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369A - 볼조인트 - Google Patents

볼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369A
KR20220134369A KR1020210039950A KR20210039950A KR20220134369A KR 20220134369 A KR20220134369 A KR 20220134369A KR 1020210039950 A KR1020210039950 A KR 1020210039950A KR 20210039950 A KR20210039950 A KR 20210039950A KR 20220134369 A KR20220134369 A KR 20220134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joint
bearing
casing
ball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625B1 (ko
Inventor
권순찬
김세환
강무창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21003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2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57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the socket member being mainly made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현가장치나 조향장치 등에 이용될 수 있는 볼조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볼스터드와; 볼부재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케이싱과; 볼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베어링을 케이싱에 결합시키는 인서트 몰딩부와; 케이싱과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는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 리브가 구비되고, 장착 리브에는 단차 구조의 장착부가 구비되고, 링부재는 장착 리브의 장착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볼조인트{BALL JOINT}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나 조향장치 등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볼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볼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볼조인트는 구형의 볼부재를 케이싱 내에 삽입해 결합함으로써 부품들 사이의 상대운동을 구현하는 구형의 베어링 장치로, 차량의 현가장치나 조향장치 등에 장착되어 부품들 사이의 상대운동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현가장치나 조향장치 등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볼조인트(10)의 일례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10)는 볼스터드(20)의 일단에 구비된 볼부재(22)를 케이싱(30) 내에 구비된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볼스터드(20)의 볼부재(22)는 외주면에 베어링(40; 볼 시트)이 결합되어 원활한 회전 운동이 보조되도록 구성되며, 케이싱(30) 주위에는 인서트 몰딩부(50)가 형성되어 베어링(40)을 케이싱(30)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볼조인트(10)는 통상적으로 케이싱(30)을 금형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베어링(40)이 장착된 볼부재(22)를 케이싱(30)의 수용공간 내로 삽입하여 배치시킨 다음 인서트 수지 주입해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인서트 몰딩부(5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베어링(40)의 일측에는 회전 방지부(42)가 구비되어 회전 방지부(42)를 케이싱(30)의 내주면(32)에 접촉시켜 인서트 몰딩시 사출 압력에 의해 베어링(4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볼조인트(10)는 볼부재(22)가 결합된 베어링(40)을 케이싱(30) 내로 삽입할 때 베어링(40)의 회전 방지부(42)가 케이싱(30)의 내주면과 충돌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인서트 몰딩부(50)와 케이싱(30) 및 베어링(40) 사이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예컨대, 도 1에 점선 A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외부의 수분이 유입될 수 있음).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볼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현가장치나 조향장치 등에 이용될 수 있는 볼조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볼스터드와; 볼부재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케이싱과; 볼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베어링을 케이싱에 결합시키는 인서트 몰딩부와; 케이싱과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는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 리브가 구비되고, 장착 리브에는 단차 구조의 장착부가 구비되고, 링부재는 장착 리브의 장착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리브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베어링의 외주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는 돌기부의 외주면이 케이싱의 일측 내주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주면이 장착부의 경방향 단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은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링부재의 돌기부는 외주면이 지지부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돌기부의 외주면이 지지부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 리브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은 케이싱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는 볼부재가 결합된 베어링을 케이싱 내에 배치하고 링부재를 베어링에 구비된 장착 리브의 장착홈에 결합한 상태에서 인서트 수지를 주입해 사출 성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는 인서트 몰딩부를 사출 성형할 때 사출 온도에 의해 표면이 녹아 인서트 몰딩부와 표면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와 링부재는 동일 계열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와 링부재는 유리 강화 섬유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ment Plastic)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와 링부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외주면에는 단차부가 구비되고,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바디부는 단차부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는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바디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볼조인트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베어링이 케이싱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을 케이싱 내로 삽입하여 결합할 때 베어링이 케이싱에 접촉되어 손상될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베어링과 케이싱 사이에 링부재가 결합되어 베어링의 외주면과 케이싱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인서트 몰딩부를 사출 성형할 때 베어링에 의도치 않은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는 베어링과 케이싱 사이에 결합되는 링부재를 인서트 몰딩부와 동일한 계열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해 인서트 몰딩부를 사출 성형할 때 고온의 사출 온도에서 링부재의 표면이 녹아 인서트 몰딩부와 표면 결합을 형성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인서트 몰딩부와 링부재의 일체화로 인해 수분 유입 경로를 차단해 볼조인트 내부로 외부의 수분이 유입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인서트 몰딩부가 구비된 볼조인트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의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에서 볼스터드, 베어링, 케이싱 및 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인서트 몰딩부가 사출 성형되기 이전의 상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에 이용될 수 있는 베어링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에 이용될 수 있는 링부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축방향"은 볼조인트를 구성하는 볼스터드, 베어링, 케이싱 등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을 의미하며, "원주방향"은 이러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둘레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상부", "상방" 등의 방향 지시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서 볼스터드의 볼부재에 대해 로드부재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하방" 등의 방향 지시어는 이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 등의 방향 지시어는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 등의 방향 지시어는 이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100) 및 이의 구성요소들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참고로, 첨부된 도면에는 볼조인트가 장착되는 차량 부재의 일부 구조가 볼조인트와 함께 도시되어 있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100)는 통상의 볼조인트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현가장치나 조향장치 등에 구비되어 상호 연결되는 부품들 사이에서 상대운동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조인트(100)는 볼부재(210)를 포함하는 볼스터드(200)와; 볼스터드(200)의 볼부재(21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케이싱(300)과; 볼부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400; 볼 시트)과; 베어링(400)을 케이싱(300)에 결합시키는 인서트 몰딩부(500)와; 케이싱(300)과 베어링(400) 사이에 위치하는 링부재(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스터드(200)는 대략 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부재(210)와 볼부재(210)로부터 일측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되는 대략 막대 형상의 로드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볼부재(210)는 케이싱(300) 내로 수용되어 로드부재(220)에 결합된 부품을 케이싱(30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300)은 볼조인트(100)의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볼스터드(200)의 볼부재(210)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300)은 예컨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개방된 대략 원통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300)의 상단부는 내주면(310)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싱(300)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32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3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지지부(320)는 후술하는 링부재(600)를 지지해 인서트 몰딩부(500)를 사출 성형할 때 사출 압력에 의해 의도치 않은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20)는 케이싱(300)의 전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주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케이싱(300)의 하단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300)의 외주면에는 단차부(330)가 구비되어 볼조인트(100)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일측이 안착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볼조인트(100)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바디부(800)가 케이싱(300)의 외주면에 구비된 단차부(330)에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400; 볼 시트)은 볼부재(210)의 외주면을 감싸서 볼부재(210)의 구면 회전을 보조하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일체형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부재(예컨대, 상부 베어링 및 하부 베어링)가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400)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탄성률이 높은 합성 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400)의 내주면에는 볼부재(210)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궤도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400)은 상단부가 개방되어 볼스터드(200)가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볼스터드(200)의 일단이 베어링(400)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400)의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410)가 구비되어, 리세스(410) 내에 볼부재(210)와 베어링(400) 사이의 상대회전을 보조하는 그리스가 충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40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리세스(410)는 내주면으로부터 함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베어링(400)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리세스(41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나, 리세스(410)는 이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40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착 리브(4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 리브(4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베어링(400)의 외주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리브(420)에는 단차 구조의 장착부(43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링부재(600)가 장착부(430)에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부(430)는 장착 리브(420)의 하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장착부(430)의 축방향 단면(432)에는 링부재(600)의 상단면이 안착되고, 장착부(430)의 경방향 단면(434)은 링부재(600)의 내주면(630)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인서트 몰딩부(500)를 사출 성형할 때 링부재(600)의 내주면(6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400)은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 리브(44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장착 리브(430) 사이에 복수의 보강 리브(440)가 구비되도록 베어링(400)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리브(440)는 안착 리브(4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리브(440)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500)는 케이싱(300) 주위에 형성되어 베어링(400)을 케이싱(30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500)는 볼부재(210)가 결합된 베어링(400)을 케이싱(300) 내에 배치하고 링부재(600)를 베어링(400)의 장착 리브(4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인서트 수지를 주입해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500)는 케이싱(300), 베어링(400), 링부재(600) 등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100)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바디부(800)에도 함께 형성되어 볼조인트(100)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바디부(8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 몰딩부(500)를 형성하게 되면, 볼조인트(100)에 인서트 몰딩부(500)를 사출 성형할 때 차량 부품의 바디부(800; 예컨대, 금속 소재로 형성된 몸체부)에도 플라스틱 몰딩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차량 부품을 복합 소재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구조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6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부재(60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6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600)는 베어링(4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장착 리브(420)의 장착부(430)에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링부재(600)의 내주면(630)은 장착부(430)의 경방향 단면(434)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링부재(600)의 외주면[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링부재(600)에 구비된 돌기부(610)의 외주면(620)]은 케이싱(300)의 내주면[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케이싱(3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지지부(320)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부재(600)는 돌기부(610)의 외주면(620)이 케이싱(300)에 구비된 지지부(320)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내주면(630)이 장착 리브(420)에 구비된 장착부(430)의 경방향 단부(434)와 접촉해, 인서트 몰딩부(500)를 사출 성형할 때 케이싱(300)과 베어링(4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500)와 링부재(600)는 동일 계열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인서트 몰딩부(500)를 사출 성형할 때 고온의 사출 성형 온도에서 링부재(600)의 표면이 녹아 링부재(600)와 인서트 몰딩부(500) 사이에 표면 결합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트 몰딩부(500)와 링부재(600)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ment Plastic) 소재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 몰딩부(500)와 링부재(600)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300)과 베어링(400) 사이에 배치되는 링부재(600)에 의해 인서트 몰딩부(500)를 사출 성형할 때 사출 압력에 의해 베어링(400)이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서트 몰딩부(500)와 링부재(600)가 표면 결합을 통해 일체화되어 외부로부터 볼조인트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조인트(100)의 일측에는 더스트 커버(700)가 장착되어, 케이싱(300)과 베어링(4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볼조인트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700)는 일단이 볼스터드(200)의 로드부재(220)에 구비된 장착홈(2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싱 또는 인서트 몰딩부에 구비된 장착홈(5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볼조인트
200: 볼스터드
210: 볼부재
220: 로드부재
230: (로드부재에 형성된) 장착홈
300: 케이싱
310: (케이싱의 상단부) 내주면
320: 지지부
330: 단차부
400: 베어링
410: 리세스
420: 장착 리브
430: 장착부
432: (장착부의) 축방향 단면
434: (장착부의) 경방향 단면
440: 보강 리브
500: 인서트 몰딩부
510: (인서트 몰딩부에 형성된) 장착홈
600: 링부재
610: 돌기부
620: 돌기부의 외주면
630: 링부재의 내주면
700: 더스트 커버

Claims (14)

  1. 볼부재(210)를 포함하는 볼스터드(200)와;
    상기 볼부재(21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케이싱(300)과;
    상기 볼부재(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400)과;
    상기 베어링(400)을 상기 케이싱(300)에 결합시키는 인서트 몰딩부(500)와;
    상기 케이싱(300)과 상기 베어링(400) 사이에 위치하는 링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40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 리브(42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 리브(420)에는 단차 구조의 장착부(430)가 구비되고,
    상기 링부재(600)는 상기 장착 리브(420)의 장착부(430)에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볼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리브(42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베어링(400)의 외주면에 복수로 구비되는,
    볼조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60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610)를 구비하는,
    볼조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600)는 돌기부(610)의 외주면(620)이 상기 케이싱(300)의 일측 내주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주면(630)이 상기 장착부(430)의 경방향 단면(43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볼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0)은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링부재(600)의 돌기부(610)는 외주면(620)이 상기 지지부(32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610)의 외주면(620)이 상기 지지부(320)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볼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40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 리브(440)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볼조인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400)은 상기 케이싱(30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볼조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몰딩부(500)는 볼부재(220)가 결합된 베어링(400)을 케이싱(300) 내에 배치하고 링부재(600)를 베어링(400)에 구비된 장착 리브(420)의 장착부(430)에 결합한 상태에서 인서트 수지를 주입해 사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볼조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600)는 상기 인서트 몰딩부(500)를 사출 성형할 때 사출 온도에 의해 표면이 녹아 상기 인서트 몰딩부(500)와 표면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볼조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몰딩부(500)와 상기 링부재(600)는 동일 계열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볼조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몰딩부(500)와 상기 링부재(600)는 유리 강화 섬유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ment Plastic) 소재로 형성되는,
    볼조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몰딩부(500)와 상기 링부재(600)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소재로 형성되는,
    볼조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0)의 외주면에는 단차부(330)가 구비되고,
    상기 볼조인트(100)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바디부(800)는 상기 단차부(33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볼조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몰딩부(500)는 상기 볼조인트(100)가 장착되는 차량 부품의 바디부(8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볼조인트.
KR1020210039950A 2021-03-26 2021-03-26 볼조인트 KR102609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50A KR102609625B1 (ko) 2021-03-26 2021-03-26 볼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50A KR102609625B1 (ko) 2021-03-26 2021-03-26 볼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369A true KR20220134369A (ko) 2022-10-05
KR102609625B1 KR102609625B1 (ko) 2023-12-05

Family

ID=8359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50A KR102609625B1 (ko) 2021-03-26 2021-03-26 볼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244A (ko) * 1995-04-11 1996-11-19 알로이스 제발트ㆍ디터 펠링스 볼 이음 및 볼 이음을 위한 베어링 쉘의 제조 방법
WO2000026549A1 (de) * 1998-11-02 2000-05-11 Sachsenring Automobiltechnik Ag Kugelgelenk
JP2011141020A (ja) * 2010-01-11 2011-07-21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ベアリングシート
KR20150056658A (ko) * 2012-09-25 2015-05-26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개선된 상부 베어링을 갖는 볼 조인트 및 그 구성 방법
KR101573397B1 (ko) * 2014-08-01 2015-12-01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886474B1 (ko) * 2011-06-20 2018-08-07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244A (ko) * 1995-04-11 1996-11-19 알로이스 제발트ㆍ디터 펠링스 볼 이음 및 볼 이음을 위한 베어링 쉘의 제조 방법
WO2000026549A1 (de) * 1998-11-02 2000-05-11 Sachsenring Automobiltechnik Ag Kugelgelenk
JP2011141020A (ja) * 2010-01-11 2011-07-21 Somic Ishikawa Inc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ベアリングシート
KR101886474B1 (ko) * 2011-06-20 2018-08-07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6658A (ko) * 2012-09-25 2015-05-26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개선된 상부 베어링을 갖는 볼 조인트 및 그 구성 방법
KR101573397B1 (ko) * 2014-08-01 2015-12-01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625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620B2 (ja) 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JP2530614Y2 (ja) 摺動ブッシュ
KR20190093918A (ko)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의 제조방법
BR112014006767B1 (pt) Mancal de deslizamento feito de resina sintética
US5517814A (en) Supporting disk for a supporting disk bearing arrangement of an open-end spinning rotor
JP2000046038A (ja) ボ―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2493A (ko) 자동차용 볼조인트의 제조방법
KR20220134369A (ko) 볼조인트
US6352368B1 (en) Rod end bearing
EP3770451B1 (en) Slide bea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5279522A (en) Transmission joint body of the type comprising a connecting flange
US3231299A (en) Ball joint
KR101002985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조인트
WO2022210327A1 (ja) アーム状構造体およびロボット
JP2000081025A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46865B (zh) 球窝接头、使用它的稳定器连杆、以及带稳定器连杆的稳定器
JPH0331928B2 (ko)
KR101934876B1 (ko) 볼 조인트
US20030039508A1 (en) Ball-end pin with plastic flange
JPS6235109A (ja) ボールジョイント付ロッドの製造法
CN112119227A (zh) 特别是用于机动车的底盘部件的球形接头
KR102251420B1 (ko) 오일 씰 제조 방법
WO2023112855A1 (ja) スプリングガイド及びスプリングガイドの製造方法
KR100998508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조인트
JPH0651539U (ja) 球面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