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364A -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364A
KR20220134364A KR1020210039933A KR20210039933A KR20220134364A KR 20220134364 A KR20220134364 A KR 20220134364A KR 1020210039933 A KR1020210039933 A KR 1020210039933A KR 20210039933 A KR20210039933 A KR 20210039933A KR 20220134364 A KR20220134364 A KR 20220134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eco
supp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c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처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처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처플렉스
Priority to KR102021003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364A/ko
Publication of KR2022013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의 친환경 컵에 대해 반환 보증금을 적용하여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컵 식별정보가 인쇄된 복수개의 공급컵을 적재하고 있는 공급컵 수납부, 상기 공급컵 수납부로부터 외부로 공급컵을 배출하는 공급컵 배출부, 사용자의 컵 보증금을 결제하거나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 사용 후 회수되는 컵의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 사용 후 회수된 컵을 적재하는 회수컵 수납부, 상기 회수컵의 컵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의 친환경 컵을 1회 사용 후 폐기할 필요 없이 여러 번 반복 사용할 수 있고, 반환 보증금제에 의해 컵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친환경 컵이 배포되고 회수되는 과정을 추적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 Apparatus for supplying and retrieving store cups for repeated use of eco-friendly cups and the management system for repeated use of eco-friendly cups using thereof }
본 발명은 음료를 판매 또는 제공하는 커피숍, 제과점, 식당 등과 같은 음료 매장(이하, 음료 매장 등이라 함)에서 사용하는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과 같은 1회용 컵의 재사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1회용인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을 친환경 물질을 원료로 하는 친환경 컵으로 대체하고, 각 친환경 컵에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이 식별정보에 의해 친환경 컵의 사용 및 회수 과정을 추적 관리하며, 사용자가 컵의 인출을 요청할 때 반환 보증금을 결제하게 하고, 컵의 반환 시에 결제된 보증금을 반환하도록 함으로써 1회 용품의 회수율을 높이고, 회수된 친환경 컵을 세척 후 다시 재사용하여, 음료 매장 등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1회 용품으로 인한 폐기물 증가를 억제하고 환경 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각 종 1회 용품으로 인한 폐기물 처리나 환경 오염의 문제가 점점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커피, 차와 같은 음료를 판매하는 크고 작은 매장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음료 매장에서는 대부분 1회용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에 음료를 담아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이 1회용 컵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단 1회의 사용만으로 폐기한 후 다시 재활용하여야 하는데, 재활용을 위한 회수율은 30% 미만에 불과하며, 이 조차도 점점 더 떨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1회용 컵의 재활용을 위한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음료 매장 등에서 플라스틱과 같은 1회 용품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거나, 1회용 컵의 사용에 반환 보증금을 부과하고 컵의 반환 시 보증금을 돌려주는 제도 등을 도입하게 되었다.
상기 1회용 컵과 같은 1회 용품들은, 재활용을 위한 회수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도 있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문제는 플라스틱이나 종이 컵의 폐기나 재활용을 위한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로 인해 사람의 건강이 위협 받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 재질의 컵을 사용하면서, 또한 매장용 친환경 컵의 회수율을 높여서 여러 번 반복 재사용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사용 후 컵의 반환과 보증금 결제 및 반환 과정이 매우 편리한 전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매장용 친환경 컵의 회수율을 높이고, 폐기물 처리와 환경 오염의 문제를 줄이며,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도 제고할 수 있는 장치와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0704호 (2012.01.04)
본 발명은 친환경 컵을 재사용 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 매장 등에 친환경 컵을 배포하고, 사용 후 쉽게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 매장 등에서 친환경 컵의 사용 시 부과되는 보증금을 쉽게 결제하고 또한 반환 받을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친환경 컵이 배포되고 회수되는 과정을 추적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공급된 수량과 회수된 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의 친환경 컵 반납 시 컵 안의 잔류 음료를 모두 비우고 반납할 수 밖에 없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친환경 컵의 사용 이력을 추적할 수 있고, 사용 기간이나 사용횟수를 확인하여 제 때에 폐기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컵 식별정보가 인쇄된 복수개의 공급컵을 적재하고 있는 공급컵 수납부, 상기 공급컵 수납부로부터 외부로 공급컵을 배출하는 공급컵 배출부, 사용자의 컵 보증금을 결제하거나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 사용 후 회수되는 컵의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 사용 후 회수된 컵을 적재하는 회수컵 수납부, 상기 회수컵의 컵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정보의 입력 또는 표시를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가, 상기 컵 보증금을 결제하는 보증금 결제 방식은 신용카드, 직불카드, 멤버십 카드, 간편 결제, 현금 중 하나 이상의 결제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보증금 반환 방식은 멤버십 카드 포인트, 현금, 계좌이체, 기부 또는 복권 중 하나 이상의 반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로부터 컵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가 현금을 반환하게 하거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납자에게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안내하고, 반납자가 선택한 보증금 반환 방식에 따라 보증금을 반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보증금 반환 방식은 원 결제의 취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에서 컵 보증금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컵 반환 시 컵 보증금을 반환 받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 후 사용자에게 보증금 반환 방식을 추가로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반환 방식을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로부터 컵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환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보증금 반환 방식을 선택하게 하거나 또는 기 선택된 반환 방식에 따라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를 통해 보증금 반환 처리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다르거나, 컵 반환자가 컵 보증금 결제자가 아닌 경우,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환자에게 컵 보증금 반환 방식을 안내하여 선택하게 하고, 반환자가 선택한 반환 방식에 따라 컵 보증금을 반환할 수 있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상기 컵 식별정보는 컵의 외부 바닥면에 인쇄되어 있고,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는 컵을 눕힌 상태에서 바닥면에 인쇄된 컵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에서 인식한 회수컵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및 상기 복수개의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앞의 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각 장치 별로 고유의 장치 식별정보를 갖는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각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의 장치 식별정보와 각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가 배치된 매장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컵 식별정보 별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친환경 컵의 사용 횟수 또는 제조일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폐기 대상인 친환경 컵들의 목록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각 해결 수단의 구성과 기능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후술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 컵을 1회 사용 후 폐기할 필요 없이 여러 번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 매장 등에 친환경 컵을 배포하고 사용 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 컵이 배포되고 회수되는 과정을 추적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용 친환경 컵의 재활용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용 친환경 컵의 반환 보증금 결제와 반환 과정이 매우 쉽고 편리하게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친환경 컵 반납 시 컵 안의 잔류 음료를 모두 비우고 반납할 수 밖에 없게 하여 깨끗하게 비워진 친환경 컵을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 컵의 사용 이력을 추적할 수 있고, 사용 기간이나 사용횟수를 확인하여 제 때에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컵의 외부 바닥면에 인쇄된 컵 식별정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컵이 회수될 때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친환경 컵의 반복 재사용을 위한 순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태양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된 실시 예들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또는 실시 예 상호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상관없이 이 구성요소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의미이지 다른 구성 요소들의 포함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단계들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단계들이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이하,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라 함)의 개념도이고, 도2는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일반 종이컵이 아닌 친환경 컵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친환경 컵의 예로는,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PLA 플라스틱 컵이 사용될 수 있는데, PLA(polylactic acid)는 땅속에서 3개월이면 90% 이상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물질이므로, 이러한 PLA 플라스틱 컵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컵이나 심지어 종이컵에서도 발생하는 환경 오염 문제로부터 자유롭다. 나아가, 뜨거운 음료의 높은 온도에도 변형되지 않고 여러 번의 반복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출 수 있도록, 일반 PLA 플라스틱보다는 열에 강한 내열 PLA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매장의 1회용 컵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컵 사용 시 컵의 인출자가 반환 보증금을 결제하고, 컵의 반납자에게 앞서 인출자가 결제한 보증금을 반환하는 컵 보증금제의 적용을 전제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100)는, 공급컵 수납부(110), 공급컵 배출부(120), 컵 보증금 결제/반환(결제 및 반환) 처리부(130),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140), 회수컵 수납부(150),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160), 제어부(170), 저장부(180), 터치 디스플레이부(190) 및 통신부(1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단의 박스 부분은 사용 전의 친환경 컵을 수납하여 인출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고, 하단의 박스 부분은 사용된 친환경 컵을 반납자로부터 회수하여 수납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에서는 상단의 박스 형태를, 일 예로서, 식당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형의 커피 자동판매기 등과 같은 외형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형태와 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된 컵을 회수하여 수납하는 하단 박스 부분의 형태와 구조 또한 마찬가지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의 상단 박스 내에는 복수개의 공급용 친환경 컵을 적재할 수 있는 공급컵 수납부(110)와, 사용자(인출자)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이 수납부 내의 친환경 컵을 외부로 하나씩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공급컵 배출부(1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급컵 수납부와 공급컵 배출부의 구조 및 동작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컵 보증금 결제/반환 처리부(130)는 컵을 인출하는 인출자가 컵 보증금을 결제하고, 컵 사용후 반납자에게 컵 보증금을 반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신용카드(또는 직불카드, 멤버십 카드 등의 각 종 카드)의 인식수단, 투입/배출 현금 인식수단, 또는 각 종 페이의 간편결제 처리를 위한 수단과 같은 결제 수단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컵 보증금 결제/반환 처리부(130)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와 연동하여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안내 화면에 따른 선택 정보,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의 숫자 입력정보 등)에 의해 컵 보증금의 결제 또는 반환을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가, 상기 컵 보증금을 결제하는 보증금 결제 방식은 신용카드, 직불카드, 멤버십 카드, 간편 결제, 현금 중 하나 이상의 결제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보증금 반환 방식은 멤버십 카드 포인트, 현금, 계좌이체, 기부 또는 복권 중 하나 이상의 반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반환 방식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결제 방식 중 현금을 제외한 다른 방식 중 하나에 의해 결제 또는 반환되는 보증금은, 예를 들어, 관리서버 운영자의 계좌 또는 매장 사업주의 계좌 등을 매개로 하여 수령되거나 반환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신용카드 등의 인식수단, 투입/배출 현금 인식 수단, 간편결제 처리수단 등의 구성 및 각 수단에 따른 결제 처리 과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140)는 상기 공급컵 배출부(120)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컵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컵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부 배출 전 또는 배출된 후의 어느 위치든 설치되어 컵에 인쇄된 컵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공급되는 모든 친환경 컵마다 고유의 식별정보인 컵 식별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상기 컵 식별정보는 고유정보에 의해 컵을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떤 것도 가능한 것이며, 예를 들어 바코드, 큐알코드, 칼라코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컵 식별정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의 외부 바닥면에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컵 보증금 결제/반환 처리부(130)에서 인식한, 예를 들어, 카드정보, 간편결제 정보 등과 같은 결제 정보와 상기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140)에서 인식한 컵 식별정보를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에서 컵 보증금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컵 반환 시 컵 보증금을 반환 받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 후 사용자에게 보증금 반환 방식을 추가로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반환 방식을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 및 비밀번호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회수컵 수납부(150)는 사용 후 반납된 컵을 적재하여 수납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160)는 반납으로 회수되는 컵의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앞서 설명한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160)와 기능은 동일하지만, 설치 방향에 있어서는, 도4와 같이, 컵이 눕혀진 상태에서 컵 바닥면에 인쇄된 컵 식별정보를 수평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컵을 인출하여 사용한 후 반납할 때는, 컵에 남은 음료를 제거한 후, 바닥면의 컵 식별정보가 인식될 수 있도록 컵을 수평으로 눕혀서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160)에 접근시킨다.
컵 식별정보가 컵의 바닥면에 인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컵 식별정보를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컵을 수평으로 눕힐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사용자가 컵에 남은 음료를 제거하지 않은 채 컵을 반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160)의 컵 식별정보 인식이 완료되면 컵을 회수컵 수납부(150)에 투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160)로부터 컵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가 즉시 현금을 반환하게 하거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납자에게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안내하고, 반납자가 선택한 보증금 반환 방식에 따라 보증금을 반환하게 하거나, 반납자에게 컵 인출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인출자가 미리 선택하여 둔 반환 방식에 따라 반환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보증금 반환 방식은 멤버십 포인트, 현금, 계좌이체, 기부 또는 복권 중 하나 이상의 반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반납자가 멤버십 포인트 반환을 선택하면 반납자의 멤버십 카드를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에 투입하게 하여 반납자의 멤버십 포인트에 적립할 수 있다. 이 때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외부의 멤버십 포인트 서버와 통신하여 반납자의 멤버십 카드에서 인식한 멤버십 정보와 보증금 금액 정보를 제공하여 멤버십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반납자가 현금 반환을 원하면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를 통해 장치에서 직접 현금을 반납하고, 반납자가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반납자의 은행 카드 삽입 또는 계좌정보 입력을 안내하여 삽입된 카드 정보나 입력되는 계좌정보로 계좌이체 하여 반환한다.
반납자가 기부의 반환 방식을 선택하면 사전에 정해진 기부처의 계좌로 이체시키거나,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여러 기부처를 안내하고 반납자가 선택한 기부처로 기부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반납자가 복권의 반환 방식을 선택하면, 반납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은 후 복권 서버(미도시)와 연계하여 반납자의 휴대폰 번호로 모바일 복권을 발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가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180)에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와 인출자의 결제 정보가 연계하여 저장되거나, 인출자로부터 컵 보증금을 반환 받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 및 결제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되는 경우,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보증금 반환 방식은 원 결제의 취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납자가 정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고 그 비밀번호에 연계된 인출자의 사전 선택 반환 방식이 원 결제의 취소이거나, 반납자가 보증금 반환 방식으로 원 결제의 취소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된 컵 식별정보에 연계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인출자의 원 결제를 취소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
반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다른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납자에게 컵 보증금 반환 방식을 안내하여 선택하게 하고, 반납자가 선택한 반환 방식에 따라 컵 보증금을 반환할 수 있다.
각 종 카드 또는 간편결제의 취소 결제 처리 과정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회수컵 수납부(150)는, 예를 들어, 컵의 상단 직경보다 조금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적재부가 복수개 배열된 구조일 수 있으나, 복수개의 컵을 적재하여 수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태의 것이든 채택할 수 있다.
상기 회수컵 수납부(150)는, 하나의 원통형 적재부가 꽉 차면 다른 원통형 적재부가 회수컵 투입구(또는 사용자가 컵을 투입하도록 정해진 소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납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수컵 수납부(150)의 회전 구동에 관한 사항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190)는 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거나,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장치가 각 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사용자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장치의 안내에 따른 단계 별 선택 정보나 계좌번호 등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상기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140)에서 인식된 공급컵의 수량을 계수하는 공급컵 인출 수량 카운터부와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160)에서 인식된 회수컵의 수량을 계수하는 회수컵 수량 카운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는, 매 컵의 인출과 반납이 있을 때마다 상기 공급컵 인출 수량 카운터부와 상기 회수컵 수량 카운터부의 계수 값을 반영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190)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매장 관리자는 현재 몇 개의 컵이 인출되었고, 몇 개의 컵이 회수되었으며, 몇 개의 컵이 회수되지 않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회수컵 수량 카운터부가 상기 회수컵 수납부(150)의 매 원통형 적재부에 투입되는 회수컵의 숫자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 각 원통형 적재부에 소정 개수의 컵이 적재 완료되면 상기 회수컵 수납부(150)를 회전 구동하여 다른 원통형 적재부가 투입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컵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과 컵을 회수하기 위한 구성들이 모두 하나의 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컵의 공급을 위한 구성들과 컵의 회수를 위한 구성들을 분리하여 각각 별도의 장치로서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리된 2개의 장치 간의 제어 정보 및 인식 정보 송수신을 위한 구성이 각 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관리서버에 연결된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관리서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이하, 친환경 컵 관리 시스템이라 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컵 관리 시스템(1000)은, 복수개의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100)들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2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들은, 예를 들어, 식당, 제과점, 음료 매장 등과 같은 복수개의 각 매장에 따로따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도 5에서의 각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관리서버와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시스템에서, 각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고유의 장치 식별정보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관리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함에는 상기 장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장치마다 구분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컵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컵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사업자는, 상기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100)가 설치된 각 매장에 컵 식별정보가 인쇄된 친환경 컵을 배포하고, 상기 관리서버(200)는 각 매장 별로 매장 정보와 함께 배포된 1회용 컵의 식별정보 목록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또한, 사용, 회수, 세척 및 재사용의 순환을 반복하는 각 친환경 컵 단위로 사용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컵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당해 컵 식별정보의 컵이 사용된 매장(및 매장 이외의 일반 기업의 사무실과 같은 다른 사용처 포함)의 이력 정보를 컵 식별정보에 연계시켜 컵 사용 이력 정보로서 저장한다. 상기 컵 사용 이력 정보는 매장 정보들과 함께 사용 횟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또한, 각 매장에 배포된 1회용 컵의 컵 식별정보 목록을 통신망을 통해 각 매장에 설치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100)는 자신의 장치 식별정보 및 상기 매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사용된 친환경 컵을 회수하면서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160)를 통해 획득한 컵 식별정보 목록을 상기 관리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상기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컵 식별정보 목록을 동일 매장에 배포된 컵 식별정보 목록과 비교하여 누락된 컵 식별정보들을 확인하고, 누락된 컵 식별정보들을 분실된 컵 식별정보 목록에 포함시켜 관리할 수 있으며, 분실된 컵 식별정보 목록에 포함된 컵들은 소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폐기된 컵 식별정보 목록으로 옮겨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폐기된 컵 식별정보 목록에는, 분실 또는 훼손으로 소멸되거나 제조일로부터의 수명기간 또는 사용횟수가 다하여 폐기 대상인 친환경 컵들의 컵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100)의 컵 공급 및 회수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1000)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컵 분류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 분류장치는 세척, 살균, 건조가 완료된 재사용 대상 컵을 지정된 수량만큼 분류할 수 있고, 동시에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컵의 사용횟수, 폐기 대상 여부, 또는 기타 설정된 조건에 따라 컵을 분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컵 분류 과정에서는 컵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컵 사용 이력이나 폐기 대상 여부 등을 조회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컵 사용 이력이나 폐기 대상 여부의 정보를 관리서버(200)로부터 사전에 제공받아 자체 보유할 수도 있다.
상기 분류장치는 또한, 매장 별로 배포될 컵 식별정보 목록을 작성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상기 분류장치에서 제공되는 목록에 의해, 앞서 저장되어 있는 컵 식별정보에 연계된 매장 정보에 새로운 매장 정보를 추가하여 컵 사용 이력 정보를 갱신한다.
분류가 끝난 컵들은 다시 매장 별로 할당 배포되어 재사용되며, 이후 분실 또는 훼손으로 소멸되거나 제조일로부터의 수명기간 또는 사용횟수가 다하여 폐기될 때까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회수, 세척 및 재사용의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3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스토리지(230) 및 통신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230)에는 앞서 설명한 친환경 컵 공급 및 회수의 관리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고, 매장 별로 배포된 컵 식별정보 목록, 컵 사용 이력 정보, 분실된 컵 식별정보 목록, 폐기된 컵 식별정보 목록, 각 종 통계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들이 수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하나의 단일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처리 단계들을 몇 개의 기능으로 구분하여 분할한 복수개의 프로그램들일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되고,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모리(220)에 일부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들이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 등,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의 형태는 물론,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는 정해진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로 구성된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장부는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의 저장을 위한 수단으로서, 시스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와, 처리 과정 및 처리 후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HDMI, MHL,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또한,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규격 중 다른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컵의 반복 재사용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컵 이외에도 종이,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을 원료로 하는 다른 다양한 1회성 용기나 용품들(식품 용기, 포장 용기, 주방 용품, 유아 용품, 배달 용품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컵을 대상으로 하는 것에만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될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110 : 공급컵 수납부
120 : 공급컵 배출부
130 :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
140 :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
150 : 회수컵 수납부
160 :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
170 : 제어부
180 : 저장부
190 : 터치 디스플레이부
195 : 통신부
200 : 관리서버
210 : 프로세서
220 : 메모리
230 : 스토리지
240 : 통신 인터페이스
1000 :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Claims (14)

  1. 컵 식별정보가 인쇄된 복수개의 공급컵을 적재하고 있는 공급컵 수납부;
    상기 공급컵 수납부로부터 외부로 공급컵을 배출하는 공급컵 배출부;
    사용자의 컵 보증금을 결제하거나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
    사용 후 회수되는 컵의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
    사용 후 회수된 컵을 적재하는 회수컵 수납부;
    상기 회수컵의 컵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정보의 입력 또는 표시를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가,
    상기 컵 보증금을 결제하는 보증금 결제 방식은 신용카드, 직불카드, 멤버십 카드, 간편 결제, 현금 중 하나 이상의 결제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보증금 반환 방식은 멤버십 포인트, 현금, 계좌이체, 기부 또는 복권 중 하나 이상의 반환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로부터 컵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가 현금을 반환하게 하거나,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납자에게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안내하고, 반납자가 선택한 보증금 반환 방식에 따라 보증금을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공급컵 식별정보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와 인출자의 결제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보증금 반환 방식은 원 결제의 취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에서 컵 보증금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컵 반환 시 컵 보증금을 반환 받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 후 사용자에게 보증금 반환 방식을 추가로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반환 방식을 상기 공급컵의 컵 식별정보 및 비밀번호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로부터 컵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환자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보증금 반환 방식을 선택하게 하거나 또는 기 선택된 반환 방식에 따라 상기 컵 보증금 결제 및 반환 처리부를 통해 보증금 반환 처리를 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다르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납자에게 컵 보증금 반환 방식을 안내하여 선택하게 하고, 반납자가 선택한 반환 방식에 따라 컵 보증금을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식별정보는 컵의 외부 바닥면에 인쇄되어 있고,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는 컵을 눕힌 상태에서 바닥면에 인쇄된 컵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컵 식별정보 인식부에서 인식한 회수컵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11. 복수개의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 및
    상기 복수개의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는 각 장치 별로 고유의 장치 식별정보를 갖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각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의 장치 식별정보와 각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가 배치된 매장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컵 식별정보 별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친환경 컵의 사용 횟수 또는 제조일자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폐기 대상인 친환경 컵들의 목록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KR1020210039933A 2021-03-26 2021-03-26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KR20220134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33A KR20220134364A (ko) 2021-03-26 2021-03-26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33A KR20220134364A (ko) 2021-03-26 2021-03-26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364A true KR20220134364A (ko) 2022-10-05

Family

ID=8359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33A KR20220134364A (ko) 2021-03-26 2021-03-26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43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45B1 (ko) 2022-11-29 2023-06-16 동원중공업 주식회사 무인결제 및 영상정보 전달이 가능한 일회용 컵 회수장치
KR102588819B1 (ko) * 2023-03-06 2023-10-17 에스이임파워 사회적협동조합 태그가 내장된 컵을 이용한 컵 다회 사용 시스템
KR102588821B1 (ko) * 2022-12-30 2023-10-18 에스이임파워 사회적협동조합 다회용컵 회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04A (ko)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재활용 용기 무인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용기 보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04A (ko)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시스네트 재활용 용기 무인 수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용기 보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45B1 (ko) 2022-11-29 2023-06-16 동원중공업 주식회사 무인결제 및 영상정보 전달이 가능한 일회용 컵 회수장치
KR102588821B1 (ko) * 2022-12-30 2023-10-18 에스이임파워 사회적협동조합 다회용컵 회수장치
KR102588819B1 (ko) * 2023-03-06 2023-10-17 에스이임파워 사회적협동조합 태그가 내장된 컵을 이용한 컵 다회 사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4364A (ko)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매장용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US7500568B2 (en) Standalone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epositing and dispensing cash
US20150235184A1 (en) Techniques for processing recyclable containers
US20040133705A1 (en) Controller for dispensing products
CN1160249A (zh) 电子货币系统
CN102637323A (zh) 药品分配装置
KR102278724B1 (ko) 배달음식용 포장물품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101276502A (zh) Pos系统和控制pos系统的方法
KR20220134363A (ko) 친환경 컵 반복 사용을 위한 컵 공급 및 회수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친환경 컵 반복 사용 관리 시스템
US20230386304A1 (en) No-downtime universal utility cassette for recirculation in multiple systems
US20150039329A1 (en) Method for triggering an action of a device authorized by a paper document
US20230057362A1 (en) Beverage container recycling system
JP2022100397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288781A (zh) 耗材更换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20100131235A (ko) 재활용품 회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4167063A (zh) 现金交易装置以及现金交易方法
US11948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ste management using recurrent convolution neural network with stereo video input
CN105447959B (zh) 现金管理系统及现金管理方法
JP6750337B2 (ja) 現金処理装置
JP6459802B2 (ja) 現金処理装置
CN110415429A (zh) 一种仓式综合智能回收系统
US11854331B2 (en) Banknote management method and banknote management system
JP2022097727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1179866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numeric waiting bin for prescription fulfillment
JP7326961B2 (ja) 現金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