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950B1 -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950B1
KR102493950B1 KR1020200127147A KR20200127147A KR102493950B1 KR 102493950 B1 KR102493950 B1 KR 102493950B1 KR 1020200127147 A KR1020200127147 A KR 1020200127147A KR 20200127147 A KR20200127147 A KR 20200127147A KR 102493950 B1 KR102493950 B1 KR 10249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upport
midfoot
protrusion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583A (ko
Inventor
손태석
Original Assignee
손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석 filed Critical 손태석
Priority to KR102020012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9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6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for compressive stressing of a part of the skeletal structure, e.g.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61H2001/027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중족부를 지지하는 중족부 지지부로 구성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개의 교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체는 상기 복수개의 교정돌기 사이에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새끼발가락이 위치한 부분에서 우측 및 우측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연결 부분을 지지해주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족부 지지부는 상기 발가락 지지부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기 바닥지지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정돌기 사이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중 새끼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될 수 있는 패인 형태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Apparatus of an exercise aid for body balance}
본 발명은 일상 생활 운동 시 발가락의 보정을 통해 신체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자연스럽게 건강에 대한 인식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발가락, 발 특히 신체의 기초가 되는 발가락이 체형 및 체질 개선에 영향을 주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올바른 형태의 발가락 운동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발가락은 인간이 직립 보행을 시작한 이후 모든 신체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써, 발가락(지골과 중족골)은 서고 걸을 때 가장 아래쪽에서 가장 많은 움직임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인체의 혈액순환 및 체형의 균형과 이동, 운동 등 가장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스위치 센서와 같은 일을 하고, 따라서 올바른 자세로 걷거나 서있는 것만으로도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런데 잘못된 발가락의 운동능력이 되는 경우 바른 걸음걸이 또는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어 발가락을 이루는 관절들이 변형되어 관절 연쇄 원리에 따라 발가락에서부터 발, 발목에서 무릎, 골반, 허리, 척추, 내장기관, 어깨, 목, 머리까지 파급되어 O자 다리, X자 다리, 골반 불균형, 어깨 불균형, 척추 디스크, 측만증, 혈액순환장애, 보행 장애 등이 신체 전반에 걸쳐 일어나게 된다.
더욱이 현대인들은 특히 발가락을 포함한 하지 건강의 중요성을 간과한 채 미(美)적 관심에만 급급하여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키높이 같은 신발 등의 사용함으로써, 발가락으로 체중이 쏠리면서 발가락의 운동능력이 잘못되어 발가락이 변형되어, 종국적으로 신체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어깨 등이 쑤시고 피로감을 더욱 빨리 느끼고,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쉬워 국민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고, 이에 따라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가락 질환이 국민 건강을 해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발가락의 운동능력(구조 기능 역할)은 신체 중 가장 약하면서 가장 많은 움직임과 활동량을 소화하고, 체중이 가장 많이 쏠리는 중요한 부위임에 비하여 현대인들은 그 중요성을 간과한 채 발가락을 비롯한 발의 관리를 소홀히 하여 신체의 기초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건강의 불균형, 각종 질환의 발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걷거나 뛰어갈 때, 산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특별한 운동을 할 때, 심지어 서 있는 경우라도 발가락은 체중이 집중되어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가장 기초된 것으로, 이러한 신체의 기초인 발가락의 운동능력이 무너질 경우 신체 전반에 걸쳐 다수의 질병과 통증, 장애 등을 유발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의 관리 소홀로 인하여 이러한 발가락 운동능력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가락과 발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습관으로 꾸준한 발 마사지, 자극 요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마사지, 자극요법은 발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에 걸친 질병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크기 때문에 근래 들어 여러 방법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으나, 신체의 기초가 되는 발가락을 올바른 형태로 교정시키는 효과가 없어 질환 예방 및 건강 증진 효과의 한계가 명확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특허출원 제10-2004-0072903호 "발가락 지압기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의 지압기는 발가락을 지압하는데 만 중점을 두고 개발된 것임에 따라 발가락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특징적인 효과는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사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발가락(지골과 중족골)의 운동능력을 향상시켜 건강을 예방, 증진시키고, 발가락의 형태를 올바른 형태로 교정할 수 있으면서, 발가락 운동용구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함으로써,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고 운동 시에도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 시 자세 보정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새끼발가락이 위치한 부분에서 우측 부분에 발가락 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연결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형성하고, 새끼발가락의 중족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일 생활에서 보행과 같은 운동 시 새끼발가락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연결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새끼발가락의 중족부가 양옆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안착시켜 일 생활에서의 바른 운동을 유도하여 신체 밸런스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발가락의 중족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를 제공하는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중족부를 지지하는 중족부 지지부로 구성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개의 교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체는 상기 복수개의 교정돌기 사이에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새끼발가락이 위치한 부분에서 우측 및 우측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연결 부분을 지지해주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족부 지지부는 상기 발가락 지지부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기 바닥지지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정돌기 사이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중 새끼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될 수 있는 패인 형태의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교정돌기 사이에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엄지발가락이 위치한 부분에서 좌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연결부분을 지지해주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족부 지지부는 상기 발가락 지지부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기 바닥지지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정돌기 사이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및 약지발가락의 중족부 각각이 안착시킬 수 있는 패인 형태의 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엄지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발가락 지지부에서 측면 방향 및 후방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되, 교정돌기에 발가락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소정 부분만큼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새끼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발가락 지지부에서 측면 방향 및 후방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되, 교정돌기에 발가락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소정 부분만큼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족부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중족부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교정돌기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지지체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균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중족부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한 발가락운동용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시 신체 체형을 자연스럽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발가락운동 용구에 착용되는 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를 발가락에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 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에 착용되는 발가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에 발가락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에 대하여, 발뒤꿈치 부위인 후족부, 발의 중앙 부위로써 중족골들이 위치하는 부위인 중족부, 발가락들의 지골(기절골, 중절골, 말절골)이 위치하는 부위인 전족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중족골과 지골이 연결되는 중족지관절들이 위치하는 부위를 발볼로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는 크게, 도 1의 발가락의 전족부 및 중족부를 지지하는 바닥지지체(100)와,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교정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는, 실리콘, 세라믹, 합성수지 등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기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지지체(100)는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110)와 중족부를 지지하는 중족부 지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발가락 지지부(110)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개의 교정돌기(200)는 발가락 지지부(110)의 가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교정돌기(200) 사이에는 발가락 각각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총 3~4개의 교정돌기(200)가 돌설되어 교정돌기(200)들 사이의 공간부에 사용자의 발가락들이 끼워지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인 4개의 교정돌기(200)를 갖는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는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제1 교정돌기(200a), 검지와 중지 발가락 사이에 제2 교정돌기(200b), 중지와 약지 발가락 사이에 제3 교정돌기(200c), 약지와 새끼발가락 사이에 제4 교정돌기(200d)를 구성하며, 제 1 내지 제 4 교정돌기(200a, 200b, 200c, 200d)는 발가락 지지부(110) 상측 방향으로 돌설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제1 교정돌기(200a)가 끼워지고, 검지와 중지 발가락 사이에 제2 교정돌기(200b)가 끼워지고, 중지와 약지 발가락 사이에 제3 교정돌기(200c)가 끼워지고, 약지와 새끼발가락 사이에 제4 교정돌기(200d)가 끼워짐에 따라, 발가락들의 밸런스를 잡아주고 사이를 벌려 발가락들 사이가 좁아지거나 내측으로 휘는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가락 변형을 교정하게 된다.
또한, 발가락 지지부(110)는 교정돌기(200)들 사이의 공간 및 제1, 제4 교정돌기(200a)(200d) 외측 상부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지지부(미지칭)가 형성되어, 발가락 교정을 이용한 운동 보조 기구(C)를 끼웠을 때, 상기 돌출지지부가 발가락들의 아치(기절골, 중절골, 말절골의 관절 연결구조로 인하여 형성되는 하측 공간)에 수용되면서, 발가락을 지지하면서 접촉이 이루어져 발가락을 본래의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교정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발가락 지지부(110)는 양측 전방 및 교정돌기(200)들의 공간 전방에 발가락들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후방을 향해 오목 형성된 오목홈부(미지칭)가 마련되어, 발가락의 말절골 부위의 살이 발가락 지지부(10)와 접촉되지 않아 보행 시 발가락운동능력을 통한 안정적인 지지와 추진은 신체의 운동능력 향상이 가능하다.
교정돌기(200)는 발가락 지지부(110)와 연결되는 몸체부(210)와 몸체부(21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발가락 지지부(110)는 제1 및 제4 교정돌기(200a, 200d)와 인접한 발가락 지지부(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이 외측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를 착용 시 신체의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지지부재(112,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112, 114)는 발가락 지지부(10)의 양측 부분으로 연장되어 발가락 지지부(11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의 착용 시 사용자의 발가락 착용 방향 및 양측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 2 지지부재(112, 114)는 발가락 지지부(110)에서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이 위치한 부분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112, 114)는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부분, 즉 연결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부재(112, 114)는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의 착용 후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걸음 형태와 관계없이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이 정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한 높이로 유지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틀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어깨선이 틀어지는 생활과 운동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깨선을 보정시키는 생활과 신체운동이 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지지부재(112, 114)는 전방향(즉, 발가락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부 연장되어 발가락 지지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지지부재(112, 114)는 제1 및 제4 교정돌기(200a, 200d)의 몸체부(210) 일측부분(제1 및 제4 교정돌기(200a, 200d)와 발가락 지지부(110)가 만나는 지점)에서 좌우측 방향과 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발가락 지지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12)는 엄지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22)와 인접한 발가락 지지부(110)에서 측면 방향 및 후방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날개 형상의 전방측에 교정돌기(200)에 발가락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소정 부분만큼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14)는 새끼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22)와 인접한 발가락 지지부(110)에서 측면 방향 및 후방으로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날개 형상의 전방측에 교정돌기(200)에 발가락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소정 부분만큼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지지부재(112, 114)는 발가락 교정을 이용한 운동 보조 기구(C)의 착용 시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잘못된 운동능력과 틀어짐을 보정하기 위해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측면 방향 및 날개 형상의 전방측에 교정돌기(200)에 발가락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소정 부분만큼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족부 지지부(120)는 발가락 지지부(110)에서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된 것으로, 발가락 운동능력을 이용한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C)를 끼웠을 때 중족 지관절 및 중족골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중족부 지지부(120)는 발가락 지지부(110)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된 바닥지지체(10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교정돌기(200) 사이 발가락이 끼워질 때 발가락의 중족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중족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요철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족부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발가락 각각의 중족부가 안착되고, 바닥지지체(100)의 바닥면 기준으로 상부면 방향으로 패인 형태를 갖는 안착부(122) 및 안착부(122) 사이에 형성되어 안착부(122)에 안착된 중족부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균형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안착부(122) 및 균형부재(124)가 교번되어 형성된 요철 형상의 중족부 지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균형부재(124)는 교정돌기(200) 각각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의 바닥지지체(100)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균형부재(124)는 교정돌기(200) 각각의 길이에 비례한 길이를 가지며, 교정돌기(200) 각각의 폭과 비례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중족부 지지부(120)의 안착부(122)가 각 발가락의 중족부별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끼발가락의 중족부만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122)만을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족부 지지부(120)는 새끼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되고, 바닥지지체(100)의 바닥면 기준으로 상부면 방향으로 패인 형태를 갖는 새끼발가락 안착부(122`) 및 새끼발가락 안착부(122`) 사이에 형성되어 새끼발가락 중족부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균형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닥지지체
110 : 발가락 지지부
120 : 중족부 지지부
122 : 안착부
124 : 균형부재

Claims (4)

  1.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는 발가락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중족부를 지지하는 중족부 지지부로 구성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발가락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개의 교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체는,
    상기 복수개의 교정돌기 사이에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새끼발가락이 위치한 부분에서 우측 및 우측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새끼발가락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연결 부분을 지지해주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교정돌기 사이에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지지부의 엄지발가락이 위치한 부분에서 좌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의 지골과 중족골이 만나는 연결부분을 지지해주는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족부 지지부는,
    상기 발가락 지지부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기 바닥지지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교정돌기 사이 발가락이 끼워질 때 상기 발가락 중 새끼발가락의 중족부가 안착될 수 있는 패인 형태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중족부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균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 및 균형부재가 교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측면 방향 및 날개 형상의 전방측에 상기 교정돌기에 발가락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소정 부분만큼 연장된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균형부재는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중족부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교정돌기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지지체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부재는 상기 교정돌기 각각의 길이에 비례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교정돌기 각각의 폭과 비례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3. 삭제
  4. 삭제
KR1020200127147A 2020-09-29 2020-09-29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KR10249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47A KR102493950B1 (ko) 2020-09-29 2020-09-29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47A KR102493950B1 (ko) 2020-09-29 2020-09-29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83A KR20220043583A (ko) 2022-04-05
KR102493950B1 true KR102493950B1 (ko) 2023-01-30

Family

ID=8118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147A KR102493950B1 (ko) 2020-09-29 2020-09-29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9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1B1 (ko) * 2014-02-18 2014-09-17 손태석 발가락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912B1 (ko) * 2016-02-29 2018-05-28 손태석 발가락 교정구
KR101995105B1 (ko) * 2017-02-03 2019-09-30 손태석 발가락 교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21B1 (ko) * 2014-02-18 2014-09-17 손태석 발가락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83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489B2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TW201517889A (zh) 腳趾墊
KR10161552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622906B1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KR101441021B1 (ko) 발가락 교정기
KR101587899B1 (ko) 발가락 교정구
WO2007094598A1 (en) Functional shoes for a patient having an arthritis
KR101588651B1 (ko) 발가락 교정구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KR101522383B1 (ko) 발가락 교정기
KR102493950B1 (ko) 신체 밸런스용 운동 보조 기구
KR101995105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861912B1 (ko) 발가락 교정구
CN204812332U (zh) 具有锻炼足尖足跟及平衡能力的多功能休闲鞋
KR102165071B1 (ko) 맞춤형 발가락 교정구가 구비된 신발 안창
US20150245938A1 (en) Health orthosis for foot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178105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620715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8865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JP3195854U (ja) 履物
KR101722180B1 (ko) 기능성 신발
RU2759112C1 (ru) Обувь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и расслабления мышц ступни и голени (варианты) и комплект для повышения общей физической подготовленности организма
KR101620714B1 (ko) 발가락 교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