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750A -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 - Google Patents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750A
KR20220130750A KR1020227028569A KR20227028569A KR20220130750A KR 20220130750 A KR20220130750 A KR 20220130750A KR 1020227028569 A KR1020227028569 A KR 1020227028569A KR 20227028569 A KR20227028569 A KR 20227028569A KR 20220130750 A KR20220130750 A KR 2022013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quipment
information
spatial object
resource
repor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양
펭 순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출원은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를 개시한다. 여기서,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Description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
본 출원은 무선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LTE 어드밴스트(LTE-Advanced, LTE-A) 등 무선 액세스 기술 표준은 모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여기서, MIMO 기술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공간 자유도를 이용하여 피크 속도 및 시스템 스펙트럼 활용도를 향상시킨다.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더 큰 규모와 더 큰 안테나 포트를 갖는 MIMO 기술이 도입되었다. 대량(Massive) MIMO 기술은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시스템 주파수 대역의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더 많은 액세스 사용자를 지원한다.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구현 비용과 장비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술을 채택한다. 즉, 기존의 디지털 도메인 빔포밍을 기반으로 안테나 시스템의 프론트 엔드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에 1단계 빔포밍을 추가한다. 아날로그 빔포밍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송신 신호와 채널 간의 대략적인 매칭을 구현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은 전대역폭으로 전송되며, 각 안테나 어레이의 패널에 있는 각 편파 방향 어레이 요소는 아날로그 빔을 시분할 다중화의 방식으로만 송신할 수 있다. 현재 아날로그 빔포밍 벡터의 훈련은 일반적으로 폴링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각 안테나 패널의 각 편파 방향 어레이 요소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정해진 시간에 차례로 훈련 신호(즉 후보 포밍 벡터)를 송신하고, 단말은 측정 후 네트워크 측에서 다음 서비스를 전송할 때 상기 훈련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빔 송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빔 보고(beam reporting)를 피드백 한다.
빔 측정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측에서는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자원(resource) 또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기준 신호(CSI reference signals, CSI-RS) resource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 자원 집합(RS resource set)을 구성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은 각 RS resource의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L1-RSRP)/계층 1 신호 대 간섭 잡음비(Layer 1-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L1-SINR)를 측정하고 네트워크 측에 빔 보고를 보고하며, 보고 내용은 SSB 자원 인덱스(SSB Resource Index, SSBRI) 또는 CSI-RS 자원 인덱스(CSI-RS Resource Index, CRI), 및 L1-RSRP/L1-SINR을 포함한다. 상기 보고 내용에서는 빔에 대응하는 RS 자원 및 그 품질이 반영되며, 이는 네트워크 측에서 UE에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술한 빔 보고 방식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측에서는 UE에 채널 또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만 결정할 수 있고, UE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에서 UE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측에 UE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제2 양상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에 적용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함 - ; 상기 보고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토콜 규정 및/또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르고/따르거나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제4 양상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함 - ; 상기 보고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링부를 포함한다.
제5 양상에서,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상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상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 또는 제2 양상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프로토콜 규정 및/또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르고/따르거나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측은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에 예시되며,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이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에 대한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단히 소개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일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다른 일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또 다른 일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또 다른 일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또 다른 일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의 일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01월 23일자로 중국에서 출원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202010076949.5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LTE/LTE-A, 엔알(New Radio, NR)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UE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모바일 사용자 장비, 단말 장비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휴대폰(또는 “셀룰러” 전화라고 함)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거나 휴대형, 포켓형, 핸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탑재형 모바일 장치와 같이 모바일 단말이 구비된 검퓨터일 수 있으며, 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의 기지국(Node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의 진화된 기지국(Evolved Node B,eNB 또는 e-NodeB) 및 5G 기지국(gNB)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지만,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gN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일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서, 상기 방법 100은 단말 장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11: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여기서, UE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측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는 단말 장비의 안테나 패널 및/또는 단말 장비의 안테나 패널 상의 빔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장비의 안테나 패널 상의 각 안테나 요소의 위상과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단말 장비의 안테나 패널은 다양한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패널 및/또는 빔은 특정 원인으로 인해 다른 안테나 패널 및/또는 빔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측이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보고정보를 통해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이로써 단말 장비가 공간객체를 전환하는 경우, 공간객체에 대한 네트워크 측과 UE 간의 이해 일치성이 보장될 수 있고, 나아가 네트워크 측은 보고된 UE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UE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는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측정을 수행하고, 그 다음 측정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결과는,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설정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자원 상에서 송신되는 빔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다수의 제1 측정 결과; 상기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획득한 제2 측정 결과; 현재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 중인 안테나 패널과 인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획득한 제3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는 보고 시 다수의 제1 측정 결과로부터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예: 최상의 빔 품질)에 대응하는 빔을 타겟 빔으로 선택하고, 타겟 빔의 관련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타겟 빔을 측정하기 위한 공간객체, 상기 타겟 빔의 빔 링크 품질, 및 상기 타겟 빔에 대응하는 RS 자원 등을 보고한다. 또는, 제2 측정 결과 또는 제3 측정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보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보고 이벤트는 빔 실패 이벤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이벤트일 수도 있다. 예컨대, 빔 측정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의해 지시되고, 빔 측정을 수행한 다음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에 대한 가능한 구현 방법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능한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보고할 공간객체의 식별정보를 보고정보에 실어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측은 해당 공간객체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는 암시적인 방식으로 지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고정보에 포함된 기타 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거나, 보고정보에 포함된 기타 정보의 배열 순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거나, 상기 보고정보를 나르는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일 가능한 구현 방법에서, 상향링크 자원과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가 사전에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 장비는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때 보고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할 수 있다. 즉,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는 상기 UE가 보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다. 예컨대, 단말 장비의 panel(안테나 패널) 1이 상향링크 자원 A를 사용하고, panel 2가 상향링크 자원 B를 사용한다고 사전에 구성되고, UE가 현재 panel 1의 관련 정보를 보고하는 경우, UE는 상향링크 자원 A에서 보고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객체와 RS 자원의 대응 관계는 공간객체와 RS 자원이 상술한 제1 측정 결과들 중 동일한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빔 측정을 수행할 때 어느 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어느 한 RS 자원을 측정하여 하나의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공간객체와 상기 RS 자원은 대응 관계를 갖는다. 상기 제1 측정 결과가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UE는 보고정보에서 상기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 공간객체(즉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할 수 있으며, 보고정보에는 상기 제1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RS 자원의 식별정보, 즉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4개의 RS 자원, 즉 A, B, C, D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고, UE는 panel 1 및 panel 2를 사용하여 이 RS 자원들을 각각 측정하고, 보고정보에 RS 자원 A 및 C의 인덱스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며, RS 자원 A를 측정할 때 panel 1에서 획득된 더 낳은 품질이 사용되고, RS 자원 C를 측정할 때 panel 2에서 획득된 더 낳은 품질이 사용된 경우, 보고정보에는 RS 자원 A에 대응하는 panel 1의 식별정보 및 RS 자원 C에 대응하는 panel 2의 식별정보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CSI-RS 자원 및/또는 SSB 자원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SI-RS Resource Indicator, 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L1-RSRP 및/또는 L1-SINR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각 RS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를 측정하고,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panel 1을 사용하여 RS 자원 A를 측정하고, panel 2를 사용하여 RS 자원 B를 측정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고, UE가 측정 결과에 따라 panel 1 상의 RS 자원 A를 보고하기로 결정한 경우, UE는 보고정보에 RS 자원 A의 식별정보만 실을 수 있고, 네트워크 측은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UE에 의해 보고된 것이 panel 1에 대응하는 RS 자원 A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배열 순서가 사전에 규정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는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상기 배열 순서에 따라 배열된다. 예컨대,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각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의 보고 순서가 panel 1 상의 빔 A, panel 1 상의 빔 B, panel 2 상의 빔 A 및 panel 2 상의 빔 B인 경우, 보고정보에서 각 관련 정보의 배열 순서는 panel 1 상의 빔 A에 대응하는 RS 자원 R1의 식별정보 CRI 1, panel 1 상의 빔 A에 대응하는 RS 자원 R1의 품질 파라미터 L1-RSRP 1; panel 1 상의 빔 B에 대응하는 RS 자원 R2의 식별정보 CRI 2, panel 1 상의 빔 B에 대응하는 RS R2의 품질 파라미터 L1-RSRP 2; panel 2 상의 빔 A에 대응하는 RS 자원 R3의 품질 파라미터 L1-RSRP 3; panel 2 상의 빔 B에 대응하는 RS 자원 R4의 식별정보 CRI 4, panel 2 상의 빔 B에 대응하는 RS 자원 R4의 품질 파라미터 L1-RSRP 4이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가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는 관련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 여부는 네트워크 측 구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측 구성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가 전환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UE는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해야 한다. 또는, 네트워크 측 구성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가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에 U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는 관련 정보, 예컨대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가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통상적인 보고일 수 있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조건 및/또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예컨대, 주기적으로 보고(예: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P-MPR을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고/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UE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전환할 때 보고하도록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고/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됨 - ;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안테나 패널의 전력 관리 최대 전력 감소(Power Management Maximum Power Reduction, P-MPR) 및/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빔의 P-MPR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특정 사전설정값(예: 사전설정값은 5db와 같이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보다 작거나 특정 사전설정값보다 클 때 보고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안테나 패널의 P-MPR, 및/또는 기타 안테나 패널의 P-MPR, 및/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안테나 패널 상의 적어도 하나의 빔의 P-MP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UE는 실제 응용에 따라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송신하고, 보고정보를 상이한 채널에 싣고, 보고정보를 상이한 형태로 송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양상들에 대해 각각 설명할 것이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제외한 단말 장비의 기타 공간객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타 공간객체는 전환될 기타 공간객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단말 장비의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품질 파라미터가 제2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예컨대, 상기 단말 장비의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품질 파라미터들 간의 차이값이 사전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빔 전송이 심각하게 가려지지 않았고, 기타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과 유사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계속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장비의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품질 파라미터들 간의 차이값이 사전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지 않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빔 전송은 심각하게 가려졌으나 기타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은 상대적으로 좋아 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타 공간객체(예: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에서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해야 한다.
(2)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 제3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전환해야 하는 다른 조건이 있는 경우,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에서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값보다 작지 않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이 심각하게 페이딩되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며, UE는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결정하고, 타겟 공간객체에서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UE는 기타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는 UE가 보고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의해 선택된다.
(3)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구체적인 응용에서, 단말 장비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므로 일정한 시간 내에 전자파를 방출하는 장비로부터 인체가 받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허용되는 SAR이 프로토콜에서 규정된다. 단말 장비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SAR을 초과하는 경우, 예컨대 단말 장비가 인체에 가까우면 단말 장비의 송신 전력을 낮춰야 한다. 즉, 전력 백오프를 수행하며, P-MPR은 백오프해야 하는 전력값을 지시한다. 예컨대, UE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가 인체에 가깝고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전환해야 함을 의미하며, 전환된 타겟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제1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여기서, 상기 제1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고,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가 전력 백오프 후에도 여전히 기타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과 유사함을 의미하므로,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품질 차이값을 초과한다면, 백오프 후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이 기타 공간객체만큼 좋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기타 공간객체(예: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는 panel 1이고, 그 빔 링크 품질은 panel 2의 빔 링크 품질보다 10db 높고, panel 1의 P-MPR은 5db로 10db보다 작은 경우, panel 1을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다.
사전결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예: 8db)을 초과한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가 인체와 가까움을 의미하므로, 기타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며; 사전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P-MPR 차이값이 제2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여기서, 상기 P-MPR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의 P-MPR 간의 차이값이고, 상기 제2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이다. P-MPR 차이값이 제2 품질 차이값을 초과한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전환해야 하는 다른 조건이 있는 경우,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에서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panel 1의 빔 링크 품질이 panel 2의 빔 링크 품질보다 10db 높고, panel 1의 P-MPR이 20db이고, panel 2의 P-MPR이 2db이고, P-MPR 차이값이 18db인 경우,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기타 공간객체(예: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
(4)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상향링크 품질과 하향링크 품질이 제5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하향링크 품질 대비 상향링크 품질의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작지 않다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상향링크 페이딩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기타 공간객체(예: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작다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전환해야 하는 다른 조건이 있는 경우,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에서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5) 상기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가 제6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예컨대,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가 사전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기타 공간객체를 사용할 수 있고, 사전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UE는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이한 상향링크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UE는 사전설정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및/또는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UE는 네트워크 측이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모니터링한다.
또는,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UE는 네트워크 측이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MAC CE에 대한 네트워크 측의 피드백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DCI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DCI를 통해 응답하는 경우,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process)를 사용한다.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상향링크 승인(UL grant)이 없는 경우,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기타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에 자원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송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측의 상향링크 승인을 사용하여 MAC CE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UE가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UE와 네트워크 측은 UE가 송신한 보고정보에 따라 UE와 네트워크 측 간의 통신을 위한 타겟 빔을 결정할 수 있다. UE와 네트워크 측 간의 각 제어 정보에 의해 사용되는 빔이 선택된 타겟 빔과 일치하도록 하고, 각 제어 채널의 빔 재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줄이기 위해,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즉, 상기 타겟 빔은 사전설정된 기간 내에서 PDCCH 및 PUCCH의 빔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UE는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전결정된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를 통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예: CORESET-BFR)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보고정보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시그널링 상호작용 절차를 줄이기 위해, 상기 비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을 통해 PDCCH, PDSCH 및 PUCCH의 빔 재설정을 구현하고,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경쟁 PRACH를 통해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고정보는 경쟁 PRACH를 통해 직접 송신될 수 있지만, 경쟁 PRACH에 실리는 정보가 제한되므로, 보고정보에 포함된 내용이 많은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보고정보는 UE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한 사전결정된 메시지(예: Msg3)에 실릴 수 있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보고정보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응답 메시지(예: Msg2 또는 Msg4)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시그널링 상호작용 절차를 줄이기 위해, 상기 경쟁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제 응용에서, 경쟁 PRACH 자원과 SSB 자원은 대응 관계를 갖는다. UE는 SSB 자원을 측정한 후 하나의 SSB 자원을 선택하고, 그 다음 대응 관계에 따라 해당 경쟁 PRACH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며, 네트워크 측은 이 경쟁 PRACH 자원에 따라 UE에 의해 선택된 SSB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이 SSB 자원 상의 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 빔 정보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로 사용한다.
또는,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는 2단계(2-step)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메시지 A(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MsgA의 PUSCH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UE는 상기 보고정보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2-step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 B(MsgB)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시그널링 상호작용 절차를 줄이기 위해,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을 통해 PDCCH 및 PUCCH의 빔 재설정을 구현하고,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줄일 수 있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UE는 보고정보를 송신할 때 사전설정된 빔 보고(beam report)의 포맷에 따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beam report 포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beam report는 두 개의 시그널링 필드, 즉 RS 자원의 식별정보(예: CRI 및/또는 SSBRI)가 실린 시그널링 필드 및 RS 자원에 대응하는 품질 파라미터(예: L1-RSRP 및/또는 L1-SINR)가 실린 시그널링 필드를 포함하며, beam report를 나르는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대응하는 공간객체를 지시하거나,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공간객체에 따라 RS 자원의 식별정보를 통해 대응하는 공간객체를 지시하거나, 사전에 규정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공간객체 보고의 배열 순서에 따라 beam report 내의 각 RS 자원의 관련 정보를 배열한다.
또는, 종래 기술의 beam report를 확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beam report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기 위한 시그널링 필드를 추가하며, 이 시그널링 필드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실릴 수 있다. 또는, 보고정보에 UE의 공간객체의 기타 관련 정보가 더 포함될 때, 각 관련 정보에 대해 시그널링 필드가 각각 확장되어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나른다.
또는, 새로운 beam report를 정의하고, 실제 응용에서 보고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이 beam report의 포맷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 beam report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를 나르는 시그널링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는, 보고정보는 beam report가 아니라 새로 정의된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이 정보는 상술한 각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보고정보의 기능을 구현하고, 해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을 통해, SRS의 공간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에서 SRS의 공간 관계를 다시 지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SRS는 반지속적 SRS 또는 비주기적 SRS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SRS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단말 장비의 다수의 공간객체와 대응 관계를 갖는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할 때,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며,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이다. 예컨대, 보고정보에 panel 1 및 panel 2에 각각 대응하는 RS 자원의 식별정보 CRI 1 및 CRI 2가 포함되고,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가 panel 1인 경우, CRI 1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SRS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할 때,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는 상향링크 채널의 공간 관계 정보 또는 하향링크 채널의 전송 구성 지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state 정보를 포함하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는 상향링크 채널의 공간 관계 정보 또는 하향링크 채널의 TCI state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서, 상기 방법 200은 단말 장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211: 상기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고/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주기적으로 보고(예: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P-MPR을 보고함)하도록 프로코톨에서 규정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경우, S211에서는 규정되거나 구성된 주기값과 시간 오프셋 등 관련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또는, 프로토콜 규정 또는 네트워크 측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측정 요청을 수신한 경우, S211에서 네트워크 측에 의해 지시된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도록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경우, S211에서는 해당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측정은 상이한 공간객체를 이용한 사전설정된 기준 신호(RS) 자원에 대한 측정, 상기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에 대한 측정, 및 현재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 중인 안테나 패널과 인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측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12: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보고정보에 포함되는 내용 및 보고 방법은 상술한 방법 100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보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서, 상기 방법 300은 단말 장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311: 현재 UE에 의해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현재 UE에 의해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값(8db)보다 크거나 작다.
S311 이전에, UE는 인체에 근접함으로 인해 전력 백오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에코 측정을 수행하고, 나아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을 결정할 수 있다.
S312: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고정보는 또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상술한 방법 100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고정보는 상술한 방법 100에서의 보고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정보 보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서, 상기 방법 400은 단말 장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411: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은 상술한 방법 100에서의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이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방법 100에서의 제1 사전결정된 조건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412: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제외한 기타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사전결정된 포맷 및 사전결정된 베어링 방식으로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관련 정보,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방식은 상술한 방법 100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방법 100과 유사하게, 현재 상술한 제2 사전결정된 조건, 제3 사전결정된 조건, 제4 사전결정된 조건 및 제5 사전결정된 조건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사용할지 기타 공간객체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방법 100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고정보는 사전결정된 포맷을 사용한다. 여기서 사전결정된 포맷은 종래 기술의 beam report 포맷이거나 beam report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기 위한 시그널링 필드가 추가된 확장된 beam report 포맷일 수 있다. 또는, 새로운 beam report가 정의될 수도 있거나, beam report가 아닌 새로 정의된 새 정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방법 100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고정보의 베어링 방식은 사전설정된 PUCCH를 통한 베어링, 사전설정된 PUSCH를 통한 베어링, MAC CE를 통한 베어링,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PRACH를 통한 베어링,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한 베어링, 및 2-step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한 베어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다양한 베어링 방식을 이용한 특정 구현은 방법 100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정보 보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서, 상기 방법 500은 단말 장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511: 빔 실패 이벤트를 검출한다. 즉, UE는 현재 모든 제어 정보의 빔 품질이 사전설정된 값보다 낮음을 검출한다. 즉, 가려짐 등 원인으로 인해 현재 모든 빔의 품질이 열악하여 빔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없다.
S512: 사전결정된 베어링 방식으로 보고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술한 방법 100에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513: 사전결정된 응답 위치에서 네트워크 측의 응답을 검출한다.
UE가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UE와 네트워크 측은 UE가 송신한 보고정보에 따라 UE와 네트워크 측 간의 통신을 위한 타겟 빔을 결정할 수 있다.
S514: 각 채널의 빔을 재설정한다.
UE와 네트워크 측 간의 각 채널에 사용되는 빔과 선택된 타겟 빔을 일치시켜 각 채널의 빔 재설정으로 인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줄이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UE는 각 채널의 빔을 재설정한다.
여기서, 상이한 베어링 방식에 대해 상이한 응답 위치 및 상이한 빔 재설정 방식이 있다. 예컨대, 다음 상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S512에서는 비경쟁 PRACH(즉 베어링 방식)를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송신하고, S513에서는 특정 CORESET(예: CORESET-BFR)(즉, 응답 위치)를 통한 네트워크 측의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비경쟁 PRACH 자원은 특정 공간객체(즉, 하나의 자원 위치에 유일하게 대응하는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은 보고정보를 나르는 PRACH 자원을 통해 해당 공간객체를 결정하거나, 비경쟁 PRACH 이후의 msg3을 통해 특정 공간객체를 지시할 수 있다. S514에서, PDCCH와 이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의 빔 정보는 타겟 신규 빔에 따라 결정된다(PDCCH와 PDSCH의 빔 재설정). 여기서, 타겟 신규 빔은 사전결정된 후보 빔의 RS 자원 또는 신규 빔의 RS 자원에 대한 UE의 측정을 통해 결정된다. PUCCH의 빔 정보는 최근에 송신된 PRACH의 빔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PUCCH의 빔 재설정).
(2) S512에서는 경쟁 PRACH를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송신하고, S513에서 수신하는 네트워크의 응답은 msg2 또는 msg4이고, UE는 경쟁 PRACH 또는 msg3을 통해 특정 공간객체를 지시할 수 있으며, S514에서 PDCCH 등 채널의 빔 정보는 사용된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SSB에 따라 결정된다.
(3) 상향링크 승인이 있는 경우, S512에서는 MAC CE를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송신하고, S513에서 수신하는 응답은 MAC CE에 대한 피드백 확인 정보이거나, DCI(이 DCI가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HARQ process를 사용함)이다. MAC CE에는 특정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실린다. S514에서, PDCCH와 PUCCH의 빔 정보는 MAC CE에서 지시하는 타겟 신규 빔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타겟 신규 빔은 사전결정된 RS 자원에 대한 UE의 측정을 통해 결정된다.
사용 가능한 UL grant(상향링크 승인)가 없는 경우, UE는 네트워크에 grant를 요청하기 위해 특정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을 송신할 수 있으며, 요청하여 획득한 상향링크 승인을 통해 MAC CE를 송신한다.
(4) S512에서는 2-step RACH 절차에서의 MsgA를 사용하여 보고정보를 송신하고, S513에서 수신하는 응답은 MsgB이다. MsgA에는 특정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실릴 수 있다. S514에서, PDCCH와 PUCCH의 빔 정보는 상술한 타겟 신규 빔에 따라 결정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해서, 상기 방법 600은 네트워크 측 장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방법 600은 상술한 방법 100-500과 대응되며, 이는 네트워크 측 장비가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의 구현 방법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611: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여기서,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 안테나 패널 상의 빔 중의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보고정보는 방법 100에서의 보고정보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612: 상기 보고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방법 100과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각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에 구성된 공간객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는 단계;
사전에 구성된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보고에 대한 사전에 구성된 배열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보고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UE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측과 UE는 UE가 송신한 보고정보에 따라 UE와 네트워크 측 간의 통신을 위한 타겟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고정보의 베어링 방식에 대응하여, 상이한 베어링 방식에 대해 네트워크 측 장비는 상이한 방식으로 UE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컨대,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전설정된 PUCCH 및/또는 PUS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MAC CE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MAC CE에 대한 피드백 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현재 UE에 사용 가능한 상향링크 승인이 없는 경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SR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자원 SR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향링크 승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가 수신된 후, UE와 통신하기 위한 타겟 빔이 네트워크 측에 의해 선택되었기 때문에, UE와 네트워크 측 간의 각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빔과 선택된 타겟 빔을 일치시켜 각 제어 채널의 빔 재설정으로 인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줄이기 위해, UE에 대응하는 제어 채널(예: PDCCH 및 PUCCH)의 빔 정보를 재설정하여 시그널링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사전결정된 CORESET를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시그널링을 절약하기 위해 PDCCH, PDSCH 및 PUCCH의 빔 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시그널링을 절약하기 위해 PDCCH, PDSCH 및 PUCCH의 빔 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B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MsgB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실린다.
상술한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시그널링을 절약하기 위해 PDCCH 및 PUCCH의 빔 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거나,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측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선택적인 구현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 측 장비는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SRS의 빔 정보를 재활성화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며,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이다.
다른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 파라미터, 상기 보고 이벤트,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 사전결정된 각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공간객체, 각 사전결정된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는 공간객체,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및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의 보고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응용에서, 구성 정보는 상술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측에서 구성 가능한 다른 정보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 측 장비는 UE에 의해 보고된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UE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측 장비가 UE의 각 공간객체의 전송 성능에 따라 UE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할 수 있어 빔의 전송 성능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단말 장비(70)은 송신부(71)를 포함한다.
송신부(71)는, 프로토콜 규정 및/또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르고/따르거나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또는 안테나 패널 상의 빔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네트워크 측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 이벤트는 빔 실패 이벤트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고/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CSI-RS 자원 및/또는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SSB) 자원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1-RSRP) 및/또는 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1-SINR)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됨 - ; 또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사전에 규정된 배열 순서에 따라 배열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배열 순서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보고의 배열 순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 또는,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식별정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 구성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강제하는 것; 또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제외한 상기 단말 장비의 기타 공간객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단말 장비의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품질 파라미터가 제2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 제3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상향링크 품질과 하향링크 품질이 제5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가 제6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제1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을 포함함 - ;
사전결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P-MPR 차이값이 제2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P-MPR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의 P-MPR 간의 차이값이고, 상기 제2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임 -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사전설정된 PUCCH 및/또는 PUS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700)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1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700)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MAC CE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측의 피드백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DCI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현재 사용 가능한 상향링크 승인이 없는 경우,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에 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요청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제1 결정부는, 상기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전결정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통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상기 비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한 사전결정된 메시지에 상기 보고정보가 실리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상기 경쟁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MsgB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2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MsgA의 PUSCH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방법에서, 송신부(71)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사전설정된 빔 보고의 포맷에 따라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빔 보고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를 나르는 시그널링 필드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5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SRS는 반지속적 SRS 또는 비주기적 SRS이고/이거나, 상기 SRS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단말 장비의 다수의 공간객체와 대응 관계를 갖는다.
일 구현 방법에서, 제5 결정부가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것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70)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방법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각 방법의 기능 및 유익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측 장비(80)는 수신부(81) 및 스케줄링부(82)를 포함한다.
수신부(81)는,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스케줄링부(82)는, 상기 보고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 안테나 패널 상의 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CSI-RS 자원 및/또는 SSB 자원을 포함한다. 및/또는,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RI 및/또는 SSBRI를 포함한다. 및/또는,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L1-RSRP 및/또는 L1-SINR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기 전에, 각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에 구성된 공간객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거나, 사전에 구성된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거나,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보고에 대한 사전에 구성된 배열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보고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는,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응답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수신부(81)는, 사전설정된 PUCCH 및/또는 PUS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응답부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수신부(81)는, MAC CE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응답부는, 상기 MAC CE에 대한 피드백 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거나,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수신부(81)는 또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원 SR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네트워크 측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향링크 승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승인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수신부(81)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응답부는, 사전결정된 CORESET를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수신부(81)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응답부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단말 장비에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수신부(81)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메시지 A(MsgA)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응답부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B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MsgB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실린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5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6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제6 결정부가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것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 파라미터, 상기 보고 이벤트,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 사전결정된 각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공간객체, 각 사전결정된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는 공간객체,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및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의 보고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기 전에,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결정하거나, 사전에 구성된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7 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80)는 상술한 도 6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방법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각 방법의 기능 및 유익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도시된 사용자 장비(9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903)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9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시스템(905)을 통해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905)은 이러한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 및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 시스템(905)에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가 포함된다. 다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9에서는 각 버스를 버스 시스템(905)으로 통합하여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903)는 표시 장치, 키보드 또는 클릭 장치(예: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메모리(9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Read-Only Memory, ROM), 피롬(Programmable ROM,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일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인 설명을 통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램(Synchronous 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 Link DRAM, SLDRAM), 다이렉트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RAM) 등과 같은 수많은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902)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902)에는 실행 가능한 모듈이나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부분 집합, 또는 그들의 확장 집합인 운영체제(9021)와 애플리케이션(9022)이 저장된다.
상기 운영체제(9021)는 다양한 기본 서비스를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계층, 코어 라이브러리 계층, 드라이버 계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9022)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9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900)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한다.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901)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9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901)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지령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적 회로 또는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이산적 하드웨어 소자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적 약도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직접 구현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서 신뢰성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램, 플래시 메모리, 롬, 피롬 또는 이이피롬 및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902)에 위치하며, 프로세서(901)는 메모리(902) 중의 정보를 판독하여 하드웨어를 통해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출원의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타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 절차, 기능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될 때 다음의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또는 안테나 패널 상의 빔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측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 이벤트는 빔 실패 이벤트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고/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CSI-RS 자원 및/또는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SSB) 자원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1-RSRP) 및/또는 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1-SINR)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됨 - ; 또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사전에 규정된 배열 순서에 따라 배열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배열 순서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보고의 배열 순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 또는,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식별정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 구성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강제하는 것; 또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제외한 상기 단말 장비의 기타 공간객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단말 장비의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품질 파라미터가 제2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 제3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상향링크 품질과 하향링크 품질이 제5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가 제6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제1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을 포함함 - ;
사전결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P-MPR 차이값이 제2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P-MPR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의 P-MPR 간의 차이값이고, 상기 제2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임 -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사전설정된 PUCCH 및/또는 PUS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MAC CE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측의 피드백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DCI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현재 사용 가능한 상향링크 승인이 없는 경우,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에 SR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전결정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통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비경쟁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한 사전결정된 메시지에 상기 보고정보가 실리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경쟁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메시지 A(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 B(MsgB)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MsgA의 PUSCH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사전설정된 빔 보고의 포맷에 따라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선택적인 구현 방법에서, 상기 빔 보고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를 나르는 시그널링 필드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SRS는 반지속적 SRS 또는 비주기적 SRS이고/이거나,
상기 SRS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단말 장비의 다수의 공간객체와 대응 관계를 갖는다.
일 구현 방법에서,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비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측 장비(1000)는 프로세서(1001), 송수신기(1002), 메모리(1003), 사용자 인터페이스(10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장비(1000)는 메모리(1003)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함 - ; 상기 보고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도 10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01)로 대표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003)로 대표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공지된 내용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0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비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004)는 필요한 장비를 외부 및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003)에는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될 때 다음의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 안테나 패널 상의 빔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CSI-RS 자원 및/또는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SSB) 자원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1-RSRP) 및/또는 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1-SINR)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각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에 구성된 공간객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는 단계;
사전에 구성된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보고에 대한 사전에 구성된 배열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보고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보고정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전설정된 PUCCH 및/또는 PUS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MAC CE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MAC CE에 대한 피드백 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거나,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SR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자원 SR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향링크 승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사전결정된 CORESET를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동기화 신호 및 PBCH 블록(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메시지 A(MsgA)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B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sgB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실린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 방법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 파라미터, 상기 보고 이벤트,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 사전결정된 각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공간객체, 각 사전결정된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는 공간객체,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및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의 보고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들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측 장비 등)에 의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제한적이 아닌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사상 및 청구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기초하여 다양한 양상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70: 단말 장비
71: 송신부
80: 네트워크 측 장비
81: 수신부
82: 스케줄링부
900: 사용자 장비
901: 프로세서
902: 메모리
9021: 운영체제
9022: 애플리케이션
903: 사용자 인터페이스
9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905: 버스 시스템
1000: 네트워크 측 장비
1001: 프로세서
1002: 송수신기
1003: 메모리
1004: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14)

  1. 정보 보고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또는 안테나 패널 상의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이벤트는 빔 실패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고/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자원 및/또는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블록(SSB) 자원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1-RSRP) 및/또는 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1-SIN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됨 - ; 또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사전에 규정된 배열 순서에 따라 배열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배열 순서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보고의 배열 순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구성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강제하는 것; 또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 또는,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식별정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가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제외한 상기 단말 장비의 기타 공간객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단말 장비의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품질 파라미터가 제2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 제3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상향링크 품질과 하향링크 품질이 제5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가 제6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현재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제1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을 포함함 - ;
    사전결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P-MPR 차이값이 제2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P-MPR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의 P-MPR 간의 차이값이고, 상기 제2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임 -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사전설정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및/또는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MAC CE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측의 피드백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DCI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가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현재 사용 가능한 상향링크 승인이 없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가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에 자원 스케줄링 요청(SR)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전결정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통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비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한 사전결정된 메시지에 상기 보고정보가 실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블록(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메시지 A(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 B(MsgB)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MsgA의 PUSCH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8.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2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비가 사전설정된 빔 보고의 포맷에 따라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를 나르는 시그널링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3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가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SRS는 반지속적 SRS 또는 비주기적 SRS이고/이거나,
    상기 SRS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단말 장비의 다수의 공간객체와 대응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가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방법.
  34.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함 - ;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 안테나 패널 상의 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자원 및/또는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블록(SSB) 자원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1-RSRP) 및/또는 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1-SIN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각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에 구성된 공간객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에 대한 사전에 구성된 배열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보고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 관련 정보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사전에 구성된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사전설정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및/또는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MAC CE에 대한 피드백 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요청(SR)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자원 SR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향링크 승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사전결정된 CORESET를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8.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블록(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50.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메시지 A(MsgA)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B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sgB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52.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54.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가 상기 단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 파라미터, 상기 보고 이벤트,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 사전결정된 각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공간객체, 각 사전결정된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는 공간객체,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및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의 보고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
  55. 단말 장비에 있어서,
    프로토콜 규정 및/또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르고/따르거나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또는 안테나 패널 상의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프로토콜 규정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네트워크 측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보고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이벤트는 빔 실패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프로토콜에서 규정되고/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 또는,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자원 및/또는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블록(SSB) 자원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1-RSRP) 및/또는 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1-SIN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네트워크 측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됨 - ; 또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사전에 규정된 배열 순서에 따라 배열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 - 상기 배열 순서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보고의 배열 순서를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구성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강제하는 것; 또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보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5. 제55항 내지 제62항,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것; 또는,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식별정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6.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를 제외한 상기 단말 장비의 기타 공간객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7. 제66항에 있어서, 제1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단말 장비의 상이한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획득한 품질 파라미터가 제2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링크 품질 페이딩값이 사전결정된 시간 내에 제3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상향링크 품질과 하향링크 품질이 제5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상기 단말 장비의 이동 속도가 제6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의 P-MPR이 제4 사전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는,
    현재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제1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을 포함함 - ;
    사전결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이 사전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P-MPR 차이값이 제2 품질 차이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 상기 P-MPR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의 P-MPR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의 P-MPR 간의 차이값이고, 상기 제2 품질 차이값은 상기 현재 사용 중인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과 상기 기타 공간객체 상의 빔 링크 품질 간의 차이값임 -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69.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사전설정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및/또는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1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0.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MAC CE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측의 피드백 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응답한 DCI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2. 제70항에 있어서,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현재 사용 가능한 상향링크 승인이 없는 경우,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에 자원 스케줄링 요청(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4.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전결정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통해 송신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비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6.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송신한 사전결정된 메시지에 상기 보고정보가 실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8.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 PRACH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79.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MsgB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2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MsgA의 PUSCH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1. 제80항에 있어서,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A를 통해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2.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는 전환될 타겟 공간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3.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사전설정된 빔 보고의 포맷에 따라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는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를 나르는 시그널링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5. 제55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에 보고정보를 송신한 후,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5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SRS는 반지속적 SRS 또는 비주기적 SRS이고/이거나,
    상기 SRS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단말 장비의 다수의 공간객체와 대응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결정부가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것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88. 네트워크 측 장비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를 지시함 - ;
    상기 보고정보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객체는 안테나 패널, 및 안테나 패널 상의 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관련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P-MPR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의 백오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자원 및/또는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블록(SSB) 자원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식별정보는 CSI-RS 자원 인덱스(CRI) 및/또는 SSB 자원 인덱스(SSBRI)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RS 자원의 품질 파라미터는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1-RSRP) 및/또는 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1-SIN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기 전에, 각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에 구성된 공간객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거나, 사전에 구성된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거나,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보고에 대한 사전에 구성된 배열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보고정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의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의 각 공간객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3.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공간객체를 스케줄링하기 전에,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의 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결정하거나, 사전에 구성된 상향링크 자원과 공간객체 간의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응하는 공간객체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7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4. 제88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응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사전설정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및/또는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답부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6. 제94항에 있어서,
    수신부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응답부는, 상기 MAC CE에 대한 피드백 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거나, 상기 단말 장비에 응답하여 DC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7.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상기 MAC CE를 나르는 PUSCH와 동일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8.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또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자원 스케줄링 요청(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원 SR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 상향링크 승인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네트워크 측 장비는,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향링크 승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승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99. 제9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0.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비경쟁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을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답부는, 사전결정된 CORESET를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1. 제100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비경쟁 PRACH에 대응하는 빔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2.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경쟁 PRACH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측에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답부는,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3. 제102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경쟁 PRACH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PDS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4.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메시지 A(MsgA)를 통해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고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답부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MsgB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MsgB에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5. 제10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된 타겟 빔 또는 상기 MsgA에 대응하는 SSB 자원에 따라, 상기 단말 장비에 대응하는 PD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 및 PUCCH의 사전설정된 기간 내의 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5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빔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객체를 사용하여 사전결정된 RS 자원을 측정한 후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6. 제88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6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제6 결정부가 상기 단말 장비의 SRS의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보고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 중에서 사전설정된 RS 자원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의 소스 기준 신호로 결정하는 것 - 상기 사전설정된 RS 자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RS 자원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임 - ;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을 스케줄링한 경우, 상기 SRS가 위치한 공간객체 상의 채널의 빔 정보에 따라 상기 SRS의 공간 관계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8. 제88항 내지 제93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고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비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보고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 파라미터, 상기 보고 이벤트, 상기 보고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 사전결정된 각 RS 자원을 측정하기 위한 공간객체, 각 사전결정된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는 공간객체,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 및 각 공간객체에 대응하는 RS 자원의 보고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09.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10.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34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장비.
  1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34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34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3.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보고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보고 장치.
  114. 제34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공간객체 스케줄링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객체 스케줄링 장치.
KR1020227028569A 2020-01-23 2021-01-20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 KR20220130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76949.5A CN113163438B (zh) 2020-01-23 2020-01-23 信息上报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CN202010076949.5 2020-01-23
PCT/CN2021/072905 WO2021147913A1 (zh) 2020-01-23 2021-01-20 信息上报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750A true KR20220130750A (ko) 2022-09-27

Family

ID=7688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569A KR20220130750A (ko) 2020-01-23 2021-01-20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45198A1 (ko)
EP (1) EP4096282A4 (ko)
JP (1) JP2023511414A (ko)
KR (1) KR20220130750A (ko)
CN (1) CN113163438B (ko)
WO (1) WO2021147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9465A1 (zh) * 2021-08-18 2023-02-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CN115835278A (zh) * 2021-09-15 2023-03-21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波束信息的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996479A (zh) * 2021-10-20 2023-04-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上报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326182A (zh) * 2021-10-21 2023-06-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harq进程分配方法及装置
WO2023077423A1 (en) * 2021-11-05 2023-05-11 Apple Inc. Event based beam report
CN114557055A (zh) * 2021-12-29 2022-05-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上报功率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68710A1 (zh) * 2022-03-11 2023-09-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316022A (zh) * 2022-05-19 2022-11-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66A1 (ko)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023623B (zh) * 2016-11-04 2022-05-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信息上报、获取方法、终端及基站
CN109089322B (zh) * 2017-06-14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上行多波束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2398633B (zh) * 2018-04-03 2024-0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上报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0401922B (zh) * 2018-04-25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播传输方法和通信设备
CN110474667B (zh) * 2018-05-11 2022-1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通信设备
US11026233B2 (en) * 2018-06-20 2021-06-01 Apple Inc. Emission and panel aware beam selection
CN111278166B (zh) * 2018-12-27 2022-07-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失败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10536397A (zh) * 2019-08-13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1414A (ja) 2023-03-17
EP4096282A4 (en) 2023-07-12
WO2021147913A1 (zh) 2021-07-29
EP4096282A1 (en) 2022-11-30
CN113163438B (zh) 2023-12-19
US20220345198A1 (en) 2022-10-27
CN113163438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0750A (ko) 정보 보고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측 장비
EP365788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3648497B1 (en) Secondary cell activation methods and corresponding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0849090B2 (en)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of UE, and apparatus
KR102489076B1 (ko) 안테나 패널 결정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US20220077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us of antenna panel
CN111586858B (zh) 信号传输方法和通信装置
JP7364034B2 (ja) チャネル状態情報をレポートする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tci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
KR101874727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US11924768B2 (en) Data send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4071690B (zh) 信息上报方法、信息接收方法及相关设备
CA3105386C (en) Link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3923709A (zh) 波束报告的发送、接收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23533698A (ja) 送信電力の指示及び決定方法、装置、端末、機器および媒体
US11742922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ntenna panels and method thereof
CN110741718B (zh) 用于随机接入配置的方法和设备
CN111901017A (zh) 一种信号传输的装置、系统及方法
CN114342451A (zh) 用于激活辅小区的通信方法和装置
EP4184993A1 (en) Beam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EP4030816A1 (en)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method,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3093621A1 (zh) 通信方法以及通信装置
WO2022078391A1 (zh) 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88114A1 (zh) 波束恢复方法、波束失败检测方法以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