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781A - 천연 중합체에 기반한 패치 제품 - Google Patents

천연 중합체에 기반한 패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781A
KR20220134781A KR1020227031191A KR20227031191A KR20220134781A KR 20220134781 A KR20220134781 A KR 20220134781A KR 1020227031191 A KR1020227031191 A KR 1020227031191A KR 20227031191 A KR20227031191 A KR 20227031191A KR 20220134781 A KR20220134781 A KR 2022013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active ingredient
patch product
inhibitors
electrosp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페엘라 그레고리스
스테파노 만프레디니
실비아 베르투아니
Original Assignee
바켈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102020000002836A external-priority patent/IT202000002836A1/it
Application filed by 바켈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켈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2013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78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8Animal fibres, e.g. hair, wool, s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6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filaments or yarns e.g. wrapped, coiled, crimped or co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6/00Patches, e.g. medical patches, repair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패치 제품은 피부에 흡수되기에 적합하고 천연 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막 기재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패치 제품은 그 위에 상기 패치 제품이 놓이는 지지 베이스 및 상기 패치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코팅 층을 포함하는 포장재 내에 포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중합체에 기반한 패치 제품
본 발명은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부에 흡수될 수 있고, 섬유, 특히, 나노 섬유, 바람직하게는 전기방사에 의해 수득되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생체적합성 중합체 화합물을 기반으로 하고, 포장될 수 있는 패치 제품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화장품이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피부와 양립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피부에 흡수되는 다양한 형태, 예컨대, 예를 들어, 에멀젼, 크림, 로션, 세럼, 젤, 분말, 오일, 선밀크 등, 또는 기타 제형으로 제형화된다.
하지만, 상기 제품들은 때때로 피부에 도포하기 어려울 수 있고, 때로는 진피에 완전히 흡수되기 위해 오랜 도포 시간 또는 오랜 마사지가 필요하며, 때로는 손가락이나 손, 또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도포기 상에 화장료 잔여물이 남을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대한 이의 도포를 촉진하는, 일반적으로 섬유질인 물리적 지지체, 예컨대 특수 세정 조성물이 스며든 메이크업 리무버 닦개에 의해 도포되는 제품, 특히 화장품이 있다.
상기 유형의 제품의 한 가지 단점은 사용 후 포장재뿐만 아니라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제외한 이의 자체적인 기능이 없는 섬유상 물리적 지지체를 폐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공지된 섬유상 물리적 지지체는 활성 성분의 적합한 전달 및 방출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특정 표면을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어, 예컨대, 크림 또는 일반적인 페이스트와 같이 펴바르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용 기능성 화합물 및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화합물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피부를 위한 기능성 화합물은 피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흡수되어 신체의 처리 부분에 이점을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형의 화합물은 소위 활성 성분을 나타낸다.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화합물은 에멀젼, 세럼 또는 유체, 올라이트(oleolyte), 물 또는 겔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도포할 조성물을 수득하는 데 기여한다.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화합물의 효과는 보관 방법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이의 사용 전 및/또는 사용 시, 따라서 처리되는 피부에 펴바를 때 조성물의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화합물은 조성물을 부드럽거나, 유체 또는 점성으로 만들 수 있고; 이는 겔을 수득하고, 유성 화합물이 에멀젼의 수성 화합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화합물은, 특히 물의 존재 하에 조성물을 보존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사용되는 많은 화합물들이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 작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어떠한 이점도 가져오지 않고 실제로 처리된 피부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사실,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화합물들 중 일부는 피부에 관련 없이 남아 있거나, 예를 들어, 추가적인 건조, 모공 막힘, 또는 알레르기, 피부염 등의 발병을 유발할 수 있다.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화합물들 중에서, 본 발명가들은 이의 주요 기능이 조성물의 제형에 피부와 접촉하는 "실크 효과"의 농도를 부여하고, 그리고/또는 유성 부분에 안정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겔 제형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에멀젼의 유연제 및 습윤제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인, 예를 들어, 실리콘, 바셀린(예를 들어, 파라핀), 알코올, 향수, 안정제, 방부제, 유화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형의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상기 화합물들에서 발생하는 한 가지 문제는 피부 적합성의 부족으로, 피부가 호흡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예를 들어, 피부의 점진적인 건조, 모공 막힘 및/또는 민감성 증가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알코올 및 방부제의 존재는 한편으로는 조성물을 보존할 수 있게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피부염, 알레르기 또는 유사한 병리 발생 시 피부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최신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할 수 있는 제품을 완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간단하고 빠르게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폐기되는 물리적인 지지체가 없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예컨대, 활성 성분이 있는 경우 이의 전달 및 방출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정 표면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최신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이점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을 고안, 시험 및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독립항에 기재되고 특징지어진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또는 주요 발명 아이디어에 대한 변형을 기재한다.
상기 목적에 따라,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에 존재하는 결점을 제거한 패치 제품이 생산되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특히, 피부에 우선적으로 도포되고, 피부에 흡수되기에 적합한 막 기재로 만들어진 화장료 패치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막 기재는 전기방사된다. 상기 전기방사 기재는, 특히 부직포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섬유, 바람직하게는 나노섬유로 만들어진다.
유리하게는, 상기 막 기재는 화장료 활성 성분, 약학적 활성 성분 및 영양 활성 성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상기 "활성 성분"이라는 표현은 본원 및 상기 설명에서 피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흡수되고, 그리고 처리되는 신체 부위에 이점을 가져오는, 신체 또는 이의 일부에 작용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재는 전기방사하기에 적합하고, 다당류,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체적합성 중합체 물질을 기반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다당류는 잔탄검, 펙틴, 키틴, 키토산, 덱스트란, 카라기난, 구아검, 한천, 셀룰로오스 유도체, 전분, 젤라틴, -글루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점질다당류, 수용성 다당류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PMC,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HPC,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HE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Na-CMC으로부터 선택된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AG 또는 점질다당류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헤파린, 헤파란 황산염 및 히알루론산 HA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수용성 다당류는 갈락토만난, 자일란, 아라비아검, 가티검, 글루코만난, 아세만난, 가용성 식이 섬유, 글리코겐, 아밀로오스, 및 식물, 박테리아 및 진균으로부터 유래된 다당류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활성 성분은 막 기재 내로 통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상기 막 기재의 3차원 구조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막 기재는 선형 및/또는 가교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막 기재는 선형 히알루론산으로 만들어지고, 또한 가교 히알루론산으로도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은 10,000 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상기 분자량은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완전한 흡수성에 유리하다.
본원에 기재된 구현예들에 따른 패치 제품의 한가지 장점은 존재하는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화장료, 약학적 또는 영양 활성 성분과 함께 피부에 완전히 흡수된다는 것이다. 상기 흡수는 완전할 뿐만 아니라, 빠르며,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품의 전체 흡수는 피부에 적용한 후 단 몇 분 만에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장점은 상기 패치 제품이 제시되는 형태가 구조에 대해서만 작용하는 화합물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제형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활성 성분은 막 기재에 의해 운반 및 전달되고, 후자는 완전히 생체 적합하고, 피부 자체에 위험이나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피부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화장료, 약학적 또는 영양 제품의 다른 장점은, 관심 화합물의 국소 농도가 기존 제형으로 수득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다당류,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엘라스틴 및 이들의 저분자량 유도체를 이용하더라도 제품의 점도가 너무 많이 증가하고 5~10 중량%를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고농도에 도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관심 화합물을 50 중량%까지의 농도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화장품을 수득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지지 베이스 상에 배치된 상기 지시된 것과 같은 패치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은 이의 내부에 상기 패치 제품이 존재하는 지지 베이스를 차례로 포함하는 포장재(wrapping)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포장재는 또한 상기 지지 베이스 상에 존재하는 패치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코팅 층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 층 및 상기 지지 베이스는 상기 패치 제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간에 결합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은 상호간에 열융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은 열융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PBSA(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 또는 PLA(폴리락트산)로 만들어진다.
이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비제한적인 예로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예들을 상세히 언급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또한 비제한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 및 이후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방법 및 재료는 이후에 실시예로서 기재되어 있다. 상충하는 경우, 이의 정의를 포함하여 본 출원이 우선한다. 재료, 방법 및 실시예는 순전히 예시적인 목적을 가지며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모든 측정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25°C(실온) 및 대기압에서 실시한다. 모든 온도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섭씨로 표시된다.
본원에 지시된 모든 백분율 및 비율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총 조성물의 중량(w/w)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보고된 모든 백분율 간격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전체 조성물에 대한 합계가 100%라는 단서와 함께 제공된다.
본원에 보고된 모든 간격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2개의 값 "사이"의 간격을 보고하는 간격을 포함하여 극단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은 또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기재된 2개 이상의 간격을 중첩하거나 통합하는 것으로부터 파생되는 간격을 포함한다.
본원은 또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서로 상이한 지점에서 취한 2개 이상의 값의 조합으로부터 파생되는 간격을 포함한다.
물이 언급되는 경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증류수를 의미한다.
본원에 기재된 구현예들은 부직포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방사 섬유, 바람직하게는 나노섬유로 만들어진 전기방사 막 기재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도포하는 패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태는 전기방사 동안 지지 베이스 상에 상기 섬유를 점진적으로 증착하여 수득한다. 상기 섬유는 점차적으로 겹치는 여러 층 상에 점진적으로 증착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지지체 상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는 더 많은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기방사는 전기장 하에서 전기방사 헤드를 통해 특정 조성물을 공급함으로써 발생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기방사 헤드로부터 나오는 섬유는 상기 지지체 상에 증착된다. 상기 부직포 형태는 상기 전기방사 헤드 및 상기 지지체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는 균질한 조성 및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연속적이다. 상기 섬유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결함이 없는 것, 즉 전기방사 동안 형성될 수 있는 기재의 축적 또는 방울이 없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전기방사 섬유는 대략 나노미터 및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직경을 갖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100 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0 μm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μm 미만, 최대 10 μm 정도이다. 상기 기재의 섬유는 수십 나노미터, 예를 들어, 50 nm에서 시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직경은 전체 섬유를 따라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직경이란 상기 직경이 측정된 평균값의 30%를 초과하지 않는 변화를 겪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직경의 섬유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00 μm 초과인 공지된 섬유보다 더 큰 표면/부피 비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산업 표준보다 더 큰 효율성 및 성능을 제공하는 더 큰 기계적 및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수득한 섬유의 큰 비표면은 활성 성분을 전달 및 방출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한다. 수득한 나노섬유는 1 내지 30 m2/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m2/g의 비표면을 갖게 한다.
상기 막 기재는 잔탄검, 펙틴, 키틴, 키토산, 덱스트란, 카라기난, 구아검, 한천,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PMC,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HPC,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HE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Na-CMC, 알부민, 전분, 젤라틴, 콜라겐, 엘라스틴, β-글루칸, 콘드로이틴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헤파린, 헤파란 황산염, 히알루론산 HA, 갈락토만난, 자일란, 아라비아검, 가티검, 글루코만난, 아세만난, 가용성 식이 섬유, 글리코겐, 아밀로오스, 및 식물, 박테리아 및 진균으로부터 유래된 다당류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전기방사되기에 적합한 생체적합성 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부류는 이들의 특성으로 인해 액체의 점성을 변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계적 및 흡수 특성이 양호한 일반 전기방사 섬유를 형성하는 데 적합하게 된다. 또한, 모두 생체적합성이고, 천연 유래이며, 식품, 제약 및/또는 화장료 부문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잔탄검, 덱스트란, 카라기난, Na-CMC, 전분, 젤라틴 및 가티검은 식품 부문에서 증점제, 안정제 및 가능하게는 겔화제로도 사용된다. 또한, 잔탄검은 제약 및 화장료 부문에서 현탁액 및 유제의 안정제로 사용되고, 구아검은 제약 및 화장료 부문에서 증점제 및 겔화제로도 사용되며, 카라기난은 제약 부문에서 불활성 부형제로 사용된다. 덱스트란은 또한 제약 부문에서 증점제로 사용된다.
키토산은 식품 부문, 저칼로리 식이요법 및 제약 부문에서 부형제로서, 특히 흡입 제품에 사용된다. 반면에, 펙틴은 식품 부문에서 겔화제로 사용되고 제약 부문에서는 식이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로 사용된다.
한천, 갈락토만난 및 글루코만난은 영양 부문에서 겔화제로 사용된다.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HPMC는 식품 부문에서 안정제 및 점도 조절제로 사용되고, 제약 부문에서 점안제 또는 경구 의약품의 부형제로 사용된다. HPC는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고, 제약 부문에서 정제용 점안제 또는 결합제로 사용된다. HEC는 제약 및 화장료 분야에서 증점제 및 겔화제로 사용된다.
β-글루칸은 자일란과 마찬가지로 식이성 섬유로 사용된다.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식품 보조제로 사용되고, 골관절염 증상의 치료에도 사용된다. 데르마탄 황산염, 헤파린 및 헤파란 황산염은 제약 부문에서 항응고제로서 공지되어 있다.
아라비아검은 식품 부문에서 안정화 부형제 및 점도 조절제로 사용된다. 반면에, 아세만난은 이의 면역 자극 특성으로 인해 제약 부문에서 공지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들 중 일부는, 예컨대, 예를 들어, 전분,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헤파린, 콜라겐, 펙틴, β-글루칸, 콘드로이틴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헤파란 황산염 및 이들의 유도체는, 특히, 화장료, 제약 또는 식품 부문에서 이들의 고유한 기능을 가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들을 전기방사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해당 섬유를 적용하면 이들 화합물을 공지된 용액보다 더 높은 용량으로 적용하여 더 큰 효과를 유리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기방사 섬유는 또한 섬유의 생산 동안 전기방사 촉진제로서 사용되는 풀루란 및/또는 알긴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존재하는 경우, 풀루란 및/또는 알긴산염은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0, 더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7,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6의 중량인 (전기방사 화합물):촉진제의 비율로 존재한다. 풀루란은 전기방사 섬유의 구조 측면에서 최상의 결과를 수득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선호되는 방사 촉진제이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막 기재는 히알루론산으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선형 및/또는 가교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기재는 선형 히알루론산으로 만들어지고, 또한 가교 히알루론산으로도 만들어지며, 선형 HA:가교 HA의 비율은 1:99 내지 99:1 사이이다. 상기 혼합물은 수득한 실의 강성뿐만 아니라 부직포 필름의 3차원 구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예를 들어, 대략 100만 달톤 또는 그 이상 정도의 높은 질량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일반적으로 대략 10,000 달톤 이하 정도의 낮은 질량을 가질 수 있다. 후자가 더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기방사 형태의 분자 질량이 10000 Da 이하인 히알루론산은 일단 피부와 접촉하여 놓이게 되면 완전히 흡수되고 각질층을 관통하여 가장 안쪽 층에 도달할 수 있고, 여기서 이의 흡습성, 점탄성 및 구조적 기능과 같은 특성들 덕분에 조직의 수화, 삼투압 균형 및 ECM의 물리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막 기재의 피부로의 흡수 및 침투 작용은 또한 막 지지체와 결합된 활성 성분을 피부를 향해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상기 패치 제품은 또한 상기 막 기재와 결합된, 화장료 활성 성분, 약학적 활성 성분 및 영양 활성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 성분은 작용 분야에 관계없이 다양한 유형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화장료 활성 성분은 하기의 유형들 중에 속할 수 있다: 지루성 방지제(예: 세바신산, 아젤라산), 항피지제(예: 숯 가루), 항균제(예: 클림바졸, 피록톤 올라민), 항산화제(예: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 레스베라트롤, 글루타티온), 발한 억제제(예: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세스퀴클로하이드레이트), 수렴제(예: 라임 꽃 추출물, 젖산칼슘), 미백제(예: 글라브리딘, 과황산암모늄), 메이크업 제거제(예: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탈취제(예: 시트르산트리에틸, 리시놀산아연), 각질제거제(예: 글리콜산, 말산, 만델산), 향료(예: 시트랄, 꿀), 방향제(예: d,l-리모넨, 쿠마린), 습윤제(예: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각질용해제(예: 클로로아세트산, 살리실산), 보습제(예: 알로에 수목 잎 추출물), 방향제(예: 게라니올, 리날롤), 연화제(예: 트리올레인, 스쿠알렌), 청량제(예: 멘톨, 멘틸 락테이트), 피부 보습제(예: 판테놀, 알란토인), 피부 보호제(예: 스핑고지질, 산화아연), 평활제(예: 피마자 오일), 진정제(하마멜리스 버지니아나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비사보롤) 또는 강장제(예: 아르니카 몬타나, 고추 추출물), UV 필터(예: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카페인, 테인,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상기 약학적 활성 성분은 하기의 유형들 중에 속할 수 있다: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예: 피나스테리드), 5-아미노살리실산염(예: 메살라민), 5HT3 수용체 길항제(예: 온단세트론), 칼슘 채널 차단제가 포함된 ACE 억제제(예: 암로디핀/베나제프릴), 티아지드가 포함된 ACE 억제제(예: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아다만탄 항바이러스제(예: 아만타딘), 부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억제제(예: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아드레날린성 기관지 확장제(예: 알부테롤), 고혈압제(예: 고혈압제), 폐고혈압제(예: 트레프로스티닐), 알도스테론 수용체 길항제(예: 스피로노락톤), 알킬화제(예: 시클로포스파미드), 알레르겐(예: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추출물),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예: 미글리톨), 항아메바제(예: 메트로니다졸), 아미노글리코사이드(예: 토브라마이신), 아미노페니실린(예: 아목시실린), 아미노살리실레이트(예: 아미노살리실산), AMPA 수용체 길항제(예: 페람파넬), 아밀린 유사체(예: 프람린티다), 진통제(예: 아세트아미노펜), 남성 호르몬 동화 작용 스테로이드(예: 테스토스테론), 안지오텐신을 전환시키는 효소 억제제(예: 라미프릴), 칼슘 채널 차단제가 포함된 안지오텐신 II 억제제(예: 암로디핀/올메사르탄), 티아지드가 포함된 안지오텐신 II 억제제(예: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올메사르탄),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예: 발사르탄), 안지오텐신 및 네프릴리신 수용체 차단제의 억제제(예: 사쿠비트릴/발사르탄), 항문직장 제제(예: 히드로코르티손/프라목신), 식욕부진제(예: 펜터민), 제산제(예: 수산화마그네슘), 구충제(예: 피란텔), 항혈관신생 안과제(예: 애플리버셉트), 항 CTLA-4 단일클론 항체(예: 이필리무맙), 항 PD-1 단일클론 항체(예: 니볼루맙), 티아지드가 포함된 항아드레날린제(중앙)(예: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메틸도파), 티아지드가 포함된 항아드레날린제(말초)(예: 폴리티아지드/프라조신), 중추 작용 항아드레날린제(예: 구안파신), 말초 작용 항아드레날린제(예: 탐수로신), 항안드로겐(예: 엔잘루타미드), 항협심증제(예: 니트로글리세린, 예: 디필린/구아이페네신), 항생제(예: 메트로니다졸), 항생제/항종양제(예: 독소루비신), 항콜린성 항구토제(예: 디펜히드라민), 항콜린성 항파킨슨제(예: 프로시클리딘), 항콜린성 기관지 확장제(예: 티오트로피움), 항콜린제/진경제(예: 히오시아민), 항응고제(예: 피토나디온), 항경련제(예: 라코사미드), 항우울제(예: 부프로피온), 지사제(예: 로페라미드), 항이뇨 호르몬(예: 데스모프레신), 해독제(예: 날트렉손 드로나비놀), 항진균제(예: 그리세오풀빈), 항고나도트로핀성 제제(예: 다나졸), 통풍제(예: 콜히친), 항히스타민제(예: 세티리진), 항고지혈증제 및 조합(예: 에제티미브/심바스타틴), 항고요산혈증제(예: 페북소스타트), 항말라리아제(예: 독시시클린), 항말라리아제 조합, 항말라리아제 퀴놀린(예: 히드록시클로로퀸), 항조증제(예: 리튬), 항대사물질(예: 카페시타빈), 항편두통제(예: 리자트립탄), 항종양제(예: 이소트레티노인), 항종양제 조합(예: 레트로졸/리보시클립), 항종양 해독제(예: 아미포스틴), 항종양 인터페론(예: 인터페론 알파-2b), 항슈도모날 페니실린(예: 카르베니실린), 항건선제(예: 아시트레틴), 항정신병제(예: 할로페리돌), 항류마티스제(예: 아달리무맙), 방부제 및 살균제, 항갑상선제(예: 요오드화칼륨), 항독소 및 항바이러스제(예: 살무사과 다가항사독소), 진해제(예: 덱스트로메토르판), 항바이러스 부스터(예: 리토나비르), 항바이러스 인터페론(예: 페그인터페론 알파-2a), 아로마타제 억제제(예: 아스트로졸), 비정형 항정신병제(예: 아리피프라졸), 아졸계 항진균제(예: 플루코나졸), 세균 백신(예: 13가 폐렴구균 백신), 바르비투레이트 항경련제(예: 프리미돈), 바르비투레이트(예: 페노바르비탈), BCR-ABL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예: 이마틴), 벤조디아제핀 항경련제(예: 디아제팜), 벤조디아제핀(예: 클로나제팜), 티아지드가 포함된 베타 차단제(예: 비소프롤롤/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예: 클라불란산), 담즙산 격리제(예: 콜레세벨람), 비스포스포네이트(예: 졸레드론산), BTK 억제제(예: 이브루티닙), 칼슘 유사 작용제(예: 시나칼셋), 칼시뉴린 억제제(예: 타크로리무스), 칼시토닌 제제, 칼슘 채널 차단제(예: 베라파밀), 항경련제 카바메이트(예: 펠바메이트), 카바페네마(예: 도리페넴), 카바페네마/베타-락타마제 억제제(예: 메로페넴/바보르박탐), 항경련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예: 토피라메이트), 탄산탈수효소 억제제(예: 아세타졸아미드), 심장 스트레스제(예: 레가데노손), 심장선택적 베타차단제(예: 네비볼롤), 카테콜아민(예: 에피네프린), CD20 단일클론 항체(예: 오크렐리주맙), CD30 단일클론 항체(예: 브렌툭시맙), CD33 단일클론 항체(예: 젬투주맙), CD38 단일클론 항체(예: CD52 단일클론), (예: 알렘투주맙), CDK 4/6 억제제(예: 팔보시클립), 세팔로스포린/베타-락타마제 억제제(예: 아비박탐/세프타지딤), 귀지 용해제(예: 카르바미드 퍼옥사이드), CFTR 조합(예: 이바카프터/루마카프터), CFTR 증강제(예: 이바카프터), CGRP 억제제(예: 에레누맙), 킬레이트제(예: 데페라시록스), 케모카인 수용체 길항제(예: 마라비록), 염화물 채널 활성화제(예: 루비프로스톤),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예: 에제티미브), 콜린 작용제(예: 세비멜린), 콜린성 근육 자극제(예: 피리도스티그민),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예: 도네페질), 중추 신경계 자극제(예: 펜터민), 집락 자극 인자(예: 필그라스팀), 피임약(예: 레보노르게스트렐), 코르티코트로핀, 쿠마린 및 인단디온(예: 와파린), cox-2 억제제(예: 세레콕시브), 충혈 완화제(예: 슈도에페드린), 디아릴퀴놀린(예), 디벤자제핀 항경련제(예: 카르바마제핀), 소화 효소(예: 락타제), 디펩티딜 펩티다제 4 억제제(예: 시타글립틴), 도파민성 항파킨슨제제(예: 로피니롤), 알코올 의존에 사용되는 약물(예: 아캄프로세이트), 에키노칸딘(예: 카스포펀진) 억제제(예: 엘로티닙), 에스트로겐 수용체 길항제(예: 풀베스트란트), 에스트로겐(예: 에스트라디올), 거담제(예: 구아이페네신), 인자 Xa 억제제(예: 리바록사반), 지방산 유도체 항경련제(예: 디발프로엑스 나트륨), 섬유산 유도체(예: 페노피브레이트), 1세대 세팔로스포린(예: 세팔렉신), 4세대 세팔로스포린(예: 세페핌), 담석 가용화제(예: 우르소디올),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유사체(예: 가바펜틴),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재흡수 억제제(예: 티아가빈), 전신 마취제(예: 프로포폴), 위장관 자극제(예: 메토클로프라미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예: 부데소니드), 포도당 상승제(예: 글루카곤), 글리코펩티드 항생제(예: 반코마이신), 당단백질 혈소판 억제제(예: 티로피반), 글리실시클린(예: 티게시클린),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예: 류프롤라이드),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길항제(예: 엘라골릭스), 성선 자극 호르몬(예: 융모막 성선 자극 호르몬), 그룹 I 항부정맥제(예: 페니토인), 그룹 II 프로틴올, 그룹 III 항부정맥제(예: 드로네다론), 그룹 IV 항부정맥제(예: 베라파밀), 그룹 V 항부정맥제(예: 디곡신), 성장 호르몬 수용체 차단제(예: 페그비소만트), 성장 호르몬(예: 소마트로핀), 구아닐레이트 시클라제-C 작용제(예: 리나클로타이드), H. 파일로리 박멸제(예: 비스무트 서브시트레이트 칼륨/메트로니다졸/테트라시클린), H2 길항제(예: 라니티딘), 고슴도치 경로 억제제(예: 비스모데깁), 헤파린 길항제(예: 프로타민), HER2 억제제(예: 네라티닙), 허브 제품(예: 5-히드록시트립토판, 알로에 베라),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예: 로미뎁신), 호르몬/항종양(예: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히단토인 항경련제(예: 페니토인), 히드라지드 유도체(예: 이소니아지드), 면역글로불린, 발기부전제(예: 실데나필), 인크레틴 모방체(예: 리라글루티드), 수축 촉진제(예: 디곡신), 인슐린 및 유도체(예: 인슐린 글라진),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예: 메카세르민), 인터페론(예: 인터페론 베타-1a), 인터루킨 억제제(예: 두필루맙), 인터류킨(예: 알데스류킨), 철 제품(예: 황산제1철), 케톨라이드(예: 텔리트로마이신), 완하제(예: 비사코딜), 나병증(예: 클로파지민), 류코트리엔 조절제(예: 몬테루카스트), 린코마이신 유도체(예: 클린다마이신), 루프 이뇨제(예: 푸로세미드), 리소좀 효소(예: 이미글루세라제), 마크롤라이드(예: 아지트로마이신), 비만 세포 안정제(예: 크로몰린), 메글리티나이드(예: 레파글리니드), 멜라노코르틴 수용체 작용제(예: 브레멜라노타이드), 메틸크산틴(예: 테오코르틱) 미네랄 코르티코이드(예: 플루드로코르티손), 미네랄 및 전해질(예: 구연산/시트르산칼륨), 다양한 항바이러스제(예: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다양한 불안 완화제, 진정제 및 수면제(예: 졸피뎀), 다양한 골흡수 억제제(예: 데노수맙), 다양한 심혈관 작용제(예: 미도드린), 다양한 중추신경계 작용제(예: 달팜프리딘), 다양한 응고 조절제(예: 트라넥삼산), 다양한 이뇨제(예: 파마브롬), 비뇨생식기의 다양한 제제(예: 페나조피리딘), 다양한 위장관 약제(예: 미소프로스톨), 다양한 대사제(예: 부로수맙), 다양한 호흡기 제제(예: 알파 1-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다양한 국소 제제(예: 히알루론산 나트륨), 다양한 질 제제(예: 에스트라디올), 유사분열 억제제(예: 빈크리스틴),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예: 페넬진), 구강 및 인후 제품(예: 불소), mTOR 억제제(예: 에베롤리무스), 점액 용해제(예: 아세틸시스테인), 멀티키나제 억제제(예: 소라페닙), 마약성 진통제의 조합(예: 부프레노르핀/날록손), 마약성 진통제(예: 펜타닐), 천연 페니실린(예: 페니실린 대 칼륨), 뉴라미니다제 억제제(예: 오셀타미비르), 신경 칼륨 채널 개방제(예: 에조가빈), 차세대 세팔로스포린(예: 세프타롤린), NHE3 억제제(예: 세프타롤린), 니코틴산 유도체(예: 에티온아미드), NK1 수용체 길항제(예: 아프레피탄트), NNRTI(예: 에파비렌즈), 비심장 선택적 베타 차단제(예: 카베딜롤), 비설포닐우레아(예: 메트포르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예: 디클로페낙), NS5A 억제제(예: 다클라타스비르), 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RTI)(예: 테노포비르), 기능식품(예: 오메가-3 다중불포화 지방산), 경구 식품 보조제(예: 아르기닌), 기타 면역자극제(예: 글라티라머), 기타 면역억제제(예: 오말리주맙), 옥사졸리딘디온 항경련제(예: 트리메타디온), 옥사졸리디논 항생제(예: 리네졸리드), 부갑상선 호르몬 및 유사체(예: 테리파라티드), PARP 억제제(예: 니라파립), PCSK9 억제제(예: 에볼로쿠맙), 페니실린 내성 페니실리나제(예: 옥사실린), 말초 오피오이드 수용체 길항제(예: 날록세골), 혼합 말초 오피오이드 수용체 작용제(에고니스트/엘룩사돌린 길항제), 말초 혈관 확장제(예: 이속수프린), 말초적으로 작용하는 항비만제(예: 오르리스타트), 페노티아진 항구토제(예: 프로메타진), 페노티아진 항정신병제(예: 프로클로르페라진), 페닐피페라진 항우울제(예: 트라조돈), 인산칼륨 억제제(예: 트라조돈)(예: 이델라리십), 혈소판 응집 억제제(예: 아스피린), 혈소판 자극제(예: 엘트롬보백), 폴리엔(예: 니스타틴), 칼륨 보존성 이뇨제(예: 스피로노락톤), 프로바이오틱(예: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제(예: 울리프리스탈), 프로게스틴 레보노르게스트렐, 프로락틴 억제제(예: 카베르골린), 프로테아제 억제제(예: 텔라프레비르), 프로테아제 활성화 수용체-1 길항제(예: 보라팍사), 프로테아좀 억제제(예: 보르테조밉), 양성자 펌프 억제제(예: 오메프라졸), 소랄렌(예: 메톡살렌), 퓨린 뉴클레오시드(예: 발라시클로비르), 피롤리딘 항경련제(예: 레베티라세탐), 인간 퀴놀론(예: 시프로플록사신),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예: 에포에틴 알파), 레닌 억제제(예: 알리스키렌), 리파마이신 유도체(예: 리팜피신), 살리실산(예: 아스피린), 2세대 세팔로스포린(예: 선택적 세푸록심 수용체), 조절제(예: 오스페미펜), 선택적 면역억제제(예: 나탈리주맙), 선택적 포스포디에스테라제-4 억제제(예: 로플루밀라스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예: 에스시탈로프람),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예: 둘록세틴), 세로토닌성 신경장용제(예: 테가세로드), SGLT-2 억제제(예: 엠파글리플로진), 골격근 이완제(예: 오나보툴리눔톡신A), 금연제(예: 니코틴 유사체 소마토스타트)(예: 옥트레오타이드), 스타틴(예: 로바스타틴), 스트렙토그라민(예: 달포프리스틴/퀴누프리스틴), 스트렙토마이세테 유도체(예: 카프레마이신), 항경련제 숙신이미드(예: 에토숙시미드), 설폰아미드(예: 설파메톡사졸), 설포닐우레아 자극제(예: 글리메피스톨, 클로미펜), 사환계 항우울제(예: 미르타자핀), 테트라사이클린(예: 미노사이클린), 티아지드 이뇨제(예: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티아졸리딘디온(예: 피오글리타존), 티오크산텐(예: 티오틱센), 3세대 세팔로스포린(예: 세프트리악손), 트롬빈 억제제(예: 다비가타존), 연쇄상 구균(예: 레보티록신), TNF 알파 억제제(예: 아달리무맙), 토콜리틱 제제(예: 테르부탈린), 국소 여드름 치료제(예: 트레티노인), 국소 마취제(예: 리도카인), 국소 항감염제(예: 말라티온), 국소 항주사제(예: 이버멕틴), 국소 항생제(예: 은 설파디아진), 국소 항진균제(예: 에코나졸), 국소 항히스타민제(예: 디펜히드라민), 국소 항종양제(예: 이미퀴모드), 국소 항건선(예: 타자로텐), 국소 항바이러스제(예: 펜시클로비르), 국소 수렴제(예: 헤이즐넛), 국소 괴사조직 제거제(예: 콜라게나제), 국소 탈색제(예: 히드로퀴논), 국소 연화제(예: 연화제), 국소 각질용해제(예: 살리실산), 국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예: 디클로페낙), 국소 광화학(예: 아미노레불린산), 국소 발적(예: 멘톨), 국소 스테로이드(예: 베타메타손), 항감염제가 포함된 국소 스테로이드(예: 아시클로비르/하이드로코르티손), 트랜스티레틴 안정제(예: 타파미디스), 항경련제 트리아진(예: 라모트리진), 삼환계 항우울제(예: 아미트립틸린), 요소 회로 교란제(예: 페닐부티르산나트륨), 비뇨기 항감염제(예: 니트로푸란토인), 비뇨기 진경제(예: 아미트립틸린) 조절제(예: 구연산칼륨), 자궁 수축제(예: 디노프로스톤), 질 항감염제(예: 클린다마이신), 혈관 확장제(예: 알프로스타딜), 바소프레신 길항제(예: 코니밥탄), 혈압강하제(예: 에피네프린), VEGF/VEGFR 억제제(예: 파조판), 바이러스 백신, 비타민 및 미네랄의 조합, 비타민(예: 시아노코발라민), VMAT2 억제제(예: 발베나진).
상기 영양 활성 성분은 하기의 유형들 중에 속할 수 있다: 비타민(예: 비타민 A, B, C, D, E, K, 엽산, 비오틴), 미네랄(예: 칼륨, 염소, 나트륨, 칼슘, 인,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크롬, 몰리브덴, 셀레늄, 코발트, 불화물), 아미노산, 펩티드 및 단백질 및 이들의 대사산물 및 유도체(예: 필수 및 분지형 아미노산, 카르노신, 효소 및 효소 복합체, 락토페린, N-아세틸시스테인, 단백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 지방산(예: 오메가-3, 오메가-6, 오메가-9 지방산), 식물, 동물, 조류, 균류, 지의류 또는 박테리아(예: 피토스테롤, 에키네시아, 녹차 추출물, 마늘, 알로에베라, 어유,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버섯유래 소화효소)로부터 추출 또는 유래된 원형 공급원 또는 물질을 이용한 천연물, 설탕 및 다당류(예: 만노스, 리보스, 트레할로스, 덱스트로스, 글루쿠로놀락톤, 덱스트린), 프로바이오틱(예: 락토바실러스 종, 비피도박테리움 종, 사카로마이세스 불라르디와 같은 살아있는 미생물), 프리바이오틱(예: 프락토올리고당 및 이눌린과 같은 프럭탄, 갈락토올리고당 및 자일로올리고당과 같은 갈락탄), 항산화제(예: 리포산, 코엔자임 Q10, 플라보노이드, 글루타티온, 레스베라트롤, 카테킨), 영양학적 또는 생리학적 효과가 있는 기타 물질(예: 베타인,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CDP-콜린, 콜린, 크레아틴, 인지질, GABA, 글루코사민, 이노시톨, 멜라토닌, 메틸설포닐메탄, 뉴클레오타이드, 스쿠알렌).
상기 구현예들에서, 상기 막 기재는 하나 이상의 생물고분자로 구성되고, 이의 전기방사는 활성 성분의 입자들을 수용하도록 3차원 구조를 갖는 막을 생성하는 것이 특히 유리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 형태의 3차원 구조는 활성 성분의 분자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케이지(cage)라고도 하는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공동을 갖는 부직포를 수득하기 위한 화합물의 한 예는 선형 히알루론산과 가교 히알루론산의 혼합물이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제1 전기방사 화합물과 관계없이, 상기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피부 화상에 적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이다. 화상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추가 활성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진통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유형의 적용의 경우, 제1 화합물이,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과 같이 피부를 위해 재생되는 유형인 것이 특히 유리하다.
상기 활성 성분은 이미 전기방사된 막 기재에, 따라서 이의 부직포 형태에 첨가되어, 활성 성분의 분자 또는 입자는 상기 기재의 3차원 구조 내부에 "포획"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활성 성분은 이후 전기방사되는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활성 성분은 공동 전기방사되는 것, 즉, 상기 기재을 구성하는 재료와 함께 전기방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생성된 패치 제품은 전기방사 섬유에 통합된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피부 화상의 치료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품의 사용은 상처에서 활성 성분 및 또한 제1 화합물의 빠른 흡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전기방사하여 수득할 수 있는 제품은 화상 부위에 직접 도포할 수 있다. 이는 치료의 효과를 개선시킨다.
화상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품은 화장료, 제약 또는 식품 부문에서 활성 성분을 신체에 공급하기 위해 임의의 유형의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상기 패치 제품은 현재 근육내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활성 성분을 적용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는, 예를 들어,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이다. 상기 패치 제품은 식품 보조제의 섭취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방사될 화합물로서 히알루론산은 상기에서 언급한 3가지 유형 각각의 상이한 활성 성분과 결합하기에 좋은 후보이다.
예를 들어, 화장료 활성 성분 중에서, 본 발명가들은 하기의: 지루성 방지제(세바신산, 아젤라산), 항산화제(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레티놀, 레티날), 얼룩방지제(글라브리딘, 과황산암모늄), 피부연화제(하마멜리스 버지니아 추출물, 비사보롤) 및 습윤제(예: 글리세린, 프로판디올)를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영양 활성 성분 중에는 식물, 동물, 조류, 균류, 지의류 또는 박테리아(피토스테롤, 에키네시아, 녹차 추출물, 마늘, 알로에 베라, 어유,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진균 유래 소화 효소), 비타민(예: 비타민 A, B, C, D, E, K, 엽산, 비오틴) 및 항산화제(예: 리포산, 코엔자임 Q10, 플라보노이드, 글루타티온, 레스베라트롤, 카테킨)로부터 추출되거나 유래된 물질 또는 온전한 공급원을 사용하여 생산된 천연물이 있다.
가장 유리한 약학적 활성 성분은 안드로겐 및 단백 동화 스테로이드(예: 테스토스테론), 항 CTLA-4 단일클론 항체(예: 이필리무맙), 항 PD-1 단일클론 항체(예: 니볼루맙), 항협심증제(예: 니트로글리세린), 항천식 조합(예: 디필린/구아이페네신), 항생제(예: 메트로니다졸), 항생제/항종양제(예: 독소루비신), 항종양제(예: 이소트레티노인) 및 항종양 조합(예: 레트로졸/리보시클립)이다.
상기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잔탄검, 구아검, 콘드로이틴 황산염, 콜라겐 또는 전분과 같이 전기방사될 다른 화합물들과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패치 제품의 다른 예는 전기방사된 화합물로서 헤파린 및 약학적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알레르겐 추출물 또는 혈소판 자극제, 예컨대, 엘트롬보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품은 또한 상기 활성 성분이 체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때때로 수일 동안 부착된 채로 남아 있는 막 기재를 제공하는 이미 존재하는 패치를 대체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막 기재는 피부에 부착된 필름을 유지할 필요 없이 짧은 시간(일반적으로 몇 분)에 완전히 흡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 베이스 상에 배치된, 상기 기재된 패치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는 상기 패치 제품을 덮도록 배치된 코팅 층과 함께, 이후 패치 제품을 둘러싸게 될 포장재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은 상기 패치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에 일치하도록 상호간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호 결합은 열융착에 의해 발생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실시된다. 상기 포장재는 상기 패치 제품, 즉 상기 막 기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보호하고, 이를 손상시키거나 이의 구조 및/또는 화학적 조성을 변경할 수 있는 외부 작용제로부터 이를 격리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동일한 재료 또는 2개의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은 상기 패치 제품과 양립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분명히 포함한다. 상기 패치 제품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은 본원의 맥락에서 상기 표면과 접촉하여 놓이게 되는 패치 제품이 화학적으로나 구조적으로 변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양립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표면은 상기 기재 또는 상기 활성 성분과 상호 작용하지 않고, 비활성 지지체 역할만 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은, 열융착 유형의 재료,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 PBSA 또는 폴리락트산 PLA로 만들어진다.
상기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지지 베이스 상에 직접 전기방사된 막 기재를 침착시키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전기방사된 막 기재를 상기 코팅 층으로 덮은 다음, 상기 지지 베이스를 상기 코팅 층과 결합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의 상호 결합은 이들 사이에 상기 패치 제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층들의 상호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열융착에 의해 발생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코팅 층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열융착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예
하기에 열거된 상이한 조성들을 지시된 조건하에서 전기방사하였다. 조성물의 예에서, 전기방사되고, 따라서 상기 화장료 패치 제품의 막 기재를 구성하는 제1 화합물은 하기의 표에 나열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HA1 평균 분자 질량이 1.2 MDa와 같은 선형 히알루론산
HA2 평균 분자 질량이 10000 Da 미만인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HA3 평균 분자 질량이 50000 Da와 같은 히알루론산
HA4 평균 분자 질량이 20 내지 3000 kDa인 가교 히알루론산
상기 화합물은 Esperis S.p.A., Milan, Evonik Degussa Italia, Cremona 및 IRALAB S.p.A., Usmate Velate(MI)에서 공급한다. 상기 분자 질량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하였다.
상기 전기방사는 일본 Mecc 사의 NANON.01A 장치에서 실시하였다. 실험 조건은 하기의 각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생산된 섬유의 특징은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해 나타내었다. 특히, 상기 섬유는 코네티컷 이스트그랜비 소재 EB사이언스(Sciences)의 EMITECHK950x 터보 증발기(Turbo Evaporator) 스퍼터 코팅기를 사용하여 금으로 코팅하고, 영국 캠브리지 소재의 캠브리지 스테레오스캔(Cambridge Stereoscan) 440 SEM의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전기방사될 화합물로서 히알루론산 및 방사 촉진제로서 PEO:알긴산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전기방사의 실시예
방사 촉진제는 5 중량%의 알지네이트 수용액 및 5 중량%의 PEO 수용액의 1:1 비율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상기 촉진제를 0.5 중량%에서 평균 분자량이 1.2 MDa(HA1)인 선형 히알루론산의 수용액과 혼합하였다. 촉진제:(HA 용액)의 비율은 5.6:1과 같다. 조성물은 24% 내지 29%의 상대 습도(RH), 22℃의 온도, 20 kV의 전기장, 0.7 mL/h와 같은 헤드에서 상기 조성물의 체적 유량, 회전 머리 및 지지체 사이의 거리로 전기방사되고, 섬유 침전물은 15 cm와 같고 사용된 바늘은 직경 22G의 바늘이었다. 수득한 섬유는 규칙적이며 결함이 거의 없다. 상기 동일한 촉진제를 13 중량%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수용액과 촉진제:(HA 용액)의 1:3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조건하에서 제2 실시예의 조성물의 전기방사는 매우 규칙적이고 결함이 없는 섬유를 가지며, 평균 직경은 250 nm 내지 350 nm이다. 수득한 섬유는 사용된 지지체를 완전히 덮었다.
전기방사될 화합물로서 히알루론산 및 방사 촉진제로서 풀루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전기방사의 실시예
사용된 풀루란은 하야시바라 사(Hayashibara Co., Ltd.)에 의해 생산된 식품 등급이다. 10 중량%, 15 중량% 또는 20 중량%의 풀루란 수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풀루란 수용액(방사 촉진제)을 전기방사를 위해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혼합하였다.
하기의 표는 전기방사된 조성물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방사의 해당 작동 조건을 나열한다.
조성물 전기방사 조건
1 풀루란 20%:HA3 29% 1:2 RH 20~30%, 23 kV, 0.1 μl/분, 15 cm, 바늘 22G
2 풀루란 20%:HA2 29% 1:2 RH 46%, T=23°C, 23 kV, 1 ml/시, 15 cm, 바늘 22G
3 풀루란 10%:HA2 23% 1:3 RH 40%, T=24°C, 23-25 kV, 1 ml/시, 바늘 22G, 최대 거리
4 풀루란 10%:HA2 15% 1:2 RH 49%, T=21°C, 23 kV, 0.6 ml/시, 18 cm, 바늘 22G, 산성 pH(1.5 내지 3)
5 (풀루란 15%/알긴산염 5% 3:1):HA2 23% 1:3 RH 49%, T=21°C, 23 kV, 0.6ml/시, 15 cm, 바늘 22G
6 풀루란 10%:HA2 23% 1:3 RH 49%, T=21°C, 23 kV, 0.15ml/시, 15 cm, 바늘 22G, 산성 pH(1.5 내지 3)
7 풀루란 10%:HA2 15% 1:2 RH 40-50%, T=21°C, 23 kV, 0.6 ml/시, 15 cm, 바늘 22G, pH = 5.5
8 풀루란 10%:HA2 23% 1:3 RH 30%, T=22°C, 23 kV, 0.5 ml/시, 15 cm, 바늘 22G, pH = 5.5
실시예 1은 결함이 없고 평균 직경이 400 내지 700 nm인 규칙적인 섬유를 생성하였다. 하지만, 시험 동안 약간의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섬유는 전기방사 용액의 높은 점성으로 인해 평균 직경이 10 μm로 두껍다.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섬유는 50 nm 내지 2 μ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섬유는 알루미늄 및 또한 PBSA 필름 둘 모두에 증착된 것으로 관찰되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실시예 4 및 실시예 7(풀루란:HA의 비율 1:2)과 실시예 6 및 실시예 8(풀루란:HA의 비율 1:3)은 촉진제 및 히알루론산 사이의 비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용액은 우수한 전기방사를 위한 최적의 특성을 가지며, 수득한 섬유는 800 nm 내지 1 μm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산성 pH를 갖는 실시예 4의 조성물의 경우, pH를 5.5까지 증가시켜(NaOH 1M을 첨가하여) 실시예 7의 용액을 수득하였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전기방사는 평균 직경이 500 내지 700 nm 사이로 실시예 4보다 작은 규칙적이고 균일한 섬유를 제공하였다.
히알루론산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실시예 6(산성 pH를 사용)에서는 평균값이 1~3 μm으로 균일한 직경을 갖는 섬유가 수득된 반면, 실시예 8(pH 5.5를 사용)에서 수득한 섬유는 700 nm 내지 3 μm 범위의 균일한 직경을 갖는다.
실시예 5에서는, 알긴산염을 풀루란을 안정제로서 첨가하였다. 촉진제:HA의 비율이 1:3이고 표에 언급된 조건하에서, 평균 직경이 대략 수 마이크론 정도인 두꺼운 섬유가 수득되었다.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분야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부분들에 대한 수정 및/또는 추가가 지금까지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패치 제품에도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하기의 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의 참조의 유일한 목적은 읽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기에; 특정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보호 범위와 관련하여 제한 요소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0)

  1. 피부에 흡수될 수 있는 막 기재 및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패치 제품으로서, 상기 막 기재는 잔탄검, 펙틴, 키틴, 키토산, 덱스트란, 카라기난, 구아검, 한천,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부민, 전분, 젤라틴, 콜라겐, 엘라스틴, β-글루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점질다당류, 수용성 다당류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방사 섬유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활성 성분은 화장료 활성 성분, 약학적 활성 성분 및 영양 활성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콘드로이틴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헤파린, 헤파란 황산염 및 히알루론산 HA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수용성 다당류는 갈락토만난, 자일란, 아라비아검, 가티검, 글루코만난, 아세만난, 가용성 식이 섬유, 글리코겐, 아밀로오스, 및 식물, 박테리아 및 진균으로부터 유래된 다당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된 화합물은 전분,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헤파린, 콜라겐, 펙틴, β-글루칸, 콘드로이틴 황산염, 데르마탄 황산염, 헤파란 황산염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 기재는 부직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 섬유는 직경이 100 μ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전기방사 섬유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전기방사 섬유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진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 제품.
  9. 지지 베이스 상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치 제품을 포함하는,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상기 패치 제품이 존재하는 포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지지 베이스, 및 상기 패치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코팅 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 층 및 상기 지지 베이스는 상기 패치 제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227031191A 2020-02-13 2021-02-12 천연 중합체에 기반한 패치 제품 KR202201347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02836A IT202000002836A1 (it) 2020-02-13 2020-02-13 Prodotto cosmetico
IT102020000002836 2020-02-13
IT202100000113 2021-01-05
IT102021000000113 2021-01-05
PCT/IB2021/051196 WO2021161256A1 (en) 2020-02-13 2021-02-12 Patch product based on natural polym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781A true KR20220134781A (ko) 2022-10-05

Family

ID=7485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191A KR20220134781A (ko) 2020-02-13 2021-02-12 천연 중합체에 기반한 패치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81677A1 (ko)
EP (1) EP4103770A1 (ko)
JP (1) JP2023513742A (ko)
KR (1) KR20220134781A (ko)
CN (1) CN115066521A (ko)
BR (1) BR112022016012A2 (ko)
CA (1) CA3175594A1 (ko)
WO (1) WO2021161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4418A1 (it) * 2022-03-08 2023-09-08 Bakel S R L Composizione da elettrofilare
WO2024028916A1 (en) * 2022-08-04 2024-02-08 Bakel S.R.L. Article comprising a natural polymer-based patch product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KR102549636B1 (ko) * 2022-10-05 2023-06-30 주식회사 셀템제약 Egf의 피부 흡수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6509755B (zh) * 2023-07-04 2023-09-05 成都普什制药有限公司 一种次抛分离式面膜及其含有的面膜精华液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39Y1 (ko) * 2006-03-16 2006-06-14 애드윈코리아 주식회사 화장용 안면 마스크
GB2484319A (en) * 2010-10-06 2012-04-11 Univ Bolton Electrospinning fibres comprising honey and biocompatible polymer
KR101454421B1 (ko) * 2012-10-25 2014-11-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가 용융형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19223B1 (ko) * 2014-08-28 2016-05-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998932A (zh) * 2019-05-06 2019-07-12 苏州大学 一种新型片状面膜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1256A1 (en) 2021-08-19
CN115066521A (zh) 2022-09-16
EP4103770A1 (en) 2022-12-21
CA3175594A1 (en) 2021-08-19
US20230081677A1 (en) 2023-03-16
BR112022016012A2 (pt) 2022-10-11
JP2023513742A (ja)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4781A (ko) 천연 중합체에 기반한 패치 제품
Desai et al. Chitosan: A potential biopolymer in drug delivery and biomedical applications
KR20220130824A (ko) 전기방사되는 중합체 기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10040821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HC-HA/PTX3 complex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30059382A1 (en) Biomedical 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KR20060015469A (ko) 경구용 인슐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im et al. Multilayer nanoparticles for sustained delivery of exenatide to treat type 2 diabetes mellitus
Aminabhavi et al. Polysaccharide-based hydrogels as biomaterials
Amirthalingam et al. Perspectives and challenges of using chitosan in various biological applications
KR20220134026A (ko) 천연 고분자 전기 방사 방법
Garg et al. A review on Nano-therapeutic drug delivery carriers for effective wound treatment strategies
WO2023170718A1 (en) Composition to be electrospun
WO2024028916A1 (en) Article comprising a natural polymer-based patch product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CN101983629B (zh) 一种哌拉西林钠舒巴坦钠药物组合物微球注射剂
Łabowska et al. Applications of alginates in the biomedical field
Park et al. Neuronal differentiation of PC12 cells cultured on growth factor-loaded nanoparticles coated on PLGA microspheres
CN104800829B (zh) 寡肽联合或与吗啡的组合在制备用于镇痛的药物中的用途
CN103784403B (zh) 肺部给药长效脂质体制剂及其制备方法
Edmans Mucoadhesive electrospun patches for the delivery of therapeutic peptides and proteins to the oral mucosa
Paul et al. Alginate-based systems for protein and peptide delivery
Zapata et al.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towards a functional chronic wound healing: A biomaterials and Nanomedicine perspective
Wu et al. OPEN ACCESS EDITED BY Jin Yan, Xi'an Jiaotong University, China
CN104800831B (zh) 寡肽联合或与哌替啶的组合在制备用于镇痛的药物中的用途
CN114716582A (zh) 一种角蛋白肽修饰的壳聚糖衍生物及其制备方法、应用和药物组合物
Johnson Controlled delivery of bioactive factors for tissue re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