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821A -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821A
KR20220133821A KR1020220037646A KR20220037646A KR20220133821A KR 20220133821 A KR20220133821 A KR 20220133821A KR 1020220037646 A KR1020220037646 A KR 1020220037646A KR 20220037646 A KR20220037646 A KR 20220037646A KR 20220133821 A KR20220133821 A KR 2022013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por
collecting member
air
ventilation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다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3361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33783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42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03472A1/ko
Publication of KR2022013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821A/ko
Priority to US18/061,269 priority patent/US2023009853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 및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는 가열 장치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바디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 및 상기 환기 장치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공기에서 유증기가 제거되도록 흡입된 공기로부터 유증기를 필터링하는 유증기 포집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Apparatus for Oil Mist Filtering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ventilation system}
본 개시는 환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증기 포집 장치를 갖는 환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레인지, 인덕션 조리기기 등의 가열 장치를 이용하는 조리과정에서 다량의 유증기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소정의 후드를 이용하여 가열 장치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처리하였으나, 여전히 오염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확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유증기가 소정의 후드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 장치를 오염시킴에 따라 송풍 장치가 고장 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증기 포집 장치를 갖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증기에 의하여 송풍기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유증기가 사용자에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 및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는 가열 장치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바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 및 상기 환기 장치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공기에서 유증기가 제거되도록 흡입된 공기로부터 유증기를 필터링하는 유증기 포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필터링된유증기가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포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부재를 냉각시키도록 전력을 공급받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유증기는 상기 포집부재에 응축될 수 있다.
상기 포집 부재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유증기를 대전시키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 부재는 상기 이오나이저에 의해 대전된 유증기가 부착되도록 대전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기화시키는 수증기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증기는 상기 유증기와 혼합되어 상기 포집 부재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집 부재는 상기 포집부재의 표면에 응축된 물방울을 수조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가 수용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수조와, 상기 포집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 부재는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재는 상기 회전 장치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홀에 스민 물을 유증기에 노출시킬 수 있다.
유로는 상기 환기 장치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류의 유로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 바디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흡기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흡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 바디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기 흡입구를 향해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가열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방에서 조리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유증기가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가열 장치의 후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가열 장치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는 흡입구 및 토출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 상에 마련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가 접촉되는 포집 부재 및 상기 포집 부재를 냉각시켜 유증기를 응축시키도록 마련되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유증기 포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 및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가열 장치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가열 장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오염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증기 포집 장치는 조리 중 발생하는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유증기 포집 장치로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유증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에 유증기가 응축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단어 및 문구에 대한 정의는 이 특허 문서 전체에 제공되며, 당 업자는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지만 많은 경우에 이러한 정의가 이러한 정의된 단어 및 구의 이전 및 향후 사용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증기 포집 장치는 환기 장치의 송풍기에 공급되는 공기로부터 유증기를 제거하여 송풍기가 유증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 장치는 토출구를 통해 유증기가 제거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마련되는 환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환기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환기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상방에서 바라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포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도 1 내지 도 12와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어떤 식으로든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당 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가 임의의 적절하게 배열된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마련되는 환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할 때, 조리기기(1)는 본체(2)와, 가열 장치(3)와, 환기 장치(100)(또는 "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기(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조리기기(1)에 마련되는 환기 장치(100)뿐만 아니라 단독으로 마련되는 환기 장치(100)에 대한 설명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환기 장치(100)가 가열 장치(3)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의 흡입 및/또는 정화된 공기의 배출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기 장치(100)는 상기 가열 장치(3)가 아닌 다른 오염원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의 흡입 및/또는 정화된 공기의 배출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2)는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2)는 주방의 바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2)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2)는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된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는 수납 공간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본체(2)의 전면을 형성하는 수납장 도어(4)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납장 도어(4)는 생략될 수 있고, 수납 공간에는 오븐, 전자레인지와 같은 별도의 조리기기 또는 가열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2)의 상면(2a)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2)의 상면(2a) 일 측에는 가열 장치(3)가 배치될 수 있고, 본체(2)의 상면(2a) 타 측은 주방용 작업대로 사용될 수 있다.
가열 장치(3)는 본체(2) 상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 가열 장치(3)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여 가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3a)(또는 "화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3a)는 가열 장치(3)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는 가열부(3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장치(3)는 본체(2)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 장치(3)는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가열 장치(3)는 본체(2)의 상면(2a)과 함께 조리기기(1)의 상면(2a)을 형성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가열 장치(3)를 이용한 조리 과정 중에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환기 장치(100)의 내부로 흡입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유로(101a)를 형성하고 환기 장치(100)의 외부 하우징을 형성하는 환기 장치 바디(101)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장치 바디(101)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02)와 유로(101a)로부터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장치 바디(101)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 장치 바디(101)는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04)과, 하우징(104)에 결합되고 흡입구(102)를 포함하는 흡기 덕트(110)와, 하우징(104)에 결합되고 토출구(103)를 포함하는 배기 덕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4)과, 흡기 덕트(110)와, 배기 덕트(120)는 함께 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101a)의 일단은 흡입구(102)에 연결되고 유로(101a)의 타단은 토출구(103)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4), 흡기 덕트(110), 배기 덕트(120)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내부에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환기 장치 바디(101)(예: 하우징(10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흡입구(102)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03)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송풍팬(131)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31)은 크로스 플로우 팬, 시로코 팬, 사류 팬, 축류 팬 또는 터보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팬(131)은 다른 종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송풍팬(131)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30)는 후술하는 공기 정화 장치(200)로부터 하류에서 유로(101a)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흡입구(102)보다 토출구(103)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배기 덕트(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기(130)는 공기 정화 장치(200)로부터 상류에서 유로(101a)에 배치되어 토출구(103)보다 흡입구(102)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기(130)는 복수의 송풍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풍기(130)는 공기 정화 장치(200)로부터 하류에서 유로(101a)에 배치되는 제1 송풍기(또는 "토출 송풍기")와, 공기 정화 장치(200)로부터 상류에서 유로(101a)에 배치되는 제2 송풍기(또는 "흡입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기 정화 장치(200)는 유로(101a)를 따라서 제1 송풍기와 제2 송풍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기는 배기 덕트(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송풍기는 흡기 덕트(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기와 제2 송풍기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2 송풍기는 흡입구(102)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환기 장치 바디(101)의 내부로 흡입하고, 제1 송풍기는 토출구(103)를 통해 공기 정화 장치(2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환기 장치 바디(101)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환기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또는 "필터링")하는 공기 정화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정화 장치(200)는 공기 중의 유증기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유증기 포집 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정화 장치(200)는 필터 부재나, 살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200)는 환기 장치 바디(101)(예: 하우징(10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200)(예: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송풍기(130)로부터 상류에서 유로(101a)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기(130)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서 오염 물질(예: 유증기)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정화 장치(200)는 송풍기(130)로부터 하류에서 유로(101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기기(1')의 환기 장치(100')환기 장치 바디(101)는 가열 장치(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 장치(100')는 주방 후드 또는 벽걸이형 전자레인지(또는 "Over The Range 전자레인지")일 수 있고, 유로(101a)를 형성하는 환기 장치 바디(101)는 가열 장치(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흡입구(102)는 가열 장치(3)와 대응되도록 환기 장치 바디(101)의 하면에 하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103)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하면이 아닌 다른 면(예: 환기 장치 바디(10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101a)는 흡입구(102)와 토출구(103)를 연결할 수 있다. 환기 장치 바디(101)는 공기 정화 장치(200)가 배치되는 하우징(104)과, 하우징(104)과 연결되고 흡입구(102)를 포함하는 흡기 덕트(110)와, 하우징(104)과 연결되고 토출구(103)를 포함하는 배기 덕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4), 흡기 덕트(110), 및 배기 덕트(120)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장치(3)와 환기 장치(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열 장치(3)와 환기 장치(100)는 따로 제작 및 판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환기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환기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환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공기 정화 장치(200)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환기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설명은 도 3 및 4에 도시된 환기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할 때, 흡기 덕트(110)는 가열 장치(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흡기 덕트(110)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2)의 상면(2a) 위로 노출될 수 있다. 본체(2)의 상면(2a) 위로 노출되는 흡기 덕트(110)의 대략 상단부에는 흡입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 덕트(110)는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도록 마련되는 필터(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11)는 매쉬 필터 또는 배플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111)는 통상적으로 공기의 필터링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 및 구조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11)는 흡입구(102)를 커버할 수 있다.
흡기 덕트(110)는 하우징(10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기 덕트(11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우징(104)에 결합될 수 있다. 흡기 덕트(1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기 장치(100)는 흡기 덕트(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승강 장치(140)(또는, "흡기 덕트 승강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흡기 덕트(110)는 제1 승강 장치(140)에 의하여 위아래로 승강될 수 있다. 제1 승강 장치(140)는 흡기 덕트(110)에 고정되는 랙(141)과, 랙(141)과 치합되는 피니언(142)과, 피니언(142)을 회전시키는 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승강 장치(140)는 흡기 덕트(110)의 일측(예: 하측, 또는 상측)에 결합되어 흡기 덕트(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저스 리프트를 포함하거나, 흡기 덕트(110)의 일측(예: 하측, 또는 상측)에 결합되어 흡기 덕트(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 장치(140)는 흡기 덕트(1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동력원 및 동력 전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120)는 가열 장치(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2)의 상면(2a) 위로 노출될 수 있다. 본체(2)의 상면(2a) 위로 노출되는 배기 덕트(120)의 대략 상단부에는 토출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는 송풍기(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는 하우징(10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우징(104)에 결합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배기 덕트(120)의 이동과 흡기 덕트(110)의 이동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기 장치(100)는 배기 덕트(1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승강 장치(150)(또는 "배기 덕트 승강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배기 덕트(120)는 제2 승강 장치(150)에 의하여 위아래로 승강될 수 있다. 제2 승강 장치(150)는 배기 덕트(120)에 고정되는 랙(151)과, 랙(151)과 치합되는 피니언(152)과, 피니언(152)을 회전시키는 모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승강 장치(150)는 배기 덕트(120)의 일측(예: 하측, 또는 상측)에 결합되어 배기 덕트(1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저스 리프트를 포함하거나, 배기 덕트(120)의 일측(예: 하측, 또는 상측)에 결합되어 배기 덕트(1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승강 장치(150)는 흡기 덕트(1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동력원 및 동력 전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 장치(140)와 제2 승강 장치(150)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흡입구(102)는 흡기 덕트(1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토출구(103)는 배기 덕트(1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흡기 덕트(110) 및/또는 배기 덕트(120)는 각각 제1,2 승강 장치(140,150)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흡입구(102) 및/또는 토출구(103)를 하우징(104)의 내부로 은폐할 수 있다. 흡기 덕트(110) 및/또는 배기 덕트(120)는 각각 제1,2 승강 장치(140,150)에 의하여 상하 방향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흡입구(102) 및/또는 토출구(103)를 본체(2)의 상면(2a) 아래로 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4)은 공기 정화 장치(200)(예: 유증기 포집 장치(201))가 배치되는 정화 장치 수용부(104a)와, 정화 장치 수용부(104a)와 연통되고 흡기 덕트(11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될 수 있는 흡기 덕트 수용부(104b)와, 정화 장치 수용부(104a)와 연통되고 배기 덕트(1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될 수 있는 배기 덕트 수용부(104c)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02)가 본체(2)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 승강 장치(140)에 의하여 흡기 덕트(110)가 일방향으로(예: 하방으로) 이동될수록 흡기 덕트 수용부(104b)에 수용되는 흡기 덕트(110)의 부분은 증가될 수 있다. 흡기 덕트(110)가 일방향으로(예: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흡입구(102)는 흡기 덕트 수용부(104b)에 수용되어 하우징(104)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될 수 있다. 제2 승강 장치(150)에 의하여 배기 덕트(120)가 일방향으로(예: 하방으로) 이동될수록 배기 덕트 수용부(104c)에 수용되는 배기 덕트(120)의 부분은 증가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가 일방향으로(예: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토출구(103)는 배기 덕트 수용부(104c)에 수용되어 하우징(104)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될 수 있다. 배기 덕트 수용부(104c), 흡기 덕트 수용부(104b), 및 정화 장치 수용부(104a)는 적어도 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흡입구(102)가 은폐된 상태에서 위의 과정과 반대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흡입구(102)는 본체(2)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다. 토출구(103)가 은폐된 상태에서 위의 과정과 반대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토출구(103)는 본체(2)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체(2)의 상부 영역이라 함은 본체(2)의 상면(2a) 위의 외부 공간으로서 가열 장치(3)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환기 장치(10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흡입구(102)와 토출구(103)는 본체(2)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될 수 있고, 환기 장치(100)가 작동될 때 흡입구(102) 및/또는 토출구(103)는 본체(2)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본체(2)의 상면(2a) 또는 가열 장치(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160)는 배기 덕트(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조작하여 흡기 덕트(110)의 이동 여부, 배기 덕트(120)의 이동 여부, 및 송풍기(130)의 작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70)는 가열부(3a)에 놓여진 상태에서의 음식물 또는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170)는 본체(2), 흡기 덕트(110), 배기 덕트(120), 또는 가열 장치(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70)는 흡기 덕트(110)에 배치될 수 있고, 흡입구(102)가 본체(2)의 외부로 노출될 때 함께 본체(2)의 상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음식물 또는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2), 하우징(104), 흡기 덕트(110), 배기 덕트(120), 또는 가열 장치(3)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60) 및/또는 센서(170)의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부(160)의 신호 및/또는 센서(170)의 신호에 기반하여 송풍기(130)의 작동, 제1 승강 장치(140)의 작동, 및 제2 승강 장치(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2 승강 장치(140,150)를 제어함에 따라 흡기 덕트(1100 및 배기 덕트(1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토출구(103)는 흡입구(102)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유로(101a)를 따라서 공기 정화 장치(200)(예: 유증기 포집 장치(201))에 도달될 수 있고, 공기 정화 장치(200)를 통과하며 공기 정화 장치(2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송풍기(130)에 공급될 수 있고, 송풍기(130)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03)로 송풍될 수 있고, 송풍기(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03)를 통해 흡입구(102)를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흡기 덕트(110)와 배기 덕트(1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구(103)는 흡입구(102)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여 흡입구(102)와 멀기에 송풍기(130)에 의한 흡입력이 미치기 어려운 가열 장치(3) 전방 부근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구(102)로 이동시킬 수 있고, 환기 장치(100)의 환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00)의 토출구(103)는 가열 장치(3)와 사용자 사이에 위치되므로, 토출구(103)에서 가열 장치(3)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유증기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가열 장치(3)의 전방에서 조리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흡입구(10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03)로 안내하는 유로(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101a)는 흡기 덕트(110), 배기 덕트(120), 및 하우징(104)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로(101a)는 가열 장치(3)와 이격될 수 있다. 하우징(104)은 가열 장치(3)와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환기 장치에 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두 도 8에 도시된 환기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할 때, 환기 장치(100-1)의 유로(101a-1)는 가열 장치(3)와 연결(또는 연통)될 수 있고, 송풍기(1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 장치(3)에 공급할 수 있다. 가열 장치(3)는 환기 장치(100-1)의 유로(101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4-1)은 가열 장치(3)와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고, 송풍기(13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하우징(104-1)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101a-1)에 의해 가열 장치(3)로 안내되어 가열 장치(3)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환기 장치(100-1)의 유로(101a-1) 상에 가열 장치(3)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열 장치(3)는 송풍기(130)로부터 하류에서 유로(101a-1)에 배치되고 토출구(103)로부터 상류에서 유로(101a-1)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30)에서 토출된 공기는 가열 장치(3)를 냉각시키며 가열 장치(3)를 통과한 후에 토출구(103)로 안내되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송풍기(130)는 하우징(104-1)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풍팬(131)을 포함하는 송풍기(130)는 유로(101a-1) 상에 배치되는 가열 장치(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송풍팬(131)은 가열 장치(3)의 쿨링팬으로 지칭될 수 있고, 송풍기(130) 및 송풍팬(131)은 가열 장치의 일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즉, 가열 장치(3)의 쿨링팬(131)은 환기 장치(100-1)의 유로(101a-1)에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상방에서 바라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환기 장치에 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두 도 9 및 10에 도시된 환기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10을 참조할 때, 환기 장치(100-2)의 배기 덕트(121,122)는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121,122)는 일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04-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는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에 형성된 토출구는 제1 토출구(103a)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배기 덕트(122)에 형성된 토출구는 제2 토출구(103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흡기 덕트(110)는 하나의 흡기 덕트(110)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기 덕트(110)는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흡기 덕트(예: 제1,2 흡기 덕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04-2)은 정화 장치 수용부(104a-2)와 연결되고 제1,2 배기 덕트(121,122)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분지부(105)와 제2 분지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지부(105)는 제1 배기 덕트(121)와 대응되고, 제2 분지부(106)는 제2 배기 덕트(122)와 대응될 수 있다.
하우징(104-2)의 배기 덕트 수용부(104b-2a,104b-2b)는 제1 분지부(105)와 연결되고 제1 배기 덕트(121)가 결합되는 제1 배기 덕트 수용부(104b-2a)와, 제2 분지부(106)와 연결되고 제2 배기 덕트(122)가 결합되는 제2 배기 덕트 수용부(104b-2b)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30)(또는 "토출 송풍기")는 제1 배기 덕트(121)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3 송풍기(130a-2)와, 제2 배기 덕트(122)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4 송풍기(130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송풍기(130a-2)는 제1 분지부(105)와 연통될 수 있다. 제3 송풍기(130a-2)는 제1 분지부(10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송풍기(130b-2)는 제2 분지부(106)와 연통될 수 있다. 제4 송풍기(130b-2)는 제2 분지부(10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분지부(105)와 제1 배기 덕트 수용부(104b-2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지부(106)와 제2 배기 덕트 수용부(104b-2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송풍기(130a-2)와 제4 송풍기(130b-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3 송풍기(130a-2)와 제4 송풍기(130b-2)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3 송풍기(130a-2)가 작동될 때 제1 배기 덕트(121)에 형성된 제1 토출구(103a)는 공기를 토출하고, 제4 송풍기(130b-2)가 작동될 때 제2 배기 덕트(122)에 형성된 제2 토출구(103b)는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3 송풍기(130a-2)의 송풍팬과 제4 송풍기(130b-2)의 송풍팬은 서로 같거나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고, 제3 송풍기(130a-2)와 제4 송풍기(130b-2)는 서로 같거나 다른 유량의 공기를 제1,2 배기 덕트(121,122)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토출구(103a)와 제2 토출구(103b)는 서로 같거나 다른 유량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환기 장치(100-2)는 하우징(104-2) 내부에 배치되는 유량 분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4-2)의 일 측에는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가 결합될 수 있다. 유량 분배 장치는 송풍기(130)로부터 하류에서 유로(101a-2)에 배치될 수 있고 제1,2 배기 덕트(121,122)의 상류에서 유로(101a-2)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3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유량 분배 장치에 의해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로 분배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제1 토출구(103a)와 제2 토출구(103b)의 토출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회전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회전 장치는 제1 배기 덕트(121)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 장치와 제2 배기 덕트(122)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장치는 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력을 이용하여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 각각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승강 장치(또는 "배기 덕트 승강 장치")는 제1 배기 덕트(1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승강 장치와, 제2 배기 덕트(12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 승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는 제3 승강 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회전 장치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배기 덕트(122)는 제4 승강 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회전 장치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4 승강 장치(예: 시저스 리프트 또는 유압 실린더)에 제1,2 회전 장치(예: 모터)가 고정될 수 있고, 제1,2 회전 장치와 제1,2 배기 덕트가 결합될 수 있다. 제3,4 승강 장치에 의하여 제1,2 회전 장치와 제1,2 배기 덕트(121,122)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1,2 토출구(103a,103b)가 본체(2)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1,2 회전 장치는 제1,2 배기 덕트(121,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승강 장치와 회전 장치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 장치는 생략될 수 있다. 제1,2 토출구(103a,103b)가 본체(2)의 상부 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2 배기 덕트(121,122)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2)의 상면(2a) 상으로 돌출 또는 노출될 수 있다. 제1,2 배기 덕트(121,122)는 하우징(10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2 배기 덕트(121,122)는 수동으로 회전되거나 회전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는 각각 가열 장치(3)의 좌측 전방과 우측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배기 덕트(121,122)는 가열 장치(3)의 좌우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가 회전됨에 따라서 제1,2 토출구(103a,103b)와 대응되는 가열부(3a)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 가열부(3a)를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제1,2 토출구(103a,103b)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오염된 공기가 많이 배출되는 가열부(3a)를 향하도록 토출구(103a,103b)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오염된 공기가 많이 배출되는 가열부(3a)를 향하는 토출구(103a,103b)에서 다른 토출구보다 더 많은 유량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환기 장치(100-2)에 의한 환기가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또는 도 9에 도시된 환기 장치에 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두 도 11에 도시된 환기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할 때, 환기 장치(100-3)의 배기 덕트(120-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3)는 하나의 배기 덕트(120-3)일 수 있고, 가열 장치(3)의 상방에서 바라볼 때 가열 장치(3)의 좌우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예: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배기 덕트(120-3)의 토출구(103-3)는 복수의 가열부(3a)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고, 대응되는 가열부(3a)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만을 흡입구(102)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기 덕트(120-3)의 토출구(103-3)와 대응되는 가열부(3a)는 기설정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환기 장치(100-3)는 배기 덕트(120-3)와 대응되는 가열부(3a)에서 발생되는 유증기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에어 커튼은 복수의 가열부(3a) 중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기 장치(100-3)의 부피 및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지금까지, 환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포집 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11에 도시된 환기 장치(100,100',100-1,100-2,100-3)는 공기 정화 장치(200)의 일종인 유증기 포집 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환기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설명은 도 3 내지 4, 8 내지 9, 및 11에 도시된 환기 장치(100',100-1,100-2,100-3)에 마련되는 유증기 포집 장치(20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유증기가 제거된 공기가 토출구(103)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103)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유증기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송풍기(130)가 유증기에 노출되어 오염되거나 오작동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130)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유증기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유로(101a)를 흐르는 공기는 유증기 포집 장치(201)를 통과하여 진행할 수 있고,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유로(101a)를 흐르는 공기에서 유증기를 제거할 수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환기 장치(100)의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하우징(10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하우징(104)의 정화 장치 수용부(104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적어도 일부가 배기 덕트(120)의 내부 및/또는 흡기 덕트(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복수의 유증기 포집 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정화 장치 수용부(104a)에 배치되는 제1 유증기 포집 장치와, 적어도 일부가 흡기 덕트(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유증기 포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유증기가 공기에서 분리되어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포집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증기는 포집 부재(210)에 미세한 기름 방울의 형태로 부착되거나, 수증기와 혼합되어 물과 기름이 혼합된 미세한 방울의 형태로 포집 부재(210)에 부착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유증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집 부재(210)는 유증기가 공기에서 분리되도록 유증기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 부재(210)는 메쉬 망으로 형성되어 유증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집 부재(210)에는 별도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력은 송풍기(130)에만 공급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금속 재질(예: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복수의 포집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복수의 포집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 내부에 배치되는 유증기 포집 장치(201)의 복수의 포집 부재(210)는 서로 이격되게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플레이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1)는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일 수 있다. 플레이트(211)는 유로(101a)를 흐르는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11)는 하우징(10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의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집 부재(210)는 복수의 핀(fin)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방열판, 냉매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201)는 포집 부재(210)(예: 플레이트(211))를 냉각시키도록 마련되는 냉각 장치(220)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 장치(220)는 포집 부재(210)(예: 플레이트(211))에 결합될 수 있다. 냉각 장치(220)는 외부의 전원(또는 "전원부")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포집 부재(210)를 냉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 장치(220)는 플레이트(211)의 일면 상에 고정되어 플레이트(211)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221)(또는 "열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전원(또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환기 장치 바디(101)의 외부의 전원(또는 "전원부")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펠티어 소자(211)는 펠티어 효과에 의하여 플레이트(211)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각 장치(220)는 냉매(예: 물)를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냉각 장치(220)는 포집 부재(210)(예: 냉매관)에 냉매를 공급하여 포집 부재(210)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즉, 포집 부재(210)(예: 냉매관)는 냉매(예: 물)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가 냉각됨에 따라 유증기는 포집 부재(210)의 표면에 응축되어 기름 방울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고, 오염된 공기로부터 유증기가 제거될 수 있다.
포집 부재(210)는 하우징(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포집 부재(210)에 포집된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포집 부재(210)는 세척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포집 부재(210) 표면에 부착된 기름 방울은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짐에 따라 포집 부재(210)에 포집된 유증기는 제거될 수 있고,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바닥면에 모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포집 부재(210) 표면에 부착된 기름 방울은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고, 포집 부재(210)의 하부에는 물이 담긴 수조 또는 물이 담기지 않은 트레이가 배치될 수 있으며, 포집 부재(210)로부터 떨어져 나간 기름 방울은 청소가 용이하도록 수조 또는 트레이에 모일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포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4는 유증기 포집 장치가 도 2에 도시된 환기 장치(100)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유증기 포집 장치(301,401,501)는 도 3 내지 4, 8 내지 9, 및 11에 도시된 환기 장치(100',100-1,100-2,100-3)에 마련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내용이 상술하는 내용과 충돌하거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하였던 내용은 모두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환기 장치 및 유증기 포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유증기 포집 장치(301)는 유증기가 공기에서 분리되어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포집 부재(310)와, 오염된 공기의 유증기를 대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이오나이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부재(31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 부재(310)는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 부재(310)는 전도성 재질(예: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3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310)는 플레이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11)는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일 수 있다. 플레이트(311)는 유로(101a)를 흐르는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01a)는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의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집 부재(310)는 복수의 핀(fin)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방열판, 냉매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오나이저(32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101)는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101)는 포집 부재(310)(예: 플레이트(311))로부터 상류에서 유로(101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320)는 정화 장치 수용부(104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오나이저(320)는 흡기 덕트 수용부(104b)의 내부 및/또는 흡기 덕트(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 장치(10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외부 또는 내부에 마련되고 이오나이저(320)로의 전력 공급 및/또는 플레이트(311)의 대전을 수행하는 전원부(330)(또는 "전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330)는 이오나이저(320) 및/또는 플레이트(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320)는 흡입구(102)로부터 유로(101a)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유증기를 대전시킬 수 있다. 대전된 유증기는 대전된 포집 부재(310)(예: 플레이트(311))를 향해 유동될 수 있고, 대전된 유증기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포집 부재(3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포집 부재(310)는 부착된 유증기의 열을 빼앗아 응축시킬 수 있다. 즉, 응축된 유증기는 포집 부재(310)(예: 플레이트(311))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포집 부재(310)의 표면의 유증기는 응축되어 기름 방울이 되므로, 포집 부재(310)(예: 플레이트(311))에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포집 부재(310)가 대전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유증기는 공기 중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유증기 포집 장치(401)는 유증기가 공기에서 분리되어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포집 부재(410)와, 포집 부재(4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물이 수용되는 수조(420)와, 수조(420)의 물을 증발시키는 수증기 발생 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부재(41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 부재(410)는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 부재(410)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410)는 금속 재질(예: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410)는 플레이트(4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411)는 상하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플레이트(411)는 유로(101a)를 흐르는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411)는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의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포집 부재(410)의 하부에는 수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조(420)는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조(420)에는 물이 담겨있을 수 있다.
수증기 발생 장치(430)는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증기 발생 장치(43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외부의 전원(또는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수증기 발생 장치(430)는 수조(420)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수증기 발생 장치(430)는 적어도 일부가 수조(420)의 물에 잠겨 있을 수 있다. 수증기 발생 장치(430)는 열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을 기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증기 발생 장치(430)는 다양한 기작에 기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족하다.
수증기 발생 장치(430)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는 유증기와 혼합되어 포집 부재(410)(예: 플레이트(411))의 표면에 응축될 수 있고 유증기는 오염된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유증기는 직접 수조(420)의 물과 접촉되어 응축됨에 따라 오염된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포집 부재(410)(예: 플레이트(411))는 포집 부재(410)의 표면에 부착되고 응축된 기름을 포함하는 물방울을 수조(420)로 안내하는 가이드 곡면(411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곡면(411a)은 복수의 가이드 곡면(411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곡면(411a)은 포집 부재(4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고, 포집 부재(41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수조(420)와 가까워지거나 포집 부재(410)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수조(420)와 가까워지는 곡면일 수 있다.
수조(420)와 가장 가까운 가이드 곡면(411a)의 일단은 수조(420)에 담긴 물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t)만큼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곡면(411a)의 일단과 물의 표면 사이의 간극(t)을 통하여 유로(101a)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유증기 포집 장치(501)는 유증기가 공기에서 분리되어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포집 부재(510)와, 포집 부재(5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물이 수용되는 수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 부재(510)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 부재(510)는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 부재(510)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510)는 금속 재질(예: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510)는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51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511a)은 포집 부재(5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포집 부재(5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포집 부재(510)는 복수의 홀(511a)이 표면에 형성되는 실린더(51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511)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유증기 포집 장치(501)는 환기 장치 바디(101)의 외부의 전원(또는 "전원부")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실린더(51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511)는 회전 장치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511)는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실린더(511)의 중심축은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의 기류의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포집 부재(510)의 하부에는 수조(52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조(520)는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조(520)에는 물이 담겨있을 수 있다.
포집 부재(510)(예: 실린더(511))의 적어도 일 부분은 수조(520)의 물에 잠겨 있을 수 있다. 실린더(511)는 일 부분이 물에 잠긴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수조(520)의 물에 잠긴 복수의 홀(511a)에는 수조(520)의 물이 스며들 수 있고, 실린더(511)가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홀(511a)은 수조(520)의 물을 수면 위로 운반하여 유로(101a)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520)의 물에 의하여 포집 부재(510)(예: 실린더(511))는 차갑게 냉각될 수 있다.
포집 부재(510)(예: 실린더(511))는 홀(511a)에 스민 물과 유증기를 접촉시킬 수 있고, 홀(511a)에 스민 물과 접촉된 유증기는 응축되어 오염된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유증기는 직접 수조(520)의 물에 접촉되어 응축됨에 따라 오염된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수조(520)의 물에 의하여 차갑게 유지되는 포집 부재(510)(예: 실린더(511))의 표면에 유증기가 응축되어 오염된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14에 따른 조리기기의 환기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환기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도면부호 및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환기 장치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환기 시스템은 가열 장치를 갖는 조리 기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본체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열장치는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열장치는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환기 시스템은 환기장치를 포함하되 가열장치를 갖는 조리기기는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기장치와 가열장치는 별도의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가열장치는 별도의 장치와 연동되게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열장치의 세부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14에 따른 조리기기의 가열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도면부호 및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환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은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개구된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수납 공간을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수납장 도어(4)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장 도어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가열 장치(3)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장치(3)는 본체(2)의 상면(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가열장치(3)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환기장치(100)는 가열 장치(3)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흡입구(102)를 포함하는 환기장치바디(101)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장치바디(101)의 흡입구(102)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환기장치바디(101)의 토출구(103)는 유로(101a)로부터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환기장치바디(101)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100)는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30)는 환기장치바디(101)의 내부에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유로(10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100)는 환기장치바디(101)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공기에서 유증기가 제거되도록 흡입된 공기로부터 유증기를 필터링하는 유증기포집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증기포집장치(20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필터링된 유증기가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포집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재(210)는 유증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재(210)는 유증기가 공기에서 분리되도록 유증기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 부재(210)는 메쉬 망으로 형성되어 유증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포집 부재(210)에는 별도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력은 송풍기(130)에만 공급될 수 있다.
유증기포집장치(201)는 포집부재(210)를 냉각시키도록 전력을 공급받는 냉각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증기는 냉각에 의해 포집부재(210)에 응축될 수 있다.
포집부재(210)는 플레이트(211)를 포함하고, 냉각장치(220)는 플레이트(211)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101a)는 환기장치바디(10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증기포집장치(201)는 송풍기(130)로부터 상류의 유로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증기포집장치(201)는 송풍기(130)로부터 하류에 유로에 위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바디(101)는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04), 하우징(104)의 일측에 결합되는 흡기덕트(110)를 포함하고 흡입구(102)는 본체(2)의 상부공간으로 노출되는 흡기덕트(110)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유증기포집장치(201)는 하우징(10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증기포집장치(201)는 흡기덕트(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증기포집장치(301)는 유증기를 대전시키는 이오나이저(320)를 포함하고, 포집부재(310)는 이오나이저(320)에 의해 대전된 유증기가 부착되도록 대전되는 플레이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11)는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일 수 있다. 플레이트(311)는 유로(101a)를 흐르는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01a)는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4)(예: 정화 장치 수용부(104a))의 내부의 기류의 방향과 나란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집 부재(310)는 복수의 핀(fin)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방열판, 냉매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유증기포집장치(401)는 포집부재(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420)와, 수조(420)의 물을 기화시키는 수증기발생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증기는 유증기와 혼합되어 포집부재(41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포집부재(410)는 포집부재(410)의 표면에 응축된 물방울을 수조(420)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곡면(411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곡면(411a)은 복수의 가이드 곡면(411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곡면(411a)은 포집 부재(4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고, 포집 부재(41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수조(420)와 가까워지거나 포집 부재(410)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수조(420)와 가까워지는 곡면일 수 있다.
유증기포집장치(501)는 포집부재(5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수조(520)와, 포집부재(51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재(510)는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511a)을 포함하고, 포집부재(510)는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홀(511a)에 스민 물을 유증기에 노출시킬 수 있다.
환기장치바디(101)는 하우징(104)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기덕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덕트(120)는 송풍기(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흡입구(102)를 향해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토출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덕트(110)는 가열장치(3)의 후방에 배치되고 배기덕트(120)는 가열장치(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100)는 가열장치(3)의 전방에서 조리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유증기가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토출구(103)를 통해 가열장치(3)의 후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00-1)의 유로(101a-1)는 가열 장치(3)와 연결(또는 연통)될 수 있고, 송풍기(1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 장치(3)에 공급할 수 있다. 가열 장치(3)는 환기 장치(100-1)의 유로(101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00-2)의 배기 덕트(121,122)는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121,122)는 일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04-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는 제1 배기 덕트(121)와 제2 배기 덕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기 덕트(121)에 형성된 토출구는 제1 토출구(103a)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배기 덕트(122)에 형성된 토출구는 제2 토출구(103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흡기 덕트(110)는 하나의 흡기 덕트(110)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기 덕트(110)는 복수의 배기 덕트(121,122)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흡기 덕트(예: 제1,2 흡기 덕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기술분야의 당 업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 조리기기
2; 본체
3; 가열 장치
100; 환기 장치
102; 흡입구
103; 토출구
200; 공기 정화 장치
201; 유증기 포집 장치
210; 포집 부재
220; 냉각 장치

Claims (20)

  1. 본체; 및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는
    가열 장치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바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 및
    상기 환기 장치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공기에서 유증기가 제거되도록 흡입된 공기로부터 유증기를 필터링하는 유증기 포집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표면에 필터링된 유증기가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포집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부재를 냉각시키도록 전력을 공급받는 냉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유증기는 상기 포집부재에 응축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부재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유증기를 대전시키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 부재는
    상기 이오나이저에 의해 대전된 유증기가 부착되도록 대전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기화시키는 수증기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증기는 상기 유증기와 혼합되어 상기 포집 부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부재는
    상기 포집 부재의 표면에 응축된 물방울을 수조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곡면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수조와, 상기 포집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 부재는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재는 상기 회전 장치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홀에 스민 물을 유증기에 노출시키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유로는 상기 환기 장치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류의 유로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 바디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흡기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상기 흡기 덕트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흡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 바디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기 흡입구를 향해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덕트는 상기 가열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가열 장치의 전방에서 조리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유증기가 확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가열 장치의 후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16. 가열부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가열 장치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는
    흡입구 및 토출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로 상에 마련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가 접촉되는 포집 부재 및 상기 포집 부재를 냉각시켜 유증기를 응축시키도록 마련되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유증기 포집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및 상기 유증기 포집 장치는 상기 가열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가열 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오염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조리기기.
  20. 조리 중 발생하는 유증기를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유증기 포집 장치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유증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접촉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에 유증기가 응축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유증기 포집 장치.

KR1020220037646A 2021-03-25 2022-03-25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KR20220133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4267 WO2022203472A1 (ko) 2021-03-25 2022-03-25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US18/061,269 US20230098531A1 (en) 2021-03-25 2022-12-02 Oil mist filter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8553 2021-03-25
KR1020210038553 2021-03-25
KR1020220033614A KR20220133783A (ko) 2021-03-25 2022-03-17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20033614 2022-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821A true KR20220133821A (ko) 2022-10-05

Family

ID=8359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646A KR20220133821A (ko) 2021-03-25 2022-03-25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38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298B1 (ko) 2023-06-26 2023-12-08 김영광 유증기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298B1 (ko) 2023-06-26 2023-12-08 김영광 유증기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4626A (ja) 再循環排気システム
US20220146114A1 (en) Hob system
JP2008307217A (ja) 無煙ロースター
KR20210090474A (ko) 환기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20220133821A (ko)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JPH06347047A (ja) 煙の浄化システム
US20210396394A1 (en) Kitchen exhaust recovery system
JP2012007873A (ja) 室内循環式空気浄化装置
KR20220133783A (ko)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20153501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98531A1 (en) Oil mist filter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20065463A1 (en) Air flow management for cooking system
US6974375B1 (en) Double vent dust collection hood with inspection lighting, storage shelf and sandpaper dispensers
CN116427141A (zh) 衣架装置
KR102213160B1 (ko) 후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20044997A (ko) 가변 팬 구동부를 지닌 이동식 재순환 그릴
JP2004141191A (ja) 業務用調理装置
CN213362584U (zh) 油烟净化设备
CN116868008A (zh)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0116530A (ja) フィルター浄化式ノンダクトロースター
EP4269878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76009B1 (ko) 주방용 후드
JP2004156796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JP2012007831A (ja) 室内循環型レンジフード
KR20110070441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