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495A -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495A
KR20220135495A KR1020210041237A KR20210041237A KR20220135495A KR 20220135495 A KR20220135495 A KR 20220135495A KR 1020210041237 A KR1020210041237 A KR 1020210041237A KR 20210041237 A KR20210041237 A KR 20210041237A KR 20220135495 A KR20220135495 A KR 2022013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w
converter
blow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중
신동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1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495A/ko
Priority to US17/473,313 priority patent/US11658501B2/en
Priority to CN202111151259.2A priority patent/CN115139794A/zh
Priority to DE102021210985.3A priority patent/DE102021210985A1/de
Publication of KR2022013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4Balancing the load in a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3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auxiliary motors, e.g. for pumps,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는 블로워; 및 상기 블로워의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에 기반하여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 크기를 제어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W VOLTAGE DC-DC CONVER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블로워(blower)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량 등과 같이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차량 동력을 생성하는 친환경 차량은, 모터 구동 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인 메인 배터리와, 차량 내 각종 부하의 전원 전력을 저장하는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배터리의 전압을 강압 시켜 보조 배터리의 충전 전력 또는 부하의 전원 전력으로 제공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Low voltage DC Converter: LDC)를 구비할 수 있다.
통상, 저전압 직류 컨버터는 차량 부하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비 향상을 위해 그 출력을 차량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 제어되며, 차량 부하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부하로 안정적인 전원 전력 공급을 위해 고정된 일정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차량 부하로서 높은 부하량을 갖는 차량 공조 시스템의 블로워가 동작하는 경우, 블로워 내 팬 동작음을 운전자가 인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블로워의 일정한 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저전압 직류 컨버터는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가 적용되었다. 즉, 블로워가 동작하면 저전압 직류 컨버터는 블로워에서 요구되는 최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게 제어되고, 별도의 레귤레이터를 구비하여 저전압 직류 컨버터에서 제공되는 전압을 블로워 동작 상태에 따라 적절히 강압하여 블로워로 제공하는 방식의 제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에는 블로워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블로워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고려하지 않고 블로워의 최대 요구 전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제어되므로,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불필요하게 높은 고정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블로워 동작 시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은 항상 고정되므로, 차량의 상태에 따른 가변 제어가 수행되지 못하므로 연비 저하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8-0133984 A KR 10-2020-0125879 A
이에 본 발명은, 블로워 동작 시 블로워의 동작 상태에 따라 블로워의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적절하게 가변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는 블로워; 및
상기 블로워의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에 기반하여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 크기를 제어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을 일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은 상기 블로워의 최대 출력 시 상기 블로워에 요구되는 전원 전압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강압 시켜 상기 블로워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는 강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와,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의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을 일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및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은 상기 블로워의 최대 출력 시 상기 블로워에 요구되는 전원 전압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강압 시켜 상기 블로워의 전원 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공조 시스템의 블로워의 출력에 따라 블로워로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방식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차량 연비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블로워가 저출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미리 블로워의 최대 출력에 대응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하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를 제어하는 방식 대신,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블로워의 저출력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을 출력하여 직접 블로워에 제공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로 인한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은, 메인 배터리(10)와, 메인 배터리(10)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와,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제공받아 충전되는 보조 배터리(30)와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는 블로워(40) 및 블로워(40)의 동작 여부 설정 및 출력 설정을 제공받고 그에 기반하여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 크기를 제어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배터리(10)는 전기 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구비되는 차량 동력을 생산하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저전압 직류 컨버터(LDC)(20)는, 메인 배터리(10)의 고전압을 보조 배터리(30) 또는 전장 부하인 블로워(40)에 적용할 수 있는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요소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직류 컨버터 토폴로지를 적용하여 구현되는 회로가 될 수 있다.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는 제어기(50)에 의해 그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50)는 통상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되어 메모리에 사전 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을 프로세서의 연산 동작을 통해 수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기(50)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여러 입력을 기반으로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에 출력 전압에 대한 지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 전압 지령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한 값과 출력 전압 지령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구성하는 회로부 내 스위칭 소자를 사전 설정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펄스폭 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 제어함으로써 저전압 직류 컨버터(20)가 원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회로부를 구현하기 위한 여러 토폴로지와 그에 따른 출력 전압/전류 제어 기법은 당 기술분야에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 배터리(30)는 차량에 적용되는 각종 전장 부하(50) 등에 전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전장 부하(예를 들어, 블로워(40))와 함께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30)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전장 부하에서 사용하는 부하 전력을 제공함에 의해 방전될 수 있다.
블로워(40)는 차량 공조 시스템에 포함되는 요소로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통상적인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서, 블로워(40)는 차량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팬과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미도시). 블로워(40)의 모터는 전압 직류 컨버터(20)에서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하고 이 회전력으로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차량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차량의 공조 시스템은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공조 제어기(60)를 구비할 수 있고, 공조 제어기(60)는 여러 인자를 고려하여 블로워(40)의 동작 여부 및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에 의해 공조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공조 제어기(60)는 운전자가 설정한 실내 온도와 온도 센서 등을 통해 측정된 실내 온도의 차이를 연산하고 해당 차이가 클 수록 블로워의 동작 출력의 높게 설정하여 블로워를 동작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강압 시켜 블로워(40)의 전원 전압으로 제공하는 강압 레귤레이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강압 레귤레이터(70)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이 가변 될 수 없는 상태에서 블로워(40)로 제공되는 전원 전압의 크기를 강압하여야 하는 경우 동작할 수 있다.
강압 레귤레이터(70) 역시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전기 전자 부품으로 그 구체적인 회로 구성이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추가의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강압 레귤레이터(70)를 구성하고 작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및 작용 효과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제어 방법은, 우선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50)가 공조 시스템으로부터 공조 시스템 내 블로워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1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LDC 제어기(50)는 공조 시스템 내의 공조 제어기(60)로부터 블로워(40)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블로워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LDC 제어기(50)가 제공받는 블로워 정보는 블로워의 동작 여부 및 블로워의 출력 설정 등이 될 수 있다. 공조 제어기(60)는 블로워의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블로워가 동작 중이라는 정보를 LDC 제어기(5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제어기(60)는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블로워(40)의 출력을 설정할 수 있는데, 설정된 블로워의 출력도 LDC 제어기(5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로워(40)의 출력은 블로워(40) 내 모터의 출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어, LDC 제어기(50)는 입력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LDC 제어기(50)는 블로워(40)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A) 보다 큰 경우(S12), 저전압 직류 컨버터(20)가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을 일정하게 출력하도록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된 출력 전압값은 블로워(40)가 최대 출력으로 동작할 때 요구되는 전원 전압값에 대응될 수 있다(S13).
블로워(40)의 출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A)을 초과하는 고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가변 제어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기 보다는 블로워(40)가 고출력으로 동작되게 하는 것이 안정적인 공조 시스템 운영에 더 유리하다.
블로워(40)가 동작 중이고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A) 이하인 경우(S12, S13), LDC 제어기(50)는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원 전압을 출력하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제어할 수 있다(S17). 즉,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이 임계값(A) 이하인 경우에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이 블로워(40)의 전원 전압으로 직접 제공될 수 있도록 LDC 제어기(50)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블로워(40)의 출력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A) 이하의 저출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블로워(40)의 전원 전압으로 직접 제공될 수 있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제어함으로써 고정된 고전압 출력을 하여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블로워(40)가 동작 중이고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A) 이하인 경우(S12, S13)에는 보조 배터리(30)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를 고려하여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블로워(40)가 동작 중이고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A) 이하인 경우(S12, S13), LDC 제어기(50)는 보조 배터리(30)의 충전상태를 확인하고 보조 배터리(3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B) 보다 큰 경우에는(S16) 전술한 것과 같이 LDC 제어기(50)가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원 전압을 출력하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제어할 수 있다(S17).
반면, 보조 배터리(3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B) 이하인 경우에는(S16) LDC 제어기(50)가 보조 배터리(20)를 충전할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8).
보조 배터리(30)는 차량의 시동 등 중요한 전장 부하의 전원을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이므로 그 충전 상태가 항시 일정 수준보다 높아야 한다. 따라서,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이 저출력 설정인 상태인 경우, LDC 제어기(50)는 보조 배터리(30)의 충전 상태를 우선 확인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30)의 충전 상태가 임계값(B) 보다 높은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30)의 충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LDC 제어기(50)는 낮은 전압값을 갖는 블로워(40)의 전원 전압을 출력하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은 블로워(40)의 출력설정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블로워(40)의 전단에 마련된 강압 레귤레이터(70)는 동작하지 않고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을 바이패스 시켜 블로워(40)에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30)의 충전 상태가 임계값(B) 이하인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30)의 충전이 필요하므로, LDC 제어기(50)는 보조 배터리(30)를 충전할 수 있는 전압값을 출력하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은 블로워(40)의 출력설정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 보다 높을 수 있으므로, 블로워(40)의 전단에 마련된 강압 레귤레이터(70)는 강압 동작을 통해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블로워(40)의 출력 설정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으로 강압하여 블로워(40)에 제공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블로워(12)가 동작 상태가 아닌 경우(S12, S14)에 LDC 제어기(50)는 차량 주행에 관련된 여러 인자를 고려하여 최적의 연비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최적 연비를 위한 저전압 직류 컨버터(20)의 출력 전압 가변 제어는 차량 제조사 마다 미리 설정한 고유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공조 시스템의 블로워의 출력에 따라 블로워로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방식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차량 연비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블로워가 저출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미리 블로워의 최대 출력에 대응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하도록 저전압 직류 컨버터를 제어하는 방식 대신,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블로워의 저출력에 해당하는 전원 전압을 출력하여 직접 블로워에 제공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로 인한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의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메인 배터리 20: 저전압 직류 컨버터(LDC)
30: 보조 배터리 40: 블로워
50: LDC 제어기 60: 공조 제어기
70: 강압 레귤레이터

Claims (12)

  1.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는 블로워; 및
    상기 블로워의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에 기반하여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 크기를 제어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을 일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은 상기 블로워의 최대 출력 시 상기 블로워에 요구되는 전원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는,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강압 시켜 상기 블로워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는 강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8. 제1 배터리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와,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전원 전압으로 이용하여 동작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의 동작 여부 및 출력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을 일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및
    상기 블로워가 동작 중인 상태이고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이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출력 전압값은 상기 블로워의 최대 출력 시 상기 블로워에 요구되는 전원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블로워의 출력 설정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가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저전압 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강압 시켜 상기 블로워의 전원 전압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방법.
KR1020210041237A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5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37A KR20220135495A (ko)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7/473,313 US11658501B2 (en) 2021-03-30 2021-09-13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w voltage DC converter for vehicle
CN202111151259.2A CN115139794A (zh) 2021-03-30 2021-09-29 用于控制车辆的低压直流转换器的系统和方法
DE102021210985.3A DE102021210985A1 (de) 2021-03-30 2021-09-30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Niederspannungs-Gleichstrom-Wandlers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37A KR20220135495A (ko)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95A true KR20220135495A (ko) 2022-10-07

Family

ID=8328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37A KR20220135495A (ko) 2021-03-30 2021-03-30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58501B2 (ko)
KR (1) KR20220135495A (ko)
CN (1) CN115139794A (ko)
DE (1) DE10202121098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984A (ko) 2017-06-07 2018-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직류 변환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5879A (ko) 2019-04-26 202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1846B2 (en) * 2018-04-12 2022-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lower motor operation for an electrified vehicle
US11697355B2 (en) * 2018-08-22 2023-07-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fied vehicle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component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984A (ko) 2017-06-07 2018-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직류 변환기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5879A (ko) 2019-04-26 202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20885A1 (en) 2022-10-06
CN115139794A (zh) 2022-10-04
DE102021210985A1 (de) 2022-10-06
US11658501B2 (en)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6252B2 (ja) ハイブリット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JP4254658B2 (ja) 車載電源システム
JP662126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燃料電池自動車
US113386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including solar cell
US10118501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high voltage battery of vehicle
US9868358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suppressing reduction in conversion efficiency
JP2003235252A (ja) 電源回路
JP5662410B2 (ja) 電気自動車用電力供給装置
US20230283080A1 (en) Photovoltaic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Air Conditioning Unit
JP2006094690A (ja) パワースイッチング装置
KR20220135495A (ko) 차량용 저전압 직류 컨버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3552614B2 (ja) 電源回路
CN110936855A (zh) 一种双能量源系统及燃料电池组件上电控制方法
KR102435344B1 (ko)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24446B1 (ko) 공급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JP6054918B2 (ja) 2電源負荷駆動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自動車
KR102159264B1 (ko) Dc-dc 전압 컨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WO2015178131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15104195A (ja) 電気自動車の電源システム
KR100747267B1 (ko) 고전압 파워 릴레이 소음 저감 방법
KR20180069209A (ko) 컨버터 제어 장치
WO2021005894A1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電源装置
KR101734657B1 (ko) 친환경차량의 직류변환장치 전류 제어 방법
KR100335938B1 (ko) 차량용 팬 모터 구동 장치
CN113733948A (zh) 控制混合动力车辆的低压直流-直流转换器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