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373A -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373A
KR20220132373A KR1020210037602A KR20210037602A KR20220132373A KR 20220132373 A KR20220132373 A KR 20220132373A KR 1020210037602 A KR1020210037602 A KR 1020210037602A KR 20210037602 A KR20210037602 A KR 20210037602A KR 20220132373 A KR20220132373 A KR 20220132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foot
heel
base frame
f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388B1 (ko
Inventor
이승훈
석대우
홍윤경
민준기
문동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1003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른발과 왼발을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뒤꿈치를 받치는 뒤꿈치 가드; 뒤꿈치 가드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발가락이 안착되고, 발가락의 힘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발바닥을 자극하는 발가락 안착홀더; 발가락 안착홀더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발가락 안착홀더의 좌우방향으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엄지발가락과,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구분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획된 구획벽이 돌출 형성되는 소프트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바닥의 편평한 형태를 아치 형태로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유도하여 무지외반증의 교정 또는 족저근막염의 치료를 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 지지체의 방향만의 변경으로 오른발 또는 왼발을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AUXILIARY CORRECTION DEVICE FOR FLATFOOT THAT CAN BE USED WITH BOTH FEET}
본 발명은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른발과 왼발을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평발은 발이 과도하게 회내(안쪽번짐, excessive pronation)되면서 발의 아치가 감소된 정렬 이상으로써, 발바닥 중 내측에 형성된 내측 아치의 높이가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발바닥이 상대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발의 모양을 의미하고 편평족이라고도 한다.
보통 지면에 대한 인체의 하중이 발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발바닥에서 분산되어 인체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게 되는데, 발바닥이 평발로 형성되면 발이 내측으로 젖혀지면서 인체의 하중을 불안정하게 견디게 되고, 이러한 불안정한 하중 견딤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발목에 통증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에는 무릎 통증 등 발목 외의 인체의 다른 부위에서도 통증이 수반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평발은 족저근막염과 무지외반증과 같은 족부 관련 질환 뿐만 아니라 근위부(무릎, 고관절 등)의 하지 생체역학까지 변화시켜 하지의 근골격계 질환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제까지 대부분의 평발 관련 재활장비는 뼈나 인대의 수동적 지지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발 보조기, 인솔, 테이핑 등 일시적인 중재방법에 관심을 가져왔으나, 최근들어 능동적인 수축 구조물인 발 내재근의 활성이 발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여 평발을 완화하는데 기여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발의 외재근과 내재근의 수축에 의한 불균형이 오히려 평발을 갖는 사람에 있어 바람직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관련하여, '전, 후경골관계 및 발가락력 강화 장치(JP6802557 B2)'에서는 뒤꿈치를 싣기 위한 뒤꿈치 적재판과, 뒤꿈치 적재판의 전방에 마련한 다리 적재판을 구비한 전, 후경골관계 및 발가락력 강화 장치에 있어서, 다리 적재판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에 설치되고, 다리 적재판 전단이 상하방향으로 요동자재에 설치된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뒤꿈치 적재판에는 뒤꿈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없어, 괘지부를 중심으로 족지골 영역과 중족골 영역의 경계부분을 안착시켜 발가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결국 발의 미끄러짐을 유발하여 평발을 안정적으로 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뒤꿈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가락만을 움직일 수 있게 하여 발이 과도하게 회내되지 않도록 하면서 발의 아치를 높여 평발 재활 훈련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오른발 또는 왼발을 공용으로 착용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인 새로운 보조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JP 6802557 B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른발과 왼발을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이 수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뒤꿈치를 받치는 뒤꿈치 가드; 및 상기 뒤꿈치 가드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발가락을 지지하는 발가락 안착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뒤꿈치 가드에 의해 뒤꿈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에 지지된 발가락의 힘에 의해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발바닥을 자극하여 발의 내측 아치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는, 띠 형상의 하드 케이스와, 상기 하드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장착되는 소프트 지지체와, 상기 소프트 지지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상기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구분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획된 구획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프트 지지체가 상기 하드 케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레일과, 상기 뒤꿈치 가드의 하면에 상기 제1레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뒤꿈치 가드가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1레일홈과, 상기 뒤꿈치 가드의 양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조절구간 홈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양측의 내외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구간 홈의 일정한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뒤꿈치 가드를 고정시키는 조절핀으로 이루어진 가드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안착홀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에 따르면, 뒤꿈치를 지지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을 전후방향으로 반복적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발 코어 근육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바닥을 자극하여 발의 내측 아치가 형성되게 유도함으로써, 무지외반증의 교정 또는 족저근막염의 치료를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가락 안착홀더는 띠 형상의 하드 케이스와, 하드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장착되는 소프트 지지체와, 소프트 지지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구분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획된 구획벽으로 구성되는 바, 특히 소프트 지지체를 하드 케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오른발과 왼발을 공용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른발 또는 왼발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발 교정 보조기구를 나타낸 3D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발 교정 보조기구를 나타낸 3D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발바닥 내재근은 발 코어 근육으로써 대표적 근육으로는 세로발활(longitudinal arch)을 지지하여 발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엄지벌림근(abductor hallucis)이 있다.
특히 발 코어 근육의 약화 및 비활성은 평발을 갖는 사람에게서 발의 만성 통증으로 발전하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평발의 경우 하지의 기능적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세로발활의 지지력 약화에 의해 발의 안쪽번짐이 일어나 무릎 비틀림, 엉덩관절 회전 등과 같은 하지의 전체 역학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발 코어 근육의 활성도가 정상 발을 갖는 사람보다 감소되고 발 외재근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평발을 갖는 사람에게 발 코어 근육의 활성을 강조하는 운동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재활 운동 도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뒤꿈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가락만을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발이 과도하게 회내되지 않도록 하여 발의 내측 아치를 높여 재활시킬 수 있는 평발 교정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발 교정 보조기구를 3D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발 교정 보조기구를 3D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발 교정 보조기구는 발이 수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뒤꿈치를 받치는 뒤꿈치 가드(200), 뒤꿈치 가드(200)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발가락을 지지하는 발가락 안착홀더(300),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족부를 덮는 전방커버(400), 뒤꿈치 가드(200)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가드 조절수단(500),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안착홀더 조절수단(600)을 포함하여, 뒤꿈치 가드(200)에 의해 뒤꿈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발가락 안착홀더(300)에 지지된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발바닥을 자극하여 발의 내측 아치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발가락 안착홀더(300)는 띠 형상의 하드 케이스(310)와, 하드 케이스(310)의 내면을 따라 장착되는 소프트 지지체(320)와, 소프트 지지체(320) 상에 돌출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구분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획된 구획벽(330)으로 이루어져, 소프트 지지체(320)가 하드 케이스(310)의 좌우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프레임(100)은 발이 수용되는 구성이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상부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베이스 프레임(120)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표면에 발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이 함몰 형성된다. 수용공간(111)에는 뒤꿈치 가드(200)와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뒤꿈치 가드(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에 설치되어 뒤꿈치를 받치는 구성이다.
뒤꿈치 가드(200)는 뒤꿈치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는 뒤꿈치 가드(200)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가드 몸체(210)와, 외부 가드 몸체(210)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게 설치되어 발의 뒤꿈치 부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부 가드 몸체(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가드 몸체(220)의 표면에는 다수 개의 마찰돌기(2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마찰돌기(221)에 의해 뒤꿈치 부분이 내부 가드 몸체(220)에 안착된 후 뒤꿈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평발 교정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보조해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가드 몸체(210) 및 내부 가드 몸체(220)로 구성된 뒤꿈치 가드(200)의 전단에 보조받침 가드(230)가 연장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보조받침 가드(230)가 뒤꿈치 가드(20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발의 아치 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보조받침 가드(230)의 상면은 내부 가드 몸체(220)의 상면과 동일한 선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발의 뒤꿈치 부분과 발의 아치 부분에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발가락 안착홀더(300)는 뒤꿈치 가드(200)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발가락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발가락 안착홀더(300)는 엄지발가락을 포함한 모든 발가락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외형을 이루는 띠 형상의 하드 케이스(310)와, 하드 케이스(310)의 내면을 따라 장착되는 소프트 지지체(320)와, 소프트 지지체(320) 상에 돌출된 구획벽(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드 케이스(310)는 소프트 지지체(32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 소재로 이루어져 소프트 지지체(320)의 외부를 지지하여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소프트 지지체(320)를 포함한 발가락 안착홀더(300)의 파손을 방지해준다.
소프트 지지체(320)는 하드 케이스(310)보다 상대적으로 연질 소재로 이루어져 하드 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발가락의 하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을 제공한다. 구획벽(330)을 중심으로 엄지발가락이 안착되는 표면에는 엄지발가락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내부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엄지발가락 안착홈(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엄지발가락 안착홈(321)에는 소프트 지지체(320) 상에서 엄지발가락이 지탱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32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소프트 지지체(320)는 하드 케이스(310)의 좌우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즉 하드 케이스(310)로부터 구획벽(330)이 돌출 형성된 소프트 지지체(320)를 분리한 후, 분리된 소프트 지지체(320)를 원래 장착되어 있던 하드 케이스(310)의 반대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재장착이 가능한 것이다. 이는 구획벽(330)에 의해 엄지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오른발 또는 왼발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획벽(330)은 발가락 중 엄지발가락과,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의 경계부분에 배치되어 엄지발가락과,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독립적으로 구분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발가락 힘에 의한 발가락 안착홀더(300)의 이동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게 된다. 소프트 지지체(320) 상에 구획벽(330)이 형성됨에 따라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으로부터 엄지발가락만을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보다 엄지발가락에 상대적으로 힘을 더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 분배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방커버(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되어 발가락 안착홀더(300)와 전족부를 감싸는 구성이다.
전방커버(400)의 경우 커버부재(420)의 지지체 역할을 하는 커버 지지대(410), 전족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420) 및 발등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발등쿠션(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 지지대(4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단 둘레를 따라 일정 위치까지 형성되는 제1커버 지지대(411)와, 제1커버 지지대(411)의 단부에서 상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과 발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제2커버 지지대(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커버 지지대(412)는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등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한되는 위치가 될 수 있도록 하여 발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커버부재(420)는 제1커버 지지대(411)와 제2커버 지지대(412)의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커버부재(420)의 경우 투명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져 평발 교정 시 발의 움직임이 관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등쿠션(430)은 발가락 운동 동작에 따라 제2커버 지지대(412) 또는 커버부재(420)의 내면에 발등이 닿여 살까짐을 방지하면서 쿠션감을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발등쿠션(430)을 통하여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발등이 제2커버 지지대(412) 또는 커버부재(420)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가드 조절수단(500)은 뒤꿈치 가드(200)를 일정한 위치로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발의 내재근을 효율적으로 수축하기 위해서는 뒤꿈치, 엄지발가락 부위 등을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발 크기가 다양한 사람마다 발 크기가 서로 다른 별도의 교정기구를 제작할 필요없이 가드 조절수단(500)만으로 뒤꿈치 가드(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면서, 발 전체의 고정력을 위해 뒤꿈치의 지지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가드 조절수단(500)은 제1레일(510), 제1레일홈(520), 피스(530), 조절구간 홈(540), 조절핀(550) 및 손잡이(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수용공간(111)에 설치되는 뒤꿈치 가드(200)를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부분에 위치시킨 후 고정할 수 있다.
제1레일(51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레일(510)은 일측 또는 타측에서 바라본 단면이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함몰 형성된 수용공간(111)의 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레일(510)에는 제1레일홈(520)이 결합되어 뒤꿈치 가드(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제1레일홈(520)은 뒤꿈치 가드(200)의 하면에 제1레일(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제1레일(510)을 따라 뒤꿈치 가드(2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한다.
조절구간 홈(540)은 뒤꿈치 가드(200)의 양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조절핀(55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간을 마련한다. 즉 조절구간 홈(540)은 뒤꿈치 가드(20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선길이를 갖는 조절구간이 가능한 공간을 의미한다.
조절핀(550)은 베이스 프레임(100) 양측의 내외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조절구간 홈(540)의 일정한 부분에 위치되어 뒤꿈치 가드(2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안착홀더 조절수단(600)은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세히, 안착홀더 조절수단(600)은 제2레일(610), 제2레일홈(620), 슬라이딩 부재(630), 끼움홈(640) 및 스프링(65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0)에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면서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를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레일(61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즉 제2레일(610)은 하부 베이스 프레임(120)의 전방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제2레일(610)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부재(6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레일홈(62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제2레일홈(620)은 상부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 제2레일(6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재(630)가 통과되면서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의 이동이 가능한 구간을 마련하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630)는 제2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 부재(630)의 상부에는 돌출편(631)이 돌출 형성되는데, 돌출편(631)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고정홈(63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홈(631a)에 고정핀(631b)을 끼움 결합하여 슬라이딩 부재(630)가 발가락 안착홀더(3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 부재(630)의 하면에는 제2레일(6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63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640)은 슬라이딩 부재(630)와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발가락 안착홀더(300)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630)의 상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끼움홈(640)의 경우 하드 케이스(310)의 하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전단 및 후단에 함몰 형성되는데, 끼움홈(640)에 슬라이딩 부재(63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631)이 끼움 결합된 후 고정핀(631b)을 고정홈(631a)의 전후방향을 따라 통과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안착홀더(300)와 슬라이딩 부재(6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스프링(650)은 상부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베이스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 내부에서, 하부 베이스 프레임(120)의 전단과 슬라이딩 부재(6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발가락 안착홀더(3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뒤꿈치 가드(200)에 의해 뒤꿈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발가락 안착홀더(300)에 발가락을 안착시키고,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하여 발볼 즉, 중족지절관절의 완력을 이용해 엄지발가락이 발가락 안착홀더(300)를 누름 동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안착홀더(300)에 탄성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발가락의 내재근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데 미미하여 평발을 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스프링(65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발가락 안착홀더(300)를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 코어 근육의 수축을 극대화하여 발의 내재근의 활성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발 교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발이 수용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뒤꿈치를 받치는 뒤꿈치 가드(200)와, 뒤꿈치 가드(200)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발가락을 지지하는 발가락 안착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뒤꿈치 가드(200)에 의해 뒤꿈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발가락 안착홀더(300)에 지지된 발가락의 힘에 의해 발가락 안착홀더(30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발바닥을 자극하여 발의 내측 아치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발가락 안착홀더(300)의 소프트 지지체(320)는 하드 케이스(310)의 좌우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하드 케이스(310)로부터 구획벽(330)이 돌출 형성된 소프트 지지체(320)를 분리한 후, 분리된 소프트 지지체(320)를 원래 장착되어 있던 하드 케이스(310)의 반대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재장착이 가능함을 의미하는데, 특히 구획벽(330)에 의해 엄지발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오른발 또는 왼발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에 따르면 엄지발가락 벌림 위치로 정렬 및 고정한 상태에서 발가락을 포함하는 전족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당기고 미는 동시에, 발바닥 방향으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발 코어 근육의 수축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발 코어 근육인 엄지벌림근 활성을 위해 발을 짧게 만드는 운동(short foot exercise) 원리를 활용하여 발바닥 근육을 강화시키면서 발 코어 근율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하지 재활할 수 있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종래 단순 수동적 지지에 초점을 맞춘 보조기구에서 탈피하여 평발인 사람의 발 코어 근육의 횡단면 크기, 근활성도 및 동원순서, 동적균형 등 하지에 생체역학적 특성 변화를 바탕으로, 결국 발 코어 근육을 강화시켜 하지 관련 근골격계 질환을 갖는 사람을 재활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110: 상부 베이스 프레임
111: 수용공간
120: 하부 베이스 프레임
200: 뒤꿈치 가드
210: 외부 가드 몸체
220: 내부 가드 몸체
221: 마찰돌기
230: 보조받침 가드
300: 발가락 안착홀더
310: 하드 케이스
320: 소프트 지지체
321: 엄지발가락 안착홈
321a: 가이드돌기
330: 구획벽
400: 전방커버
410: 커버 지지대
411: 제1커버 지지대
412: 제2커버 지지대
420: 커버부재
430: 발등쿠션
500: 가드 조절수단
510: 제1레일
520: 제1레일홈
530: 피스
540: 조절구간 홈
550: 조절핀
560: 손잡이
600: 안착홀더 조절수단
610: 제2레일
611: 스토퍼
620: 제2레일홈
630: 슬라이딩 부재
631: 돌출편
631a: 고정홈
631b: 고정핀
632: 슬라이딩홈
640: 끼움홈
650: 스프링

Claims (3)

  1. 발이 수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뒤꿈치를 받치는 뒤꿈치 가드; 및
    상기 뒤꿈치 가드의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발가락을 지지하는 발가락 안착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뒤꿈치 가드에 의해 뒤꿈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에 지지된 발가락의 힘에 의해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발바닥을 자극하여 발의 내측 아치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는,
    띠 형상의 하드 케이스와, 상기 하드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장착되는 소프트 지지체와, 상기 소프트 지지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상기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구분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획된 구획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프트 지지체가 상기 하드 케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레일과, 상기 뒤꿈치 가드의 하면에 상기 제1레일과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뒤꿈치 가드가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1레일홈과, 상기 뒤꿈치 가드의 양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조절구간 홈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양측의 내외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구간 홈의 일정한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뒤꿈치 가드를 고정시키는 조절핀으로 이루어진 가드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2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발가락 안착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안착홀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KR1020210037602A 2021-03-23 2021-03-23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KR10253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02A KR102534388B1 (ko) 2021-03-23 2021-03-23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02A KR102534388B1 (ko) 2021-03-23 2021-03-23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73A true KR20220132373A (ko) 2022-09-30
KR102534388B1 KR102534388B1 (ko) 2023-05-18

Family

ID=8345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602A KR102534388B1 (ko) 2021-03-23 2021-03-23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9749A (ja) * 2016-09-06 2017-02-09 有限会社平岡健康開発研究所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KR20190081165A (ko) * 2017-12-29 2019-07-0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평발교정용 운동기구
KR101974559B1 (ko) * 2017-12-13 2019-08-23 정은상 평발 교정용 운동 기구
CN111869989A (zh) * 2020-08-04 2020-11-03 温州大学 一种弧度高度可调的扁平足矫正鞋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9749A (ja) * 2016-09-06 2017-02-09 有限会社平岡健康開発研究所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JP6802557B2 (ja) 2016-09-06 2020-12-16 有限会社平岡健康開発研究所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KR101974559B1 (ko) * 2017-12-13 2019-08-23 정은상 평발 교정용 운동 기구
KR20190081165A (ko) * 2017-12-29 2019-07-0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평발교정용 운동기구
CN111869989A (zh) * 2020-08-04 2020-11-03 温州大学 一种弧度高度可调的扁平足矫正鞋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388B1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8580B2 (ja) 足底板の製造方法
US20110099842A1 (en) Motion control insole with muscle strengthening component
KR20080043823A (ko) 신발 안창
US20210227925A1 (en) Shoes including arch pad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2081901B1 (ko) 발가락 운동기구
US20100018077A1 (en) Spring-supported arch support and method
KR101615520B1 (ko) 발가락 교정구
JP3183996U (ja) ストレッチボード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KR102534387B1 (ko) 평발 교정 보조기구
KR102534388B1 (ko)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JP2017029749A (ja) 前、後脛骨筋及び足指力強化装置
EP0600145B1 (en) Sports shoes
WO2008113988A1 (en) Foot orthosis apparatus
EP3509544B1 (en) An orthotic product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100928712B1 (ko)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KR102493950B1 (ko)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RU2759112C1 (ru) Обувь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и расслабления мышц ступни и голени (варианты) и комплект для повышения общей физической подготовленности организма
US20230144081A1 (en) Pad for strengthening muscle of sole of foot, and insole including same
KR102425738B1 (ko) 신발의 밑창 구조
US20210275870A1 (en) Apparatus reducing compensatory leg, ankle and foot movements during heel raise exercises in rehabilitation and fitness
KR20200053192A (ko) 발 자극 교정기
JP3200983U (ja) 履物の底板及び履物、靴の中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