상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Swing door safety guide device with eccentric rotating shaft}
본 발명은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고 도어를 도어틀로 부터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이나 단독주택 등의 주거건물의 실내에는 독립적인 공간을 갖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방이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에는 방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의 구조는 방의 출입구 테두리에 대부분 문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를 문틀과 경첩으로 연결하여 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문틀에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개폐되는 반대방향으로 더이상 진입을 방지하도록 문틀면의 중앙이나 일측면으로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경첩의 구조가 문틀의 일면과 도어의 일면에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두 개의 경첩면이 힌지부에 의하여 축결합된 것으로, 하나의 경첩면이 문틀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경첩면이 도어에 일면에 장착되는데, 두 개의 경첩면이 서로 밀착되는 두께를 감안하여 문틀과 도어에는 경첩면의 크기만큼 내입되는 가공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문틀에 도어를 설치하기 위하여 문틀과 도어에 경첩의 장착을 위한 가공면을 현장에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문틀과 도어에 손상이 발생되면서 추후에 경첩의 헐거워짐이나 도어를 교체할 때 가공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의 시공이 간편하면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일명 이지경첩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지경첩은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도어에는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의 절개부와 대응하는 크기의 경첩면이 장착되어 도어의 경척면이 문틀의 경첩면 절개부에 내입되게 중첩되게 이루어지면서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이 경첩을 문틀과 도어에 직접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신속한 시공을 제공하면서 추후에 도어를 교체하더라도 경첩면을 고정하는 구멍만 매꾸면 되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여닫이식 도어의 문제점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문틀과 도어의 경첩부분으로 문틈이 발생되고, 경첩이 설치된 문틈 사이로 손가락이나 손이 끼이게 되면서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었고, 특히 이러한 손끼임 부상은 대부분 어린이들에게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최근에 문틈이 발생되지 않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전도어가 많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도어는 대부분 설치를 하기 위하여 기존의 경첩과 도어를 제거한 후 도어에 문틀을 가려주는 경첩기능을 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교체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사용되는 부품 및 시공에 의한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도어를 설치할 때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설치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인하여 문틀의 폭이 좁아지게 되면서 도어가 문틀에 안 맞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를 위하여 대부분 현장에서 도어의 일측면을 연삭 또는 절단하여 설치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어의 가공된 부분에는 별도의 마감처리를 추가로 작업해야 하는 문제는 물론 가공에 따른 시간소요로 설치시간과 이러한 안전도어의 설치가 전문가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설치비용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경첩은 틈새로 인하여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8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6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59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5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구성을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우수한 설치편의성을 가질 뿐 아니라, 조립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고,
다음, 도어과 도어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손가락이 틈새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다음,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도어틀(DF) 일측에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브라켓(10); 상기 고정브라켓(10) 내측에 일측이 고정 결합 가능하도록 길게 판상의 고정축판(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판(200)의 양단은 타측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절곡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0)은 장타원형상을 이루되 상기 절곡면(210)의 끝단 소정의 위치에는 회전공(211)이 천공된 결합 브라켓(2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면은 커버체(3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내측은 공간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단에는 각각 일방향인 외측으로 천공된 체결홈(321)이 구비된 브라켓(320)이 일체로 구비된 회전수단부(30); 를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와,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바닥면에는 스프링(322)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322) 상부에는 슬라이딩 봉(3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와,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의 슬라이딩 홀(324)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홀(3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그립봉(330)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323) 일측에는 삽입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봉(330)이 상기 삽입홈(325)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와,
상기 회전수단부(30)의 양단은, 타측면은 판상이며 상기 판상의 양단부터 일측면까지는 반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체(300)는 반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와,
상기 회전수단부(30)는, 상측 길이방향 중앙에 제1 너트(34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로 제1 브라켓(342)과 제2 브라켓(343)으로 분기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2 브라켓(342,343)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공(3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브라켓(342)의 제1 체결공(344) 내주면 상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제1 체결홈(34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공(344)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부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1 나사산(34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는 제1 돌기(347)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너트(341)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돌기(347)가 상기 제1 체결홈(345)에 체결되는 제1 볼트(348)로 이루어진 제1 보조회전수단부(340); 하측 길이방향 중앙에 제2 너트(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로 제3 브라켓(352)과 제4 브라켓(353)으로 분기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3,4 브라켓(352,353)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체결공(3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브라켓(353)의 제2 체결공(354) 내주면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제2 체결홈(355)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체결공(354)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부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2 나사산(356)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는 제2 돌기(357)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너트(351)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돌기(357)가 상기 제2 체결홈(355)에 체결되는 제2 볼트(358)로 이루어진 제2 보조회전수단부(350); 를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와,
상기 결합 브라켓(20)의 절곡면(210)에 구비된 회전공(211)은 외측으로 편심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321)도 외측으로 편심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와,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일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 홀(3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홀(3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그립봉(330)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323) 일측에는 삽입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봉(330)이 상기 삽입홈(325)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체결홈(321)으로 부터 인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딩 홀(324) 상단의 절곡부에 그립봉(330)을 체결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상기 체결홈(321)에 인입하기 위해서는 그립봉(330)을 슬라이딩 홀(324)의 하단의 절곡부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숙련공이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도어와 도어틀을 분리 시공 가능한 것으로서 즉, 도어에 고정 결합된 회전수단부를 도어틀에 고정 결합된 결합브라켓에 결합하되 상기 회전수단부의 브라켓에 구비된 슬라이딩 봉이 상기 결합브라켓에 구비된 회전공에 결합함으로서 도어와 도어틀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결합 가능하며, 도어를 도어틀로 부터 탈락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립봉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봉을 회전공(211)으로 부터 이탈함으로서 도어틀로 부터 도어의 탈락이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가 적용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유격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최소화되어 장기간 정밀한 구동이 가능하고, 잔고장의 발생이 억제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가장 핵심적인 장점으로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가락 끼임이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사라져 어린아이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틈새로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냉난방의 효율이 향상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세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도어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내부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슬라이딩 홀의 다른 형상 및 구조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세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도어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내부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에서 슬라이딩 홀의 다른 형상 및 구조를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핵심은 도어(D)와 도어틀(DF) 사이에 손이 끼워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함과 동시에 여름철 겨울철 냉난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 목적으로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는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브라켓(20)과 회전수단부(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시부호 10은 고정브라켓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틀(DF) 일측에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지만 그 형상은 어떤 형상을 이루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상기에서 언급한 결합브라켓(20)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브라켓(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0) 내측에 일측이 고정 결합 가능하도록 길게 판상의 고정축판(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판(200)의 양단은 타측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절곡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0)은 장타원형상을 이루되 상기 절곡면(210)의 끝단 소정의 위치에는 회전공(211)이 천공된 구조로서,
상기 결합 브라켓(20)의 절곡면(210)에 구비된 회전공(211)은 외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은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만약 상기 회전공(211)이 외측으로 편심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하기에서 언급하는 회전수단부(30)가 회전되지 아니함으로서 본 구성은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지시부호 30은 회전수단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수단부(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면은 커버체(3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내측은 공간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단에는 각각 일방향인 외측으로 천공된 체결홈(321)이 구비된 브라켓(320)이 일체로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체결홈(321)도 상기 회전공(211)과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편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만약 상기 체결홈(321)이 외측으로 편심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하기에서 언급하는 회전수단부(30)가 회전되지 아니함으로서 본 구성은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3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에 회전수단부(30)을 결합함에 있어 커버체(300)을 탈락시킨 후 나사 등 고정구를 편리하게 체결 및 해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점과 하기에서 설명하는 그립봉(330) 및 제1 너트(341), 제2 너트(351)의 작동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커버체(300)은 외관상 미려한 점과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의 작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바닥면에는 스프링(322)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322) 상부에는 슬라이딩 봉(3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의 슬라이딩 홀(324)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홀(3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그립봉(330)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323) 일측에는 삽입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봉(330)이 상기 삽입홈(325)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일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 홀(3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홀(3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그립봉(330)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323) 일측에는 삽입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봉(330)이 상기 삽입홈(325)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체결홈(321)으로 인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딩 홀(324) 상단의 절곡부에 체결하고 상기 체결홈(321)으로 인입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단의 절곡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스프링(322)의 구성요소가 필요없도록 한 것이다.
즉, 도어(D)를 도어틀(DF)에 체결전에는 상기 그립봉(330)을 그립하여 상기 슬라이딩 홀(324)의 하단에 구비된 절곡부에 체결 고정한 후 도어(D)와 도어틀(DF)를 일치시켜 상기 회전공(211)과 체결홈(321)을 일치시킨 후 상기 그립봉(330)을 그립하여 하단 절곡부에서 해지하여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슬라이딩 홀(324) 상단에 구비된 절곡부에 체결 고정하면 도어(D)와 도어틀(DF)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그립봉(330)이 슬라이딩 봉(323)에 구비된 삽입홈(325)에 나사결합이나 기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물론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수단부(30)의 양단은, 타측면은 판상이며 상기 판상의 양단부터 일측면까지는 반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체(300)는 반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각형상을 이룰 경우 회전수단부(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며 즉, 결합브라켓(20)으로 부터 간섭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면서 회전 가능하고 손끼임에도 더욱 유용한 구성이다.
다음, 본 발명의 회전수단부(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수단부(30)는,
상측 길이방향 중앙에 제1 너트(34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로 제1 브라켓(342)과 제2 브라켓(343)으로 분기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2 브라켓(342,343)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공(3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브라켓(342)의 제1 체결공(344) 내주면 상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제1 체결홈(34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공(344)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부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1 나사산(34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는 제1 돌기(347)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너트(341)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돌기(347)가 상기 제1 체결홈(345)에 체결되는 제1 볼트(348)로 이루어진 제1 보조회전수단부(340)와,
하측 길이방향 중앙에 제2 너트(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로 제3 브라켓(352)과 제4 브라켓(353)으로 분기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3,4 브라켓(352,353)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체결공(3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브라켓(353)의 제2 체결공(354) 내주면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제2 체결홈(355)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체결공(354)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부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2 나사산(356)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는 제2 돌기(357)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너트(351)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돌기(357)가 상기 제2 체결홈(355)에 체결되는 제2 볼트(358)로 이루어진 제2 보조회전수단부(35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틀(DF)의 일측에 고정브라켓(10)과 결합브라켓(20)을 나사 등의 고정구로 고정 결합하고 도어(D)의 일측에는 회전수단부(30)을 나사 등의 고정구로 고정 결합한 다음, 상기 도어틀(DF)에 상기 도어(D)를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딩 봉(323)이 결합브라켓(20)의 간섭에 의해 스프링(322)이 가압되면서 체결홈(321)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공(211)과 일치된 위치에서 스프링(322)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봉(323)이 돌출되어 상기 회전공(211)에 체결되며 이루 커버체(300)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으로 이를 나타낸 도면이 도 4이며 이와 같이 도어(D)가 도어틀(DF)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어(D)의 회동 즉 여닫이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D)를 도어틀(DF)에 체결하는 공정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여 누구나 체결은 손쉽게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어(D)를 도어틀(DF)로 부터 탈락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가 필요하며 우선 커버체(300)을 탈락시킨 다음 브라켓(32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324)에 형성되어 있는 그립봉(330)을 하방향 및 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스프링(322)가 가압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봉(323)이 체결홈(32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공(211)로 부터 이탈되며 이 상태에서 도어(D)를 도어틀(DF)로 부터 탈락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D)와 도어틀(DF)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구성요소의 교체 및 기타 수리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8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에는 제1 너트(341)를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제1 브라켓(342)와 제2 브라켓(343)이 형성된 상태이며 상기 제1,2 브라켓(342,343)에 천공된 제1 체결공(344)에 제1 볼트(348)이 관통 결합된 것이며,
하부에는 제2 너트(351)를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제3 브라켓(352)와 제4 브라켓(353)이 형성된 상태이며 상기 제1,2 브라켓(352,353)에 천공된 제2 체결공(354)에 제2 볼트(358)이 관통 결합된 상태로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너트(341) 및 제2 너트(351)을 회동하면 상기 제1 볼트(348) 및 제2 볼트(358)이 슬라이딩되는데 이와 같이 슬라이딩 되는 이유는 상기 제1 체결홈(345)와 제2 체결홈(355)에 상기 제1 돌기(347)과 제2 돌기(357)가 결합되어 상기 제1,2 체결홈(345,355)을 따라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제1,2 볼트(348,358)이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2 볼트(348,358)의 상기와 같이 상하 슬라이딩 됨으로서 상기 회전공(211)으로 부터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도어(D)와 도어틀(DF)의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숙련공이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도어와 도어틀을 분리 시공 가능한 것으로서 즉, 도어에 고정 결합된 회전수단부를 도어틀에 고정 결합된 결합브라켓에 결합하되 상기 회전수단부의 브라켓에 구비된 슬라이딩 봉이 상기 결합브라켓에 구비된 회전공에 결합함으로서 도어와 도어틀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결합 가능하며, 도어를 도어틀로 부터 탈락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립봉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봉을 회전공(211)으로 부터 이탈함으로서 도어틀로 부터 도어의 탈락이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가 적용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유격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최소화되어 장기간 정밀한 구동이 가능하고, 잔고장의 발생이 억제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가장 핵심적인 장점으로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가락 끼임이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사라져 어린아이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틈새로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냉난방의 효율이 향상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고정브라켓 20 ; 결합브라켓
30 ; 회전수단부 200 ; 고정축판
210 ; 절곡면 211 ; 회전공
300 ; 커버체 310 ; 공간부
320 ; 브라켓 321 ; 체결홈
322 ; 스프링 323 ; 슬라이딩 봉
324 ; 슬라이딩 홀 325 ; 삽입홈
330 ; 그립봉 340 ; 제1 보조회전수단부
341 ; 제1 너트 342 ; 제1 브라켓
343 ; 제2 브라켓 344 ; 제1 체결공
345 ; 제1 체결홈 346 ; 제1 나사산
347 ; 제1 돌기 348 ; 제1 볼트
350 ; 제2 보조회전수단부 351 ; 제2 너트
352 ; 제3 브라켓 353 ; 제4 브라켓
354 ; 제2 체결공 355 ; 제2 체결홈
356 ; 제2 나사산 357 ; 제2 돌기
358 ; 제2 볼트 D ; 도어
DF ; 도어틀

Claims (7)

  1. 도어틀(DF) 일측에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브라켓(10);
    상기 고정브라켓(10) 내측에 일측이 고정 결합 가능하도록 길게 판상의 고정축판(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축판(200)의 양단은 타측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절곡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0)은 장타원형상을 이루되 상기 절곡면(210)의 끝단 소정의 위치에는 회전공(211)이 천공된 결합 브라켓(2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면은 커버체(3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내측은 공간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단에는 각각 일방향인 외측으로 천공된 체결홈(321)이 구비된 브라켓(320)이 일체로 구비된 회전수단부(30);
    를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바닥면에는 스프링(322)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322) 상부에는 슬라이딩 봉(3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의 슬라이딩 홀(324)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홀(3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그립봉(330)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323) 일측에는 삽입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봉(330)이 상기 삽입홈(325)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부(30)의 양단은,
    타측면은 판상이며 상기 판상의 양단부터 일측면까지는 반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체(300)는 반원형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부(30)는,
    상측 길이방향 중앙에 제1 너트(34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로 제1 브라켓(342)과 제2 브라켓(343)으로 분기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2 브라켓(342,343)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체결공(3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브라켓(342)의 제1 체결공(344) 내주면 상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제1 체결홈(34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공(344)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부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1 나사산(34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는 제1 돌기(347)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너트(341)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돌기(347)가 상기 제1 체결홈(345)에 체결되는 제1 볼트(348)로 이루어진 제1 보조회전수단부(340);
    하측 길이방향 중앙에 제2 너트(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로 제3 브라켓(352)과 제4 브라켓(353)으로 분기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3,4 브라켓(352,353)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체결공(3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브라켓(353)의 제2 체결공(354) 내주면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제2 체결홈(355)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체결공(354)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부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2 나사산(356)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는 제2 돌기(357)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너트(351)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돌기(357)가 상기 제2 체결홈(355)에 체결되는 제2 볼트(358)로 이루어진 제2 보조회전수단부(350);
    를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브라켓(20)의 절곡면(210)에 구비된 회전공(211)은 외측으로 편심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321)도 외측으로 편심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20)의 체결홈(321)의 일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 홀(3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홀(3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그립봉(330)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봉(323) 일측에는 삽입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봉(330)이 상기 삽입홈(325)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체결홈(321)으로 부터 인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딩 홀(324) 상단의 절곡부에 그립봉(330)을 체결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봉(323)을 상기 체결홈(321)에 인입하기 위해서는 그립봉(330)을 슬라이딩 홀(324)의 하단의 절곡부에 체결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KR1020210046580A 2021-04-09 2021-04-09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KR10262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80A KR102621580B1 (ko) 2021-04-09 2021-04-09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80A KR102621580B1 (ko) 2021-04-09 2021-04-09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80A true KR20220140280A (ko) 2022-10-18
KR102621580B1 KR102621580B1 (ko) 2024-01-04

Family

ID=8380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80A KR102621580B1 (ko) 2021-04-09 2021-04-09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8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994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扉の支持構造
KR101095910B1 (ko) 2009-05-29 2011-12-21 주식회사 제이씨 개폐조절장치 및 그 설치구조
KR101127639B1 (ko) 2011-07-04 2012-03-20 김종천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402822B1 (ko) 2011-10-05 2014-06-03 한민규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고,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도어시스템
KR101504505B1 (ko) 2013-12-06 2015-03-23 정태영 조립식 안전도어
KR20190096250A (ko) * 2018-02-08 2019-08-19 강민성 손끼임방지용 도어힌지장치
KR102030569B1 (ko) * 2019-02-28 2019-10-10 서동혁 여닫이 도어용 끼임방지장치
KR20200034153A (ko) * 2018-09-21 2020-03-31 장용운 도어시스템
KR102192905B1 (ko) * 2020-06-01 2020-12-18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994A (ja) * 1998-10-26 2000-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扉の支持構造
KR101095910B1 (ko) 2009-05-29 2011-12-21 주식회사 제이씨 개폐조절장치 및 그 설치구조
KR101127639B1 (ko) 2011-07-04 2012-03-20 김종천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402822B1 (ko) 2011-10-05 2014-06-03 한민규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고,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도어시스템
KR101504505B1 (ko) 2013-12-06 2015-03-23 정태영 조립식 안전도어
KR20190096250A (ko) * 2018-02-08 2019-08-19 강민성 손끼임방지용 도어힌지장치
KR20200034153A (ko) * 2018-09-21 2020-03-31 장용운 도어시스템
KR102030569B1 (ko) * 2019-02-28 2019-10-10 서동혁 여닫이 도어용 끼임방지장치
KR102192905B1 (ko) * 2020-06-01 2020-12-18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580B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70444U (zh) 门栏
KR102192905B1 (ko)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US20160208526A1 (en) Lock body with adjustable strike plate for sliding doors
US1693526A (en) Hinge
KR20130046611A (ko) 전동식 폴딩 도어 시스템
KR20210030619A (ko)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조립식 중문
KR20220140280A (ko)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CN2714766Y (zh) 旋转开闭式推拉门窗
RU166800U1 (ru) Ручка створки
CN208267710U (zh) 一种窗扇锁定装置
KR102474768B1 (ko)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102395422B1 (ko)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200464751Y1 (ko) 슬라이드창문용 노출형 잠금장치
CN210013621U (zh) 一种铰接装置和旋转淋浴房门
KR102438423B1 (ko) 히든 도어 프레임 구조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CN220687062U (zh) 一种天地铰链及应用其的门
JP3240508B2 (ja) 折戸用ヒンジと、それを使用する折戸装置
EP1413697A2 (en) Keep and lock assembly and keep for receiving locks
KR20047305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설치장치
CN211903237U (zh) 铰链式风口装置
CN220014934U (zh) 一种防夹手门扇
CN219679138U (zh) 一种易拆卸安装的电磁屏蔽室
WO2006062412A1 (en) Holding device for reversible window hinges
CN217558055U (zh) 一种平移门窗用连接结构及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