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967A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967A
KR20220130967A KR1020210035878A KR20210035878A KR20220130967A KR 20220130967 A KR20220130967 A KR 20220130967A KR 1020210035878 A KR1020210035878 A KR 1020210035878A KR 20210035878 A KR20210035878 A KR 20210035878A KR 20220130967 A KR20220130967 A KR 2022013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extract
fermented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경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0967A/ko
Publication of KR2022013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과 플라보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녹용을 C1~C3의 알코올과 물로 이루어진 용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얻어진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C) B) 단계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Fermented extract of Young Antler with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폴리페놀과 플라보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녹용 발효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암, 동맥경화, 비만, 당뇨 등과 같은 성인병의 발병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노화와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원인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축적이다. 인간을 비롯한 생물체들은 대사과정 중에 superoxide radical, hydroxyl radical, pe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OS)을 생성하게 되며 이들의 지속적인 생성 및 과발현은 세포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을 야기하여 암 발생은 물론 노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염증, 심혈관계 질환,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각종 질병과 노화의 예방을 위한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생활수준의 질적 향상, 소비구조의 고급화, 다양화는 식생활의 질적 향상 추구의 요인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전통식품과 자연식품에 대한 가치와 선호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사슴의 뿔은 해마다 번식기를 중심으로 탈락되고 다시 생긴다. 녹용은 봄, 여름에 구각이 탈락되고 새로 나는 뿔로, 아직 각질이 형성되지 않아 내부에 혈관이 있고 유연한 성질을 띠는 것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뿔이 자람에 따라 피가 마르고, 내부의 칼슘이 단단하게 골질화된 것을 녹각이라 하며, 피 성분이 모두 사라지고 석회질이 되어 자연 탈락된 것을 낙각이라 한다.
녹용의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고 짜다. 주로 간과 신장, 심장, 심포에 작용하여, 생식·성장 등의 기본적인 생리기능을 보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녹용을 예로부터 최고의 보혈 강장제로 여겨왔으며,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수록된 바와 같이 녹용에는 강장작용, 보기혈 작용, 강정 작용, 진통 작용, 조혈 작용, 생장 발육 촉진 작용, 심부전증 치료 작용 및 기능 항진 작용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피로회복, 신체 활력 증강, 및 신기능 강화 등 다양한 효능이 입증되었다. 이와 더불어 전자공여 작용,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의 다양한 항산화 효과 역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녹용은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어, 한방에서 수렴작용이 있는 한방재료와 복방 처방으로 다양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기대했던 효과가 상실되거나 감소될 우려가 있다.
현대사회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복잡해지는 사회 생활에 따른 스트레스와 식생활 불균형으로 인하여 다양한 질병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을 통하여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의 건강기능식품은 단순히 기능성만이 강조된 것을 넘어서 복용이 편리하고 관능성을 향상시킨 제품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녹용은 동물성 소재로 단백질과 회분의 함량이 높고, 동물성 특유의 맛으로 인하여 제품 개발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녹용에 다량으로 함유된 고분자 단백질은 열수 또는 알코올 추출 시 함께 추출되어 농축되면서 침전물을 형성함으로써 녹용의 액상 제품류 개발에 주된 장애 요인으로 대두되어 왔다.
등록특허 제10-1826148호는 녹각 추출물에 목이버섯 추출물과, 포도당 및 소듐 글루타메이트(MSG)를 첨가하여 젖산 발효시키는 것에 의해 GABA 및 식이섬유가 강화된 항산화 효능을 갖는 녹각발효물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녹용이 아닌 녹각을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첨가된 목이버섯 추출물이 MSG를 GABA로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녹각 자체의 항산화 효능을 개선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등록특허 제10-1560331호는 녹용과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유산균 발효시킨 유산균 발효 음료에 관한 것으로, 녹용에 대추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고 이를 유산균 발효시키는 것에 의해 항산화 효능이 더욱 강화됨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 역시 녹용 자체의 항산화 효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종래 녹용 제품의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등록특허 제10-1826148호 등록특허 제10-15603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내 흡수를 돕고 동물성 특유의 냄새와 맛을 제거하며, 액상 제품에서도 침전 형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항산화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녹용을 C1~C3의 알코올과 물로 이루어진 용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얻어진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C) B) 단계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A) 단계는 녹용의 친수성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친수성 유용성분은 통상의 천연물 추출에서와 같이 C1~C3의 알코올과 물로 이루어진 용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추출은 당업계에서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냉침, 열추출, 초음파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시간은 추출온도와 추출방법에 따라 당업자라면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B) 단계는 A) 단계에서 얻어진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이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 하기 전에, 상기 A) 단계의 추출물은 농축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특히, 추출 용매에 C1~C3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효소 반응을 위하여 용매 중 C1~C3의 알코올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는 정제된 형태의 효소나 세균성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식품에 사용이 허가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는 예로써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세균성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Maxazyme(Bacillus amyloliquefaciens) 이외에도 트립신(Tyrpsin), 뉴트라제(Neutrase), 펩신(pepsin), α-카이모트립신(α-chymotrypsin), 파파인(papain), 프로타맥스(Protamex), 플라보자임(Flavourzyme), 알카라제(Alcalase), 판크레아제(Pancrease) 또는 식품첨가물로서 인정된 각종 세균성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처리조건은 사용하는 효소에 따라 최적의 조건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단계에서는 A)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 중 함유된 고분자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체내로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며, 동물성 소재 특유의 향을 제거하며 농축시 침전물의 형성을 방지하여 관능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효 추출물 내 총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며, 항산화 활성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C) 단계는 B) 단계의 가수분해 산물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유산균으로는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Pediococcus, Bifidobacterium속의 균주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배양 기간은 1~3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난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배양기간이 너무 짧으면 유산균 발효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배양기간이 너무 길어지면 경제성이 저하되며 각 균주에 따라 최적의 배양조건과 기간을 설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할 것이다.
유산균 발효에 의해 본 조성물은 장에서의 흡수가 더욱 용이해지므로, 녹용섭취시에도 설사를 유발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발효 공정을 통해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유용성분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더욱 우수한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용 발효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용 발효추출물은 종래기술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용 추출물이나, 녹용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에 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도 우수하여 항산화 활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의한 녹용 발효추출물은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성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항산화 활성은 노화와 항염증 효능 뿐 아니라 암이나, 심혈관계질환, 대사성 질환과도 관련이 높아 이들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과자, 주류, 초콜릿, 비타민 복합제의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녹용 발효추출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바람직하게는 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녹용 발효추출물은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성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노화를 억제하며, 항염증 작용으로 인해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증상개선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화장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와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녹용 발효추출물이 0.1~10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녹용 발효추출물 이외에도 다른 유용한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세안용 세제, 클렌징 폼, 마스크 팩,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한 후 유산균 발효시키는 것에 의해 장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여 설사를 방지하고, 동물성 식품 특유의 향과 맛을 저감시키고 액상 제품에서 침전의 형성을 억제하므로 관능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어 녹용의 유용성분이 함유된 식·음료, 화장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녹용 발효추출물은 녹용 추출물이나, 녹용의 단순 유산균 발효물에 비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성도 우수하여 항산화성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어 항산화와 관련된 노화, 아토피 등의 예방 및 증상개선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녹용 추출물의 제조
한국산 꽃사슴으로부터 채취한 녹용을 상대, 중대 및 하대로 구분하여 두께가 5 mm 이하가 되도록 얇은 편으로 절단하고, 건조한 것을 상대 : 중대 : 하대의 중량비를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혼합 녹용 절편의 일반 성분 분석 결과의 함량 비(w%)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혼합 녹용 절편 509.7g와 물 4L를 스테인리스 추출기에 넣고 100℃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한 후 70℃에서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물에 정제수를 가하여 5 Brix로 희석하여 2,940 mL의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500 mL 씩 폴리프로필렌(PP) 용기에 옮겨 담고 -20℃의 냉동고에 저장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 시에는 냉동된 추출물을 꺼내어 50℃ 수조에서 녹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녹용 추출물의 발효
제조예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녹용 추출물 중 녹용의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기 위하여 식약처 protease 허가 고시형 제품류 중 Maxazyme NNP DS를 2%(w/v) 농도로 가하여 50℃에서 24시간 효소반응시켰다. 이후 유산균을 2%(w/v) 농도로 첨가하여 37℃ BCP 샬레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유산균으로는 식약처 유산균 허가 고시형 제품류 중 다음 4종 제품 중 하나를 사용하였다; Bifidobacterium longum(비피롱 비피더스균-10); Lctobacillus plantatarum(플란타 김치유산균-10); Lactobacillus acidophilus(에시도 필러스유산균-10); Mixture of 8 lactobacilli (8종 알파혼합유산균-엘(L)2, 메디오젠).
비교예 : protease 처리 공정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녹용 추출물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와 비교예에 의한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에 대해 기능성 식품공전의 유산균 수 측정방법에 준하여 유산균 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먼저 증류수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가 극히 낮은 농도로 검출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유산균에서는 발효 후 유산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에서 녹용 추출물을 기질로 하여 유산균 발효한 경우 배양 후 측정된 유산균 수가 2.04×107~5.00×107 cfu/mL로 대체로 양호하였다. 이는 녹용 추출물이 유산균 배양에 적합한 영양원으로 활용됨을 나타낸다. 제조예에서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후 유산균 발효시킨 경우에는 배양 후 유산균 수가 2.84×107~1.97×108 cfu/mL로 비교예에 비해 유산균 수가 더욱 양호하였다. 이는 녹용 추출물에 함유된 단백질이 물 가용성 물질이나 아미노산으로 전환되어 유산균 배양에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며, 사람이 섭취하였을 때 소화흡수에도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3 : 유산균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1의 녹용 추출물, 제조예 및 비교예의 유산균 발효물 중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Sigma F-9252)가 시료 중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이용하는 Dewanto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녹용 추출물 또는 발효물 400 ㎕에 50 % Folin & ciocaltue's phenol reagent을 100 ㎕을 가하여 실온에서 5분 방치하였다. 반응액에 2% sodium carbonate 200 ㎕를 가하여 진탕하고 12,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시료 별로 상등액을 각각 200 ㎕씩 취하여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분주하고, 실온에서 10분 경과한 후 microplate reader(Spectropho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Type 1510)를 이용하여 7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750 nm의 흡광도로부터 갈산을 표준물질로 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mg갈산/mL)을 구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3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녹용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47였으나, 유산균으로 발효함에 따라 4.82~6.26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하면 총폴리페놀 함량은 20.51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유산균 제조예는 단백질 가수분해물보다는 총폴리페놀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녹용추출물이나 녹용 추출물을 그대로 발효한 비교예에 비하여 총폴리페놀의 함량이 크게 증가함을 보여주여, 가수분해 공정이 총폴리페놀 함량 증대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 유산균 발효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실시예 1의 녹용 추출물, 제조예 및 비교예의 유산균 발효물 중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Aluminum Chloride를 이용한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녹용 추출물 또는 발효물 500 ㎕에 0.05% NaNO2 시액 200 ㎕을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1% AlCl6H2O(YAKURI PURE CHEMICAL CO., Japan) 300 ㎕를 가하여 실온에서 추가로 6분간 방치하였다. 반응액에 0.1N NaOH 500 ㎕를 가하여 에펜도르 튜브를 10초간 위아래로 흔들어 혼합한 후 12,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시료 별로 약 10분간 방치하여 안정화시킨 후 상등액을 각각 200 ㎕씩 취하여 96 well cell culture plate에 분주하고, 실온에서 10분 경과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7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750 nm의 흡광도로부터 퀘르세틴을 표준물질로 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 함량(mg퀘르세틴/mL)을 구하여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4
녹용 추출물은 유산균 발효에 의해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면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4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이를 유산균 발효한 경우에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물 가용성 성분의 증가에 의해 유산균에 의한 발효 과정이 촉진되었음을 시사하며, 플라보노이드 함량 증가를 위해 단백질 가수분해 공정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5 : 유산균 발효에 따른 항산화능 평가
시료 5 mL에 에탄올 5 mL를 각각 첨가한 다음 시험관 진탕기로 균질화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갈산, 퀘르세틴 및 BHT(Butylated hydroxytoluene)을 각각 0.1 mM 농도가 되도록 50% ethanol에 용해시켰다. 시료 또는 양성 대조군의 상등액 1 mL을 취하여 12,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 라디칼 소거용 시액은 사용 직전에 DPPH를 ethanol에 용해시켜 5×0.1 mM 농도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또는 양성 대조군의 검체 각각 200 ㎕를 에펜도르 튜브에 취하고 여기에 DPPH 시액을 200 ㎕씩 가한 다음 뚜껑을 닫고 5초간 상하로 맹렬히 진탕하였다. 이후 12,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 200 ㎕를 취하여 microplate reader로 517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값으로부터 다음 식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AbsDPPH는 시료를 추가하지 않은 DPPH 용액의 517 nm에서의 흡광도, Abssample는 시료의 517 nm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하기 표 5는 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산균 발효에 의해 녹용 추출물 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항산화 활성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유산균 발효과정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이외에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유용성분이 생성되었음을 시사하였다. 유산균 별로는 8종의 혼합 유산균을 사용한 경우 항산화 활성 증가가 가장 현저하였다.
유산균 발효 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한 제조구는 라디칼 소거능이 1.82배~2.39배로 크게 증가하였다. 유산균 별로는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함량 증가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비해 8종의 혼합 유산균을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어, 역시 유산균 발효에 의해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이외에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유용물질이 증가함을 시사하였다.
0.1 mM 농도의 양성대조군 시료와 비교하였을 때, 갈산이나 퀘르세틴보다는 라디칼 소거능이 낮았으나, 육류 가공품에 사용이 허용된 합성 산화제인 HBT와는 라디칼 소거능이 유사하였다.
Figure pat00006

Claims (6)

  1. A) 녹용을 C1~C3의 알코올과 물로 이루어진 용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얻어진 녹용 추출물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C) B) 단계의 가수분해 산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Lactococcus, Leuconostoc, Pediococcus, Bifidobacterium속의 균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녹용 추출물에 비해 총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용 발효추출물.
  5. 청구항 4의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성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청구항 4의 녹용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35878A 2021-03-19 2021-03-19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 KR20220130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78A KR20220130967A (ko) 2021-03-19 2021-03-19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878A KR20220130967A (ko) 2021-03-19 2021-03-19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967A true KR20220130967A (ko) 2022-09-27

Family

ID=8345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878A KR20220130967A (ko) 2021-03-19 2021-03-19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09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331B1 (ko) 2014-01-07 2015-10-19 충청북도 보은군 대추 및 녹용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KR101826148B1 (ko) 2016-06-16 2018-02-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젖산 발효를 통한 녹각 및 목이버섯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331B1 (ko) 2014-01-07 2015-10-19 충청북도 보은군 대추 및 녹용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KR101826148B1 (ko) 2016-06-16 2018-02-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젖산 발효를 통한 녹각 및 목이버섯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식품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1220B2 (en) Powdery malted rice extract composition
JP4163631B2 (ja) 無辛味品種トウガラシの発酵組成物及びその利用
KR20160058389A (ko)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TW201536341A (zh) 紅藜萃取物用於製備促進膠原蛋白生成及抗皮膚老化之組合物之用途
JP4387903B2 (ja) パパイ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4624742B2 (ja) シソの葉から得られる発酵物
TWI430754B (zh) 高γ-胺基丁酸含有物之製造方法
KR20220136107A (ko)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알로에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이용한 알로에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제조방법
KR101962570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0264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활용한 밤 발효 퓨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TWI734322B (zh)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JP2010100663A (ja) タマネギ発酵物を含有する酵素阻害剤
KR20110022280A (ko)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JP2005097222A (ja) タマネギ発酵物
JP5114625B2 (ja) γ−アミノ酪酸高含有物の製造方法
JP2006075083A (ja) ゴー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089408A (ja) レモン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182654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220130967A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녹용 발효추출물
KR10179463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이용한 마늘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243270B2 (ja) 柿発酵組成物および柿果実の処理方法
JP2005281271A (ja) 皮膚保湿能改善剤
JP2006265142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102457306B1 (ko) 피부 개선 및 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076926A (ja) ピーマンから得られる発酵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