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799A - 멀티 탄성 블럭 - Google Patents

멀티 탄성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799A
KR20220129799A KR1020210034547A KR20210034547A KR20220129799A KR 20220129799 A KR20220129799 A KR 20220129799A KR 1020210034547 A KR1020210034547 A KR 1020210034547A KR 20210034547 A KR20210034547 A KR 20210034547A KR 20220129799 A KR20220129799 A KR 2022012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material
facet
elasticit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301B1 (ko
Inventor
박윤희
박광원
이가을
Original Assignee
박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희 filed Critical 박윤희
Priority to KR102021003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3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y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면체로 구비된 멀티 탄성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입방체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1 면체부와, 베이스부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2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2 면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베이스부의 상부 및 하부에 탄성재로 형성된 복수개의 면체부로 다면체의 탄성 블럭을 구성함으로써, 가정 및 실내외 놀이 시설에서 신체활동과 놀이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고, 아동 청소년기에 신체운동 기능 또는 감각처리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에게 실내외에서 균형감각 및 고유수용성 감각처리 증진을 돕는 안전한 재활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탄성 블럭{MULTI ELASTICITY BLOCK}
본 발명은 멀티 탄성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나 어린이 들에게 접촉에 의한 인지발달을 위한 교육용 교재로 사용되도록 다면체로 구성된 멀티 탄성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유아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아들의 창의력과 지능을 발달시키기위한 놀이기구이다.
유아 학습용 블록은 미취학 유아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도구로, 삼각기둥 내지 정육면체 등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토막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이 자연스럽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유아들의 조기 교육을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놀이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아들을 위한 놀이기구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원통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제조하고, 유아들이 상기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집 또는 성 등의 건물형태로 쌓거나, 개 또는 말 등의 동물형태로 쌓으면서 유아들이 입체적인 구성 및 평면적인 구성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유아들의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아용 놀이블록은 블록의 크기가 작아서 유아들이 블록을 결합하기가 쉽지 않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유아들이 블록놀이에 금방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아용 놀이블록은 나무 또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제조되고 있는데, 나무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놀이블록을 크게 만들면 작은 크기의 놀이블록에 비해 유아들이 큰 블록을 쉽게 쌓으며 결합할 수 있지만, 크기가 커져 무게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유아들이 다루기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나무 또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제조된 나무블록은 단단하기 때문에 유아들이 바닥에 굴러다니는 블록으로 넘어져 다칠 수 있고, 유아들이 블록놀이를 하다가 블록을 던져 사람이 다치거나 물건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발포성 합성수지를 재료로 유아용 놀이블록을 크게 제작함으로써 유아들이 블록 쌓기가 용이하도록 하고, 블록놀이에 싫증을 덜 느끼도록 하며, 블록이 크면서도 가볍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놀이블록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완구용 블럭은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므로, 어린이들이나 유아의 경우에 딱딱한 모서리에 부딪혀서 다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또한 완구용 블록이 실내에 어지럽게 흩어져 있을 때 성인들의 경우에도 무심코 딱딱한 블록을 밟으면서 발을 다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된 소프트 블럭이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이와 같이 소프트 블럭은 종래의 레고 블럭과 동일하게 상부면에 수결합부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암결합부가 형성된다는 점은 종래의 레고 블럭과 동일하다, 다만,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레고 블럭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소프트 블록은 주로 발포 성형에 많이 이용되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이하 EVA로 약칭함.)의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상기와 같이 종래의 소프트 블록은 통상 EVA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왔다.
이와 같은 소프트 블록은 기본적으로 발포체의 특성인 탄성력과 형상 복원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종래의 경질 블록에 비하여 장점을 가지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EVA 발포체로 된 소프트 블록은, EVA 발포체의 특성상 그다지 가볍다고도 볼 수 없으며, 또한 쉽게 파손될 위험성이 높으며, 또한 형태 정합성을 갖추기도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의 조립방식이 달라 어린아이들이 조립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블록몸체들 각각의 면과 면이 전체로서 대면한 상태로만 조립이 되므로 블록몸체들의 상대적인 조립위치나 각도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없어 여전히 다양한 조형물을 조립하는데는 일정한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놀이블록은 블록을 쌓을 때 블록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다른 블록의 몸체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하여 쌓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 간의 결속력이 강하지 못하여 유아들이 블록을 쌓는 도중에 블록이 쉽게 빠지거나, 블록 쌓기를 완성하였더라도 약간의 충격에 의해 블록이 쉽게 무너져 유아들이 블록 쌓기 놀이에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완구블록은 블록몸체들을 상하 적층하여 조립하는 방식 위주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으로 조립이 어려워 조립할 수 있는 조형물에 한계가 있으며, 단순한 입체감의 조형물만을 조립하게 되면서 어린아이들이 흥미를 잃고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9847호 (2013년06월28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49456호 (2010년07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4360호 (2014년07월0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의 상부 및 하부에 탄성재로 형성된 복수개의 면체부로 다면체의 탄성 블럭을 구성함으로써, 가정 및 실내외 놀이 시설에서 신체활동과 놀이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고, 아동 청소년기에 신체운동 기능 또는 감각처리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에게 실내외에서 균형감각 및 고유수용성 감각처리 증진을 돕는 안전한 재활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멀티 탄성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면체부는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탄성면을 통해 움직임의 즐거움을 경험 할 수 있고 여러개 블록을 연결하여 움직임 형태 및 놀이방법을 확대하여 놀이 참여를 확장할 수 있고 아동관련 교육기관 및 재활 기관에서 놀이기능과 재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탄성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면체부를 사각뿔 형상이나 원통형이나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탄성재의 탄성을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에게 접촉에 의한 인지발달을 위한 교육용 교재로 사용할 수 있고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아동에게는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며 감각처리능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재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멀티 탄성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면체부의 탄성재의 탄성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다른 면체부의 탄성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아동의 발달 및 놀이 시설에서의 활용을 주로 하게 됨으로 안정성에 대한 부분을 최대한 고려할 수 있고,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고 시각적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색상과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멀티 탄성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면체로 구비된 멀티 탄성 블럭으로서, 입방체로 형성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1 면체부(1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2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2 면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일방에 결합되며, 제3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3 면체부(30);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며, 제4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4 면체부(40);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되 상기 제3 면체부(30)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며, 제5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5 면체부(5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되 상기 제4 면체부(40)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며, 제6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6 면체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내지 제6 면체부(10, 20, 30, 40, 50, 60)는,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내지 제6 탄성재는, 탄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탄성재는 상기 제2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탄성재는 상기 제5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탄성재 보다 탄성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탄성재는 상기 제6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3 탄성재 보다 탄성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면체부(10)와 상기 제2 면체부(20)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 매트는, 탄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면체부(10)와 상기 제2 면체부(20)에는, 답력을 측정하는 접촉센서가 설치되어, 외부와 통신에 의해 답력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탄성재와 상기 제2 탄성재는, 탄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상부 및 하부에 탄성재로 형성된 복수개의 면체부로 다면체의 탄성 블럭을 구성함으로써, 가정 및 실내외 놀이 시설에서 신체활동과 놀이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고, 아동 청소년기에 신체운동 기능 또는 감각처리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에게 실내외에서 균형감각 및 고유수용성 감각처리 증진을 돕는 안전한 재활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면체부는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탄성면을 통해 움직임의 즐거움을 경험 할 수 있고 여러개 블록을 연결하여 움직임 형태 및 놀이방법을 확대하여 놀이 참여를 확장할 수 있고 아동관련 교육기관 및 재활 기관에서 놀이기능과 재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개의 면체부를 사각뿔 형상이나 원통형이나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탄성재의 탄성을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에게 접촉에 의한 인지발달을 위한 교육용 교재로 사용할 수 있고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 아동에게는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며 감각처리능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재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면체부의 탄성재의 탄성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다른 면체부의 탄성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아동의 발달 및 놀이 시설에서의 활용을 주로 하게 됨으로 안정성에 대한 부분을 최대한 고려할 수 있고,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고 시각적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색상과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면체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을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면체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대한 멀티 탄성 블럭은, 베이스부(100)과 제1 면체부(10)와 제2 면체부(20)로 이루어져, 유아나 어린이에게 접촉에 의한 인지발달을 위한 교육용 교재로 사용되도록 탄성재의 다면체로 구성된 멀티 탄성 블럭이다.
베이스부(100)는, 복수개의 사각면으로 형성된 육면체 등과와 같은 다면체의 입방체로 형성된 베이스부재로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입방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로는, 연질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1 면체부(10)와 제2 면체부(20) 보다 경질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거나 경질의 합성수지 등과 같이 경질의 소재로 제작된 멀티 탄성 블럭의 중간부재나 코어부재로 이루어져 제1 면체부(10)와 제2 면체부(20)를 지지하게 된다.
제1 면체부(10)는,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탄성재로 이루어진 면체부재로서,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면접촉되어 접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열압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1 면체부(10)의 탄성 매트로는, 베이스부(100)의 상부면 일방에 접합되는 제1 탄성 매트(11)와, 베이스부(100)의 상부면 타방에 접합되는 제2 탄성 매트(12)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제1 탄성 매트(11)와 제2 탄성 매트(12)는, 서로 탄성이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제1 면체부(10)에 접촉부위에 따라 탄성이 다르게 설정되어 다양한 접촉인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1 면체부(10)의 제1 탄성재로는 실리콘이나 고무나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연질의 탄성재질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제2 면체부(20)의 제2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탄성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의 음각이나 다양한 색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면체부(10)에는, 답력을 측정하는 접촉센서가 설치되어, 외부와 통신에 의해 답력에 대한 밟은 위치, 회수, 운동량, 정확도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데이터를 제공하여 답력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면체부(20)는,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2 탄성재로 이루어진 면체부재로서,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면접촉되어 접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열압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2 면체부(20)의 탄성 매트로는, 베이스부(100)의 하부면 일방에 접합되는 제3 탄성 매트(21)와, 베이스부(100)의 하부면 타방에 접합되는 제4 탄성 매트(22)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제3 탄성 매트(21)와 제4 탄성 매트(22)는, 서로 탄성이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제2 면체부(20)에 접촉부위에 따라 탄성이 다르게 설정되어 다양한 접촉인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2 면체부(20)의 제2 탄성재로는 실리콘이나 고무나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연질의 탄성재질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제1 면체부(10)의 제1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거나 보다 큰 탄성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의 음각이나 다양한 색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2 면체부(20)에는, 답력을 측정하는 접촉센서가 설치되어, 외부와 통신에 의해 답력에 대한 밟은 위치, 회수, 운동량, 정확도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데이터를 제공하여 답력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블럭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면체부(30), 제4 면체부(40), 제5 면체부(50) 및 제6 면체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3 면체부(30)는, 베이스부(100)의 측면 일방에 결합되며 제3 탄성재로 이루어진 면체부재로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면체부와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부(100)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접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열압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제3 면체부(30)는, 제5 면체부(50)와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3 면체부(30)의 제3 탄성재로는 실리콘이나 고무나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연질의 탄성재질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제5 면체부(50)의 제5 탄성재와 동일한 탄성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의 음각이나 다양한 색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4 면체부(40)는,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며 제4 탄성재로 이루어진 면체부재로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면체부와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부(100)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접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열압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제4 면체부(40)는, 제6 면체부(60)와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4 면체부(40)의 제4 탄성재로는 실리콘이나 고무나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연질의 탄성재질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제6 면체부(60)의 제6 탄성재와 동일한 탄성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의 음각이나 다양한 색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5 면체부(50)는,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되 제3 면체부(30)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며 제5 탄성재로 이루어진 면체부재로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면체부와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부(100)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접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열압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제5 면체부(50)는, 제3 면체부(30)와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5 면체부(50)의 제5 탄성재로는 실리콘이나 고무나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연질의 탄성재질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제3 면체부(30)의 제3 탄성재와 동일한 탄성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의 음각이나 다양한 색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6 면체부(60)는,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되 제4 면체부(40)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며 제6 탄성재로 이루어진 면체부재로서,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면체부와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부(100)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접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열압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제6 면체부(60)는, 제4 면체부(40)와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제6 면체부(60)의 제6 탄성재로는 실리콘이나 고무나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연질의 탄성재질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제4 면체부(40)의 제4 탄성재와 동일한 탄성의 탄성재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의 음각이나 다양한 색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내지 제6 면체부(10, 20, 30, 40, 50, 60)는, 실리콘재의 사각형상의 탄성 패드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게 면접촉하거나 선접촉하는 접촉부위가 접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열압착이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육면체의 멀티 탄성 블럭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6 면체부(10, 20, 30, 40, 50, 60)에는, 답력을 측정하는 접촉센서가 설치되어, 외부와 통신에 의해 답력에 대한 밟은 위치, 회수, 운동량, 정확도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데이터를 제공하여 답력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블럭의 제1 내지 제6 탄성재는, 탄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며, 제1 탄성재는 제2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3 탄성재는 제5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제1 탄성재 보다 탄성이 1배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제4 탄성재는 제6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제3 탄성재 보다 탄성이 1배 크게 형성되어 제1 탄성재 보다 탄성이 2배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블럭은, 성장과 발달을 위해 신체활동이 많이 요구되는 성장기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 활동 및 놀이참여를 증진시키는 놀이 및 활동증진 도구로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멀티 탄성 블록은 아동용 놀이 기구인 트램펄린처럼 탄성을 가진 면으로 구성된 블록형태의 놀이 및 치료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블럭은, 육면체의 블록형태로 각각의 면마다 탄성을 다르게 배치하고, 육면체 면 위를 아동이 발로 밟고 이동하는 도구로 여섯 개의 면은 각기 다른 색으로 구성되고 색은 각기 다른 탄성을 나타내서 블록을 여러 개 다른 색으로 연결하여 아동이 블록 위를 밟고 이동하며 다양한 탄성을 즐기며 놀 수 있는 놀이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블럭은,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아동에게는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며 감각처리능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재활 도구로 활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블럭은, 아동의 발달 및 놀이 시설에서의 활용을 주로 하게 됨으로 안정성에 대한 부분을 최대한 고려할 수 있고,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고 시각적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색상과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탄성 블럭을 사용하게 되면, 아동용 놀이 기구인 트램펄린처럼 탄성을 가진 면으로 구성된 블록형태의 놀이 및 치료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하나의 정육면체 블록의 6개 면에 각기 다른 탄성을 적용하여 하나의 블록에 3개에서 6개의 다른 탄성을 갖게할 수 있고, 하나의 정육면체 블록이 6개면에 동일한 탄성을 갖고 있으나 단일제품을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하는 방법이나 결합방법에 의해 여섯 개 블록을 한 단위로 구성하여 6개 블록 각각이 다른 탄성을 갖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의 상부 및 하부에 탄성재로 형성된 복수개의 면체부로 다면체의 탄성 블럭을 구성함으로써, 가정 및 실내외 놀이 시설에서 신체활동과 놀이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고, 아동 청소년기에 신체운동 기능 또는 감각처리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에게 실내외에서 균형감각 및 고유수용성 감각처리 증진을 돕는 안전한 재활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면체부는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탄성면을 통해 움직임의 즐거움을 경험 할 수 있고 여러개 블록을 연결하여 움직임 형태 및 놀이방법을 확대하여 놀이 참여를 확장할 수 있고 아동관련 교육기관 및 재활 기관에서 놀이기능과 재활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개의 면체부를 사각뿔 형상이나 원통형이나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탄성재의 탄성을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에게 접촉에 의한 인지발달을 위한 교육용 교재로 사용할 수 있고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 아동에게는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며 감각처리능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재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면체부의 탄성재의 탄성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다른 면체부의 탄성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아동의 발달 및 놀이 시설에서의 활용을 주로 하게 됨으로 안정성에 대한 부분을 최대한 고려할 수 있고,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고 시각적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색상과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제1 면체부
20: 제2 면체부
30: 제3 면체부
40: 제4 면체부
50: 제5 면체부
60: 제6 면체부
100: 베이스부

Claims (9)

  1. 다면체로 구비된 멀티 탄성 블럭으로서,
    입방체로 형성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1 면체부(1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2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2 면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일방에 결합되며, 제3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3 면체부(30);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며, 제4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4 면체부(40);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되 상기 제3 면체부(30)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며, 제5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5 면체부(5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 타방에 결합되되 상기 제4 면체부(40)와 대향하도록 결합되며, 제6 탄성재로 이루어진 제6 면체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6 면체부(10, 20, 30, 40, 50, 60)는, 면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6 탄성재는, 탄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재는 상기 제2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탄성재는 상기 제5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탄성재 보다 탄성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탄성재는 상기 제6 탄성재와 탄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3 탄성재 보다 탄성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체부(10)와 상기 제2 면체부(20)는, 1개 이상의 탄성 매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매트는, 탄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체부(10)와 상기 제2 면체부(20)에는, 답력을 측정하는 접촉센서가 설치되어, 외부와 통신에 의해 답력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재와 상기 제2 탄성재는, 탄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탄성 블럭.
KR1020210034547A 2021-03-17 2021-03-17 멀티 탄성 블럭 KR10249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47A KR102493301B1 (ko) 2021-03-17 2021-03-17 멀티 탄성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547A KR102493301B1 (ko) 2021-03-17 2021-03-17 멀티 탄성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799A true KR20220129799A (ko) 2022-09-26
KR102493301B1 KR102493301B1 (ko) 2023-01-27

Family

ID=8345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547A KR102493301B1 (ko) 2021-03-17 2021-03-17 멀티 탄성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3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497B1 (en) * 2000-11-20 2002-07-16 Elizabeth A. Carlson Tactile sensing device
KR200449456Y1 (ko) 2008-08-05 2010-07-12 주식회사 세스영어 유아용 소프트 놀이블록
KR20110093233A (ko) * 2010-02-12 2011-08-18 이규휘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20110135265A (ko) * 2010-06-10 2011-12-16 박정이 변형이 용이한 거북이 완구
KR101279847B1 (ko) 2012-12-17 2013-06-28 안희정 유아 또는 어린이의 놀이 또는 교육을 위한 소프트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4360B1 (ko) 2013-04-29 2014-07-01 강화업 조립식 완구블록
JP2019000357A (ja) * 2017-06-15 2019-01-10 凸版印刷株式会社 玩具
US20200200723A1 (en) * 2016-01-22 2020-06-25 Peter D. Poulsen Articles and methods for sensory training, education, entertainment, or amuseme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497B1 (en) * 2000-11-20 2002-07-16 Elizabeth A. Carlson Tactile sensing device
KR200449456Y1 (ko) 2008-08-05 2010-07-12 주식회사 세스영어 유아용 소프트 놀이블록
KR20110093233A (ko) * 2010-02-12 2011-08-18 이규휘 자석을 이용한 유아용 교습구
KR20110135265A (ko) * 2010-06-10 2011-12-16 박정이 변형이 용이한 거북이 완구
KR101279847B1 (ko) 2012-12-17 2013-06-28 안희정 유아 또는 어린이의 놀이 또는 교육을 위한 소프트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4360B1 (ko) 2013-04-29 2014-07-01 강화업 조립식 완구블록
US20200200723A1 (en) * 2016-01-22 2020-06-25 Peter D. Poulsen Articles and methods for sensory training, education, entertainment, or amusement
JP2019000357A (ja) * 2017-06-15 2019-01-10 凸版印刷株式会社 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301B1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7217A (en) Puzzle with pieces in the form of subdivided rhombuses
US8061713B2 (en) Three dimensional geometric puzzle
US20050014112A1 (en) Sacred geometry educational entertainment system
KR20070092247A (ko) 다면체 놀이기구
WO2016186339A1 (ko)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KR102519226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EP2555838A2 (en) Manipulative three-dimensional puzzle
JP4498467B1 (ja) 知育玩具
KR102493301B1 (ko) 멀티 탄성 블럭
KR102493300B1 (ko) 멀티 탄성 블럭
US3279794A (en) Teeter bridge toy
KR200389153Y1 (ko) 목재 블럭 완구
GB2176125A (en) Toys
KR20130133355A (ko) 유아용 이브이에이 블록 완구 및 그 제조방법
JP3217628U (ja) 立体造形ブロック
JP2015096194A (ja) 組立式マット
KR102663481B1 (ko) 고정형 멀티 탄성 다리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CN214847331U (zh) 一种水陆两用拼图式幼儿教育游戏垫
JPH0522240Y2 (ko)
JP2000116934A (ja) 積木組立てパズル
KR102611097B1 (ko) 회전형 멀티 탄성 다리
RU188435U1 (ru) Блок игрового конструктора
JP3222445U (ja) マット玩具
KR200496173Y1 (ko) 입체 블록 형성용 놀이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