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623A - 프레임워크 장착식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및 버팀 배열체를 구비한 자동화된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레임워크 장착식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및 버팀 배열체를 구비한 자동화된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623A
KR20220132623A KR1020227029698A KR20227029698A KR20220132623A KR 20220132623 A KR20220132623 A KR 20220132623A KR 1020227029698 A KR1020227029698 A KR 1020227029698A KR 20227029698 A KR20227029698 A KR 20227029698A KR 20220132623 A KR20220132623 A KR 20220132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rage
plate member
retrieval system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트론드 아우스트라임
보르게 베켄
Original Assignee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3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8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for 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bene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8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matrix-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39Adjustable connections, e.g. using elongated slots or threaded adjustm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1Details of wall panels

Abstract

다양한 기능의 플레이트 부재(16)가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직립 부재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본 발명의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구조물을 위한 안정화 배열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의 플레이트 부재(16)는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인접한 직립 부재(10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는 버팀 플레이트 부재이다. 다른 양태에서, 플레이트 부재는 안정화 이외의 또는 그에 부가하여 일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능 플레이트 부재는 단열 플레이트, 화재 장벽 플레이트, 소리 절연 플레이트 등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레이트는 프레임워크 내에서 구역 또는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화재 보호 구역을 생성하기 위한 냉장 구역, 소리 절연 구역 또는 화재 장벽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워크 장착식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및 버팀 배열체를 구비한 자동화된 저장 시스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저장 및 회수를 위한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 특히 이러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을 안정화하기 위한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 일반
도 1은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을 갖는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을 개시하고,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시스템(1) 상에서 동작하기에 적합한 2개의 상이한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를 도시한다.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은 직립 부재(102), 수평 부재(103), 및 직립 부재(102)와 수평 부재(103) 사이에서 열로 배열되는 저장 컬럼(105)을 포함하는 저장 체적을 포함한다. 이들 저장 컬럼(105)에서, 빈(bin)으로서 또한 알려져 있는 저장 컨테이너(106)가 서로의 상단에 적층되어 적층체(107)를 형성한다. 부재(102, 103)는 전형적으로 금속, 예를 들어 압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의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은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상단을 가로질러 배열되는 운반 레일 시스템(108)을 포함하고, 운반 레일 시스템(108) 상에서, 복수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가 저장 컨테이너(106)를 저장 컬럼(105)으로부터 상승시키고 저장 컨테이너(106)를 저장 컬럼(105) 내로 하강시키며 또한 저장 컨테이너(106)를 저장 컬럼(105) 위에서 운반하도록 동작된다. 레일 시스템(108)은, 프레임 구조물(100)의 상단을 가로질러 제1 방향(X)으로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열되는 평행 레일(110)의 제1 세트, 및 제1 방향(X)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Y)으로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110)의 제1 세트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는 평행 레일(111)의 제2 세트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는 레일 시스템(108) 내의 접근 개구부(112)를 통해서 컬럼(105) 내에 저장된 컨테이너(106)에 접근한다.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는 저장 컬럼(105) 위에서 측방향으로, 즉 수평 X-Y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직립 부재(102)는, 컨테이너를 컬럼(105)으로부터 상승시키고 컨테이너를 컬럼 내로 하강시키는 동안 저장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106)의 적층체(107)는 전형적으로 자가-지지형이다.
각각의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는 운반체 본체(201a, 301a), 및 각각 X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201b, 301b, 201c, 301c)의 제1 및 제2 세트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각각의 세트 내의 2개의 바퀴를 완전히 확인할 수 있다. 바퀴(201b, 301b)의 제1 세트는 레일의 제1 세트(110) 중의 2개의 인접 레일과 결합되도록 배열되고, 바퀴(201c, 301c)의 제2 세트는 레일의 제2 세트(111) 중의 2개의 인접 레일과 결합되도록 배열된다. 바퀴(201b, 301b, 201c, 301c)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가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퀴(201b, 301b)의 제1 세트 및/또는 바퀴(201c, 301c)의 제2 세트가 언제든지 레일의 각각의 세트(110, 111)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는 또한 저장 컨테이너(106)의 수직 운송을 위한, 예를 들어 저장 컨테이너(106)를 저장 컬럼(105)으로부터 상승시키고 저장 컨테이너(106)를 저장 컬럼(105) 내로 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리프팅 장치는 저장 컨테이너(106)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파지/결합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지/결합 장치는 운반체(201, 301)에 대한 파지/결합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직교하는 제3 방향(Z)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운반체(201, 301)로부터 하강될 수 있다.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301)의 파지 장치의 일부가 도 3에서 참조 번호 304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 핸들링 장치(201)의 파지 장치는 도 2에서 운반체 본체(301a) 내에 위치된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또한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서, Z=1은 저장 컨테이너의 최상부 층, 즉 레일 시스템(108) 바로 아래의 층을 식별하고, Z=2는 레일 시스템(108) 아래의 두 번째 층을 식별하고, 그리고 Z=3은 세 번째 층 등을 식별한다. 도 1에 개시된 예시적인 종래 기술에서, Z=8은 저장 컨테이너의 최하부의 하단 층을 식별한다. 유사하게, X=1...n 및 Y=1...n은 수평 평면 내의 각각의 저장 컬럼(105)의 위치를 식별한다. 결과적으로, 예로서, 그리고 도 1에 표시된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이용하면, 도 1에서 106'으로 표시된 저장 컨테이너는 X=10, Y=2, Z=3의 저장 위치를 점유한다고 할 수 있다.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는 층(Z=0)에서 이동된다고 할 수 있고, 각각의 저장 컬럼(105)은 그 X 및 Y 좌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저장 체적은 종종 그리드(104)로 지칭되고, 이러한 그리드 내의 가능한 저장 위치는 저장 셀로 지칭된다. 각각의 저장 컬럼은 X- 및 Y-방향에서의 위치에 의해서 식별될 수 있는 한편, 각각의 저장 셀은 X-, Y- 및 Z-방향에서의 컨테이너 번호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각각의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는, 저장 컨테이너(106)를 레일 시스템(108)을 가로질러 운송할 때 저장 컨테이너(106)를 수용 및 수납하기 위한 저장 격실 또는 공간을 포함한다. 저장 공간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그리고 예를 들어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원용되는 WO2015/193278A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운반체 본체(201a) 내의 중앙에 배열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외팔보 구성을 갖는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301)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운반체는, 그 내용이 또한 본원에 참조로 원용되는 예를 들어 NO317366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중앙 공동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는, 예를 들어 그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원용되는 WO2015/193278A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장 컬럼(105)의 측방향 범위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X 및 Y 방향의 치수를 갖는 영역을 커버하는 풋프린트(footprint)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수평의'를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앙 공동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101)는, 예를 들어 WO2014/090684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저장 컬럼(105)에 의해서 형성된 측방향 영역보다 큰 풋프린트를 가질 수 있다.
레일 시스템(108)은, 전형적으로 운반체의 바퀴가 내부에서 주행하는 홈을 갖는 레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레일은 상향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운반체의 바퀴는 레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홈 및 상향 돌출 요소는 집합적으로 트랙으로서 알려져 있다. 각각의 레일은 하나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거나, 각각의 레일은 2개의 평행한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원용되는 WO2018146304는, X 및 Y 방향 모두에서 평행한 트랙 및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108)의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프레임워크 구조물(100) 내에서, 컬럼(105)의 대부분은 저장 컬럼(105)이고, 즉 저장 컨테이너(106)가 적층체(107)로 저장되는 컬럼(105)이다. 그러나, 일부 컬럼(105)이 다른 목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컬럼(119 및 120)은,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외부로부터 저장 컨테이너(106)에 접근할 수 있는 또는 저장 컨테이너가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내외로 전달될 수 있는 접근 스테이션(미도시)으로 운송될 수 있도록, 저장 컨테이너(106)를 드롭 오프(drop off) 및/또는 픽업(pick up)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에 의해 이용되는 그러한 특별한-목적의 컬럼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이러한 위치는 일반적으로 '포트'로 지칭되고, 포트가 위치되는 컬럼은 '포트 컬럼'(119, 12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운송은 임의의 방향, 즉 수평, 경사, 및/또는 수직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컨테이너(106)는 프레임워크 구조물(100) 내에서 무작위적인 또는 지정된 컬럼(105)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임의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에 의해서 픽업될 수 있고,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추가적인 운송을 위해서 포트 컬럼(119, 120)으로 운송될 수 있다. '경사'라는 용어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일반적인 운송 배향을 갖는 저장 컨테이너(106)의 운송을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1에서, 제1 포트 컬럼(119)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가 접근 또는 전달 스테이션으로 운송될 저장 컨테이너(106)를 드롭 오프시킬 수 있는, 전용 드롭 오프 포트 컬럼일 수 있고, 제2 포트 컬럼(120)은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가 접근 또는 전달 스테이션으로부터 운송된 저장 컨테이너(106)를 픽업할 수 있는 전용 픽업 포트 컬럼일 수 있다.
접근 스테이션은, 전형적으로 제품 아이템이 저장 컨테이너(106)로부터 제거되거나 저장 컨테이너 내로 배치되는 픽킹(picking) 또는 저장 스테이션일 수 있다. 픽킹 또는 저장 스테이션에서, 저장 컨테이너(106)는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으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일단 접근되고 나면 다시 프레임워크 구조물(100) 내로 복귀된다. 포트가 또한 저장 컨테이너를 다른 저장 설비로(예를 들어, 다른 프레임워크 구조물로 또는 다른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으로), 운송 운반체(예를 들어, 기차 또는 대형 트럭)로, 또는 생산 설비로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저장 컨테이너를 포트 컬럼(119, 120)과 접근 스테이션 사이에서 운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포트 컬럼(119, 120) 및 접근 스테이션이 상이한 레벨에 위치되는 경우에, 컨베이어 시스템은, 저장 컨테이너(106)를 포트 컬럼(119, 120)과 접근 스테이션 사이에서 수직으로 운송하기 위한 수직 구성요소를 갖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그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원용되는 WO2014/075937A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저장 컨테이너(106)를 상이한 프레임워크 구조물들 사이에서 전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 중 하나는, 도 1에 개시된 컬럼(105) 중 하나 내에 저장된 저장 컨테이너(106)에 접근할 때, 목표 저장 컨테이너(106)를 그 위치로부터 회수하도록 그리고 이를 드롭 오프 포트 컬럼(119)으로 운송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이러한 동작은,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를, 목표 저장 컨테이너(106)가 배치되는 저장 컬럼(105) 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 리프팅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저장 컨테이너(106)를 저장 컬럼(105)으로부터 회수하는 것, 그리고 저장 컨테이너(106)를 드롭 오프 포트 컬럼(119)으로 운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목표 저장 컨테이너(106)가 적층체(107) 내에 깊게 위치되는 경우에, 즉 목표 저장 컨테이너(106) 위에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저장 컨테이너(106)가 배치된 경우에, 동작은 또한, 목표 저장 컨테이너(106)를 저장 컬럼(105)으로부터 상승시키기 전에, 위에-배치된 저장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종종 "디깅(digging)"으로 지칭되는 이러한 단계는, 목표 저장 컨테이너를 드롭 오프 포트 컬럼(119)으로 운송하기 위해서 추후에 이용되는 동일한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에 의해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협력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은, 저장 컨테이너를 저장 컬럼(105)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임무를 위해서 특별히 전용되는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를 가질 수 있다. 일단 목표 저장 컨테이너(106)가 저장 컬럼(105)으로부터 제거되면, 일시적으로 제거된 저장 컨테이너는 원래의 저장 컬럼(105)에 재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거된 저장 컨테이너가 다른 저장 컬럼으로 재위치될 수 있다.
저장 컨테이너(106)를 컬럼(105) 중 하나 내에 저장하고자 할 때,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 중 하나는, 저장 컨테이너(106)를 픽업 포트 컬럼(120)으로부터 픽업하도록 그리고 이를 저장하고자 하는 저장 컬럼(105) 위의 위치로 운송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저장 컬럼 적층체(107) 내의 목표 위치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된 임의의 저장 컨테이너가 제거된 후에,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는 저장 컨테이너(106)를 희망 위치에 배치한다. 이어서, 제거된 저장 컨테이너는 저장 컬럼(105) 내로 다시 하강될 수 있거나, 다른 저장 컬럼에 재위치될 수 있다.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 구조물(100) 내의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106)의 위치,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106)의 내용물; 및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희망 저장 컨테이너(106)가 희망 시간에 희망 위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의 이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해서,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은 제어 시스템(500)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컴퓨터화되고 전형적으로 저장 컨테이너(106)를 계속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안정성
전술된 바와 같은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는 물론 저장 컨테이너 및 이들의 내용물,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 및 시스템의 다른 장비의 조합된 중량과 함께 프레임워크 자체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게다가, 프레임워크는 또한 예를 들어 운반체의 가속 및 제동, 불균일한 중량 분포, 지진 등에 의해 야기된 측방향 힘을 견디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종래 기술의 저장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충분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배열체를 채용하였다. 몇몇 설비에서, 프레임워크 구조물은 저장 시스템이 수용되는 건물의 벽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 지지된다. 이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종래 기술의 저장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주연부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된 보조 지지 구조물(미도시)에 의존할 수 있다. 보조 지지 구조물을 갖는 요건은 다수의 이유로 불리하다. 지지 구조물은 저장 시스템에 의해 달리 이용될 수 있는 공간/영역을 점유하는데, 즉 이는 저장을 위한 이용 가능한 공간/영역의 최적의 사용을 방해하고; 보조 지지 구조물의 필요성은 저장 시스템의 배치를 위한 이용 가능한 옵션을 제한할 수도 있는데, 즉 보조 지지 구조물은 보조 지지 구조물 자체가 종종 건물의 내벽과 같은 주위 구조물에 대한 연결을 요구하기 때문에 저장 시스템의 최적의 배치를 방해할 수 있으며; 지지 구조물의 요건은 비용 효율적이지 않다.
종래 기술로부터의 다른 예에서, 본 출원인은 과거에 WO 2019101367에서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직립 부재(102)에 연결된 경사진 지지 스트럿의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WO 2019101367로부터의 스트럿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프레임워크 구조물이 자가-지지되도록 허용하지만,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을 안정화하기 위한 더 간단하고 더 유연한 배열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WO 20191010367에 기재된 해결책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플레이트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모듈형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는다.
WO 2019101367에 기재된 배열체의 하나의 특별한 단점은 스트럿의 설치가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직립 부재(102)의 새롭고 다소 더 복잡한 프로파일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저장 시스템에서,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4개의 근접한 직립 부재(102)가 저장 컬럼(105)을 형성한다. 직립 부재 자체는 중공의 압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다. 직립 부재는 4개의 코너 섹션(8)을 가지며, 그 각각은 2개의 수직 컨테이너-안내 플레이트(9)를 갖는다. 사용 시에, 컨테이너의 코너(11)는, 직립 부재의 코너 섹션(8)에 의해서 안내되어, 저장 컬럼(105)을 따라서 상향 및 하향 활주된다. 그러나, 안정화 스트럿을 설치하기 위해, WO는 스트럿을 위한 부착 장치가 연결되는 컨테이너 안내 플레이트(9) 사이의 공간 내의 홈 또는 리지(ridge)를 요구한다. 직립 부재에 대한 더 복잡한 프로파일에 대한 이러한 요건은 비용을 증가시키고 기존의 설치에서의 스트럿의 사용을 막는다.
그러므로,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기존의 종래 기술의 저장 시스템 설비의 직립 부재(102)의 더 간단한 프로파일과 호환 가능함으로써 WO 2019101367에 기재된 배열에 대한 개선인 저장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을 안정화할 수 있는(또한 저장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 내에 기능 구역을 생성하도록 모듈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형 배열체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는 WO2016/172793이다. 본 출원은 저장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저장 컬럼을 형성하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빈 컬럼이 저장 컬럼의 4개의 측면 중 하나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수용-회수 운반체가 빈 컬럼을 상하로 이동하여 저장 컨테이너를 저장 컬럼의 인접 측면으로부터 옆으로 제거한다. 본 출원은 저장 컬럼의 3개의 다른 면을 따라 설치되는 패널을 설명하고, 상기 패널은 프레임워크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설명된다. 각각의 패널은 내향 립(lip)을 갖고, 따라서 컬럼의 주어진 수직 레벨의 3개의 패널이 선반을 형성하고, 그러한 선반 상에는 컨테이너가 놓이고 선반으로부터 컨테이너가 운반체에 의해서 옆으로 제거된다. 패널의 립은 컨테이너가 놓이는 선반을 형성하기 때문에, WO2016/172793의 패널은 프레임워크의 원래 구성의 일부로서 설치되어야 한다. 패널은 또한 컨테이너가 저장 컬럼 내에 배열되어 있는 동안 제거 또는 교체될 수 없고, WO2016/172793은, WO2016/172793의 지지 패널이 모든 저장 컬럼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능 패널을 생성하기 위해서 기능 패널이 프레임워크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모듈형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고 특징지어져 있는 한편,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설명한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의 플레이트 부재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직립 부재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구조물을 위한 안정화 배열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의 플레이트 부재는 프레임워크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인접한 직립 부재(10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는 버팀 플레이트 부재(bracing plate member)이다.
다른 양태에서, 플레이트 부재는 안정화 이외의 또는 그에 부가하여 일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능 플레이트 부재는 단열 플레이트, 화재 장벽 플레이트, 소리 절연 플레이트 등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레이트는 프레임워크 내에서 구역 또는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화재 보호 구역을 생성하기 위한 냉장 구역, 소리 절연 구역 또는 화재 장벽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될 수 있어, 기능 구역이 자유자재로 생성, 확장 또는 용도 변경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을 안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 내에 기능 구역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첨부된다. 도면은 단지 예로서 이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내부에 저장 컨테이너를 탑재하기 위한 중앙 배열 공동을 갖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밑변에 저장 컨테이너를 탑재하기 위한 외팔보를 갖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이 프레임워크를 위한 안정화 배열체로서 기능하는 버팀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버팀 플레이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직립 부재에 설치된 버팀 플레이트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직립 부재의 인접한 컨테이너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의 플레이트 부재의 유지 프로파일의 구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저부에 부착된 버팀 플레이트 부재의 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부 및 하부 에지를 따라 서로 부착된 수직으로 인접한 버팀 플레이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직립 부재에 부착된 버팀 플레이트 부재의 측면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부착부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저장 컨테이너 운반체가 주행하는 레일 시스템에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의 플레이트 부재가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기능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 플레이트 부재, 예를 들어, 화재 장벽 플레이트, 절연 플레이트 등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도면에 도시되는 주제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의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의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에 따라 구성되는데, 즉 다수의 직립 부재(102) 및 직립 부재(102)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수평 부재(103)로 구성되고, 또한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은 X 방향 및 Y 방향에서 제1 상부 레일 시스템(108)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은 부재(102, 103) 사이에 제공된 저장 컬럼(105) 형태의 저장 격실을 더 포함하고, 저장 컨테이너(106)는 저장 컬럼(105) 내에서 적층체(107)로 적층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은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특히, 프레임워크 구조물은 도 1에 개시된 것보다 상당히 더 넓을 수 있고 및/또는 더 길 수 있고 및/또는 더 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은 700×700 컬럼 초과의 수평 범위 및 12개 초과의 컨테이너의 저장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선행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달 운반체 및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다양한 양태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설명을 위해, 특정 수, 시스템 및 구성이 시스템과 그 작동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개시된 주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예시적인 실시예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일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른 양태가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복수의 직립 부재(102)를 포함하는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인접한 직립 부재(102)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플레이트 부재(14)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을 갖는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을 더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부재(14)는 버팀 플레이트 부재(16)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버팀 플레이트"는 소정의 형상 및 구성을 갖고 소정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부재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워크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의도되고, 이에 의해 복수의 이러한 버팀 플레이트는 프레임워크가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필요가 없는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개수 및 배치의 버팀 부재가 설치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팀 플레이트 부재는 직립 부재(102)의 외측 열을 따라 설치될 수 있거나,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된 직립 부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은 버팀 플레이트 부재(16)와, 플레이트 부재(14)가 일반적으로 직립 부재(102)들 사이에 설치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 이 예에서는 버팀 플레이트 부재(16)는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 중간에 연결된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포함한다. 도 11은 유지 프로파일에 대한 플레이트 세그먼트의 조립을 분해도로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지 프로파일(20)은 플레이트 세그먼트(18)가 예를 들어 볼트(30)에 의해 연결되는 플랜지(21)를 갖는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세그먼트(18)는, 버팀 플레이트 부재(16)의 경우에, X 형상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4개의 본질적으로 삼각형 절개부(22)를 갖는 플레이트이지만,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다른 예는 복수의 원형 절개부를 갖는 플레이트, 삼각형 스트럿 형상의 플레이트, 또는 중실 플레이트일 수 있지만, 절개부를 구비한 플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개부는 플레이트 세그먼트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한편, 플레이트의 형상은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도시되는 X 형상은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버팀 플레이트 부재(16)의 경우의 플레이트 세그먼트(18)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다. 플레이트 부재가 기능 플레이트 부재인 경우에, 플레이트 세그먼트(18)는 희망 기능에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화성 플레이트 부재 및 절연 플레이트 부재 등.
유지 프로파일(20)은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세그먼트(18)의 측부의 길이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압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다. 유지 프로파일(20)은 구체적으로는 도 7a, 도 7b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너 섹션(8)의 2개의 인접한 컨테이너 안내 플레이트(9)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직립 부재(102)는 코너 안내 플레이트(9) 사이에 견고하게 끼워지고 그 사이의 공간을 본질적으로 점유하는 박스 형상을 갖는 압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이며, 코너 안내 플레이트(9)는 유지 프로파일(2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약간 벌어질 수 있는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비교적 얇은 압출된 알루미늄이다. 일 실시예에서, 안내 플레이트(9)는 내향 돌출 리브(inwardly projecting rib)(24)를 갖는다. 유지 프로파일(20)은 내향 돌출 리브(24)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2개의 대응하는 홈(25)을 갖고, 이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를 2개의 직립 부재 사이에, 예를 들어 스냅 끼워맞춤 방식으로 측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유지 프로파일(20)이 인접한 컨테이너 안내 플레이트 사이에서 직립 부재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면,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안내 플레이트(9) 및 유지 프로파일(20)을 위한 상호간 형상의 다른 세트가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세그먼트(18)는, 적어도 플레이트 부재가 버팀 플레이트 부재(16)인 실시예에서는, 하부 플랜지(26)를 포함한다. 하부 플랜지(26)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28)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볼트(30)가 버팀 플레이트 부재를 프레임워크 구조물이 놓이는 바닥(32)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부착 수단이 또한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는, 일부 용도에서,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 제공 이외의 또는 그에 부가하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또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가 본원에서 "기능" 플레이트 부재로서 지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 플레이트 부재를 바닥 또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볼트 체결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플레이트 시스템의 설치가 이제 설명된다. 다음의 단계의 순서는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플레이트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최저 높이에서 2개의 인접한 직립 부재(102)에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을 부착함으로써 설치된다. 유지 프로파일(20)은 안내 플레이트(9) 사이에 유지 프로파일을 삽입함으로써 직립 부재(102)에 연결되는데, 이는 안내 플레이트(9)의 상대적인 가요성으로 인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안내 플레이트(9)는 유지 프로파일 내의 대응하는 홈 내로 스냅결합되는 리브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어서 플레이트 세그먼트가 플랜지(21) 내의 사전 천공된 정렬 구멍을 통해 볼트(30)에 의해 유지 프로파일(20)에 연결된다. 유지 프로파일의 사전 설치는, 플랜지(21)와 함께, 플레이트 세그먼트를 부착하기 위한 용이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어서, 플레이트 세그먼트는 하부 플랜지 부분(26) 내의 사전 천공된 구멍을 통해 바닥에 볼트 체결된다.
이어서, 다음의 가장 높은 플레이트 부재가 첫 번째 설치된 플레이트 부재 위에 설치된다. 버팀 배열체의 경우에, 수직으로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함께 볼트 체결된다. 도 12a, 및 도 12b 및 12c는 수직으로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플레이트 세그먼트(18)에는 약 90도로 돌출하는 하부 플랜지(26) 및 상부 플랜지(34)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인접한 플레이트 세그먼트가 사전 천공된 정렬 구멍을 통해 함께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세그먼트(18)는 인접한 플레이트 세그먼트(18)와 중첩하도록 배열된 오프셋 립(offset lip)(35)을 갖는다.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을 프레임워크(100)의 상부 레일 시스템(108)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플레이트 시스템이 안정화 기능을 갖는 경우,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36)가 제공된다.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36)는 레일 시스템(108)과 결합되고 이에 연결되도록 배열된 오프셋된 상부 부분(38) 및 최상부 플레이트 부재(16)와 중첩되도록 배열된 하부 부분(37)을 갖는다. 오정렬 또는 높이차가 종종 상부 구멍이 적절하게 정렬되는 것을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사전 천공된 구멍을 채용하기보다는 자가 보링 나사(40)가 인터페이스 플레이트(36)의 하부 부분(37)을 최상부 플레이트 부재(16)에 고정하데 사용된다. 자가 보링 나사는 인터페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설명되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임의의 높이차 또는 다른 오정렬을 허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4)가 안정화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을 레일 시스템(108)에 고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구조물을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에 따르면,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 사이에 부착된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팀 플레이트 부재(16)가 설치된다. 유지 프로파일(20)이 조립된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인접한 직립 부재(102)의 안내 플레이트(9)와 유지 프로파일에 볼트 체결되는 플레이트 세그먼트(18) 사이에 삽입된다. 최하부 버팀 플레이트 부재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바닥(32)에 부착되고, 수직으로 인접한 버팀 플레이트 부재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함께 볼트 체결된다. 최상부 레벨에서,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36)는 플레이트 시스템을 레일 시스템(108)에 연결하고,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임의의 오정렬을 보상하기 위해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36) 및 자가 보링 나사(40)가 사용된다.
도 14는, 플레이트 부재(14)가 안정화 기능 이외의 또는 그에 부가하여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로서 형성된, 기능 플레이트 부재(42)인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는 저장 및 회수 시스템 내에 냉장 구역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절연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는 또한 화재 장벽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화재 지연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세그먼트(18)는 주어진 기능에 적합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이러한 재료를 포함하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지 프로파일(20) 사이에 부착된다.
따라서,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지 프로파일(20)과 함께, 복수의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를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기능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제공함으로써 저장 및 회수 시스템 내에서 기능 구역(44)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새로운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일부 이전에 설치된 기능성을 재구성하기 위해서, 기능 플레이트 부재(42)가 기존 저장 구조물에 개장될 수 있다. 충분한 개수의 기능 플레이트 부재(42)가 기능 구역(44)의 희망 크기 및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직립 부재(102) 사이에 설치된다. 기능 구역(44)은, 예를 들어 절연 구역, 냉장 구역, 화재 장벽 또는 구역, 방음 구역, 또는 플레이트 부재의 기능 특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구역일 수 있다.
기능 플레이트 부재가 항상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상황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를 함께 및/또는 프레임워크 구조물 또는 바닥에 볼트 체결할 필요는 없을 수 있지만, 기능 플레이트 부재는 동시에 안정화 기능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 볼트 체결이 바람직할 것이다. 기능 플레이트 부재는 용이하게 제자리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구역이 생성, 크기조정 또는 용도변경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저장 운반체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동작 중의 저장 시스템에서도 기능 구역이 생성, 제거, 크기조정 및 용도변경될 수 있다.
종래 기술(도 1 내지 도 4):
1 종래 기술의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
100 프레임워크 구조물
102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직립 부재
103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수평 부재
104 저장 그리드
105 저장 컬럼
106 저장 컨테이너
106' 저장 컨테이너의 특정 위치
107 적층체
108 레일 시스템
110 제1 방향의 평행 레일(X)
110a 제1 방향(X)의 제1 레일
110b 제1 방향(X)의 제2 레일
111 제2 방향의 평행 레일(Y)
111a 제2 방향(Y)의 제1 레일
111b 제2 방향(Y)의 제2 레일
112 접근 개구
119 제1 포트 컬럼
120 제2 포트 컬럼
201 종래 기술의 저장 컨테이너 운반체
201a 저장 컨테이너 운반체(201)의 운반체 본체
201b 구동 수단/바퀴 배열체, 제1 방향(X)
201c 구동 수단/바퀴 배열체, 제2 방향(Y)
301 종래 기술의 외팔보 저장 컨테이너 운반체
301a 저장 컨테이너 운반체(301)의 운반체 본체
301b 제1 방향(X)의 구동 수단
301c 제2 방향(Y)의 구동 수단
304 파지 장치
500 제어 시스템
X 제1 방향
Y 제2 방향
Z 제3 방향
8 코너 섹션
9 컨테이너 안내 플레이트
11 저장 컨테이너의 코너
12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14 플레이트 부재
16 버팀 플레이트 부재
18 플레이트 세그먼트
20 유지 프로파일
21 플랜지
22 절개부
24 내향 돌출 리브
25 홈
26 하부 플랜지
28 볼트 구멍
30 볼트
32 바닥
34 상부 플랜지
36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
37 인터페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부분
38 인터페이스 플레이트의 오프셋된 상부 부분
40 자가 보링 나사
42 기능 플레이트 부재
44 기능 구역

Claims (18)

  1. 저장 컬럼(105)의 저장 그리드(104)를 형성하도록 수평 부재(103)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직립 부재(102)로 구성된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이며, 저장 컬럼 내에 복수의 저장 컨테이너(106)가 적층될 수 있고, 프레임워크 구조물은 제1 방향(X)의 평행 레일(110) 및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Y)의 평행 레일을 갖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상부 레벨에 배열된 레일 시스템(108)을 갖고, 레일 상에서 복수의 바퀴식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201, 301)가 이동하며, 컨테이너 핸들링 운반체는 저장 컬럼으로부터 저장 컨테이너를 제거하고 저장 컬럼 내의 저장 컨테이너를 교체하기 위한 파지 및 리프팅 장치(304)를 구비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에 있어서,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은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을 더 포함하고,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은,
    a. 인접한 직립 부재(102)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부재(14)를 포함하며,
    b. 플레이트 부재는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 사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포함하고, 각각의 유지 프로파일(20)은 직립 부재(102)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워크 구조물의 직립 부재(102)는 특정 저장 컬럼(105)의 내부를 향해 지향되는 코너 섹션(8)을 갖고, 코너 섹션은 2개의 수직으로 세장형인, 수직 코너 안내 플레이트(9)를 포함하고, 저장 컬럼(105)에 근접한 직립 부재(102)의 코너 안내 플레이트(9)는 저장 컬럼(105)에 저장되는 저장 컨테이너(106)의 코너를 위한 안내부를 형성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14)의 유지 프로파일(20)은 직립 부재(102)의 2개의 인접한 코너 섹션(8)의 코너 안내 플레이트(9)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되고 그 사이의 공간을 본질적으로 점유하도록 구성된 박스 형상을 가지며, 또한 플레이트 부재(14)의 플레이트 세그먼트(18)는 삽입된 유지 프로파일(20)의 플랜지(21)에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3. 제2항에 있어서,
    안내 플레이트(9)는 스냅 끼움에 의해 유지 프로파일(20)의 대응하는 홈(25)과 결합되는 내향 돌출 리브(24)를 갖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14)는 버팀 플레이트 부재(16)인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16)는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 사이에 연결된 X-형상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볼트(30)에 의해 함께 체결되고, 최하부 플레이트 부재는 바닥(32)에 체결되며, 이 바닥 상에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이 놓이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세그먼트(18)는 하부 및 상부 플랜지(26, 34)를 갖고, 수직으로 인접한 플레이트 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는 함께 체결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16)는 수직으로 인접한 플레이트 부재와 중첩되고 함께 체결되도록 배열되는 하부 오프셋 립 부분(35)을 갖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은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을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의 레일 시스템(108)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36)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인터페이스 플레이트(36)는 최상부 플레이트 부재와 중첩되고 자가 보링 나사에 의해 그에 연결되도록 배열된 하부 부분(37)을 갖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12)의 플레이트 부재(14)는 프레임워크 구조물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 이외의 또는 그에 부가하여 기능을 갖는 기능 플레이트 부재(42)이며, 상기 기능 플레이트 부재는 프레임워크 구조물(100) 내에 기능 구역(44)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11. 제10항에 있어서,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는 화재 장벽을 생성하는 화재 플레이트이며, 기능 구역(44)은 화재 보호 구역인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12. 제10항에 있어서,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는 절연 플레이트이고, 기능 구역(44)은 냉장 구역인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
  13. 제1항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의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을 안정화하는 방법이며,
    a.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 및 이들 사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포함하는 복수의 버팀 플레이트 부재(16)를 제공하는 단계;
    b. 프레임워크의 최하부 레벨에서 2개의 인접한 직립 부재(102) 사이에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을 설치하는 단계;
    c.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2개의 설치된 유지 프로파일에 연결하는 단계;
    d. 저장 컬럼을 따라 희망 높이까지 첫 번째 플레이트 부재 위에 추가적인 버팀 플레이트 부재(16)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프레임워크를 안정화하기 위해 버팀 플레이트 부재를 희망 개수 및 패턴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유지 프로파일(20) 및 직립 부재(102)는 프로파일과 직립 부재 사이의 스냅 끼움을 허용하는 상호간 형상을 갖고, 유지 프로파일은 플레이트 세그먼트가 체결되는 플랜지를 갖는 방법.
  15. 제1항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자동화된 저장 및 회수 시스템(1)의 프레임워크 구조물(100)에 기능 구역을 생성하는 방법이며,
    a. 2개의 유지 프로파일(20) 및 그 사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레이트 세그먼트(18)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를 제공하는 단계;
    b. 프레임워크의 최하부 레벨에서 2개의 인접한 직립 부재(102) 사이에 2개의 유지 프로파일을 연결하고 플레이트 세그먼트를 2개의 설치된 유지 프로파일에 연결함으로써 첫 번째 플레이트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저장 컬럼을 따라서 희망 높이까지 상기 첫 번째 플레이트 부재 위에 추가적인 기능 플레이트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희망 기능 구역을 생성하기 위해 플레이트 부재를 희망 개수 및 패턴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는 절연 플레이트 부재이며 기능 구역은 냉장 구역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기능 플레이트 부재(42)는 화재 장벽을 생성하도록 배열되는 내화 플레이트이며 기능 구역은 프레임워크의 화재 보호 영역인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및 회수 시스템이 동작되는 동안 플레이트 부재가 프레임워크의 구성 영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방법은, 플레이트 부재가 설치될 때 구성 영역을 피하도록 운반체(201, 301)에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29698A 2020-01-31 2021-02-01 프레임워크 장착식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및 버팀 배열체를 구비한 자동화된 저장 시스템 KR20220132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200118 2020-01-31
NO20200118A NO20200118A1 (en) 2020-01-31 2020-01-31 Automated storage system with framework mounted modular plate system and brac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stabilizing a framework structure
PCT/EP2021/052301 WO2021152170A1 (en) 2020-01-31 2021-02-01 Automated storage system with framework mounted modular plate system and bracing arran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623A true KR20220132623A (ko) 2022-09-30

Family

ID=7450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698A KR20220132623A (ko) 2020-01-31 2021-02-01 프레임워크 장착식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및 버팀 배열체를 구비한 자동화된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48613A1 (ko)
EP (1) EP4097032A1 (ko)
JP (1) JP2023512658A (ko)
KR (1) KR20220132623A (ko)
CN (1) CN115038653A (ko)
CA (1) CA3162384A1 (ko)
NO (1) NO20200118A1 (ko)
WO (1) WO2021152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003056D0 (en) 2020-03-03 2020-04-15 Ocado Innovation Ltd A grid frame work structure
JP2023537618A (ja) * 2020-08-14 2023-09-04 オカド・イノベーション・リミテッド グリッドフレームワーク構造
NO347235B1 (en) * 2022-01-07 2023-07-24 Autostore Tech As Variable temperature zone in a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DE102022202779B3 (de) 2022-03-22 2023-05-04 Gebhardt Fördertechnik GmbH Lager- und Entnahmesystem sowie Wand für ein Lager- und Entnahme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406A (en) * 1991-12-23 1993-06-15 Schwartz Bros. Wood & Metal Furnitures Ltd. Versatile modular office partitions
US6298612B1 (en) * 1995-09-05 2001-10-09 James A. Adams Wall strengthening component
DE19949926C1 (de) * 1999-10-16 2001-05-10 Christof Kaiser Leitungssystem
TW521801U (en) * 2001-08-23 2003-02-21 Yu-An Liu Jointing device for partitioning system
CN102409765A (zh) * 2005-11-11 2012-04-11 株式会社内田洋行 空间结构体
CA2796009A1 (en) * 2010-04-23 2011-10-27 E6-Xtrusion Structures Inc. Quick connect structural system
CN202000724U (zh) * 2011-03-17 2011-10-05 罗煜 灯箱支撑柱
US9850658B2 (en) * 2012-09-17 2017-12-26 Eleven Solutions Rfe S.A. De C.V. Modular, multiperforated permanent formwork construction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NO334806B1 (no) 2012-11-13 2014-06-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Lagringssystem
NO335839B1 (no) 2012-12-10 2015-03-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Robot for transport av lagringsbeholdere
CN203769059U (zh) * 2014-03-18 2014-08-13 北京光景照明设计有限公司 框架结构建筑物
CN203769061U (zh) * 2014-03-18 2014-08-13 北京光景照明设计有限公司 梁柱结构建筑物
CN203769063U (zh) * 2014-03-18 2014-08-13 北京光景照明设计有限公司 框架结构单元与结构框架
NO337544B1 (no) 2014-06-19 2016-05-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Fjernstyrt kjøretøysammenstilling for å plukke opp lagringsbeholdere fra et lagringssystem
DK3288865T3 (da) * 2015-04-27 2022-02-14 Attabotics Inc Opbevarings- og hentningssystem
CN205179583U (zh) * 2015-11-25 2016-04-20 艾普斯(天津)工业组装技术有限公司 布线系统拼装安装板
CN205944733U (zh) * 2016-05-25 2017-02-08 沈阳天通电力设备有限公司 开关柜框架结构
CN108217033A (zh) * 2016-12-15 2018-06-29 詹志光 一种易拆装的环保铝合金烟叶货架
NO20170216A1 (en) 2017-02-13 2018-08-14 Autostore Tech As Rail arrangement for wheeled vehicles in a storage system
EP3649224B1 (en) 2017-07-07 2023-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alkoxylated esteramines
WO2019094511A1 (en) * 2017-11-07 2019-05-16 Nordstr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orage, retrieval, and sortation in supply chain
NO344517B1 (en) * 2017-11-22 2020-01-20 Autostore Tech As Storage grid column
CN209760443U (zh) * 2019-01-04 2019-12-10 深圳市坐标建筑装饰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拼接件及其拼接框架结构
CN109629712B (zh) * 2019-02-01 2024-03-15 浙江绿尚建材有限公司 拼接式型材组件及其拼接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2170A1 (en) 2021-08-05
US20230048613A1 (en) 2023-02-16
CA3162384A1 (en) 2021-08-05
NO20200118A1 (en) 2021-08-02
JP2023512658A (ja) 2023-03-28
EP4097032A1 (en) 2022-12-07
CN115038653A (zh)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2623A (ko) 프레임워크 장착식 모듈형 플레이트 시스템 및 버팀 배열체를 구비한 자동화된 저장 시스템
US11441308B2 (en) Storage system
US11912497B2 (en) Modular storage systems and methods
CN112839883B (zh) 移动储存系统
US20220234827A1 (en) Storage system
CN114340741B (zh) 包括延伸通过多个堆叠容器的流动路径的自动化的存储与取回系统
JP2024511086A (ja) ブレーシング装置
US20240086838A1 (en) Storage system
US20240158166A1 (en) Modular storage systems and methods
JP2024509925A (ja) 自動貯蔵システム
JP2022536143A (ja) モジュール式コンテナアクセスステーショ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