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577A -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 - Google Patents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577A
KR20220130577A KR1020220017104A KR20220017104A KR20220130577A KR 20220130577 A KR20220130577 A KR 20220130577A KR 1020220017104 A KR1020220017104 A KR 1020220017104A KR 20220017104 A KR20220017104 A KR 20220017104A KR 20220130577 A KR20220130577 A KR 2022013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ormal
difference
abnorm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케시 노구치
도시유키 오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2013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5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4Image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48Semiconductor; IC; Wa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abnormal data acquisition part acquires ab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n inspection object that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in advance. A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acquires normal data indica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target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part. A difference data generation part generates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part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 presentation part presents an image of a por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part.

Description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및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

본 발명은, 교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및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and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that support creation of teacher data.

제품 또는 식품 등의 상품에는, 제조 도중부터 유통 전의 각 공정에 있어서 양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가 적절히 실시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19471호에는, 반도체 웨이퍼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각종 결함을 검사하기 위한 결함 검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Inspe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product or a commodity such as a food product is a good product is appropriately performed in each step from the middle of manufacture to before distribution.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1-119471, the defect inspection apparatus for test|inspecting various defects which generate|occur|produc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wafer is described.

이 결함 검사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검사 대상의 웨이퍼를 나타내는 복수의 SEM (주사형 전자 현미경) 화상이 생성된다. 생성된 복수의 SEM 화상으로부터 양품의 웨이퍼를 나타내는 SEM 화상이 유저에 의해 템플레이트로서 지정된다. 템플레이트 이외의 복수의 SEM 화상 (검사 화상) 의 각각과, 템플레이트의 차가 산출됨으로써, 검사 화상이 나타내는 웨이퍼의 회로 패턴 상의 결함이 검출된다.In this defect inspection apparatus, several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s which show the wafer of several inspection object are produced|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generated SEM images, an SEM image representing a wafer of good quality is designated as a template by the user.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f a plurality of SEM images (inspection images) other than the template and the template, a defect on the circuit pattern of the wafer indicated by the inspection image is detected.

결함 검사 장치에 있어서는, 결함이 없는 검사 대상물이어도, 결함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결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검사 결과가 얻어진 것에 의해 검사 대상물이 파기되게 되어, 수율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사가 실시되는 것이 요망된다.In a defect inspection apparatus, even if it is an inspection object without a defec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exists a defect. In this case, although there is no defect, the inspection object is discarded because an erroneous inspection result is obtained, and a yield falls. Therefore, it is desired that the inspection be performed with higher precision.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 가능한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및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and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capable of easily creating teacher data for performing an examination with high precision.

(1)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는, 검사 대상물의 재검사에 사용되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로서,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이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이상 데이터 취득부와,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상 데이터 취득부와,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도록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상 데이터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분 데이터 생성부와, 차분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물의 부분의 화상을 제시하는 제시부를 구비한다.(1)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that supports creation of teacher data used for re-inspection of an examination object, and provides an image of an examination object determined in advance to be defective. an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abnormal data indicat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and a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difference data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cquired abnormal data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 a presentation unit for presenting an image of a por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이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에 있어서는,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이상 데이터와,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물의 부분의 화상이 제시된다.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타나는 화상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물의 부분은, 재검사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제시된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당해 부분을 재검사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In this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ndicating the difference between abnormal data indicating the image of the inspection object determined in advance to be defective and normal data indicating the image of the normal inspection object, the part of the inspection object is An image is presented. The part of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mage that appears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s highly likely to require re-inspection. Therefore, by confirming the presented image, the user can create teacher data for re-inspecting the par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an examination with high precision.

(2)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는, 제시부에 의해 제시된 차분 데이터의 선택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접수부에 의해 선택이 접수된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하는 등록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분 데이터가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된다. 이로써, 교사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2)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ception unit for accepting sel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by the presentation unit, and a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difference data for which the selection is accepted by the reception unit as teacher data. In this case, the difference data selected by the user is registered as the teacher data. Thereby, teacher data can be more easily created.

(3) 접수부는, 제시부에 의해 제시된 차분 데이터의 수정을 추가로 접수하고, 등록부는, 수정 후의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해도 된다. 이 경우,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물의 재검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을 보다 적절히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3) The acceptance unit may further accept corr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by the presentation unit, and the registration unit may register the corrected difference data as teacher data.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correct more appropriately the part which requires re-inspec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mage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the examination with higher precision.

(4)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차분 데이터를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1 개의 이상 데이터로부터 다수의 차분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로써, 교사 데이터 작성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4)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a plurality of normal data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nd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difference data based on the abnormal data and the plurality of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do. In this case, a plurality of difference data is generated from one abnormal data.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creating teacher data.

(5)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상 데이터의 평균에 기초하여 차분 데이터를 생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정상 데이터의 어느 것에 결함과는 무관계한 노이즈 성분이 우발적으로 혼입되었을 경우에도, 복수의 정상 데이터가 평균되기 때문에, 노이즈 성분은 평균 후의 정상 데이터의 화소값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5)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a plurality of normal data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nd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difference data based on the average of the abnormal data and the plurality of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do.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a noise component unrelated to a defect is accidentally mixed in any of the plurality of normal data, since the plurality of normal data are averaged, the noise component has almost no effect on the pixel value of the normal data after averaging. don't gi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the examination with higher precision.

(6)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복수의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각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분 데이터를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공통의 정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속으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6)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normal data so as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abnormal data, and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difference data based on each abnormal data and the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In this case, teacher data can be created at high speed using common normal data.

(7)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정상 데이터는,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되지 않은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7)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may contain image data which shows the image of the inspection object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judged as defective. In this case, 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object can be easily acquired.

(8)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정상 데이터는, 검사 대상물의 설계도를 나타내는 마스터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8)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may contain the master data which shows the design drawing of an inspection object. In this case, 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object can be easily acquired.

(9)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검사 대상물의 가공 정밀도에 기초하여 수정이 실시된 마스터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서 취득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사 대상 영역이 미세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9)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the master data corrected based on the processing precision of an inspection object as normal dat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inspection subject region is fine, it is possible to easily acquire 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subject.

(10)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이상 데이터 및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정상 데이터에는, 비검사 대상 영역이 설정되고,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설정된 비검사 대상 영역을 제외하고 차분 데이터를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차분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에 검사 대상 영역 외의 부분이 포함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10) A non-inspection target region is set in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nd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generates difference data except for the set non-inspection target region. You can create In this case, it is prevented that a portion other than the inspection subject area is included in the image indicated by the difference data.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the examination with higher precision.

(11) 이상 데이터 취득부는,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사 대상물에 대한 결함의 종별을 나타내는 결함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고,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결함 정보를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부여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교사 데이터에 결함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킴과 함께, 교사 데이터 작성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작업에 수반하는 미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11)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unit further acquires defect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a defect on the inspectio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abnormality data, and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defec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unit. You may provide to difference data. In this case, the user does not need to perform the task of providing defect information to the teacher dat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creating teacher data. Moreover, since a mistake accompanying the user's work does not occur, more accurate teacher data can be created.

(12) 이상 데이터 취득부는, 2 치화 처리된 이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2 치화 처리된 정상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이상 데이터 및 정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삭감되기 때문에, 고속으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12)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the binarized abnormal data, and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the binarized normal data. In this case, since the data amount of abnormal data and normal data is reduced, teacher data can be created at high speed.

(13)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은, 검사 대상물의 재검사에 사용되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으로서,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이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도록 취득된 정상 데이터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물의 부분의 화상을 제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13)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that supports creation of teacher data used for re-inspection of an inspection object, wherein an image of an inspection object determined in advance to be defective is provided. A difference between the acquired abnormal data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the step of acquiring the abnormal data shown, and the step of acquiring the normal data which shows the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object in correspondence with the acquired abnormal data It includes a step of generating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이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에 의하면,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이상 데이터와,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물의 부분의 화상이 제시된다.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타나는 화상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물의 부분은, 재검사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제시된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당해 부분을 재검사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ndicating the difference between abnormal data indicating an image of an inspection object determined in advance to be defective and normal data indica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object, An image is presented. The part of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mage that appears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s highly likely to require re-inspection. Therefore, by confirming the presented image, the user can create teacher data for re-inspecting the par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an examination with high precis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지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2 의 지원 장치에 의한 지원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6 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ocessing system which includes the suppor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device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to create teacher data.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device in creation of teacher data.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support processing by the support apparatus of FIG. 2 .
Fig. 6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first modifica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on of teacher data in the second modifica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third modification.
Fig. 9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third embodiment.
Fig. 11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to create teacher data in the fourth embodiment.

[1] 제 1 실시형태[1] First embodiment

(1) 처리 시스템(1) processing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및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를 지원 장치라고 약기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시스템 (100) 은, 처리 장치 (10), 검사 장치 (20) 및 데이터베이스 기억 장치 (30) 를 포함한다.Hereinafter,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and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is abbreviated as a support device.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ocessing system which includes the suppor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1 , the processing system 100 includes a processing device 10 , an inspection device 20 , and a database storage device 30 .

처리 장치 (10) 는, CPU (중앙 연산 처리 장치) (11), RAM (랜덤 액세스 메모리) (12), ROM (리드 온리 메모리) (13), 기억 장치 (14), 조작부 (15), 표시 장치 (16) 및 입출력 I/F (인터페이스) (17) 에 의해 구성된다. CPU (11), RAM (12), ROM (13), 기억 장치 (14), 조작부 (15), 표시 장치 (16) 및 입출력 I/F (17) 는 버스 (18) 에 접속된다.The processing unit 10 include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11 , a RAM (Random Access Memory) 12 , a ROM (Read Only Memory) 13 , a storage device 14 , an operation unit 15 , and a display. It is constituted by a device 16 and an input/output I/F (interface) 17 . The CPU 11 , the RAM 12 , the ROM 13 , the storage device 14 , the operation unit 15 , the display device 16 , and the input/output I/F 17 are connected to the bus 18 .

RAM (12) 은, CPU (11) 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ROM (13) 에는 시스템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기억 장치 (14) 는, 하드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하고,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프로그램 (이하, 지원 프로그램이라고 약기한다) 을 기억한다. 지원 프로그램은, ROM (13) 또는 다른 외부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도 된다. CPU (11), RAM (12) 및 ROM (13) 에 의해,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처리 (이하, 지원 처리라고 약기한다) 를 실행하기 위한 지원 장치 (40) 가 구성된다. 지원 처리에 있어서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이 지원된다.The RAM 12 is used as a work area of the CPU 11 . The ROM 13 stores a system program. The storage device 14 includes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or a semiconductor memory, and stores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program (hereinafter, abbreviated as support program). The support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ROM 13 or another external storage device. A support device 40 for executing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processing (hereinafter, abbreviated as support processing) is constituted by the CPU 11 , the RAM 12 , and the ROM 13 . In the support process, creation of teacher data is supported.

조작부 (15) 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이다. 사용자는, 조작부 (15) 를 조작함으로써, 지원 장치 (40) 에 소정 지시를 부여할 수 있다. 표시 장치 (16) 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에 의한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한다. 입출력 I/F (17) 는, 검사 장치 (20) 에 접속된다.The operation unit 15 is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or a touch panel. The user can give a predetermined instruction to the support device 40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15 . The display apparatus 16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s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etc. for accepting the instruction|indication by a user. The input/output I/F 17 is connected to the inspection device 20 .

검사 장치 (20) 는, 예를 들어 AOI (자동 광학 검사) 장치로서, 검사 대상물을 순차적으로 촬상함으로써 복수의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함과 함께, 생성된 각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된 각 화상 데이터에는,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여된다.The inspection apparatus 20 is an AOI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apparatus, for example, by sequentially imaging the inspection object to generate a plurality of image data respectively representing images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objects, and each generated image data remember Each stored image data is assigne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기판을 검사 대상물의 일례로 하여 검사 장치 (20) 를 설명하지만, 검사 대상물은 기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판이란, 반도체 기판, 액정 표시 장치 혹은 유기 EL (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의 FPD (Flat Panel Display) 용 기판, 광 디스크용 기판, 자기 디스크용 기판, 광 자기 디스크용 기판, 포토 마스크용 기판, 세라믹 기판 또는 태양 전지용 기판 등을 말한다.Hereinafter, although the test|inspection apparatus 20 is demonstrated using a board|substrate as an example of a test|inspection object, the test|inspection object is not limited to a board|substrate. In addition, the substrate is a semiconductor substrate, a substrate for a flat panel display (FPD)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EL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 substrate for an optical disk, a substrate for a magnetic disk, a substrate for a magneto-optical disk, a substrate for a photomask It refers to a substrate, a ceramic substrate, or a substrate for solar cells.

검사 장치 (20) 는, 기억된 각 화상 데이터에 소정 알고리즘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각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판을 검사한다. 검사 장치 (20) 는, 심층 학습에 기초하여 각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판을 검사해도 된다. 검사에 있어서는, 기판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기판에 대해서는, 당해 결함의 종별이 판정된다.The inspection apparatus 20 inspects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each image data by performing a process based on a predetermined algorithm on each stored image data. The inspection apparatus 20 may test|inspect the board|substrate corresponding to each image data based on deep learning. In the insp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defect in the substrate. In addition, about the board|substrate determined as having a defect, the type of the said defect is determined.

검사 장치 (20) 에 있어서는, 결함이 없는 기판이어도, 결함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결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판정이 이루어진 것에 의해 기판이 파기되면, 수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기판에 대해서는, 교사 있음 학습에 의한 재검사가 실시된다. 지원 장치 (40) 는, 재검사에 사용되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한다. 데이터베이스 기억 장치 (30) 는, 서버 등의 대용량의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기억 장치 (30) 에는, 작성된 교사 데이터가 등록된다. 이하, 지원 장치 (40) 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inspection apparatus 20, even if it is a board|substrate without a defect, it may determine with a defect. If the substrate is discarded due to an erroneous judgment being made despite the absence of defects, the yield is lowered. Then, about the board|substrate judged to have a defect, the re-inspection by teacher presence learning is implemented. The support device 40 supports creation of teacher data used for retesting. The database storage device 30 includes a large-capacity storage device such as a server. In the database storage device 30, the created teacher data is registered. Hereinafter, the detail of the support apparatus 40 is demonstrated.

(2) 지원 장치(2) Supported devices

도 2 는, 도 1 의 지원 장치 (4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 (16) 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원 장치 (40) 는, 기능부로서,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제시부 (44), 접수부 (45) 및 등록부 (46) 를 포함한다. 도 1 의 CPU (11) 가 ROM (13) 또는 기억 장치 (14) 등에 기억된 지원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지원 장치 (40) 의 기능부가 실현된다. 지원 장치 (40) 의 기능부의 일부 또는 모두가 전자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device 40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to create teacher data.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6 in creation of teacher data. As shown in FIG. 2 , the support device 40 is a functional unit, and includes an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1 , a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 a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 a presentation unit 44 , and an acceptance unit 45 . ) and a register 46 . When the CPU 11 in FIG. 1 executes the support program stored in the ROM 13 or the storage device 14 or the like, the functional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40 is realized. Some or all of the functional units of the support device 40 may be realized by hardware such as an electronic circuit.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는, 검사 장치 (20) 에 의해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각 기판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이하, 이상 데이터라고 부른다) 를 검사 장치 (20) 로부터 취득한다. 화상 데이터는, 기판의 전체의 화상을 나타내도 되고, 동일 영역이면 기판의 부분적인 화상을 나타내도 된다. 도 3 의 좌상부에는,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기판의 화상의 일부가 나타난다.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part 41 acquires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20 the image data (henceforth called abnormality data) which shows the image of each board|substrate which was previously determin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20 to have a defect. The image data may represent the image of the whole board|substrate, and may represent the partial image of a board|substrate as long as it is the same area|region. In the upper left part of FIG. 3, a part of the image of the board|substrate based on the abnormality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part 41 appears.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는,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된 각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도록, 정상적인 기판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이하, 정상 데이터라고 부른다) 를 취득한다. 본 예에서는, 정상 데이터는, 검사 장치 (20) 에 의해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되지 않은 기판의 화상을 나타내는 소정 화상 데이터로서, 검사 장치 (20) 로부터 취득된다. 도 3 의 좌하부에는,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된 정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기판의 화상의 일부가 나타난다.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acquires imag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substrat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1 . In this example, normal data is acquired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20 as predetermined image data which shows the image of the board|substrate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judged as defective by the inspection apparatus 20 . In the lower left of FIG. 3 , a part of the image of the substrate based on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is shown.

이상 데이터와 정상 데이터는 서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이상 데이터가 취득되었을 경우, 당해 이상 데이터의 식별 번호의 1 개 전의 식별 번호를 갖고 또한 정상적인 기판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로서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되어도 된다. 혹은,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이상 데이터가 취득되었을 경우, 당해 이상 데이터의 식별 번호의 1 개 후의 식별 번호를 갖고 또한 정상적인 기판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로서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되어도 된다.Abnormal data and normal data correspond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abnormal data is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1, image data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ne previous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bnormal data and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substrate is acquired as normal data. It may be acquired by the unit 42 . Alternatively, when abnormal data is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1, image data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after on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abnormal data and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substrate is used as normal data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 42) may be obtained.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도록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된 정상 데이터의 각 화소값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차분 데이터라고 부른다. 도 3 의 우측부에는,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에 의해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기판의 화상이 나타난다. 차분 데이터는, 기판에 있어서의 재검사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의 화상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차분 데이터는, 기판에 있어서의 재검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라벨이 될 수 있다.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s of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1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By calculating, new image data is generated.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43 is called difference data. In the right part of FIG. 3 , an image of the substrate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43 appears. The difference data represents an image of a portion of the substrate that is likely to require re-inspection. Therefore, the difference data can be a label indicating a portion of the substrate that requires re-inspection.

제시부 (44) 는,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에 의해 생성된 각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GUI (50) (도 4) 를 표시 장치 (16) 에 표시시킴으로써, 각 차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UI (50) 는, 화상 표시 영역 (51), 등록 버튼 (52) 및 수정 버튼 (53) 을 포함한다. 화상 표시 영역 (51) 에는, 측정 대상물의 복수의 화상이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이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과 중첩되도록 화상 표시 영역 (51) 에 표시되지만,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만이 화상 표시 영역 (51) 에 표시되어도 된다.The presentation unit 44 displays, on the display device 16, a GUI 50 (FIG. 4) including an image based on each dif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thereby displaying each difference data to the user. present to As shown in FIG. 4 , GUI 50 includes an image display area 51 , a registration button 52 , and a correction button 53 .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measurement target ar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 area 51 . In this example, the image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rea 51 so that it overlaps with the image based on the abnormal data, but only the image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rea 51 .

접수부 (45) 는, 차분 데이터의 등록의 지시를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수부 (45) 는, 제시부 (44) 에 의해 표시된 GUI (50) 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하는 차분 데이터의 선택을 조작부 (15) 로부터 접수한다. 사용자는, 화상 표시 영역 (51) 에 표시된 화상을 시인하면서, 조작부 (15) 를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을 선택하고, 등록 버튼 (52) 을 조작함으로써, 당해 화상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지시를 접수부 (45) 에 부여할 수 있다. 등록부 (46) 는, 접수부 (45) 에 의해 선택이 접수된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 기억 장치 (30) 에 등록한다.The accepting unit 45 accepts an instruction to register difference data. Specifically, the accepting unit 45 accepts from the operation unit 15 the selection of difference data to be registered as teacher data in the GUI 50 displayed by the presenting unit 44 .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image using the operation unit 15 while visually recogniz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rea 51 , and operates the registration button 52 to select difference data representing the image as teacher data. instruction can be given to the reception unit 45 . The registration unit 46 registers, in the database storage device 30, the difference data whose selection is accepted by the accepting unit 45 as teacher data.

또한, 접수부 (45) 는, 차분 데이터의 수정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조작부 (15) 를 사용하여 화상 표시 영역 (51) 의 임의의 화상을 선택하고, 수정 버튼 (53) 을 조작함으로써, 당해가 화상에 대응하는 차분 데이터의 수정을 접수부 (45) 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한 화상에 있어서, 조작부 (15) 를 사용하여 재검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의 전부 칠하기 등의 지정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pting unit 45 can accept corr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image in the image display area 51 using the operation unit 15 and operates the correction button 53 to instruct the accepting unit 45 to correct the differ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 question. can do. Further, in the selected image, the user can use the operation unit 15 to designate, such as filling in the entire portion that requires re-inspection.

접수부 (45) 에 의해 지정이 접수되었을 경우,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지정이 접수된 부분을 나타내는 라벨을 선택된 차분 데이터에 부여한다. 이로써, 차분 데이터가 수정된다. 차분 데이터의 수정이 실시된 후, 등록 버튼 (52) 이 조작되었을 경우, 등록부 (46) 는, 수정 후의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 기억 장치 (30) 에 등록한다.When the designation is accepted by the accepting section 45,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section 43 gives the selected difference data a label indicating the portion for which the designation has been accepted. Thereby, the difference data is corrected. When the registration button 52 is operated after the corr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is performed, the registration unit 46 registers the corrected difference data as teacher data in the database storage device 30 .

(3) 지원 처리(3) Support processing

도 5 는, 도 2 의 지원 장치 (40) 에 의한 지원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 의 지원 처리는, 도 1 의 CPU (11) 가 ROM (13) 또는 기억 장치 (14) 등에 기억된 지원 프로그램을 RAM (12) 상에서 실행함으로써 실시된다. 이하, 도 2 의 지원 장치 (40) 및 도 5 의 플로 차트를 사용하여 지원 처리를 설명한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support processing by the support device 40 in FIG. 2 . The support processing in FIG. 5 is performed by the CPU 11 in FIG. 1 executing the support program stored in the ROM 13 or the storage device 14 or the like on the RAM 12 . Hereinafter, the support proces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upport device 40 in FIG. 2 and the flowchart in FIG. 5 .

먼저,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는, 검사 장치 (20) 로부터 각 이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스텝 S1). 다음으로,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는, 스텝 S1 에서 취득된 각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상 데이터를 검사 장치 (20) 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2). 스텝 S1, S2 는, 동시에 실행되어도 된다.First,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part 41 acquires each abnormality data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20 (step S1). Next, the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42 acquires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abnormal data acquired in step S1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20 (step S2). Steps S1 and S2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계속해서,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스텝 S1, S2 에서 각각 취득된 서로 대응하는 이상 데이터와 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3). 그 후, 제시부 (44) 는, 스텝 S3 에서 생성된 각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 장치 (16) 에 표시시킴으로써, 각 차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스텝 S4).Then,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generates each difference data based on the abnormal data and the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btained in steps S1 and S2, respectively (step S3). Thereafter, the presentation unit 44 presents each difference data to the user by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each difference data generated in step S3 on the display device 16 (step S4).

다음으로, 접수부 (45) 는, 스텝 S4 에서 제시된 차분 데이터 중, 어느 차분 데이터의 수정이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 차분 데이터의 수정이 접수되지 않은 경우, 접수부 (45) 는 스텝 S7 으로 진행된다. 어느 차분 데이터의 수정이 접수된 경우,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수정의 지정이 접수된 부분을 나타내는 라벨을 당해 차분 데이터에 부여함으로써 차분 데이터를 수정하고 (스텝 S6), 스텝 S7 으로 진행된다.Next, the accepting unit 45 determines which difference data correction among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in step S4 has been accepted (step S5). If the corr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is not accepted, the accepting unit 45 proceeds to step S7. When correction of a certain difference data is accepted,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corrects the difference data by giving the difference data a label indicating the part for which the specification of correction has been accepted (step S6), and proceeds to step S7. do.

스텝 S7 에 있어서, 접수부 (45) 는, 스텝 S4 에서 제시된 차분 데이터 또는 스텝 S6 에서 수정된 차분 데이터 중, 어느 차분 데이터의 등록이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7). 차분 데이터의 등록이 지시되지 않은 경우, 접수부 (45) 는 스텝 S9 로 진행된다. 어느 차분 데이터의 등록이 지시된 경우, 등록부 (46) 는, 지시된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 기억 장치 (30) 에 등록하고 (스텝 S8), 스텝 S9 로 진행된다.In step S7, the accepting unit 45 determines whether registration of which difference data has been instructed among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in step S4 or the difference data corrected in step S6 (step S7). When registration of difference data is not instructed, the accepting unit 45 proceeds to step S9. When registration of a certain difference data is instructed, the registration unit 46 registers the instructed difference data as teacher data in the database storage device 30 (step S8), and proceeds to step S9.

스텝 S9 에 있어서, 등록부 (46) 는, 종료가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9). 사용자는, 조작부 (15) 를 사용하여 소정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종료 또는 속행을 지시할 수 있다. 종료가 지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록부 (46) 는 스텝 S5 로 돌아온다. 차분 데이터를 추가로 등록하는 경우, 사용자는, 종료를 지시하지 않고 속행을 지시하게 된다. 종료가 지시되었을 경우, 등록부 (46) 는 지원 처리를 종료한다.In step S9, the registration unit 46 determines whether an end has been instructed (step S9). The user can instruct the end or continuation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using the operation unit 15 . If the end is not instructed, the registration unit 46 returns to step S5. In the case of additionally registering difference data, the user instructs continuation without instructing the end. When the end is instructed, the registration unit 46 ends the support process.

(4) 효과(4) effect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원 장치 (40) 에 있어서는,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이상 데이터가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된다.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된다.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도록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된 정상 데이터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가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에 의해 생성된다.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타나는 화상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물의 부분은, 재검사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In the support apparatus 4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abnormality data which shows the image of the test|inspection object judged in advance to have a defect is acquired by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part 41. As shown in FIG. 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object is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1 . Difference data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ring unit 41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ring unit 42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is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43 is created The part of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mage that appears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s highly likely to require re-inspection.

그 때문에,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에 의해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물의 부분의 화상이 제시부 (44) 에 의해 제시된다. 제시부 (44) 에 의해 제시된 차분 데이터의 선택이 접수부 (45) 에 의해 접수된다. 접수부 (45) 에 의해 선택이 접수된 차분 데이터가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부 (46) 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기억 장치 (30) 에 등록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시된 화상을 시인하면서,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차분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로써, 교사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Therefore,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 the image of the por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is presented by the presentation unit 44 . The sel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by the presenting unit 44 is accepted by the accepting unit 45 . The difference data for which the selection is accepted by the accepting unit 45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storage device 30 by the registering unit 46 as teacher data. In this case, the user can register the selected difference data as teacher data by selecting the differ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image while viewing the presented image. Thereby, teacher data can be more easily created.

또한, 접수부 (45) 는, 제시부 (44) 에 의해 제시된 차분 데이터의 수정을 추가로 접수한다. 등록부 (46) 는, 수정 후의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검사 대상물의 재검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을 보다 적절히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pting unit 45 further accepts corr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by the presenting unit 44 . The registration unit 46 registers the corrected difference data as teacher data.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for a user to correct more appropriately the part which requires re-inspec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in the image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the examination with higher precision.

(5) 변형예(5) Modifications

도 6 은,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변형예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검사 대상 영역 외를 나타내는 비검사 대상 영역을 검사 장치 (20) 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비검사 대상 영역이 등록되었을 경우, 검사 장치 (20) 는,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에 비검사 대상 영역을 설정한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first modification. In the first modification, the user can register in advance a non-inspection target area indicating outside the examination target area with the examination apparatus 20 . When the non-inspection target area is registered, the inspection apparatus 20 sets the non-inspection target area in the generated image data.

따라서, 도 6 의 좌상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되는 이상 데이터에는, 비검사 대상 영역이 설정된다. 동일하게, 도 6 의 좌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되는 정상 데이터에는, 비검사 대상 영역이 설정된다. 이 경우,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도 6 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된 비검사 대상 영역을 제외한 상태에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정상 데이터의 각 화소값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차분 데이터에 있어서의 비검사 대상 영역의 화소값은 0 이 되어도 된다.Therefore, as shown in the upper left part of FIG. 6, a non-inspection target area|region is set in the abnormality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part 41. As shown in FIG. Similarly, as shown in the lower left part of FIG. 6, a non-inspection target area|region is set in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4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6 ,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43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data and each pixel value of the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in a state excluding the set non-inspection target region. By calculating , difference data is generated. The pixel value of the non-inspection target region in the difference data may be 0.

이 경우, 검사 대상 영역 외의 부분에 재검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라벨이 첨부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 영역 외의 부분이 재검사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작성된 교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고속으로 기판의 재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vented that a label indicating a portion requiring re-inspection is attach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area to be inspec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the examination with higher precision. In addition, since parts other than the area to be inspected are not re-inspected, by using the created teacher data, the board can be re-inspected at high speed.

도 7 은,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의 좌상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는, 이상 데이터와 함께, 당해 이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에 있어서의 기판의 결함의 종별을 나타내는 결함 정보를 취득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도 7 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에 의해 취득된 결함 정보를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부여한다. GUI (50) 의 화상 표시 영역 (51) 에 있어서는,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은 결함의 종별을 나타내는 양태 (예를 들어 색채) 로 나타나도 된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on of teacher data in the second modification. As shown in the upper left part of FIG. 7,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part 41 acquires defect information which shows the type of the defect of the board|substrate in the image which the said abnormality data shows with abnormality data.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part 43 gives the defec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part 41 to the produced|generated difference data, a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In the image display area 51 of GUI50, the image based on difference data may appear in the aspect (for example, color) which shows the type of a defect.

이 경우, 사용자는, 교사 데이터에 결함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킴과 함께, 교사 데이터 작성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작업에 수반하는 미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does not need to perform the task of providing defect information to the teacher dat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creating teacher data. Moreover, since a mistake accompanying the user's work does not occur, more accurate teacher data can be created.

도 8 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의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에 2 치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검사 장치 (20) 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2 치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설정되었을 경우, 검사 장치 (20) 는, 2 치화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third modification. In the third modification, the user can set in advance in the inspection apparatus 20 that image data is subjected to binarization processing. When performing the binarization process is set, the inspection apparatus 20 produces|generates binarized image data.

따라서, 도 8 의 좌상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는, 2 치화 처리된 이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동일하게, 도 8 의 좌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는, 2 치화 처리된 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도 8 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치화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2 치화된 정상 데이터의 각 화소값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Therefore, as shown in the upper left part of FIG. 8,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part 41 acquires the binarization-processed abnormal data. Similarly, as shown in the lower left part of FIG. 8, the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42 acquires the normal data by which the binariz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generates difference data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ixel values of the binarized abnormal data and the binarized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a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8 . do.

이 경우,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삭감되기 때문에, 고속으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작성된 교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고속으로 기판의 재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data amount of image data is reduced, teacher data can be created at high speed. In addition, by using the created teacher data, it is possible to perform re-inspection of the board at high speed.

[2] 제 2 실시형태[2] Second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는, 1 개의 이상 데이터에 대하여 1 개의 정상 데이터가 대응하도록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지만,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제 2 ∼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원 처리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원 처리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acquires normal data so that one normal data corresponds to one abnormal data,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Hereinafter, a point different from the support process in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about the support process in 2nd - 4th embodiment.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 의 좌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이상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정상 데이터가 대응하도록 복수의 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1 개의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정상 데이터의 각 화소값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도 9 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의 차분 데이터가 생성된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lower left part of FIG. 9, some normal data is acquired so that some normal data may correspond with respect to one abnormal data.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generates difference data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each pixel value of one abnormal data and each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Therefore, a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9, a plurality of difference data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one abnormal data.

이 구성에 의하면, 1 개의 이상 데이터로부터 다수의 차분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로써, 교사 데이터 작성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difference data is generated from one abnormal data.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creating teacher data.

[3] 제 3 실시형태[3] Third embodiment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 의 좌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이상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정상 데이터가 대응하도록 복수의 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1 개의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상 데이터의 평균의 각 화소값의 차분을 산출함으로써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도 10 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1 개의 차분 데이터가 생성된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for creating teacher data in the thir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lower left part of FIG. 10, some normal data is acquired so that some normal data may correspond with respect to one abnormal data.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generates difference data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each pixel value of the average of one abnormal data and a plurality of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Accordingly, a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10 , one piece of difference data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one piece of abnormal data.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정상 데이터의 어느 것에 결함과는 무관계한 노이즈 성분이 우발적으로 혼입되었을 경우에도, 복수의 정상 데이터가 평균되기 때문에, 노이즈 성분은 평균 후의 정상 데이터의 화소값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때문에, 평균 후의 정상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a noise component unrelated to a defect is accidentally mixed in any of the plurality of normal data, since the plurality of normal data are averaged, the noise component has almost no effect on the pixel value of the normal data after averaging. don't give Therefore, by using the normal data after averaging, it is possible to create teacher data for testing with higher precision.

[4] 제 4 실시형태[4] Fourth embodiment

도 11 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1 의 좌상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이상 데이터에 대하여 1 개의 정상 데이터가 대응하도록 정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는, 각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도 11 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이상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차분 데이터가 생성된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data used to create teacher data in the fourth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upper left part of FIG. 11, normal data is acquired so that one normal data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abnormal data.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43 generates difference data based on each abnormal data and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Therefore, a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11, a plurality of difference data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bnormal data are generated.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 데이터가 취득될 때마다 정상 데이터를 그때마다 취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통의 정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속으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준비된 정상적인 기판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로서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에 의해 취득되어도 된다. 이 경우, 지원 처리에 있어서의 스텝 S2 는, 스텝 S1 전에 실행되어도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cquire normal data each time abnormal data is acquired, it is possible to create teacher data at high speed using common normal data. In the present embodiment,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substrate prepared in advance may be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as normal data. In this case, step S2 in the support process may be executed before step S1.

미리 준비된 화상 데이터는, 검사 장치 (20) 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의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기판의 설계도를 나타내는 CAD 데이터 등의 마스터 데이터여도 된다. 여기서, 에칭 등에 의한 기판의 가공 정밀도에 따라서는, 검사 장치 (20) 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와 마스터 데이터로, 화상 중의 기판의 패턴 폭 또는 패턴의 모서리부의 곡률 반경 등이 상이하게 된다. 그래서, 마스터 데이터에는, 화상 중의 패턴 폭 또는 패턴의 모서리부의 곡률 반경 등이 변경되도록, 기판의 가공 정밀도에 기초하여 수정이 실시되어도 된다.The image data prepared in advance may be any of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20, but may be master data such as CAD data showing a design drawing of the substrate. Here, depending on the processing precision of the board|substrate by etching etc., the pattern width of the board|substrate in an image, the curvature radius of the edge part of a pattern, etc. differ between the image data and master data generated by the inspection apparatus 20. FIG. Then, the master data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processing precision of a board|substrate so that the pattern width in an image, the curvature radius of the edge part of a pattern, etc. may be changed.

또한, 제 1 ∼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검사 장치 (20) 에 의해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되지 않은 기판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로서 검사 장치 (20) 로부터 취득되지만,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정상 데이터의 적어도 1 개는, 미리 준비된 마스터 데이터 또는 수정이 실시된 마스터 데이터여도 된다.In addition, also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mage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substrate not previously determined to be defective by the inspection apparatus 20 is acquired from the inspection apparatus 20 as normal data, but in th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At least one of the normal data may be master data prepared in advance or master data corrected.

[5] 다른 실시형태[5] Another embodiment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원 장치 (40) 는 접수부 (45) 및 등록부 (46) 를 포함하지만,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원 장치 (40) 는, 접수부 (45) 및 등록부 (46) 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GUI (50) 에 제시된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당해 부분을 재검사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높은 정밀도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데이터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device 40 includes the reception unit 45 and the registration unit 46,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The support device 40 does not need to include the reception unit 45 and the registration unit 46 . Also in this case, by confirming the image presented on the GUI 50, the user becomes possible to create the teacher data for re-inspecting the said par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teacher data for performing an examination with high precision.

[6]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형태의 각 부의 대응 관계[6] Correspondence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claim and each part of the embodiment

이하,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와 실시형태의 각 요소의 대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청구항의 각 구성 요소로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또는 기능을 갖는 다른 여러 가지 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Hereinafter, although the example of correspondence of each element of a claim and each element of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 As each component of the claim, various other elements having the structure or function described in the claim may be used.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원 장치 (40) 가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의 예이고, 이상 데이터 취득부 (41) 가 이상 데이터 취득부의 예이고, 정상 데이터 취득부 (42) 가 정상 데이터 취득부의 예이다. 차분 데이터 생성부 (43) 가 차분 데이터 생성부의 예이고, 제시부 (44) 가 제시부의 예이고, 접수부 (45) 가 접수부의 예이고, 등록부 (46) 가 등록부의 예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device 40 is an example of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1 is an example of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nd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42 is an example of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43 is an example of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the presenting unit 44 is an example of the presenting unit, the accepting unit 45 is an example of the accepting unit, and the registering unit 46 is an example of the registering unit.

Claims (13)

검사 대상물의 재검사에 사용되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로서,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이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이상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상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도록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상 데이터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분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차분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물의 부분의 화상을 제시하는 제시부를 구비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that supports creation of teacher data used for re-inspection of an object to be tested, comprising:
an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abnormality data indicating an image of an inspection object determined in advance to have a defect;
a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which acquires 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object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difference data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ring unit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ring un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nd a presenting unit for presenting an image of a portion of the test subject based on the dif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부에 의해 제시된 차분 데이터의 선택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접수부에 의해 선택이 접수된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하는 등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el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by the presenting unit;
and a registration unit that registers, as teacher data, the difference data for which the selection is accepted by the recep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는, 상기 제시부에 의해 제시된 차분 데이터의 수정을 추가로 접수하고,
상기 등록부는, 수정 후의 차분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등록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unit further receives correction of the difference data presented by the presenting unit,
The registration unit registers the corrected difference data as teacher dat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a plurality of normal data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wherein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difference data based on the abnormal data and a plurality of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상 데이터의 평균에 기초하여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a plurality of normal data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generates difference data based on an average of the abnormal data and a plurality of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복수의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각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normal data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abnormal data,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difference data based on each abnormal data and normal data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dat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정상 데이터는,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되지 않은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said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contains image data which shows the image of the test object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judged as defectiv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정상 데이터는, 검사 대상물의 설계도를 나타내는 마스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said normal data acquisition part contains master data which shows the design drawing of an examination object,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검사 대상물의 가공 정밀도에 기초하여 수정이 실시된 마스터 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wherein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as normal data, the master data corrected based on the processing accuracy of the inspection objec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이상 데이터 및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정상 데이터에는, 비검사 대상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설정된 비검사 대상 영역을 제외하고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non-inspection target area is set in the abnormal data acquired by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by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The difference data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difference data except for a set non-inspection target are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데이터 취득부는,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사 대상물에 대한 결함의 종별을 나타내는 결함 정보를 추가로 취득하고,
상기 차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이상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결함 정보를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부여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unit further acquires defect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defect on the inspectio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abnormality data,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apparatus, wherein the difference data generation unit gives the defec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bnormality data acquisition unit to the generated difference dat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데이터 취득부는, 2 치화 처리된 이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정상 데이터 취득부는, 2 치화 처리된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b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binarized abnormal data,
The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wherein the normal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normal data that has been binarized.
검사 대상물의 재검사에 사용되는 교사 데이터의 작성을 지원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으로서,
사전에 결함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이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이상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정상적인 검사 대상물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이상 데이터와, 당해 이상 데이터와 대응하도록 취득된 정상 데이터의 차분을 나타내는 차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과,
생성된 차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물의 부분의 화상을 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교사 데이터 작성 지원 방법.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for supporting creation of teacher data used for re-inspection of an object to be inspected, the method comprising:
A step of acquiring abnormal data indicating an image of an inspection object determined in advance to have a defect;
a step of acquiring normal data representing an image of a normal inspection object so as to correspond to the acquired abnormal data;
generating difference data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cquired abnormal data and the normal data acquired to correspond to the abnormal data;
A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esenting an image of a portion of an examination object based on the generated difference data.
KR1020220017104A 2021-03-18 2022-02-09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 KR202201305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4995 2021-03-18
JP2021044995A JP2022144121A (en) 2021-03-18 2021-03-18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device and teacher data creation suppor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577A true KR20220130577A (en) 2022-09-27

Family

ID=8345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04A KR20220130577A (en) 2021-03-18 2022-02-09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44121A (en)
KR (1) KR20220130577A (en)
CN (1) CN115170461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4121A (en) 2022-10-03
TW202238455A (en) 2022-10-01
CN115170461A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5029B2 (en) Image correction apparatus, pattern inspection apparatus, image correction method, and pattern defect inspection method
JP4203498B2 (en) Image correction apparatus, pattern inspection apparatus, image correction method, and pattern defect inspection method
US8139847B2 (en) Defect inspection tool and method of parameter tuning for defect inspection tool
KR1009547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efects
TWI684000B (en) Method of generating an examination recipe and system thereof
US200700478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defects of circuit patterns
JP4078280B2 (en) Circuit pattern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JP2005283326A (en) Defect review method and its device
US9851714B2 (en) Method of inspecting a specimen and system thereof
JP2006170809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
US20200411345A1 (en) Wafer observation apparatus and wafer observation method
JP2004177139A (en) Support program for preparation of inspection condition data,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inspection condition data
US98697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efects of wafer by wafer sort
TW471016B (en) Defect detection using gray level signatures
CN10999702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etermination condition of whether or not inspection object is good
KR20220130577A (en)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
JP2007198968A (en) Image-classifying method and image-classifying apparatus
WO2010053040A1 (en) Electron beam type substrate inspecting apparatus
TWI837586B (en)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training data creation assistance method
US5682104A (en) Electron beam tester and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283227A1 (en) Pattern review tool, recipe making tool, and method of making recipe
JP2006118870A (en) Inspection condition sett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07072173A (en) Pattern inspection apparatus, pattern inspection method, and reticle
JP5374225B2 (en) Wafer inspection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wafer inspection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wafer inspection system
JP4021084B2 (en) Electron microscope and inspec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