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135A - 테이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135A
KR20220140135A KR1020210046251A KR20210046251A KR20220140135A KR 20220140135 A KR20220140135 A KR 20220140135A KR 1020210046251 A KR1020210046251 A KR 1020210046251A KR 20210046251 A KR20210046251 A KR 20210046251A KR 20220140135 A KR20220140135 A KR 2022014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arget object
pressing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174B1 (ko
Inventor
김찬호
장장원
최지욱
정종철
정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열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열성
Priority to KR102021004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1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 절곡시켜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장치로서,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1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 및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2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이미 부착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프 부착장치{TAPE ATTACH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박판의 단부에 보호용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부착장치는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 원단에서 테이프를 박리한 후 대상 물체의 표면에 테이프를 부착하고, 가압판 또는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부착부위를 누르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테이프 부착장치는 대상 물체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부착장치는, 단순히 대상 물체의 표면에 테이프를 면 접촉시킨 후 누르는 구성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대상 물체의 테두리부에 둘러서 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상 물체에 따라서는 테이프를 대상 물체에 둘러서 부착할 필요성이 있다. 예컨대, 대상 물체가 판형 형태의 이차전지인 경우에는 그 단부 테두리부에 보호용 절연 테이프를 둘러서 부착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하면,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판형 형태의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이차전지에 형성된 전극탭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의 단부에 절연성 테이프를 둘러서 부착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이차전지와 같은 대상 물체의 경우에는 전극탭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위에만 보호용 절연 테이프를 둘러서 붙일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부착장치로는 테이프를 절곡시킨 후 가압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이차전지와 같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를 둘러 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6492호의 "2차전지 젤리롤용 테이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부착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판 형태를 가지는 대상 물체의 단부를 테이핑하는데 있어서 그 일부 부위는 테이프를 절곡시켜 이중 테이핑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이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 절곡시켜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장치로서,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1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 및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2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길이방향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공간이 마련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절곡블럭; 및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바디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블럭; 및 상기 제1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곡블럭은, 상기 제1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공간이 마련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절곡블럭; 및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블럭; 및 상기 제2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2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곡블럭은, 상기 제2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2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테이프의 다양한 부위를 절곡시킨 후 박판의 테두리에 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이자천지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판형의 대상 물체가 이차전지인 경우에, 이차전지의 전극탭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부에 절연 테이프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의 부위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대상 물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테이프가 기설정된 대상 물체의 부착 부위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의 제1부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부착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착유닛의 제1가압부와 제1절곡블럭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절곡불럭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테이프 부착장치의 제2부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부착유닛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착유닛의 제2가압부와 제2절곡블럭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절곡블럭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착유닛과 제2부착유닛에 의하여 테이프의 제1부위 및 제2위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부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10)에 테이프(20)를 절곡시켜 부착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특히, 대상 물체(10)의 테두리부에 테이프(20)를 중첩되게 부착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부착장치(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물체(10)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200); 및 상기 대상 물체(10)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10)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이미 부착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착유닛(200)과 제2부착유닛(3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으로부터 이송 되오는 대상 물체(10)를 전달받을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부착유닛(200)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도 9에 도시된 화살표 Y방향) 일단 저면측에 부착된 테이프(20)의 전체 부위 중에서 대상 물체(10)의 폭방향(도 9에 도시된 화살표 X방향) 단부측으로 노출된 제1부위(21)를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 윗면측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제1부차유닛(200)은 대상 물체(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킨 후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 윗면측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제1부착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공간(210a)이 마련된 제1바디(210); 상기 제1바디(2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착공간(210a)에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절곡블럭(220); 및 상기 제1절곡블럭(220)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1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는 도면이 복잡하게 도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 물체(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제1바디(210)에 형성된 제1안착공간(210a)은, 대상 물체(10)의 평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상태의 대상 물체(10)는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 제1안착공간(210a)에 놓일 수 있다.
제1안착공간(2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대상 물체(10)의 폭방향 양측으로 노출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는 제1절곡블럭(220)의 윗면에 가압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20)의 제1부위(21)는 대상 물체(10)가 제1안착공간(210a)에 삽입되면 제1절곡블럭(220)에 가압을 받아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230)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절곡된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단부측 윗면 모서리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제1가압부(2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210)의 길이방향(도 1에 도시된 화살표 X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바디(210)의 폭방향(도 1에 도시된 화살표 Y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1); 상기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블럭(232); 및 상기 제1이동블럭(2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절곡블럭(220)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가압롤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블럭(232)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이동블럭(232)은 가이드 레일(23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이동블럭(232)은, 제1안착공간(2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제1절곡블럭(22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제1이동블럭(2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제1가압롤러(233)에 가압을 받는다.
그러면, 테이프(20)의 제1부위(21)는,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부 모서리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이동블럭(232)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기 위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가압롤러(233)는 제1절곡블럭(220)의 상부를 경유하면서 이동된다.
이때, 제1절곡블럭(220)은, 제1가압롤러(233)에 의해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절곡블럭(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22)에 지지를 받는 상태로 상기 제1바디(210)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지지 브라켓(221)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 부재(222)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절곡블럭(220)은, 상기 제1가압롤러(233)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가압롤러(233)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가압롤러(233)가 제1절곡블럭(220)을 경유하여 제1절록블럭(220)의 윗면과 비접촉된 상태가 되면, 탄성 부재(222)에 의하여 상기 제1절곡블럭(220)은 원상태로 상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블럭(220)의 윗면은 상기 제1가압롤러(233)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그 이유는, 상기 제1가압롤러(233)의 직선 왕복 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 제1가압부(230)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테두리부에 부착된 대상 물체(10)은, 도 9의 (d)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흡착 유닛에 의해 파지되어 제2부착유닛(3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착유닛(30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공간(310a)이 마련된 제2바디(310); 상기 제2바디(3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안착공간(310a)에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절곡블럭(320); 및 상기 제2절곡블럭(320)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가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8에는 도면이 복잡하게 도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 물체(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제2바디(310)에 형성된 제1안착공간(310a)은, 대상 물체(10)의 평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d)에 도시된 상태의 대상 물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 제2안착공간(310a)에 놓일 수 있다.
제2안착공간(3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 전방으로 노출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는 제2절곡블럭(220)의 윗면에 가압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20)의 제2부위(22)는 대상 물체(10)가 제2안착공간(310a)에 삽입되면 제2절곡블럭(320)에 가압을 받아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330)는,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절곡된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단부측 윗면 모서리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가압부(33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도 5에 도시된 화살표 X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331); 상기 가이드 레일(3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블럭(332); 및 상기 제2이동블럭(3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절곡블럭(320)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2가압롤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블럭(332)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이동블럭(332)은, 제2안착공간(3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상기 제2절곡블럭(320)이 배치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제2절곡블럭(32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가 제2이동블럭(3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제2가압롤러(333)에 가압을 받는다.
그러면, 테이프(20)의 제2부위(22)는, 도 9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부 모서리부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부 모서리부에 이미 부착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2이동블럭(332)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절곡블럭(32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가압롤러(333)는 제2절곡블럭(320)의 상부를 경유하면서 이동된다.
이때, 제2절곡블럭(320)은, 제2가압롤러(333)에 의해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절곡블럭(3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22)에 지지를 받는 상태로 상기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지지 브라켓(321)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 부재(322)도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2절곡블럭(320)은, 상기 제2가압롤러(333)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2가압롤러(333)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가압롤러(333)가 제2절곡블럭(320)을 경유하여 제1절록블럭(320)의 윗면과 비접촉된 상태가 되면, 탄성 부재(322)에 의하여 상기 제1절곡블럭(320)은 원상태로 상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절곡블럭(320)의 윗면은 상기 제2가압롤러(333)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는바, 그 이유는, 상기 제2가압롤러(333)의 직선 왕복 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 제2가압부(330)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제3부위(22)가 테두리부에 부착된 대상 물체(10)는, 도 9의 (f)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1부착유닛(200) 및 제2부착유닛(300)에 의하여 모서리부에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및 제2부위(22)가 중첩되도록 부착된 대상 물체(10)는,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에 의해 파지된 채 제2부착유닛(300)상에서 꺼내어져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유닛(200)의 제1안착공간(2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 또는 제2부착유닛(300)의 제2안착공간(3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400)는, 제1부착유닛(200)과 제2부착유닛(30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부착유닛(200)에 마련된 유동방지부(400)는, 제1바디(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부착유닛(300)에 마련된 유동방지부(400)는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다.
유동방지부(4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10); 상기 지지 프레임(310)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420); 및 상기 가이드 레일(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안착공간(210a) 또는 제2안착공간(3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타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유동방지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동방지부(400)는, 상기 제1가압부(230) 또는 상기 제2가압부(330)가 작동되기 이전에 우선적으로 작동되어 제1안착공간(210a) 또는 제2안착공간(3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타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 물체(10)는, 제1가압롤러(233) 또는 제2가압부(330)의 제2가압롤러(333)가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또는 제2부위(22)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어도 안착공간(210a, 310a)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또는 제2부위(22)가 기설정된 대상 물체(10)의 부착면을 향해 절곡되어 부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부착유닛(200)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우선 부착되고, 그 다음으로, 제2부착유닛(300)에 의하여 테이프(200)의 제2부위(22)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테이프(20)의 제2부위(22)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우선 부착되고, 그 다음으로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부착되도록 제2부착유닛(300)과 제1부차유닛(200)을 순차적으로 가동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및 제2부위(22)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부 일부에만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및 제2부위(22)의 길이를 늘려서 대상 물체(10)의 테두리부 전체에 부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테이프 부착장치
200 : 제1부착유닛
210 : 제1바디
220 : 제1절곡블럭
230 : 제1가압부
300 : 제2부착유닛
310 : 제2바디
330 : 제2절곡블럭
330 : 제2가압부
400 : 유동방지부
10 : 대상 물체
20 : 테이프

Claims (8)

  1.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 절곡시켜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장치로서,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1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 및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2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길이방향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공간이 마련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절곡블럭; 및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바디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블럭; 및
    상기 제1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블럭은, 상기 제1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공간이 마련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절곡블럭; 및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블럭; 및
    상기 제2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2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블럭은, 상기 제2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2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KR1020210046251A 2021-04-09 2021-04-09 테이프 부착장치 KR10255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51A KR102554174B1 (ko) 2021-04-09 2021-04-09 테이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51A KR102554174B1 (ko) 2021-04-09 2021-04-09 테이프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35A true KR20220140135A (ko) 2022-10-18
KR102554174B1 KR102554174B1 (ko) 2023-07-12

Family

ID=8380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251A KR102554174B1 (ko) 2021-04-09 2021-04-09 테이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1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905A (ko) * 2010-12-21 2012-06-29 (주)열린기술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테이핑장치
KR101200277B1 (ko) * 2012-07-03 2012-11-12 (주)케이엔에스 연료전지스택용 자동테이핑장치
KR20140109753A (ko) * 2013-03-06 2014-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베어셀의 사이드 테이프 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905A (ko) * 2010-12-21 2012-06-29 (주)열린기술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테이핑장치
KR101200277B1 (ko) * 2012-07-03 2012-11-12 (주)케이엔에스 연료전지스택용 자동테이핑장치
KR20140109753A (ko) * 2013-03-06 2014-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베어셀의 사이드 테이프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174B1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2192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用ガイドレール機構
KR20220140135A (ko) 테이프 부착장치
JP2007044734A (ja) 線材矯正装置及び太陽電池の組み立て配線装置
JP2015174145A (ja) サンルーフパネル用のレール成形装置
CN104358097B (zh) 一种家具填充物的切边装置
KR20140109753A (ko) 베어셀의 사이드 테이프 부착 장치
CN106392589B (zh) 拆卸装置
JP2002361182A (ja) ワーク清掃装置およびワーク清掃方法
JP6210298B2 (ja) メッキ用基板保持具
JP2013146750A (ja) 板材折曲げ加工方法及び板材折曲げ加工機
JPH03114614A (ja) 板材用曲げ型装置
KR101350453B1 (ko) 토치 절단 장치의 클램핑 장치
JPH07328506A (ja) 刷毛式塗布装置
KR102280757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폴딩 장치
KR101902891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용 지그
JP4435554B2 (ja) 印刷機の給紙部における紙位置決め装置
CN216575046U (zh) 一种自动包边装置
KR101282874B1 (ko) 노광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필름 클램핑 장치 및 마스크 필름 클램핑 방법
JP2550298Y2 (ja) 平行定規装置
JP2010142836A (ja) 板曲げ装置
KR101686812B1 (ko) 멀티 스펙 소재 처리가 가능한 레벨러
CN216763629U (zh) 一种打印机用分纸机构及应用其的打印机
EP3912818A1 (en) Print screen unit
JP3146667U (ja) クランプ爪およびクランプ装置
JPH03106513A (ja) 板材用曲げ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