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153A - 도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153A
KR20200034153A KR1020180113521A KR20180113521A KR20200034153A KR 20200034153 A KR20200034153 A KR 20200034153A KR 1020180113521 A KR1020180113521 A KR 1020180113521A KR 20180113521 A KR20180113521 A KR 20180113521A KR 20200034153 A KR20200034153 A KR 2020003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e
hinge shaft
fram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479B1 (ko
Inventor
장용운
Original Assignee
장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운 filed Critical 장용운
Priority to KR102018011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4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9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a suspension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문틀에 도어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도어의 설치,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문틀에서 도어가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어 문틀의 바닥면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바닥 높이에 맞게 문틀에 도어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되며, 문틀과 도어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아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게 구성된 도어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도어시스템{DOOR SYSTEM}
본 발명은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문틀에 도어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도어의 설치,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문틀에서 도어가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어 문틀의 바닥면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바닥 높이에 맞게 문틀에 도어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되며, 문틀과 도어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아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게 구성된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안팎으로 밀거나 당겨서 여는 문을 말하며, 문틀과 도어의 가장자리에 쇠로 만든 경첩을 박고 이 경첩을 회전축으로 해서 안팎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열게 구성된다.
그러나, 도어를 문틀에 연결할 때 그 높낮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설치해야 하고, 이 경우 작업자가 무거운 도어를 직접 손으로 들고 문틀에 설치된 경첩에 피스못 등으로 도어를 고정하는데, 한번에 꼭 맞게 일치되는 경우는 드물고 몇 차례 반복하여 그 높이를 맞출 수 밖에 없으며, 그 높이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된 피스못 등을 떼어서 맞추는 과정을 반복한 다음 다시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많아 고도의 기술과 상당한 숙련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래에는 문의 턱을 없애기 위해 하부프레임이 없는 문틀이 주로 사용되는 데, 시공되는 바닥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바닥의 높이에 맞게 문틀에 도어를 정확한 높이로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여닫이문은 가정집 및 어린이집, 학교 등의 거의 모든 건물의 실내용 문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특히 도어의 모서리 부분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그 모서리부분에 부딪힐 경우 심하게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또한 도어가 열린 상태일 때 형성되는 문틀과 도어 사이의 틈새에 손가락 등이 끼인 상태로 문이 닫혀 손끼임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이다. 특히 가정집, 어린이집, 학교 등에서 주의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유아의 경우에 이러한 위험에 더욱 노출되어있으면서 그 부상의 정도는 더욱 치명적이기 때문에 큰 문제이다.
이에 여닫이문에 적용하는 모서리 보호부재, 손끼임방지기구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으나, 종래의 모서리 보호부재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못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손끼임방지기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번거러우며,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일부 외형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도어의 전체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문틀에 도어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도어의 설치,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문틀에서 도어가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어 문틀의 바닥면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바닥 높이에 맞게 문틀에 도어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 도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 목적은 문틀에 도어가 설치되면 문틀과 도어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아 문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외관이 미려한 구조를 갖는 도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과, 상기 문틀에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문틀의 개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문틀의 일측 측면 문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그 상단 및 하단에는 축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문틀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상측과 하측에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및 내부로 수용되게 구성되는 도어설치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설치프레임 내부로 힌지축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설치프레임의 힌지축이 상기 문틀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의 축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도어를 문틀에 결합시킨 다음, 도어설치프레임 내부에 위치된 힌지축이 도어설치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힌지축이 상기 브라켓의 축공으로 삽입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문틀에 도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설치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부 힌지축 및 상부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부 브라켓의 축공에 결합되는 상부 도어연결구와,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하부 힌지축 및 하부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하부 브라켓의 축공에 결합되는 하부 도어연결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연결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는 상면에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상부 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및 수용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부 측면에 상부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조작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부 도어연결구 내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상부 외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외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상부 구동기어와, 상기 상부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부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상부 종동기어와, 상기 상부 종동기어의 상면에서 상측 돌출되어 상기 상부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수나사봉과, 일단부에 상기 수나사봉에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부 상면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의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 수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상부 수나사봉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상부 힌지축을 상부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게 작동시키는 상부 승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는 하면에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하부 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및 수용되는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부 측면에 상부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부 조작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가 하부 도어연결구 내면에 형성된 하부 지지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하부 외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외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하부 구동기어와, 상기 하부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하부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하부 종동기어와, 상기 하부 종동기어의 하면에서 하측 돌출되어 상기 하부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하부 수나사봉과, 일단부에 하부 수나사봉에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부 하면에는 상기 하부 힌지축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하부 수나사봉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상부 힌지축을 상부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게 작동시키는 하부 승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의 일측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승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상부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부 승강판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 수나사봉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 구동기어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 내부의 상측에는 상부 관통공의 하측으로 상부 힌지축이 끼워지는 상부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상기 상기 상부 수나사봉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상부 지지홈이 형성된 상부 지지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힌지축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홀에 밀착되게 끼워져 상부 힌지축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는 환형의 상부 지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의 일측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승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하부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하부 승강판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수나사봉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구동기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지지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 내부의 하측에는 하부 관통공의 하측으로 하부 힌지축이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상기 하부 수나사봉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하부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구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힌지축의 외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홀에 밀착되게 끼워져 하부 힌지축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는 환형의 하부 지지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문틀프레임의 측면 문틀에는 그 내측 전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은 외측이 상기 설치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원호형의 만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만곡면의 중앙 상하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설치프레임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의 만곡면에 수용되면서 회전하게 구성되어 도어의 회동 시에도 도어의 단부와 문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구성되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고정면이 형성되어 도어의 단부에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면의 중앙 길이방향으로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은 도어설치프레임의 단부를 문틀프레임의 브라켓에 안착시킨 다음, 도어설치프레임의 상하단에 형성된 힌지축을 끼워 넣는 간단한 작업으로, 문틀에 도어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설치,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은 문틀프레임의 오목한 원호형의 만곡면에 원통형의 도어설치프레임이 감싸지게 수용되어, 도어의 개폐시 원통형의 도어설치프레임이 문틀프레임의 만곡면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문틀프레임과 도어설치프레임 사이는 물론 문틀과 도어 사이에도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틀에서 도어를 개폐할 때 틈으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에서 상부 도어연결구 및 하부 도어연결구의 평단면도,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도어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은 문틀(10)에 도어(20)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도어의 설치,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문틀(10)에서 도어(20)가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문틀(10)과, 상기 문틀(20)에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문틀(10)의 개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20)를 포함하며, 상기 문틀(10)과 도어(20)는 문틀프레임(100)과 도어설치프레임(200)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문틀프레임(100)은 상기 문틀(10)의 일측 측면 문틀(11)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그 상단 및 하단에는 축공(111)이 형성된 브라켓(110)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문틀프레임(100)은 후술하는 도어설치프레임(200)이 설치되어 도어(10)가 문틀(20)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도어설치프레임(200)은 상기 도어(20)의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상측과 하측에는 높이조절수단(310,320)에 의해 힌지축(H1,H2)이 외부로 돌출 및 내부로 수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틀프레임(100)에 연결되는 도어설치프레임(200)은 상기 도어(2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부 힌지축(H1) 및 상부 높이조절수단(310)이 설치되며 상부 브라켓의 축공(111)에 결합되는 상부 도어연결구(210)와, 상기 도어(1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하부 힌지축(H2) 및 하부 높이조절수단(320)이 설치되며 하부 브라켓의 축공(111)에 결합되는 하부 도어연결구(220)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연결구(210,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본체(2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는 상면에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상부 힌지축(H1)이 외부로 돌출 및 수용되는 상부 관통공(211)이 형성되고, 하단부 측면에 상부 조작공(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는 도어(2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 나사(S)의 체결에 의해 도어(2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높이조절수단(310)은 상기 상부 조작공(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머리부(311a) 및 상기 머리부(311a)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부 도어연결구(210) 내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홈(2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11b)으로 구성되는 상부 외력전달부(311)와, 상기 회전축(311b)에 설치되어 외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상부 구동기어(312)와, 상기 상부 구동기어(312)와 치합되어 상부 구동기어(312)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상부 종동기어(313)와, 상기 상부 종동기어(313)의 상면에서 상측 돌출되어 상기 상부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수나사봉(314)과, 일단부에 상기 상부 수나사봉(314)에 체결되는 나사공(315a)이 형성되고 타단부 상면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H1)의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 수나사봉(314)의회전에 의해 상부 수나사봉(314)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상부 힌지축(H1)을 상부 관통공(211)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게 작동시키는 상부 승강판(3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외력전달부의 머리부(311a)에는 렌치홈(R1)이 형성되어 상부 도어연결구(210)의 외부에서 렌치홈(R1)에 렌치를 삽입한 후 상부 외력전달부(31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구동기어(312) 및 상부 종동기어(313)는 회전축(311b)의 회전을 상부 수나사봉(314)에 수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어이면 모두 채용 가능하나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상부 높이조절수단(310)은 상부 외력전달부(311)를 회전시키면, 상부 외력전달부(311)에 결합된 상부 구동기어(312)가 회전하고, 상부 구동기어(312)에 치합된 상부 종동기어(313)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부 종동기어(313)의 회전에 의해 상부 종동기어(313)에 결합된 상부 수나사봉(314)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부 수나사봉(314)의 회전에 의해 상부 승강판(315)이 상부 수나사봉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부 승강판(315)에 결합된 상부 힌지축(H1)이 상부 관통공(211)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220)는 하면에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하부 힌지축(H2)이 외부로 돌출 및 수용되는 하부 관통공(221)이 형성되고, 상단부 측면에 하부 조작공(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높이조절수단(320)은 상기 하부 조작공(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머리부(321a) 및 상기 머리부(321a)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가 하부 도어연결구(220) 내면에 형성된 하부 지지홈(2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21b)으로 구성되는 하부 외력전달부(321)와, 상기 회전축(321b)에 설치되어 외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하부 구동기어(322)와, 상기 하부 구동기어(322)와 치합되어 하부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하부 종동기어(323)와, 상기 하부 종동기어(323)의 하면에서 하측 돌출되어 상기 하부 종동기어(323)와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하부 수나사봉(324)과, 일단부에 하부 수나사봉(324)에 체결되는 나사공(325a)이 형성되고 타단부 하면에는 상기 하부 힌지축(H2)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나사봉(324)의 회전에 의해 하부 수나사봉(324)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하부 힌지축(H2)을 하부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게 작동시키는 하부 승강판(3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외력전달부(321)의 머리부(321a)에는 렌치홈(R2)이 형성되어 하부 도어연결구(220)의 외부에서 렌치홈(R2)에 렌치를 삽입한 후 하부 외력전달부(32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구동기어(322) 및 상부 종동기어(323)는 회전축의 회전을 하부 수나사봉에 수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어이면 모두 채용 가능하나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하부 높이조절수단(320)은 하부 외력전달부(321)를 회전시키면, 하부 외력전달부(321)에 결합된 하부 구동기어(322)가 회전하고 하부 구동기어에 치합된 하부 종동기어(323)가 회전된다. 그리고, 하부 종동기어(323)의 회전에 의해 하부 종동기어(323)에 결합된 하부 수나사봉(324)이 회전된다. 그리고, 하부 수나사봉(324)의 회전에 의해 하부 승강판(325)이 하부 수나사봉을 따라 승강되면서 하부 승강판(325)에 결합된 하부 힌지축(H1)이 하부 관통공(221)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 및 하부 도어연결구(220)에서 상부 힌지축(H1) 및 하부 힌지축(H2)이 안정적으로 승강 동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의 일측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부 가이드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승강판(315)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홈(214)에 끼워져 이동되는 상부 가이드돌기(315b)가 형성되어 상부 승강판(315)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나사봉(314)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 종동기어(31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공(215)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 내부의 상측에는 상부 관통공(211)의 하측으로 상부 힌지축(H1)이 끼워지는 상부 가이드홀(316a)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상기 상기 상부 수나사봉(314)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상부 지지홈(316b)이 형성된 상부 지지구(3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힌지축(H1)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홀(316a)에 밀착되게 끼워져 상부 힌지축(H1)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는 환형의 상부 지지구(H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220)의 일측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부 가이드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승강판(315)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홈(224)에 끼워져 이동되는 하부 가이드돌기(325b)가 형성되어 하부 승강판(325)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나사봉(324)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종동기어(323)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220)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지지공(225)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220) 내부의 하측에는 하부 관통공(221)의 하측으로 하부 힌지축(H2)이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326a)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상기 하부 수나사봉(314)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하부 지지홈(326b)이 형성된 하부 지지구(3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힌지축(H2)의 외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홀(326b)에 밀착되게 끼워져 하부 힌지축(H2)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는 환형의 하부 지지구(H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 및 하부 도어연결구(220)의 내부로 힌지축(H1,H2)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H1,H2)이 상기 문틀프레임(100)에 형성된 브라켓의 축공(1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도어(20)를 문틀(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210) 및 하부 도어연결구(220) 내부에 위치된 힌지축(H1,H2)이 도어설치프레임(200)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높이조절수단(310,320)을 작동시켜, 상기 힌지축(H1,H2)이 상기 브라켓의 축공(111)으로 삽입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문틀(10)에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경첩을 통하여 도어를 문틀에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도어설치프레임의 단부를 문틀프레임의 브라켓에 안착시킨 다음, 도어설치프레임의 상하단에 형성된 힌지축을 끼워 넣는 간단한 작업으로, 문틀에 도어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설치,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은 상술한 문틀(10)에 도어(2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와 더불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틀(10)의 측면 문틀(11)에는 그 내측 전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문틀프레임(100)은 외측이 상기 설치홈(11a)에 끼워져 결합되고,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원호형의 만곡면(120)이 형성되며, 상기 만곡면(120)의 중앙 상하방향으로 상기 브라켓(110)이 장착되는 장착홈(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작홈(1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브라켓(110)의 일측이 수용된 다음 나사(S)를 체결하여 브라켓(110)이 장착홈(130) 상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설치프레임(20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의 만곡면(120)에 수용되면서 회전하게 구성되어 도어(20)의 회동 시에도 도어(20)의 단부와 문틀(1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설치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고정면(201)이 형성되어 도어의 단부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면(201)에는 중앙 길이방향으로 끼움돌기가(201a)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20)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21)에 끼움 결합되면서 도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시스템은 문틀프레임의 오목한 원호형의 만곡면에 원통형의 도어설치프레임이 감싸지게 수용되어, 도어의 개폐시 원통형의 도어설치프레임이 문틀프레임의 만곡면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문틀프레임과 도어설치프레임 사이는 물론 문틀과 도어 사이에도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틀에서 도어를 개폐할 때 틈으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문틀 20: 도어
100: 문틀프레임 200: 도어설치프레임

Claims (4)

  1. 문틀과,
    상기 문틀에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문틀의 개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문틀의 일측 측면 문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그 상단 및 하단에는 축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문틀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상측과 하측에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및 내부로 수용되게 구성되는 도어설치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설치프레임 내부로 힌지축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설치프레임의 힌지축이 상기 문틀프레임에 형성된 브라켓의 축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도어를 문틀에 결합시킨 다음, 도어설치프레임 내부에 위치된 힌지축이 도어설치프레임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힌지축이 상기 브라켓의 축공으로 삽입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문틀에 도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설치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부 힌지축 및 상부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부 브라켓의 축공에 결합되는 상부 도어연결구와,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하부 힌지축 및 하부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하부 브라켓의 축공에 결합되는 하부 도어연결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도어연결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는 상면에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상부 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및 수용되는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부 측면에 상부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조작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부 도어연결구 내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상부 외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외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상부 구동기어와, 상기 상부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상부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상부 종동기어와, 상기 상부 종동기어의 상면에서 상측 돌출되어 상기 상부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수나사봉과, 일단부에 상기 상부 수나사봉에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부 상면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의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 수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상부 수나사봉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상부 힌지축을 상부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게 작동시키는 상부 승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는 하면에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하부 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및 수용되는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부 측면에 하부 조작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부 조작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단부가 하부 도어연결구 내면에 형성된 하부 지지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하부 외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외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하부 구동기어와, 상기 하부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하부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하부 종동기어와, 상기 하부 종동기어의 하면에서 하측 돌출되어 상기 하부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하부 수나사봉과, 일단부에 상기 하부 수나사봉에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부 하면에는 상기 하부 힌지축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 수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하부 수나사봉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하부 힌지축을 하부 관통공을 통해 돌출 및 수용되게 작동시키는 하부 승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의 일측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승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상부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부 승강판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 수나사봉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 종동기어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 도어연결구 내부의 상측에는 상부 관통공의 하측으로 상부 힌지축이 끼워지는 상부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상기 상기 상부 수나사봉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상부 지지홈이 형성된 상부 지지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힌지축의 외면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홀에 밀착되게 끼워져 상부 힌지축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는 환형의 상부 지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의 일측 내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승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하부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하부 승강판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수나사봉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종동기어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지지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도어연결구 내부의 하측에는 하부 관통공의 하측으로 하부 힌지축이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상기 하부 수나사봉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하부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구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 힌지축의 외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홀에 밀착되게 끼워져 하부 힌지축의 승강을 지지 가이드하는 환형의 하부 지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측면 문틀에는 그 내측 전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은 외측이 상기 설치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한 원호형의 만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만곡면의 중앙 상하방향으로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설치프레임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의 만곡면에 수용되면서 회전하게 구성되어 도어의 회동 시에도 도어의 단부와 문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구성되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고정면이 형성되어 도어의 단부에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면의 중앙 길이방향으로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시스템.
KR1020180113521A 2018-09-21 2018-09-21 도어시스템 KR10211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21A KR102110479B1 (ko) 2018-09-21 2018-09-21 도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21A KR102110479B1 (ko) 2018-09-21 2018-09-21 도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153A true KR20200034153A (ko) 2020-03-31
KR102110479B1 KR102110479B1 (ko) 2020-05-13

Family

ID=7000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21A KR102110479B1 (ko) 2018-09-21 2018-09-21 도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4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475A (ko) * 2020-05-22 2021-11-30 박성범 손끼임 방지 도어
KR20220017781A (ko) * 2020-08-05 2022-02-14 장용운 손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장치
KR20220121621A (ko) * 2021-02-25 2022-09-01 장용운 손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장치
KR20220121622A (ko) * 2021-02-25 2022-09-01 장용운 도어의 휨 방지구조를 갖는 손끼임 방지용 도어시스템
KR20220140280A (ko) * 2021-04-09 2022-10-18 김우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8269A1 (en) * 2005-06-16 2009-11-26 Philip Ross Safety apparatus
JP2014031648A (ja) * 2012-08-03 2014-02-20 Sanwa Shutter Corp ドア体における指詰め防止構造
KR101436801B1 (ko) * 2012-09-27 2014-09-02 노승현 끼임방지용 여닫이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8269A1 (en) * 2005-06-16 2009-11-26 Philip Ross Safety apparatus
JP2014031648A (ja) * 2012-08-03 2014-02-20 Sanwa Shutter Corp ドア体における指詰め防止構造
KR101436801B1 (ko) * 2012-09-27 2014-09-02 노승현 끼임방지용 여닫이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475A (ko) * 2020-05-22 2021-11-30 박성범 손끼임 방지 도어
KR20220017781A (ko) * 2020-08-05 2022-02-14 장용운 손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장치
KR20220121621A (ko) * 2021-02-25 2022-09-01 장용운 손끼임 방지용 도어 힌지장치
KR20220121622A (ko) * 2021-02-25 2022-09-01 장용운 도어의 휨 방지구조를 갖는 손끼임 방지용 도어시스템
KR20220140280A (ko) * 2021-04-09 2022-10-18 김우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479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479B1 (ko) 도어시스템
AU2016238980B2 (en) Adjustable Operator Worm Gear Drive with Robust Bearing Surfaces
US7506475B2 (en) Multi-coil spring window counterbalance assembly
US20060200940A1 (en) Multi-coil spring window counterbalance assembly
US20150252610A1 (en) Door mount
CN211287184U (zh) 一种用于防火窗的动力结构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CN211258204U (zh) 一种铝包木窗下滑道嵌入式五金隐藏结构
CN214740794U (zh) 一种内开门式结构
CN109559711A (zh) 拉簧固定装置
CN220036433U (zh) 一种滑轮组
CN218438799U (zh) 一种极窄推拉门的插销结构
CN215369317U (zh) 一种新型可调隐藏铰链
CN217028496U (zh) 一种便于调节的铝合金门窗用开启角度限位机构
CN218815889U (zh) 一种转轴掩门及其自动闭门器
CN210948129U (zh) 可调节通风器
CN216617251U (zh) 一种电动螺杆式开窗器的安装结构
AU2009217484B2 (en) A Casement Window Closure System
CN216789710U (zh) 一种可调节角度的监控安防用连接底座
CN216197326U (zh) 一种平开窗开合角度固定装置
CN113027262B (zh) 一种双向开合门
CN217812826U (zh) 一种调节式门把手
CN213597735U (zh) 一种淋浴房导轨滑轨防脱轨装置
CN220101935U (zh) 一种链条式开窗器用可调防弯曲链条头组件
CN218116193U (zh) 一种桥梁拆除用装配式临时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