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482A -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482A
KR20220131482A KR1020210036310A KR20210036310A KR20220131482A KR 20220131482 A KR20220131482 A KR 20220131482A KR 1020210036310 A KR1020210036310 A KR 1020210036310A KR 20210036310 A KR20210036310 A KR 20210036310A KR 20220131482 A KR20220131482 A KR 2022013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astening
support
hip
s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훈
조예닮
Original Assignee
조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훈 filed Critical 조세훈
Priority to KR102021003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482A/ko
Publication of KR2022013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47C13/005Modular s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모듈형 의자는 인체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평면이 형성된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엉덩이 지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떨어지도록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좌우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동일한 높이는 가지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배치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이 되어 구성되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과 의자의 내부와 부분적으로 조립되고 적측, 전후, 좌우로 배열을 하고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공간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입체적인 의자의 배렬, 테이블 및 수납공간, 파티션과 같은 공간 디자인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Modular chair for multi-purpose assembly and arrangement}
본 발명은 의자의 기능을 가지는 다각형 모듈을 다양하게 입체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분리하거나 상호 떨어져서 앉을 수 있도록 상호조립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용도실, 놀이공간 및 회의 공간 등을 다양한 형태로 입체적으로 배일과 부분적으로 조립을 할 수 있게 하되 별도의 공구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가능하게 하는 공간 디자인을 위한 모듈형 의자에 대한 것이다.
실내외의 특정한 공간에서 의자나 테이블 및 파티션, 상자 등으로 가변적으로 공간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목적에 맞는 설계하고 관련된 가구나 부품들을 준비하여 설계된 형태를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공구와 도구들을 사용하여 고정 및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한 공간 디자인이 일시적인 경우에는 해체하고 사용된 가구, 의자 및 테이블, 파티션들은 창고나 다른 별도의 장소에 보관을 하는 등의 사용 후에는 부가적인 비용이나 보관 장소 등이 필요하다. 일정 기간의 행사나 임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 후 포개기나 접을 수 있는 형태의 의자나, 테이블을 사용하여 보관시의 공간을 최소화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고 쌓아두는 경우에는 미관상 별도의 커버나 파티션, 가림막 등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가릴 필요가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주거용 공간에서도 거주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서, 혹은 용도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파티션을 사용하여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는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공구나 도구들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설치 후 해체나 다른 용도로 변형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실제 생활속에서 활용되는 공간에서의 공간 디자인이나 잦은 구조변경이나 조립 및 해체와 같은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유사한 예로 실생활은 아니지만 레고 블록과 같은 놀이기구는 일정한 모듈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조립이나 해체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고 구조를 바꾸거나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놀이용 블록은 크기가 한정이 되어 있고 실제 어린이 집의 실내공간이나 주거공간 및 사무공간에서의 활용이 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이 플라스틱으로써 견고하지 않고 조립된 구조물을 사람이 생활용품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구들이 상호 수납되거나 접혀지고 포개어지는 등 공간을 최소화하기도 하고 다양하게 변형이 되는 시스템 가구들이 상용화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가구들은 가격이 높고 설계된 한정된 형태로의 변형에 한정이 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특허공개 2020-009937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외의 공간을 의자나 테이블 및 파티션 등을 사용하여 설치를 함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나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공간분리, 다양한 높낮이의 의자배치, 전후 및 좌우 등의 의자배열을 하되 의자들과의 상호 접촉 및 부분적인 결합 등을 통하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적 특징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층 및 부분적인 결합을 통하여 벽이나 아일랜드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별도의 커버나 가리우기 위한 수단이 불필요하도록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가구나 의자배열, 테이블 등을 구성할 수 있지만 하나의 형태의 모듈형 의자를 통하여 구현이 되도록 구조적 특징을 가지므로 기존의 모듈형 가구나 테이블, 파티션 등에서 구현하기에 용이하지 않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보관이나 사용 중에도 다용도 수납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직접 및 간접 사용 중에도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써 다기능 모듈형 의자는 인체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에 평면이 형성된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엉덩이 지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떨어지도록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좌우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동일한 높이는 가지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이 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측면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4개 내지 8개를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외측 길이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폭과 같거나 크고 상기 측면 지지부 내측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접촉부의 폭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내측 거리의 50% 보다 작으며, 상기 접촉부의 폭의 두배의 폭과 상기 엉덩이 지지부 두께의 합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길이보다 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하나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부는 소정의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홈부이고, 상기 홈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접촉부의 두께보다 길이가 더 긴 원기둥 형상의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홈부의 내측부와 상기 핀의 외측면에는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의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는 대향하는 측면 지지부에서 교체되게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엉덩이 지지부에도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는 홈부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언급된 홈부는 관통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모듈형 의자는 실내외의 공간을 의자나 테이블 및 파티션 등으로 분리 또는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에 따라서 배치하는 상황에 있어서 별도의 공구나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공간분리, 다양한 높낮이의 의자배치, 전후 및 좌우 등의 의자배열이 가능하도록 하되 의자들과의 상호 접촉 및 부분적인 결합 등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형태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층 및 부분적인 결합 등을 통하여 벽이나 아일랜드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관이나 사용 중에도 다용도 수납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직접 및 간접, 미사용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용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과 도면의 내용을 참작하여 유추할 수 있는 모든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체결부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태의 핀과 매립된 영구자석과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써 다기능 모듈형 의자는 인체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에 평면이 형성된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엉덩이 지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떨어지도록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좌우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동일한 높이는 가지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이 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측면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4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외측 길이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폭과 같거나 크고 상기 측면 지지부 내측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접촉부의 폭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내측 거리의 50% 보다 작으며, 상기 접촉부의 폭의 두배의 폭과 상기 엉덩이 지지부 두께의 합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길이보다 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또 다른 의자의 접촉부 또는 엉덩이 지 지지부 중의 어느 하나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소정의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홈부이고, 상기 홈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접촉부의 두께보다 길이가 더 긴 원기둥 형상의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홈부의 내측부와 상기 핀의 외측면에는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고 매립되어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의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는 대향하는 측면 지지부에서 교체되게 각각 배치되고 매립되어 표면에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의자와 대응되는 체결부 사이에 영구자석과 강자성체 사이의 인력이 발생하여 상호 자기적으로 체결되는 구성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엉덩이 지지부에도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홈부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이 될 수 있고, 홈부인 경우에는 내측에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이 매립되어 돌출이 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가 강자성체인 경우에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표면 내측으로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홈부는 체결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 및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두께에 따라서 관통된 형태로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의자를 구성하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하나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금속 판재, 각재 등을 통하여 해당되는 구성의 기능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의자는 다각형 모듈을 다양하게 입체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분리하거나 상호 떨어져서 앉을 수 있도록 상호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다용도실, 놀이공간 및 휴식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된 구조물과 공간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무공간 및 회의실과 같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입체적으로 배일과 부분적으로 조립을 하여 의자 및 테이블, 수납공간, 파티션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되 별도의 공구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가능하게 하는 공간 디자인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활용은 간략한 예시이며, 동일한 형태의 모듈형 의자를 사용하여 서로 이웃하게 상하 및 좌우, 전후로 배치하거나 쌓거나 배열을 하여서 개별적으로 의자의 기능과 이웃하는 의자와의 물리적 거리를 만들어 공간을 분리하거나, 파티션, 높낮이가 서로 다른 의자, 간이 침대, 다용도 테이블, 수납공간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도면과 함께 본 발명과 그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모듈형태의 의자로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에 따라서 상호 조립, 적층 등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자 일측이 서로 다른 의자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어질 수 있도록 각 구성들의 형태와 그 크기에 특징을 가진다. 즉, 각 구성의 내측거리, 외측거리, 폭과 같은 치수의 범위에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이 있다. 이러한 형태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평균 신체조건이나 연령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인체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일부에 평면이 형성되어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분이 체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재질에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두께의 지지부를 가진다.
도1은 실시예 1의 대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엉덩이 지지부(110)는 상하면의 동일한 형태로 목재로 구성될 수 있고, 원목을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의 두께는 적어도 20mm 이상 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적절하다. 그러나 소재의 종류에 따라서 또는 복합적인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연령 및 평균 체중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두께로 제작이 될 수 있다.
자체적인 의자의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110)를 지면에서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140)를 구성한다. 이 측면 지지부(140)는 도 2에서와 같이 구조상 상기 엉덩이 지지부(110)의 양단측에 배치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과의 접촉부(170)가 상하 전후 등 4개의 면으로 구성이 된다. 이러한 접촉부(170)는 짝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개, 6개, 8개 등으로 도2의 (b)는 4개, (d)는 8개인 경우의 측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정방형 구조를 가진다. 정사각형, 정팔각형과 같은 구조가 될 때에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을 할 때에 상호 조립되어서 용이하게 적층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목재를 사용하여 접촉부(170)의 형상이 면을 이루고 있으나, 사용되는 소재에 따라서 각재의 굽힘 공정을 통하여 바닥면과 다수의 선접촉 형태로 구성이 될 수 있다.
구조와 크기에 대한 특징은 상기 엉덩이 지지부(110)의 상하부면과 상기 접촉부(170)의 크기에 의하여 다양한 적층과 전후, 좌우 배열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접촉부의 외측 길이(180)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폭(130)과 같거나 크고 상기 측면 지지부 내측 거리(150)보다 작다. 상기 접촉부의 폭(190)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내측 거리(150)의 50% 보다 작으며, 상기 접촉부의 폭(190)의 두배의 폭과 상기 엉덩이 지지부 두께(135)의 합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길이(150)보다 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접촉부의 폭(190)은 상기 엉덩이 지지부(110)의 하부면과 지면과의 거리보다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한 구조적 특성과 모듈형 의자를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상대적인 크기관계가 되어질 때에 적층과 전후, 좌우 배열 및 부분적인 조립 등에 의하여 상호의존적으로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접촉부(170)의 적어도 하나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부(195)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195)는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체결부(195)의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는 대향하는 접촉부(170)에서 서로 다른 것으로 각각 배치되고 매립되어 표면에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의자와 대응되는 체결부(170) 사이에 영구자석과 강자성체 사이의 인력이 발생하여 상호 자기적으로 체결되는 구성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엉덩이 지지부(110)에도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부(196)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체결부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이 될 수 있고, 상기 제1 체결부(195)와 대향되어 강자성체와 영구자석간의 인력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체결이 되도록 각 구조물의 표면 내측에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이 매립되어 돌출이 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써 기본적 구조는 실시예 1과 유사하나 엉덩이 지지부의 형상과 접촉부의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도면 3 및 도4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판형상의 구조에 있어서 인체공학적으로 모아주는 형태로 엉덩이가 접촉되는 양쪽 가장자리 부가 일부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3과 같이 하부는 평면이고 상부는 부분적으로 가장자리가 돌출된 형상으로 인체공학적으로 엉덩이를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지면과의 접촉부의 면이 8개로 구성이 되는 경우 의자들이 상호 조립이 되는 경우에 상기 엉덩이 지지부(210)의 상부는 1개의 하부면과 경사부의 2개의 면이 도4의 (b)의 점선부분(225)와 부분적으로 면접촉을 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조립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모듈형 의자들이 상호 조립 및 좌우, 전후 배열이 되어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고정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가 표면 하부에 매립되어진 핀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접촉부(270)의 적어도 하나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295)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소정의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홈부이고, 상기 홈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접촉부의 두께보다 길이가 더 긴 원기둥 형상의 핀(30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홈부의 내측부와 상기 핀의 외측면에는 강자성체(310) 또는 영구자석(32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고 매립되어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핀은 억지끼워 맞춤보다는 헐거운 상대적인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한 공구나 도구가 필요없이 손가락의 힘으로 수직하방으로 힘을 가할 때에 영구자석과 강자성체 사이의 인력을 초과할 때에 용이하게 분리가 된다. 이것은 일반적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으며, 소정의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에 용이하게 제거가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핀(300)이 삽입되는 체결부 1,2는 홈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상기 접촉부(270), 엉덩이 지지부(210) 등을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에 따라서 관통된 형태로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의자를 구성하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하나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금속 판재, 각재 등을 통하여 해당되는 구성의 기능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본실시예의 1내지 2에서 측면 지지부와 접촉부는 기능상 분리되는 것으로 실시예의 한 형태로 원목의 경우는 일체로 가공이 될 수 있고, 판재를 밴딩이나 접합 등으로 분리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는 것과 동시에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한 체결부와 핀들을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해당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공간은 실시예에서는 의자의 내측에 형성이 되어 있으나, 목적에 따라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측면 지지부에서 접촉부들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와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가지 형태의 모듈형 의자를 가지고 다양한 공간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서 변형을 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공구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 및 부분적인 조립을 할 수 있어서, 다양한 공간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의자, 테이블, 탁자, 파티션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공간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의자의 크기에 따라서 실내외 놀이터 등에서 어린이의 놀이 공간 디자인을 사용자의 활용 목적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배치와 조립 그 자체를 놀이로 응용하는 등의 다용도 활용이 가능하여, 실내외 공간 디자인과 다양한 형태의 의자 배치 등을 하는 곳에 사용이 될 수 있다.
100, 200: 모듈형 의자
110, 210: 엉덩이 지지부
120, 220: 엉덩이 지지부 길이
130, 230: 엉덩이 지지부 폭
135, 235: 엉덩이 지지부 두께
140, 240: 측면 지지부
150, 250: 측면 지지부 내측거리
160, 260: 측면 지지부 길이
170, 270: 접촉부
180, 280: 접촉부 길이
190, 290: 접촉부 폭
195, 195: 체결부1
196, 296: 체결부2
300: 원기둥 핀
310: 매립된 영구자석
320: 매립된 강자성체

Claims (6)

  1. 인체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일부에 평면이 형성된 엉덩이 지지부와;
    상기 엉덩이 지지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떨어지도록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좌우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엉덩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동일한 높이는 가지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측면 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이 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측면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4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외측 길이는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폭과 같거나 크고 상기 측면 지지부 내측 거리보다 작다. 상기 접촉부의 폭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내측 거리의 50% 보다 작으며, 상기 접촉부의 폭의 두배의 폭과 상기 엉덩이 지지부 두께의 합은 상기 측면 지지부 사이 길이보다 크지 않는 것을 특징 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중의 적어도 하나에 또 다른 의자의 접촉부 또는 엉덩이 지 지지부 중의 어느 하나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소정의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홈부이고,
    상기 홈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접촉부의 두께보다 길이가 더 긴 원기둥 형상의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홈부의 내측부와 상기 핀의 외측면에는 강자성체 또는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의 영구자석 또는 강자성체는 대향하는 측면 지지부에서 교체되게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는 홈부 또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듈형 의자.
KR1020210036310A 2021-03-21 2021-03-21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 KR20220131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10A KR20220131482A (ko) 2021-03-21 2021-03-21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10A KR20220131482A (ko) 2021-03-21 2021-03-21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482A true KR20220131482A (ko) 2022-09-28

Family

ID=8346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310A KR20220131482A (ko) 2021-03-21 2021-03-21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14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371A (ko) 2019-02-14 2020-08-24 양연식 연결식 의자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371A (ko) 2019-02-14 2020-08-24 양연식 연결식 의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985B2 (en) Modular components for constructing larger system
US6877824B2 (en) Modular furniture
US9930959B2 (en) Modular furniture and structures
US9603448B2 (en) Modular shelving assembly with universal design ratio
KR20220131482A (ko) 다용도 조립과 배열이 가능한 모듈형 의자
US9370244B1 (en) Multi-functional, reconfigurable furniture system for use on uneven surfaces
JP2012210334A (ja) 組み立て家具用ブロック及び組み立て家具
US20120104824A1 (en) Modular convertable furniture assembly using stackable components
KR101212315B1 (ko) 조립식 가구
WO1992005724A1 (en) Interchangeable modular furniture
KR101136977B1 (ko) 다목적 조립형 가구
WO2015099161A1 (ja) 組み立て椅子
WO2020199161A1 (zh) 用于组装结构体的结构单元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AU2010101261A4 (en) Magnetic Connection System
KR20150136803A (ko) 조립식 가구
JP6815056B1 (ja) 間仕切り付組立式デスク
KR101190435B1 (ko) 다기능 가구
KR102540748B1 (ko) 가구 조립체
JP3192043U (ja) システムユニット畳家具セット
JP3126348U (ja) ユニット家具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KR20210142470A (ko) 조립식 책꽂이
CN209769657U (zh) 组合格子柜
KR101562797B1 (ko) 조립식 가구 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