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987A -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987A
KR20220136987A KR1020227008933A KR20227008933A KR20220136987A KR 20220136987 A KR20220136987 A KR 20220136987A KR 1020227008933 A KR1020227008933 A KR 1020227008933A KR 20227008933 A KR20227008933 A KR 20227008933A KR 20220136987 A KR20220136987 A KR 2022013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ead
base
signal terminal
arm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융헝 장
Original Assignee
선전 야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334717.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410677A/zh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야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야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전송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종래의 커넥터 중의 베이스 헤드의 생산 공법이 복잡하고 효율이 낮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며,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는 2개의 대향 설치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를 포함하고 프레임 형상인 베이스 헤드 절연체; 2개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서로 등진 일측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및 2개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 상에 설치되고 접촉 탄성 암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상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엇갈리게 배열되며; 베이스를 등진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일측에는 각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대향하여 각각 하나의 걸림홈이 설치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걸림홈에 걸림 연결된다.

Description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신호 전송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로기판에서 종종 커넥터를 사용하여 다른 회로와 연결하여, 기판과 다른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종래의 커넥터 중의 베이스 헤드는 양측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가 작기에 2차 주조(casting)를 거쳐야만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 공법이 복잡하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 중의 베이스 헤드는 생산 공법이 복잡하고 효율이 낮은 기술적 과제가 존재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및 전술한 베이스 헤드를 적용한 커넥터, 전술한 베이스 헤드 또는 커넥터를 적용한 전자 기기 및 전술한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를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 헤드는, 2개의 대향 설치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를 포함하고 프레임 형상인 베이스 헤드 절연체; 2개의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및 2개의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서로 등진 일측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상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엇갈리게 배열되며; 베이스를 등진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일측에는 각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대향하여 각각 하나의 걸림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 내에는 걸림 연결 암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 연결 암은 상기 걸림홈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 연결 암에 대응되게 걸림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구로부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암 본체, 접촉 탄성 암 및 연결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암 본체의 일단과 상기 접촉 탄성 암은 상기 연결 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 암을 등진 상기 암 본체의 일단과 상기 접촉 탄성 암 사이는 상기 걸림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암 본체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암 본체를 향하는 상기 걸림 연결 암의 일측에는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홈에 감입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 연결부에 걸림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 탄성 암은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탄성 암은 상기 암 본체를 향해 돌출된 호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연결 암과 상기 접촉 탄성 암의 연결 부분에는 변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변형 공간은 상기 걸림구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에는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에는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가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상의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상기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와 엇갈리게 배열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 헤드는 상술한 임의의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이고, 상기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및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베이스 헤드 절연체를 얻는 단계; 및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베이스 헤드 절연체의 걸림홈 내에 수용하여 베이스 헤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넥터를 제공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술한 임의의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를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술한 임의의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를 포함한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베이스 헤드 절연체 상의 걸림홈에 걸림 연결하여, 2차 주조가 필요 없이 베이스 헤드 절연체를 금형에 따라 주조 성형한 후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걸림홈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기에; 조작이 간단하고 생산 속도를 가속화하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베이스 헤드 절연체에 대한 금형 제작이 편리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한다. 선행기술에서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의 베이스 헤드의 생산 공법이 복잡하고 효율이 낮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 헤드가 180° 회전한 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3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3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3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3에 따른 베이스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4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4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4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4에 따른 베이스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6에 따른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의 공법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6에 따른 단계 S1에서 베이스 헤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6에 따른 단계 S2에서 베이스 헤드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의 특징 및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목적, 과제 해결 수단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를 예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계 용어는 하나의 엔티티 또는 작업을 다른 하나의 엔티티 또는 작업과 구별하는 데만 사용되며 이러한 엔티티 또는 작업 간의 임의의 실질적인 관계 또는 순서가 있음을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포함", "포괄"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기기가 그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이런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기기의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추가 제한이 없는 한, "포함한다"라는 문구에 의해 정의된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초소형 간격 커넥터를 제공하며, 도 1, 도 2,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2) 및 베이스 헤드(1)를 포함하고, 베이스 헤드(1)는 2개의 대향 설치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를 포함하고 프레임 형상인 베이스 헤드 절연체(11); 2개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서로 등진 일측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 2개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를 포함하고, 베이스(2)를 등진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일측에는 각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대향하여 각각 하나의 걸림홈(113)이 설치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걸림홈(113)에 수용되고; 여기서, 각각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 상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는 엇갈리게 배열되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에는 모두 제1 솔더링 차단부(14)가 설치되고, 제1 솔더링 차단부(14)는 베이스 헤드 절연체(11) 내부를 등지고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에서 돌출 설치되며,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에는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가 설치되고,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제1 솔더링 차단부(14)에서 인출되고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베이스 헤드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초소형 간격 커넥터이고, 여기서 초소형 간격은 커넥터의 베이스 헤드가 베이스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가 베이스 헤드의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가 0.15mm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에는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가 설치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의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2쌍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사이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상의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와 상기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엇갈리게 배열되고, 즉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제1 솔더링 차단부(14)에서 인출되고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베이스 헤드 외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의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2쌍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사이까지 연장된다. 이렇게 설치하면,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와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여, 용접 시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상의 솔더 볼이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상의 솔더 볼과 연결되어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의 단락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솔더링 차단부(14)를 설치하고,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가 제1 솔더링 차단부(14)로부터 인출되고 외부를 향해 연장되기에,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를 용접 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웰딩 레그 부분에서 용접하여, 이때 용접 부위에 형성된 솔더 볼이 제1 솔더링 차단부(14)의 차단을 받아 위로 흘러넘쳐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외측벽과 접촉하여 접촉불량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선행기술에서 초소형 간격 커넥터의 접촉 불량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솔더 볼이 위로 굴러 단자 외측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는 하나의 제1 솔더링 차단부(14)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양측에는 모두 복수개의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가 설치되고, 각각의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는 모두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인접한 2개의 제1 솔더링 차단부(14)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각 단자가 모두 제1 솔더링 차단부(14)의 보호를 받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제1 솔더링 차단부(14)가 열을 받을 경우 어느 정도 팽창하여 2개의 제1 솔더링 차단부(14)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제1 솔더링 차단부(14)에 일정한 팽창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초소형 간격 커넥터가 베이스(2) 방향으로 너무 많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초소형 간격 커넥터의 전반적인 안전성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1 솔더링 차단부(14)는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에 노출 설치된 제1 부분(141) 및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에 매립 설치된 제2 부분(142)을 포함하고,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는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를 향한 제2 부분(142)의 일측에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를 제2 부분(142)에 권취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를 제1 솔더링 차단부(14)와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 사이에 매립 설치하는 것에 해당되고, 제1 솔더링 차단부(14)는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가 외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여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솔더링 차단부(14)의 제2 부분(142)이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부분(141)이 열을 받아 용융되면, 제2 부분(142)이 계속하여 솔더 볼이 위로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여, 제1 솔더링 차단부(14)의 전체 길이를 증가하는 것에 해당되며, 솔더 볼를 바람직하게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142)은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의 일측을 향해 돌출된 원호형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도 대응되게 원호형으로 설치되고,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는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에 접합되어,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전체 형상 구조가 더 안정적이고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원호형으로 설치된 제2 부분(142)은 전체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가 이에 대해 발생하는 작용력을 분산하여, 제2 부분(142)이 외력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는 가능성을 감소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2)를 등진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일면에는 제1 솔더링 차단부(14)가 노출되고, 베이스(2)를 등진 제1 솔더링 차단부(14)의 일면과 나란히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2)를 등진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일면에는 제1 솔더링 차단부(14)가 노출되어, 전체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에서 용접 가능한 면적을 증가하여, 추후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용접이 편리하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와 제1 솔더링 차단부(14)는 일체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와 제1 솔더링 차단부(14)는 금형 사출 성형을 실시하여, 가공 공법이 간단하고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를 등진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의 일측에는 제5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121)가 설치되고, 제5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121)는 전체 베이스 헤드(1)의 단부에 위치한다.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에는 제3 웰딩 레그(1121)에 대응되게 제2 솔더링 차단부(15)가 설치되고, 제2 솔더링 차단부(15)에도 베이스 헤드(1) 내부를 향하는 호면이 구비되며, 제2 솔더링 차단부(15)를 설치하여 제3 웰딩 레그(1121)를 용접 시 솔더 볼이 기타 부재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인 실시예 2
구체적인 실시예 2는 구체적인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개선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접촉 탄성 암(121)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 상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는 엇갈리게 배열되며; 베이스(2)를 등진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에는 각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대향하여 각각 하나의 걸림홈(113)이 설치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걸림홈(113)에 걸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 및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엇갈리게 배열되어, 기타 부재의 연결 시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 및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에 더 많은 용접 공간을 제공하고; 초소형 간격 커넥터의 전체 사이즈를 감소하며; 베이스 헤드 절연체(11)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2개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는 평행되게 설치되며 구조가 일치하고; 초소형 간격 커넥터, 즉 2 세트의 단자 사이의 거리가 작은 커넥터에서, 본 실시예에서, 즉 2 세트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 사이의 거리는 2 세트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 사이의 거리라고 할 수도 있으며; 2 세트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 사이의 거리가 작아 사출 성형이 불편할 경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베이스 헤드 절연체(11)를 사출 성형한다.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가 외측에 위치해 있기에 그 공간이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를 베이스 헤드 절연체(11)의 사출 성형 시 사출되는 플라스틱에 매립 설치하여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장착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에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에 대응되게 삽입 연결홈을 설치할 수도 있고,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를 삽입 연결홈에 삽입 연결한다. 이 밖에,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는 스템핑 밴딩 성형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일체로 스탬핑 성형한다.
본 발명은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를 베이스 헤드 절연체(11) 상의 걸림홈(113)에 걸림 연결하여, 2차 사출이 필요 없이 베이스 헤드 절연체(11)를 금형에 따라 주조 성형한 후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를 걸림홈(113)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기에; 2차 사출이 필요 없이 선행기술에서 초소형 간격 커넥터의 베이스 헤드(1)의 생산 공법이 복잡하고 효율이 낮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조작이 간단하고 생산 속도를 가속화하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헤드 절연체(11)에 대한 금형 제작이 편리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한다.
바람직하게, 도 2,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걸림홈(113) 내에 걸림 연결 암(114)이 설치되고, 걸림 연결 암(114)은 걸림홈(113)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걸림 연결 암(114)에 대응되게 걸림구가 설치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걸림구로부터 걸림홈(113)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연결 암(114)은 걸림홈(113)을 하나의 내측 홈과 하나의 외측 홈으로 분할하고, 외측 홈은 베이스 헤드 절연체(11)의 내측과 연통되며, 걸림구의 개구는 베이스 헤드(1)를 향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걸림구의 개구로부터 베이스(2)의 방향을 향해 걸림홈(113)에 걸림 연결된다. 이때, 접촉 탄성 암(121)은 외측 홈에 위치하고 베이스(2)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에는 걸림구가 형성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의 걸림구가 걸림홈(113)에 삽입된 후, 걸림 연결 암(114)와 걸림구의 내벽이 서로 당접하여 하나의 포지셔닝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모든 걸림 연결 암(114)의 단면은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여, 모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걸림홈(113)에 걸림 연결된 후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더 정돈되고 깔끔하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암 본체(122) 및 연결 암(123)을 더 포함하고; 암 본체(122)의 일단과 접촉 탄성 암(121)은 연결 암(123)을 통해 연결되며; 연결 암(123)을 등진 암 본체(122)의 일단과 접촉 탄성 암(121) 사이는 걸림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탄성 암(121)은 베이스(2)의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걸림구를 향한 연결 암(123)의 일면은 걸림 연결 암(114)과 걸림 연결되는 부위가 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여 구조가 교묘하고 조작이 간편하다.
바람직하게,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암 본체(122)에는 돌기(124)가 설치되고, 암 본체(122)를 향한 걸림 연결 암(114)의 일측에는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걸림홈(113)에 감입되어 돌기(124)가 걸림 연결부에 걸림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124)는 접촉 탄성 암(121)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걸림 연결부는 요홈 형상으로 설치되어, 돌기(124)가 걸림 연결부에 걸림 연결된 후, 전체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베이스(2)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걸림홈(113)에 삽입된 후,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걸림홈(113)의 측벽이 접합하고; 최종적으로 전체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걸림홈(113)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접촉 탄성 암(121)은 탄성을 구비하고, 접촉 탄성 암(121)은 암 본체(122)를 향해 돌출된 호형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탄성 암(121)은 암 본체(122)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접촉 탄성 암(121)이 베이스 절연체(21) 내부를 향하는 힘을 받을 경우, 접촉 탄성 암(121)은 암 본체(122)로부터 멀어지게 절곡될 수 있고; 돌기(124)가 소정 공간을 차지하기에, 내측 홈은 큰 폭을 구비해야만 암 본체(12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가 걸림홈(1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촉 탄성 암(121)이 걸림 연결 암(114)의 눌림을 받아 변형이 발생하여, 접촉 탄성 암(121)이 암 본체(122)로부터 멀어지게 절곡되고, 이때 접촉 탄성 암(121)과 암 본체(122) 사이의 간격이 커져, 걸림홈(113)의 삽입이 편리해지고, 돌기(124)가 걸림 연결부에 삽입된 후, 전체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베이스 헤드 절연체(11)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이때 연결 암(123)은 더 이상 접촉 탄성 암(121)과 당접하지 않으며, 접촉 탄성 암(121)은 원상태로 회복하기에; 접촉 탄성 암(121)을 암 본체(122)을 향해 돌출되는 호형으로 설치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를 걸림홈(113)에 걸림 연결하기 편리하다.
이 밖에; 도 4를 참조하면, 접촉 탄성 암(121)의 단부에는 접촉부(125)가 설치되고, 접촉부(125)는 베이스 헤드 절연체(11)를 향해 돌출 설치되며; 접촉 탄성 암(121)이 암 본체(122)를 향하는 힘을 받을 경우, 접촉 탄성 암(121)이 암 본체(122)를 향해 변형되므로, 전체 베이스 헤드(1)를 베이스(2)에 삽입할 경우, 접촉 탄성 암(121)이 암 본체(122)를 향해 변형되고, 접촉 탄성 암(121) 상의 접촉부(125)가 베이스(2)에 삽입 연결된 후,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에 대응되게 방향이 있는 하향 함몰부가 설치되고, 하향 함몰부와 접촉부(125)는 서로 걸림 결합되고, 접촉 탄성 암(121)은 위치 회복되어 걸림된다.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가 교묘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걸림홈(113)에 삽입 시의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헤드(1)와 베이스(2) 사이의 결합 연결 문제도 해결한다.
바람직하게, 연결 암(123)과 접촉 탄성 암(121)의 연결 부분에는 변형 공간이 형성되고, 변형 공간은 걸림구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암(123) 부분에 모따기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접촉 탄성 암(121)에 하나의 변형 공간을 제공하고, 접촉 탄성 암(121)이 힘을 받아 변형 시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에 대한 보강 작용을 하여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전체 초소형 간격 커넥터의 품질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접촉 탄성 암(121)과 암 본체(122)는 걸림홈(113)의 일단을 향해 모두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는 삼각형으로 설치되고, 여기서 가이드부 양측은 접촉 탄성 암(121) 및 암 본체(122)를 걸림홈(113)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 원호형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2개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 상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는 엇갈리게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 상의 대향되는 2개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공간적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전체 베이스 헤드(1)의 구조 사이즈가 더 작도록 하며, 초소형 간격 커넥터의 제1 단자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헤드 절연체(11)는 2개의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는 “凹” 형으로 설치되며, 2개의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는 각각 2개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양단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의 양측은 각각 하나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와 연결되어, 전체 베이스 헤드 절연체(11)가 프레임 형상을 형성하도록 한다. 베이스(2)를 등진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의 일측에는 제5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121)가 설치되고, 제5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121)는 전체 베이스 헤드(1)의 단부에 위치한다. 베이스(2)를 등진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의 일측에는 제3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122) 및 제4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123)가 설치되어, 기타 전기 제품과 용접된다. 베이스(2)를 향한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의 일측에는 가이드 연결부(126)가 설치되며, 가이드 연결부(126)는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112)의 외측에 피복되도록 가이드하고, 베이스 헤드(1)가 베이스(2)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작용을 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구조는 베이스 헤드(1)와 상보적이고, 베이스 헤드(1)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는 베이스(2)에 삽입되어 베이스(2)와 연결된다. 도 7,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2)는 베이스 절연체(21),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 및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를 포함한다. 베이스 절연체(21)는 2개의 베이스 볼록 리브(211), 2개의 베이스 고정부재(212) 및 하나의 베이스(2) 중앙부 볼록 리브를 포함하고; 베이스 고정부재(212)는 “凹”형으로 설치되며, 2개의 베이스 고정부재(212)는 각각 2개의 베이스 볼록 리브(211)의 양단과 연결되고; 베이스(2) 중앙부 볼록 리브의 양측과 각각 2개의 베이스 볼록 리브(211)는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가 삽입될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는 베이스(2) 중앙부 볼록 리브의 양측에 설치되고, 베이스(2) 중앙부 볼록 리브 양측의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는 엇갈리게 배열되며,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는 베이스 볼록 리브(211)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설치되고,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는 탄성을 구비한다.
베이스 헤드(1)를 베이스(2)에 삽입하기 편리하도록,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양측에 모두 가이드 원호부를 설치하고,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의 상단면은 평면으로 설치하여,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와 베이스(2)의 접합이 편리하도록 하며; 가이드 원호부는 평면의 양측변으로부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 양측을 향해 연장된다.
베이스 볼록 리브(211)에는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에 대응되는 홈이 설치되고,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 및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는 금형 사출을 통해 베이스(2)를 형성한다.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 및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는 모두 밴딩 스탬핑 성형된다.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는 탄성을 구비하고,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는 걸림 결합부가 설치되며, 걸림 결합부는 베이스(2) 중앙부 볼록 리브를 향해 돌출되고,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외측에는 대응되게 오목부가 스탬핑 성형되고, 베이스 헤드(1)가 베이스(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베이스(2) 중앙부 볼록 리브가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를 눌러,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가 변형되는 동시에;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111)가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를 눌러,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가 변형되며, 베이스 헤드(1)가 소정 부위까지 이동한 후,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오목부와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의 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가 걸림 결합되어, 베이스 헤드(1)와 베이스(2)가 고정된다.
베이스 고정부재(212)에는 대응되게 고정부(2121)가 설치되고, 고정부(2121)는 가이드 연결부(126)와 배합되며; 고정부(2121)의 대향되는 양측에는 탄성부재(2122)가 설치되고, 2개의 탄성부재(2122)는 서로 배합되어 가이드 연결부(126)를 고정하며, 나아가 전체 베이스(2)가 전체 베이스 헤드(1)를 고정하며; 베이스 헤드(1)를 등진 베이스(2) 고정부(2121)의 일측에는 기타 전기 제품과의 고정을 위해 제1 베이스 웰딩 레그(2123) 및 제2 베이스 웰딩 레그가 설치된다.
구체적인 실시예 3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 3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 1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 2의 기초상에서 개선된 것으로,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 1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 2와의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31)가 2쌍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사이까지 연장되고,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의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27)가 베이스 헤드의 외측까지 연장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 4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 4는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 1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 2의 기초상에서 개선된 것으로,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 1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 2와의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구조는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의 구조와 같고,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의 구조는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22)의 구조와 같다. 여기서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의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31)는 2 쌍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사이까지 연장되고,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의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127)는 베이스 헤드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3)와 제2 베이스 신호 단자(23)의 연결 구조는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12)와 제1 베이스 신호 단자(22)의 연결 구조와 같다.
구체적인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상술한 임의의 초소형 간격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은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 헤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중 임의의 하나의 베이스 헤드이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및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베이스 헤드 절연체를 얻되, 이때 베이스 헤드의 형상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 S1;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베이스 헤드 절연체의 걸림홈 내에 수용하여 베이스 헤드를 얻되, 이때 베이스 헤드의 형상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 S2를 포함하고, 도 2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이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가 베이스 헤드 절연체에 수용되기 전의 상태이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베이스를 등진 베이스 헤드 절연체의 일측으로부터 걸림홈 내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베이스 헤드 절연체 상의 걸림홈에 걸림 연결하여, 2차 주조가 필요 없이 베이스 헤드 절연체를 금형에 따라 주조 성형한 후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걸림홈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기에; 조작이 간단하고 생산 속도를 가속화하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베이스 헤드 절연체에 대한 금형 제작이 편리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한다. 선행기술에서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의 베이스 헤드의 생산 공법이 복잡하고 효율이 낮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은 단계 S1 전에, 기재 상에서 재료를 선택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제1 베이스 부재 및 제2 베이스 부재를 얻는 단계 S1`; 제1 베이스 부재를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로 밴딩하는 단계 S1``; 제2 베이스 부재를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로 밴딩하는 단계 S1```를 더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 재료 선택은 절단에 의해 완료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부재의 소정의 형상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서로 매칭되고, 제2 베이스 부재의 소정의 형상은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와 서로 매칭되며, 상기 기재는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은 단계 S1 전에, 기재 상에서 재료를 선택하여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얻는 단계 S1````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채널 신호 전송 장치 및 전자 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 및 그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일 뿐이다. 아울러,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형태 및 응용 범위가 모두 변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명세서의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일 뿐이고, 본 발명의 특허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모든 등가 구조 또는 등가 공정 변환, 또는 다른 관련 기술 분야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발명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1: 베이스 헤드;
11: 베이스 헤드 절연체;
111: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112: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
1121: 제5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1122: 제3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1123: 제4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113: 걸림홈;
114: 걸림 연결 암;
12: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121: 접촉 탄성 암;
122: 암 본체;
123: 연결 암;
124: 돌기;
125: 접촉부;
126: 가이드 연결부;
127: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13: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131: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
14: 제1 솔더링 차단부;
141: 제1 부분;
142: 제2 부분;
15: 제2 솔더링 차단부;
2: 베이스;
21: 베이스 절연체;
211: 베이스 볼록 리브;
212: 베이스 고정부재;
2121: 고정부;
2122: 탄성부재;
2123: 제1 베이스 웰딩 레그;
213: 베이스 중앙부 볼록 리브;
22: 제1 베이스 신호 단자;
23: 제2 베이스 신호 단자.

Claims (10)

  1.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헤드는,
    2개의 대향 설치된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를 포함하고 프레임 형상인 베이스 헤드 절연체;
    2개의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및
    2개의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서로 등진 일측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상의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엇갈리게 배열되며; 베이스를 등진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의 일측에는 각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대향하여 각각 하나의 걸림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연결되며;
    상기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는 상기 베이스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상기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와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가 베이스 헤드의 길이 방향에서의 거리가 0.15mm보다 작거나 같은 베이스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 내에는 걸림 연결 암이 설치되고, 상기 걸림 연결 암은 상기 걸림홈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 연결 암에 대응되게 걸림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구로부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암 본체, 접촉 탄성 암 및 연결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암 본체의 일단과 상기 접촉 탄성 암은 상기 연결 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 암을 등진 상기 암 본체의 일단과 상기 접촉 탄성 암 사이는 상기 걸림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 본체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암 본체를 향하는 상기 걸림 연결 암의 일측에는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는 상기 걸림홈에 감입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 연결부에 걸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탄성 암은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탄성 암은 상기 암 본체를 향해 돌출된 호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연결 암과 상기 접촉 탄성 암의 연결 부분에는 변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변형 공간은 상기 걸림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에는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에는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가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베이스 헤드 볼록 리브 상의 상기 제1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는 상기 제2 베이스 헤드 웰딩 레그와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8.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헤드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이고, 상기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은,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및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2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 베이스 헤드 고정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베이스 헤드 절연체를 얻는 단계; 및
    제1 베이스 헤드 신호 단자를 베이스 헤드 절연체의 걸림홈 내에 수용하여 베이스 헤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227008933A 2021-03-29 2021-04-15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 KR20220136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334717.X 2021-03-29
CN202110334717.XA CN113410677A (zh) 2021-03-29 2021-03-29 超小间距基头、连接器、电子设备及基头的制造方法
PCT/CN2021/087558 WO2022205513A1 (zh) 2021-03-29 2021-04-15 超小间距基头、连接器、电子设备及基头的制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987A true KR20220136987A (ko) 2022-10-11

Family

ID=8336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933A KR20220136987A (ko) 2021-03-29 2021-04-15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11165A1 (ko)
JP (1) JP7377967B2 (ko)
KR (1) KR20220136987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121A (ja) * 1997-10-15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4247121A (ja) 2003-02-13 2004-09-02 Smk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4133464B2 (ja) 2003-03-07 2008-08-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404248B2 (ja) 2016-02-15 2018-10-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813621B2 (ja) 2019-05-16 2021-01-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3114A (ja) 2023-06-02
US20220311165A1 (en) 2022-09-29
JP7377967B2 (ja)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98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WO2007063636A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08135811A2 (en)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US8727798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normal force in electrical connector
KR20200080647A (ko) 리셉터클 커넥터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KR101166230B1 (ko) 커넥터
JP2004055464A (ja) 低背型コネクタ
JPH03187170A (ja) コンデンサ内蔵コネクタ
JP2004311264A (ja) 電気コネクタ
KR20220136987A (ko) 초소형 간격 베이스 헤드, 커넥터, 전자 기기 및 베이스 헤드의 제조 방법
JP2014053076A (ja) 雌型端子
CN210489871U (zh) 电连接器及其组合件
JP201903303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JP2005251746A (ja) 超小型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JP5192017B2 (ja) コネクタ
CN112310580A (zh) 射频开关
CN214477994U (zh) 超小间距连接器及电子设备
CN102832472B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CN214477993U (zh) 超小间距基头、连接器及电子设备
WO2022205513A1 (zh) 超小间距基头、连接器、电子设备及基头的制造方法
TWM499672U (zh) 電連接器
CN202159789U (zh) 电连接器
CN213460025U (zh) 射频开关
CN113540837B (zh) 插线端子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