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976A -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976A
KR20220134976A KR1020210040343A KR20210040343A KR20220134976A KR 20220134976 A KR20220134976 A KR 20220134976A KR 1020210040343 A KR1020210040343 A KR 1020210040343A KR 20210040343 A KR20210040343 A KR 20210040343A KR 20220134976 A KR20220134976 A KR 2022013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upling
air discharge
flow rat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923B1 (ko
Inventor
이도이
Original Assignee
(주)글로벌우리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벌우리기획 filed Critical (주)글로벌우리기획
Priority to KR102021004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청정기의 공기 배출부에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결합하여 공기청정기에서 송풍하는 청정 공기의 배출 유속을 확대함으로써,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더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 면에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 공기 중 유해 세균 및 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 상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정화된 청정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 및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청정 공기의 유속을 가속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 및 상기 공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보조재를 내장(수용)하는 보조재 발향 모듈; 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AIR FLUID VELOCITY ACCELERATING TYPE SMALL SIZED AIR CLEANER}
본 발명은 청정 공기의 배출 유속을 향상시킨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기의 공기 배출부에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결합하여 공기청정기에서 송풍하는 청정 공기의 배출 유속을 확대함으로써, 송풍 용량을 높이거나 소비전력을 높이지 않고도 동일 조건에서,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더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분진뿐만 아니라 냄새를 유발하는 기체 상태의 오염물질 및 세균 등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집진 및 탈취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여재를 사용하거나 물을 분류하여 집진 또는 집진과 탈취를 동시에 수행하는 기계식 공기청정기와, 고전압을 이용하여 분진을 집진 또는 집진과 탈취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전기식 공기청정기와, 기계식 공기청정기와 전기식 공기청정기를 결합한 복합식 공기청정기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 외에도 오염물질의 포집 방식에 따라 여과식(필터 방식), 정전 필터 방식, 전기 집진방식, 복합방식 등으로 구분되며, 악취나 유해가스 또는 냄새를 탈취하는 방식에 따라 흡착방식, 산화방식, 오존기체 반응방식 및 광촉매방식 등이 있다.
대형 공기청정기는 공간이 한정된 작은 방, 학생들의 공부방, 작은 사무실 등에 놓고 사용하기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용량이 크며 소음도 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주로 음이온의 발생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며, 필요한 공간마다 쉽고 간편하게 벽면 콘센트에 직접 공기청정기 본체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소형 공기청정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소형 공기청정기는 통상적으로 청정 공기 및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제조되는데, 공간이 한정된 작은방, 학생들의 공부방, 작은 사무실보다 공간이 커지면 청정 공기 및 음이온 방출량이 적고 확산이 느린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6187호(등록일 2014년 04월 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84435호(등록일 2017년 08월 30일)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배출부에 유선구조 또는 벤츄리 구조를 갖는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유선구조 또는 벤츄리 구조에서 유속이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송풍 용량을 높이거나 소비전력을 높이지 않고도 동일 조건에서,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더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 사이즈로 구성하여 휴대가 쉽고 차 실내 혹은 작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재 발향 모듈 안에 내장된 신경 안정제, 모기 퇴치제, 방향제와 같은 여러 가지 보조재의 향기를 배출하여 힐링(healing)용이나 모기 퇴치용이나 방향제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는, 외주 면에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 공기 중 유해 세균 및 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 상기 케이스 안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정화된 청정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 및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청정 공기의 유속을 가속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 및 상기 공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보조재를 내장(수용)하는 보조재 발향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재 발향 모듈은,
상면에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센터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 보스; 상기 하우징 안에 형성되어 보조재를 수용하고, 상기 보조재에서 발산하는 향기(香氣)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 안에 형성되는 향기 안내부; 및 상기 체결 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향기 유출 홀을 형성하는 커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 보스는,
센터에 결합 홈이 형성되고 외주에 절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홈에 결합하도록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의 외주 면에는 상기 절개 홈에 결합하는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은,
하면에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센터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 보스; 상기 체결 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청정 공기 가속 홀을 형성하는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 및 상기 체결 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 보스는 센터에 결합 홈이 형성되고 외주에 절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절개 홈에 결합하도록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의 외주 면에는 상기 절개 홈에 결합하는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기 가속 안내부재는,
센터에 형성되며 결합 홀을 갖고 그 결합 홀 내주에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된 결합 보스; 및 상기 결합 보스의 외측에 복수의 리브(rib)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 사이에 공기 유입 홀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배출되는 청정 공기 일부를 상기 청정 공기 가속 홀 안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공기 가속 안내부재는,
센터에 형성되며 결합 홀을 갖고 그 결합 홀 내주에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된 결합 보스; 및 상기 결합 보스의 외측에 복수의 리브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 사이에 공기 유입 홀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서 배출되는 청정 공기 일부를 상기 청정 공기 가속 홀 안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착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기 배출부에 유선구조 또는 벤츄리 구조를 갖는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유선구조 또는 벤츄리 구조에서 유속이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송풍 용량을 높이거나 소비전력을 높이지 않고도 동일 조건에서,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더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청정 공기 및 음이온 확산 속도를 높여 적용 가능하며, 모드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이 작은 경우 혹은 실내공간이 큰 경우에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소형 사이즈로 구성하여 휴대가 쉽고 차 실내 혹은 작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재 발향 모듈 안에 내장된 신경 안정제, 모기 퇴치제, 방향제와 같은 여러 가지 보조재의 향기를 배출하여 힐링(healing)용이나 모기 퇴치용이나 방향제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내구성과 안전성이 확보됨은 물론, 다양한 산업 분야 및 환경 분야에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 착지대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정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 케이스 안에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 송풍기, 및 하부 커버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측면도 (d)는 (a)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공기 배출유속 확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에서,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공기 배출유속 확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되며,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 착지대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정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 케이스 안에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 송풍기, 및 하부 커버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측면도 (d)는 (a)의 A-A선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 공기 배출유속 확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같이, 본 발명의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100)는 케이스(110); 케이스(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 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 공기 중 유해 세균 및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카트리지(140); 송풍기(150); 청정 공기의 유속을 가속하기 위한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 및 내부에 보조재를 내장(수용)하는 보조재 발향 모듈(17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100)의 구성 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케이스(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 면에 공기 흡입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원통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 공기 흡입부(111)는 다수의 공기 흡입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외주에는 작동 버튼(114)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공기 배출부(112)가 형성된다. 공기 배출부(112)란 여과된 청정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opening)를 의미한다.
상기 작동버튼(114)은 온오프 버튼으로서, 한번 누르면 온(ON)되고 또 한 번 누르면 오프(OFF)되는 원리로 작동하는 일명, 원터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 안에는 전원 모듈 혹은 충전유닛이 마련될 수 있는바, 내부에 교체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거나, 외부에서 충전유닛에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114)은 전원 모듈 혹은 충전유닛, 송풍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원 모듈 혹은 충전유닛은 공지 공용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안에는 음이온 발생기(미도시)가 추가로 내장되어 음이온을 발생할 수도 있으며, 모드선택 버튼(미도시)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드선택 버튼을 누르면 MIN 모드 또는 MAX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서 발생한 음이온은 케이스(110)의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100)는 차량용 홀더(미도시) 안에 거치되는 구조(도 1 및 도 2) 또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착지대(180)가 더 설치되어 테이블(미도시) 위에 올려 사용하는 구조(도 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지대(18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에만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가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와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의 상면 센터에는 결합 홈(121)이 형성되고, 그 결합 홈(121)의 내주에는 위치고정 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12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공기 유입 홀(123)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의 하면 센터에는 결합 홈(131)이 형성되고, 그 결합 홈(131)의 내주에는 위치고정 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131)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공기 유입 홀(133)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홀(123)(133)의 위치 및 형상은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카트리지(140)는 공기 중 유해 세균 및 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케이스(110) 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필터 카트리지(140)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청정 공기를 생성한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주 면에는 스토퍼(115)가 형성되고, 그와 상응하여 필터 카트리지(140)의 외주 면에는 단턱(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5)에 단턱(141)이 걸리게 됨으로써, 케이스(110) 안에 필터 카트리지(140)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토퍼(115)에 경사면(115a)이 형성되어 필터 카트리지(140)의 조립 시 필터 카트리지(140)의 단턱(141)이 그 경사면(115a)을 따라 미끄럼(슬라이딩)됨으로써, 필터 카트리지(140)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조립 후 필터 카트리지(14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작동시 진동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단턱(141) 및 스토퍼(115) 결합구조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구조로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150)는 케이스(110) 안에 설치되며, 공기 흡입부(111)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 카트리지(140)에 의해 정화된 청정 공기를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서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은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하는 청정 공기의 유속을 가속하기 위하여 공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결합 홈(121) 안에 결합 돌기(161a)를 삽입하고, 위치고정 홈(122) 안에 위치 결정 돌기(161c)를 결합하여서, 공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 위에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을 견고하게 결합(체결)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하, 도 4, 5, 및 8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은, 하면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61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161a)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공기 유입구(161b)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외주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개구부(162a)를 형성하는 하우징(16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센터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 보스(163); 상기 체결 보스(16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162)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청정 공기 가속 홀(164a)(264a)을 형성하는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264); 및 상기 체결 보스(16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165); 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61), 하우징(162), 및 체결 보스(16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체결 보스(163)에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264) 및 커버(165)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 보스(163)는, 센터에 결합 홈(163a)이 형성되고 외주에 절개 홈(163b)(163c)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163a)에 결합하도록 커버(165)의 하면에는 결합 돌기(16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165a)의 외주 면에는 절개 홈(163b)(163c)에 결합하는 위치고정 돌기(165b)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는 도 4, 5, 및 8을 참조하며, 상기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264)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4, 5,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는, 센터에 형성되며 결합 홀(164f)을 갖고 그 결합 홀(164f) 내주에 위치고정 돌기(164g)가 형성된 결합 보스(164b); 및 상기 결합 보스(164b)의 외측에 복수의 리브(164d)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164d) 사이에 공기 유입 홀(164e)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서 배출되는 청정 공기 일부를 청정 공기 가속 홀(165a) 안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164c); 를 구비한다. 블레이드(164c)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며, 청정 공기가 양쪽으로 분할되어 이동하며, 이때 청정 공기의 유속이 가속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는 유선구조의 가속 원리를 적용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유선구조의 가속 원리 적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의 유선구조는, 아래 부분(평면부)보다 위 부분(만곡부)에서 유속이 빠르게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청정 공기가 만곡형상의 블레이드(164c)를 따라 이동한 후, 청정 공기 가속 홀(165a) 안으로 안내됨으로써, 송풍 용량을 높이거나 소비전력을 높이지 않고도 동일 조건에서, 더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더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재 발향 모듈(170)은 공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보조재를 내장(수용)한다. 보조재는 신경 안정제, 모기 퇴치제, 방향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조재 발향 모듈(170)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보조재 발향 모듈(170)은, 상면에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71a)가 형성되며, 결합 돌기(171a)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공기 유입구(171b)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71); 베이스 플레이트(171)의 외주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172a)를 형성하는 하우징(172);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센터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 보스(173); 상기 하우징(172) 안에 형성되어 보조재를 수용하고, 상기 보조재에서 발산하는 향기(香氣)를 상기 하우징(172) 외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172) 안에 형성되는 향기 안내부(174); 및 체결 보스(17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우징(172)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향기 유출 홀(H)을 형성하는 커버(175); 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 돌기(171a)의 외주 면에는 위치 고정 돌기(171c)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171a)는 결합 홈(131) 안에 결합하고, 위치 고정 돌기(171c)는 위치 고정홈(132) 안에 결합한다.
상기 향기 안내부(174)에는 슬릿(174a)이 형성되고 그 슬릿(174a) 안으로 보조배의 향기가 안내된 후, 상기 커버(175)와 하우징(172)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유출 홀(틈새)(H)을 통해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 보스(173)는, 센터에 결합 홈(173a)이 형성되고 외주에 절개 홈(17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 홈(173b)에 결합하도록 커버(175)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175a)가 형성되고 결합 돌기(175a)의 외주 면에는 절개 홈(173b)(173c)에 결합하는 위치고정 돌기(175b)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110)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보조재 발향 모듈(170)이 위치하는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하되, 필요시에 상기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10) 또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재 발향 모듈(170)도 상부 커버 플레이트(110) 또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과 보조재 발향 모듈(170)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에서,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의 공기 배출유속 확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26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공기 가속 안내부재(264)는, 센터에 형성되며 결합 홀(264f)을 갖고 그 결합 홀(264f) 내주에 위치고정 돌기(264g)가 형성된 결합 보스(264b); 및 상기 결합 보스(264b)의 외측에 형성되며, 양쪽에 청정 공기 가속 홀(264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서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청정 공기 가속 홀(264a) 안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264c); 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에서는 벤츄리 구조를 적용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벤츄리 원리 적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 구조는 폭이 넓은 부분(①)이 압력(P)은 높고 유속(V)은 느리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부분(②)은 압력(P)은 낮으며 유속(V)은 빠른 현상이 발생하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폭이 좁은 형상의 공기 가속 안내부재(264)를 구비하여서, 청정 공기가 청정 공기 가속 홀(265a) 안으로 안내됨으로써, 송풍 용량을 높이거나 소비전력을 높이지 않고도 동일 조건에서, 더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음의 설명은 위와 같은 특징적 요소를 구비한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작동 버튼(114)을 눌려 전원을 인가하면, 송풍기(150)가 작동하여 공기 흡입부(111)를 통해서 외부 공기를 케이스(110) 안으로 흡입한다.
필터 카트리지(140)는 흡입한 공기 중 유해 세균 및 물질을 여과하며, 여과한 청정 공기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의 공기 유입 홀(123)을 통해서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쪽으로 유입된다.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 쪽으로 유입된 청정 공기 흐름을 살펴보면,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공기 유입구(161b)를 통해서 청정 공기가 유입되며, 이후 청정 공기는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264)의 블레이드(164c)(264c)를 통과하면서 유선구조(도 9 참조) 및 벤츄리 구조(도 12 참조)에 의해서 청정 공기 가속 홀(164a)(264a) 안으로 안내됨으로써 가속된다.
이와 같이 청정 공기 유속이 가속되어 배출됨으로써, 송풍 용량을 높이거나 소비전력을 높이지 않고도 동일 조건에서,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더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111)를 통해서 케이스(110) 안으로 흡입된 공기는 보조재 발향 모듈(170) 쪽으로 유입된다. 보조재 발향 모듈(170)쪽으로 유입된 공기 흐름을 살펴보면,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의 공기 유입 홀(133)을 통해서 유입된다.
상기 향기 안내부(174) 안에는 보조재가 수용되어 있는바, 향기 안내부(174)의 슬릿(74a)을 통해서 보조배의 향기가 안내되는데, 이때 유입 공기와 향기가 혼합되어 커버(175)와 하우징(172)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향기 유출 홀(H)을 통해서 향기가 배출된다.
보조재로는 신경 안정제, 모기 퇴치제, 방향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힐링(healing)이나 모기 퇴치나 방향제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 발생기에서 발생한 음이온도 동일한 방법으로 배출 유속이 가속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한 공간에도 더 많은 양의 음이온을 신속하게 송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기 배출부에 유선구조 또는 벤츄리 구조를 갖는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유선구조 또는 벤츄리 구조에서 유속이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송풍 용량을 높이거나 소비전력을 높이지 않고도 동일 조건에서, 많은 양의 청정 공기를 신속하고 더 멀리 송풍하여 소형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으로 공기 청정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청정 공기 및 음이온 확산 속도를 높여 적용 가능하며, 모드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이 작은 경우 혹은 실내공간이 큰 경우에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소형 사이즈로 구성하여 휴대가 쉽고 차 실내 혹은 작은 공간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재 발향 모듈 안에 내장된 신경 안정제, 모기 퇴치제, 방향제와 같은 여러 가지 보조재의 향기를 배출하여 힐링(healing)용이나 모기 퇴치용이나 방향제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내구성과 안전성이 확보됨은 물론, 다양한 산업 분야 및 환경 분야에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일 실시 예에 의해서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 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0: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110: 케이스
111: 공기 흡입부 114: 작동 버튼
115: 스토퍼 115a: 경사면
120: 상부 커버 플레이트 121: 결합 홈
122: 위치고정 홈 123: 공기 유입 홀
130: 하부 커버 플레이트 131: 결합 홈
132: 위치고정 홈 133: 공기 유입 홀
140: 필터 카트리지 141: 단턱
150: 송풍기 160: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
161a: 결합 돌기 161b: 공기 유입구
161: 베이스 플레이트 162a: 개구부
162: 하우징 163: 체결 보스
163a: 결합 홈 163b, 163c: 절개 홈
164a, 264a: 청정 공기 가속 홀 164, 264: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
164b: 결합 보스 164c: 블레이드
164d: 리브 164e: 공기 유입 홀
164f: 결합 홀 164g: 위치고정 돌기
165: 커버 165a: 결합 돌기
165b: 위치고정 돌기 170: 보조재 발향 모듈
171: 베이스 플레이트 171a: 결합 돌기
171b: 공기 유입구 171c: 위치 고정 돌기
172; 하우징 172a: 개구부
173: 체결 보스 173a: 결합 홈
173b, 173c: 절개 홈 174; 향기 안내부
174a: 슬릿 175: 커버
175a: 결합 돌기 175b: 위치고정 돌기
180: 착지대 264: 공기 가속 안내부재
264a: 청정 공기 가속 홀 264b: 결합 보스
264c: 블레이드 264f: 결합 홀
264g: 위치고정 돌기 H: 향기 유출 홀

Claims (10)

  1. 외주 면에 공기 흡입부(111)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배출부(112)가 형성된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
    공기 중 유해 세균 및 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10) 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140);
    상기 케이스(110) 안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111)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필터 카트리지(140)에 의해 정화된 청정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150); 및
    상기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하는 청정 공기의 유속을 가속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 을 포함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보조재를 내장(수용)하는 보조재 발향 모듈(170); 을 더 포함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재 발향 모듈(170)은,
    상면에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71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171a)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공기 유입구(171b)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7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1)의 외주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 개구부(172a)를 형성하는 하우징(17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센터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 보스(173);
    상기 하우징(172) 안에 형성되어 보조재를 수용하고, 상기 보조재에서 발산하는 향기(香氣)를 상기 하우징(172) 외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172) 안에 형성되는 향기 안내부(174); 및
    상기 체결 보스(17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172)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향기 유출 홀(H)을 형성하는 커버(175); 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보스(173)는,
    센터에 결합 홈(173a)이 형성되고 외주에 절개 홈(173b)(173c)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홈(173b)에 결합하도록 상기 커버(175)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17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175a)의 외주 면에는 상기 절개 홈(173b)(173c)에 결합하는 위치고정 돌기(17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은,
    하면에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12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61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161a)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공기 유입구(161b)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외주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 개구부(162a)를 형성하는 하우징(16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1)의 센터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 보스(163);
    상기 체결 보스(16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162)의 내주 면과의 사이에 청정 공기 가속 홀(164a)(264a)을 형성하는 청정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264); 및
    상기 체결 보스(16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165); 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보스(163)는 센터에 결합 홈(163a)이 형성되고 외주에 절개 홈(163b)(163c)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 홈(163b)에 결합하도록 상기 커버(165)의 하면에는 결합 돌기(16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165a)의 외주 면에는 상기 절개 홈(163b)(163c)에 결합하는 위치고정 돌기(16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속 안내부재(164)는,
    센터에 형성되며 결합 홀(164f)을 갖고 그 결합 홀(164f) 내주에 위치고정 돌기(164g)가 형성된 결합 보스(164b); 및
    상기 결합 보스(164b)의 외측에 복수의 리브(164d)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164d) 사이에 공기 유입 홀(164e)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서 배출되는 청정 공기 일부를 상기 청정 공기 가속 홀(164a) 안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164c); 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속 안내부재(264)는,
    센터에 형성되며 결합 홀(264f)을 갖고 그 결합 홀(264f) 내주에 위치고정 돌기(264g)가 형성된 결합 보스(264b); 및
    상기 결합 보스(264b)의 외측에 복수의 리브(264d)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264d) 사이에 공기 유입 홀(264e)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112)를 통해서 배출되는 청정 공기 일부를 상기 청정 공기 가속 홀(264a) 안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264c); 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착지대(18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가속 모듈(160)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110) 또는 상기 하부 커버 플레이트(13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KR1020210040343A 2021-03-29 2021-03-29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KR10252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343A KR102528923B1 (ko) 2021-03-29 2021-03-29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343A KR102528923B1 (ko) 2021-03-29 2021-03-29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976A true KR20220134976A (ko) 2022-10-06
KR102528923B1 KR102528923B1 (ko) 2023-05-04

Family

ID=8359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343A KR102528923B1 (ko) 2021-03-29 2021-03-29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187B1 (ko) 2013-03-26 2014-04-17 (주)화인스케이프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160077359A (ko) * 2014-12-22 2016-07-04 코웨이 주식회사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KR200484435Y1 (ko) 2017-05-08 2017-09-06 이길순 음이온 방출량이 많고 방출되는 음이온의 확산이 빠르며 물세척이 용이한 착탈식 소형공기청정기
KR20200002453U (ko) * 2019-04-30 2020-11-09 강병재 휴대용 카트리지타입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187B1 (ko) 2013-03-26 2014-04-17 (주)화인스케이프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160077359A (ko) * 2014-12-22 2016-07-04 코웨이 주식회사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KR200484435Y1 (ko) 2017-05-08 2017-09-06 이길순 음이온 방출량이 많고 방출되는 음이온의 확산이 빠르며 물세척이 용이한 착탈식 소형공기청정기
KR20200002453U (ko) * 2019-04-30 2020-11-09 강병재 휴대용 카트리지타입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923B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JP5404730B2 (ja) フィルタ及び空気清浄機
KR100899473B1 (ko) 공기 조절 장치
US20070137489A1 (en) Air purifi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EP1417921B1 (en) Vacuum cleaner
WO2013051460A2 (ja) 空気清浄機
JP3092112B1 (ja) 吹出口/吸込口非分離型の空気清浄機
KR20220134976A (ko) 공기 배출유속 확대형 소형 공기청정기
JP2016211846A (ja) 空気調和機
JP2015021701A (ja) 空気清浄機
JP2007007151A (ja) 空気清浄機
CN217559916U (zh) 抽油烟机
EP4012279A1 (en) Air cleaner
CN215295288U (zh) 桌面式空气消毒净化器
JP7109109B2 (ja) 空気清浄装置
KR102428746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JP2006058148A (ja) 液面検知装置
CN220757290U (zh) 抽吸装置和清洁设备
JP6137799B2 (ja) 送風装置
CN205174741U (zh) 空气净化器
JP4461524B2 (ja) 空気清浄機
JP2005076908A (ja) 空気調節装置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ならびにダクト体
JP2007029792A (ja) 空気調節装置
JP2006055757A (ja) 空気清浄装置及び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ユニット
CN214619989U (zh) 桌面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