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056A - Combine device - Google Patents

Combin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056A
KR20220131056A KR1020210036126A KR20210036126A KR20220131056A KR 20220131056 A KR20220131056 A KR 20220131056A KR 1020210036126 A KR1020210036126 A KR 1020210036126A KR 20210036126 A KR20210036126 A KR 20210036126A KR 20220131056 A KR20220131056 A KR 2022013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unit
bezel
press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승균
Original Assignee
(주)구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구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구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3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056A/en
Publication of KR2022013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0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ding device which comprises: an adsorption unit which places a display panel on a bonding surface of a bezel placed on a pallet; a first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when the display panel is placed on the bezel by the adsorption unit, a first press bar provided on the pallet to the upper surface of a horizontal side bonding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when the display panel is plac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by the adsorption unit, a second press bar provided on the pallet to the upper surface of a vertical side bonding area of the display panel.

Description

합착기{COMBINE DEVICE}Cementing Machine {COMBINE DEVICE}

본 발명은 합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이 서로 기설정된 위치에서 합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의 합착 부위에 소정의 압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합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nding machine that guides a display panel and a bezel to be bond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lso allows a predetermined pressure to be transmitted to a bonding por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it's about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근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s), 고분자 발광 디스플레이(polymer light emitting displays),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In general, a display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in recent years, the market for flat panel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polymer light emitting display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has grown rapidly. are doing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may include a display panel and a bezel.

그리고, 상기 베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면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zel may be mounted on the edg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방식이 사용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을 결합하였다.Conventionally, a fastening method using a screw was used to couple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to each other, and in some cases,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were coupled using a separate coupling tool.

종래의 베젤은 스크류가 장착될 수 있을 만한 폭방향 면적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파레트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베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하는 작업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Since the conventional bezel forms an area in the width direction where screws can be mounted, a work process of manually mounting the bezel to the display panel by an operator is performed while the display panel seated on the pallet is transported along the conveyor. could

그러나, 최근에는 베젤이 슬림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스크류가 삽입될 수 면적이 형성되지 않아,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베젤을 장착하는 작업과정이 어려워지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since the bezel is becoming slimmer, an area for inserting the screw is not formed, making it difficult to mount the bezel on the display panel using the screw fastening method.

따라서, 최근에는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을 서로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 간의 합착면을 기밀하게 밀착시켜줘야 하는 작업과정이 요구되고, 또한, 접착제가 경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작업자가 항시 대기해야 하는 관계로 자동화 공정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recently,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bonding method using an adhesive. However, the bonding method using an adhesive requires a work process that airtightly adheres the bonding surface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and also takes a long time for the adhesive to harden, so the operator must always wait. There ar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pply.

또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상에 베젤을 위치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이 기설정된 위치에서 어긋나게 합착됨에 따라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position the bezel on the preset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efective product is generated as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are misaligned at the preset position.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4071호의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용 파레트'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lated prior art document, there is a 'display panel mounting palle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407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제를 이용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을 서로 합착시키는 작업 과정이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합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ding machine that enables a process of bonding a display panel and a bezel to each other in an automated manner using an adhesive.

본 발명은, 파레트에 놓여진 베젤의 접합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올려놓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의하여 베젤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올려지면, 상기 파레트에 마련된 제1프레스바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베젤의 접합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올려지면, 상기 파레트에 마련된 제2프레스바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adsorption unit for placing the display panel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placed on the pallet;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first press bar provided on the palle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on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when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bezel by the adsorption unit; and a secon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econd press bar provided on the palle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when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by the adsorption unit.

또한, 상기 흡착부는, 3축(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흡착시키는 다수개의 흡착 부재가 마련된 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unit,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transportable in the three-axis (X-axis, Y-axis, Z-axis) direction; and a head unit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for adsorbing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송부재; 및 상기 제1이송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프레스바의 길이방향 단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1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unit, a first transfer member provided to be linearly reciprocating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 pair of first pickers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member and gripping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press bar.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송부재; 및 상기 제2이송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2프레스바와 연결된 걸림바를 파지하는 제2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a second transfer member provided to be linearly reciprocating toward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picker provided on the second transfer member and configured to hold a locking bar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 bar.

또한,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와 상기 파레트에 안착된 베젤의 위치를 파악하여 합착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adhesion posi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and the position of the bezel seated on the pallet in a state of being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이송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파레트에 안착된 베젤의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ensating unit may include: a bracket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member and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bracket and photographing position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seated on the pallet, which are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또한, 상기 파레트는, 이송셔틀장치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순차적으로 놓이는 지그부; 및 상기 제1이송부 또는 상기 제2이송부에 의하여 작동되며, 상기 지그부에 놓인 상기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llet may include a base portion provided to be transportable along the transport shuttle device; a jig part provided on the base part and on which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are sequentially placed; and a pressing unit that is operated by the first transfer unit or the second transfer unit and presses a bonding portion between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placed on the jig unit.

또한, 상기 지그부는, 상기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순차적으로 놓여지는 받침 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젤에 형성된 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ig unit may include a support play on which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are sequentially placed, and a fixing pin inserted into a pinhole formed in the bezel may be provided at an inner edge of the support plate.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가로변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놓여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을 가압하는 제1프레스유닛;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세로변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놓여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을 가압하는 제2프레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ess unit disposed to face the horizontal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laced on the supporting plate; and a second press unit disposed to face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laced on the supporting plate.

또한, 상기 제1프레스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스바; 상기 제1프레스바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지한 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스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2프레스바; 상기 제2프레스바를 지지한 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제2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ess unit may include: the first press ba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supporter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ile support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and a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first support, wherein the second press unit includes: the second press ba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 second support body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ile supporting the second press bar; and a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second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는, 베젤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부위 전체를 다수개의 프레스바로 눌러주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베젤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 어긋나게 합착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베젤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결합력도 상승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Since the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tire bonding portion of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is pressed with a plurality of press bar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are misaligned outside the preset are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to lower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는, 베젤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부위를 외력에도 유동없이 가압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접착제가 경화되기 위한 장시간 동안에도 베젤과 디스플레이 합착부위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pressing the bonding portion of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without flow even with external force, it is possible to stably press the bonding portion between the bezel and the display even for a long time for the adhesive to harden. c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양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베젤이 서로 어긋나게 합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mem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are checked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from being misaligned with each other.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레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레트에서 베젤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
도 7은 파레트의 제1프레스유닛이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파레트의 위치결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합착기의 평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합착기의 저면도.
도 11은 이송셔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이송셔틀장치의 상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transfer unit and a second transfer unit of the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llet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allet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ezel and a display panel are separated from the pallet shown in FIG. 1;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shown in FIG. 5;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ess unit of the pallet is mov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ing part of the pallet.
Fig. 9 is a plan view of the bonding machine shown in Fig. 2;
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bonding machine shown in Fig. 2;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fer shuttle devic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shuttle device shown in FIG. 11 viewed from another angl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레트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레트에서 베젤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7은 파레트의 제1프레스유닛이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8은 파레트의 위치결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합착기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합착기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이송셔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이송셔틀장치의 상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conveying part and a second conveying part of the bo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llet shown in Fig. 1,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allet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are separated from the pallet shown in Fig. 1, 6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shown in FIG. 5 ,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ess unit of the pallet is moved,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ing part of the pallet, FIG. 2 is a plan view of the coalescent machine shown in FIG. 2 , 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coalescent machine shown in FIG. 2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shuttle device, and FIG. 12 is the transport shuttle device shown in FIG. 11 .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100)는, 파레트(200)에 놓여진 베젤의 접합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올려놓는 흡착부(110); 상기 흡착부(110)에 의해 베젤(B)의 접합면에 디스플레이 패널(P)이 올려지면, 상기 파레트(200)에 마련된 제1프레스바(231a, 도3참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130); 및 상기 흡착부(110)에 의해 베젤(B)의 접합면에 디스플레이 패널(P)이 올려지면, 상기 파레트(P)에 마련된 제2프레스바(232a, 도3참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bo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sorption unit 110 for placing the display panel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placed on the pallet 200; When the display panel P is plac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B by the adsorption unit 110, the first press bar 231a (refer to FIG. 3) provided on the pallet 200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P A first transfer unit 130 for transferring the horizontal side of the cementation site to the upper surface; And when the display panel P is mount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B by the adsorption unit 110, the second press bar 232a (refer to FIG. 3) provided on the pallet P is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P )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for transferr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mentation site on the longitudinal side; may inclu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합착기(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이송셔틀장치(10)의 상부 또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젤(B)이 안착된 파레트(200)가 상기 이송셔틀장치(10)를 따라 이송되오면 상기 파레트(200)를 작동시켜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을 서로 밀착시키는 장치라 할 수 있다.The bonding machin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on or on one side of the transfer shuttle device 10 shown in FIGS. 9 and 10 , and the pallet 200 on which the bezel B is seated is the transfer shuttle. When it is transported along the device 10, the pallet 200 is actuated to bring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100)의 세부 구성이 설명되기 이전에 상기 파레트(200)가 우선적으로 설명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the pallet 200 will be described first befo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alesc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상기 파레트(2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셔틀장치(10, 도 9 및 도 10참조)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부(210); 상기 베이스부(210)에 마련되며,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 도5참조)이 놓여지는 지그부(220); 및 상기 지그부(220)에 놓여진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의 합착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llet 200, as shown in Figures 3 to 7, the transfer shuttle device (10, see Figures 9 and 10) along the base portion 210 provided to be transportable; a jig part 220 provided on the base part 210, on which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see FIG. 5) are placed; and a pressing unit 230 for pressing the bonding portion between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placed on the jig unit 220 .

상기 베이스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셔틀장치(10)를 따라 이송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하부에 바퀴 또는 이동용 베어링이 마련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The base portion 210, as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shuttle device 10, and has the form of a plate provided with wheels or bearings for movement at the lower portion.

이러한 베이스부(210)는, 이송셔틀장치(1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과 베젤(B)을 합착시키기 위한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base unit 210 may be transferred to a process for bonding the display panel P and the bezel B by the transfer shuttle device 10 .

상기 지그부(220)는, 베이스부(210)의 윗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21); 및 상기 고정 프레임(221)과 연결되며, 상기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이 순차적으로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 플레이트(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jig unit 220 includes a fixed frame 221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210 ; and a support plate 222 connected to the fixing frame 221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can be sequentially placed.

고정 프레임(221)은 베이스부(210)의 윗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2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frame 22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10 and serves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222 .

받침 플레이트(222)는, 베이스부(210)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받침 플레이트(222)는 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받침 플레이트(222)가 사각틀의 형태를 가진 채 베이스부(210)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받침 플레이트(222)는 베젤(B)의 형태와 디스플레이 패널(P)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원형이나 다각형의 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support plate 222 may be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10 ,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That is, the support plate 222 may have a frame shape. For refere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222 is shown in the drawing as being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10 while having the shape of a square frame. However, of course, the support plate 222 may have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ezel (B) and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P). For example, it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frame shape.

받침 플레이트(222)의 윗면 중에서 내측 가장자리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B)을 기설정된 위치상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위치결정부(223)가 다수개로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 on the inn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2 , a plurality of positioning units 223 are provided to fix the bezel B on a preset position.

위치결정부(223)는, 받침 플레이트(222)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222)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 부재(223a)와, 상기 마그네틱 부재(223a)에 마련되는 고정핀(22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ositioning units 223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inner edge of the support plate 222 , and as shown in FIG. 8 , a cylindrical magnetic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222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223a and a fixing pin 223b provided on the magnetic member 223a.

위와 같이 구성된 위치결정부(223)는 받침 플레이트(222)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부(223)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마그네틱 부재(223a)는 베젤(B)과 자성결합되고, 고정핀(223b)은 베젤(B)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223 configured as above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222 . In addition, the cylindrical magnetic member 223a constituting the positioning unit 223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bezel B, and the fixing pin 223b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bezel B.

참고로, 베젤(B)에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은 디스플레이 패널(P)을 다양한 전자 장치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구멍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을 구획하는 베젤(B)의 주변부위는, 체결홀에 스크류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베젤(B)이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홀을 구획하는 베젤(B)의 주변부는 위치결정부(223)의 마그네틱 부재(223a)와 자성결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asten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bezel B may be referred to as a hole us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display panel P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ezel (B) dividing the fastening hol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bezel (B) is not deformed or damag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 screw into the fastening hole and rotating it. Accordingl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ezel (B) defining the fastening hole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gnetic member 223a of the positioning unit 223 .

위와 같이, 베젤(B)에 형성된 체결홀에 위치결정부(223)의 고정핀(223b)을 삽입시켜 받침 플레이트(222)상에 베젤(B)을 안착시키면, 베젤(B)이 그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현상이 상기 고정핀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위치결정부(223)의 마그네틱 부재(223a)가 베젤(B)과 자성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베젤(B)이 받침 플레이트(222)상에서 상부로 들려지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zel B is seated on the support plate 222 by inserting the fixing pin 223b of the positioning unit 223 into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bezel B, the bezel B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phenomenon of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prevented by the fixing pin. In addition, since the magnetic member 223a of the positioning unit 223 can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bezel B, a phenomenon in which the bezel B is lifted upward on the support plate 222 can be prevented.

베젤(B)은 받침 플레이트(222)의 윗면 전체 영역 중에서 내측 가장자리 영역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면, 베젤(B)은 받침 플레이트(222)의 윗면상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진 채 돌출된다.The bezel B may be seated on an inner edge area of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2 . Then, the bezel B protrudes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22 .

위와 같은 상태에서 베젤(B)의 접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즉, 도시되지 않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하여 베젤(B)의 윗면 둘레방향을 따라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을 서로 합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In the above stat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B). That is, the adhesive may be appl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B) by an adhesive applying device (not shown). The adhesive serves to bond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to each oth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100)에 의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베젤(B)의 윗면 부위에 디스플레이 패널(P)이 놓여지면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제가 경화되는 시간까지는 약 1시간에서 4시간의 시간이 요구된다.And, when the display panel (P)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B)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by the bo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are attached to the adhesive. can be bonded to each other by For reference, it takes about 1 hour to 4 hours for the adhesive to cure.

따라서, 설정된 합착력으로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P)과 베젤(B)의 접촉부위, 즉, 합착부위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줄 필요가 있다. 그래야 디스플레이 패널(P)과 베젤(B)이 기설정된 합착부위를 유지한 채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uple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with the set bonding force,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P and the bezel B, that is, the bonding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hen, the display panel (P) and the bezel (B) can be firmly coupled while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bonding portion.

상기 가압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P)과 베젤(B)의 합착부위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The pressing part 230 serves to press the bonding por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P and the bezel B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가압부(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222)에 놓인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 또는 세로변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230, as shown in FIGS. 3 and 4, in a state disposed in the edge region of the base part 210, the horizontal side or the vertic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placed on the support plate 222 It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toward the

즉, 가압부(230)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222)의 가로변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222)에 놓여진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가압하는 제1프레스유닛(231);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222)의 세로변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222)에 놓여진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가압하는 제2프레스유닛(232);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sing unit 230 is disposed to face the horizontal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222, and a first press unit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placed on the supporting plate 222 ( 231); and a second press unit 232 disposed to face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222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placed on the supporting plate 222. have.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222)의 장변을 가로변이라 정의하고, 받침 플레이트(222)의 단변을 세로변이라 정의한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222)가 직사각형의 틀 형태인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받침 플레이트(222)는 정사각형의 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 a long side of the support plate 222 is defined as a horizontal side, and a short side of the support plate 222 is defined as a vertical side. In addition, although the support plate 222 is shown in the drawing as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upport plate 22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상기 제1프레스유닛(23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과 접촉되는 제1프레스바(231a); 상기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지한 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제1지지체(231b); 및 상기 제1지지체(231b)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유동방지부재(23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ess unit 231,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 first press bar (231a)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a first support body (231b)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ile support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231a); and a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for preventing the first support 231b from flowing.

제1프레스바(231a)는 베이스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ress bar 231a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210 .

제1프레스바(231a)의 저부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스바(231a)의 저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보호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플렉시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first press bar 23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Accordingly, a protection member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display panel P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ress bar 231a. For reference,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as rubber.

그리고, 제1프레스바(231a)는 받침 플레이트(222)의 가로변부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ess bar 231a may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of the support plate 222 .

제1지지체(231b)는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231b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ress bar 23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제1지지체(231b)는,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가이드 레일(R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체(231b)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다.The first support 231b may be mounted on the guide rail R1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ess bar 231a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231b can reciprocate linearly in the arrow A direction shown in FIG. 4 .

상기 제1지지체(231b)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되면, 제1프레스바(231a)가 받침 플레이트(222)의 가로변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upport 231b is advanced in the arrow A direction shown in FIG. 4 , the first press bar 231a may move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support plate 222 .

한편, 상기 제1지지체(231b)에는 상기 제1프레스바(231a)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S)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S)은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향하여 소정의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수단(S)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1지지체(231b)와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제1프레스바(231a)와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n elastic means S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press bar 231a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231b. The elastic means (S) allows the first press bar (231a) to transmit a predetermined pressure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means (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231b)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ress bar (231a).

상기 제1유동방지부재(231c)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서 제1지지체(231b)가 이동되어 상기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합착부위 윗면을 가압하였을 때, 제1프레스바(231a) 및 제1지지체(231b)가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first flow prevention member 231c, the first support 231b is moved along the arrow A direction shown in FIG. 4 so that the first press bar 231a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When done, the first press bar (231a) and the first support (231b) serves to prevent th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제1유동방지부재(231c)는, 제1지지체(231b)가 장착된 가이드 레일(R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제1프레스바(231a)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다수개의 고정홈(231d)이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R1 on which the first support 231b is mounted, and the end of the first press bar 231a is inserted and hung on the upper end of a plurality of A fixing groove 231d is provided.

고정홈(231d)은,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을 가압하지 않을 시에, 제1프레스바(231a)와 제1지지체(231b)의 유동을 방지하는 위치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상에 배치되었을 때, 제1유동방지부재(231c)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고정홈(231d)에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그러면, 제1프레스바(231a)와 제1지지체(231b)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된다.The fixing groove 231d is formed on a position that prevents the flow of the first press bar 231a and the first support body 231b when the first press bar 231a does not press the display panel P. can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first press bar 231a is disposed on a position that does not press the display panel P, it is fixed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231a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31d and caught. Then, the first press bar 231a and the first supporter 231b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arrow A direction shown in FIG. 4 .

반대로, 고정홈(231d)은,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을 가압할 시에, 제1프레스바(231a)와 제1지지체(231b)의 유동을 방지하는 위치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을 가압하는 위치상에 배치되었을 때, 제1유동방지부재(231c)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된 고정홈(231d)에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그러면, 제1프레스바(231a)와 제2지지체(312)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안정적인 자세로 가압할 수 있다.Conversely, the fixing groove 231d is on a position that prevents the flow of the first press bar 231a and the first support body 231b when the first press bar 231a presses the display panel P. can be 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when the first press bar 231a is disposed on a position for pressing the display panel P, the fixing groove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231a) is inserted into the (231d) can be caught. Then, the first press bar 231a and the second support 312 may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in a stable posture.

참고로, 제1유동방지부재(231c)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홈(231d)을 다수개로 형성하는 이유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서 전용의 지그부(220)가 베이스(110)에 적용되는바, 이 지그부(220)를 구성하는 받침 플레이트(222)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1유동방지부재(231c)의 길이방향 타측에 고정홈(231d)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reason for form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31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is to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having various sizes. . That is, a dedicated jig unit 220 is applied to the base 110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iz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31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압부(230)의 제1프레스유닛(2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10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The first press unit 231 of the pressing unit 2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by the bo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프레스유닛(23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부위 윗면과 접촉되는 제2프레스바(232a); 상기 제2프레스바(232a)의 길이방향 전체를 지지한 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제2지지체(232b); 및 상기 제2지지체(232b)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재(23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ress unit 232,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 second press bar (232a)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a second support body (232b)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ile supporting the entir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and a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232c for preventing the second support 232b from flowing.

제2프레스바(232a)는 베이스부(2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press bar 232a may b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210 .

제2프레스바(232a)의 저부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부위 윗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레스바(232a)의 저부에도 디스플레이 패널(P)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보호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플렉시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Accordingly, a protection member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display panel P may be provided even at the bottom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For reference,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as rubber.

그리고, 제2프레스바(232a)는 받침 플레이트(222)의 세로변부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 bar 232a may have a length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vertical side of the support plate 222 .

제2지지체(232b)는 제2프레스바(322)의 길이방향 전체를 지지한 채 베이스부(210)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232b may be provided on the base 210 while supporting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econd press bar 322 .

제2지지체(232b)는, 제2프레스바(232a)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가이드 레일(R2)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지지체(232b)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다.The second support 232b may be mounted on the guide rail R2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232b is linearly reciprocable in the arrow B direction shown in FIG. 4 .

상기 제2지지체(232b)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방향으로 전진되면, 제2프레스바(232a)가 받침 플레이트(222)의 세로변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support 232b is advanced in the arrow B direction shown in FIG. 4 , the second press bar 232a may be moved toward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upport plate 222 .

한편, 상기 제2지지체(232b)에는 상기 제2프레스바(232a)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제2프레스바(232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향하여 소정의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n elastic means (not shown)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econd press bar 232a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232b. The elastic means allows the second press bar 232a to transmit a predetermined pressure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상기 제2유동방지부재(232c)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을 따라서 제2지지체(232b)가 이동되어 상기 제2프레스바(232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합착부위 윗면을 가압하였을 때, 제2프레스바(232a) 및 제2지지체(232b)가 화살표 B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s for 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232c, the second support 232b is moved along the arrow B direction shown in FIG. 4 so that the second press bar 232a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When done, the second press bar (232a) and the second supporter (232b) serves to prevent the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제2유동방지부재(232c)는, 제2지지체(232b)가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R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제2지지체(232b)의 하부에 마련된 걸림바(932e, 도7참조)가 삽입되어 걸리어지는 고정홈(232d)이 마련되어 있다.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232c may be provided between a pair of guide rails R2 on which the second support 232b is mounted, an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232b, a locking bar provided under the second support 232b ( 932e (refer to FIG. 7)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232d into which it is inserted.

제2유동방지부재(232c)에 마련된 고정홈(232d)은, 제2프레스바(232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을 가압하지 않을 시에, 제2프레스바(232a)와 제2지지체(232b)의 유동을 방지하는 위치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스바(232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상에 배치되었을 때, 제2유동방지부재(232c)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고정홈(232d)에 상기 걸림바(932e)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그러면, 제2프레스바(232a)와 제2지지체(232b)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된다.The fixing groove 232d provided in 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232c is formed with the second press bar 232a and the second support body 232b when the second press bar 232a does not press the display panel P. ) can be formed on a location that prevents the flow of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second press bar 232a is disposed on a position that does not press the display panel P, it is fixed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232c. The locking bar 932e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32d to be caught. Then, the flow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and the second support 232b in the direction of arrow B shown in FIG. 4 is prevented.

반대로, 제2유동방지부재(232c)에 마련된 고정홈(232d)은, 제2프레스바(232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을 가압할 시에, 제2프레스바(232a)와 제2지지체(232b)의 유동을 방지하는 위치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지지체(232b)의 하부에 마련된 걸림바(932e)가 제2유동방지부재(232c)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된 고정홈(232d)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그러면, 제2프레스바(232a)와 제2지지체(232b)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안정적인 자세로 가압할 수 있다.Conversely, the fixing groove 232d provided in the second flow prevention member 232c is formed with the second press bar 232a and the second support body (232a) when the second press bar (232a) presses the display panel (P). 232b) may be formed on a location that prevents the flow. For example, the locking bar 932e provided under the second support 232b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32d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232c to be caught. Then, the second press bar 232a and the second support 232b may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in a stable pos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압부(230)의 제2프레스유닛(232)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10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The second press unit 232 of the pressing unit 2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operated by the bo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100)의 흡착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P)을 접착제가 도포된 베젤(B)의 접합면에 올려놓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adsorption unit 110 of the bo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display panel P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B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It serves to put

이러한 흡착부(110)는, 3축(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체(111); 및 상기 이동체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일면을 흡착시키는 다수개의 흡착 부재(112a)가 마련된 헤드유닛(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sorption unit 110 includes a movable body 111 provided to be movable in three axes (X-axis, Y-axis, Z-axis) direction; and a head unit 112 provided rotatably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112a for adsorbing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P.

흡착부(11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P)을 공급하는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P)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adsorption unit 110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ceiving power from a driving unit (not shown)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may receive the display panel P from a device that supplies the display panel P.

참고로, 디스플레이 패널(P)은 흡착부(110)에 의해 흡착되기 이전에 프리밴딩(Prebending) 작업공정을 거치게 된다. 프리밴딩 과정은 디스플레이 패널(P)의 일측 단부 부위에 열을 가하여 그 부위를 유연하게 만드는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P)과 PCB가 연결되는 부위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질 수 있도록 그 부위에 열을 가하는 공정이라 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isplay panel P is subjected to a pre-bending operation process before being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10 . The pre-bending process may be referred to as a process of making the part flexible by applying heat to one end part of the display panel P. That is, it can be called a process of applying heat to the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P and the PCB are connected so that the portion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흡착부(110)에 의해 흡착된 디스플레이 패널(P)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10)에 의해 흡착된 채 파레트(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보정부(140)에 의하여 촬영된 후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파악되면 그대로 하강되어 베젤(B)의 윗면에 놓여진다.The display panel P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10 may be disposed on the pallet 200 while being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10 as shown in FIG. 1 . Then, after being photographed by the correction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disposed at a preset position, it is lowered as it is an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B).

상기 제1이송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레트(200)의 제1프레스유닛(231)을 작동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즉, 흡착부(110)에 의하여 베젤(B)의 윗면에 디스플레이 패널(P)이 놓여지면 제1프레스유닛(231)의 제1프레스바(231a)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을 가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fer unit 130 may be a component that operates the first press unit 231 of the pallet 200 . That is, when the display panel P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B by the adsorption unit 110, the first press bar 231a of the first press unit 231 is moved to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site.

제1이송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송부재(131); 및 상기 제1이송부재(131)에 마련되며, 상기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단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1피커(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unit 130 includes, as shown in FIG. 2 , a first transfer member 131 provided to reciprocate linearly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and a pair of first pickers 132 that are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member 131 and hold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press bars 231a.

제1이송부재(131)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양단부는 이송레일(13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member 131 may have a plate shape, and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may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transfer rail 133 .

상기 제1피커(132)는,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단부를 파지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참고로, 제1이송부(130)는 한 쌍의 제1피커(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icker 132 may be a component for gripp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231a. For reference, the first transfer unit 13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pickers 132 .

제1피커(132)는, 제1이송부재(131)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을 향하여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The first picker 132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transfer member 131 .

또한, 제1피커(132)는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단부를 파지한 채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즉, 제1피커(132)는,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icker 132 may be raised or lowered while hold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231a. That is, the first picker 132 may be raised or lowered by receiving power from an actuator (not shown).

따라서, 제1피커(132)가 제1프레스바(231a)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제1유동방지부재(231c)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고정홈(931d)에서 상기 제1프레스바(231a)가 이탈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picker 132 lifts the first press bar 231a upward while holding the first press bar 231a, the first press in the fixing groove 931d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The bar 231a may be detached.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제1프레스바(231a)의 저부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과 대응되도록, 제1이송부재(131)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그러면, 제1프레스바(231a)의 저면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과 대응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피커(132)가 하강되면 제1프레스바(231a)의 저면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윗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제1프레스바(231a)는 탄성수단(S)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제1프레스바(231a)의 길이방향 단부는 제1유동방지부재(231c)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 고정홈(231d)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In the above state, the first transfer member 131 may be advanced in the arrow A direction shown in FIG. 4 so that the bottom of the first press bar 231a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 Th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ess bar 231a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And, when the first picker 132 is lowere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ess bar 231a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At this time, the first press bar 231a i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elastic means S. On the other hand,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231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31d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1c.

제1이송부(130)에 의하여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가압하게 되면, 제1이송부(130)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ress bar 231a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by the first transfer unit 130 , the first transfer unit 130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이송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P)의 일측 가로변 및 타측 가로변과 각각 마주하는 부위에 제1이송부(13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unit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s a pair as shown in FIG. 2 . That is, the first transfer unit 13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portions facing each of the one side horizontal side and the other sid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상기 제2이송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레트(200)의 제2프레스유닛(232)을 작동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즉, 흡착부(110)에 의하여 베젤(B)의 윗면에 디스플레이 패널(P)이 놓여지면 제2프레스유닛(232)의 제2프레스바(232a)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을 가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may be a component that operates the second press unit 232 of the pallet 200 . That is, when the display panel P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zel B by the adsorption unit 110, the second press bar 232a of the second press unit 232 is moved to the vertic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site.

제2이송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송부재(151); 및 상기 제2이송부재(151)에 마련되며, 상기 제2프레스바(232a)의 길이방향 단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2피커(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unit 150 includes, as shown in FIG. 2 , a second transfer member 151 provided to reciprocate linearly toward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and a pair of second pickers 152 which are provided on the second transfer member 151 and hold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press bars 232a.

상기 제2피커(152)는, 제2프레스유닛(232)의 제2지지체(232b)에 형성된 지지바(232f, 도3참조)를 파지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second picker 152 may be a component for holding the support bar 232f (refer to FIG. 3 )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232b of the second press unit 232 .

제2피커(152)는, 제2이송부재(151)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을 향하여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The second picker 152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toward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econd transfer member 151 .

또한, 제2피커(152)는 지지바(232f)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를 파지한 채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즉, 제2피커(152)는,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icker 152 may be raised or lowered while holding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232f. That is, the second picker 152 may be raised or lowered by receiving power from an actuator (not shown).

따라서, 제2피커(152)가 지지바(232f)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제2유동방지부재(232c)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고정홈(232d)에서 걸림바(232e)가 이탈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picker 152 lifts the support bar 232f upward while holding the support bar 232f, the locking bar 232e in the fixing groove 232d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revention member 232c is closed. can get away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제2프레스바(232a)의 저부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과 대응되도록, 제2이송부재(151)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그러면, 제2프레스바(232a)의 저면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부위 윗면과 대응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피커(152)가 하강되면 제2프레스바(232a)의 저면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윗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제2프레스바(231a)는 탄성수단(S)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의 세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걸림바(232e)는 제2유동방지부재(232c)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 고정홈(232d)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In the above state, the second transfer member 151 may be advanced in the arrow A direction shown in FIG. 4 so that the bottom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 T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And, when the second picker 152 is lowere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 bar 232a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At this time, the second press bar 231a i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elastic means S. Meanwhile, the locking bar 232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32d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232c.

제2이송부(130)에 의하여 제1프레스바(231a)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합착부위 윗면을 가압하게 되면, 제1이송부(130)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ress bar 231a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by the second transfer unit 130 , the first transfer unit 130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이송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P)의 일측 세로변 및 타측 세로변과 각각 마주하는 부위에 제1이송부(15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unit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s a pair as shown in FIG. 2 . That is, the first transfer unit 15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portions facing each of the one side vertical side and the other side vertic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부(110)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상기 파레트(200)의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위치와 상기 파레트(200)에 안착된 베젤(B)의 위치를 파악하여 합착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alesc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200 in a state of being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10 . The display panel (P) and the position of the bezel (B) seated on the pallet 200, the correcting unit 140 for correcting the cemented posi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보정부(140)는, 상기 제1이송부재(131)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라켓(141); 및 상기 브라켓(141)에 장착되며,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파레트에 안착된 베젤의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ensating unit 140 includes: a bracket 141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member 131 and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and a camera module 142 mounted on the bracket 141 and configured to photograph position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bezel seated on the pallet, which are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상기 브라켓(141)은 상기 제1이송부재(131)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을 향하여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1)은 제1이송부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즉, 브라켓(141)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A 및 화살표 B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브라켓(141)에 장착된 카메라모듈(142)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측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고, 더불어,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다.The bracket 141 may be linearly reciprocated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transfer member 131 . In addition, the bracket 141 may be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member 131 . That is, the bracket 141 is linearly reciprocable in the arrow A and arrow B directions shown in FIG. 4 . 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142 mounted on the bracket 141 can be linearly reciprocated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and, in addition, can linearly reciprocate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 do.

카메라모듈(142)은, 흡착부(110)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파레트(200)의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P)과 파레트(200)의 받침 플레이트(222)에 안착된 베젤(B)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모듈(142)에 의해 획득된 촬영 데이터는 상기 흡착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42 is a display panel (P)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200 in a state of being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10 and a bezel (B) seated on the support plate 222 of the pallet 200 . can be photographed individually.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data acquired by the camera module 142 may be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adsorption unit 110 .

즉, 카메라모듈(142)은 비전 검사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P)과 베젤(B)의 위치를 확인하며, 흡착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P)과 베젤(B)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기설정된 베젤(B)의 합착 위치에 디스플레이 패널(P)이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amera module 142 checks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panel (P) and the bezel (B) in a vision inspection method, an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P) and the bezel (B) i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dsorption unit 110 . Inform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display panel (P) can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attachment position of the bezel (B).

예컨대, 카메라모듈(142)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로변과 모서리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는 카메라모듈(142)에 의해 제공된 촬영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P)의 틀어짐 정도를 파악하고 보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P)이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흡착부(110)를 지지하는 헤드유닛(112)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틀어진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보정이 완료되면 헤드유닛(112)을 하강시켜 디스플레이 패널(P)을 기설정된 베젤(B)의 합착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142 may photograph a horizontal side and a corn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data to the control unit. Then, the control unit may detect and correct the degree of distortion of the display panel P based on the photographing data provided by the camera module 142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panel P is misalig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control unit may correct the misaligned angle of the display panel 400 by rotating the head unit 112 supporting the adsorption unit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 When the correction is completed, the head unit 112 may be lowered to place the display panel P on the preset position of the bezel B to be attach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42)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렌즈(142a)는 흡착부(110)에 의해 흡착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사용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42)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렌즈(142b)는 베젤(B)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upper lens 142a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mera module 142 is us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P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10 , and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lower lens 142b disposed under the camera module 142 may be us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bezel (B).

예컨대, 상부 렌즈(142a)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장자리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하부 렌즈(142b)는 베젤(B)의 가장자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lens 142a may check the edg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P, and the lower lens 142b may check the edge position of the bezel B.

위와 같이 구성된 보정부(14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이 기설정된 베젤(B)의 접합면상에 정확히 올려질 수 있다.The display panel P can be accurately mount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eset bezel B by the correction unit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200)를 순환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작된 이송셔틀장치(10)는, 상부레일(11)과 하부레일(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transfer shuttle device 10 manufactured to circulate the pallet 200 may include an upper rail 11 and a lower rail 12 . .

상기 상부레일(11)은 베젤(B)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P)이 안착된 파레트(200)가 이송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즉, 상부레일(11)은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을 합착시키는 작업구간을 제공한다.The upper rail 11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pallet 200 on which the bezel B or the display panel P is seated is transported. That is, the upper rail 11 provides a working section for bonding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상기 하부레일(12)은, 상부레일(11)을 경유한 빈 파레트(200)가 이송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즉, 하부레일(12)은 베젤(B)과 디스플레이 패널(P)을 합착시키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된 파레트(200)를 다시 활용하기 위하여 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구간을 제공한다.The lower rail 12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empty pallet 200 passing through the upper rail 11 is transported. That is, the lower rail 12 provides a transfer section in which the pallet 200 transferred in one direction is transferred to the other direction to be used again in order to bond the bezel B and the display panel P to each other.

이송셔틀장치(10)에는 파레트(200)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모터(M)가 마련될 수 있다.The transfer shuttle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M for providing a transfer force to the pallet 200 .

또한, 상부레일(11)과 하부레일(12)에는 다수개의 가이드핀(13)이 상기 모터(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핀(13)은, 파레트(200)의 베이스부(210) 중앙부에 형성된 센터홀(21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레트(200)는, 안정적인 자세를 가진채 이송셔틀장치(1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pins 13 are provided on the upper rail 11 and the lower rail 12 to be movabl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M). For reference, the guide pin 13 may be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210a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10 of the pallet 200 . Accordingly, the pallet 200 may be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shuttle device 10 with a stable posture.

흡착부(110)를 구성하는 헤드유닛(112)은, 직선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UVW 스테이지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참고로, UVW 스테이지는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을 동시에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고강성의 롤러 베어링 및 공지의 LM 가이드가 적용되어 있다.The head unit 112 constituting the adsorption unit 110 may be operated in a UVW stage method capable of linear and rotational motion. For reference, the UVW stage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implement linear and rotary motion, and high-rigidity roller bearings and well-known LM guides are applied.

이러한 UVW 스테이지는 반도체, 프린트 기판, 액정 패널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AC servo motor와 servor amp filter가 적용되기 때문에 보정값에 따른 응답이 빠른 장점이 있다.This UVW stage has a structure suitable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printed circuit boards, and liquid crystal panel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to various sizes. Also, since AC servo motor and servor amp filter are applied, it has the advantage of quick response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따라서, 흡착부(110)에 의하여 흡착된 디스플레이 패널(P)은 상기 보정부(140)에서 전달해오는 보정값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직선 이동 또는 회전 이동되어 보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P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10 may be corrected by rapidly moving linearly or rotating in response to the correction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rrection unit 140 .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 합착기
110 : 흡착부 111 : 이동체
112 : 헤드유닛 130 : 제1이송부
131 : 제1이송부재 132 : 제1피커
140 : 보정부 141 : 브라켓
142 : 카메라모듈 150 : 제2이송부
151 : 제2이송부재 152 : 제2피커
200 : 파레트 210 : 베이스부
220 : 지그부 221 : 고정 프레임
222 : 받침 플레이트 230 : 가압부
231 : 제1프레스유닛 231a : 제1프레스바
231b : 제1지지체 231c : 제1유동방지부재
232 : 제2프레스유닛 232a : 제2프레스바
232b : 제2지지체 232c : 제2유동방지부재
B : 베젤 P : 디스플레이 패널
100: cementation machine
110: adsorption unit 111: moving body
112: head unit 130: first transfer unit
131: first transfer member 132: first picker
140: correction unit 141: bracket
142: camera module 150: second transfer unit
151: second transfer member 152: second picker
200: pallet 210: base part
220: jig portion 221: fixed frame
222: support plate 230: pressing part
231: first press unit 231a: first press bar
231b: first support 231c: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232: second press unit 232a: second press bar
232b: second support 232c: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B : bezel P : display panel

Claims (10)

파레트에 놓여진 베젤의 접합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올려놓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의하여 베젤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올려지면, 상기 파레트에 마련된 제1프레스바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 및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베젤의 접합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올려지면, 상기 파레트에 마련된 제2프레스바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an adsorption unit for placing the display panel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placed on the pallet;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first press bar provided on the palle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on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when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bezel by the adsorption unit; and
When th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bezel by the adsorption unit, a second convey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second press bar provided on the palle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site of the display panel; energ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3축(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흡착시키는 다수개의 흡착 부재가 마련된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dsorption unit,
a movable body provided to be transportable in the three-axis (X-axis, Y-axis, Z-axis) direction; and
and a head unit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sorption members for adsorbing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송부재; 및
상기 제1이송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프레스바의 길이방향 단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제1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ransfer unit,
a first transfer member provided to be linearly reciprocally movable toward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nd a pair of first pickers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member and gripping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press ba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송부재; 및
상기 제2이송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2프레스바와 연결된 걸림바를 파지하는 제2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transfer unit,
a second transfer member provid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vertical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nd a second picker provided on the second transfer member and configured to hold a locking bar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 ba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태로 상기 파레트의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와 상기 파레트에 안착된 베젤의 위치를 파악하여 합착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4.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cementation posi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disposed on the pallet and the position of the bezel seated on the pallet in a state of being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이송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파레트에 안착된 베젤의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rrection unit,
a bracket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member and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nd a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bracket and photographing positions of the display panel ad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and the bezel seated on the pallet.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는,
이송셔틀장치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순차적으로 놓이는 지그부; 및
상기 제1이송부 또는 상기 제2이송부에 의하여 작동되며, 상기 지그부에 놓인 상기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pallet is
a base portion provided to be transportable along the transport shuttle device;
a jig part provided on the base part and on which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are sequentially placed; and
and a pressing unit operated by the first conveying unit or the second conveying unit to press a bonding portion between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placed on the jig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베젤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순차적으로 놓여지는 받침 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젤에 형성된 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jig part,
and a support play on which the bezel and the display panel are sequentially placed,
A fixing pin inserted into a pinhole formed in the bezel is provided at an inner edge of the support pla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가로변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놓여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을 가압하는 제1프레스유닛;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세로변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놓여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을 가압하는 제2프레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ssurizing part,
a first press unit disposed to face the horizontal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placed on the supporting plate; and
and a second press unit disposed to face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of the display panel placed on the supporting pla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스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스바;
상기 제1프레스바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지한 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제1지지체; 및
상기 제1지지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1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스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변측 합착 부위 윗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2프레스바;
상기 제2프레스바를 지지한 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제2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ress unit,
the first press ba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supporter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ile support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press bar; and
Including; a first flow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press unit,
the second press ba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bond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 second support body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ile supporting the second press bar; and
and a second flow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second support.
KR1020210036126A 2021-03-19 2021-03-19 Combine device KR202201310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26A KR20220131056A (en) 2021-03-19 2021-03-19 Combin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26A KR20220131056A (en) 2021-03-19 2021-03-19 Combin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056A true KR20220131056A (en) 2022-09-27

Family

ID=8345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126A KR20220131056A (en) 2021-03-19 2021-03-19 Combin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10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872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attaching touch display panel
JP4664366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ounting method
KR1009135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nding Printed Circuit on FPD Panel
KR102058364B1 (en) Substrate Bonding Apparatus
KR101318178B1 (en) Device for attaching polarizing plate
KR1007224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nding printed circuit on fpd panel
WO20110163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20220131056A (en) Combine device
EP1260126A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and, recognition apparatus for component mount panel,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panel,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panel
KR101597352B1 (en) Stage 4 axis parallel alignment device
KR1008283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nding Printed Circuit on FPD Panel
JP2003098533A (en) Method and device for sticking substrates together
CN108091287B (en) Panel lighting inspection device
EP09225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printing plates
US598908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panel display unit, display panel carrier theref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or optical device
CN109564878B (en) Joining system
KR100487581B1 (en) Bonding device of surface mounting equipment
JP4937857B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ounting method
JP4340957B2 (en) Parts mounting method
KR200346837Y1 (en) bond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JP2002234132A (en) Screen printing machine
KR100915200B1 (en) Unit for acquiring align image information
KR102450725B1 (en) Bonding Apparatus for FPCB
JP5854934B2 (en) Surface mounter, recognition method of board fixing position
KR100900710B1 (en) Machine for bonding pcb onto the tcp of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