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142A -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142A
KR20220135142A KR1020210105758A KR20210105758A KR20220135142A KR 20220135142 A KR20220135142 A KR 20220135142A KR 1020210105758 A KR1020210105758 A KR 1020210105758A KR 20210105758 A KR20210105758 A KR 20210105758A KR 20220135142 A KR20220135142 A KR 20220135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housing
hydraulic pip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939B1 (ko
Inventor
전춘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런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런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런하이테크
Publication of KR2022013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01N2021/9542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using a pro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내에 기포 발생여부와,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칩의 잔재 여부를 확인하여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비된 작동모터를 통하여 상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단에는 커버하우징이 안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격되게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부의 상부에 놓인 커버하우징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고정부의 상부로 커버하우징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측정부와 대향되게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부의 상부에 놓이는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내측을 촬영하는 유압관로검사부와, 상기 고정부, 측정부, 유압관로검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유압관로검사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THE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COVER-HOUSING HOLE}
본 발명은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내에 기포 발생여부와, 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칩의 잔재 여부를 확인하여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란, 원동기를 장치하여 그 동력으로 땅 위를 움직이도록 만든 차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는 엔진이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엔진은 발생시키는 토크가 회전속도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며, 출력은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때, 엔진과 구동바퀴의 사이에는 토크를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장치가 바로 변속기이다.
이러한 변속기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적절히 구동력의 세기를 변화시켜주고,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엔진이 역회전 될 수 있으므로 구동바퀴의 회전방향을 전환 시켜 후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변속기는 변속방식에 따라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되며, 자동 변속기는 다시 유단 변속기와 무단 변속기(CVT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로 구분된다.
상기 무단 변속기는 장착한 차량에서 엔진이 요구되는 회전 운전점에서 운전되도록 주행조건에 대한 변속비를 구현하여 최대출력 및 최저 연비점으로 운전이 가능하게하며, 변속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동력전달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변속 충격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단 변속기는, 밸트나 체인을 이용한 변속 방식이 주로 채용되고 있으며, 밸트, 체인을 이용한 구동방식은 연결된 폴리의 폭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속도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폴리의 폭은 주로 유압을 통하여 조정되게 된다.
여기서 폴리의 폭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유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로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커버하우징이 구비되는 것이며, 이러한 커버하우징은 복수의 유압관로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하우징은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복수의 유로관은 절삭과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커버하우징에 유압관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삭가공 등을 진행하는 경우, 절삭 가공시 발생되는 칩이 유로관의 내경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커버하우징을 제조한 이후에도 불필요한 세척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를 검사하여 커버하우징의 불량률을 판별하고자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유압관로의 검사를 사람이 수작업으로 진행하게 됨으로써, 유압관로 내의 칩이나 부식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워, 커버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50190호(2014.01.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단 변속기용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무단 변속기용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를 안정적으로 이룸으로써, 제조된 무단 변속기를 세척하거나 재검사하는 불필요한 작업과정 없이도 안정적인 커버하우징의 제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유압관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 절감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제조가 이루어진 커버하우징의 불량률을 감소시켜 자동차 제작과정에서의 전체적인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비된 작동모터를 통하여 상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단에는 커버하우징이 안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격되게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부의 상부에 놓인 커버하우징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고정부의 상부로 커버하우징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측정부와 대향되게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부의 상부에 놓이는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내측을 촬영하는 유압관로검사부와, 상기 고정부, 측정부, 유압관로검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유압관로검사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하우징과, 상기 작동모터를 통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상기 고정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커버하우징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감지센서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위치된 커버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로봇암의 단부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구동부가 구비된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조절에 따라 접거나 펼쳐지게 작동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위치된 커버하우징을 잡아 이송시키는 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관로검사부는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고정판과, 상기 가이드홈에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조절부가 구비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전면에 수직이동밸트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고정몸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판과, 상기 고정판과 고정몸체에 수평이동밸트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고정몸체를 고정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와, 상기 수직이동판의 전면에 설치되는 관로검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로검사장치는 상기 수직이동판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1가이드홈이 구비된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의 내측 중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1스크류가 구비되고,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회전모터가 구비된 제1이송샤프트와, 상기 제1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1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이송샤프트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샤프트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1스크류와 대응되는 제1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라 제1이송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이동몸체의 하단에 위치되고, 삽입바의 단부에 카메라가 구비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내측으로 삽입되어 유압관로 내경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바는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게 상기 카메라와 인접한 삽입바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와 대향되는 삽입바의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석션기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이동판의 전면에는 흡입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수직이동판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2가이드홈이 구비된 제2고정판과, 상기 제2고정판의 내측 중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2스크류가 구비되고,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회전모터가 구비된 제2이송샤프트와, 상기 제2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샤프트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제2이송샤프트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스크류와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모터의 작동에 따라 제2이송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몸체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이동몸체의 하단에 위치되고, 흡입팬의 단부에 흡입파이프가 연결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내측으로 삽입되어 유압관로 내측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로검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촬영제어기와, 상기 관로검사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유압관로 내경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좌표값에 따라 상기 흡입장치를 작동시키는 흡입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무단 변속기용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
둘째, 무단 변속기용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를 안정적으로 이룸으로써, 제조된 무단 변속기를 세척하거나 재검사하는 불필요한 작업과정 없이도 안정적인 커버하우징의 제조를 이룰 수 있다.
셋째,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유압관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 절감효과를 이룰 수 있다.
넷째, 제조가 이루어진 커버하우징의 불량률을 감소시켜 자동차 제작과정에서의 전체적인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고정부의 상부로 커버하우징을 이송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부의 상부에 커버하우징이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관로검사부를 통하여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를 검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검사장치에 석션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학대도.
도 6은 본 발명인 고정부의 지지판을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고정부의 지지판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장치를 통하여 커버하우징의 유압관로 내측에 위치된 칩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대(10)와,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비된 작동모터(21)를 통하여 상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단에는 커버하우징(1)이 안착되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와 이격되게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부(20)의 상부에 놓인 커버하우징(1)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3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고정부(20)의 상부로 커버하우징(1)을 이송하는 이송부(40)와, 상기 측정부(30)와 대향되게 고정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부(20)의 상부에 놓이는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을 촬영하는 유압관로검사부(50)와, 상기 고정부(20), 측정부(30), 유압관로검사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유압관로검사부(5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판별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대(1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지면이나 장치의 상부에 견고하게 설치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하게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설치대(10)를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부(20), 측정부(30), 이송부(40), 유압관로검사부(50)를 감싸는 박스 형성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에 구비된 작동모터(21)를 통하여 상부가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하우징(22)과, 상기 작동모터(21)를 통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상기 고정하우징(2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커버하우징(1)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23a)이 구비된 지지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하우징(22)은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모터(21)가 내측에 구비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3)은 상기 작동모터(21)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모터(21)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고정하우징(22)의 상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지지판(23)의 상부로 검사를 이루고자 하는 커버하우징(1)을 고정되게 위치시키는 경우, 커버하우징(1)의 하단이 상기 안착홈(23a)에 삽입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모터(21)의 조절에 따라 지지판(23)이 회전을 이루며, 커버하우징(1)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부(30)는 상기 고정부(20)와 이격되게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측정부(30)는 상기 고정부(20)의 상부로 검사를 이루고자 하는 커버하우징(1)이 위치되는 경우, 커버하우징(1)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부(3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1)과, 상기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감지센서(32a)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의 상면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장치(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1)은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장치(32)는 상기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위치감지센서(32a)가 상측에 구비되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20)의 상면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위치를 측정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지지판(23)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흔들리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감지센서(32a)가 이를 측정한 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제어부(60)로 알림으로써, 고정부(20)의 상부에 놓이는 커버하우징(1)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며 안정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4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40)는 로봇암(41)의 단부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구동부(42a)가 구비된 연결몸체(42)와, 상기 연결몸체(42)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42a)의 조절에 따라 접거나 펼쳐지게 작동되어 상기 고정부(20)의 상단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을 잡아 이송시키는 집게(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40)는 로봇암(41)의 단부로 연결몸체(42)와 집게가(43)가 구비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몸체(42)는 로봇암(41)의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되, 내측에 구비된 구동부(42a)를 통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집게(43)는 상기 연결몸체(42)의 하단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42)의 조절에 따라 접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검사를 이루고자 하는 커버하우징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집게(43)가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제어부(60)와 연결된 구동부(42a)를 조절하여 상기 집게(43)가 펼쳐지게 함으로써, 커버하우징(1)이 집게(4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커버하우징(1)의 이송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고정부(20)의 지지판(23) 상부로 커버하우징(1)을 이송시킨 후에는 구동부(42a)를 조절하여 집게(43)가 접혀 지도록 함으로써, 지지판(23)의 상부로 이송된 커버하우징(1)과 집게(43)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지지판(23)의 상부로 커부하우징(1)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며, 커버하우징(1)이 지지판(23)의 상부로 이송된 후에는 지지판(23)의 안착홈(23a)으로 커부하우징(1)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지지판(23)을 회전시키며 커버하우징(1)의 검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커버하우징(1)을 회전시키며 커버하우징(1)에 형성된 유압관로(1a)의 위치를 변경하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유압관로검사부(50)를 통하여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관로검사부(50)는 도 1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30)와 대향되게 상기 고정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부(20)의 상부에 놓이는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압관로검사부(50)는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가이드홈(51)이 구비된 고정판(51)과, 상기 가이드홈(51)에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고정판(51)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조절부(52a)가 구비된 고정몸체(52)와, 상기 고정몸체(52)의 전면에 수직이동밸트(53a)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52a)의 작동에 따라 고정몸체(52)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판(53)과, 상기 고정판(51)과 고정몸체(52)에 수평이동밸트(54a)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52a)의 작동에 따라 고정몸체(52)를 고정판(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54)와,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설치되는 관로검사장치(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51)은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면에는 가이드홈(5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52)는 상기 가이드홈(51)에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판(5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일측에는 조절부(52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판(53)은 상기 고정몸체(52)의 전며넹 수직이동밸트(53a)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조절부(52a)의 조절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52)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기(54)는 상기 고정판(51)과 고정몸체(52)에 수평이동밸트(54a)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조절부(52a)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52)를 고정판(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조절부(52a)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직이동판(53)과 수평이동기(54)가 도 3, 도 4,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판(51)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며, 상기 지지판(23)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는 관로검사장치(5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관로검사장치(55)는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1가이드홈(55a-1)이 구비된 제1고정판(55a)과, 상기 제1고정판(55a)의 내측 중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1스크류(55b-1)가 구비되고,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회전모터(55b-2)가 구비된 제1이송샤프트(55b)와, 상기 제1가이드홈(55a-1)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1가이드돌기(55c-1)가 구비되어 상기 제1이송샤프트(55b)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샤프트(55b)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1스크류(55b-1)와 대응되는 제1나사산(55c-2)이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모터(55b-2)의 작동에 따라 제1이송샤프트(55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55c)와,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이동몸체(55c)의 하단에 위치되고, 삽입바(55d-1)의 단부에 카메라(55d-2)가 구비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삽입되어 유압관로(1a) 내경을 촬영하는 촬영장치(55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제1고정판(55a)이 설치되어 수직이동판(5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고정판(55a)의 설치 위치가 대응되는 이동을 이루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이송샤프트(55b)와 제1이동몸체(55c)가 연결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고정판(55a)의 전면에서 상기 제1이동몸체(55a)가 제1이송샤프트(55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55d)는 상기 제1이동몸체(55c)의 하단에 위치되게 구성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55c)가 제1이송샤프트(55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을 이루는 경우, 카메라(55d-2)가 구비된 삽입바(55d-1)가 고정부(20)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도 4, 도 5,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삽입되어 유압관로(1a)의 내경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하우징(1)이 지지판(23)의 회전에 따라,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회전을 이루며 검사를 이루고자 하는 유압관로(1a)가 상기 촬영장치(55d)의 방향으로 위치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1이송샤프트(55)와 제1이동몸체(55c)의 구성을 통하여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가 위치된 위치로 상기 촬영장치(55d)가 위치되도록 하여, 촬영장치(55d)의 삽입바(55d-1)를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하며 유압관로(1a) 내측에 위치된 칩이나 불순물의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바(55d-1)는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부(55d-1a)와, 상기 중공부(55d-1a)와 연통되게 상기 카메라(55d-2)와 인접한 삽입바(55d-1)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흡입구(55d-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55d-1b)와 대향되는 삽입바(55d-1)의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석션기(55d-3)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삽입바(55d-1)를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삽입하여 검사를 이루는 과정에서도, 유압관로(1a) 내측에 불순물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0)를 통하여 석션기(55d-3)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흡입구(55d-1b)를 통하여 유압관로(1a) 내측의 불순물을 흡입한 후, 중공부(55d-1a)를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는 흡입장치(7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흡입장치(70)는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2가이드홈(71a)이 구비된 제2고정판(71)과, 상기 제2고정판(71)의 내측 중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2스크류(72a)가 구비되고,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회전모터(72b)가 구비된 제2이송샤프트(72)와, 상기 제2가이드홈(71a)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가이드돌기(73a)가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샤프트(72)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제2이송샤프트(55b)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스크류(72a)와 대응되는 제2나사산(73b)이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모터(72b)의 작동에 따라 제2이송샤프트(7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몸체(73)와,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이동몸체(73)의 하단에 위치되고, 흡입팬(74a)의 단부에 흡입파이프(74b)가 연결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삽입되어 유압관로(1a) 내측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유압관로검사부(50)를 이루는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흡입장치(70)를 더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직이동판(53)의 이동에 대응되는 이동을 이루며, 상기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수직이동판(53)을 작업자가 조절하여,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로 흡입기(74)가 삽입될 수 있게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흡입판(74a)과 흡입파이프(74b)의 구성을 통하여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흡입파이프(74b)가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유압관로(1a) 내측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촬영장치(55d)의 석션기(55d-3)를 통하여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에 위치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을 이루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관로검사장치(55)의 작동을 제어하는 촬영제어기(61)와, 상기 관로검사장치(55)를 통하여 촬영된 유압관로(1a) 내경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62)와, 상기 수신부(62)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변환부(63)와, 상기 변환부(63)를 통하여 변환된 좌표값에 따라 상기 흡입장치(70)를 작동시키는 흡입제어기(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촬영제어기(61)를 통하여 관로검사장치(55)를 작동시켜,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경을 촬영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촬영된 영상이 수신부(62)를 통하여 수신되어 상기 변환부(63)에 좌표값으로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63)를 통하여 변환된 좌표값에 따라 상기 흡입제어기(64)가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흡입장치(70)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제어부(60)는 상기 측정부(30), 이송부(40), 유압관로검사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는 종래의 제어기기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커버하우징 1a: 유압관로
10: 설치대 20: 고정부
21: 작동모터 22: 고정하우징
23: 지지판 23a: 안착홈
30: 측정부 31: 고정프레임
32: 위치감지장치 32a: 위치감지센서
40: 이송부 41: 로봇암
42: 연결몸체 42a: 구동부
43: 집게 50: 유압관로검사부
51: 고정판 52: 고정몸체
52a: 조절부 53: 수직이동판
53a: 수직이동밸트 54: 수평이동기
54a: 수평이동밸트 55: 관로검사장치
55a: 제1고정판 55a-1: 제1가이드홈
55b: 제1이송샤프트 55b-1: 제1스크류
55b-2: 제1회전모터 55c: 제1이동몸체
55c-1: 제1가이드돌기 55c-2: 제1나사산
55d: 촬영장치 55d-1: 삽입바
55d-1a: 중공부 55d-1b: 흡입구
55d-2: 카메라 55d-3: 석션기
60: 제어부 61: 촬영제어기
62: 수신부 63: 변환부
64: 흡입제어기 65: 디스플레이부
70: 흡입장치 71: 제2고정판
71a: 제2가이드홈 72: 제2이송샤프트
72a: 제2스크류 72b: 제2회전모터
73: 제2이동몸체 73a: 제2가이드돌기
73b: 제2나사산 74: 흡입기
74a: 흡입팬 74b: 흡입파이프

Claims (9)

  1. 설치대(10)와,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비된 작동모터(21)를 통하여 상부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단에는 커버하우징(1)이 안착되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와 이격되게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부(20)의 상부에 놓인 커버하우징(1)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부(3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고정부(20)의 상부로 커버하우징(1)을 이송하는 이송부(40)와,
    상기 측정부(30)와 대향되게 고정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부(20)의 상부에 놓이는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을 촬영하는 유압관로검사부(50)와,
    상기 고정부(20), 측정부(30), 유압관로검사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고, 유압관로검사부(5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판별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하우징(22)과,
    상기 작동모터(21)를 통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상기 고정하우징(2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커버하우징(1)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23a)이 구비된 지지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30)는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1)과,
    상기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감지센서(32a)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의 상면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장치(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는
    로봇암(41)의 단부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구동부(42a)가 구비된 연결몸체(42)와,
    상기 연결몸체(42)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42a)의 조절에 따라 접거나 펼쳐지게 작동되어 상기 고정부(20)의 상단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을 잡아 이송시키는 집게(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관로검사부(50)는
    상기 설치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가이드홈(51)이 구비된 고정판(51)과,
    상기 가이드홈(51)에 하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고정판(51)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조절부(52a)가 구비된 고정몸체(52)와,
    상기 고정몸체(52)의 전면에 수직이동밸트(53a)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52a)의 작동에 따라 고정몸체(52)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직이동판(53)과,
    상기 고정판(51)과 고정몸체(52)에 수평이동밸트(54a)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52a)의 작동에 따라 고정몸체(52)를 고정판(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기(54)와,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설치되는 관로검사장치(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검사장치(55)는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1가이드홈(55a-1)이 구비된 제1고정판(55a)과,
    상기 제1고정판(55a)의 내측 중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1스크류(55b-1)가 구비되고,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회전모터(55b-2)가 구비된 제1이송샤프트(55b)와,
    상기 제1가이드홈(55a-1)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1가이드돌기(55c-1)가 구비되어 상기 제1이송샤프트(55b)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샤프트(55b)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1스크류(55b-1)와 대응되는 제1나사산(55c-2)이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모터(55b-2)의 작동에 따라 제1이송샤프트(55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55c)와,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이동몸체(55c)의 하단에 위치되고, 삽입바(55d-1)의 단부에 카메라(55d-2)가 구비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삽입되어 유압관로(1a) 내경을 촬영하는 촬영장치(55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바(55d-1)는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부(55d-1a)와,
    상기 중공부(55d-1a)와 연통되게 상기 카메라(55d-2)와 인접한 삽입바(55d-1)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흡입구(55d-1b)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55d-1b)와 대향되는 삽입바(55d-1)의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석션기(55d-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는 흡입장치(7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흡입장치(70)는
    상기 수직이동판(53)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2가이드홈(71a)이 구비된 제2고정판(71)과,
    상기 제2고정판(71)의 내측 중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의 외측 테두리에는 제2스크류(72a)가 구비되고, 단부에는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회전모터(72b)가 구비된 제2이송샤프트(72)와,
    상기 제2가이드홈(71a)과 대응되는 일측에 제2가이드돌기(73a)가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샤프트(72)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제2이송샤프트(55b)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스크류(72a)와 대응되는 제2나사산(73b)이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모터(72b)의 작동에 따라 제2이송샤프트(7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몸체(73)와,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이동몸체(73)의 하단에 위치되고, 흡입팬(74a)의 단부에 흡입파이프(74b)가 연결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위치된 커버하우징(1)의 유압관로(1a) 내측으로 삽입되어 유압관로(1a) 내측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기(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관로검사장치(55)의 작동을 제어하는 촬영제어기(61)와,
    상기 관로검사장치(55)를 통하여 촬영된 유압관로(1a) 내경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62)와,
    상기 수신부(62)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변환부(63)와,
    상기 변환부(63)를 통하여 변환된 좌표값에 따라 상기 흡입장치(70)를 작동시키는 흡입제어기(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KR1020210105758A 2021-03-29 2021-08-11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KR102665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24 2021-03-29
KR20210040224 2021-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42A true KR20220135142A (ko) 2022-10-06
KR102665939B1 KR102665939B1 (ko) 2024-05-14

Family

ID=8359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58A KR102665939B1 (ko) 2021-03-29 2021-08-11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9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90B1 (ko) 2012-04-26 2014-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무단변속기용 오일펌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332Y1 (ko) 2003-04-22 2003-07-07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자동차용 휠 림의 리크 검사 시스템
KR101329576B1 (ko) 2012-10-29 2013-11-15 국일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용 캘리퍼 검사장치
KR101572064B1 (ko) 2015-07-24 2015-11-25 정영택 금속가공물 표면검사용 비전검사장치
KR102527765B1 (ko) 2018-02-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탭 홀 검사 장치 및 탭 홀 검사 방법
KR102261173B1 (ko) 2018-12-10 2021-06-07 (주)스마트딥 나사 형상의 절삭 가공품의 표면 불량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2016582B1 (ko) 2019-04-04 2019-09-02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잔량 방지 용기의 핀홀 검사 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90B1 (ko) 2012-04-26 2014-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무단변속기용 오일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939B1 (ko)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8879A1 (en) Robot device,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device of generator, and inspection method
KR101144593B1 (ko) 반도체 검사용 웨이퍼 프로버 및 검사방법
CN109100361A (zh) 一种工件缺陷检测设备
JP5001681B2 (ja) インライン自動検査装置及びインライン自動検査システム
CN219391854U (zh) 一种pcb外观自动检测装置
KR20220135142A (ko) 무단 변속기용 커버 하우징의 유압관로 검사장치
CN113941838B (zh) 圆形配件精准安装设备及其校准方法
KR20230046037A (ko) 웨이퍼 검사 시스템
US9620401B2 (en) Pre-aligner apparatus
CN112371554A (zh) 一种马达检测机
CN214539205U (zh) 检测设备
JP2007114146A (ja) 表示用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JP2006245079A (ja) アライナー装置
KR102554169B1 (ko) 웨이퍼의 비아홀 검사 방법
CN213988850U (zh) 一种晶片的传输装置及加工设备
CN213516911U (zh) 一种上下光源支架及气门检测系统
CN213765746U (zh) 一种夹紧旋转结构及气门检测系统
CN113701692A (zh) 硅块尺寸检测快速固定装置及检测方法
CN220542771U (zh) 一种用于飞机涡轮叶片的检测装置
CN112490168A (zh) 一种自动定位并校准晶圆中心的装置及方法
JP2020136498A (ja) ウェハ加工異常検出装置と方法及び平面加工システム
CN220019394U (zh) 一种外观检测装置
CN219641583U (zh) 一种半导体晶片表面缺陷检测装置
CN217304925U (zh) 一种酒盒五面视觉检测机
KR20030000440A (ko) 2개의 보트를 이용한 아이씨용 피씨비 형상결함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