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077A - 분리수거 부스 - Google Patents

분리수거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077A
KR20220133077A KR1020210130673A KR20210130673A KR20220133077A KR 20220133077 A KR20220133077 A KR 20220133077A KR 1020210130673 A KR1020210130673 A KR 1020210130673A KR 20210130673 A KR20210130673 A KR 20210130673A KR 20220133077 A KR20220133077 A KR 2022013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uxiliary
booth
wall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782B1 (ko
Inventor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to KR102021013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7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7/00Sorting by hand only e.g. of mail
    • B07C7/04Apparatus or accessories for hand 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3Removing scrap from containers, e.g. removin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8Special structures in or on roofs, e.g. dorme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수거 부스에 관한 것으로, 폐기물의 분리수거를 위한 분리수거함(60)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측벽과 후방벽 및 지붕을 갖는 부스 본체(1); 및 상기 부스 본체(1)의 측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부스 본체(1)의 측방에 상기 설치공간과 별도의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이동식 캐노피(110);를 포함하며, 보조공간을 필요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수거 부스 {SEPATATE COLLECTION BOOTH}
본 발명은 분리수거 부스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분리하는 분리수거함이 구비되고,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분리수거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수거 부스는 통상 지상에 설치되고, 지붕 및 양측벽이 구비어 지붕 및 약측벽의 내측 공간에 분리수거함이 구비된다. 분리수거 부스는 다수의 분리수거함이 구비됨에 따라 플라스틱, 캔, 비닐, 폐지 및 유리병 등을 제각기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주민들은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편리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0-0949039호(박진만)는 전술한 분리수거 부스에 관한 것으로, 정면에 개방된 2 개의 출입구(20)를 형성하고, 전방 및 후방에 다수의 기둥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면이 외부와 차단되게 하는 지붕판(22)이 설치되면서, 상기 지붕판 하부에 공간부(30)를 형성하는 골격부(10); 상기 공간부(30)의 중앙 후방에서, 전방에 개폐가 가능한 출입문(26)을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악취가 상기 공간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상기 공간부 중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에 내장되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각 세대별로 요금을 정산하고, 상기 수거된 음식 쓰레기를 건조 처리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장치(32); 상부는 상기 다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는 인접하는 2 개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간부(30)의 투시가 가능한 외벽부(40); 및 상기 지붕판(22) 상부에 설치되어, 수광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32)에 인가하는 태양광 발전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부(30a)의 좌우 측에는 각각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재활용품 수거부(34) 또는 폐지를 수거하는 폐지 수거부(36)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전술한 조립식 부스는 공장에서 사전에 제조된 후 설치현장에 설치되므로 설치현장의 특성이나 사용상의 필요성에 따라 공간을 확장시킬 수 없고, 단순하게 설계되어 폐기물만 분리수거함에 저장할 수 있을 뿐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49039호(박진만)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부스의 측방에 보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분리수거 부스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보조공간을 필요에 따라 출몰식으로 제공하거나, 보조공간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수거 부스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저용량의 페트병이나 대용량의 페트병에 부착된 라벨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구비된 분리수거 부스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페트병을 별도의 구성요소를 통해 가압하여 라벨을 제거할 수 있는 분리수거 부스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조공간의 내부에 선반을 제공할 수 있는 분리수거 부스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수거 부스는, 폐기물의 분리수거를 위한 분리수거함(60)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부스 본체로 이루어진 분리수거 부스에 있어서, 상기 부스 본체는, 바닥을 제공하기 위한 바닥골조(11)와, 측벽 및 후방벽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바닥골조(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벽체골조(13) 및 상기 벽체골조(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붕을 제공하는 상부골조(15)로 이루어진 부스 골조(10); 상기 부스 골조(10)의 상기 바닥골조(11)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골조(11)의 상부를 차폐하며, 상기 설치공간을 상부에 제공하는 바닥판(40); 상기 부스 골조(10)의 상기 벽체골조(13) 및 상기 상부골조(15)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골조(10)의 내측에 내벽 및 천장을 제공하는 내장재(20); 및 상기 부스 골조(10)의 상기 벽체골조(13) 및 상기 상부골조(15)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골조(10)의 외측에 외벽 및 지붕을 제공하는 외장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 본체의 분리수거함(60)에 분리수거되는 페트병에서 라벨이 분리되도록 페트병의 라벨을 절단하는 페트병 라벨 절단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페트병이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페트병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페트병 삽입 부재; 및 상기 페트병 삽입 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페트병에서 상기 라벨이 절단하는 라벨 커팅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구성이 서로 상이한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 및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페트병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페트병 삽입 부재를 제공하는 원통(71); 및 상기 원통(71)의 내부에 돌출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원통(71)에 삽입되는 상기 페트병의 상기 라벨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원통(71)의 내부에 상기 라벨 커팅 부재를 제공하는 절단칼(7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페트병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페트병 삽입 부재를 제공하는 서랍(92); 상기 서랍(92)이 일측의 개방구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서랍 하우징(91); 및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내부로 상기 서랍(92)이 삽입되면서 상기 페트병의 상기 라벨이 절단되도록 돌출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라벨의 절단을 위한 상기 커팅 부재를 제공하는 절단칼(7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원통(71)에 삽입된 상기 페트병을 가압하는 가압기(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기(80)는, 상기 원통(71)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관(82); 상기 수직관(82)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수직으로 끼워지는 승강관(81); 상기 수직관(82)에 내장되어 상기 승강관(8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SP); 상기 승강관(81)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SP)의 상부이탈을 방지하고, 상부에 요크가 구비된 요크판(84); 상기 요크판(84)의 요크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고, 수평상태에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승강관(81)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원통(71)에 삽입된 상기 페트병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판(83); 및 상기 승강관(81)의 일부분을 상기 수직관(82)에 구속시켜서 상기 승강관(81)이 상기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직관(8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서랍(92)의 일단부을 가압하여 상기 서랍(92)의 타단부를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서랍 하우징(91)에 내장되어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서랍(92)의 일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SP); 및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SP)에 끼워져서 상기 스프링(SP)의 이탈을 방지하는 끼움축(91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상기 설치공간과 별도의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이동식 캐노피(110);를 더 포함하며,상기 이동식 캐노피(110)는,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보조 측벽(111)을 제공하기 위한 벽체프레임(101a)과, 상기 부스 본체의 후방에 보조 후방벽(112)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벽체프레임(101a)에 직교상태로 설치되는 후방프레임(101c) 및 상기 부스 본체의 상부에 보조 지붕(113)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벽체프레임(101a) 및 상기 후방프레임(101c)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1b)으로 이루어진 보조 골조(101); 상기 보조 골조(101)의 상기 벽체프레임(101a)과 상기 후방프레임(101c) 및 상기 상부프레임(101b)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골조(101)의 내측에 내벽 및 천장을 제공하는 내장 판넬(102); 상기 보조 골조(101)의 상기 벽체프레임(101a)과 상기 후방프레임(101c) 및 상기 상부프레임(101b)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골조(101)의 외측에 외벽 및 지붕을 제공하는 외장 판넬(103); 및 상기 내장 판넬(102) 및 상기 외장 판넬(103)이 설치된 상기 보조 골조(10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캐노피(110)는, 상기 보조 골조(101)의 내측 및 외측에 상기 내장 판넬(102) 및 상기 외장 판넬(103)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보조 측벽(111)과 상기 보조 후방벽(112) 및 상기 보조 지붕(113)을 제공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상기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식 캐노피(110)는, 상기 보조 측벽(111)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 측벽(111)의 내측에 출몰식 선반을 제공하는 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보조 측벽(111)의 내측면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판(141); 상기 보조 측벽(111)의 내측면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에 의해 수평을 이루는 상기 회전판(141)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141)을 수평상태로 고정하는 지지봉(142); 및 상기 회전판(141)의 하부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수평상태의 상기 회전판(141)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봉(142)이 걸림에 따라 상기 지지봉(142)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141a);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보조 지붕(113)의 하부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보조 지붕(113)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122); 상기 보조 측벽(111)의 하단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측벽(111)이 상기 롤러(122)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보조 지붕(113)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보조 측벽(1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스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캐스터(13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122)가 결합되는 레일(121);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롤러(122)에 의한 상기 보조 지붕(113)의 이동을 중단시켜서 상기 보조 지붕(113)이 상기 부스 본체(1)의 지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보조 지붕(113)의 하부에 돌출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보조 지붕(113)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판(111a); 및 상기 부스 본체(1)의 지붕에 돌출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11a)이 걸리는 걸림판(111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500mL의 용량 또는 500mL 보다 용량이 적은 저용량 페트병에서 라벨을 절단하는 저용량 라벨 절단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1.5L 내지 2L의 용량을 갖는 대용량 페트병에서 라벨을 절단하는 대용량 라벨 절단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승강관(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승강관(8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장공 가이드(81a); 및 상기 장공 가이드(81a)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관(82)에 일단부가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장공 가이드(81a)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핀;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기(80)는, 상기 요크판(84)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판(84)에서 상기 가압판(83)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84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용량 라벨 절단기의 상기 원통(71) 및 상기 대용량 라벨 절단기의 상기서랍(92)은, 바닥에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공(71b, 92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랍(92)은, 상기 스프링(SP)에 의해 지지되는 일단부에 상기 끼움축(91b)이 관통상태로 삽입되는 축공(92d)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부스 본체가 부스 골조, 바닥판, 내장재 및 외장재로 구성되고, 이동식 캐노피가 보조 골조, 내장 판넬 및 외장 판넬로 구성되므로 용이하게 부스 본체 및 이동식 캐노피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이동식 캐노피가 슬라이딩되므로 분리수거함이 설치된 부스 본체의 측방에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캐노피가 슬라이딩시, 보조 측벽과 보조 후방벽 및 보조 지붕을 제공하므로 바람이나 햇빛을 다양한 방향에서 차단할 수 있다.
또, 이동식 캐노피의 슬라이딩 가이드가 롤러와 캐스터 및 레일로 구성되므로 슬라이딩 가이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스토퍼가 설치될 경우 슬라이딩되는 이동식 캐노피가 부스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토퍼가 이동판 및 걸림판으로 구성되므로 스토퍼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페트병 라벨 절단기가 구비되므로 페트병의 라벨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페트병 라벨 절단기가 저용량 라벨 절단기 및/또는 대용량 라벨 절단기로 구성되므로 페트병의 용량이 달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저용량 라벨 절단기가 원통 및 절단칼로 구성되므로 저용량 페트병을 원통에 삽입하여 가압만 해도 라벨을 절단할 수 있다.
아울러, 대용량 라벨 절단기가 서랍식으로 구성되므로 서랍을 슬라이딩하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라벨을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을 절단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저용량 라벨 절단기에 승강식 가압기가 구성될 경우 가압기로 원통에 삽입된 페트병을 가압하므로 절단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대용량 라벨 절단기에 이젝터가 구비될 경우 서랍의 일부분을 항상 서랍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서랍에 페트병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게다가, 원통 및/또는 서랍의 바닥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마련되므로 원통 및 서랍에 물이나 이물질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식 캐노피의 보조 측벽에 절첩식 랙이 구비되므로 필요에 따라 랙을 통해 선반을 제공할 수 있고, 랙의 회전판 및 지지봉이 절첩되므로 미사용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스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골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장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장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스 골조의 벽체골조에 내장재 및 외장재가 설치된 것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정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에 분리수거함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배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측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부스 본체에 페트병 라벨 절단기가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저용량 라벨 절단기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저용량 라벨 절단기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저용량 라벨 절단기에 가압기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저용량 라벨 절단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7은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대용량 라벨 절단기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대용량 라벨 절단기의 측단면도;
도 19는 도 8에 도시된 부스 본체에의 측방에 이동식 캐노피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이동식 캐노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이동식 캐노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이동식 캐노피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도 20의 이동식 캐노피에 랙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랙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5는 도 20에 도시된 랙의 저면 사시도;
도 26은 도 8에 도시된 부스 본체의 측방에 어닝이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어닝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일부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 부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수거 부스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스 본체(1), 그리고 도 19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식 캐노피(110)를 포함한다. 부스 본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의 분리수거를 위한 분리수거함(60)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측벽과 후방벽 및 지붕을 갖는다.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의 측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에 의해 부스 본체(1)의 측방에 전술한 설치공간과 별도의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한다.
부스 본체(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골조(10), 바닥판(40), 내장재(20) 및 외장재(30)를 포함한다. 부스 골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제공하기 위한 바닥골조(11)와, 측벽 및 후방벽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골조(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벽체골조(13) 및 지붕을 제공하기 위해 벽체골조(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골조(15)로 이루어진다. 바닥골조(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파이프로 이루어져서 용접에 의해 격자형태를 이루는 세로대(11a) 및 가로대(11b)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골조(11)는 도 2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판(11d)이 격자를 이루는 세로대(11a) 및 가로대(11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앵커판(11d)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공(AH)이 구비되며, 앵커공(AH)을 통해 미도시된 앵커가 관통하여 지중에 박힌다. 따라서, 바닥골조(11)는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앵커의 고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벽체골조(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골조(1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13a) 및 이러한 기둥(13a)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크로스바(13b)로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바(13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3a)의 길이를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된다.
상부골조(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골조(13)를 구성하는 기둥(13a)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각의 틀형태를 이루는 외곽빔(15a) 및 이러한 외곽빔(15a)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이격빔(1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판(4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골조(11)에 설치되어 바닥골조(11)의 상부를 차폐한다. 바닥골조(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수거함(6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상부에 제공한다. 바닥판(40)은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42)가 구비됨에 따라 바닥골조(11)의 측방을 차폐한다. 바닥판(40)은 설치시 전술한 벽체골조(13)의 기둥(13a)과 간섭되지 않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부(CT)가 구비된다. 따라서, 바닥판(40)은 바닥골조(11)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된다.
내장재(2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골조(10)의 벽체골조(13) 및 상부골조(15)에 설치되되, 부스 골조(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부스 골조(10)의 내측에 내벽 및 천장을 제공한다. 내장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골조(13)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벽판(21) 및 벽판(21)의 상부에 절곡상태로 설치되어 상부골조(15)의 내측(하부)에 설치되는 천장판(23)으로 구성된다.
벽판(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WD)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창문공(WH)이 형성될 수 있다. 벽판(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판(21b)이 구비될 수도 있다. 기둥판(21b)은 부스 골조(10)의 기둥(13a)에 대응하도록 벽판(21)에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3a)의 절반을 감싸서 차폐한다. 이러한 기둥판(21b)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부스 골조(10)의 크로스바(13b)를 감싸도록 벽판(21)의 창문공(WH)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벽판(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절개부(CT)가 구비된다. 벽판(21)은 벽체골조(13)에 설치될 경우, 절개부(CT)에 바닥골조(11)의 세로대(11a)가 삽입된다. 따라서, 벽판(21)은 하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하단부의 유동이 억지된다.
천장판(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로 구성되어 벽판(21)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며, 상부골조(15)의 내측(하부면)을 차폐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천장판(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배선공(23a)이 구비될 수 있다.
외장재(3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골조(10)의 벽체골조(13) 및 상부골조(15)에 설치되되, 부스 골조(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부스 골조(10)의 외측에 외벽 및 지붕을 제공한다. 외장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골조(13)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벽판(31) 및 벽판(31)의 상부에 절곡상태로 설치되어 상부골조(15)의 외측(상부)에 설치되는 지붕판(33)으로 구성된다.
벽판(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WD)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창문공(WH)이 형성될 수 있다. 벽판(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판(31b)이 구비될 수도 있다. 기둥판(31b)은 부스 골조(10)의 기둥(13a)에 대응하도록 벽판(31)에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3a)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서 차폐한다. 즉, 기둥판(31b)은 전술한 내장재(20)의 기둥판(21b)이 감싸지 못한 절반을 감싼다. 이러한 기둥판(31b)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부스 골조(10)의 크로스바(13b)를 감싸도록 벽판(31)의 창문공(WH)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지붕판(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판(31)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며, 상부골조(15)를 차폐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지붕판(33)은 상부골조(15)의 전방 및 측방이 차폐되도록 선단 및 측면이 절곡될 수 있다. 지붕판(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전선의 배선을 위한 배선공(33a)이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지붕판(33)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부위에 미도시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유입공(CH)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볼트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볼트 유입공(CH)을 통해 삽입된 후 상부골조(15)에 체결됨에 따라 지붕판(33)을 상부골조(15)에 일체로 고정한다.
전술한 볼트 유입공(CH)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판(31)이나 기둥판(31b)에도 형성되고, 전술한 내장재(20)의 벽판(21)이나 기둥판(21b)에도 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장재(20) 및 외장재(30)는 볼트 유입공(CH)으로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부스 골조(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내장재(20) 및 외장재(30)의 기둥판(21b, 31b)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절곡부(EN)가 구비된다. 절곡부(EN)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절곡부(A), 2차 절곡부(B) 및 3차 절곡부(C)로 구성된다. 1차 절곡부(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로 이루어진 내장재(20) 및 외장재(30)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볼트(BT)가 유입되는 전술한 볼트 유입공(CH)이 형성된다. 2차 절곡부(B)는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절곡부(A)에서 직각으로 절곡된다. 3차 절곡부(C)는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절곡부(B)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며, 볼트(BT)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BH)이 형성된다. 3차 절곡부(C)는 도 5의 확대도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골조(13)의 크로스바(13b)나 기둥(13a) 또는 상부골조(15)에 밀착된다. 3차 절곡부(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볼트 유입공(CH)으로 유입된 볼트(BT)가 볼트공(BH)을 관통한 후, 도 5의 확대도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13b)나 기둥(13a) 또는 상부골조(15)에 체결된다. 따라서, 내장재(20) 및 외장재(30)는 부스 골조(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볼트 유입공(CH)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고무재 캡(CP)이 끼움상태로 설치되어 차폐될 수 있다.
내장재(20) 및 외장재(30)의 전술한 절곡부(EN)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골조(13)의 크로스바(13b)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창문공(WH)을 따라 설치된 기둥판(21b, 31b)의 절곡부(EN)는 크로스바(13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EN)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절곡부(B)들이 이격되도록 크로스바(13b)에 설치될 수 있다. 유리창(WD)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이격된 2차 절곡부(B)들의 이격된 틈새로 삽입되어 설치된 후 실리콘(SL)으로 테두리가 실링된다. 따라서, 부스 본체(1)는 유리창(WD)이 구비된다.
그리고, 벽체골조(13)의 기둥(13a)을 감싸는 내장재(20) 및 외장재(30)의 기둥판(21b, 31b)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3a)을 절반씩 감싸며, 전술한 바와 같은 볼트(BT)에 의해 기둥(13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기둥(13a)은 기둥판(21b, 31b)들에 의해 차폐된다.
한편, 부스 골조(10)는 미도시된 판유리가 상부에 설치되도록, 도 2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골조(15)의 전방에 복수의 처마 프레임(55c)이 수평을 이루면서 이격상태로 설치된다. 처마 프레임(55c)은 상부에 미도시된 판유리가 설치되어 우수나 햇빛을 차단한다. 처마 프레임(55c)들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강봉(55d)이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따라서, 처마 프레임(55c)은 강봉(55d)에 의해 판유리의 하중이 분산된다. 이러한 처마 프레임(55c) 및 강봉(55d)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부스 본체(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과 바닥 및 지붕을 갖는다. 부스 본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40)의 상부에 분리수거함(60)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리수거함(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40)의 상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된 벽판이나 기둥에 경첩(HG)으로 도어를 설치하여 분리공간이 구획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통상의 수거통이 비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리수거함(60)은 전술한 부스 골조(10)의 바닥골조(11) 및 바닥판(40)이 생략될 경우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리수거함(60)의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스 본체(1)는 통기를 위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20) 및 외장재(30)가 타공판(HP)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 본체(1)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a) 보다 폭이 좁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태양광 패널(SO)이나 모니터(MT)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스 본체(1)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면과 평면 및 측면을 갖는다. 부스 본체(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모니터(MT)의 열을 배기하는 배기공(Ma)이 구비될 수도 있다.
부스 본체(1)는 분리 수거시 페트병에서 라벨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의 일측에 페트병 라벨 절단기(70, 90)가 구비될 수 있다. 페트병 라벨 절단기(70, 90)는 분리수거되는 페트병에서 라벨이 분리되도록 라벨을 절단한다. 페트병 라벨 절단기(70, 90)는 구성이 서로 상이한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 및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도록,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용량 라벨 절단기(70: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 및/또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용량 라벨 절단기(90: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로 구성할 수 있다. 저용량 라벨 절단기(70)는 대략 500mL의 용량 또는 500mL 보다 용량이 적은 저용량 페트병에서 라벨을 절단한다. 대용량 라벨 절단기(90)는 대략 1.5L 내지 2L의 용량을 갖는 대용량 페트병에서 라벨을 절단한다.
이러한 저용량 라벨 절단기(70) 및 대용량 라벨 절단기(9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페트병이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페트병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페트병 삽입 부재 및 페트병 삽입 부재에 삽입되는 페트병에서 라벨이 절단되도록 칼날을 제공하는 라벨 커팅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용량 라벨 절단기(7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용량 페트병(PB)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술한 페트병 삽입 부재를 제공하는 컵형태의 원통(71) 및 이러한 원통(71)의 내부에 돌출상태로 설치되고, 원통(71)에 삽입되는 저용량 페트병(PB)에 박혀서 저용량 페트병(PB)과 함께 라벨(LB)을 절단함으로써, 원통(71)의 내부에 전술한 라벨 커팅 부재를 제공하는 삼각형의 절단칼(7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원통(71)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이나 볼팅에 의해 절단칼(72)이 수직으로 내주면에 고정된다. 원통(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고정브라켓(71a)이 볼팅에 의해 부스 본체(1)의 내부에 마련된 벽면(W)이나 기둥 등에 고정되므로 부스 본체(1)의 내부에 일체로 마련된다. 원통(7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용량 페트병(PB)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 후 상단이 가압됨에 따라 내부로 저용량 패트병(PB)이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다. 이때, 절단칼(72)은 원통(71)의 내부에 돌출됨에 따라 저용량 페트병(PB)에 박히며, 저용량 페트병(PB)이 하강함에 따라 저용량 페트병(PB)과 함께 라벨(LB)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용량 페트병(PB)을 꺼내서 라벨(LB)을 분리한 후 저용량 페트병(PB)을 분리수거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페트병(PB)에서 라벨(LB)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원통(71)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배수되는 배수공(71b)이 구비될 수 있다. 원통(71)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기(8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가압기(8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71)에 삽입된 저용량 페트병(PB)을 가압한다. 가압기(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82), 승강관(81), 스프링(SP), 요크판(84), 가압판(83) 및 후술되는 홀더로 구성할 수 있다.
수직관(82)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71)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스프링(SP)의 일부가 삽입된다. 승강관(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82)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수직으로 끼워지며, 내부에 스프링(SP)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된다. 스프링(SP)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82) 및 승강관(81)의 내부에서 승강관(81)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승강관(81)은 하강 후 스프링(SP)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승강관(81)은 후술되는 가압판(83)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요크판(8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관(81)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스프링(SP)의 상부이탈을 방지하고, 상부에 힌지핀이 결합되는 요크가 구비된다.
가압판(83)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힌지핀이 결합되는 요크(83a)가 마련된다. 가압판(83)은 요크(83a)를 통해 요크판(84)의 요크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가압판(8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서 가압됨에 따라 승강관(81)을 하강시키면서 원통(71)에 삽입된 저용량 페트병(PB)의 단부(상부)를 가압한다. 가압판(83)은 평상시 저용량 페트병(PB)이 원통(71)에 삽입되도록 편축회전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며, 저용량 페트병(PB)이 원통(71)에 삽입된 후 가압을 위해 수평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사용자는 가압판(83)의 상부에 절곡상태로 돌출형성된 손잡이(83b)를 잡고 가압판(83)을 편축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통(71)에 저용량 페트병(PB)을 삽입한 후 가압판(83)을 수평상태로 만든 다음 가압판(83)을 가압하여 저용량 페트병(PB)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저용량 페트병(PB)은 절단칼(72)에 의해 라벨(LB)과 함께 절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단칼(72)로 부터 손을 보호하면서 라벨(LB)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홀더는 가압판(83) 및 승강관(81)의 일부분을 수직관(82)에 구속시켜서 승강관(81)이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관(8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관(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관(8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장공 가이드(81a) 및 이러한 장공 가이드(81a)를 관통하여 수직관(82)에 일단부가 체결되고, 타단부가 장공 가이드(81a)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핀(BT)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핀은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BT)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관(81)은 장공 가이드(81a)가 걸림핀(BT)을 따라 이동하고, 장공 가이드(81a)의 단부가 걸림핀(BT)에 걸림에 따라 수직관(82)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승강한다.
가압기(8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판(84)에 일체로 형성되어 요크판(84)에서 가압판(83)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84a)가 구비된다. 지지돌기(8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83)이 수평을 이룰 경우, 가압판(83)의 하부를 지지하여 가압판(83)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되는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 원통(71)에 저용량 페트병(PB)이 없어도 가압판(83)이 하부로 회전되지 않고 수평상태를 이루므로 손잡이(83b)를 용이하게파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대용량 라벨 절단기(9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페트병(PB)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술한 페트병 삽입 부재를 제공하는 서랍(92), 서랍(92)이 끼워지는 서랍 하우징(91) 및 전술한 절단칼(72)로 구성된다. 서랍(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페트병(PB)이 수평상태로 삽입되되, 대용량 페트병(PB)의 외주면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된다. 즉, 서랍(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페트병(PB)이 삽입되되, 대용량 페트병(PB)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다른 일부분이 상부로 노출된다. 서랍(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레일식 가이드(92b)에 의해 서랍 하우징(9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서랍(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파지 손잡이(92a)가 구비된다.
서랍 하우징(91)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개방구를 통해 서랍(9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함체로 구성된다. 서랍 하우징(9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설치 브라켓(91a)이 마련되며, 이러한 설치 브라켓(91a)이 볼팅에 의해 테이블(TB)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므로 테이블(TB)과 일체를 이룬다.
절단칼(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 하우징(9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절단칼(72)은 서랍 하우징(91)의 내부로 서랍(92)이 삽입됨에 따라 대용량 페트병(PB)에 박혀서 대용량 페트병(PB)과 함께 라벨(LB)을 절단한다. 즉, 절단칼(72)은 서랍 하우징(91)의 내부에 라벨(LB)을 절단하는 전술한 라벨 커팅 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대용량 페트병(PB)에서 라벨(LB)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대용량 라벨 절단기(9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92)의 바닥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배수되는 배수공(92c)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대용량 라벨 절단기(90)는 서랍(92)의 일단부을 가압하여 서랍(92)의 타단부를 서랍 하우징(91)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이젝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젝터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 하우징(91)에 내장되어 서랍 하우징(91)의 내측으로 삽입된 서랍(92)의 일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SP) 및 서랍 하우징(91)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프링(SP)에 끼워져서 스프링(SP)의 이탈을 방지하는 끼움축(91b)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젝터는 스프링(SP)이 서랍(92)의 일단부를 가압하므로 서랍(92)의 타단부를 항상 서랍 하우징(91)의 외측으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대용량 페트병(PB)을 서랍(92)에 삽입할 수 있다.
서랍(92)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P)에 의해 지지되는 일단부에 끼움축(91b)이 관통상태로 삽입되는 축공(92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랍(92)은 스프링(SP)의 길이로 인해 끼움축(91b)이 길게 형성되어도 용이하게 서랍 하우징(91)으로 삽입된다.
한편, 전술한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의 측방에 구비된다.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골조(101), 내장 판넬(102), 외장 판넬(103) 및 후술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로 구성된다.
보조 골조(101)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측벽(111)을 제공하기 위한 벽체프레임(101a)과, 보조 후방벽(112)을 제공하기 위해 벽체프레임(101a)에 직교상태로 설치되는 후방프레임(101c), 그리고 보조 지붕(113)을 제공하기 위해 벽체프레임(101a) 및 후방프레임(101c)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1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 골조(101)는 전술한 부스 골조(10)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장 판넬(102)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골조(101)의 벽체프레임(101a)과 후방프레임(101c) 및 상부프레임(101c)에 설치되어 보조 골조(101)의 내측에 내벽 및 천장을 제공한다. 이러한 내장 판넬(102)은 전술한 부스 본체(1)의 내장재(20)와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장 판넬(103)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골조(101)의 벽체프레임(101a)과 후방프레임(101c) 및 상부프레임(101b)에 설치되어 보조 골조(101)의 외측에 외벽 및 지붕을 제공한다. 이러한 외장 판넬(103)은 전술한 부스 본체(1)의 외장재(30)와 대동소이하믈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골조(101)의 내측 및 외측에 내장 판넬(102) 및 외장 판넬(103)이 설치됨에 따라 보조 측벽(111)과 보조 후방벽(112) 및 보조 지붕(1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부스 본체(1)의 측방에 보조 측벽(111)과 보조 후방벽(112) 및 보조 지붕(113)을 제공함에 따라, 부스 본체(1)의 측방에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슬라이딩 가이드는 내장 판넬(102) 및 외장 판넬(103)이 설치된 보조 골조(101)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슬라이딩 가이드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22), 캐스터(130) 및 레일(12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롤러(122)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고, 보조 지붕(113)의 하부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보조 지붕(113)의 이동을 안내한다. 캐스터(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측벽(111)의 하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보조 측벽(111)의 이동을 안내한다. 레일(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의 지붕에 일체로 설치되고, 보조 지붕(113) 및 캐스터(130)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롤러(122)가 결합된다. 레일(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본체(1)에 구비된 지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식 캐노피(110)의 보조 측벽(111)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핸들(HD)이 구비된다. 이동식 캐노피(110)는 핸들(HD)을 잡고 측방으로 당길 경우, 측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부스 본체(1)의 측방에 보조 측벽(111)과 보조 후방벽(112) 및 보조 지붕(113)을 노출시킨다. 이때, 롤러(122)는 레일(121)을 따라 이동하고, 캐스터(130)는 지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식 캐노피(110)는 부스 본체(1)의 측방에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공간에 별개의 분리수거함(6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동식 캐노피(110)는 롤러(122)에 의한 보조 지붕(113)의 이동을 중단시켜서 보조 지붕(113)이 부스 본체(1)의 지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붕(113)의 하부에 돌출상태로 설치되어 보조 지붕(113)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판(111a) 및 부스 본체(1)의 지붕에 돌출상태로 설치되어 이동판(11a)이 걸리는 걸림판(111b)으로 구성된다. 이동판(11a)은 이동식 캐노피(110)가 슬라이딩될 경우 부스 본체(1)에 구비된 지붕의 단부로 이동된 후 걸림판(111b)에 걸린다. 따라서, 보조 지붕(113)은 더이상 이동되지 못함에 따라 부스 본체(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붕(113)의 상부면에 아이볼트(IB)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볼트(IB)는 미도시된 크레인의 후크에 걸린다. 따라서, 이동식 캐노피(110)는 크레인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되거나 지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측벽(111)이나 보조 후방벽(112)의 하단에 롤러(RR)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식 캐노피(110)는 롤러(RR)가 지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더욱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식 캐노피(110)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측벽(111)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 측벽(111)의 내측에 출몰식 선반을 제공하는 랙이 구비될 수 있다. 랙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41), 지지봉(142) 및 걸림턱(141a)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141)은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측벽(111)의 내측면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판(1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힌지(141b)로 보조 측벽(111)의 내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힌지(141b)를 중심으로 편축회전된다.
지지봉(142)은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측벽(111)의 내측면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대략 'ㄷ'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지지봉(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힌지(142b)로 고정됨에 따라 힌지(142b)를 중심으로 편축회전된다. 지지붕(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회전판(141)의 하부에서 회전되어 경사상태로 세워진다. 지지봉(142)은 경사상태에서 회전판(141)의 하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회전판(141)은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지지봉(142)은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42)에 걸림에 따라 경사상태를 우지한다.
걸림턱(141a)은 도시도니 바와 같이 회전판(141)의 하부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수평상태의 회전판(141)을 지지하는 지지봉(142)이 걸린다, 따라서, 걸림턱(141a)은 지지봉(142)이 다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판(141)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42)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부면에 전자제품과 같은 분리수거 폐기물이 안치될 수 있다. 회전판(141)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다시 회전되어 수직상태를 이룬다.
한편, 부스 본체(1)는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통상의 절첩식 어닝(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어닝(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면서 우수나 햇빛을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어닝(150)을 펼쳐서 부스 본체(1)의 측방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부스 본체가 부스 골조, 바닥판, 내장재 및 외장재로 구성되고, 이동식 캐노피가 보조 골조, 내장 판넬 및 외장 판넬로 구성되므로 용이하게 부스 본체 및 이동식 캐노피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이동식 캐노피가 슬라이딩되므로 분리수거함이 설치된 부스 본체의 측방에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캐노피가 슬라이딩시, 보조 측벽과 보조 후방벽 및 보조 지붕을 제공하므로 바람이나 햇빛을 다양한 방향에서 차단할 수 있다.
또, 이동식 캐노피의 슬라이딩 가이드가 롤러와 캐스터 및 레일로 구성되므로 슬라이딩 가이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스토퍼가 설치될 경우 슬라이딩되는 이동식 캐노피가 부스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토퍼가 이동판 및 걸림판으로 구성되므로 스토퍼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페트병 라벨 절단기가 구비되므로 페트병의 라벨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페트병 라벨 절단기가 저용량 라벨 절단기 및/또는 대용량 라벨 절단기로 구성되므로 페트병의 용량이 달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저용량 라벨 절단기가 원통 및 절단칼로 구성되므로 저용량 페트병을 원통에 삽입하여 가압만 해도 라벨을 절단할 수 있다.
아울러, 대용량 라벨 절단기가 서랍식으로 구성되므로 서랍을 슬라이딩하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라벨을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을 절단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저용량 라벨 절단기에 승강식 가압기가 구성될 경우 가압기로 원통에 삽입된 페트병을 가압하므로 절단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대용량 라벨 절단기에 이젝터가 구비될 경우 서랍의 일부분을 항상 서랍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서랍에 페트병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게다가, 원통 및/또는 서랍의 바닥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배수되는 배수공이 마련되므로 원통 및 서랍에 물이나 이물질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식 캐노피의 보조 측벽에 절첩식 랙이 구비되므로 필요에 따라 랙을 통해 선반을 제공할 수 있고, 랙의 회전판 및 지지봉이 절첩되므로 미사용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조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부스 본체 10: 부스 골조
20: 내장재 30: 외장재
40: 바닥판 60: 분리수거함
70: 저용량 라벨 절단기 71: 원통
72: 절단칼 80: 가압기
81: 승강관 82: 수직관
83: 가압판 84: 요크판
90: 대용량 라벨 절단기 91: 서랍 하우징
92: 서랍 110: 이동식 캐노피
111: 보조 측벽 111a: 이동판
111b: 걸림판 112: 보조 후방벽
113: 보조 지붕 101: 보조 골조
102: 내장 판넬 103: 외장 판넬
121: 레일 122: 롤러
130: 캐스터 141: 회전판
141a: 걸림턱 142: 지지봉

Claims (5)

  1. 폐기물의 분리수거를 위한 분리수거함(60)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부스 본체로 이루어진 분리수거 부스에 있어서,
    상기 부스 본체는,
    바닥을 제공하기 위한 바닥골조(11)와, 측벽 및 후방벽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바닥골조(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벽체골조(13) 및 상기 벽체골조(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붕을 제공하는 상부골조(15)로 이루어진 부스 골조(10);
    상기 부스 골조(10)의 상기 바닥골조(11)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골조(11)의 상부를 차폐하며, 상기 설치공간을 상부에 제공하는 바닥판(40);
    상기 부스 골조(10)의 상기 벽체골조(13) 및 상기 상부골조(15)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골조(10)의 내측에 내벽 및 천장을 제공하는 내장재(20); 및
    상기 부스 골조(10)의 상기 벽체골조(13) 및 상기 상부골조(15)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 골조(10)의 외측에 외벽 및 지붕을 제공하는 외장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 본체의 분리수거함(60)에 분리수거되는 페트병에서 라벨이 분리되도록 페트병의 라벨을 절단하는 페트병 라벨 절단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페트병이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페트병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페트병 삽입 부재; 및
    상기 페트병 삽입 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페트병에서 상기 라벨을 절단하는 라벨 커팅 부재;를 포함하는 분리수거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구성이 서로 상이한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 및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페트병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페트병 삽입 부재를 제공하는 원통(71); 및
    상기 원통(71)의 내부에 돌출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원통(71)에 삽입되는 상기 페트병의 상기 라벨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원통(71)의 내부에 상기 라벨 커팅 부재를 제공하는 절단칼(7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페트병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페트병 삽입 부재를 제공하는 서랍(92);
    상기 서랍(92)이 일측의 개방구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서랍 하우징(91); 및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내부로 상기 서랍(92)이 삽입되면서 상기 페트병의 상기 라벨이 절단되도록 돌출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라벨의 절단을 위한 상기 커팅 부재를 제공하는 절단칼(72);을 포함하는 분리수거 부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원통(71)에 삽입된 상기 페트병을 가압하는 가압기(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기(80)는,
    상기 원통(71)의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관(82);
    상기 수직관(82)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수직으로 끼워지는 승강관(81);
    상기 수직관(82)에 내장되어 상기 승강관(8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SP);
    상기 승강관(81)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SP)의 상부이탈을 방지하고, 상부에 요크가 구비된 요크판(84);
    상기 요크판(84)의 요크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고, 수평상태에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승강관(81)을 하강시키면서 상기 원통(71)에 삽입된 상기 페트병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판(83); 및
    상기 승강관(81)의 일부분을 상기 수직관(82)에 구속시켜서 상기 승강관(81)이 상기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직관(8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페트병 라벨 절단기는,
    상기 서랍(92)의 일단부을 가압하여 상기 서랍(92)의 타단부를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서랍 하우징(91)에 내장되어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서랍(92)의 일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SP); 및
    상기 서랍 하우징(9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SP)에 끼워져서 상기 스프링(SP)의 이탈을 방지하는 끼움축(91b);을 포함하는 분리수거 부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상기 설치공간과 별도의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이동식 캐노피(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캐노피(110)는,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보조 측벽(111)을 제공하기 위한 벽체프레임(101a)과, 상기 부스 본체의 후방에 보조 후방벽(112)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벽체프레임(101a)에 직교상태로 설치되는 후방프레임(101c) 및 상기 부스 본체의 상부에 보조 지붕(113)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벽체프레임(101a) 및 상기 후방프레임(101c)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1b)으로 이루어진 보조 골조(101);
    상기 보조 골조(101)의 상기 벽체프레임(101a)과 상기 후방프레임(101c) 및 상기 상부프레임(101b)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골조(101)의 내측에 내벽 및 천장을 제공하는 내장 판넬(102);
    상기 보조 골조(101)의 상기 벽체프레임(101a)과 상기 후방프레임(101c) 및 상기 상부프레임(101b)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골조(101)의 외측에 외벽 및 지붕을 제공하는 외장 판넬(103); 및
    상기 내장 판넬(102) 및 상기 외장 판넬(103)이 설치된 상기 보조 골조(10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캐노피(110)는,
    상기 보조 골조(101)의 내측 및 외측에 상기 내장 판넬(102) 및 상기 외장 판넬(103)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보조 측벽(111)과 상기 보조 후방벽(112) 및 상기 보조 지붕(113)을 제공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부스 본체의 측방에 상기 보조공간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부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캐노피(110)는,
    상기 보조 측벽(111)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조 측벽(111)의 내측에 출몰식 선반을 제공하는 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보조 측벽(111)의 내측면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판(141);
    상기 보조 측벽(111)의 내측면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에 의해 수평을 이루는 상기 회전판(141)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판(141)을 수평상태로 고정하는 지지봉(142); 및
    상기 회전판(141)의 하부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고, 수평상태의 상기 회전판(141)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봉(142)이 걸림에 따라 상기 지지봉(142)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141a);을 포함하는 분리수거 부스.
KR1020210130673A 2021-03-24 2021-10-01 분리수거 부스 KR102539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673A KR102539782B1 (ko) 2021-03-24 2021-10-01 분리수거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49A KR102311115B1 (ko) 2021-03-24 2021-03-24 분리수거 부스
KR1020210130673A KR102539782B1 (ko) 2021-03-24 2021-10-01 분리수거 부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049A Division KR102311115B1 (ko) 2021-03-24 2021-03-24 분리수거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77A true KR20220133077A (ko) 2022-10-04
KR102539782B1 KR102539782B1 (ko) 2023-06-07

Family

ID=781507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049A KR102311115B1 (ko) 2021-03-24 2021-03-24 분리수거 부스
KR1020210130673A KR102539782B1 (ko) 2021-03-24 2021-10-01 분리수거 부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049A KR102311115B1 (ko) 2021-03-24 2021-03-24 분리수거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11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373A (ja) * 1998-11-16 2000-05-23 Michihiko Suzuka ペットボトル再生処理装置
JP2001300896A (ja) * 2000-04-21 2001-10-30 Motomasa Oritani 使用済みペットボトルの粉砕前処理方法
KR100949039B1 (ko)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4372A (ko) * 2009-12-08 2011-06-15 (주)현이 폐 페트병 라벨 제거장치
KR20160056662A (ko) * 2014-11-12 2016-05-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523A (ja) * 1997-07-29 1999-04-13 Komatsu Ltd 樹脂製包装用容器のラベル除去方法及びラベル亀裂入れ装置
KR200177479Y1 (ko) * 1999-09-06 2000-04-15 주식회사건양기계 페트병라벨제거장치
KR200451944Y1 (ko) * 2008-10-17 2011-01-20 안기풍 옥외용 차양
KR101000483B1 (ko) * 2008-11-27 2010-12-14 부천산업진흥재단 영구자석형 전동기에서 회전자의 초기 각 결정방법
KR20150048275A (ko) * 2013-10-25 2015-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간확장형 이동식 하우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373A (ja) * 1998-11-16 2000-05-23 Michihiko Suzuka ペットボトル再生処理装置
JP2001300896A (ja) * 2000-04-21 2001-10-30 Motomasa Oritani 使用済みペットボトルの粉砕前処理方法
KR20110064372A (ko) * 2009-12-08 2011-06-15 (주)현이 폐 페트병 라벨 제거장치
KR100949039B1 (ko)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6662A (ko) * 2014-11-12 2016-05-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115B1 (ko) 2021-10-13
KR102539782B1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372B2 (en) Integrated car top carrier
JP6158816B2 (ja) エレベータ
KR102311115B1 (ko) 분리수거 부스
CA2435026A1 (en) Awning construction and camping accommodation provided with an awning construction
EP2204515B1 (en) Structure for outdoor marquees, pergolas and the like
CN218406727U (zh) 应急检测集装箱
KR102002972B1 (ko) 폐기물 수집 운반차량
KR101287055B1 (ko)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고 쓰러짐이 방지된 조립식 삼각대.
SK279752B6 (sk) Bezpečnostná závora
KR101137495B1 (ko) 철도차량용 배터리 보관장치
ITBO20070428A1 (it) Struttura per la movimentazione di contenitori interrati
KR200418432Y1 (ko) 수배전반의 차양도어 장치
KR20110011385U (ko) 쓰레기 수거장치 및 쓰레기통의 보관장치
EP1619323B1 (en) Underground transformer substation with baffle-barrier device
CN217680578U (zh) 一种可封闭的建筑施工垃圾池
CN105649112A (zh) 一种可滑动不锈钢盖板装置及其实施方法
KR101135879B1 (ko) 다용도 바리게이트
KR200415442Y1 (ko) 하우스의 제설장치
CN219710933U (zh) 一种防坠吊篮
CN213391544U (zh) 热网施工防护栏
CN212365200U (zh) 一种信号灯控制机
CN211320847U (zh) 一种方便维修的电缆分支箱
CN210926795U (zh) 一种防尘防潮室外电力柜
CN212664739U (zh) 一种用于落料线废料回收的辅助装置
CN220492434U (zh) 一种具有吸湿结构的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